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030A - 웹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웹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030A
KR20130109030A KR1020130017040A KR20130017040A KR20130109030A KR 20130109030 A KR20130109030 A KR 20130109030A KR 1020130017040 A KR1020130017040 A KR 1020130017040A KR 20130017040 A KR20130017040 A KR 20130017040A KR 20130109030 A KR20130109030 A KR 2013010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obbin
cutter
pressing memb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7335B1 (ko
Inventor
나오히사 니와
도시요시 이치카와
노리히토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제이텍트
Publication of KR2013010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8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web to the replacement web-roll core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8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web to the replacement web-roll core or spindle
    • B65H19/283Attaching the leading end of the web to the replacement web-roll core or spindle by applying adhesive to the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0Advancing webs by a feed band against which web is held by fluid pressure, e.g. suction or air bl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2Cantilev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9Supporting means for several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1Cutting handled material transversally to feed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2Slid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2Bidirectional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2Fuel cell manufa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web)의 단부(端部)를 보빈(bobbin)에 권취(卷取)할 수 있는 웹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웹 W를 권취 가능한 2개의 보빈(33, 43)과, 한쪽 보빈(33) 측과 다른 쪽 보빈(43) 측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송되는 웹 W를 절단하는 커터 T와, 반송되는 웹 W를 협지하도록 커터 T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2개의 보빈(33, 43) 사이를 커터 T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터 T와 함께 웹 W를 협압(狹壓)하여 절단하는 커터 받이 부재로서 기능하고, 절단 후의 웹 W의 절단단(切斷端)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웹 W의 절단단을 공(空) 보빈(33, 43)에 가압함으로써 웹 W의 절단단을 공 보빈(33, 43)에 권취하는 웹 가압 부재(66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웹 권취 장치{WEB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반송되어 온 웹(web)을 보빈(bobbin)에 권취(卷取)하는 웹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웹 권취 장치로서, 일본 특허 제2807857호 공보(특허 문헌 1) 및 일본 특허 제3506818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은, 2개의 보빈이 지지되는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고, 상기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만권(滿卷)된 보빈을 분리하면서, 그 사이에 반송되어 온 웹을 공(空) 보빈에 권취할 수 있다.
일본 특허 제2807857호 공보 일본 특허 제3506818호 공보
여기서, 특허 문헌 1의 장치는, 공 보빈에 웹을 권취하기 직전에, 커터에 의해 절단하고, 절단된 웹의 단부(端部)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웹의 단부를 보빈에 가압하는 것이다. 그러나, 공기의 분사에 의해 가압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웹의 단부를 보빈에 가압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장치는, 커터에 의해 웹을 절단한 후, 웹의 단부를 보빈에 권취할 때까지 웹을 반송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렇게 하면, 웹의 단부에 솔기(seam)나 느슨함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웹의 단부를 확실하게 보빈에 권취할 수 있는 웹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본 발명에 따른 웹 권취 장치는, 웹을 권취 가능한 2개의 보빈과, 한쪽 상기 보빈측과 다른 쪽 상기 보빈측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송되는 상기 웹을 절단하는 커터와, 반송되는 상기 웹을 협지(挾持)하도록 상기 커터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2개의 보빈 사이를 상기 커터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터와 함께 상기 웹을 협압(狹壓)하여 절단하는 커터 받이 부재로서 기능하고, 절단 후의 상기 웹의 절단단(切斷端)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웹의 절단단을 공 보빈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웹의 절단단을 상기 공 보빈에 권취하는 웹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청구항 2) 또한, 상기 2개의 보빈은, 각각의 중심축 주위의 동일 방향으로 자전(自轉)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커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 보빈에 상기 웹의 절단단을 권취할 때, 요동함으로써 상기 커터에 대하여 상기 공 보빈의 자전 방향의 위상 진행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청구항 3) 또한, 상기 커터는, 상기 보빈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보빈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웹 가압 부재를 상기 공 보빈에 근접한 소정 위치에서 상기 공 보빈 및 커터와 동기하여 자전시킴으로써,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상기 웹의 절단단을 유지하고, 이어서,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공 보빈으로 상기 웹의 절단단을 권취하도록 해도 된다.
(청구항 4) 또한, 상기 웹 권취 장치는, 상기 웹 가압 부재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웹 가압 부재에 함께 이동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웹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공 보빈으로 상기 웹의 절단단을 권취한 후에, 상기 공 보빈으로 상기 웹을 권취할 때에 상기 터치 롤러가 권취되는 상기 웹의 외주면을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청구항 5) 또한, 상기 웹 권취 장치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웹을 절단할 때의 분진(粉塵)을 흡인하는 분진 흡인 수단과, 상기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웹의 절단단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청구항 1) 본 발명의 웹 권취 장치에 의하면, 웹 가압 부재가, 커터 받이 부재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커터에 의해 웹을 절단하기 위해서는, 웹에 일정한 장력을 유지시킨 상태로 하는 수단이나, 또는 웹의 양면 중 커터 측의 배면측에 커터 받이 부재를 배치하는 수단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자의 커터 받이 부재를 사용하는 수단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웹 가압 부재를 커터 받이 부재로서 기능하게 함으로써, 웹 가압 부재는, 커터에 의해 절단된 웹의 절단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웹 가압 부재는, 지지한 웹을 공 보빈에 가압하는 기능도 가진다. 즉, 웹 가압 부재는, 웹의 절단단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웹의 절단단을 공 보빈에 가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웹의 절단단은, 웹 가압 부재에 의해, 공 보빈에 권취된다. 따라서, 공기 분사가 아니라, 웹 가압 부재에 의해 웹의 절단단을 공 보빈에 직접 가압하므로, 웹의 단부를 공 보빈에 확실하게 권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빈에 권취 웹의 단부에 솔기나 느슨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 여기서, 커터 및 웹 가압 부재가, 한쪽 보빈측과 다른 쪽 보빈측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웹은, 외부로부터 2개의 보빈 사이로 반송되어 와서, 어느 한쪽 보빈측으로 반송되어, 상기 보빈에 권취되게 된다. 그리고, 2개의 보빈의 자전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여, 웹을 권취할 수 있으면, 2개의 보빈에 권취되는 웹의 표면과 배면은 일치한다.
따라서, 2개의 보빈을 동일 방향으로 자전 가능하게 하면서, 공 보빈에 웹의 절단단을 권취할 때, 웹 가압 부재를 커터에 대하여 위상 진행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2개의 보빈에 권취되는 웹의 표면과 배면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웹 가압 부재를 커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커터와 웹 가압 부재를 각각 1개씩으로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보빈에 권취되는 웹의 표면과 배면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 커터 및 웹 가압 부재를 동기하여 자전시킴으로써, 웹을 절단했을 때의 웹 가압 부재에서의 웹의 절단단의 회전 위치로부터, 웹의 절단단을 공 보빈에 권취할 때의 웹 가압 부재에서의 웹의 절단단의 회전 위치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웹의 절단단이 공 보빈에 권취되기 전에, 웹 가압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웹의 절단단을 공 보빈에 확실하게 권취할 수 있다.
(청구항 4)
롤러가 웹 가압 부재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웹 가압 부재를 자전시킴으로써, 롤러가 웹 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 롤러가, 권취되는 웹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터치 롤러로서 기능한다. 즉, 웹 가압 부재를 자전시킨 직후부터, 롤러에 의해 웹의 외주면이 가압된다. 따라서, 보빈으로의 웹의 권취가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청구항 5) 동일한 펌프를 분진 흡인 수단과 웹의 유지 수단에 겸용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양 수단에 펌프의 흡인력을 사용함으로써, 웹 가압 부재의 구성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웹 권취 장치의 외관 정면도로서, 좌측 개폐 커버를 연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웹 권취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웹 권취 장치 중 외측 프레임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단, 도 4의 내측(도 3의 좌측)에 위치하는 보빈 및 외주 커버 등을 도시하지 않았다.
도 5는 도 3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커터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웹 가압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좌측 보빈으로의 권취를 종료하고, 웹 절단 접합 장치를 우측 보빈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다음 상태로서, 웹 절단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다음 상태로서, 웹 절단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 커터 부재와 웹 가압 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다음 상태로서, 웹 가압 부재에 의해 우측 보빈에 웹 절단단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11의 다음 상태로서, 웹 가압 부재에 의한 우측 보빈으로의 웹 단부의 가압 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동시에, 좌측 보빈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다음 상태로서, 터치 롤러에 의해 권취 부위에 대하여 가압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4의 다음 상태로서, 우측 보빈으로의 웹 권취 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다음 상태로서, 우측 보빈으로의 권취를 종료하고, 웹 절단 접합 장치를 좌측 보빈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다음 상태로서, 웹을 절단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7의 다음 상태로서, 웹 가압 부재에 의해 좌측 보빈에 웹 절단단을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의 다음 상태로서, 웹 가압 부재에 의한 우측 보빈으로의 웹 단부의 가압 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동시에, 우측 보빈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0은 도 19의 다음 상태로서, 터치 롤러에 의해 권취 부위에 대하여 가압 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의 다음 상태로서, 좌측 보빈으로의 웹 권취 종료 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웹 권취 장치의 적용 대상의 예)
본 실시예의 웹 권취 장치는, 예를 들면, 리튬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알루미늄박 등의 박막형의 시트를 롤형으로 형성한 것을 준비해 두고, 상기 시트를 권출(卷出) 장치에 의해 풀어내고, 도포 처리를 실시하고 건조시킨 후에 다시 롤형으로 권취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제조 공정 중에서, 시트를 롤형으로 권취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실시예의 웹 권취 장치를 적용한다. 즉, 웹 권취 장치는, 도포 건조 후에 반송되어 온 웹을 롤형으로 권취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웹 권취 장치는, 반송되어 온 웹을 축적하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또한 웹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웹을 권취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웹 권취 장치는, 리튬 전지의 제조를 예로 들었지만, 그 외에도 웹을 롤형으로 권취하기 위한 장치라면 적용할 수 있다.
(웹 권취 장치의 외관 구성)
본 실시예의 웹 권취 장치의 외관 구성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 권취 장치는, 전체 커버(1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전체 커버(10)는, 베드[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0)에 고정되는 고정 커버(11)와, 고정 커버(11)의 정면의 좌우 각각에 개폐 가능한 2개의 개폐 커버(12, 13)를 구비한다. 개폐 커버(12, 13)는, 롤형으로 권취된 웹 W를 인출할 때 열리고, 웹 W가 권취되어 있으면 닫혀져 있다. 도 1, 2에 있어서는, 좌측 개폐 커버(12)를 연 상태로 하고, 우측 개폐 커버(13)를 닫은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우측으로부터 웹이 반송되어 온다. 그래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되어 오는 웹을 내부에 넣기 위한 개구 창(11a)이 고정 커버(11)의 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웹 권취 장치의 내부 구성)
다음으로, 웹 권취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전체 커버(10)를 분리시킨 상태인 도 3∼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웹 권취 장치는, 제1 웹 지지 장치(30), 제2 웹 지지 장치(40), 반송 장치(50), 및 절단 접합 장치(60)를 구비한다.
제1, 제2 웹 지지 장치(30, 40)는, 지지 본체(31, 41)(베이스 플레이트), 회전심체(回轉芯體)(32, 42), 보빈(33, 43), 및 외주 커버(34, 44)를 구비한다. 지지 본체(31, 41)는, 베드(20) 중 정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의 좌우 각각에 세워져 설치된다. 지지 본체(31, 41)는, 베드(20)에 고정해도 되고, 베드(20) 상에 전후 방향[도 3의 지면(紙面)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해도 된다.
회전심체(32, 42)는, 각 지지 본체(31, 41)의 근처의 세로 벽면에 전후 방향 축 주위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심체(32, 42)는, 각각의 중심축 주위의 동일 방향(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자전한다. 각 보빈(33, 43)은, 각 회전심체(32, 42)에 착탈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반송되어 오는 웹 W를 권취한다. 즉, 보빈(33, 43)은, 각각의 중심축 주위의 동일 방향(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므로, 양 자의 웹 W의 권취 방향은 동일하게 도 3의 시계 방향이 된다. 또한, 보빈(33, 43)의 외주면의 일부분에는, 웹 W의 단부를 부착하기 위한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다.
외주 커버(34, 44)는, 각 지지 본체(31, 41)에 회전심체(32, 42)와는 독립적으로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외주 커버(34, 44)는, 보빈(33, 43)의 각각에 권취된 웹 W의 외주면의 일부를 덮고, 둘레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진다. 즉, 외주 커버(34, 44)는,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커버(34, 44)는 회전함으로써, 둘레 방향 개구부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와, 둘레 방향 개구부가 베드(20) 측(도 3의 하측)을 향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외주 커버(34, 44)의 외형은, 개폐 커버(12, 13)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반송 장치(50)는, 제1 반송 롤러 지지체(51)와, 제2 반송 롤러 지지체(52)와, 그리고 웹 W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51a, 51b, 52a∼52c)를 구비한다. 제1 반송 롤러 지지체(51)는, 베드(20) 상의 좌측단에 세워져 설치되고, 수직 방향 중앙부와 수직 방향 상단부에서 각각 반송 롤러(51a, 51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 반송 롤러 지지체(52)는, 베드(20) 상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세워져 설치되고, 수직 방향 상단부에서 반송 롤러(52a∼52c)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반송되어 온 웹 W는, 반송 롤러(51a), 반송 롤러(51b), 반송 롤러(52a), 반송 롤러(52b), 반송 롤러(52c)의 순서로 반송된다. 또한, 반송 롤러(51a, 51b, 52a∼52c)는 자유 회전 가능한 롤러로 한다. 또한, 특히, 반송 롤러(52b)는, 웹 W의 텐션 조정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제2 반송 롤러 지지체(52)에 대하여 약간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반송 롤러(51a, 51b, 52a∼52c)는, 자유 회전 가능한 롤러로 하고 있지만, 회전 구동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절단 접합 장치(60)는, 제1, 제2 웹 지지 장치(30, 4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고, 반송 장치(50)에 의해 외부로부터 제1, 제2 웹 지지 장치(30, 40)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반송되어 온 웹 W를, 보빈(33, 43)의 한쪽으로 반송한다. 또한, 절단 접합 장치(60)는, 보빈(33, 43) 중 한쪽이 만권될 경우에, 웹 W를 절단하고, 웹 W의 절단단을 보빈(33, 43) 중 다른 쪽으로 권취한다.
이 절단 접합 장치(60)는, 가이드 부재(61), 슬라이드체(62), 회전판(63), 도입 롤러(64),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을 구비한다. 가이드 부재(61)는, 베드(20) 상에 있어서, 지지 본체(31, 41)의 좌우 방향 중앙에 설치되고,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61a)을 가진다. 이 가이드 부재(61)는, 제2 반송 롤러 지지체(52)의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체(62)는, 가이드 부재(61)의 상면에, 레일(61a)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체(62)는, 한쪽 보빈(33) 측과 다른 쪽 보빈(43) 측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회전판(63)은, 슬라이드체(62)의 근처의 세로 벽면에 전후 방향 축 주위의 양 방향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입 롤러(64)는, 회전판(63)의 근처의 면에, 전후 방향 축 주위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도입 롤러(64)는, 반송 롤러(52c)로부터 반송되는 웹 W를 받아서, 보빈(33, 43)을 향해 웹 W를 반송하는 롤러이다.
커터 유닛(65)은, 회전판(63)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판(63)에 대하여 보빈(33, 43)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자전 구동 가능하다. 즉, 커터 유닛(65)은, 한쪽 보빈(33) 측과 다른 쪽 보빈(43) 측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커터 유닛(65)의 회전 중심은, 도 3에 있어서, 도입 롤러(64)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되어 있다. 커터 유닛(65)은, 커터 부재(65a), 제1 및 제2 롤러(65b 및 65c)를 구비한다.
커터 부재(65a)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원호형 볼록면을 가진다. 커터 부재(65a)의 원호형 볼록면은, 커터 유닛(65)의 시계 방향의 자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에 형성되어 있다. 커터 부재(65a)는, 원호 둘레 방향의 일단부(자전 방향 선단측) 부근에 웹 W를 절단하는 커터 T를 가진다. 이 커터 T는, 웹 W의 폭보다 길다. 제1, 제2 롤러(65b, 65c)는, 커터 부재(65a)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웹 가압 유닛(66)은, 회전판(63)에 지지되어 있고, 회전판(63)에 대하여 보빈(33, 43)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도 3의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 구동 가능하다. 즉, 웹 가압 유닛(66)은, 커터 유닛(65)과 함께, 한쪽 보빈(33) 측과 다른 쪽 보빈(43) 측과의 사이를 이동한다. 그리고, 웹 가압 유닛(66)의 회전 중심은, 도 3에 있어서, 도입 롤러(64) 및 커터 유닛(65)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웹 가압 유닛(66)은, 도입 롤러(64)로부터 반송되어 온 웹 W를 커터 유닛(65)과의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커터 유닛(65)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웹 가압 유닛(66)은, 웹 가압 부재(66a), 제1 및 제2 롤러(66b 및 66c)를 구비한다. 웹 가압 부재(66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원호형 볼록면을 가진다. 웹 가압 부재(66a)의 원호형 볼록면은, 웹 가압 유닛(66)의 반시계 방향의 자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볼록면에 형성되어 있다. 웹 가압 부재(66a)는, 원호 둘레 방향의 일단부(자전 방향 선단측) 부근에, 커터 T의 받이면으로서의 홈 D를 가지고 있다. 즉, 웹 가압 부재(66a)는, 커터 받이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웹 가압 부재(66a)의 원호형 볼록면은, 커터 부재(65a)의 원호형 볼록면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거나 또는 웹을 파지 가능할 정도의 근소한 간극을 개재시키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웹 가압 부재(66a)는, 커터 부재(65a)와 함께 웹 W를 협압하여, 커터 T에 의해 웹 W를 절단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웹 가압 부재(66a)는, 도입 롤러(64)에 대해서도 접촉 가능하거나 또는 웹을 파지 가능할 정도의 근소한 간극을 개재시키도록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웹 가압 부재(66a)에는, 홈 D 및 원호형 볼록면 각각에 복수의 펌프 흡입공 H1, H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펌프 흡입공 H1, H2는, 동일한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홈 D의 펌프 흡입공 H1은, 상기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웹 W의 절단 시의 분진을 흡인한다(분진 흡인 수단). 또한, 원호형 볼록면의 펌프 흡입공 H2는, 상기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절단된 웹 W의 절단단을 흡착하도록 유지한다(유지 수단). 물론, 홈 D의 펌프 흡입공 H1도, 분진 흡인 기능과 함께, 웹 W의 절단단의 유지 기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동일한 펌프를 분진 흡인 수단과 웹 W의 유지 수단에 겸용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양 수단에 펌프의 흡인력을 사용함으로써, 웹 가압 부재(66a)의 구성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웹 W의 절단단의 유지 기능으로서는, 상기 펌프에 의한 흡인력 외에, 정전기에 의한 흡인력,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정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커터 부재(65a)에 수지나 세라믹스 등의 도전율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고, 웹 가압 부재(66a)에 금속 등의 도전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웹 가압 부재(66a)는, 웹 W의 절단단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원호형 볼록면을 공 보빈(33, 43)에 가압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웹 W의 절단단이 공 보빈(33, 43)에 가압되어, 웹 W의 절단단이 공 보빈(33, 43)에 권취 개시된다.
웹 가압 유닛(66)의 제1, 제2 롤러(66b, 66c)는, 웹 가압 부재(66a)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롤러(66c)는, 웹 W를 보빈(33, 43)에 권취하고 있는 동안, 도입 롤러(64)로부터 보빈(33, 43) 측으로 반송되는 웹 W를, 보빈(33, 43)의 외주면 및 권취된 웹 W의 외주면에 대하여, 항상 일정한 각도로 권취되도록, 터치 롤러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도입 롤러(64),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은, 회전판(63)에 각각 자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63)을 양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커터 유닛(65)을 기준으로 볼 경우, 웹 가압 유닛(66)이 요동하는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웹 권취 장치에서의 웹 권취의 동작)
다음으로, 웹 권취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도 8∼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도 8∼도 10, 도 12∼도 21은, 일부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였다. 도 3의 상태를 초기 상태라고 한다. 여기서, 웹 권취 장치는, 공 보빈(33, 43)에 웹 W를 권취 개시하여, 상기 보빈(33, 43)에 웹 W를 만권 상태로 하는 동작(웹 권취 동작)과, 만권된 보빈(33, 43)을 분리하는 동작(보빈 분리 동작)이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웹 권취 동작을 설명한 후에, 보빈 분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웹 권취 장치에서의 웹 권취 동작)
도 3에 있어서는, 좌측 보빈(33)에 웹 W가 권취되고 있으며, 권취 종료 직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슬라이드체(62)가, 보빈(33, 43)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외주 커버(34, 44)는, 양 측의 둘레 방향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즉, 둘레 방향 개구부를 도입 롤러(64) 측으로 향하도록 위상이 결정되어 있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웹 W의 반송을 정지시키지 않고, 웹 W를 절단하고, 또한 우측의 공 보빈(43)에 절단한 웹 W의 단부를 권취하도록 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초기 상태로부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63)을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위상이 되도록 회전시켜,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을 우측 보빈(43) 측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슬라이드체(62)를 우측 보빈(43) 측으로 이동시켜,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을 우측 보빈(43)에 근접시킨다. 이 때, 웹 W는, 도입 롤러(64), 커터 유닛(65)의 제1 및 제2 롤러(65b 및 65c)에 의해, 보빈(33) 측으로 반송되고 있다.
여기서, 우측 보빈(43)은 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므로, 웹 가압 부재(66a)는, 우측 보빈(43)에 웹 W의 단부를 권취할 때, 커터 부재(65a)의 커터 T에 대하여 우측 보빈(43)의 자전 방향의 위상 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63)을 위치 결정한 상태에 있어서,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이 동기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웹 가압 부재(66a)의 원호형 볼록면과 도입 롤러(64)에 의해, 웹 W를 유지하는 상태로 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이 동기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각각 자전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웹 W는, 커터 부재(65a)의 원호형 볼록면과 웹 가압 부재(66a)의 원호형 볼록면과의 사이에 협압됨으로써, 웹 가압 부재(66a)에 유지된다. 이 때,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부재(65a)의 커터 T가 웹 가압 부재(66a)의 홈 D에 진입함으로써, 그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웹 W를 절단한다. 즉, 커터 부재(65a)와 웹 가압 부재(66a)에 의해, 절단된 웹 W의 절단단이 유지된다.
이 때, 웹 가압 부재(66a)에 접속된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웹 W의 절단 시에 발생한 분진이 웹 가압 부재(66a)의 홈 D의 펌프 흡입공 H1으로부터 흡인된다. 이와 동시에, 웹 가압 부재(66a)의 원호형 볼록면의 펌프 흡입공 H2로부터의 흡인력에 의해, 절단된 웹 W의 절단단을 포함하는 단부를 흡착하도록 유지한다. 이와 같이, 웹 가압 부재(66a)를 커터 받이 부재로서 기능하게 하고, 또한 웹 W의 유지 기능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웹 가압 부재(66a)는, 웹 W의 절단단을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이 동기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또한 우측 보빈(43)을 웹 가압 유닛(66)과는 반대 방향으로 동기하여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웹 가압 부재(66a)가 우측 보빈(43)에 대하여 웹 W의 절단단을 가압한다. 이 때, 웹 가압 부재(66a)의 위치에는, 우측 보빈(43)의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웹 W의 절단단은 우측 보빈(43)에 권취 개시된다.
이와 같이, 웹 가압 부재(66a)는, 웹 W의 절단단의 유지 기능을 가지고, 또한 웹 W의 우측 보빈(43)으로의 가압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웹 가압 부재(66a)는, 웹 W의 절단단을 유지한 상태에서, 웹 W의 절단단을 우측 보빈(43)에 직접 가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웹 W의 절단단은, 웹 가압 부재(66a)에 의해, 우측 보빈(43)에 확실하게 권취된다. 그 결과, 우측 보빈(43)에 권취 웹 W의 단부(절단단을 포함하는 단부)에 솔기나 느슨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커터 부재(65a) 및 웹 가압 부재(66a)를 동기하여 자전시킴으로써, 웹 W를 절단했을 때의 웹 가압 부재(66a)에서의 웹 W의 절단단의 회전 위치로부터, 웹 W의 절단단을 우측 보빈(43)에 권취할 때의 웹 가압 부재(66a)에서의 웹 W의 절단단의 회전 위치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웹 W의 절단단이 우측 보빈(43)에 권취되기 전에, 웹 가압 부재(66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웹 W의 절단단을 우측 보빈(43)에 확실하게 권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이 동기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함으로써, 웹 가압 부재(66a)에 의한 웹 W의 단부의 우측 보빈(43)으로의 가압을 종료한다.
이어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이 동기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웹 가압 유닛(66)의 제2 롤러(66c)가 우측 보빈(43)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양 유닛(65, 66)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우측 보빈(43)에 웹 W가 권취될 때, 권취되는 웹 W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롤러(66c)가, 권취되는 웹 W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터치 롤러로서 기능한다. 즉, 웹 가압 부재(66a)를 자전시킨 직후부터, 제2 롤러(66c)에 의해 웹 W의 외주면이 가압된다. 따라서, 우측 보빈(43)으로의 웹 W의 권취가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예를 들면, 공기가 휩쓸려 들어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웹 W의 반송을 계속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보빈(43)에 웹 W가 만권 상태로 된다. 이 동안에도, 제2 롤러(66c)는 우측 보빈(43)에 권취되는 웹 W의 외주면에 가압되고 있다.
이어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판(63)이 회전 가능한 위치에, 슬라이드체(62)를 좌측 보빈(33) 측으로 이동시켜, 회전판(63)을 시계 방향으로 설정된 위상이 되도록 회전시킨다. 그리고,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을, 좌측의 공 보빈(33) 측으로 향하게 한다. 또한, 슬라이드체(62)를 좌측 보빈(33) 측으로 이동시켜,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을 좌측 보빈(33)에 근접시킨다.
그 후에는, 우측 보빈(4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7∼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좌측 보빈(33)도, 우측 보빈(43)과 마찬가지로 시계 방향으로 자전하므로, 웹 가압 부재(66a)는, 좌측 보빈(33)에 웹 W의 단부를 권취할 때, 커터 부재(65a)의 커터 T에 대하여 좌측 보빈(33)의 자전 방향의 위상 진행측에 위치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좌우의 보빈(33, 43)에 권취되는 웹 W의 표면과 배면을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판(63)을 회전시킴으로써, 웹 가압 부재(66a)를 커터 부재(65a)의 커터 T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커터 T와 웹 가압 부재(66a)를 각각 1개씩으로 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보빈(33, 43)에 권취되는 웹 W의 표면과 배면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웹 권취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웹 권취 장치에서의 웹 분리 동작)
다음으로, 웹 권취 장치에서의 웹 분리 동작에 대하여, 도 1, 도 12∼도 14, 도 18∼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좌측 보빈(33)에 반송되고 있던 웹 W는 절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외주 커버(34)를 시계 방향을 자전시켜, 상기 외주 커버(34)의 둘레 방향 개구부를 베드(20) 측(하방)으로 향하게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외주 커버(34)는, 좌측 보빈(33) 측과 도입 롤러(64) 측[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66) 측에 상당]을 구분시키도록 위치한다. 이 때, 외주 커버(34)는, 상기 좌측 보빈(33) 측과, 반송 롤러(51a, 51b, 52a∼52c) 측을 구분시키도록 위치하고 있다.
외주 커버(34)를 도 13과 같이 위치 결정한 후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개폐 커버(12)를 연다. 그리고, 작업자는, 웹 W가 만권된 좌측 보빈(33)을, 회전심체(32)로부터 분리한다. 이 동안에, 우측 보빈(43)에는 웹 W가 권취되고 있으므로, 우측 개폐 커버(13)는 닫혀져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체(62)를 이동시킴으로써 도입 롤러(64), 커터 유닛(65), 및 웹 가압 유닛을 우측에 회피시킬 수 있으므로, 좌측 보빈(33)의 중심을 이동시키지 않고, 좌측 보빈(33)을 회전심체(3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보빈(33)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주 커버(34)는 둘레 방향 개구부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웹 W를 보빈(33)에 권취할 때는, 웹 W가 외주 커버(34)의 둘레 방향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외주 커버(34)는, 보빈(33)에 웹 W를 권취하는 데 있어서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한편, 좌측 보빈(33)을 회전심체(32)로부터 분리할 때는, 외주 커버(34)를 회전시켜, 외주 커버(34)가 보빈(33) 측과 도입 롤러(64) 측 및 반송되고 있는 웹 W 측을 구분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빈(33)을 회전심체(32)로부터 분리할 때,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개폐 커버(12)의 개구부 형상을 외주 커버(34)의 외형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좌측 보빈(33)을 분리할 때, 웹 W가 권취되어 있는 우측 보빈(43)의 축 방향 위치는 우측 개폐 커버(1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커버(11), 우측 개폐 커버(13), 및 좌측 외주 커버(34)에 의해, 우측 보빈(43)에 반송되고 있는 웹 W를 작업자가 접촉하지 않는다.
이어서, 만권된 보빈(33)을 회전심체(32)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공 보빈(33)을 회전심체(32)에 장착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주 커버(34)를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시켜, 외주 커버(34)의 둘레 방향 개구부를 우측 보빈(43) 측을 향하게 한다.
우측 보빈(43)이 만권된 후에는, 도 18∼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보빈(3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이 때에도, 작업자는, 우측 보빈(43)을 회전심체(42)로부터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는, 제1, 제2 웹 지지 장치(30, 40)의 지지 본체(31, 41)를 베드(20)에 고정시키고 있지만, 지지 본체(31, 41)를 베드(2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빈(33, 43)을 회전심체(32, 42)로부터 분리할 때, 지지 본체(31, 41)를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12, 13: 개폐 커버 32, 42: 회전심체
33, 43: 보빈 34, 44: 외주 커버
63: 회전판 64: 도입 롤러
65a: 커터 부재 66a: 웹 가압 부재
65b, 65c, 66b, 66c: 롤러 H1: 펌프 흡입공(분진 흡인 수단
H2: 펌프 흡입공(유지 수단) T: 커터
W: 웹

Claims (5)

  1. 웹(web)을 권취(卷取) 가능한 2개의 보빈(bobbin);
    한쪽의 상기 보빈측과 다른 쪽의 상기 보빈측과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송되는 상기 웹을 절단하는 커터; 및
    반송되는 상기 웹을 협지(挾持)하도록 상기 커터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2개의 보빈 사이를 상기 커터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터와 함께 상기 웹을 협압(狹壓)하여 절단하는 커터 받이 부재로서 기능하고, 절단 후의 상기 웹의 절단단(切斷端)을 계속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웹의 절단단을 공(空) 보빈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웹의 절단단을 상기 공 보빈에 권취하는 웹 가압 부재
    를 포함하는 웹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보빈은, 각각의 중심축 주위의 동일 방향으로 자전(自轉)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커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 보빈에 상기 웹의 절단단을 권취할 때, 요동함으로써 상기 커터에 대하여 상기 공 보빈의 자전 방향의 위상 진행측에 위치하는, 웹 권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보빈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보빈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 가능하며,
    상기 웹 가압 부재를 상기 공 보빈에 근접한 소정 위치에서 상기 공 보빈 및 상기 커터와 동기시켜 자전시킴으로써,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커터에 의해 절단된 상기 웹의 절단단을 유지하고, 이어서, 상기 웹 가압 부재는 상기 공 보빈으로 상기 웹의 절단단을 권취하는, 웹 권취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웹 권취 장치는, 상기 웹 가압 부재의 배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웹 가압 부재에 함께 이동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웹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공 보빈으로 상기 웹의 절단단을 권취한 후에, 상기 공 보빈으로 상기 웹을 권취할 때에 권취되는 상기 웹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웹 권취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권취 장치는,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웹을 절단할 때의 분진(粉塵)을 흡인하는 분진 흡인 수단과, 상기 펌프의 흡인력에 의해 상기 웹의 절단단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웹 권취 장치.
KR1020130017040A 2012-03-26 2013-02-18 웹 권취 장치 KR102007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9296A JP5959259B2 (ja) 2012-03-26 2012-03-26 ウエブ巻取装置
JPJP-P-2012-069296 201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30A true KR20130109030A (ko) 2013-10-07
KR102007335B1 KR102007335B1 (ko) 2019-08-05

Family

ID=4789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040A KR102007335B1 (ko) 2012-03-26 2013-02-18 웹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02490B2 (ko)
EP (1) EP2644544B1 (ko)
JP (1) JP5959259B2 (ko)
KR (1) KR102007335B1 (ko)
CN (1) CN103359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167B1 (ko) * 2013-11-06 2015-04-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카카스 재단 권취장치
JP6047517B2 (ja) * 2014-03-28 2016-1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ェブ巻替え装置及び方法
ITUA20163344A1 (it) * 2016-05-11 2017-11-11 Celli Nonwovens Spa Macchina e metodo per l'avvolgimento di strisce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mezzi per il taglio trasversale delle strisce e ancoraggio delle strisce all'anima di avvolgimento
NL2018889B1 (en) 2017-05-10 2018-11-15 Vmi Holland Bv Wind-up system and method for winding-up a strip
CN112722942B (zh) * 2021-02-11 2022-12-09 沛县万豪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布料收卷设备
CN114014061A (zh) * 2021-11-12 2022-02-08 威海光威精密机械有限公司 离型纸不停机切换收卷装置及收卷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18A (ko) 1973-06-01 1975-01-24
JPH0516757U (ja) * 1991-08-12 1993-03-02 株式会社西村製作所 巻取機の自動巻付装置
JP2807857B2 (ja) 1993-10-04 1998-10-08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ウエブの巻取装置
JP2001088992A (ja) * 1999-09-27 2001-04-03 Hitachi Zosen Corp 巻取機の枠替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8449A (ko) 1961-05-15
US3383064A (en) 1966-01-17 1968-05-14 Beloit Eastern Corp Rewinder for paper and the like
US3552670A (en) * 1968-06-12 1971-01-05 Scott Paper Co Web winding apparatus
DE2724955C2 (de) * 1977-06-02 1983-03-24 Erwin Kampf Gmbh & Co Maschinenfabrik, 5276 Wiehl Rollenwickelmaschine zur Bildung von Einzelwickeln
DE3308271A1 (de) 1983-03-09 1984-09-20 Jagenberg AG,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m aufwickeln laengsgeteilter bahnen und verfahren beim wickelrollen/huelsenwechsel
JPH0671958B2 (ja) * 1986-06-03 1994-09-1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フイルム等帯状物の自動切断巻取装置
DE3645252C2 (de) 1986-04-28 1995-02-09 Windmoeller & Hoelscher Vorrichtung zum Wickeln von mehreren durch Längsschneiden einer breiten Materialbahn gebildeten schmalen Materialbahnen zu Vorratsrollen
JPH0638665Y2 (ja) * 1988-05-10 1994-10-12 日本テトラパック株式会社 包装用ウエブの切断装置
DE3907136A1 (de) 1989-03-06 1990-09-13 Jagenberg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materialbahnen
DE4441142C2 (de) 1994-11-18 1999-09-30 Koenig & Bauer Ag Zweirichtungsschwenkrahmen einer Papierrollenwechseleinrichtung
JP3506818B2 (ja) 1995-08-23 2004-03-15 東芝電池株式会社 電池用電極シートの巻付装置および同巻付方法
JP3653030B2 (ja) 2001-10-25 2005-05-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紙継装置,コルゲートマシン及び紙送方法
JP4136864B2 (ja) * 2003-09-19 2008-08-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ェブ巻替え装置及び方法
JP4922799B2 (ja) 2007-03-16 2012-04-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ウェブ巻替え装置及び方法
EP2062841B1 (en) 2007-11-23 2013-02-13 Goss Contiweb B.V. Device for applying a paper web onto a paper reel and corresponding reel c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818A (ko) 1973-06-01 1975-01-24
JPH0516757U (ja) * 1991-08-12 1993-03-02 株式会社西村製作所 巻取機の自動巻付装置
JP2807857B2 (ja) 1993-10-04 1998-10-08 株式会社ヒラノテクシード ウエブの巻取装置
JP2001088992A (ja) * 1999-09-27 2001-04-03 Hitachi Zosen Corp 巻取機の枠替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99357A (ja) 2013-10-03
EP2644544B1 (en) 2016-02-03
US9102490B2 (en) 2015-08-11
CN103359518A (zh) 2013-10-23
CN103359518B (zh) 2017-04-26
EP2644544A3 (en) 2014-01-29
EP2644544A2 (en) 2013-10-02
JP5959259B2 (ja) 2016-08-02
US20130248642A1 (en) 2013-09-26
KR102007335B1 (ko) 201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335B1 (ko) 웹 권취 장치
KR20130109028A (ko) 웹 권취 장치
KR101695607B1 (ko) 웹의 이음 장치
EP1380526B1 (en) Web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07336B1 (ko) 웹 권취 장치
JP3199628U (ja) シート巻出装置
US10943811B2 (en) Tape affixing apparatus
CN210214270U (zh) 一种自动换卷装置
EP3490919B1 (en) Feeding unit for a tissue converting machine for converting a web of two-layer tissue
JP2015117117A (ja) ウェブの継ぎ合わせ装置
KR102104683B1 (ko) 시트 접합체의 제조 방법
JP2014105048A (ja) シート巻出装置
JP5556470B2 (ja) シート状物接合装置、シート状物接合方法、および電池箔の接合方法
CN219294121U (zh) 一种快递面单切边设备
US111927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 reel and connecting a new material web to an end of an old material web
CN113753638A (zh) 自动换卷装置
JPH0680285A (ja) ウエブシート自動紙継装置
JP2005205612A (ja) 長尺プライ製造装置
JP2014213511A (ja) 成型部材の自動供給装置及び自動供給方法
JPH0648621A (ja) シート供給装置
ES2460765A1 (es) Unidad desbobinadora/rebobinadora para máquina de tratamiento de banda de lám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