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417A -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 및 렌즈 심취기 - Google Patents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 및 렌즈 심취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5417A KR20130105417A KR1020130025632A KR20130025632A KR20130105417A KR 20130105417 A KR20130105417 A KR 20130105417A KR 1020130025632 A KR1020130025632 A KR 1020130025632A KR 20130025632 A KR20130025632 A KR 20130025632A KR 20130105417 A KR20130105417 A KR 201301054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center
- support base
- support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9/00—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9/12—Measuring or gauging equipment for controlling the feed movement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equipment, e.g. for indicating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involving opt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7/00—Drives or gearings; Equipment therefor
- B24B47/22—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 B24B47/225—Equipment for exact control of the position of the grinding tool or work at the start of the grinding operation for bevelling optical work, e.g. len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외주 가공 중 내지 가공 후의 렌즈의 광축과 이것을 지지하고 있는 홀더의 축심 내지 회전 중심과의 어긋남을 높은 정밀도로 검출하는 심 어긋남 검출기 및 그 검출기를 구비한 렌즈 심취기를 제공한다.
렌즈를 얹어놓는 회전 받이대와, 이 받이대의 위쪽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에 받이대 위의 렌즈(L)를 받이대(1)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자유 회전 가능한 누름 링과, 이 누름 링의 중심구멍을 통하여 받이대 위의 렌즈에 투사된 투사광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받이대 위에서의 렌즈의 경사를 검출하는 광학 계측기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계측기는, 렌즈의 위쪽으로부터 투사한 투사광의 반사광을 2차원 수광소자상에 결상시켜, 그 결상 위치에서 투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편심방향 및 편심량을 계측한다.
렌즈를 얹어놓는 회전 받이대와, 이 받이대의 위쪽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에 받이대 위의 렌즈(L)를 받이대(1)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자유 회전 가능한 누름 링과, 이 누름 링의 중심구멍을 통하여 받이대 위의 렌즈에 투사된 투사광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받이대 위에서의 렌즈의 경사를 검출하는 광학 계측기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계측기는, 렌즈의 위쪽으로부터 투사한 투사광의 반사광을 2차원 수광소자상에 결상시켜, 그 결상 위치에서 투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편심방향 및 편심량을 계측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의 광축과 그 렌즈를 얹어 놓은 받이대의 축심 내지 회전 중심과의 어긋남을 검출하는 렌즈의 심(芯) 어긋남 검출기 및 그 검출기를 구비한 렌즈 심취기(芯取機)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그 표리면의 구면(球面) 가공을 행하고 나서, 가공된 구면에 의해서 결정되는 광축을 기준으로 하여 외주(外周) 가공을 행한다. 이 광축을 기준으로서 렌즈의 외주 가공을 행하는 장치를 심취기라고 칭하고 있다. 일반적인 심취기는 렌즈를 유지하여 회전하는 홀더와, 이 홀더에 유지된 렌즈의 외주를 향해서 근접 이격(離隔)하는 회전 숫돌과, 이 회전 숫돌의 상기 근접 이격방향의 이동 위치를 제어하는 NC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NC장치는, 홀더의 축심 내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숫돌의 위치를 설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외주 가공을 행하기 위해서는, 그 전제로서 가공되는 렌즈가 그 광축을 홀더의 회전 중심으로 정확하게 일치시켜(심출되어) 유지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홀더상의 렌즈의 심출 방법으로서는, 진원(眞圓)의 엣지를 가지는 상향과 하향의 벨 컵으로 렌즈를 가볍게 상하에 끼워 지지한 상태로 상하의 벨 컵을 동기 회전 구동하는 방법이나, 렌즈를 유지한 홀더를 소정 각도씩 회전시켜 각 회전위치에 있어서의 렌즈 구면의 주변 부분의 위치를 다이얼 게이지로 계측하여 렌즈 광축과 홀더의 축심과의 편심 방향 및 편심량을 연산하고, 편심방향을 외주 연삭용의 숫돌을 향해서, 그 숫돌로 편심량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렌즈를 눌러 움직이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본원의 출원인은, 일본 특허출원 2011-237377호에서, 새로운 심출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렌즈 심취기는, 이상과 같이 하여 렌즈를 홀더상에서 심출한 후, 홀더를 회전하면서 숫돌로 렌즈의 외주 연삭을 행한다. 이 외주 연삭중에 가공 반력(反力) 등에 의해 렌즈가 홀더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를 부압(負壓)으로 홀더상에 강고하게 흡착하여 가공을 행하거나, 상기의 하향 벨 컵과 같은 누름 부재로 렌즈를 끼워 지지하여 가공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렌즈를 손상시키는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끼워 지지하는 힘을 그리 크게 하지 못하여, 가공 중에 렌즈가 홀더상에서 이동하여 심 어긋남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외주 가공 중에 일어나는 렌즈의 심 어긋남을 심취기상에서 검출하지 못하고, 그 후의 공정에서 렌즈의 광축이 렌즈 외주의 중심에 일치하고 있는지를 계측하여, 심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는 렌즈를 불량품으로서 폐기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여, 심취기상에서 가공 중 내지 가공 후의 렌즈의 광축과 이것을 지지하고 있는 홀더의 축심 내지 회전 중심과의 어긋남을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심 어긋남 검출기 및 그러한 검출기를 구비한 렌즈 심취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 발명의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는, 렌즈(L)를 얹어놓는 받이대(1)와, 이 받이대의 위쪽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에 받이대(1)상의 렌즈(L)를 받이대(1)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누름 링(2)과, 이 누름 링의 중심구멍(21)을 통하여 받이대 위의 렌즈(L)에 투사된 빔 형상의 투사광(31)의 반사광(33)을 수광하여 받이대 위에서의 렌즈의 편심(경사)을 검출하는 광학 계측기(3)를 구비하고 있다. 받이대(1)와 누름 링(2)은, 렌즈(L)의 광축을 주축 축선(a)과 일치시켜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를 형성하고 있다.
광학 계측기(3)는, 받이대(1)에 얹어 놓여진 렌즈(L)의 위쪽으로부터 그 렌즈의 표면에서 광점(光點)이 되는 투사광(31)을 투사하고, 그 반사광(33)을 2차원 수광 소자(35)상에 결상(結像)시켜, 그 결상 위치에서 투사광(31)에 대한 반사광(33)의 편심방향 및 편심량(e)을 계측한다.
받이대(1)는, 주축 축선(a) 회전으로 회전 구동 가능하다. 투사광(31) 및 그 반사광(33)을 통과시키는 중심구멍(21)을 구비한 누름 링(2)은, 승강대(23)에 베어링(22)으로 그 중심축 회전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렌즈(L)는, 받이대(1)와 누름 링(2)으로 끼워 지지된다. 이 상태로 받이대(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렌즈(L)와 누름 링(2)이 받이대(1)와 함께 회전되고, 렌즈(L)상에 투사된 빛의 반사광(33)은, 광학 계측기의 수광 소자(35)상에 원 궤적(c)을 그린다. 심 어긋남 검출기(30)는, 이 원 궤적의 중심(p)과 받이대(1)를 정지했을 때의 수광점(s)의 위치 관계로부터, 받이대(1)상의 렌즈(L)의 편심방향을 계측하여, 그 원 궤적의 지름으로부터, 렌즈의 편심량(e)을 계측한다.
이 발명의 심 어긋남 검출기(30)와, 받이대 위에 얹어 놓여진 렌즈(L)의 광축을 받이대(1)의 회전 중심에 일치시키는 심출 수단(4)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가공 전, 가공 중 및 가공 후의 임의의 타이밍에서 받이대(1)상의 렌즈(L)의 광축과 받이대(1)의 회전 중심과의 어긋남(편의)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가공 중에 심 어긋남이 생겼을 때에 그 심 어긋남을 수정하여 가공을 계속할 수 있는 렌즈 심취기를 얻을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해, 받이대(1)상의 렌즈의 심 어긋남을, 가공 전은 물론, 가공 중 및 가공 후의 어느 타이밍에서도 검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받이대(1), 렌즈(L) 및 그 렌즈를 누르고 있는 누름 링(2)이 회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렌즈의 심 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검출을 위해서 가공을 중지하거나 받이대(1)의 회전을 정지할 필요가 없고, 가공 능률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다.
가공 중에 렌즈의 심 어긋남이 검출되면, 가공을 일시 정지하고 심 어긋남을 수정하여 재가공할 수도 있고, 수정 불가능하면 가공 도중에 렌즈를 폐기할 수 있다. 또한, 가공 후의 렌즈에 심 어긋남이 검출되면, 그 시점에서 불량 렌즈를 폐기할 수 있어, 후공정에서의 심 어긋남의 계측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누름 링(2)을 받이대(1)상의 렌즈로부터의 마찰력으로 회전하는 질량이 작은 자유 회전체로 함으로써, 종래의 벨 컵 방식에 있어서의 상부 컵의 동기 구동장치가 불필요하고, 또한 렌즈를 누르는 힘의 제어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심 어긋남 검출기를 구비한 심취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심취기의 심 어긋남 검출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렌즈의 편심과 반사광의 편차를 과장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광학 계측기의 2차원 수광 소자상의 수광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심취기의 심 어긋남 검출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렌즈의 편심과 반사광의 편차를 과장하여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광학 계측기의 2차원 수광 소자상의 수광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심 어긋남 검출기를 구비한 렌즈 심취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렌즈 심취기는, 연직 방향의 축선(주축 축선)(a) 회전으로 회전 구동되는 주축(11)과, 이 주축의 상단에 고정된 상향 컵 형상의 받이대(1)와, 이 받이대의 위쪽으로 배치된 누름 링(2)과, 받이대(1)와 누름 링(2)으로 끼워 지지하여 유지한 렌즈(L)의 외주를 가공하는 회전 숫돌(47)을 구비하고 있다. 누름 링(2)은, 승강 가능하고 주축 축선(a) 회전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다. 주축(11) 및 그 상단에 고정된 받이대(1)는, 주축 모터(12)로 회전 구동된다.
주축(11)은, 중공(中空)축이고, 그 중공구멍(13)은, 받이대(1)의 컵내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주축의 중공구멍(13)의 하단은, 받이대(1)상에서 렌즈를 띄우기 위한 공기압 공급 장치(5)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압 공급 장치(5)는, 압력 설정기(51)를 구비하고 있어, 이 압력 설정기를 통과한 공기가 전환 밸브(52), 회전 이음새(53) 및 주축(11)의 중공구멍(13)을 통과하여 받이대(1)내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심 어긋남 검출기(30)는, 상기 구조의 받이대(1) 및 누름 링(2)과, 누름 링(2)의 중심구멍을 통하여 받이대(1)상의 렌즈(L)에 주축 축선방향의 빔 형상의 투사광(31)을 투사하고, 또한 그 투사광의 반사광(33)을 누름 링(2)의 중심구멍을 통하여 수광하는 광학 계측기(실시예는 오토콜리미터(autocollimeter)(3)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 링(2)은, 렌즈에 접촉하는 하면(下面)이 합성수지제이고, 위쪽의 원통부를 볼 베어링(ball bearings)(22)의 이너링(inner ring)에 끼워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볼 베어링(22)의 아우터링(outer ring)은, 승강대(23)에 설치한 주축 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상하 방향의 관통구멍에 끼워 부착되어 있다. 승강대(23)는, 승강 실린더(24)의 본체(25)의 헤드 엔드(head end)측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25)는, 주축 축선(a) 방향의 실린더 가이드(26)(도 2)로 승강 가능하게 안내되어, 그 로드의 선단(27)이 심 어긋남 검출기(30)가 움직이지 않는 위치에 연결되어 있다. 즉, 승강 실린더(24)에 유체압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실린더 본체(25)가 승강하고, 하강했을 때에 승강대(23)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누름 링(2)이, 받이대(1)상에 얹어 놓여진 렌즈(L)를 받이대(1)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한다.
광학 계측기인 오토콜리미터(3)는, 그 광축을 주축 축선(a)과 동일 축으로 하여 누름 링(2)의 위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토콜리미터(3)는, 주축 축선(a) 방향의 가이드 레일(28)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 클램퍼(29)로 파지(把持)되어, 도시하지 않은 승강 장치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초점이 조정 가능하다.
도 1에는, 오토콜리미터(3)의 내부 구조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오토콜리미터(3)는, 받이대(1)상의 렌즈(L)를 향해서 빔 형상의 투사광(31)을 투사하는 투광기(32)와, 렌즈(L)로부터의 반사광(33)을 하프미러(34)로 직각으로 반사하여 수광하는 2차원 수광 소자(35)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기(32)로부터 투사된 투사광은, 렌즈(L)의 표면에 광점(초점)이 되어 조사(照射)되고, 그 반사광(33)이 수광 소자(35)의 수광면상에서 결상하여, 그 위치 정보가 전기신호로서 출력된다. 누름 링(2)의 중심구멍(21)은, 투사광(31) 및 그 반사광(33)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되어 있다.
렌즈(L)의 광축과 받이대(1)의 축심이 어긋나(편심되어) 있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가 경사진다. 이 경사는, 받이대(1)의 원형의 에지(14)에 접촉하고 있는 렌즈 하면의 곡률이 클수록 크고, 볼록면이나 오목면에서 경사의 방향이 거꾸로 된다. 렌즈의 광축 중심에서는, 렌즈면은 광축과 직각이며, 여기에 투사된 투사광은 입사 방향으로 반사된다. 렌즈가 편심하여 경사져 있으면, 반사광은 입사광으로부터 어긋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 소자(35)상의 수광점(s)의 위치가 어긋나, 받이대(1)의 회전에 의해서 수광점(s)은, 원 궤적(c)을 그린다.
이 원 궤적의 중심(p)은, 주축 축선(a)에 대응하는 수광면상의 점이다. 이 중심점(p)을 원점으로서 수광점(s)의 편심방향 및 편심량(원의 반지름)(e)을 계측하면, 오토콜리미터(3)의 수광면의 원점(o)이 받이대(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정확한 편심방향 및 편심량을 계측할 수 있다. 외주 가공 중, 즉 받이대(1)의 회전 중에는, 수광점(s)의 편심방향은 계측할 수 없지만, 편심량(e)은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외주 가공 중에 편심량(e)을 감시하여, 편심량(e)이 NC장치로 설정한 역치(허용치)를 넘었을 때에 심 어긋남이 발생한 것으로 하여 주축 회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편심량(e)이 수정 가능하면 편심방향을 계측한다.
도 1의 장치에는, 받이대(1)상에서 렌즈(L)를 반지름 방향으로 눌러 심 어긋남을 수정하는 압동체(4)가 설치되어 있다. 렌즈 압동체(4)는, 합성수지제로, 압전 소자(44)를 사이에 두고 이동대(41)에 탑재되어 있다. 이동대(41)는, 도시되지 않은 볼 너트를 사이에 두고 이송 나사(42)에 연결되고, 이 이송 나사가 NC장치(6)에 의해서 서보 제어되는 이송 모터(43)로 회전 구동되어 있다.
NC장치(6)는, 오토콜리미터(3)의 검출 신호와, 미리 입력된 렌즈 하면이 오목면인지 볼록면인지(편심방향이 180도 반대로 된다)에 기초하여, 받이대(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렌즈(L)의 광축의 편심방향을 검출하여 그 편심방향이 압동체(4)를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주축 모터(12)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위상 제어수단(61)과, 오토콜리미터(3)의 편심량(e)의 계측치에 기초하여 이송 모터(43)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스트로크 제어수단(62)을 구비하고 있다.
압전 소자(44)에는, 이것을 이동대(41)의 이동 방향으로 진동시키기 위한 교류 전원(45)이 접속되어 있다. NC장치(6)는, 압전 소자(44)를 진동시키는 교류 전원(45)의 온 오프 스위치(46)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의 심취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누름 링(2)이 상승한 상태에서 받이대(1)상에 렌즈(L)가 반입되면, 오토콜리미터(3)는, 그 렌즈(L)상에 투사광(31)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2차원 수광 소자(35)로 수광한다. 다음에 주축(11)을 천천히 회전하고, 수광 소자(35)상에서 수광점(s)에 원 궤적(c)을 그리게 하여, 그 원의 반지름으로부터 받이대(1)의 회전 중심에 대한 렌즈(L)의 편심량을 계측한다. 다음에 주축(11)을 정지하고, 상기의 원의 중심(p)과 받이대(1)를 정지했을 때의 수광점(s)과의 상대 위치 관계로부터, 편심방향을 검출한다.
NC장치(6)는, 검출된 편심방향이 압동체(4)를 향하도록 주축 모터(12)에 회전 지령을 내린다. 다음에 NC장치는, 이송 모터(43)에 전진 지령을 내린다. 이 전진 중에 오토콜리미터(3)로부터 수광점(s)의 이동 개시 신호를 받았을 때에, 압동체(4)가 렌즈(L)의 외주에 접촉하였다고 판단하여, 스트로크 제어수단(62)에 계측 개시 지령을 내린다. 스트로크 제어수단(62)은, 계측 개시 지령이 내려졌을 때의 압동체(4)의 위치로부터 이미 계측되어 있는 편심량(e)만큼 압동체(4)를 전진시킨 위치에서, 이송 모터(43)를 정지시킨다.
압동체(4)로 렌즈(L)를 누를 때, 필요에 따라서 교류 전원(45)의 스위치(46)를 온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진동 이송을 선택할 수 있다. 렌즈가 무거울 때에는, 공기압 공급 장치(5)로부터 받이대(1)에 공기압을 공급하여 받이대(1)에 작용하는 렌즈의 하중을 저감하는 것에 의해, 렌즈를 눌러 이동할 때의 마찰 부하를 저감하여 렌즈(L)를 눌러 이동할 수 있다. 진동 이송은, 이른바 스틱 슬립 현상에 의해서 렌즈(L)가 그 정지 위치를 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압동체(4)로 렌즈(L)를 누를 때, 눌러 이동 중에 렌즈(L)가 압동체(4)의 전진 방향으로부터 어긋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있고, 또한 관성으로 렌즈가 불필요하게 움직여 버리기도 한다. 따라서 누름 이동동작의 종료 후, 오토콜리미터(3)로 렌즈(L)의 편심을 확인하여, 소정의 오차 범위(역치)내에 들어가 있으면 외주 가공을 시작하고, 들어가 있지 않을 때는, 다시 편심방향과 편심량을 계측하여 상기의 심출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렌즈의 심출이 종료하면, 누름 링(2)을 하강하여 받이대(1)와 누름 링(2)으로 렌즈(L)를 끼워 지지하고, 주축 모터(12)로 주축(11)을 회전하여 렌즈(L)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 숫돌(47)을 회전시켜, 렌즈의 외주 형상이 소정 형상이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숫돌 이송 모터로 숫돌대(48)를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렌즈(L)의 광축을 기준으로 한 렌즈의 외주 가공을 행한다.
이 외주 가공 중에, 오토콜리미터(3)는, 렌즈(L)상에 투사광(31)을 투사하고, 그 반사광을 2차원 수광 소자(35)로 계속 수광한다. 가공 중에 렌즈(L)에 심 어긋남이 일어나면, 수광 소자(35)상에서 수광점(s)이 원 궤적(c)을 그리기 시작하기 때문에, 그 원의 반지름이 NC장치(6)에 등록된 역치를 넘으면, 주축(11)을 정지하여, 상기의 원의 중심과 받이대(1)를 정지했을 때의 수광점(s)과의 상대 위치 관계로부터, 편심방향을 검출한다.
계측한 편심량(e)이 수정 가능한 양이면, NC장치(6)는, 누름 링(2)을 상승하고, 검출된 편심방향이 압동체(4)를 향하도록 주축 모터(12)를 회전하여, 압동체(4)로 검출한 편심량(e)만큼 렌즈(L)를 눌러 이동하여 재심출을 한 후, 누름 링(2)을 하강하여 외주 연삭가공을 재개한다. 편심량이 수정 불가능한 양이면, 그 렌즈를 심취기로부터 배출한다.
1 : 받이대
2 : 누름 링
3 : 광학 계측기(오토콜리미터)
4 : 압동체
6 : NC장치
21 : 누름 링의 중심구멍
22 : 베어링
23 : 승강대
24 : 실린더
30 : 심 어긋남 검출기
31 : 투사광
32 : 투광기
33 : 반사광
35 : 수광 소자
61 : 위상 제어수단
62 : 스트로크 제어수단
a : 주축 축선
c : 원 궤적
L : 렌즈
p : 원 궤적의 중심
s : 수광점
2 : 누름 링
3 : 광학 계측기(오토콜리미터)
4 : 압동체
6 : NC장치
21 : 누름 링의 중심구멍
22 : 베어링
23 : 승강대
24 : 실린더
30 : 심 어긋남 검출기
31 : 투사광
32 : 투광기
33 : 반사광
35 : 수광 소자
61 : 위상 제어수단
62 : 스트로크 제어수단
a : 주축 축선
c : 원 궤적
L : 렌즈
p : 원 궤적의 중심
s : 수광점
Claims (6)
- 광축을 회전 중심에 일치시켜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받이대와,
이 받이대의 위쪽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에 받이대 위의 렌즈를 그 받이대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누름 링과,
이 누름 링의 중심구멍을 통하여 받이대 위의 렌즈에 그 받이대의 회전 중심축방향의 투사광을 투사하여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그 받이대 위에서의 렌즈의 경사를 검출하는 광학 계측기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계측기가, 상기 투사광을 렌즈 표면에 광점으로 하여 투사하고, 그 반사광을 2차원 수광면상에 결상시켜, 그 결상 위치로부터 투사한 투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편심방향 및 편심량을 검출하는, 심 어긋남 검출기.
- 제 2 항에 있어서, 중심축 회전으로 회전 구동되는 상기 받이대와, 승강대에 그 중심축 회전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누름 링을 구비하고 있는, 심 어긋남 검출기.
- 제 3 항에 있어서, 받이대와 누름 링으로 렌즈를 끼워 지지한 상태로 받이대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광학 계측기의 수광면상에 원 궤적을 그리게 하고, 그 원 궤적의 중심과 받이대를 정지했을 때의 수광점의 위치로부터 렌즈의 편심방향을 계측하여, 그 원 궤적의 지름으로부터 렌즈의 편심량을 계측하는,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
-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기재된 심 어긋남 검출기와, 받이대 위에 얹어 놓여진 렌즈의 광축을 받이대의 중심 내지 회전 중심에 일치시키는 심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렌즈 심취기.
- 제 5 항에 있어서, 심출 수단이, 렌즈를 받이대의 회전 중심을 향하여 눌러 움직이는 압동체와, 이 압동체를 받이대의 축심을 향하여 이동하는 이송장치와, NC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NC장치는, 상기 광학 계측기의 계측치에 기초하여 렌즈의 편심방향을 압동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받이대를 회전시키는 위상 제어 수단과, 광학 계측기의 계측치에 기초하여 압동체를 받이대 중심을 향하여 진출시키는 스트로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렌즈 심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060535 | 2012-03-16 | ||
JP2012060535A JP2013193146A (ja) | 2012-03-16 | 2012-03-16 | レンズの芯ずれ検出器及びレンズ芯取機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5417A true KR20130105417A (ko) | 2013-09-25 |
Family
ID=48852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5632A KR20130105417A (ko) | 2012-03-16 | 2013-03-11 |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 및 렌즈 심취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3193146A (ko) |
KR (1) | KR20130105417A (ko) |
CN (1) | CN203100700U (ko) |
TW (1) | TWM461048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307A (ko) * | 2021-12-08 | 2023-06-15 | 주식회사 휴비츠 | 블로커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
CN118544191A (zh) * | 2024-07-24 | 2024-08-27 | 湖南工匠实创智能机器有限责任公司 | 一种镜片抛光修形对准方法及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42636C1 (ru) * | 2013-12-16 | 2015-02-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механики и оптики"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Способ центрировки линзы в оправе и опра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RU2544288C1 (ru) * | 2013-12-27 | 2015-03-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механики и оптики"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Способ центрировки линзы в оправе и опра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RU2602419C2 (ru) * | 2015-03-17 | 2016-11-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механики и оптики"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Способ центрировки линз объектива штабе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и оправы линз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RU2602418C2 (ru) * | 2015-03-17 | 2016-11-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механики и оптики"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юстировки линзы в оправе и опра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RU2602420C2 (ru) * | 2015-03-17 | 2016-11-20 |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технологий, механики и оптики" (Университет ИТМО) | Способ юстировки линзы в оправе и оправ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CN108956100B (zh) * | 2018-08-13 | 2020-12-04 | 合肥英睿系统技术有限公司 | 一种激光校准装置 |
CN109282971B (zh) * | 2018-11-05 | 2021-05-28 | 茂莱(南京)仪器有限公司 | 微透镜中心仪 |
RU192274U1 (ru) * | 2019-06-19 | 2019-09-11 |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вклейки коллиматор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14851A (ja) * | 1981-12-25 | 1983-07-08 | Nakamuratome Seimitsu Kogyo Kk | レンズ芯取機 |
JPS60259365A (ja) * | 1984-06-01 | 1985-12-21 | Tenryu Seiki Kk | レンズ芯取機のためのレンズ芯合わせ装置 |
US5080482A (en) * | 1990-05-29 | 1992-01-14 | Benz Research And Development Corporation | Lens alignment an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
JP4370064B2 (ja) * | 2001-07-23 | 2009-11-25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レンズの心取り装置 |
-
2012
- 2012-03-16 JP JP2012060535A patent/JP2013193146A/ja active Pending
-
2013
- 2013-03-11 KR KR1020130025632A patent/KR201301054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03-15 TW TW102204719U patent/TWM461048U/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03-15 CN CN201320117676XU patent/CN203100700U/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307A (ko) * | 2021-12-08 | 2023-06-15 | 주식회사 휴비츠 | 블로커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
CN118544191A (zh) * | 2024-07-24 | 2024-08-27 | 湖南工匠实创智能机器有限责任公司 | 一种镜片抛光修形对准方法及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193146A (ja) | 2013-09-30 |
TWM461048U (zh) | 2013-09-01 |
CN203100700U (zh) | 2013-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05417A (ko) | 렌즈의 심 어긋남 검출기 및 렌즈 심취기 | |
KR101948939B1 (ko) | 렌즈 심취기의 심출 방법 및 장치 | |
JP2006330210A (ja) | レンズの心出し方法及び装置 | |
JP2020085901A (ja) | 計時器ひげぜんまいのトルクを測定する方法及び製造支援機械設備 | |
US10350722B2 (en) | Polishing apparatus | |
JP2015051494A (ja) | 工具取り付け方法 | |
TWI623379B (zh) | Grinding device | |
KR102338708B1 (ko) | 연마 장치 | |
CN110893574B (zh) | 边缘修剪装置 | |
KR102427972B1 (ko) | 높이 측정용 지그 | |
KR20140118911A (ko) | 렌즈 가공장치 | |
JP3819141B2 (ja) | 研磨装置 | |
TWI549780B (zh) | The centering method and device of lens aligning machine | |
JP2021030311A (ja) | 加工装置 | |
KR101829025B1 (ko) |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 |
KR20180010407A (ko) | 렌즈 가공장치 | |
JP2008209537A (ja) | レンズ心出し装置及びレンズ心出し方法 | |
JP5555865B2 (ja) | 研磨装置 | |
JP2004130457A (ja) | 玉軸受の軌道輪用超仕上げ装置 | |
JP7537986B2 (ja) | ウェーハの研削方法 | |
KR20190115674A (ko) | 성형 연삭 장치 | |
JP5463091B2 (ja) | 工作物自動芯出し装置 | |
JP2022020283A (ja) | 研削装置および研削方法 | |
JP2009166175A (ja) | 偏芯調整装置および偏芯調整方法ならびに回転加工装置 | |
JP2003094309A (ja) | レンズ貼付装置及び貼付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