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010A -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010A
KR20130107010A KR1020120028769A KR20120028769A KR20130107010A KR 20130107010 A KR20130107010 A KR 20130107010A KR 1020120028769 A KR1020120028769 A KR 1020120028769A KR 20120028769 A KR20120028769 A KR 20120028769A KR 20130107010 A KR20130107010 A KR 20130107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wireless
antenna device
antenna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575B1 (ko
Inventor
조규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575B1/ko
Priority to US13/847,693 priority patent/US20130249663A1/en
Priority to EP13160453.0A priority patent/EP2642588B1/en
Priority to JP2013058341A priority patent/JP2013198165A/ja
Priority to CN201310092339.4A priority patent/CN103326106B/zh
Publication of KR20130107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75B1/ko
Priority to US16/135,616 priority patent/US108473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71Supports; Mounting means for mounting on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의 블랙마크(Black Mark : BM) 영역의 일부에 실장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블랙마크 영역 하부의 일부 영역에 적층되며, 각 층마다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 및 상기 다수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상기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 중 인접한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ANTENNA DEVICE FOR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도우의 블랙마크(Black Mark : BM) 영역의 일부에 실장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 공유, 지불결재, 티켓팅(ticketing)을 행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실장하는 단말기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는 13.56MHz(ㅁ7kHz)의 저주파수를 이용하여 10~20cm의 근접거리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자기결합을 활용하는 방식의 LC 공진 루프안테나(loop antenna)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10)는 루프(Loop)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도전성 라인들이 단층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10)는 충분한 기전력을 얻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체 면적이 1500㎟ 이상이고, 단축 길이(L)가 30mm 이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는 비교적 넓은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래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10)는 다수의 도전성 라인들이 단층으로 배치됨에 따라 안테나 패턴(Antenna Pattern)의 폭(S)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기 안테나 패턴의 폭(S)은 도전성 라인의 폭(S1)들의 합과 도전성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들의 폭(도전성 라인들 사이의 간격, S2)들의 합을 더한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개의 도전성 라인의 폭이 0.8mm이고, 도전성 라인 사이의 간격이 0.4mm이며, 상기 다수의 안테나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의 수가 4회이면, 상기 안테나 패턴의 폭(S)은 4.8mm ((0.8mm + 0.4mm) x 4)가 된다.
하지만, 최근의 전자기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매우 많은 전자부품들을 실장하고 있으며, 슬림(Slim)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전자기기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10)를 위한 실장 영역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실장 공간 부족에 따라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를 단말기의 배터리(Battery) 또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에 실장하는 방안이 고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상기 배터리 커버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의 성능이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윈도우의 블랙마크(Black Mark : BM) 영역의 일부에 실장되어 별도의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는 블랙마크 영역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랙마크 영역 하부의 일부 영역에 적층되며, 각 층마다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 및 상기 다수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상기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 중 인접한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설치되며, 영상을 투과하는 투명 영역과 상기 투명 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블랙마크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각 연성인쇄회로기판 층마다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장치는 상기 블랙마크 영역의 하단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는 윈도우의 블랙마크 영역 일부에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실장하기 때문에,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위한 별도의 실장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윈도우의 블랙마크 영역에 다수개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를 실장함에 따라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윈도우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윈도우의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 기기(200)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전면에 윈도우(210)가 실장되는 바-타입(Bar-type)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200)는 이동통신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PC(Personnel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0)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미도시)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 글래스(Glass), 투명 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210)는 표시 장치(미도시)의 상부 전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 장치(미도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미도시)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널(미도시)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210)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명 영역(210a)과, 상기 투명 영역(210a)의 주변에 형성된 블랙 마크(Black Mark) 영역(2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마크 영역(210b)은 전자 기기(200)의 내부가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을 차단하며, 빛 샘을 방지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윈도우(210)의 배면에 검은색 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되거나 검은색 도료(미도시)가 인쇄(Printing), 코팅(Coating) 또는 증착(Evaporation)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2 및 도 3에서는 색상을 표현하지 않았지만, 상기 블랙마크 영역(210b)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다. 하지만, 전자기기의 색상에 따라 다른 색상(예컨대 흰색)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100)는 근거리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NFC 안테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안테나 장치로 명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전자기기(200)의 전면에 위치하는 윈도우(210)의 블랙 마크 영역(210b) 하단의 일부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FPCB)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각 FPCB 층에는 루프 형태를 가지는 하나의 도전성 라인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FPCB 층을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100)를 구현함에 따라 본 발명은 안테나 패턴의 폭(W)을 현저하게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폭 감소에 대하여,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테나 장치(100)의 각 도전성 라인(121, 122, 123, 124, 125)의 폭(W1)이 0.8mm이고, 도전성 라인들 사이의 폭(W2)이 0.2mm인 것으로 가정하면,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0)의 안테나 패턴 폭(W)은 1mm (= 0.8mm + 0.2mm)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 안테나 장치(10)의 안테나 패턴 폭 "4.8mm"에 비하여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0)의 안테나 패턴 폭(W)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안테나 패턴 폭이 현저하게 감소됨에 따라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100)를 윈도우(210)의 블랙 마크 영역(210b)에 실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안테나 장치 실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안테나 장치(100)의 구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다수의 FPCB층 예컨대 5개의 FPCB 층(111, 112, 113, 114, 115)들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FPCB 층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단축의 길이가 상기 블랙마크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각 FPCB 층은 하나의 루프를 형성하는 도전성 라인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루프는 개방형 루프이다. 예를 들어, 제1FPCB 층(111)은 제1도전성 라인(121)을 포함하고, 제2FPCB 층(112)은 제2도전성 라인(122)을 포함하고, 제3FPCB 층(113)은 제3도전성 라인(123)을 포함하고, 제4FPCB 층(114)은 제4도전성 라인(124)을 포함하며, 제5FPCB 층(115)은 제5도전성 라인(1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전성 라인(121) 내지 제5도전성 라인(125)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전성 라인(121) 내지 제5도전성 라인(125)은 상기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기 위한 안테나 패턴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도전성 라인(121)의 일측 끝 및 제2도전성 라인(122)의 일측 끝은 제1관통홀(131)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도전성 라인(122)의 타측 끝 및 제3도전성 라인(123)의 일측 끝은 제2관통홀(132)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3도전성 라인(123)의 타측 끝 및 제4도전성 라인(124)의 일측 끝은 제3관통홀(133)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4도전성 라인(124)의 타측 끝 및 제5도전성 라인(125)의 일측 끝은 제4관통홀(13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5도전성 라인(125)의 타측 끝은 제1연결부(141)와 연결된다. 상기 제1도전성 라인(135)의 타측 끝은 제5관통홀(135)을 통해 제2연결부(142)와 연결된다. 상기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42)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실장되는 통신 모듈(예컨대 근거리무선통신 모듈)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41) 및 제2연결부(142) 중 어느 하나는 루프 안테나의 급전부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는 접지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관통홀(131) 내지 제5관통홀(135)은 내측면에 도전성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물질로 인하여 상기 각 FPCB 층의 도전성 라인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도전성 라인들(121 내지 125)의 일 측이 도전성 물질로 채워진 관통홀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라인들은 솔더링(Soldering)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각 FPCB 층(111, 112, 113, 114, 115)에 형성된 도전성 라인(121, 122, 123, 124, 125)들은 위에서 보았을 때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도전성 라인들의 다양한 배치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0)는 다층 FPCB를 이용하여 윈도우(210)의 블랙 마크 영역(210b) 하단의 일부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전자기기(200)는 안테나 장치(100)를 실장하기 위한 별도의 실장 영역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다수의 도전성 라인(121, 122, 123, 124, 125)을 적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단층으로 다수의 루프를 형성하는 종래의 안테나 장치에 비하여 안테나 패턴 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 장치(100)가 다층 FPCB를 이용하여 형성됨에 따라 전자기기(200)의 전방부분에 위치한 윈도우(210)의 블랙 마크 영역(210b)에 실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100)는 전자 기기(200)의 전방으로 무선 신호를 방사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기기(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배터리 커버(미도시)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100)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루프 안테나를 구성하는 도전성 라인들이 다양한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안테나 장치(100)의 식별 번호의 마지막 숫자를 변경하여 각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는 각 FPCB 층에 위치하는 도전성 라인들이 동일한 형태(크기 및 모양)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는 위에서 보았을 때 각 도전성 라인들이 겹쳐져 하나인 것처럼 보여진다.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의 안테나 패턴 폭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 mm이다.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2)는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와 달리,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도전성 라인들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도전성 라인(1) 및 제3도전성 라인(3)은 제1형태를 가지고, 제2도전성 라인(2) 및 제4도전성 라인(4)은 제2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도전성 라인(1) 및 제3도전성 라인(3)은 제2도전성 라인(2) 및 제4도전성 라인(4) 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1도전성 라인(1) 및 제3도전성 라인(3)은 제2도전성 라인(2) 및 제4도전성 라인(4)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2)는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와 비교하여, 인접한 층에 형성된 도전성 라인들 사이의 간섭이 적어져 안테나 장치(102)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제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2)는 상기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와 유사하게 다수의 도전성 라인들이 다수의 FPCB 층에 각각 형성되어 적층되기 때문에, 종래의 안테나 장치에 비하여 안테나 패턴 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전성 라인(1)과 제2도전성 라인(2)은 위에서 보았을 때 일부 영역이 겹치도록 형성되거나, 겹치지 않고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도전성 라인(1) 및 제2도전성 라인(2)의 폭이 0.8mm이고, 상기 제1도전성 라인(1) 및 제2도전성 라인(2) 사이의 이격 거리가 0.2mm 것으로 가정하면, 상기 제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2)의 안테나 패턴 폭은 "2mm (= (0.8mm + 0.2mm) x 2)"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2)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테나 패턴 폭이 증가하지만,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종래 안테나 장치(10)의 안테나 패턴 폭 "4.8mm"에 비하여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2)의 안테나 패턴 폭은 제1도전성 라인(1)과 제2도전성 라인(2)의 일부가 겹치도록 하는 경우 더욱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101, 102)와 달리 상기 도 5의 (c) 내지 (i)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103, 104, 105, 106, 107, 108, 109)은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도전성 라인(이하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FPCB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도 5의 (c) 내지 (i)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들(103, 104, 105, 106, 107, 108, 109)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루프 안테나는 루프 횟수가 많을수록 더 좋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루프 안테나의 길이는 이용하고자하는 주파수 대역의 공진 주파수(예컨대 NFC 안테나의 경우 13.56 MHz)에 대응하여 특정 값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도전성 라인의 길이를 임의로 중가시킬 수 없다. 하지만, 상기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더미 패턴을 추가하는 경우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지 않고, 상기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라인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상기 더미 패턴에 유도 전류가 발생하고, 상기 더미 패턴에 발생된 유도 전류로 인하여 자기장이 강화된다. 따라서, 상기 도 5의 (a) 내지 (i)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103 내지 109)는 도전성 라인의 길이를 더 길게 하지 않아도 충분한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도 5의 (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3)는 도전성 라인들(11, 12) 사이에 더미 패턴(13)이 추가될 수 있다. 즉, 도전성 라인들(11, 12)을 각각 포함하는 FPCB 층들 사이에 상기 더미 패턴(13)을 포함하는 FPCB 층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13)을 제외하면, 상기 제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3)는 상술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5의 (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4)는 더미 패턴(23)을 포함하는 FPCB 층을 최하단에 배치하고, 상기 도전성 라인들(21, 22)을 포함하는 FPCB 층들을 상기 더미 패턴(23)을 포함하는 FPCB 층 위에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도 5의 (e)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5)는 더미 패턴(33)을 포함하는 FPCB 층이 최상단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5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5)는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도전성 라인들(31, 32)을 포함하는 FPCB층을 적층하고, 상기 더미 패턴(33)을 포함하는 FPCB층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도 5의 (f) 내지 도 5의 (i)에 도시된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106, 107, 108, 109)는 상기 제3실시 예 내지 제5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3, 104, 105)와 달리 복수의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도 5의 (f)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6)는 더미 패턴들(42, 44)과 루프 안테나를 이루는 도전성 라인들(41, 43)을 교대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 패턴(42, 44)들은 루프 안테나를 이루는 도전성 라인들(41, 43) 상단에 각각 위치한다. 이와 달리, 상기 도 5의 (g)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7)는 상기 더미 패턴(52, 54)들이 루프 안테나를 이루는 도전성 라인들(51, 53) 하단에 각각 위치한다.
한편, 상기 도 5의 (h)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8)는 더미 패턴(62, 64)들이 루프 안테나를 이루는 도전성 라인들(61, 63)을 감싸도록 위치한다. 즉, 본 발명의 제8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8)는 상기 더미 패턴들(62, 64)을 포함하는 FPCB 층이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 5의 (i)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9)는 제3실시 예와 제8실시 예를 조합한 형태로, 더미 패턴들(72, 76)이 루프 안테나를 이루는 도전성 라인들(71, 73)을 감싸도록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성 라인들(71, 72) 사이에 더미 패턴(74)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6 실시 예 내지 제9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들(106, 107, 108, 109)은 복수개의 더미 패턴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제3실시 예 내지 제5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3, 104, 105)들에 비하여 더욱 강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어 더 좋은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장치들은 일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10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다양한 형태를 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5의 (c) 내지 도 5의 (i)에서는 도전성 라인들 및 더미 패턴들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도전성 라인들을 교대로 배치하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더미 패턴들을 교대로 배치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300)는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전자 기기(200)와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300)는 복수의 안테나 장치(110, 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안테나 장치(110, 120)는 이전에 설명한 안테나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이다. 즉,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제1실시 예 내지 제9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101 내지 109) 중 어느 하나 또는 변형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300)는 윈도우(310)의 블랙마크 영역(310b)에 복수의 안테나 장치(110, 120)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전자기기(300)가 복수의 근거리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큰 화면 크기(예컨대 7인치 이상)를 가지는 전자기기(예컨대 태블릿 PC)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큰 화면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블랙마크 영역의 일측에 하나의 안테나 장치를 실장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용의 편의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하여 상기 안테나 장치는 해당 수신 장치에 정확히 위치되야 한다. 하지만, 상기 전자기기가 수신 장치보다 큰 크기를 가짐에 따라 상기 안테나 장치의 실장 위치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 전자기기(300)에 실장된 안테나 장치가 상기 수신 장치와 근접하지 않아 통신 채널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크기를 가지는 전자기기의 경우 윈도우(310)의 블랙마크 영역(310b)에 다수의 안테나 장치를 실장하여 사용자가 안테나 장치의 실장 위치를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에서는 전자기기(300)의 좌측 및 하단에 안테나 장치가 실장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다수의 안테나 장치들은 전자기기(300)의 상하좌우측의 블랙마크 영역(310b)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안테나 장치들은 서로 다른 측면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110, 120 : 안테나 장치 200, 300 : 전자기기
210, 310 : 윈도우 210a : 투명 영역
210b, 310b : 블랙마크 영역
111, 112, 113, 114, 115 : 연성인쇄회로기판 층
121, 122, 123, 124, 125 : 도전성 라인(안테나 패턴)
131, 132, 133, 134, 135 : 관통홀

Claims (11)

  1. 블랙마크 영역을 가지는 전자기기에 실장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랙마크 영역 하부의 일부 영역에 적층되며, 각 층마다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 및
    상기 다수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도록 상기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 중 인접한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도전성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적어도 2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이 각층 마다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유도 전류에 의한 자기장 강화를 통해 상기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은
    상기 도전성 안테나 패턴이 형성된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의 최상부, 최하부 및 상기 각 연성인쇄회로기판 층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패턴을 포함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 층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단축의 길이가 상기 블랙마크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8.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에 설치되며, 영상을 투과하는 투명 영역과 상기 투명 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블랙마크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및
    다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적층되어 형성되고, 각 연성인쇄회로기판 층마다 루프 형태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도전성 안테나 패턴들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루프 안테나를 형성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무선통신장치는 상기 블랙마크 영역의 하단의 일부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마크 영역의 하단에 실장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는
    상기 윈도우의 상하좌우 측면에 형성되는 블랙마크 영역 중 적어도 두 측면에 분리되어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는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단축의 길이가 상기 블랙마크 영역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120028769A 2012-03-21 2012-03-21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859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69A KR101859575B1 (ko) 2012-03-21 2012-03-21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3/847,693 US20130249663A1 (en) 2012-03-21 2013-03-20 Antenna device for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3160453.0A EP2642588B1 (en) 2012-03-21 2013-03-21 Antenna device for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13058341A JP2013198165A (ja) 2012-03-21 2013-03-21 近距離無線通信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
CN201310092339.4A CN103326106B (zh) 2012-03-21 2013-03-21 用于近场无线通信的天线装置及具有其的便携式终端
US16/135,616 US10847311B2 (en) 2012-03-21 2018-09-19 Antenna device for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69A KR101859575B1 (ko) 2012-03-21 2012-03-21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10A true KR20130107010A (ko) 2013-10-01
KR101859575B1 KR101859575B1 (ko) 2018-05-18

Family

ID=47915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769A KR101859575B1 (ko) 2012-03-21 2012-03-21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30249663A1 (ko)
EP (1) EP2642588B1 (ko)
JP (1) JP2013198165A (ko)
KR (1) KR101859575B1 (ko)
CN (1) CN1033261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0130A1 (ko) * 2014-02-28 2015-09-0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탑재체
US10686246B2 (en) 2013-11-01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including antenn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4558B2 (en) 2013-01-18 2022-06-07 Amatech Group Limited Contactless smartcards with coupling frames
KR20150117482A (ko) * 2014-04-10 2015-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614410B1 (en) * 2014-10-10 2024-03-20 Finder S.P.A. Programmable switch
CN111342235B (zh) * 2015-01-27 2022-11-04 奥特斯奥地利科技与系统技术有限公司 电子组件以及制造电子组件的方法
KR102388353B1 (ko) * 2015-06-29 202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20170076435A (ko) * 2015-12-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액세서리 장치
CN109075457B (zh) 2016-04-28 2021-08-31 奥特斯奥地利科技与系统技术有限公司 带有集成的天线布置的部件承载件、电子设备、无线电通信方法
US10741918B2 (en) * 2016-08-31 2020-08-11 Sharp Kabushiki Kaisha NFC antenna and display device
GB201622186D0 (en) * 2016-12-23 2017-02-08 Weatherford Uk Ltd Antenna for downhole communication
KR102334710B1 (ko) * 2017-03-28 2021-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전자부품 내장 기판
JP6594373B2 (ja) * 2017-05-10 2019-10-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電装置
JP6325719B1 (ja) * 2017-05-31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ループアンテナ
CN107464991A (zh) * 2017-08-01 2017-12-12 全普光电科技(上海)有限公司 薄膜天线结构及其制备方法、天线系统
KR102633997B1 (ko) * 2019-07-12 2024-0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466323B (zh) * 2019-08-09 2021-10-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车窗玻璃及车辆
CN110993626B (zh) * 2019-12-20 2022-09-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和可穿戴设备
US11296750B2 (en) * 2020-05-12 2022-04-05 Nxp B.V. Near-field wireless device including a first near-field antenna and a second near-field antenna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933C (zh) * 1999-05-17 2001-12-12 张立新 酒味冰淇淋
KR100746742B1 (ko) * 2001-02-03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더 코일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카드 인증 시스템
US20020135523A1 (en) * 2001-03-23 2002-09-26 Romero Osbaldo Jose Loop antenna radiation and reference loops
JP2002353725A (ja) * 2001-05-23 2002-12-06 Shinko Electric Ind Co Ltd 電磁誘導アンテナ装置
US7119693B1 (en) * 2002-03-13 2006-10-10 Celis Semiconductor Corp. Integrated circuit with enhanced coupling
JP4444683B2 (ja) * 2004-02-10 2010-03-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イル状アンテナを有する半導体チ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7271769B2 (en) * 2004-09-22 2007-09-18 Lenovo (Singapore) Pte Ltd. Antennas encapsulated within plastic display covers of computing devices
WO2006098390A1 (en) * 2005-03-15 2006-09-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1868263A4 (en) * 2005-04-01 2009-08-12 Nissha Printing TRANSPARENT ANTENNA FOR DISPLAY, PHOTON-TRANSMITTER MEMBER FOR DISPLAY HAVING AN ANTENNA, AND ELEMENT FOR HOUSING, WITH ANTENNA
KR100733813B1 (ko) * 2005-07-26 2007-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07088661A (ja) * 2005-09-21 2007-04-0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ループアンテナ
ATE507538T1 (de) * 2006-06-01 2011-05-15 Murata Manufacturing Co Hochfrequenz-ic-anordnung und zusammengesetzte komponente für eine hochfrequenz-ic-anordnung
JP4957724B2 (ja) * 2006-07-11 2012-06-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無線icデバイス
US8405552B2 (en) 2007-04-16 2013-03-26 Samsung Thales Co., Ltd. Multi-resonant broadband antenna
CN104540317B (zh) * 2007-07-17 2018-11-0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印制布线基板
US7830311B2 (en) * 2007-07-18 2010-11-09 Murata Manufacturing Co., Ltd. Wireless 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5105361B2 (ja) * 2008-01-11 2012-12-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JP2009182883A (ja) * 2008-01-31 2009-08-13 Toshiba Corp 携帯端末
TWI352566B (en) * 2008-03-31 2011-11-11 Wistron Neweb Corp Housing structure of hand-hled electronic divice
CN103295056B (zh) * 2008-05-21 2016-12-28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无线ic器件
WO2009142068A1 (ja) * 2008-05-22 2009-11-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215827Y (zh) * 2008-07-08 2009-04-01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手持设备的nfc天线以及包含该nfc天线的手持设备
KR101587087B1 (ko) * 2008-10-14 201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056819B2 (en) * 2008-10-14 2011-11-15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iniature and multi-band RF coil design
KR101537692B1 (ko) 2008-11-11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00062539A (ko) 2008-12-02 201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알에프아이디 안테나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US8188933B2 (en) * 2008-12-17 2012-05-29 Panasonic Corporation Antenna unit and mobile terminal therewith
JP5267578B2 (ja) * 2009-01-30 2013-08-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及び無線icデバイス
US20100321325A1 (en) * 2009-06-17 2010-12-23 Springer Gregory A Touch and display panel antennas
US8269675B2 (en) * 2009-06-23 2012-09-18 Apple Inc. Antennas for electronic devices with conductive housing
CN201515004U (zh) * 2009-08-28 2010-06-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近场通信电子终端的天线装置
KR20110077362A (ko) * 2009-12-30 2011-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091447B1 (ko) * 2009-12-30 2011-12-07 전자부품연구원 적층형 안테나
US8890771B2 (en) * 2010-01-06 2014-11-18 Apple Inc. Transparent electronic device
WO2011108340A1 (ja) * 2010-03-03 2011-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モジュール及び無線通信デバイス
KR101806942B1 (ko) 2011-09-28 2017-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장치
KR101897772B1 (ko) * 2012-02-15 2018-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654030B1 (en) * 2012-10-16 2014-02-18 Microsoft Corporation Antenna plac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6246B2 (en) 2013-11-01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module including antenna
WO2015130130A1 (ko) * 2014-02-28 2015-09-03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탑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575B1 (ko) 2018-05-18
CN103326106B (zh) 2018-07-27
EP2642588A3 (en) 2014-01-22
CN103326106A (zh) 2013-09-25
US20130249663A1 (en) 2013-09-26
JP2013198165A (ja) 2013-09-30
EP2642588B1 (en) 2021-01-06
US20190019621A1 (en) 2019-01-17
EP2642588A2 (en) 2013-09-25
US10847311B2 (en) 2020-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575B1 (ko) 근거리무선통신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9564686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CN207218688U (zh) 电子设备
US10056676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CN210805996U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CN207074710U (zh) 电子设备
EP2725654A1 (en) NFC antenna for portable device
US20130134225A1 (en) Rfid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7004108B (zh) 通信装置、显示装置以及通信系统
CN113258286B (zh) 一种电子设备
US9787368B2 (en) Antenna having passive booster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US20190020101A1 (en) Stacked antenna module
WO2016111533A1 (ko) Nfc 안테나 모듈
KR20170029473A (ko) 안테나 모듈
CN113131196A (zh) 天线装置及电子设备
KR1024292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8701891B (zh) 天线模块
CN212874752U (zh) 电子设备
KR102471872B1 (ko) 안테나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CN216251114U (zh) 天线装置、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KR102312002B1 (ko) 무선 통신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
WO2022042000A1 (zh) 一种电子设备
CN217932730U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