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089A -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089A
KR20130109089A KR1020137000451A KR20137000451A KR20130109089A KR 20130109089 A KR20130109089 A KR 20130109089A KR 1020137000451 A KR1020137000451 A KR 1020137000451A KR 20137000451 A KR20137000451 A KR 20137000451A KR 20130109089 A KR20130109089 A KR 20130109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otenoid pigment
carotenoid
pigment
container
carot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488B1 (ko
Inventor
다케시 미우치
마사유키 니시노
Original Assignee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2Clouding agents; Agents to improve the cloud-st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Exudates, e.g. gum arabic, gum acacia, gum karaya or tragacan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8Colour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23L5/43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5/44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using naturally occurring organic dyes or pigmen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using carotenoids or xanthophy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22Emulsif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포함하는 음료 등의 액상 식품을 제조할 때에 발생하는, 제조 설비나 페트병 등의 용기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부착을 방지한다.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포함하는 액상 식품에 가티 검을 첨가한다.

Description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CAROTENOID DYE FROM ADHERING TO CONTAINER}
본 발명은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품의 착색에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색소가 이용되고 있다. 카로테노이드 색소는 유용성이며, 수용성 원료가 많이 사용되는 식품에서는 그대로 첨가하지 않고,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유화하거나, 미세한 고형 분산 상태로 첨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화한 제제는 열이나 pH의 영향을 받아서 유화가 붕괴되어, 유분의부유나 색조의 변화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화한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사용한 음료를 조제하는 경우, 음료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 살균이나 고온 충전, 용기 충전 후의 가온(뜨거운 음료)을 실시했을 때에 유화가 붕괴되어, 유용성인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음료 중에 용출하여 분리층이나 침전을 발생시켜서, 음료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사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음료에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첨가할 때에 열이나 pH로의 내성을 부여한 유화 제제를 조제하거나, 유화하지 않고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그대로 미립자화하여 음료 중에 분산시킨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유용성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미세화한 후, 수성 원료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수성 원료에 분산시킨 후에 미세화하는 적색 착색료(특허문헌 1), 유용성의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미세화한 후, 수성 원료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수성 원료에 분산시킨 후에 미세화하는 다홍색 착색료로 착색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특허문헌 2)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분산시키기 위해, 유화제, 증점 안정제 및 유화 안정 효과가 있는 식품 소재, 예를 들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대두 사포닌 등의 유화제 또는 활성제, 아라비아 검, 구아 검, 크산탄 검 등의 증점 안정제, 덱스트린, 가공 전분 등의 전분류, 카제인, 젤라틴 등의 단백질류 및 대두 식물 섬유 등의 유화 안정 효과를 갖는 식품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 카로테노이드 색소뿐만 아니라, 음료 등의 액상 식품에는 과즙이나 과포(fruit vesicles), 미세한 젤리, 마이크로겔 등이 균일하게 분산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의 액상 식품에 대해서도, 포함되는 성분의 침강ㆍ부유가 문제로 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계면 활성제, 유화제나 겔화제를 첨가하고, 고형 성분을 용매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미세화하는 방법이 취해져 있다.
예를 들면, 불용성 고형물을 포함하는 액상 식품에 있어서, 한천을 0.001∼0.5중량% 첨가하는 방법(특허문헌 3), 카로테노이드 색소와 대두 추출 섬유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분산 안정제를 함유하는 수분산성 카로테노이드 색소 제제(특허문헌 4), 프로필렌글리콜과 아라비아 검을 포함하는 미세화 고형물 분산 제제(특허문헌 5)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7―9018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9―8456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7―12393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평11―60980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개2004―267041호 공보
그런데 종래,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포함하는 음료 등의 액상 식품을 제조할 때에 제조용의 탱크나 배관이라는 제조 설비에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부착하거나, 또는 페트병 등의 용기에 충전하여 판매되고, 다 마신 후에 용기를 보면, 용기 내부에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부착해 있는 일이 있었다. 제조 설비로의 부착은 그 후의 세정에 수고가 들기 때문에 산업상 바람직하지 않고, 또, 페트병 등의 용기로의 부착은 외관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며, 또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섭취량의 감소라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액상물에 있어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분산 안정화에 관한 연구를 거듭하고 있던 바, 의외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분산 안정화제로서 가티 검(gum ghatti)을 사용했을 때에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이 현저히 억제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이하의 양태를 갖는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 1: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존재하는 계에 가티 검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에 있어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항 2: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α―카로틴(α―carotene), β―카로틴(β―carotene), 리코펜(lycopene), 아스타잔틴(astaxanthin), 칸타잔틴(canthaxanthin), 루테인(lutein), 제아잔틴(zeaxanthin), 크립토잔틴(cryptoxanthin), 갈조소(fucoxanthin), 캅산틴(capsanthin), 캅소루빈(capsorubin), 아포카로테날(apocarotenal), 빅신(bixin), 노르빅신(norbixin), 크로세틴(crocetin) 중 어느 1종 이상인 항 1에 기재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항 3:
카로테노이드 색소 1질량부에 대한 가티 검의 첨가량이 0.01∼100질량부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항 4:
카로테노이드 색소 및 가티 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상태로 용기로의 부착이 방지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항 5: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루테인, 제아잔틴, 크립토잔틴, 갈조소, 캅산틴, 캅소루빈, 아포카로테날, 빅신, 노르빅신, 크로세틴 중 어느 1종 이상인 항 4에 기재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항 6:
가티 검의 함유량이 카로테노이드 색소 1질량부에 대하여 0.01∼100질량부인 항 4 또는 5에 기재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항 7:
가티 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상태로 용기로의 부착이 방지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식품.
항 8: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루테인, 제아잔틴, 크립토잔틴, 갈조소, 캅산틴, 캅소루빈, 아포카로테날, 빅신, 노르빅신, 크로세틴 중 어느 1종 이상인 항 7에 기재된 용기로의 부착이 방지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식품.
항 9:
가티 검의 함유량이 카로테노이드 색소 1질량부에 대하여 0.01∼100질량부인 항 7 또는 8에 기재된 용기로의 부착이 방지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식품.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음료나 조미액 등의 액상 식품에 첨가할 때에 발생하는, 탱크나 배관 등의 제조 설비나 음료용 용기로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함유하는 음료에 있어서, 용기에 부착하는 카로테노이드 색소량을 줄임으로써 섭취할 수 있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해당 음료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도,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부착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뿐만 아니라 설비 세정의 부담 경감에도 유용하다. 나아가서는, 페트병과 같은 투명 용기에 충전한 경우, 용기 내면으로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이 향상된다.
도 1은 비교예 1을 충전하고, 내용물을 배출한 후의 페트병.
도 2는 실시예 4를 충전하고, 내용물을 배출한 후의 페트병
도 3은 왼쪽으로부터 빈 용기, 실시예 10을 충전한 용기, 비교예 9를 충전한 용기.
본 발명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부착 방지 방법은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존재하는 계에 가티 검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카로테노이드 색소로서는,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토마토 색소), 아스타잔틴(헤마토구균 조류 색소), 칸타잔틴, 루테인(금잔화 색소), 제아잔틴, 크립토잔틴, 갈조소, 캅산틴(파프리카 색소), 캅소루빈, 아포카로테날, 빅신, 노르빅신, 크로세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카로테노이드 색소는 천연품, 합성품 및 반합성품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카로테노이드 색소는 단독으로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로테노이드 색소는 카로테노이드 색소 이외의 고형 색소 성분인 카르민, 쿠르쿠민 등과 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상법에 의해 유화물이어도 좋고, 고형 상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미세화하여 얻은 분말이어도 좋다. 미세화 후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입자 직경은 0.01∼2㎛ 정도가 바람직하다.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첨가량은 제조하는 액상 식품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하면 좋고, 또, 첨가하는 목적에 따라서 증감 가능하다.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순도에도 따르지만, 구체적으로는, 음료의 착색 목적이면 0.00001∼1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1∼0.3질량부 정도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가티 검은 사군자과 가티노키(Anogeissus LatifoLia WALL.)의 줄기의 분비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다당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고, 증점 안정제(식품 첨가물)로서 공지의 검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티 검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고, 예를 들면,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 주식회사제의 가티 검 RD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티 검의 양은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농도(또는, 순도, 순품으로서의 양)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가티 검의 양으로서는 예를 들면, 순품으로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 1질량부에 대하여 0.01∼1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5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5∼30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티 검의 양이 0.01질량부 이하가 되면, 충분한 부착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가티 검의 양이 100질량부이면 부착 방지 효과는 충분히 발휘되어 있으며, 이 양을 넘어도 동일 효과의 더한층의 향상은 보이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에 있어서의 가티 검의 함량은 제제 전체에 대하여 1∼50질량%, 바람직하게는 1∼3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질량%이다.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존재하는 계에 가티 검을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우선, 카로테노이드 색소 및 가티 검을 함유하는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조제하고, 해당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존재하는 계에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조제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가티 검을 미리 용매에 용해시켜서 가티 검 용액을 조제하고, 가티 검 용액을 해당 분말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와 혼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티 검을 용해시키는 용매로서는, 생체에 이용되는 용매(예를 들면, 식품 제조, 의약품 제조, 또는 화장품 제조에서 이용되는 용매)로서,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용해하지 않는 용매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형태도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법에 의해 용해하여 유화 제제로 한 것을 사용해도 좋고, 수성 용매를 분산매로서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고형 상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미세화한 것을 사용해도 좋고, 또는 미리 미세화한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분산매에 첨가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상기 분산매로서는, 물(이온 교환수),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탄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 고형 상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미세화에는 종래 공지의 분쇄기, 유화기를 이용하면 좋고, 결과적으로 미세화 후의 입자 직경이 0.01∼2㎛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로테노이드가 존재하는 계로서는,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그 원료로서 포함하고, 최종적으로 또는 제조 단계에서(즉, 중간 제품으로서) 액상 상태(예, 수용액, 현탁액 등의 액상물)인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그 원료(예, 식품 첨가물, 첨가제)로서 포함하는 각종 액상의 식품, 영양 보조 식품,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착색 제품)을 들 수 있다.
액상의 식품(액상 식품)의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과즙 음료, 야채 음료, 탄산 음료 등의 음료류; 김치용 조미액, 채소 절임용 조미액, 불고기 소스, 햄ㆍ소시지 등의 축육 가공품용 조미액, 쌀과자용 조미액 등의 조미액; 그 밖에 젤리, 시럽, 젓갈, 중화 만두피 또는 만두소 등의 식품 또는 액제, 시럽제, 액상으로 혼합하여 분말화해서 얻어지는 과립제나 산제 등의 의약품; 화장수, 크림, 유액 등의 화장료를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조미액이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이루는 한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 색소와 가티 검에 추가하여 제품의 종류에 따라서 관용의 첨가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 식품의 경우, 증점 다당류, 향료, 색소, 산화 방지제, 보존 향상제, 보존료, 당류 등의 첨가물 외에, 과즙이나 과포, 미세화한 젤리나 마이크로겔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이들을 병용함으로써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포함하는 액상 식품의 미질이나 향기, 텍스쳐에 변화를 줄 수 있어서, 보다 기호성이 높은 액상 식품을 조제할 수 있다.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존재하는 계에 가티 검을 첨가하는 방법은 상기 액상 식품 등의 조제에 있어서, 가티 검,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제조 원료로서 배합하는 것만으로 좋고, 특별한 장치도, 조건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산업상도 유익하다.
본 발명에 의해 음료나 조미액이라는 액상 식품의 제조 시에 있어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탱크나 배관 등의 제조 장치로의 부착이 억제되고, 생산성 향상, 제조 장치의 세정 부담의 경감, 나아가서는, 페트병 등 용기로 충전 후에도 용기 내면에 부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기 좋은 음료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부착이 방지되는 대상물로서, 음식품의 최종 형태로서 이용되는 용기 외에,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함유하는 상기의 음식품 등을 제조할 때에 이용하는 설비 전반이 대상으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혼합용의 용기나 탱크, 배관 파이프, 교반층이나 교반기(프로펠러 등), 계량용의 용기, 살균 기기, 충전용 기구의 노즐 등 다방면에 걸친다. 이들 대상물의 소재는 유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 플라스틱(PET, PE, PP)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고, 음료용 용기로서 이용되는 종이 팩에 있어서도 부착 방지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 등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처방 중,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단위는 “질량%”로 한다.
하기의 처방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조제했다(실시예 1∼7). 처방 중, 실시예에 이용한 가티 검 및 비교예에 이용한 계면 활성제, 아라비아 검, 가공 전분, 젤라틴, 젤란 검을 “부착 방지제”라 부른다. 첨가량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표 1에 나타낸다.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의 조제>
ㆍ리코펜
조제 방법 1
결정의 리코펜 25g을 에탄올 225g에 첨가 혼합하고, 습식 파쇄기 다이노밀(WAB사제 다이노밀)을 이용하여 2시간 분쇄해서 리코펜 결정 분쇄물을 조제했다.
조제 방법 2
하기 표 1에 따라, 물에 가티 검 RD(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 주식회사제)를 배합하여 90℃로 과열 용해 후 냉각한 것에 리코펜 결정 분쇄물을 첨가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분산 균일화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조제했다.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SALD―2100 시마즈 제작소사제)로 측정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리코펜 결정 분쇄물 10 10 10 10 10 10 2
가티 검 0.01 0.1 1 5 20 30 20
89.99 89.9 89 85 70 60 78
평균 입자 직경
(D50)(㎛)

0.65

0.65

0.56

0.54

0.48

0.52

0.50
리코펜 함량(%) 1% 1% 1% 1% 1% 1% 0.2%
비교예 1:
착색료 제제 “리코펜 베이스NO. 34824(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리코펜 결정을 아라비아 검으로 분산한 제제. 리코펜 함유량 1질량%)
비교예 2:
착색료 제제 “리코펜 베이스NO. 35153(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리코펜 결정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분산한 제제. 리코펜 함유량 2.5질량%)
비교예 3:
상기의 리코펜 결정 분쇄물 100g을, 물 700g에 가공 전분(NSC사제, 퓨리티BE) 200g을 배합하여 용해한 것에 첨가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분산 균일화 처리하여 비교예 3의 제제를 조제했다. 비교예 3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SALD―2100 시마즈 제작소사제)로 측정한 바, 0.50㎛이었다. 리코펜 함량은 1질량%이었다.
비교예 4:
상기의 리코펜 결정 분쇄물 50g을, 물 900g에 젤라틴(젤라이스 주식회사, 젤라틴F―3578) 50g을 배합하여 용해한 것에 첨가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분산 균일화 처리하여 비교예 4의 제제를 조제했다. 비교예 4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SALD―2100 시마즈 제작소사제)로 측정한 바, 0.55㎛이었다. 리코펜 함량은 0.5질량%이었다.
비교예 5:
상기의 리코펜 결정 분쇄물 10g을, 물 988g에 젤란 검(CP KELCO사제, 켈코겔LT―100) 2g을 배합하여 용해한 것에 첨가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분산 균일화 처리하여 비교예 5의 제제를 조제했다. 비교예 5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SALD―2100 시마즈 제작소사제)로 측정한 바, 0.65㎛이었다. 리코펜 함량은 0.1질량%이었다.
ㆍβ―카로틴
실시예 8:
결정의 β―카로틴 25g을 프로필렌글리콜 225g에 첨가 혼합하고, 습식 파쇄기 다이노밀(WAB사제 다이노밀)을 이용하여 1시간 분쇄해서 카로틴 결정 분쇄물을 조제했다. 물 750g에 가티 검 RD(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 150g을 배합하여 90℃로 과열 용해 후 냉각한 것에 카로틴 결정 분쇄물 100g을 첨가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분산 균일화 처리하여 실시예 8의 제제를 조제했다. 얻어진 실시예 8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SALD―2100 시마즈 제작소사제)로 측정한 바, 0.45㎛이었다. β―카로틴 함량은 1질량%이었다.
비교예 6:
물 740g에 아라비아 검 250g을 배합하여 용해했다. 여기에 β―카로틴 결정10g을 첨가 혼합하고, 습식 파쇄기 다이노밀(WAB사제 다이노밀)을 이용하여 1시간 분쇄해서 비교예 6의 제제를 조제했다. 비교예 6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SALD―2100 시마즈 제작소사제)로 측정한 바, 0.48㎛이었다. β―카로틴 함량은 1질량%이었다.
ㆍ아스타잔틴
실시예 9:
물 700g에 가티 검 RD((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 150g을 배합하여 90℃로 과열 용해 후 냉각한 것에 헤마토구균 조류 색소(아스타잔틴 함량 10질량%) 50g,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100g을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5분간 혼합했다. 이 액을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3회 유화하여 유화 조성물(실시예 9)을 조제했다. 이 실시예 9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마이크로트랙MT―3000II(Microtrac INC. 제)으로 측정한 바, 0.55㎛이었다. 또, 아스타잔틴 함량은 0.5질량%이었다.
비교예 7:
물 650g에 아라비아 검((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 슈퍼 검 EM2) 200g을 배합하여 90℃로 과열 용해 후 냉각한 것에 헤마토구균 조류 색소(아스타잔틴 함량 10질량%) 50g,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100g을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5분간 혼합했다. 이 액을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3회 유화하여 유화 조성물(비교예 7)을 조제했다. 이 비교예 7의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마이크로트랙MT―3000II(Microtrac INC. 제)으로 측정한 바, 0.53㎛이었다. 아스타잔틴 함량은 0.5질량%이었다.
비교예 8:
물 650g에 데카글리세린 올레인산 에스테르 150g을 배합하여 90℃로 과열 용해 후 냉각한 것에 헤마토구균 조류 색소(아스타잔틴 함량 10질량%) 50g,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100g을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기에서 5000rpm으로 5분간 혼합했다. 이 액을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3회 유화하여 유화 조성물(비교예 8)을 조제했다. 이 비교예 8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마이크로트랙MT―3000II(Microtrac INC. 제)으로 측정한 바, 0.15㎛이었다. 아스타잔틴 함량은 0.5질량%이었다.
<음료의 조제 방법>
앞서 조제한 실시예 1∼9 및 비교예 1∼8의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0.1질량%로 되도록 희석하고, 하기 조성의 음료를 조제했다.
(조성)
과당 포도당 액당(Brix75) 13.3(g)
시트르산(무수) 0.2
시트르산3나트륨 0.08
비타민C 0.02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1.15
이온 교환수 85.25
합계 100
이온 교환수에 시트르산(무수), 시트르산3나트륨, 비타민C를 추가하고, 교반 용해하여 과당 포도당 액당,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첨가했다. 93℃ 도달 온도에서 살균하고, 500㎖ 페트병에 500g 고온 충전했다.
<평가 방법>
실제의 음료가 제조되어 시장에 유통되는 상황을 상정하고, 다음의 조건에 의한 시험을 실시하여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부착의 정도를 측정했다.
(1) 진탕 시험: 조제한 음료를 세로로 놓고, 140스트로크, 12시간 진탕했다.
(2) 수송 시험: 조제한 음료를 트럭 수송으로 오사카―도쿄 간을 왕복했다.
(3) 통기 시험: 3L스테인레스 병에 2L음료를 충전하고, 93℃ 도달 온도 후 87℃까지 온도를 내려서 통기량 1.8L/Min, 1시간 통기했다.
<부착량 측정>
상기 시험을 거친 각 음료를 용기로부터 배출하고, 물 20㎖로 헹구어낸 후, 60℃에서 건조했다. 헥산을 첨가하면서 부착한 카로테노이드 색소를 용해하고, 황산나트륨을 추가하여 탈수 후, 면전(cotton plug) 여과하고, 증발기에서 농축했다.
<리코펜의 측정>
얻어진 농축물을 헥산으로 10㎖로 희석한 액을, 헥산을 대조로 하여 470㎚ 부근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리코펜의 부착량을 산출했다(리코펜 흡광 계수(1%, 1㎝)=3450).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리코펜 부착량(㎍/1개)=(흡광도 A×104×희석량(㎖)/3450)
<β―카로틴의 측정>
얻어진 농축물을 시클로헥산으로 10㎖로 희석한 액을, 시클로헥산을 대조로 하여 450㎚ 부근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β―카로틴의 부착량을 산출했다(β―카로틴 흡광 계수(1%, 1㎝)=2500).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β―카로틴 부착량(㎍/1개)=(흡광도 A×104×희석량(㎖)/2500)
<아스타잔틴의 측정>
얻어진 농축물을 아세톤으로 10㎖로 희석한 액을, 478㎚ 부근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아스타잔틴 부착량을 산출했다(아스타잔틴 흡광 계수(1%, 1㎝)=2100).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아스타잔틴 부착량(㎍/1개)=(흡광도 A×104×희석량(㎖)/2100)

색소 부착 방지제 진탕 시험
(1)
수송 시험
(2)
통기 시험
(3)
부착량
(㎍/개)
부착량
(㎍/개)
부착량
(㎍/2L)
실시예 1 리코펜 1% 가티 검 0.01% 7 5.2 75
실시예 2 리코펜 1% 가티 검 0.1% 3 1.6 36
실시예 3 리코펜 1% 가티 검 1% 1.2 1.1 18.7
실시예 4 리코펜 1% 가티 검 5% 0.6 0.4 12
실시예 5 리코펜 1% 가티 검 20% 0.5 0.3 9.1
실시예 6 리코펜 1% 가티 검 30% 0.7 0.6 7.1
실시예 7 리코펜 0.2% 가티 검 20% 0.9 0.8 10.1
실시예 8 β―카로틴 1% 가티 검 15% 0.8 0.6 9.6
실시예 9 아스타잔틴 0.5% 가티 검 15% 0.8 0.7 7.8
비교예 1 리코펜 1% 아라비아 검 27.5% 16 7.3 167
비교예 2 리코펜 2.5%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1% 9.4 6.3 89.1
비교예 3 리코펜 1% 가공 전분 20% 25.4 16.4 334
비교예 4 리코펜 0.5% 젤라틴 5% 24.2 21.2 354
비교예 5 리코펜 0.1% 젤란 검 2% 20.3 19.9 280
비교예 6 β―카로틴 1% 아라비아 검 25% 21.2 16.7 210
비교예 7 아스타잔틴 0.5% 아라비아 검 20% 14.1 14.3 121
비교예 8 아스타잔틴 0.5% 데카글리세린 올레인산 에스테르 15% 10.6 6.8 105
<결과>
상기 처방 및 조제 방법에 기초하여 음료를 조제한 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티 검을 부착 방지제로서 사용한 것(실시예 1∼4)은 비교예 1∼8에 비해 부착량이 명백히 낮은 결과가 얻어졌다. 시각적으로도 조제 시에 사용한 스테인레스 병이나, 페트병 또는 스테인레스 병에 충전했을 때에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부착되는 일도 없었지만, 일반적인 계면 활성제(비교예 2, 8), 다당류(비교예 1, 3∼7)를 사용하여 조제한 음료에서는 용이하게 시인(視認)할 수 있을 정도로 부착이 발생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비교예 2나 8에서 사용한 계면 활성제(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는 유화제로서 음료 등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고, 유화력이나 유화 안정성이 우수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1의 아라비아 검이나 가공 전분, 젤라틴, 젤란 검은 유화나 증점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용기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부착을 억제한다는 관점에 있어서는, 전혀 그 효과가 얻어져 있지 않았다. 이로부터, 유화력이나 유화 안정성이 우수해 있다는 것과, 용기로의 부착 방지 효과가 있는 것은 상관 관계가 없고, 시사조차 되는 것은 아닌 것이 나타내어졌다.
<용기로의 충전 시험>
앞서 조제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4를 10질량% 농도가 되도록 물로 희석하여 하기와 같이 시험액을 조제했다.
과당 포도당 액당 13.3(g)
시트르산(무수) 0.2
시트르산3나트륨 0.08
비타민C 0.02
10질량%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1.15
이온 교환수 85.25
합계 100
상기 시험액을 10㎏ 조제하고 UHT살균기를 이용하여 120℃ 30초간 살균하고, 2L 페트병, 스테인레스 병 2L, 1L 종이 팩, 2L 비커로 옮겼다. 25℃ 이하로 냉각하고, 시험액을 용기로부터 배출하여 상기 부착량 측정 방법에 기초해서 색소의 부착량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료 용기의 종류 상태 부착량
(㎍/2L)
비교예 1 2L 페트병 페트병 상부에 색소의 부착을 인정한다 135.7
실시예 4 2L 페트병 거의 색소의 부착을 인정하지 않는다 12.9
비교예 1 스테인레스 병 2L 병 상부에 색소의 부착을 인정한다 122.6
실시예 4 스테인레스 병 2L 거의 색소의 부착을 인정하지 않는다 5.9
비교예 1 1L 종이 팩 종이 팩 상부에 색소의 부착을 인정한다 99.7
실시예 4 1L 종이 팩 거의 색소의 부착을 인정하지 않는다 10.9
비교예 1 2L 비커 비커 상부에 색소의 부착을 인정한다 96.2
실시예 4 2L 비커 거의 색소의 부착을 인정하지 않는다 3.5
표 3으로부터, 본원 발명에 관련되는 음료에 있어서만 용기의 소재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색소의 부착이 현저히 억제되어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비교예 1을 충전한 페트병 용기의 사진을 도 1에, 실시예 4를 충전한 페트병 용기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액상 식품의 예를 드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0 조미액의 조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조제 방법: 파프리카 색소(파프리카 추출 색소NO. 44489(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 300g을, 물 550g에 가티 검(가티 검 RD(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 150g을 배합하여 용해한 것에 첨가 혼합하고, 고압 균질기에서 압력 350㎏/㎠로 유화 처리하여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조제했다.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의 입도 분포를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마이크로트랙MT―3000II(Microtrac INC. 제)으로 측정한 바, 0.85㎛이었다. 색 농도는 30000CV이었다.
비교예 9
착색료 제제“파프리카 베이스NO. 34007(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사제)”(파프리카 색소를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 유화한 제제. 30000CV)
조미액 방법:
진간장 55
가공 전분(스타빌로즈K 마츠타니 화학사제) 6
물 38.3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0.7
합계 100
진간장과 물에 가공 전분(스타빌로즈K)을 90℃로 가열하고, 이어서 60℃로 냉각 후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를 첨가하고, 200㎖ 페트병에 충전했다.
6시간 정치 후 조미액을 배출하고, 페트병을 물 50㎖로 가볍게 헹구어서 세정한 후, 부착한 색소를 아세톤으로 회수하고, 아세톤을 대조로 하여 458㎚ 부근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 A로부터 색 농도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4에, 조미액을 꺼낸 후의 페트병의 형상을 도 3에 나타낸다.
조미액 중의 색농도 부착량 부착률
실시예 10 210 0.1 0.05%
비교예 9 210 7.0 3.43%
표 4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0에 있어서의 파프리카 색소의 부착이 현저히 억제되어 있었다. 이것은 도 3의 사진에서도 명백하다.
실시예 11 불고기 소스
A: 물 62
구아 검 0.3
B: 진간장 15
쿠킹 와인 5
진저 페이스트 1
갈릭 페이스트 1.5
토마토 페이스트 9
오니온 엑스 3
아미노산계 조미료 2.5
수크랄로스 0.008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실시예 10) 0.05
A의 각 성분을 혼합하여 80℃에서 10분간 가열했다. 그곳에 B의 전체 성분을 첨가하여 80℃에서 5분간 가열 후, 전량을 물로 100부로 조제했다. 투명 병 용기에 충전하고, 90℃에서 30분간 살균하여 불고기 소스를 조제했다. 내용물을 배출하여 헹구면, 색소의 부착이 억제되어 있었다.
실시예 12 김치 조미액
조미료(아미신 담구(묽은 간장) 주식회사 신신사제) 12(g)
과당 포도당 액당 12
양조초(산도 10%) 2.8
고추 분말(주식회사 케이ㆍ아이ㆍ에스사제) 2.2
L―글루타민산 나트륨 5.5
식염 3.5
크산탄 검 제제(산 에이스 산에이겐 에프ㆍ에프ㆍ아이 주식회사제)
0.3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실시예 10) 0.6
물로 합계 100
배추를 미리 준비하여 외측의 마른 잎을 제거하고, 1㎝ 정도의 크기로 재단하여 헹구어서 반으로 자르고, 식염 6중량%의 수용액에 하룻밤 담궈 둔 것에 상기 김치 조미액을 첨가 후, 투명 폴리에틸렌 용기에 충전, 밀폐하고, 냉장에서 10일간 절였다. 이 폴리에틸렌 용기를 개봉하여 내용물을 배출해서 헹구면, 색소의 부착이 억제되어 있었다.

Claims (9)

  1.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색소가 존재하는 계에 가티 검(gum ghatti)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물에 있어서의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α―카로틴(α―carotene), β―카로틴(β―carotene), 리코펜(lycopene), 아스타잔틴(astaxanthin), 칸타잔틴(canthaxanthin), 루테인(lutein), 제아잔틴(zeaxanthin), 크립토잔틴(cryptoxanthin), 갈조소(fucoxanthin), 캅산틴(capsanthin), 캅소루빈(capsorubin), 아포카로테날(apocarotenal), 빅신(bixin), 노르빅신(norbixin), 크로세틴(crocetin) 중 어느 1종 이상인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 색소 1질량부에 대한 가티 검의 첨가량이 0.01∼100질량부인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4. 카로테노이드 색소 및 가티 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상태로 용기로의 부착이 방지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루테인, 제아잔틴, 크립토잔틴, 갈조소, 캅산틴, 캅소루빈, 아포카로테날, 빅신, 노르빅신, 크로세틴 중 어느 1종 이상인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가티 검의 함유량이 카로테노이드 색소 1질량부에 대하여 0.01∼100질량부인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제제.
  7. 가티 검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상태로 용기로의 부착이 방지된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식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카로테노이드 색소가 α―카로틴, β―카로틴, 리코펜, 아스타잔틴, 칸타잔틴, 루테인, 제아잔틴, 크립토잔틴, 갈조소, 캅산틴, 캅소루빈, 아포카로테날, 빅신, 노르빅신, 크로세틴 중 어느 1종 이상인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식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가티 검의 함유량이 카로테노이드 색소 1부에 대하여 0.01∼100부인
    카로테노이드 색소 함유 식품.
KR1020137000451A 2010-06-08 2011-06-08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KR102049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0740 2010-06-08
JP2010130740 2010-06-08
PCT/JP2011/063159 WO2011155535A1 (ja) 2010-06-08 2011-06-08 カロテノイド色素の容器への付着防止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742A Division KR20180025992A (ko) 2010-06-08 2011-06-08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89A true KR20130109089A (ko) 2013-10-07
KR102049488B1 KR102049488B1 (ko) 2019-11-28

Family

ID=450981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51A KR102049488B1 (ko) 2010-06-08 2011-06-08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KR1020187005742A KR20180025992A (ko) 2010-06-08 2011-06-08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742A KR20180025992A (ko) 2010-06-08 2011-06-08 카로테노이드 색소의 용기로의 부착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16245B2 (ko)
EP (1) EP2580966B1 (ko)
JP (1) JP6004938B2 (ko)
KR (2) KR102049488B1 (ko)
CN (2) CN102933098B (ko)
ES (1) ES2718845T3 (ko)
WO (1) WO2011155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0427B2 (ja) * 2013-07-31 2017-11-2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ハムの着色方法
JP6521600B2 (ja) * 2013-10-02 2019-05-2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耐酸性を有するクチナシ色素製剤
JP6078043B2 (ja) * 2014-11-26 2017-02-08 長谷川香料株式会社 リコペン結晶の水分散性組成物
US10479906B2 (en) * 2015-09-18 2019-11-19 Oregon State University Use of fungal pigments from wood-staining fungi as colorants in wood finishes and paints
WO2018062554A1 (ja) 2016-09-30 2018-04-05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低分子ガティガム
JP6722209B2 (ja) * 2017-01-24 2020-07-15 長瀬産業株式会社 カロテノイド組成物、カロテノイド組成物の製造方法、カロテノイド組成物を生産する微生物
CN110709160B (zh) 2017-03-31 2022-12-27 三荣源有限公司 乳液组合物
WO2018199315A1 (ja) * 2017-04-28 2018-11-01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乳化組成物
TWI805745B (zh) * 2018-04-23 2023-06-21 日商三榮源F F I 股份有限公司 乳化組成物及其製造方法
JP7340411B2 (ja) * 2019-10-21 2023-09-07 神戸化成株式会社 色素製剤の製造方法
CN114786485A (zh) * 2019-10-21 2022-07-22 卡拉马祖控股股份有限公司 在腌制和发酵蔬菜应用中的光稳定的天然黄色着色剂体系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188A (ja) 1993-09-24 1995-04-04 Sanei Gen F F I Inc 赤色着色料の製造方法
JPH07123934A (ja) 1993-11-02 1995-05-16 Sanei Gen F F I Inc 不溶性固形物の分散法
JPH0984566A (ja) 1995-09-28 1997-03-31 Sanei Gen F F I Inc 飲料の赤橙色着色方法
JPH1160980A (ja) 1997-08-13 1999-03-05 Kagome Co Ltd 水分散性カロテノイド色素製剤
JP2004267041A (ja) 2003-03-06 2004-09-30 Sanei Gen Ffi Inc 微細化固形物分散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2930A (ja) * 2007-01-29 2008-08-14 Okuno Chem Ind Co Ltd 食品の粘着防止剤
WO2009147158A2 (en) * 2008-06-03 2009-12-10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of fat-soluble active ingredients containing gum ghatti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0807431T3 (da) * 1996-05-14 2004-07-26 Dsm Ip Assets Bv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carotenoidpræparater
DE60115431D1 (de) * 2000-05-31 2006-01-05 Pepsico Inc Verschmutzungsarme orange nahrungsmittelfarbstoffzusammensetzung
WO2007046333A1 (ja) * 2005-10-19 2007-04-26 San-Ei Gen F.F.I., Inc. 乳化剤およびそれを用いて調製される乳化組成物
PL1964479T3 (pl) * 2007-02-14 2013-09-30 Dsm Ip Assets Bv Sposób wytwarzania proszku zawierającego karotenoidy
US20110008502A1 (en) 2007-07-02 2011-01-13 San-Ei Gen F.F.I., Inc. Processed food composition containing dextrin
DK2224823T4 (da) * 2007-11-29 2022-02-21 Basf Se Pulverformet carotinoidmiddel til farvning af drikkevarer
JP4950105B2 (ja) 2008-03-14 2012-06-13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加工食品及び加工食品の食感改良方法
JP4409617B1 (ja) * 2008-12-04 2010-02-03 富士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ロテノイド色素の退色防止方法及びその容器体
JP5945224B2 (ja) * 2010-04-16 2016-07-05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クルクミンの風味のマスキ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188A (ja) 1993-09-24 1995-04-04 Sanei Gen F F I Inc 赤色着色料の製造方法
JPH07123934A (ja) 1993-11-02 1995-05-16 Sanei Gen F F I Inc 不溶性固形物の分散法
JPH0984566A (ja) 1995-09-28 1997-03-31 Sanei Gen F F I Inc 飲料の赤橙色着色方法
JPH1160980A (ja) 1997-08-13 1999-03-05 Kagome Co Ltd 水分散性カロテノイド色素製剤
JP2004267041A (ja) 2003-03-06 2004-09-30 Sanei Gen Ffi Inc 微細化固形物分散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2930A (ja) * 2007-01-29 2008-08-14 Okuno Chem Ind Co Ltd 食品の粘着防止剤
WO2009147158A2 (en) * 2008-06-03 2009-12-10 Dsm Ip Assets B.V. Compositions of fat-soluble active ingredients containing gum ghatt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5345A1 (en) 2013-05-09
WO2011155535A1 (ja) 2011-12-15
CN102933098B (zh) 2017-03-29
KR20180025992A (ko) 2018-03-09
EP2580966A4 (en) 2015-05-27
US11116245B2 (en) 2021-09-14
EP2580966B1 (en) 2019-02-20
JP6004938B2 (ja) 2016-10-12
CN102933098A (zh) 2013-02-13
ES2718845T3 (es) 2019-07-04
JPWO2011155535A1 (ja) 2013-08-01
EP2580966A1 (en) 2013-04-17
CN107006752A (zh) 2017-08-04
KR102049488B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245B2 (en) Method for preventing carotenoid pigment from adhering to container
US6190686B1 (en) Water dispersible compositions containing natural hydrophobic pigment,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their use
CN1173638C (zh) 由含高浓度类胡萝卜素的水分散性珠粒制备的对氧化稳定的β-胡萝卜素和其它类胡萝卜素水包油分散体
US10349670B2 (en) Method for masking curcumin flavor
JPWO2006030850A1 (ja) 脂溶性成分の可溶化物の調製方法
KR20150045445A (ko) 색상-조절된 β-카로텐 포뮬레이션
KR102581019B1 (ko) 유화 조성물
EP3295806A1 (en) Anthocyanin dye preparation
WO2018199315A1 (ja) 乳化組成物
JP2004208595A (ja) 経口組成物とその着色方法
TWI805745B (zh) 乳化組成物及其製造方法
JP2012228228A (ja) 油脂含有水溶性組成物及び飲食品
JPH07184614A (ja) 天然色素含有食品の褐変防止方法
WO2020027190A1 (ja) 固体分散組成物、粉末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飲食品等
JP2020048480A (ja) ルテイン含有組成物
KR20090090832A (ko) 카로테노이드 용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카로테노이드용액 및 유화액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8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227

Effective date: 201903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