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058B1 -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058B1
KR101085058B1 KR20090105253A KR20090105253A KR101085058B1 KR 101085058 B1 KR101085058 B1 KR 101085058B1 KR 20090105253 A KR20090105253 A KR 20090105253A KR 20090105253 A KR20090105253 A KR 20090105253A KR 101085058 B1 KR101085058 B1 KR 10108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eller
purchaser
desired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0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8611A (ko
Inventor
석윤찬
김홍찬
Original Assignee
석윤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윤찬 filed Critical 석윤찬
Priority to KR2009010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058B1/ko
Priority to PCT/KR2010/006575 priority patent/WO2011055907A2/ko
Publication of KR20110048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8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은, 1명 이상의 구매 희망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 희망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희망 상품 등록 모듈; 상기 희망 상품 등록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희망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상품 선정 모듈;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상품 선정 모듈에서 선정된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판매자 선정 모듈; 및 상기 판매자 선정 모듈에서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하는 상품 판매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operative purchase of desired goods}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를 통한 상품 거래에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초창기의 전자상거래는 단순히 판매자가 자신의 웹사이트에 상품을 등록하고 상기 웹사이트에 방문한 구매자가 상기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단순한 형태였으나, 요즈음은 구매자들의 협력에 의한 공동구매 또는 포털 사이트 등을 이용한 가격비교 등으로 더 좋은 상품을 더 싼 가격에 구매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전자상거래를 통한 공동구매 등은 구매 희망자들이 어떠한 상품을 구매하기를 원하는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매자들 또한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공동구매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방법을 알면서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 무엇인지를 쉽게 드러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매 희망자들로부터 구매 희망 상품의 정보를 입력받고 다수의 구매 희망자들이 원하는 상품에 대하여 판매자 입찰을 통해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판매자와 상기 구매 희망자들을 연결함으로써, 구매 희망자들이 가장 원하는 상품을 가장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은, 1명 이상의 구매 희망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희망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 희망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희망 상품 등록 모듈; 상기 희망 상품 등록 모듈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상품 선정 모듈;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상품 선정 모듈에서 선정된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판매자 선정 모듈; 및 상기 판매자 선정 모듈에서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하는 상품 판매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희망 상품 등록 모듈은, 상기 구매 희망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정보를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목록을 상기 구매 희 망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상품 목록 중 상기 구매 희망자가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선택값을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구매 희망 상품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희망 상품 정보는, 상기 희망 상품의 상품명, 상품 설명, 카테고리, 상품 사진, URL, 동영상 또는 소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는 상기 구매 희망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품 선정 모듈은, 특정 희망 상품을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품 선정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희망 상품 중,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자 선정 모듈은,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예상 구매 희망자 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자 선정 모듈은,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구매 희망자의 수가 속한 구간에서 가장 낮은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판매 모듈은,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 개시를 통지할 수 있다.
한편 또한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 및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실제 상품 구매율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선정된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통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방법은,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1명 이상의 구매 희망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희망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입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 상품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매 상품 선정 단계는, 특정 희망 상품을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특정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 상품 선정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희망 상품 중,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매 상품 선정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는 단계의 수행 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상품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상품에 대한 예상 구매 희망자 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매자 선정 단계는, 상기 희망 상품 정보 입력 단계에서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가 속한 구간에서 가장 낮은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 판매 단계는,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 개시를 통지하 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방법은, 상기 상품 판매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실제 상품 구매율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선정된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매 희망자들로부터 다수의 구매 희망자들이 원하는 상품이 무엇인지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상품에 대하여 판매자 입찰을 통해 가장 낮은 가격을 제시한 판매자와 상기 구매 희망자들을 연결함으로써, 구매 희망자들이 가장 원하는 상품을 가장 낮은 가격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이 포함된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은 네트워크(102)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구매 희망자 단말(104), 구매자 단말(106) 및 판매자 단말(108)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102)는 유, 무선 인터넷 통신망 또는 무선 휴대 통신망 등,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말이란 개인용 컴퓨터, 랩탑, 휴대폰, PDA 등의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모든 종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의미한다.
구매 희망자 단말(104)은 특정 상품의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희망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상기 구매 희망자는 구매 희망자 단말(104)를 통하여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의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구매 희망 상품 정보의 등록은, 예를 들어 상기 구매 희망자가 직접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 설명, 카테고리 또는 상품 사진 등을 직접 등록함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구매 희망자가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품 목록 중에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희망 상품을 등록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목록은 타 구매 희망자로부터 등록되어 희망 상품 공동구 매 시스템(100)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상기 판매자에 의하여 등록될 수도 있다.
구매자 단말(106)은 상품을 구매하려는 구매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상기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06)을 통하여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서 현재 판매중인 상품을 구매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희망자 단말(104) 및 구매자 단말(106)은 그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 것일 뿐이며,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단말이 구매 희망자 단말(104) 및 구매자 단말(106)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이 중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사용자가 희망 상품을 등록한 후, 상기 희망 상품이 판매되는 시점에서 상기 희망 상품을 구매한 경우에는 동일한 단말이 희망 상품 등록 시점에서는 구매 희망자 단말(104), 상품 구매 시점에서는 구매자 단말(106)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반드시 사용자는 반드시 등록한 희망 상품만을 구매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희망 상품을 등록만 할 수도 있고, 판매중인 상품을 구매만 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각각의 수행 기능에 따라 해당 단말기 구매 희망자 단말(104) 또는 구매자 단말(106) 중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판매자 단말(108)은 상품을 판매하려는 판매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다. 상기 판매자는 구매 희망자 단말(104)을 통하여 등록된 희망 상품 및 각각의 희망 상품 별 구매 희망자 수에 대한 정보를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 받고, 이 중 자신이 판매하려는 상품에 대한 판매 희망 가격을 등록한다. 또한 상기 판매자는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 의하여 자신이 등록한 상품의 판매 자로 선정되면, 해당 상품을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구매자들에게 판매하게 된다.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은 전술한 구매 희망자, 구매자 및 판매자를 연결하여 희망 상품을 등록 받고 다수의 구매 희망자가 등록한 희망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구매 희망자로부터 희망 상품을 입력 받고, 상기 희망 상품들 중 다수의 구매 희망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판매 희망 가격을 하나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입력 받은 뒤, 상기 판매자 중 가장 낮은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와 상기 희망 상품의 구매자와의 상품 판매를 중계한다. 이와 같은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 대한 상세 구성은 이하의 도 2에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은,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 데이터베이스(202), 상품 선정 모듈(204), 판매자 선정 모듈(206), 상품 판매 모듈(208) 및 통계 모듈(210)을 포함한다.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구매 희망자 단말(104)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상품(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입력 받는다. 상기 구매 희망 상품의 정보는 구매 희망 상품의 상품명, 상품 설명, 카테고리, 상품 사진, URL, 동영상 또는 소리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 희망 상품 정보의 등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의 구매 희망자가 상기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을 통하여 구매 희망자 단말(104)에 출력된 상품 목록 중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매 희망자가 도 3의 상품 리스트를 보고 구매를 원하는 상품 오른쪽의 "공구희망"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상품이 상기 구매 희망자의 구매 희망 상품으로 등록된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 희망자가 직접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의 상품명, 상품 설명, 카테고리 또는 상품 사진 등을 직접 등록하는 방식으로 희망 상품을 등록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품 리스트는 타 구매 희망자로부터 등록될 수도 있으며, 판매자로부터 등록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의 정보를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에 등록하고, 상기 구매 희망자는 상기 판매자로부터 등록된 상품 리스트로부터 자신이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구매 희망 상품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은 구매 희망 상품과 함께 상기 구매 희망 상품을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 희망자의 정보는 상기 구매 희망자의 이메일(e-mail) 계정, 전화 번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는 미투데이, 트위터 등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아이디, 싸이월드 또는 여타 블로그 또는 개인 웹페이지 서비스의 사용자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매 희망자의 정보를 입력 받게 되면, 추후 상기 구매 희망자가 등록한 구매 희망 상품이 실제로 판매 개시될 경우, 상기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상 품의 판매 개시 사실을 이메일 또는 휴대폰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전송하여 상기 구매 희망자가 구매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구매 희망자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를 등록한 경우, 상기 상품이 판매 개시된 경우 상기 구매 희망자가 등록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상품의 판매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상품의 판매 개시 여부 뿐 아니더라도, 각종 이벤트 또는 마케팅 등에 상기 구매 희망자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베이스(202)에는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을 통하여 입력된 구매 희망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가 저장된다.
상품 선정 모듈(204)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한다.
상기 판매 상품의 선정은,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된 희망 상품 별 구매 희망자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값(예를 들어 100명) 이상일 경우 해당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특정 상품을 희망하는 구매 희망자의 수가 일정 수 이상이 되어야 대량 구매에 따른 가격 할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므로, 상품 선정 모듈(204)은 각 희망 상품 별 구매 희망자의 수를 각각 계산하고 구매 희망자가 기 설정된 값을 넘는 경우에만 이를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값은 상품의 종류, 특성 또는 상품의 가격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판매 상품의 선정은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된 상기 희망 상품 중,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즉,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희망 상품은 그 만큼 실제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품 선정 모듈(204)은 이를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판매자 선정 모듈(206)은, 상품 선정 모듈(204)에서 선정된 판매 상품에 대하여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고,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한다.
판매자 선정 모듈(206)은 상기 판매자들로부터 상품의 판매 수량과 관계 없이 상품의 판매 가격만을 입력 받고, 이 중 가장 낮은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자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판매자 선정 모듈(206)은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예상 구매 희망자 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구분 1~10명 ~50명 ~100명 ~500명 ~1000명 ~5000명
판매자1 100,000 90,000 85,000 80,000 65,000 63,000
판매자2 80,000 75,000 73,000 70,000 70,000 65,000
판매자3 80,000 74,000 72,000 71,000 69,000 68,000
즉, 표 1에서 상품의 예상 구매자 수는 1~10명, 11~50명, 51~100명 등과 같이 구분되며, 각각의 판매자는 상기 구간별로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판매자1의 51~100명 구간의 판매 희망 가격은 85,000원, 판매자 2의 101~500명 구간의 판매 희망 가격은 70,000원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판매 희망 가격이 입력된 경우, 판매자 선정 모듈(206)은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를 데이터베이스(202)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구매 희망자의 수가 속한 구간에서 가장 낮은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 기재된 상품의 최종 구매 희망자 수가 80명일 경우, 80명이 속한 구간 즉 50~100명 구간에서 가장 낮은 가격을 입찰한 판매자, 즉 판매자3을 상기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한다. 이때, 만약 상기 표 1에 기재된 상품의 최종 구매 희망자 수가 200명이라면, 100~500명 구간의 가장 낮은 가격을 입찰한 판매자, 즉 판매자2가 상기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된다.
이와 같이 구매 희망자의 수에 따라 판매 가격을 입력 받고 판매자를 선정하게 되면, 판매자는 해당 상품의 수급 및 공급 물량에 따라 적절한 가격을 입찰할 수 있고, 또한 각 구간별로 최저가를 입찰한 판매자가 선정되므로 구매자 또한 최대한 낮은 가격으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품 판매 모듈(208)은 판매자 선정 모듈(206)에서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한다. 이때, 상품 판매 모듈(208)은 단순히 상기 판매자와 구매자를 온라인상에서 연결시켜주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판매자로부터 상품을 공급받아 상품 판매 모듈(208)에서 직접 구매자에게 상품을 공급하고 상기 판매자에게 판매 금액을 정산하는 방식으로 판매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품 판매와 관한 사항은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에서의 상품 판매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품 판매 모듈(208)은,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가 개시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 개시를 통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희망 상품의 판매 개시 사실을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으로 통지할 경우 구매 희망자로 등록한 사용자가 실제 상품을 구매한 비율, 즉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의 판매는 특정한 기간 없이 계속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을 정해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상품에 대하여 12시간 또는 24시간 등의 판매 기간을 정해 두고 각 상품에 대하여 판매 종료시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해 줌으로써 구매자들이 해당 기간에만 상품을 구매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품 판매 기간을 특정할 경우 구매자들에게 "이 시간이 지나면 해당 상품을 싸게 살 수 없다"는 인식을 심어 주어 상품의 구매율을 높일 수 있다.
통계 모듈(210)은 데이터베이스(202)에 저장된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구매 희망자들이 어떠한 상품을 희망하는지 또는 특정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자들은 어떠한 사람들인지 등에 관한 통계 정보를 상기 판매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통계 정보는, 예를 들어 특정 구매 희망 상품에 대한 구매 희망자들의 연령, 성별 정보, 과거의 구매 정보를 이용한 구매 전환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모듈(210)은,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가 종료된 이후,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실제 상품 구매율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선정된 판매자에게 전송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선정된 판매자는 상품의 구매 희망자 수와 실제 구매자 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상품의 판매 시 어느 정도의 비율로 판매가 이루어질 지를 예측할 수 있어 이를 판매 가격의 입찰 전략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통계 모듈(210)은 이 외에도 구매자가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 접속한 이후 상품 설명을 보고 얼마만에 상품을 구매하는지, 특정 구매자의 상품 구매 주기는 얼마인지, 상품 판매가 많이 일어나는 가격대는 얼마 정도인지 등의 각종 통계 정보들을 계산하고 이를 판매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판매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은 별도의 퍼가기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퍼가기"란 네트워크상에 기재된 내용을 사용자가 자신의 블로그 등에 복사하여 게재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매자 또는 구매 희망자 또는 그 밖의 사용자는 데이터베이스(202)에서 현재 구매 희망 상품으로 등록된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의 목록을 상기 퍼가기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의 블로그 또는 웹 페이지 등으로 "퍼가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로그 또는 웹 페이지를 방문한 사용자가 게재된 구매 희망 상품의 목록을 클릭하면 바로 희망 상품 등록 모듈(200)로 이동하게 되므로, 구매 희망자가 자신의 블로그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하여 자신이 희망하는 상품을 자신의 블로그 또는 웹 페이지 방문자에게 홍보하고 희망 상품 등록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서의 희망 상품 공동구매 방법(7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1명 이상의 구매 희망자로부터 구매를 원하는 희망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를 입력 받는다(702). 상기 구매 희망 상품의 등록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 희망자가 자신의 단말에 출력된 상품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거나, 직접 상품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는, 상기 구매 희망자의 이메일 계정, 전화 번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입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한다(704).
상기 판매 상품의 선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된 희망 상품 별 구매 희망자의 수가 기 설정된 소정값 이상일 경우 해당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2)에 등록된 상기 희망 상품 중,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 상품 선정 단계에서 선정된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고(706), 상기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한다(708).
상기 판매 희망 가격 입력 및 판매자의 선정은, 상기 판매자들로부터 상품의 판매 수량과 관계 없이 상품의 판매 가격만을 입력 받고, 이 중 가장 낮은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자로 선정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예상 구매 희망자 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은 뒤 최종 구매 희망자의 수가 속한 구간에서 최저가를 제시한 판매자를 선정하는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704 단계의 수행 후 및 706 단계의 수행 전, 입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판매자가 선정되면, 다음으로 상기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한다(710).
상기 상품의 판매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기간 없이 계속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을 정해 두고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특정 상품에 대하여 12시간 또는 24시간 등의 판매 기간을 정해 두고 각 상품에 대하여 판매 종료시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해 줌으로써 구매자들이 해당 기간에만 상품을 구매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10 단계의 수행 시,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 개시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희망 상품의 판매 개시 사실을 이메일, 문자메시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으로 통지할 경우 구매 희망자로 등록한 사용자가 실제 상품을 구매한 비율, 즉 구매 전환율을 높일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또한, 상기 710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실제 상품 구매율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선정된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방법들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이 포함된 전체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된 상품 목록 중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의 정보를 입력 받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 희망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판매 중인 상품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100)에서의 희망 상품 공동구매 방법(700)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Claims (19)

1명 이상의 구매 희망자로부터 상품명, 상품 설명, 카테고리, 상품 사진, URL, 동영상, 소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희망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매 희망자 정보를 입력받는 희망 상품 등록 모듈;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상품 선정 모듈;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상품 선정 모듈에서 선정된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판매자 선정 모듈; 및
상기 판매자 선정 모듈에서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하는 상품 판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희망 상품 등록 모듈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구매 희망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목록을 상기 구매 희망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상품 목록 중 상기 구매 희망자가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선택값을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희망 상품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상품 선정 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희망 상품 중, 상기 구매 희망자 수가 기 설정된 소정값 이상인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하거나, 또는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하며,
상기 판매자 선정 모듈은,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예상 구매 희망자 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으며,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구매 희망자의 수가 속한 구간에서 가장 낮은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하는,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 모듈은,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 개시를 통지하는,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상기 구매 희망자 정보 및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실제 상품 구매율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선정된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통계 모듈;
을 더 포함하는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1명 이상의 구매 희망자로부터 상품명, 상품 설명, 카테고리, 상품 사진, URL, 동영상, 소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희망 상품 정보 및 상기 구매 희망자의 이메일, 전화번호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아이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매 희망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입력된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계산하고, 계산된 상기 희망 상품별 구매 희망자 수를 비교하여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단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상기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단계에서 선정된 상품의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1명 이상의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판매 희망 가격을 비교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를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에서, 상기 선정된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희망 상품 정보 및 구매 희망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정보를 상기 구매 희망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판매자가 등록한 상품 목록을 상기 구매 희망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상품 목록 중 상기 구매 희망자가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선택값을 입력받음으로써 상기 희망 상품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희망 상품 중, 상기 구매 희망자 수가 기 설정된 소정값 이상인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하거나, 또는 구매 희망자 수가 많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희망 상품을 판매 상품으로 선정하며,
상기 판매자를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예상 구매 희망자 수를 소정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구간별로 상기 판매자로부터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 받으며,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수가 속한 구간에서 가장 낮은 판매 희망 가격을 입력한 판매자를 상기 선정된 상품을 판매할 판매자로 선정하는, 희망 상품 공동구매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를 중계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상품에 대한 판매가 개시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 희망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에게 상기 선정된 상품의 판매 개시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희망 상품 공동구매 방법.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를 중계하는 단계의 수행 이후, 상기 선정된 상품을 희망 상품으로 등록한 구매 희망자의 실제 상품 구매율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상기 선정된 판매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희망 상품 공동 구매 방법.
제11항, 제17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90105253A 2009-11-03 2009-11-03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08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5253A KR101085058B1 (ko) 2009-11-03 2009-11-03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0/006575 WO2011055907A2 (ko) 2009-11-03 2010-09-28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5253A KR101085058B1 (ko) 2009-11-03 2009-11-03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611A KR20110048611A (ko) 2011-05-12
KR101085058B1 true KR101085058B1 (ko) 2011-11-18

Family

ID=4397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105253A KR101085058B1 (ko) 2009-11-03 2009-11-03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5058B1 (ko)
WO (1) WO201105590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338A (ko) 2018-12-18 2020-06-26 (주)이노가드 공동주택의 공동구매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40B1 (ko) * 2012-03-28 2014-06-11 안종오 스마트단말의 홈스크린 바탕화면에 대한 원격 직접제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구매성향 기반의 프레스티지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3150664A (zh) * 2013-02-27 2013-06-12 江苏乐买到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网络购物的方法
CN109711936A (zh) * 2018-12-25 2019-05-03 福建破缸茶业发展有限公司 一种茶业平台交易算法和装置
KR102299060B1 (ko) * 2020-07-20 2021-09-07 (주)투게더앱스 공동 구매 자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9153B1 (ko) * 2022-05-23 2022-09-02 주식회사 스페이스마켓 중고폰 구매 및 판매 자동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067B1 (ko) * 2000-03-22 2006-11-30 (주)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공동 구매 서비스 방법
KR20010096299A (ko) * 2000-04-18 2001-11-07 손 경 식 인터넷상의 사전 투표에 의한 공동 구매 방법
KR20050077837A (ko) * 2004-01-28 2005-08-04 허재욱 온라인 상에서의 물건중개 관리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90022083A (ko) * 2007-08-29 2009-03-04 (주)엔타즈 공동구매와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338A (ko) 2018-12-18 2020-06-26 (주)이노가드 공동주택의 공동구매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8611A (ko) 2011-05-12
WO2011055907A3 (ko) 2011-07-21
WO2011055907A2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3609B2 (en) Geospatially constrained gastronomic bidding
JP6273168B2 (ja) 決定装置、決定方法および決定プログラム
US201001798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incentive based group discount pricing in online stores
JP5982310B2 (ja) 販売促進システム、サーバ装置、販売促進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20749B2 (en) Customized offers for E-commerce
US20140344080A1 (en) E-commerce via web banners
KR101085058B1 (ko) 희망 상품 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US8468062B1 (en) Multiple party order coordination method and system
KR101966009B1 (ko)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을 통한 리셀링 플랫폼 시스템
KR101520145B1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06165A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에서 상품들의 통합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82244B1 (ko) 구매자의 소개를 이용한 소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29064A (ko) 고객 관심상품 흥정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737424B1 (ko) 사용자의 구매 및 참여 가능성에 기반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80004952A (ko) 잠정 구매자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장치
KR20200097544A (ko) 리셀러들을 위한 콘텐츠 큐레이션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US20140278964A1 (en) Post-checkout offe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7095021B2 (ja) 提示装置、提示方法および提示プログラム
TW201537489A (zh) 結合紅利行銷之個人網頁之系統及其方法
JP6756809B2 (ja) 提示装置、提示方法および提示プログラム
KR20150041813A (ko) 경매 방법 및 경매 서버
KR101796212B1 (ko) 잠정 구매자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장치
KR100907220B1 (ko) 개인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 입찰 방법
KR20140086936A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에서 제휴 마케팅 서비스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529646B (zh) Online marketing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do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