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579A - 다층 유전체 메모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다층 유전체 메모리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3579A KR20130103579A KR1020137016314A KR20137016314A KR20130103579A KR 20130103579 A KR20130103579 A KR 20130103579A KR 1020137016314 A KR1020137016314 A KR 1020137016314A KR 20137016314 A KR20137016314 A KR 20137016314A KR 20130103579 A KR20130103579 A KR 201301035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electric
- region
- dielectric barrier
- barrier region
- memory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92—Electrodes
- H10D1/696—Electrodes comprising multiple layers, e.g. comprising a barrier layer and a metal lay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7—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metal oxide memory material, e.g. perovskit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50—Resistive cell structure aspects
- G11C2213/54—Structure including a tunneling barrier layer, the memory effect implying the modification of tunnel barrier conductivity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3/00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is group
- G11C2213/70—Resistive array aspects
- G11C2213/79—Array wherein the access device being a transisto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53/0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 H10B53/30—Ferroelectric RAM [FeRAM] devices comprising ferroelectric memory capacitor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H10D1/682—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having dielectrics comprising perovskite structures
- H10D1/684—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having dielectrics comprising perovskite structures the dielectrics comprising multiple layers, e.g. comprising buffer layers, seed layers or gradient layers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2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는 고립형 메모리 스택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2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이 서브-영역을 갖는 고립형 메모리 스택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2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이 서브-영역을 갖는 고립형 메모리 스택의 단면도이다.
도 3은 3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는 고립형 메모리 스택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2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전극 영역에 음 전압 바이어스(negative voltage bias)가 인가되는 조건하에 있는 메모리 스택의 개략적인 에너지-거리 도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b는 2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전극 영역에 양 전압 바이어스(positive voltage bias)가 인가되는 조건하에 있는 메모리 스택의 개략적인 에너지-거리 도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3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전극 영역에 음 전압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조건하에 있는 메모리 스택의 개략적인 에너지-거리 도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3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전극 영역에 양 전압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조건하에 있는 메모리 스택의 개략적인 에너지-거리 도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액세스 트랜지스터들과 일체화된 메모리 스택들의 스텝들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크로스-포인트(cross-point)" 구성에 있는 메모리 배열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 탑-다운 뷰이다.
도 11은 "크로스-포인트" 구성에 있는 2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크로스-포인트" 구성에 있는 3개의 유전체 배리어 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Claims (36)
-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 사이의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제 1 두께를 갖고 또한 제 1 유전체 배리어 측벽을 구비함 - 과,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상기 제 1 두께와 다른 제 2 두께를 갖고 또한 제 2 유전체 배리어 측벽을 구비함 - 과,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측벽 및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측벽에 인접하는 층간 유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측벽 및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측벽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층간 유전체는 Si 및 O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 및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 각각은 W, Al 또는 Cu 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금속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1 전극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 영역은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과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 사이의 제 2 전극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 영역은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영역은 Ti 또는 Ta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영역은 Ti 또는 Ta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Si, Al, Mg, La, Gd, Dy, Pd 및 Sc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Al 또는 Mg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W, Ni, Mo, Cu, Ti, Ta, Hf, Sr, Ba, Pr, Ca 및 Mn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Hf 또는 Ti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그 조성이 화학양론적 조성으로부터 30% 내지 50%만큼 벗어난 유전체를 포함하는 제 1 유전체 서브-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그 조성이 화학양론적 조성으로부터 30% 내지 50%만큼 벗어난 유전체를 포함하는 제 2 유전체 서브-영역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구배형 조성(graded composition)을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는 0.5 nm 내지 2 nm인
메모리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두께는 5 nm 내지 10 nm인
메모리 디바이스.
-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 사이의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제 1 두께, 제 1 유전체 상수 및 제 1 유전체 배리어 측벽을 가짐 - 과,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상기 제 1 두께와 다른 제 2 두께, 상기 제 1 유전체 상수와 다른 제 2 유전체 상수 및 제 2 유전체 배리어 측벽을 가짐 - 과,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3 유전체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3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상기 제 2 두께와 다른 제 3 두께, 상기 제 2 유전체 상수와 다른 제 3 유전체 상수 및 제 3 유전체 배리어 측벽을 가짐 - 과,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측벽,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측벽 및 상기 제 3 유전체 배리어 측벽에 인접하는 층간 유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측벽, 상기 제 2 유전체 측벽 및 상기 제 3 유전체 측벽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층간 유전체는 Si와 O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는 제 1 장축(major axis)을 갖고,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는 제 2 장축을 가지며,
상기 제 2 장축은 상기 제 1 장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 및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 각각은 W, Al 또는 Cu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금속을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와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1 전극 영역을 더 포함하고,
제 1 전극 영역은 상기 하단 금속 인터커넥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유전체 배리어 영역과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 사이의 제 2 전극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 영역은 상기 상단 금속 인터커넥트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Si, Al, Mg, La, Gd, Dy, Pd 및 Sc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Al 또는 Mg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W, Ni, Mo, Cu, Ti, Ta, Hf, Sr, Ba, Pr, Ca 및 Mn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Hf 또는 Ti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전체 배리어 영역은 구배형 조성을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는 0.5 nm 내지 2 nm인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두께는 5 nm 내지 10 nm인
메모리 디바이스.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두께는 상기 제 1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모리 디바이스.
- 트랜지스터와,
콘택트와,
제 1 전극 영역과,
제 2 전극 영역과,
층간 유전체와,
상기 제 1 전극 영역과 상기 제 2 전극 영역 사이의 제 1 메모리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1 메모리 배리어 영역은 제 1 두께, 제 1 유전체 상수 및 제 1 메모리 배리어 측벽을 가짐 - 과,
상기 제 2 전극 영역과 상기 제 1 메모리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2 메모리 배리어 영역 - 상기 제 2 메모리 배리어 영역은 상기 제 1 두께와 다른 제 2 두께, 상기 제 1 유전체 상수와 다른 제 2 유전체 상수 및 제 2 메모리 배리어 측벽을 가짐 -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모리 배리어 측벽 및 상기 제 2 메모리 배리어 측벽은 상기 층간 유전체에 인접해 있고,
상기 제 1 메모리 배리어 측벽 및 상기 제 2 메모리 배리어 측벽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 영역은 상기 콘택트를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에 결합되어 있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 영역과 상기 제 2 메모리 배리어 영역 사이의 제 3 메모리 배리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메모리 배리어 영역은 상기 제 2 두께와 다른 제 3 두께 및 상기 제 2 유전체 상수와 다른 제 3 유전체 상수를 갖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배리어 영역은 Si, Al, Mg, La, Gd, Dy, Pd 및 Sc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 배리어 영역은 Al 또는 Mg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모리 배리어 영역은 W, Ni, Mo, Cu, Ti, Ta, Hf, Sr, Ba, Pr, Ca 및 Mn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요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두께는 0.5 nm 내지 2 nm인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두께는 5 nm 내지 10 nm인
메모리 디바이스.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두께는 상기 제 1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메모리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976,266 US8546944B2 (en) | 2010-12-22 | 2010-12-22 | Multilayer dielectric memory device |
US12/976,266 | 2010-12-22 | ||
PCT/US2011/064262 WO2012087622A2 (en) | 2010-12-22 | 2011-12-09 | Multilayer dielectric memor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3579A true KR20130103579A (ko) | 2013-09-23 |
KR101487715B1 KR101487715B1 (ko) | 2015-01-29 |
Family
ID=4631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6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87715B1 (ko) | 2010-12-22 | 2011-12-09 | 다층 유전체 메모리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2) | US8546944B2 (ko) |
KR (1) | KR101487715B1 (ko) |
CN (1) | CN103403868B (ko) |
TW (1) | TWI480981B (ko) |
WO (1) | WO2012087622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456A (ko) * | 2020-06-29 | 2022-01-05 |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 반전도성 금속 산화물 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454997B2 (en) | 2010-12-02 | 2016-09-27 | Micron Technology, Inc. | Array of nonvolatile memory cells having at least five memory cells per unit cell, having a plurality of the unit cells which individually comprise three elevational regions of programmable material, and/or having a continuous volume having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ertically oriented memory cells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ly oriented memory cells; array of vertically stacked tiers of nonvolatile memory cells |
US9627611B2 (en) | 2012-11-21 | 2017-04-18 | Micron Technology, Inc. | Methods for forming narrow vertical pillars and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the same |
US9701115B2 (en) * | 2013-10-31 | 2017-07-11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Printheads having memories formed thereon |
US9306165B2 (en) | 2014-03-27 | 2016-04-05 | Micron Technology, Inc. | Replacement materials processes for forming cross point memory |
US9245846B2 (en) * | 2014-05-06 | 2016-01-2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hip with programmable shelf life |
JP2020043163A (ja) * | 2018-09-07 | 2020-03-19 | キオクシア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US11145710B1 (en) * | 2020-06-26 | 2021-10-12 | Micron Technology, Inc. | Electrode/dielectric barrier material formation and structure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7640B1 (ko) | 1995-05-30 | 1998-08-01 | 김광호 |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및 그 제조방법 |
JP2001237395A (ja) | 2000-02-22 | 2001-08-3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半導体記憶装置 |
JP4103497B2 (ja) * | 2002-04-18 | 2008-06-18 | ソニー株式会社 | 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
WO2004077565A1 (ja) * | 2003-02-27 | 2004-09-10 | Tdk Corporation | 薄膜容量素子ならびにそれを含んだ電子回路および電子機器 |
KR100843717B1 (ko) * | 2007-06-28 | 2008-07-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로팅 바디 소자 및 벌크 바디 소자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그 제조방법 |
US7425761B2 (en) * | 2005-10-28 | 2008-09-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a dielectric film in a capacitor |
US7763923B2 (en) * | 2005-12-29 | 2010-07-27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 Metal-insulator-metal capacitor structure having low voltage dependence |
US7812384B2 (en) * | 2007-04-27 | 2010-10-12 | Kabushiki Kaisha Toshiba |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transistor and a ferroelectric capacitor |
US8295123B2 (en) | 2007-07-18 | 2012-10-23 | Panasonic Corporation | Current rectifying element, memory device incorporating current rectifying element,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KR100990615B1 (ko) * | 2008-06-03 | 2010-10-29 |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US7897453B2 (en) * | 2008-12-16 | 2011-03-01 | Sandisk 3D Llc | Dual insulating layer diode with asymmetric interface state and method of fabrication |
US8390100B2 (en) | 2008-12-19 | 2013-03-05 | Unity Semiconductor Corporation | Conductive oxide electrodes |
-
2010
- 2010-12-22 US US12/976,266 patent/US854694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12-09 WO PCT/US2011/064262 patent/WO2012087622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09 KR KR1020137016314A patent/KR101487715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2-09 CN CN201180068108.9A patent/CN10340386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2-13 TW TW100145991A patent/TWI48098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
- 2013-09-27 US US14/039,543 patent/US872970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456A (ko) * | 2020-06-29 | 2022-01-05 |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 반전도성 금속 산화물 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형성 방법 |
US12058873B2 (en) | 2020-06-29 | 2024-08-06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 Memory device including a semiconducting metal oxide fin transistor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US12349368B2 (en) | 2020-06-29 | 2025-07-01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 Memory device including a semiconducting metal oxide fin transistor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087622A2 (en) | 2012-06-28 |
US20140091429A1 (en) | 2014-04-03 |
US8729704B2 (en) | 2014-05-20 |
TWI480981B (zh) | 2015-04-11 |
US8546944B2 (en) | 2013-10-01 |
CN103403868B (zh) | 2017-10-24 |
CN103403868A (zh) | 2013-11-20 |
KR101487715B1 (ko) | 2015-01-29 |
WO2012087622A3 (en) | 2012-11-01 |
TW201240021A (en) | 2012-10-01 |
US20120161318A1 (en) | 2012-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29704B2 (en) | Multilayer dielectric memory device | |
US9117848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0858758B1 (ko) |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 |
US9449985B1 (en) | Memory cell with high-k charge trapping layer | |
JP5498011B2 (ja)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 |
US9299712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 |
TWI689084B (zh) | 在凹陷基板上形成的分離閘極快閃記憶體單元 | |
US9685565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2315224B (zh) | 使用FinFET的非易失性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 |
US20120139030A1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 |
US20100059808A1 (en) | Nonvolatile memories with charge trapping dielectric modified at the edges | |
US9368510B1 (en) | Method of forming memory cell with high-k charge trapping layer | |
JP2005235987A (ja) |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 |
KR102342550B1 (ko) | 반도체 장치 | |
US12218250B2 (en) |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structure in 3-d device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 |
TW201034171A (en) | Method and apparatus to suppress fringing field interference of charge trapping NAND memory | |
JP2011029576A (ja)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US7847333B2 (en) | Structured, electrically-formed floating gate for flash memories | |
CN109817640A (zh) | 包括存储器件的集成电路(ic)及其制造方法 | |
KR100779638B1 (ko) | 비휘발성 메모리 어레이 구조 | |
JP5232425B2 (ja) |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CN100565930C (zh) | 非易失性半导体存储装置 | |
JP2008091555A (ja) |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040994A (ja) |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US20250228148A1 (en) | Resistive memory device,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6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9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6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