KR20170011874A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1874A
KR20170011874A KR1020150105301A KR20150105301A KR20170011874A KR 20170011874 A KR20170011874 A KR 20170011874A KR 1020150105301 A KR1020150105301 A KR 1020150105301A KR 20150105301 A KR20150105301 A KR 20150105301A KR 20170011874 A KR20170011874 A KR 2017001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program
volatile memory
iot
memory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375B1 (ko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5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375B1/ko
Priority to CN201680042717.XA priority patent/CN107852425B/zh
Priority to PCT/KR2016/007781 priority patent/WO2017018705A1/en
Priority to EP16830738.7A priority patent/EP3304868A4/en
Priority to US15/213,666 priority patent/US9930398B2/en
Publication of KR2017001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5Memor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여,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IOT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다양한 실시예들은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편, 사물 인터넷(IOT) 시스템은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허브(Hub)를 필요로 하며, 영상 표시 장치는 사물 인터넷 시스템의 허브(Hub)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는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계속해서 모니터링 하기 위해, 전원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하므로, 과다한 전력소모가 문제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저전력으로,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IOT 모드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여,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IOT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비활성화된 일부 코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코어는,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로딩시키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3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상기 IOT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코어들이 활성화되고, 상기 복수의 코어들은, 상기 비활성화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어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동작할 때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고,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는 단계, 일반 모드에서,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일반 모드에서 IOT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된 일부 코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코어에 의해 상기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로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은,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상기 IOT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코어들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어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동작할 때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사물 인터넷(IOT) 시스템의 허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IOT 시스템에서 별도의 IOT 허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도 저전력으로 IOT 디바이스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장부(19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IOT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시스템은 IOT디바이스(30), 영상 표시 장치(100), 서버(10) 및 디바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는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센싱 데이터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허브(Hub) 기능을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100)일 수 있으며, IOT 허브 기능은 IOT 디바이스(3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50) 또는 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50) 또는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IOT 디바이스(30)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30)는 IOT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디바이스(또는 사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3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음향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가스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냉장고, 에어컨, CCTV, TV, 세탁기, 청소기, 오븐, 제습기, 전등, 화재 경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디바이스(3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디바이스(50) 또는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디바이스(30)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30)의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으며, IOT 디바이스(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 또는 IOT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 및 IOT 허브 기능(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모드에서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를 이용하여, 제1 응용 프로그램만 구동시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IOT 허브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50) 및 서버(10)는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50) 및 서버(3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경보 서비스, 방범 서비스, 홈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디바이스(5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바이스(5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바이스(50)는 영상 표시 장치(100) 또는 서버(1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를 위한 센싱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의 영상 표시 장치(100a)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a)는 감지부(130), 프로세서(183),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 및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서(18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는 후술할 제어 장치(200)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입력, 채널 선택 입력, 채널-업/다운 입력, 화면 설정 입력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83)는 영상 표시 장치(100a)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100b)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영상 표시 장치(100a)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 및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며, 감지부(13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 또는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a)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는 영상 표시 장치(100a)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운영 체계, 응용 프로그램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는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 장치이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는 NAND 플래시(flash), NOR 플래시 등의 플래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프로세서(183)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83)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에 로딩하여,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에 로딩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 등)와 관련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는 장치이며,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는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은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되어 실행되고,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프로세서(183)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a)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서버,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통신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 외부 장치에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 파이(Wi-Fi), 지그비(Zigbee), Z-WAVE,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Ant+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50)는 IOT 디바이스로부터 센싱된 데이터(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IOT 디바이스와는 지그비(Zigbee), Z-WAVE등을 이용하여 통신하고, 외부 서버와는 블루투스, 와이 파이 등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도시되지 아니함), 및 제어 장치(200)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2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 시키기 위한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200)는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채널 변경, 음량 조정, 지상파 방송/케이블 방송/위성 방송 선택, 또는 환경 설정(setting)을 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포인팅 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특정 키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에, 포인팅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제어 장치(200)를 상, 하, 좌, 우로 움직이거나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이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 표시 장치(100a)로 전송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a)는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의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에 대응되도록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가 이동되거나 표시된 다양한 메뉴들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200)가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경우, 터치 패드 상에서 움직이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피사체의 변위 값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a)의 디스플레이부 상의 커서가 이동되거나 표시된 다양한 메뉴들이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의 영상 표시 장치(100b)는 도 1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b)는 제어부(110), 디스플레이부(120), 감지부(130), 비디오 처리부(180), 오디오 처리부(115),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60), 튜너부(140), 통신부(150), 입/출력부(170),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설명한 영상 표시 장치(100a)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100b)의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영상 표시 장치(100b)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8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명령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0)는 통신부(150)에서 수신한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1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1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1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25)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25)는 스피커(126), 헤드폰 출력 단자(127) 및 S/PDIF 출력 단자(1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b)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b)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4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b)의 튜너부(1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40)는 영상 표시 장치(100b)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b)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50)은 무선랜(151), 블루투스(1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블루투스(152) 통신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부터 블루투스 타입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마이크(1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b)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31)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31)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61)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가 영상 표시 장치(100b)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마이크(131)는 사용자의 발화된 음성 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31)는 영상 표시 장치(100b)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31)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3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3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2)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가 영상 표시 장치(100b)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132)는 사용자의 얼굴 등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 이미지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b)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 커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32)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32)는 영상 표시 장치(100b)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3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50) 또는 입/출력부(17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b)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13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133)는 외부의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2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33)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b)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72), PC 포트(PC port, 173), 및 USB 포트(USB port, 1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는 HDMI 포트(171), 컴포넌트 잭(172), PC 포트(173), 및 USB 포트(1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b)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100b)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1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b)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b)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81), 영상 표시 장치(100b)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82) 및 프로세서(Processor, 18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도 2의 프로세서(183)에 대응되고, 램(181)은 도 2의 휘발성 메모리 장치(142)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래픽 처리부(1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81), 롬(182), 프로세서(183), 그래픽 처리부(1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85-1 내지 185-n)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83), 롬(182) 및 램(181)을 포함한다.
저장부(19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b)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비디오 처리부(180), 디스플레이부(120), 오디오 처리부(115), 오디오 출력부(125), 전원부(130), 튜너부(140), 통신부(150), 감지부(130), 입/출력부(1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영상 표시 장치(100b)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90), 제어부의 롬(182), 램(181)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b)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영상 표시 장치(100b)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0)를 가지는 영상 표시 장치(100b)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b)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100b)는 영상 표시 장치(100b)의 내부 또는 외부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온도 센서 등,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a, 110b)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는 도 3의 저장부(19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저장부(190)에는 베이스 모듈(191), 센싱 모듈(192), 통신 모듈(193), 프리젠테이션 모듈(194), 웹 브라우저 모듈(195), 서비스 모듈(19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91)이란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91)은 스토리지 모듈(191-1), 보안 모듈(191-2) 및 네트워크 모듈(19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9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프로세서(183)는 스토리지 모듈(191-1)을 이용하여 저장부(19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9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모듈(191-3)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9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192)은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9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9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9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텔레포니 모듈(19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193)은 IOT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IOT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 등으로 전송하기 위한 IOT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OT 모듈은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9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9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9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19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9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렌더링 모듈(19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9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9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모듈(196)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는, 서비스 모듈(196)은 SNS 프로그램, 컨텐츠 재생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전자 책 프로그램, 달력 프로그램, 알람 관리 프로그램, 기타 위젯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도시하였으나,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GPS 칩과 같은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위치 기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무선 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들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2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30)는 전원 온/오프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200)로 영상 표시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 측정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10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60)는 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미도시)는 감지된 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할 커서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30)를 통하여 감지된 제어 장치(200)의 전송 신호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10)로 전송된다. 제어부(110)는 제어 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로부터 제어 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커서의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프로세서(183), 플래시 메모리(340), 제1 DRAM(320), 제2 DRAM(330), 제1 메모리 컨트롤러(325),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 제3 메모리 컨트롤러(34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 제1 메모리 컨트롤러(325),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 및 제3 메모리 컨트롤러(345)는 내부 버스(bus)(1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 컨트롤러(325)는 제1 DRAM(320)을,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는 제2 DRAM(330)을, 제3 메모리 컨트롤러(345)는 플래시 메모리(34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쿼드 코어(4개의 코어(311, 312, 313, 3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340)는 도 2에서 설명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이며, 제1 DRAM(320) 및 제2 DRAM(330)은 도 2에서 설명한 휘발성 메모리 장치이다.
플래시 메모리(340)는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부팅이 시작되면, 프로세서(183)는 제3 메모리 컨트롤러(345)에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메모리 컨트롤러(345)는 제1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플래시 메모리(340)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 체계를 읽어오고, 제1 메모리 컨트롤러(325)는 읽어온 운영 체계가 제1 DRAM(320)에 로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체계는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을 이용하여, 제1 응용 프로그램은 제1 DRAM(320)에,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제2 DRAM(330)에 로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는 응용 프로그램을 일정한 크기로 나눈 단위를 의미하며, 페이지 단위로 메인 메모리(제1 DRAM, 제2 DRAM)에 저장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페이징(paging)이라 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가 메인 메모리의 어느 프레임에 저장되는지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페이지 테이블이라 하며, 페이지 테이블은 운영 체계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테이블은, 제1 응용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페이지들은 제1 DRAM(320)에 저장되도록 제2 응용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페이지들은 제2 DRAM(330)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프로세서(183)는 제1 DRAM(320)에 로딩된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DRAM(330)에 로딩된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2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부를 통해 수신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통신부 또는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30)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의 상태 정보(충전 중이며, 청소 예약 시간은 00시 00분이라는 정보), 에어컨의 상태 정보(가동 중이며 희망 온도는 00도라는 정보), 세탁기의 상태 정보(세탁 중이며, 세탁 완료 시간은 00시00분이라는 정보), 오븐의 상태 정보(예열 중이며, 예열 온도는 190도라는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IOT 디바이스(30)의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의 기 설정된 영역에 표시되거나 팝업 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3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IOT 디바이스)로부터 센싱된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실내 적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에어컨(IOT 디바이스)으로 에어컨 가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조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실내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경우, 전등(IOT 디바이스)으로 전등을 온(On)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습도 센서로부터 센싱된 실내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습기로 가동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IOT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Off)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IO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장치(100)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또는, IOT 모드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IOT 모드로 전환되면,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프로세서(183)는 제2 DRAM(330)에 로딩되어 있는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서스펜드(suspend))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는 제2 DRAM(330)에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명령을 전송하고, 제2 DRAM(330)은 자체적으로 리프레쉬(refresh)를 수행하여, 제2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는 제2 DRAM(330)에 주기적으로 리프레쉬 명령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IOT 모드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이 실행되지 않으므로, 주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전원 공급도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 또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드에서 IOT 모드로 전환되면, 프로세서(183)는 플래시 메모리(340)에 저장되고,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1 DRAM(3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340)를 제어하는 제3 메모리 컨트롤러(345)와 플래시 메모리(340)에 대한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83)는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들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4개의 코어 중 3개의 코어(제2 코어(312), 제3 코어(313) 및 제4 코어(314))를 비활성화시키고, 1개의 코어(제1 코어(311))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활성화된 제1 코어(311)는 제1 DRAM(320)에 로딩된 제1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30, 로봇 청소기, 세탁기, 오븐, 에어컨 등)에서 센싱된 데이터(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10)는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 또는 서버일 수 있다.
외부 장치(10)는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 디바이스(3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센서(IOT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실내 적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 에어컨(IOT 디바이스)을 가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조도 센서에서 센싱된 실내 조도가 기 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경우, 전등(IOT 디바이스)을 온(On)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습도 센서에서 센싱된 실내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은 경우, 제습기를 가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장치(10)는 제어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는 수신한 제어 신호를 해당하는 IOT 디바이스(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311)는 IOT 디바이스(30)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는 구간에서는 코어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높이고,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코어 구동 신호의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IOT 디바이스(30)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수집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구간에서는 통신부(150)를 활성화시키고,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지 않는 구간에서는 통신부(15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코어(311)는 IOT 디바이스(30)의 센싱 데이터(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데이터) 등을 제1 DRAM(320)의 보존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모드에서는 일부의 코어(제1 코어(311))에 의해 제1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IOT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183)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들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온(On)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으며, 비활성화된 제2 내지 제4 코어들(312, 313, 314)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드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프로세서(183)는 비활성화되어 있는 제2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는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를 동작시키고, 제2 메모리 컨트롤러(335)는 제2 DRAM(330)에 주기적으로 리프레쉬 명령을 전송하여, 정지된 제2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다시 이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을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고,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시킬 수 있다(S510).
영상 표시 장치(100)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는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제2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부팅이 시작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141)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 체계를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시킬 수 있다.
운영 체계는,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을 이용하여, 제1 응용 프로그램은 제1 DRAM(320)에,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제2 DRAM(330)에 로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S520).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방송을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 IOT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53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Off)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IO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영상 표시 장치(100)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절전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또는, IOT 모드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IOT 모드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S54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DRAM(330)에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명령을 전송하고, 제2 DRAM(330)은 자체적으로 리프레쉬(refresh)를 수행하여, 제2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들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83)가 4개의 코어를 포함하는 경우, 4개의 코어 중 3개의 코어(제2 코어, 제3 코어 및 제4 코어)를 비활성화시키고, 1개의 코어(제1 코어)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활성화된 일부 코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코어는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610).
610 단계(S610)는 도 10의 540 단계(S540)에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원을 온(On) 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S620).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비활성화된 코어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S630).
예를 들어, IOT 모드에서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4개의 코어 중 3개의 코어(제2 코어, 제3 코어 및 제4 코어)가 비활성화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내지 제4 코어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S64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2 DRAM에 주기적으로 리프레쉬 명령을 전송하여, 정지된 제2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다시 이어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주요 기능(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운영 체계,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여, 일반 모드에서는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고, IOT 모드에서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비활성화시키며,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코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비활성화된 일부 코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코어는,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메모리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메모리 컨트롤러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메모리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로딩시키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제3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상기 IOT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코어들이 활성화되고,
    상기 복수의 코어들은,
    상기 비활성화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영상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어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동작할 때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영상 표시 장치.
  8.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고, 제2 응용 프로그램을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하는 단계;
    일반 모드에서,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일반 모드에서 IOT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은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고,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은 방송 수신 기능, 영상 처리 기능 및 영상 표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일부 코어들을 비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된 일부 코어들을 제외한 나머지 코어에 의해 상기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일반 모드에서 상기 IOT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전원을 온(On)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셀프 리프레쉬(Self Refresh)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제2 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로딩된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운영 체계 및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제1 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로딩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3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IOT 모드에서 상기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어들 중 상기 IOT 모드에서 비활성화된 코어들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상기 운영 체계, 상기 제1 응용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OT 모드에서 활성화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어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 동작할 때보다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
  15. 제8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05301A 2015-07-24 2015-07-2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42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01A KR102428375B1 (ko) 2015-07-24 2015-07-2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201680042717.XA CN107852425B (zh) 2015-07-24 2016-07-18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PCT/KR2016/007781 WO2017018705A1 (en) 2015-07-24 2016-07-1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16830738.7A EP3304868A4 (en) 2015-07-24 2016-07-18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5/213,666 US9930398B2 (en) 2015-07-24 2016-07-19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301A KR102428375B1 (ko) 2015-07-24 2015-07-2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74A true KR20170011874A (ko) 2017-02-02
KR102428375B1 KR102428375B1 (ko) 2022-08-02

Family

ID=5783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301A KR102428375B1 (ko) 2015-07-24 2015-07-24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0398B2 (ko)
EP (1) EP3304868A4 (ko)
KR (1) KR102428375B1 (ko)
CN (1) CN107852425B (ko)
WO (1) WO20170187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571B1 (ko) * 2017-12-28 202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18605832A (zh) * 2018-05-07 2024-09-06 谷歌有限责任公司 提供用于控制连接设备的复合图形助理界面的方法和系统
CN112313924B (zh) 2018-05-07 2024-09-10 谷歌有限责任公司 提供用于控制各种连接设备的复合图形助理界面
TWI790604B (zh) * 2021-04-23 2023-01-21 台灣松下電器股份有限公司 圖像轉換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8802A1 (en) * 2003-09-18 2008-11-20 Vulcan Port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low power mod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8585A1 (en) * 2003-11-19 2005-05-19 Yang Chiang H. Silent loading of executable code
US7971081B2 (en) * 2007-12-28 2011-06-28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t platform hibernate and resume
TW201011520A (en) 2008-09-03 2010-03-16 Realtek Semiconductor Corp Power saving device and method
US8239667B2 (en) * 2008-11-13 2012-08-07 Intel Corporation Switching between multiple operating systems (OSes) using sleep state management and sequestered re-baseable memory
US20110242268A1 (en) * 2010-03-31 2011-10-06 Jin Kim Television Appliance
US8553157B2 (en) * 2011-06-20 2013-10-08 Bby Solutions, Inc. Television with energy saving and quick start modes
CN102638715B (zh) * 2012-03-16 2015-04-29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智能电视系统远程监控方法、相关设备以及智能电视系统
JP2013222321A (ja) * 2012-04-17 2013-10-28 Sony Corp メモリ制御装置、メモリ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8699B2 (ja) * 2013-03-22 2016-12-07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EP3057309B1 (en) * 2015-02-12 202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8802A1 (en) * 2003-09-18 2008-11-20 Vulcan Porta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low power mod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urad Yusufov 외 2명, "Roles of Smart TV in IoT-environments: a Survery", 2013 13th Conference of Open Innovation Association(2013.04.22.)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26692A1 (en) 2017-01-26
KR102428375B1 (ko) 2022-08-02
WO2017018705A1 (en) 2017-02-02
EP3304868A4 (en) 2018-06-06
US9930398B2 (en) 2018-03-27
CN107852425B (zh) 2021-05-11
CN107852425A (zh) 2018-03-27
EP3304868A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9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019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23188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1130110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tem list and cursor
KR102325341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50050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73279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properties of a highlighted item and surrounding items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7852425B (zh)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