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532A - 중합체 합성용의 촉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중합체 합성용의 촉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532A
KR20130103532A KR1020137009218A KR20137009218A KR20130103532A KR 20130103532 A KR20130103532 A KR 20130103532A KR 1020137009218 A KR1020137009218 A KR 1020137009218A KR 20137009218 A KR20137009218 A KR 20137009218A KR 20130103532 A KR20130103532 A KR 20130103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membered
nitrogen
independently sel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5648B1 (ko
Inventor
제이 제이. 파머
Original Assignee
노보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보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노보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0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6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2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 C08G64/34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 dioxide and cyclic 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18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as complexing atoms, e.g. in pyridine ligands, or in resonance therewith, e.g. in isocyanide ligands C=N-R or as complexed central atoms
    • B01J31/1805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containing nitrogen, phosphorus, arsenic or antimony as complexing atoms, e.g. in pyridine ligands, or in resonance therewith, e.g. in isocyanide ligands C=N-R or as complexed central atoms the ligands containing 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16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coordination complexes
    • B01J31/22Organic complexes
    • B01J31/2204Organic complexes the liga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complexing atoms
    • B01J31/2208Oxygen, e.g. acetylacetonates
    • B01J31/2226Anionic ligands, i.e. the overall ligand carries at least one formal negativ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6 or 16 of the Periodic Table
    • C07F11/005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6 or 16 of the Periodic Table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8, 9, 10 or 18 of the Periodic Table
    • C07F15/06Cobalt compounds
    • C07F15/065Cobalt compounds without a metal-carbon link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6Aluminium compounds
    • C07F5/069Aluminium compounds without C-aluminium lin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02Compositional aspects of complexes used, e.g. polynuclearity
    • B01J2531/0213Complexes without C-metal linkages
    • B01J2531/0216Bi- or polynuclear complexes, i.e. comprising two or more metal coordination centres, without metal-metal bonds, e.g. Cp(Lx)Zr-imidazole-Zr(Lx)C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02Compositional aspects of complexes used, e.g. polynuclearity
    • B01J2531/0238Complexes comprising multidentate ligands, i.e. more than 2 ionic or coordinative bonds from the central metal to the ligand, the latter having at least two donor atoms, e.g. N, O, S, P
    • B01J2531/0241Rigid ligands, e.g. extended sp2-carbon frameworks or geminal di- or trisubstitution
    • B01J2531/0252Salen ligands or analogues, e.g. derived from ethylenediamine and salicylaldehy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3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III (IIIA or IIIB)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31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6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VI (VIA or VIB)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62Chrom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531/00Additional information regarding catalytic systems classified in B01J31/00
    • B01J2531/80Complexes comprising metals of Group VIII as the central metal
    • B01J2531/84Metals of the iron group
    • B01J2531/845Cobal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에 있어서 증가된 활성을 지니는 이금속성 착체를 제공한다. 또, 중합체의 합성에서 이러한 금속 착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속 착체의 하나 이상의 금속 중심에 배위 결합된 다좌 리간드에 테더링된 공촉매 활성을 지니는 활성화 종을 포함하는 해당 금속 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합체 합성용의 촉매 및 방법{CATALYSTS AND METHODS FOR POLYMER SYNTHESI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382,860호(출원일: 2010년 9월 14일)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기초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aliphatic polycarbonate: APC)를 형성하기 위하여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공중합을 실행할 수 있는 촉매는 1960년 이래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었다. 초기의 촉매는 이종(heterogeneous) 아연 화합물을 기초로 하고 있어, 낮은 반응성, 중합체 형성 대 환식 카보네이트 형성에 대한 선택성의 결여 및 에터 결합으로 오염된 폴리카보네이트를 생성하는 경향을 문제로 지니고 있었다.
전이 금속을 기초로 하는 개량된 촉매는 지난 수십년 또는 그 이상에 걸쳐서 발견되어 왔다. 이들 보다 새로운 촉매는 증가된 반응성 및 개량된 선택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특허 제7,304,172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고도로 활성인 촉매를 이용해도, 고분자량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반응 시간은 전형적으로 상당히 길다. 또한, 상기 '172호 특허에 개시된 최상으로 구현되는 촉매는 최적 활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공촉매(co-catalyst)의 첨가를 필요로 한다.
이들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져 왔다. Nozaki 및 그의 동료들에 의해 기술된 촉매(Angew . Chem . Int . Ed. 2006, 45, 7274 -7277)는 해당 촉매의 리간드에 아민 공촉매를 테더링한다(tether). 이들 차세대 촉매계는 길고 복잡한 합성과 중합의 개시 전에 바람직하지 않은 유도를 받게 된다. 고분자량 APC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중합 시간을 더욱 감소시킬 증가된 활성을 지니는 촉매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하나보다 많은 금속 중심을 지니면서 테더링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 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다수-금속 착체(multi-metal complex)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에 있어서 활성을 지니는 다수-금속 착체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수-금속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 중심에 배위 결합된 리간드 착체에 테더링된 공촉매 활성을 지니는 활성화 종을 구비한 다수-금속 착체를 제공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금속 착체 및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에 있어서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되는 금속 착체는 하기 구조를 지닌다:
Figure pct00001
상기 구조 중,
M1은 제1금속 원자이고;
M2는 제2금속 원자이며;
Figure pct00002
는 두 금속 원자를 배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좌 리간드계(multidentate ligand system)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03
은 상기 다좌 리간드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되,
Figure pct00004
는 상기 리간드계에 공유 결합된 링커 모이어티(linker moiety)이고, 각각의 Z는 활성화 작용기이며; m은 개별의 링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Z기의 수를 나타내는 1 내지 4의 정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공중합을 위한 방법을 포함하고, 이러한 방법은 이산화탄소의 존재 하에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를 상기 기재된 금속 착체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로부터의 환식 카보네이트의 형성방법을 포함하며, 이러한 방법은 이산화탄소의 존재 하에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를 상기 기재된 금속 착체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폴리에터의 형성 방법을 포함하되, 이러한 방법은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를 상기 기재된 다수-금속 착체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정의
특정 작용기 및 화학 용어의 정의를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화학 원소는 문헌[CAS version,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의 속표지의 원소 주기율표에 따라 확인되고, 특정 작용기는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추가로, 유기 화학의 일반 원리뿐만 아니라 특정 작용성 모이어티 및 반응성은 문헌[Organic Chemistry, Thomas Sorrel,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1999; Smith and March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5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2001; Larock,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VCH Publishers, Inc., New York, 1989; Carruthers, Some Modern Methods of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7]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예컨대, 거울상이성질체 및/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조성물은 개별적인 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또는 기하 이성질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입체이성질체들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거울상순수(enantiopure) 화합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특정 화합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Z 또는 E 이성질체로서 존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타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부재하는 개별적인 이성질체로서, 또는 다양한 이성질체의 혼합물, 예를 들면, 거울상이성질체들의 라세미 혼합물로서의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화합물 자체 이외에,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이성질체"란 용어는 임의의 및 모든 기하 이성질체 및 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속하는, 시스- 및 트랜스-이성질체, E- 및 Z-이성질체, R- 및 S-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D)-이성질체, (L)-이성질체, 이들의 라세미 혼합물 및 이들의 기타 혼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입체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부재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입체화학적으로 풍부한" 것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특정 거울상이성질체가 바람직한 경우, 이는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대 거울상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광학적으로 풍부한" 것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광학적으로 풍부한"이란, 화합물이 현저하게 큰 비율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약 90중량%의 거울상이성질체로 구성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합물은 적어도 약 95중량%, 97중량%, 98중량%, 99중량%, 99.5중량%, 99.7중량%, 99.8중량% 또는 99.9중량%의 거울상이성질체로 구성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 과량은 적어도 약 90%, 95%, 97%, 98%, 99%, 99.5%, 99.7%, 99.8% 또는 99.9%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거울상이성질체는 카이럴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카이럴 염의 형성과 결정화를 포함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라도 라세미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거나, 비대칭 합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Jacques, et al., Enantiomers , Racemates and Resolution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981); Wilen, S.H., et al., Tetrahedron 33:2725 (1977); Eliel, E.L. Stereo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McGraw-Hill, NY, 1962); Wilen, S.H. Tables of Resolving Agents and Optical Resolutions p. 268 (E.L. Eliel, Ed., Univ. of Notre Dame Press, Notre Dame, IN 1972)]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불소(플루오로, -F), 염소(클로로, -Cl), 브롬(브로모, -Br) 및 요오드(요오도, -I)로부터 선택된 원자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지방족" 또는 "지방족 기"는 직쇄(즉, 비분지형), 분지쇄 또는 환식(융합, 브리징 및 스피로-융합 다환식을 포함함)일 수 있는 탄화수소 모이어티를 나타내며, 완전히 포화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이 아닌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달리 특정되어 있지 않는 한, 지방족 기는 1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1 내지 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적절한 지방족 기로는 직쇄 혹은 분지쇄의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기,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예컨대, (사이클로알킬)알킬, (사이클로알케닐)알킬 또는 (사이클로알킬)알케닐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대체되는 지방족 기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란, 용어는 과불소화 화합물을 비롯한, 염소화 또는 불소화 지방족 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에폭사이드"란 용어는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즉, 비치환된) 옥시란을 지칭한다. 이러한 치환된 옥시란으로는 일치환된 옥시란, 이치환된 옥시란, 삼치환된 옥시란 및 사치환된 옥시란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에폭사이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추가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폭사이드는 단일 옥시란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폭사이드는 2개 이상의 옥시란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중합체"란 용어는, 그의 구조가 비교적 저분자량의 분자로부터 실제로 또는 개념적으로 유도된 단위의 다수의 반복을 포함하는, 비교적 고분자량의 분자를 지칭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단지 하나의 단량체 종(예컨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으로 구성된다. 소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합체는 1종 이상의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체, 삼원공중합체, 헤테로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또는 테이퍼링된(tapered) 헤테로중합체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불포화"란 용어는 모이어티가 하나 이상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단독으로 또는 보다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사용된, "지환식", "탄소환" 또는 "탄소환식"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3원 내지 12원을 지니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환식 지방족 단환식, 이환식 또는 다환식 고리계(여기서, 상기 지방족 고리계는 위에서 정의되고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로 치환됨)를 지칭한다. 지환식 기로는, 제한 없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뷰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펜테닐,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헵테닐,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옥테닐 및 사이클로옥타다이에닐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6개의 탄소를 지닌다. "지환식", "탄소환" 또는 "탄소환식"이라는 용어는, 또한 데카하이드로나프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고리에 융합된 지방족 고리를 포함하며, 여기서 라디칼 또는 부착점은 지방족 고리 상에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소환식 기는 이환식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소환식 기는 삼환식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탄소환식 기는 다환식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3- 내지 8-원 탄소환"이란 용어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식 고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이란 용어는, 지방족 모이어티로부터 단일 수소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포화 직쇄 또는 분지쇄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달리 특정되어 있지 않는 한, 알킬기는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킬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킬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킬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킬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킬기는 1 내지 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알킬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뷰틸, 아이소-뷰틸, sec-뷰틸, sec-펜틸, 아이소-펜틸, tert-뷰틸, n-펜틸, 네오펜틸, n-헥실, sec-헥실, n-헵틸, n-옥틸, n-데실, n-운데실, 도데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알케닐"이란 용어는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지방족 모이어티로부터 단일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1가 기를 나타낸다. 달리 특정되어 있지 않는 한, 알케닐기는 2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2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케닐기는 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알케닐기로는, 예를 들어, 에테닐, 프로페닐, 알릴, 1,3-뷰타다이에닐, 뷰테닐, 1-메틸-2-뷰텐-1-일, 알릴, 1,3-뷰타다이에닐, 알레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알키닐"이란 용어는, 적어도 1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지니는 직쇄 혹은 분지쇄 지방족 모이어티로부터 단일의 수소 원자를 제거하여 유도된 1가 기를 지칭낸다. 달리 특정되어 있지 않는 한, 알케닐기는 2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키닐기는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키닐기는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키닐기는 2 내지 5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키닐기는 2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키닐기는 2 내지 3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알키닐기는 2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알키닐기로는, 에티닐, 2-프로피닐(프로파길), 1-프로피닐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탄소환" 및 "탄소환식 고리"란 용어는, 고리가 단지 탄소 원자들을 함유하는 단환식 및 다환식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달리 특정되어 있지 않는 한, 탄소환은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일 수 있고, 3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대표적인 탄소환으로는 수개 열거하면, 사이클로프로판, 사이클로뷰탄, 사이클로펜탄, 사이클로헥산, 바이사이클로[2,2,1]헵탄, 노보넨, 페닐, 사이클로헥센, 나프탈렌 및 스피로[4.5]데칸을 들 수 있다.
"아르알킬", "아르알콕시" 또는 "아릴옥시알킬"에서와 같이 단독으로 혹은 보다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아릴"이란 용어는 총 6 내지 20개의 고리 원(ring member)을 지니는 단환식 및 다환식 고리계를 지칭하되, 여기서, 해당 계 내의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이고, 해당 계 내의 각 고리는 3 내지 12개의 고리 원을 포함한다. "아릴"이란 용어는, "아릴 고리"란 용어와 호환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릴"이란,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지닐 수 있는,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안트라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방향족 고리계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아릴"이란 용어의 범위 내에는 방향족 고리가 벤조퓨라닐, 인다닐, 프탈이미딜, 나프티미딜, 페난트리디닐 또는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추가의 고리에 융합된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8- 내지 14-원 아릴"이란 용어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지방족"이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가 산소, 황, 질소, 인 또는 붕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로 독립적으로 대체된 지방족 기를 지칭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는 산소, 황, 질소 또는 인 중 하나 이상으로 독립적으로 대체된다. 헤테로지방족 기는 치환 혹은 비치환된 분지 혹은 비분지쇄의 환식 혹은 비환식(acyclic)일 수 있고, 포화, 불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기를 포함한다.
단독으로, 혹은 예컨대, "헤테로아르알킬" 혹은 "헤테로아르알콕시" 등과 같은 보다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란 용어는, 5 내지 14개의 고리 원자, 바람직하게는 5, 6 또는 9개의 고리 원자를 지니는; 환식 배열에서 공유된 6, 10 또는 14개의 π 전자를 지니는; 그리고 탄소 원자에 부가해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기를 지칭한다. "헤테로원자"란 용어는 질소, 산소 또는 황을 지칭하고, 질소 혹은 황의 임의의 산화된 형태 및 염기성 질소의 임의의 4차화된 형태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릴기로는, 제한 없이, 티에닐, 퓨라닐,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아이소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티아졸릴, 아이소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지닐, 인돌리지닐, 퓨리닐, 나프티리디닐, 벤조퓨라닐 및 프테리디닐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아르-"란 용어는, 또한, 헤테로방향족 고리가 하나 이상의 아릴, 지환식 혹은 복소환식 고리에 융합되고, 라디칼 혹은 부착점이 헤테로방향족 고리 상에 있는 기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돌릴, 아이소인돌릴, 벤조티에닐, 벤조퓨라닐, 다이벤조퓨라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즈티아졸릴, 퀴놀릴, 아이소퀴놀릴, 신놀리닐,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4H-퀴놀리지닐, 카바졸릴, 아크리디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아이소퀴놀리닐 및 피리도[2,3-b]-1,4-옥사진-3(4H)-온을 들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단환식 또는 다환식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헤테로아릴 고리",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방향족"이란 용어와 호환가능하게 이용될 수 있고, 이들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용어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포함한다. "헤테로아르알킬"이란 용어는 헤테로아릴에 의해 치환된 알킬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및 헤테로아릴 부분은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이환식 헤테로아릴 고리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복소환", "복소환식", "복소환 라디칼" 및 "복소환 고리"란 용어는 호환가능하게 이용되고,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이고, 탄소 원자에 부가해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안정적인 5- 내지 7-원 단환식 또는 7-14-원 이환식 복소환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복소환의 고리 원자와 관련하여 이용될 경우, "질소"란 용어는 치환된 질소를 포함한다. 일례로서, 산소, 황 또는 질소로부터 선택된 0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고리에서, 질소는 N(3,4-다이하이드로-2H-피롤릴에서처럼), NH(피롤리디닐에서처럼), 또는 +NR(N-치환된 피롤리디닐에서처럼)일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3- 내지 7-원 복소환"이란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를 지칭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3- 내지 8-원 복소환"이란 용어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를 지칭한다.
복소환 고리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고리 원자의 어느 하나 및 안정한 구조로 되는 임의의 헤테로원자 혹은 탄소 원자에서 그의 펜던트기(pendant group)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라디칼의 예로는, 제한 없이,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도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아이소퀴놀리닐, 데카하이드로퀴놀리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라지닐, 다이옥사닐, 다이옥솔라닐, 다이아제피닐, 옥사제피닐, 티아제피닐, 몰폴리닐 및 퀴누클리디닐을 들 수 있다. "복소환", "복소환식", "복소환식 고리", "복소환 기", "복소환 모이어티" 및 "복소환 라디칼"이란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호환가능하게 이용되며, 또한 복소환식 고리가 1개 이상의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지환식 고리에 융합된 기, 예컨대, 인돌리닐, 3H-인돌릴, 크로마닐, 페난트리디닐 혹은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을 들 수 있고, 여기서 라디칼 혹은 부착점은 복소환식 고리 상에 있다. 복소환식 기는 단환식 혹은 이환식일 수 있다. "복소환식알킬"이란 용어는, 복소환식으로 치환된 알킬기를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 및 복소환식 부분은 독립적으로 임의의 치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아실"이란 용어는, 식 -C(O)R(식 중, R은 수소 또는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아릴, 또는 복소환 기임)을 지니는 기를 지칭한다.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부분 불포화"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또는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고리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부분 불포화"란 용어는, 불포화의 다수의 부위들을 갖는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합성 방법들이 다양한 보호기를 이용하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보호기"란 용어는, 특정 작용성 모이어티, 예를 들어, O, S 또는 N이 차폐 또는 차단되어, 필요한 경우, 반응이 다작용성 화합물의 또 다른 반응성 부위에서 선택적으로 수행되도록 허용함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호기는 우수한 수율로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보호 반응에 안정한 보호 기재를 제공하고; 상기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다른 작용기들을 공격하지 않는 비독성 시약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고; 상기 보호기는 분리가능한 유도체를 형성하고(보다 바람직하게는 신규한 입체생성 중심의 발생 없이); 상기 보호기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의 반응 부위를 피하는 최소의 추가의 작용성을 가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된 바와 같이, 산소, 황, 질소 및 탄소 보호기가 이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이드록실 보호기로는 메틸, 메톡실메틸(MOM), 메틸티오메틸(MTM), t-뷰틸티오메틸, (페닐다이메틸실릴)메톡시메틸(SMOM), 벤질옥시메틸(BOM), p-메톡시벤질옥시메틸(PMBM), (4-메톡시페녹시)메틸(p-AOM), 구아이아콜메틸(GUM), t-뷰톡시메틸, 4-펜테닐옥시메틸(POM), 실록시메틸, 2-메톡시에톡시메틸(MEM), 2,2,2-트라이클로로에톡시메틸, 비스(2-클로로에톡시)메틸,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SEMOR),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THP), 3-브로모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1-메톡시사이클로헥실,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MTHP),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4-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S,S-다이옥사이드, 1-[(2-클로로-4-메틸)페닐]-4-메톡시피페리딘-4-일(CTMP), 1,4-다이옥산-2-일,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오퓨라닐, 2,3,3a,4,5,6,7,7a-옥타하이드로-7,8,8-트라이메틸-4,7-메타노벤조퓨란-2-일, 1-에톡시에틸, 1-(2-클로로에톡시)에틸, 1-메틸-1-메톡시에틸, 1-메틸-1-벤질옥시에틸, 1-메틸-1-벤질옥시-2-플루오로에틸, 2,2,2-트라이클로로에틸,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2-(페닐셀레닐)에틸, t-뷰틸, 알릴, p-클로로페닐, p-메톡시페닐, 2,4-다이나이트로페닐, 벤질, p-메톡시벤질, 3,4-다이메톡시벤질, o-나이트로벤질, p-나이트로벤질, p-할로벤질, 2,6-다이클로로벤질, p-사이아노벤질, p-페닐벤질, 2-피콜릴, 4-피콜릴, 3-메틸-2-피콜릴 N-옥사이도, 다이페닐메틸, p, p'-다이나이트로벤즈하이드릴, 5-다이벤조수베릴, 트라이페닐메틸, α-나프틸다이페닐메틸, p-메톡시페닐다이페닐메틸, 다이(p-메톡시페닐)페닐메틸, 트라이(p-메톡시페닐)메틸, 4-(4'-브로모페나실옥시페닐)다이페닐메틸, 4,4',4"-트리스(4,5-다이클로로프탈이미도페닐)메틸, 4,4',4"-트리스(레불리노일옥시페닐)메틸, 4,4',4"-트리스(벤조일옥시페닐)메틸, 3-(이미다졸-1-일)비스(4',4"-다이메톡시페닐)메틸, 1,1-비스(4-메톡시페닐)-1'-피레닐메틸, 9-안트릴, 9-(9-페닐)잔테닐, 9-(9-페닐-10-옥소)안트릴, 1,3-벤조다이티올란-2-일, 벤즈아이소티아졸릴 S,S-다이옥사이도, 트라이메틸실릴(TMS), 트라이에틸실릴(TES),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TIPS), 다이메틸아이소프로필실릴(IPDMS), 다이에틸아이소프로필실릴(DEIPS), 다이메틸t헥실실릴, t-뷰틸다이메틸실릴(TBDMS), i-뷰틸다이페닐실릴(TBDPS), 트라이벤질실릴, 트라이-p-자일릴실릴, 트라이페닐실릴, 다이페닐메틸실릴(DPMS), t-뷰틸메톡시페닐실릴(TBMPS), 포르메이트, 벤조일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클로로아세테이트, 다이클로로아세테이트, 트라이클로로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메톡시아세테이트, 트라이페닐메톡시아세테이트, 페녹시아세테이트, p-클로로페녹시아세테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4-옥소펜타노에이트(레불리네이트), 4,4-(에틸렌다이티오)펜타노에이트(레불리노일다이티오아세탈), 피발로에이트, 아다만토에이트, 크로토네이트, 4-메톡시크로토네이트, 벤조에이트, p-페닐벤조에이트, 2,4,6-트라이메틸벤조에이트(메시토에이트), 알킬 메틸 카보네이트, 9-플루오레닐메틸 카보네이트(Fmoc), 알킬 에틸 카보네이트, 알킬 2,2,2-트라이클로로에틸 카보네이트(Troc),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카보네이트(TMSEC), 2-(페닐설포닐) 에틸 카보네이트(Psec), 2-(트라이페닐포스포니오) 에틸 카보네이트(Peoc), 알킬 아이소뷰틸 카보네이트, 알킬 비닐 카보네이트 알킬 알릴 카보네이트, 알킬 p-나이트로페닐 카보네이트, 알킬 벤질 카보네이트, 알킬 p-메톡시벤질 카보네이트, 알킬 3,4-다이메톡시벤질 카보네이트, 알킬 o-나이트로벤질 카보네이트, 알킬 p-나이트로벤질 카보네이트, 알킬 S-벤질 티오카보네이트, 4-에톡시-1-나프틸 카보네이트, 메틸 다이티오카보네이트, 2-요오도벤조에이트, 4-아지도뷰티레이트, 4-나이트로-4-메틸펜타노에이트, o-(다이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2-포르밀벤젠설포네이트, 2-(메틸티오메톡시)에틸, 4-(메틸티오메톡시)뷰티레이트, 2-(메틸티오메톡시메틸)벤조에이트, 2,6-다이클로로-4-메틸페녹시아세테이트, 2,6-다이클로로-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녹시아세테이트, 2,4-비스(1,1-다이메틸프로필)페녹시아세테이트, 클로로다이페닐아세테이트, 아이소뷰티레이트, 모노숙시노에이트, (E)-2-메틸-2-뷰테노에이트, o-(메톡시카보닐)벤조에이트, α-나프탈레이트, 나이트레이트, 알킬 N,N,N',N'-테트라메틸포스포로다이아미데이트, 알킬 N-페닐카바메이트, 보레이트, 다이메틸포스피노티오일, 알킬 2,4-다이나이트로페닐설페네이트, 설페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벤질설포네이트 및 토실레이트(Ts)를 들 수 있다. 1,2- 또는 1,3-다이올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기로는 메틸렌 아세탈, 에틸리덴 아세탈, 1-t-뷰틸에틸리덴 케탈, 1-페닐에틸리덴 케탈, (4-메톡시페닐)에틸리덴 아세탈, 2,2,2-트라이클로로에틸리덴 아세탈, 아세토나이드, 사이클로펜틸리덴 케탈, 사이클로헥실리덴 케탈, 사이클로헵틸리덴 케탈, 벤질리덴 아세탈, p-메톡시벤질리덴 아세탈, 2,4-다이메톡시벤질리덴 케탈, 3,4-다이메톡시벤질리덴 아세탈, 2-나이트로벤질리덴 아세탈, 메톡시메틸렌 아세탈, 에톡시메틸렌 아세탈, 다이메톡시메틸렌 오쏘 에스터, 1-메톡시 에틸리덴 오쏘 에스터, 1-에톡시에틸리딘 오쏘 에스터, 1,2-다이메톡시 에틸리덴 오쏘 에스터, α-메톡시벤질리덴 오쏘 에스터, 1-(N,N-다이메틸아미노)에틸리덴 유도체, α-(N, N'-다이메틸아미노)벤질리덴 유도체, 2-옥사사이클로펜틸리덴 오쏘 에스터, 다이-t-뷰틸실릴렌기(DTBS), 1,3-(1,1,3,3-테트라아이소프로필다이실록사닐리덴) 유도체(TIPDS), 테트라-t-뷰톡시다이실록산-1,3-다이일리덴 유도체(TBDS), 환식 카보네이트, 환식 보로네이트, 에틸 보로네이트 및 페닐 보로네이트를 들 수 있다. 아미노-보호기로는 메틸 카바메이트, 에틸 카바메이트, 9-플루오레닐메틸 카바메이트(Fmoc), 9-(2-설포)플루오레닐메틸 카바메이트, 9-(2,7-다이브로모)플루오레닐메틸 카바메이트, 2,7-다이-t-뷰틸-[9-(10,10-다이옥소-10,10,10,10-테트라하이드로티오잔틸)]메틸 카바메이트(DBD-Tmoc), 4-메톡시페나실 카바메이트(Phenoc), 2,2,2-트라이클로로에틸 카바메이트(Troc),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카바메이트(Teoc), 2-페닐에틸 카바메이트(hZ), 1-(1-아다만틸)-1-메틸에틸 카바메이트(Adpoc), 1,1-다이메틸-2-할로에틸 카바메이트, 1,1-다이메틸-2,2-다이브로모에틸 카바메이트(DB-t-BOC), 1,1-다이메틸-2,2,2-트라이클로로에틸 카바메이트(TCBOC), 1-메틸-1-(4-바이페닐릴)에틸 카바메이트(Bpoc), 1-(3,5-다이-t-뷰틸페닐)-1-메틸에틸 카바메이트(t-Bumeoc), 2-(2'- 및 4'-피리딜)에틸 카바메이트(Pyoc), 2-(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복스아마이도)에틸 카바메이트, t-뷰틸 카바메이트(BOC), 1-아다만틸 카바메이트(Adoc), 비닐 카바메이트(Voc), 알릴 카바메이트(Alloc), 1-아이소프로필알릴 카바메이트(Ipaoc), 신나밀 카바메이트(Coc), 4-나이트로신나밀 카바메이트(Noc), 8-퀴놀릴 카바메이트, N-하이드록시피페리디닐 카바메이트, 알킬다이티오 카바메이트, 벤질 카바메이트(Cbz), p-메톡시벤질 카바메이트(Moz), p-나이트로벤질 카바메이트, p-브로모벤질 카바메이트, p-클로로벤질 카바메이트, 2,4-다이클로로벤질 카바메이트, 4-메틸설피닐벤질 카바메이트(Msz), 9-안트릴메틸 카바메이트, 다이페닐메틸 카바메이트, 2-메틸티오에틸 카바메이트, 2-메틸설포닐에틸 카바메이트, 2-(p-톨루엔설포닐)에틸 카바메이트, [2-(1,3-다이티아닐)]메틸 카바메이트(Dmoc), 4-메틸티오페닐 카바메이트(Mtpc), 2,4-다이메틸티오페닐 카바메이트(Bmpc), 2-포스포니오에틸 카바메이트(Peoc), 2-트라이페닐포스포니오아이소프로필 카바메이트(Ppoc), 1,1-다이메틸-2-사이아노에틸 카바메이트, m-클로로-p-아실옥시벤질 카바메이트, p-(다이하이드록시보릴)벤질 카바메이트, 5-벤즈아이소옥사졸릴메틸 카바메이트, 2-(트라이플루오로메틸)-6-크로모닐메틸 카바메이트(Tcroc), m-나이트로페닐 카바메이트, 3,5-다이메톡시벤질 카바메이트, o-나이트로벤질 카바메이트, 3,4-다이메톡시-6-나이트로벤질 카바메이트, 페닐(o-나이트로페닐)메틸 카바메이트, 페노티아지닐-(10)-카보닐 유도체, N'-p-톨루엔설포닐아미노카보닐 유도체, N'-페닐아미노티오카보닐 유도체, t-아밀 카바메이트, S-벤질 티오카바메이트, p-사이아노벤질 카바메이트, 사이클로뷰틸 카바메이트, 사이클로헥실 카바메이트, 사이클로펜틸 카바메이트,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카바메이트, p-데실옥시벤질 카바메이트, 2,2-다이메톡시카보닐비닐 카바메이트, o-(N,N-다이메틸카복스아마이도)벤질 카바메이트, 1,1-다이메틸-3-(N,N-다이메틸카복스아마이도)프로필 카바메이트, 1,1-다이메틸프로피닐 카바메이트, 다이(2-피리딜)메틸 카바메이트, 2-퓨라닐메틸 카바메이트, 2-요오도에틸 카바메이트, 아이소보리닐 카바메이트, 아이소뷰틸 카바메이트, 아이소니코티닐 카바메이트, p-(p'-메톡시페닐아조)벤질 카바메이트, 1-메틸사이클로뷰틸 카바메이트, 1-메틸사이클로헥실 카바메이트, 1-메틸-1-사이클로프로필메틸 카바메이트, 1-메틸-1-(3,5-다이메톡시페닐)에틸 카바메이트, 1-메틸-1-(p-페닐아조페닐)에틸 카바메이트, 1-메틸-1-페닐에틸 카바메이트, 1-메틸-1-(4-피리딜)에틸 카바메이트, 페닐 카바메이트, p-(페닐아조)벤질 카바메이트, 2,4,6-트라이-t-뷰틸페닐 카바메이트, 4-(트라이메틸암모늄)벤질 카바메이트, 2,4,6-트라이메틸벤질 카바메이트, 포름아마이드, 아세트아마이드, 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 트라이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아마이드, 페닐아세트아마이드, 3-페닐프로판아마이드, 피콜린아마이드, 3-피리딜카복스아마이드, N-벤조일페닐알라닐 유도체, 벤즈아마이드, p-페닐벤즈아마이드, o-나이트로페닐아세트아마이드, o-나이트로페녹시아세트아마이드, 아세토아세트아마이드, (N'-다이티오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아세트아마이드, 3-(p-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아마이드, 3-(o-나이트로페닐)프로판아마이드, 2-메틸-2-(o-나이트로페녹시)프로판아마이드, 2-메틸-2-(o-페닐아조페녹시)프로판아마이드, 4-클로로뷰탄아마이드, 3-메틸-3-나이트로뷰탄아마이드, o-나이트로신나마이드, N-아세틸메티오닌 유도체, o-나이트로벤즈아마이드, o-(벤조일옥시메틸)벤즈아마이드, 4,5-다이페닐-3-옥사졸린-2-온, N-프탈이미드, N-다이티아숙신이미드(Dts), N-2,3-다이페닐말레이미드, N-2,5-다이메틸피롤, N-1,1,4,4-테트라메틸다이실릴아자사이클로펜탄 부가물(STABASE), 5-치환된 1,3-다이메틸-1,3,5-트라이아자사이클로헥산-2-온, 5-치환된 1,3-다이벤질-1,3,5-트라이아자사이클로헥산-2-온, 1-치환된 3,5-다이나이트로-4-피리돈, N-메틸아민, N-알릴아민, N-[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아민(SEM), N-3-아세톡시프로필아민, N-(1-아이소프로필-4-나이트로-2-옥소-3-피로콜린-3-일)아민, 4차 암모늄염, N-벤질아민, N-다이(4-메톡시페닐)메틸아민, N-5-다이벤조수베릴아민, N-트라이페닐메틸아민(Tr), N-[(4-메톡시페닐)다이페닐메틸]아민(MMTr), N-9-페닐플루오레닐아민(PhF), N-2,7-다이클로로-9-플루오레닐메틸렌아민, N-페로세닐메틸아미노(Fcm), N-2-피콜릴아미노 N'-옥사이드, N-1,1-다이메틸티오메틸렌아민, N-벤질리덴아민, N-p-메톡시벤질리덴아민, N-다이페닐메틸렌아민, N-[(2-피리딜)메시틸]메틸렌아민, N-(N' , N'-다이메틸아미노메틸렌)아민, N, N'-아이소프로필리덴다이아민, N-p-나이트로벤질리덴아민, N-살리실리덴아민, N-5-클로로살리실리덴아민, N-(5-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틸렌아민, N-사이클로헥실리덴아민, N-(5,5-다이메틸-3-옥소-1-사이클로헥세닐)아민, N-보란 유도체, N-다이페닐보린산 유도체, N-[페닐(펜타카보닐크롬- 또는 텅스텐)카보닐] 아민, N-구리 킬레이트, N-아연 킬레이트, N-나이트로아민, N-나이트로소아민, 아민 N-옥사이드, 다이페닐포스핀아마이드(Dpp), 다이메틸티오포스핀아마이드(Mpt), 다이페닐티오포스핀아마이드(Ppt), 다이알킬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다이벤질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다이페닐 포스포로아미데이트, 벤젠설펜아마이드, o-나이트로벤젠설펜아마이드(Nps), 2,4-다이나이트로벤젠설펜아마이드, 펜타클로로벤젠설펜아마이드, 2-나이트로-4-메톡시벤젠설펜아마이드, 트라이페닐메틸설펜아마이드, 3-나이트로피리딘설펜아마이드(Npys), p-톨루엔설폰아마이드(Ts), 벤젠설폰아마이드, 2,3,6,-트라이메틸-4-메톡시벤젠설폰아마이드(Mtr), 2,4,6-트라이메톡시벤젠설폰아마이드(Mtb), 2,6-다이메틸-4-메톡시벤젠설폰아마이드(Pme), 2,3,5,6-테트라메틸-4-메톡시벤젠설폰아마이드(Mte), 4-메톡시벤젠설폰아마이드(Mbs), 2,4,6-트라이메틸벤젠설폰아마이드(Mts), 2,6-다이메톡시-4-메틸벤젠설폰아마이드(iMds), 2,2,5,7,8-펜타메틸크로만-6-설폰아마이드(Pmc), 메탄설폰아마이드(Ms), β-트라이메틸실릴에탄설폰아마이드(SES), 9-안트라센설폰아마이드, 4-(4',8'-다이메톡시나프틸메틸)벤젠설폰아마이드(DNMBS), 벤질설폰아마이드, 트라이플루오로메틸설폰아마이드 및 페나실설폰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예시적인 보호기는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보호기로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님이 인정되며; 오히려 다양한 추가의 등가의 보호기가 상기 기준을 이용해서 용이하게 확인되어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보호기는 문헌[참조: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 W. Greene and P. G. M. Wuts,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1999]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다.
치환체가 본원에 기재되는 경우, 용어 "라디칼" 또는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란 용어가 때때로 이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라디칼"은 치환체가 결합된 구조에 대한 이용 가능한 부착 위치를 갖는 모이어티 또는 작용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부착점은 치환체가 하나의 치환체보다 오히려 독립적인 중성 분자인 경우, 수소 원자를 가질 것이다. 이 맥락에서, "라디칼" 또는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란 용어는 이와 같이 해서 "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기"와 호환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치환된" 모이어티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환된"이란 용어는, "임의로"란 용어가 선행하든 하지 않는지 간에, 지정된 모이어티의 하나 이상의 수소가 적합한 치환체로 대체됨을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임의로 치환된 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은 해당 기의 각각의 치환가능한 위치에서의 적합한 치환체를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주어진 구조에서의 하나 이상의 위치가 특정된 기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는 경우, 치환체는 모든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계획된 치환체들의 조합은 바람직하게는 안정하거나 화학적으로 실행 가능한 화합물의 형성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은 "안정한"이란 용어는 그의 생성, 검출 및 소정의 실시형태에서는, 그의 회수, 정제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목적에 대한 용도를 고려한 조건으로 처리 시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 화합물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의 일부 화학적 구조에서는, 표시된 분자의 고리 내에서 결합을 교차하는 결합에 치환체들이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있다. 이러한 관습은 하나 이상의 치환체가 어떠한 이용 가능한 위치에서 (통상적으로 모 구조의 수소원자 대신) 고리에 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렇게 치환된 고리의 원자가 2개의 치환가능한 위치를 갖는 경우, 두 기는 동일한 고리 원자에 존재할 수 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치환체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정의되고, 각각은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리의 결합을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낸 치환체가 -R인 경우, 이는 고리가 선행 문단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임의로 치환된" 것이라고 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치환가능한 탄소 원자 상의 적합한 1가 치환체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H2)0-4R
Figure pct00005
; -(CH2)0-4OR
Figure pct00006
; -O-(CH2)0-4C(O)OR
Figure pct00007
; -(CH2)0-4CH(OR
Figure pct00008
)2; -(CH2)0-4SR
Figure pct00009
; R
Figure pct00010
로 치환될 수 있는 -(CH2)0-4Ph; R
Figure pct00011
로 치환될 수 있는 -(CH2)0-4O(CH2)0-1Ph; R
Figure pct00012
로 치환될 수 있는 -CH=CHPh; -NO2; -CN; -N3; -(CH2)0-4N(R
Figure pct00013
)2; -(CH2)0-4N(R
Figure pct00014
)C(O)R
Figure pct00015
; -N(RR
Figure pct00016
)C(S)R
Figure pct00017
; -(CH2)0-4N(R
Figure pct00018
)C(O)NR
Figure pct00019
2; -N(R
Figure pct00020
)C(S)NR
Figure pct00021
2; -(CH2)0-4N(R
Figure pct00022
)C(O)OR
Figure pct00023
; -N(R
Figure pct00024
)N(R
Figure pct00025
)C(O)R
Figure pct00026
; -N(R
Figure pct00027
)N(R
Figure pct00028
)C(O)NR
Figure pct00029
2; -N(R
Figure pct00030
)N(R
Figure pct00031
)C(O)OR
Figure pct00032
; -(CH2)0-4C(O)R
Figure pct00033
; -C(S)R
Figure pct00034
; -(CH2)0-4C(O)OR
Figure pct00035
; -(CH2)0-4C(O)N(R
Figure pct00036
)2; -(CH2)0-4C(O)SR
Figure pct00037
; -(CH2)0-4C(O)OSiR
Figure pct00038
3; -(CH2)0-4OC(O)R
Figure pct00039
; -OC(O)(CH2)0-4SR-, SC(S)SR
Figure pct00040
; -(CH2)0-4SC(O)R
Figure pct00041
; -(CH2)0-4C(O)NR
Figure pct00042
2; -C(S)NR
Figure pct00043
2; -C(S)SR
Figure pct00044
; -SC(S)SR
Figure pct00045
; -(CH2)0-4OC(O)NRo 2; -C(O)N(OR
Figure pct00046
)R
Figure pct00047
; -C(O)C(O)R
Figure pct00048
; -C(O)CH2C(O)R; -C(NOR
Figure pct00050
)R
Figure pct00051
; -(CH2)0-4SSR
Figure pct00052
; -(CH2)0-4S(O)2R
Figure pct00053
; -(CH2)0-4S(O)2OR
Figure pct00054
; -(CH2)0-4OS(O)2R
Figure pct00055
; -S(O)2NR
Figure pct00056
2; -(CH2)0-4S(O)R
Figure pct00057
; -N(R
Figure pct00058
)S(O)2NR
Figure pct00059
2; -N(R)S(O)2R
Figure pct00060
; -N(OR
Figure pct00061
)R
Figure pct00062
; -C(NH)NR
Figure pct00063
2; -P(O)2R
Figure pct00064
; -P(O)R
Figure pct00065
2; -OP(O)R
Figure pct00066
2; -OP(O)(OR
Figure pct00067
)2; SiR
Figure pct00068
3; -(C1 -4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O-N(R
Figure pct00069
)2; 또는 -(C1 -4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C(O)O-N(R
Figure pct00070
)2이며, 여기서, 각각의 R
Figure pct00071
는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수소, C1 -8 지방족, -CH2Ph, -O(CH2)0-1Ph,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이거나, 또는 위의 정의에도 불구하고, R
Figure pct00072
의 2개의 독립적인 존재는 개재 원자(intervening atom)(들)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 내지 12-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단환식 또는 다환식 고리를 형성하며, 이는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다.
R
Figure pct00073
상의 적절한 1가 치환체(또는 그의 개재 원자들과 함께 R
Figure pct00074
의 2개의 독립적인 경우를 취함으로써 형성된 고리)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CH2)0-2R
Figure pct00075
, -(할로R
Figure pct00076
), -(CH2)0-2OH, -(CH2)0-2OR
Figure pct00077
, -(CH2)0-2CH(OR
Figure pct00078
)2; -O(할로R
Figure pct00079
), -CN, -N3, -(CH2)0-2C(O)R
Figure pct00080
, -(CH2)0-2C(O)OH, -(CH2)0-2C(O)OR
Figure pct00081
, -(CH2)0-4C(O)N(R
Figure pct00082
)2; -(CH2)0-2SR
Figure pct00083
, -(CH2)0-2SH, -(CH2)0-2NH2, -(CH2)0-2NHR
Figure pct00084
, -(CH2)0-2NR
Figure pct00085
2, -NO2, -SiR
Figure pct00086
3, -OSiR
Figure pct00087
3, -C(O)SR
Figure pct00088
, -(C1 -4 직쇄 혹은 분지쇄 알킬렌)C(O)OR
Figure pct00089
, 또는 -SSR
Figure pct00090
이며, 여기서, 각각의 R
Figure pct00091
는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에 의하여 선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고, 독립적으로 C1 -4 지방족, -CH2Ph, -O(CH2)0-1Ph, 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R
Figure pct00092
의 포화된 탄소 원자 상의 적절한 2가 치환체는 =O 및 =S를 포함한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포화된 탄소 원자 상의 적절한 2가 치환체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O, =S, =NNR* 2, =NNHC(O)R*, = NHC(O)OR*, = NHS(O)2R*, =NR*, =NOR*, -O(C(R* 2))2-3O- 또는 -S(C(R* 2))2-3S-(여기서 각각 독립적인 경우의 R*은 수소,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C1 -6 지방족, 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인접한 치환가능한 탄소에 결합된 적합한 2가 치환체로는 -O(CR* 2)2-3O-를 들 수 있고, 여기서 각각 독립적인 경우의 R*은 수소,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C1 -6 지방족, 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R*의 지방족 기 상의 적절한 치환체로는 할로겐, -R
Figure pct00093
, -(할로R
Figure pct00094
), -OH, -OR
Figure pct00095
, -O(할로R
Figure pct00096
), -CN, -C(O)OH, -C(O)OR
Figure pct00097
, -NH2, -NHR
Figure pct00098
, -NR
Figure pct00099
2 또는 -NO2를 들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R
Figure pct00100
은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에 의하여 선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고, 독립적으로 C1 -4 지방족, -CH2Ph, -O(CH2)0-1Ph, 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임의로 치환된" 기의 적절한 질소 상의 적절한 치환체로는 -R, -NR 2, -C(O)R, -C(O)OR, -C(O)C(O)R, -C(O)CH2C(O)R, -S(O)2R, -S(O)2NR 2, -C(S)NR 2, -C(NH)NR 2 또는 -N(R)S(O)2R를 들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수소, 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이 치환될 수 있는 C1 -6 지방족, 비치환 -OPh 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치환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이거나, 또는 위의 정의에도 불구하고, R의 2개의 독립적인 존재는 개재 원자(들)와 함께,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 내지 12-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단환식 또는 다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치환가능한 질소는 3개의 R 치환체로 치환되어 하전된 암모늄 모이어티 -N+(R)3(여기서, 암모늄 모이어티는 적합한 반대이온(counterion)으로 더욱 착체화됨)을 제공할 수 있다.
R의 지방족 기 상의 적절한 치환체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R
Figure pct00101
, -(할로R
Figure pct00102
), -OH, -OR
Figure pct00103
, -O(할로R
Figure pct00104
), -CN, -C(O)OH, -C(O)OR
Figure pct00105
, -NH2, -NHR
Figure pct00106
, -NR
Figure pct00107
2 또는 -NO2이고, 여기서 R
Figure pct00108
의 각각은 치환되지 않거나 "할로"에 의하여 선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고, 독립적으로 C1 -4 지방족, -CH2Ph, -O(CH2)0-1Ph, 또는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 내지 6원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촉매"란 용어는, 그의 존재 시 화학 반응의 속도 및/또는 정도를 증가시키지만, 그 자체가 소모되거나 영구적인 화학적 변화를 겪지 않는 물질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다좌"란 용어는 단일 금속 중심에 배위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부위들을 갖는 리간드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활성화 모이어티"란 용어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 작용기를 포함하는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모이어티는 금속 착체의 촉매 활성을 개선시킨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개선된 촉매 활성은 활성화 모이어티가 부족한 금속 착체와 비교하여 출발 물질의 보다 높은 전환율을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개선된 촉매 활성은 활성화 모이어티가 부족한 금속 착체와 비교하여 출발 물질의 보다 높은 전환 속도를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개선된 촉매 활성은 활성화 모이어티가 부족한 금속 착체와 비교하여 생성물의 보다 높은 수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공중합에서 유용한 금속 착체를 여전히 필요로 하는 인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금속 착체는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공중합에서 이용하는데 상당한 이점을 보일 수 있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얽매이길 원치 않지만, 본 발명의 금속 착체는 공지의 금속 착체와 비교할 때 증대된 반응성 및/또는 선택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공중합 반응을 위하여 고도로 선택적이므로, 환식 카보네이트 형성을 전혀 혹은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형성을 위하여 고도로 선택적이다.
본 발명은, 특히,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용의 금속 착체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2종 이상의 금속 원자를 함유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원자는 하나 이상의 다좌 리간드 및 해당 리간드의 하나 이상에 테더링된 적어도 하나의 테더링된 활성화 모이어티에 복합체화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모이어티는 링커와 하나 이상의 활성화 작용기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더링된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작용기는 중합 공촉매로서 작용함으로써 공중합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중합 촉매로서 작용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수-금속 착체 및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에서의 그의 이용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하기 구조 C-1을 지닌다:
[구조 C-1]
Figure pct00109
상기 구조 중,
M1은 제1금속 원자이고;
M2는 제2금속 원자이며;
Figure pct00110
는 두 금속 원자를 배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좌 리간드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11
은 상기 다좌 리간드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되,
Figure pct00112
는 상기 리간드계에 공유 결합된 링커 모이어티이고, 각각의 Z는 활성화 작용기이며; m은 개별의 링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Z기의 수를 나타내는 1 내지 4의 정수이다.
II . 링커 모이어티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113
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작용기 Z에 결합된 링커 "
Figure pct00114
"를 포함하고, 여기서, m은 하나의 링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활성화 작용기의 개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어진 금속 착체에 테더링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115
일 수 있고, 각 활성화 모이어티 자체는 하나보다 많은 활성화 작용기 Z를 함유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활성화 모이어티는 단지 하나의 활성화 작용기를 함유한다(즉, m = 1).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나보다 많은 활성화 작용기를 함유한다(즉, m > 1).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모이어티는 2개의 활성화 작용기를 함유한다(즉, m = 2).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모이어티는 3개의 활성화 작용기를 함유한다(즉, m = 3).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모이어티는 4개의 활성화 작용기를 함유한다(즉, m = 4). 하나보다 많은 활성화 작용기가 존재하는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활성화 작용기는 동일하다. 하나보다 많은 활성화 작용기가 존재하는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활성화 작용기의 둘 이상은 상이하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링커 모이어티
Figure pct00116
는 적어도 1개의 탄소 원자, 및 임의로 N, O, S, Si, B 및 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를 포함하는 1 내지 30개의 원자를 함유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는 임의로 치환된 C2 -30 지방족 기이되, 여기서 하나 이상의 메틸렌 단위는 임의로 또한 독립적으로 -Cy-, -NRy-, -N(Ry)C(O)-, -C(O)N(Ry)-, -O-, -C(O)-, -OC(O)-, -C(O)O-, -S-, -SO-, -SO2-, -C(=S)-, -C(=NRy)- 또는 -N=N-으로 대체되되, 여기서,
각각의 -Cy-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선택된 독립적으로 0 내지 1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8원의 2가의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고리,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0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의 2가의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아릴 이환식 고리이며;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C1 -6 지방족, 페닐,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탄소환식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고리, 및 8- 내지 10-원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할로겐, -NO2, -CN, -SRy, -S(O)Ry, -S(O)2Ry, -NRyC(O)Ry, -OC(O)Ry, -CO2Ry, -NCO, -N3, -OR4, -OC(O)N(Ry)2, -N(Ry)2, -NRyC(O)Ry 및 -NRyC(O)ORy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모이어티로 치환된 C4-C12 지방족 기이되, 여기서 각각의 Ry 및 R4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3-C3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는 임의로 치환된 C4 -24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4 -C2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4 -12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는 임의로 치환된 C4 -1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는 임의로 치환된 C4 -8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4 -6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6-C12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8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7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6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5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4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임의로 치환된 C3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 내의 지방족 기는 임의로 치환된 직쇄형 알킬 사슬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지방족 기는 임의로 치환된 분지형 알킬 사슬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C(R
Figure pct00117
)2-로 대체된 하나 이상의 메틸렌기를 지니는 C4 내지 C20 알킬기이며, 여기서 R
Figure pct00118
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하나 이상의 C1 -4 알킬 치환된 탄소 원자를 4 내지 30개의 탄소를 지니는 2가의 지방족 기로 구성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하나 이상의 겜-다이메틸(gem-dimethyl) 치환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4 내지 30개의 탄소를 지니는 2가의 지방족 기로 구성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탄소환식, 아릴, 복소환 또는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환식 요소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는 치환된 환식 요소로 구성되고, 몇몇 실시형태에서 환식 요소는 링커의 일부이고, 하나 이상의 비고리 헤테로원자 혹은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기는 링커 모이어티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하나 이상의 활성화 작용기가 금속 착체의 금속 원자 부근에 위치되도록 허용하는 충분한 길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조적 제한이 금속 착체의 금속 중심 부근에 하나 이상의 활성화 작용기의 배치 및 배향을 제어하기 위하여 링커 모이어티 내에 구축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구조적 제한은 환식 모이어티, 이환식 모이어티, 브리지된 환식 모이어티 및 삼환식 모이어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구조적 제한은 비환식 입체적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 내의 syn-펜탄, 고쉬(gauche)-뷰탄, 및/또는 알릴 변형으로 인한 입체적 상호작용은, 링커 및 하나 이상의 활성화 기의 배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제한을 일으킨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조적 제한은 시스 이중 결합, 트랜스 이중 결합, 시스 알렌, 트랜스 알렌 및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조적 제한은 스피로환식 고리, 겜 다이메틸기, 겜 다이에틸기 및 겜 다이페닐기 등과 같은 같은 자리 분포된 이치환된(geminally disubstituted) 기를 포함하는 치환된 탄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조적 제한은 설폭사이드, 아마이드 및 옥심 등과 같은 헤테로원자-함유 작용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커 모이어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Figure pct00119
여기서, 각각의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고, t는 0 내지 4이며, *는 리간드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내고, 각각의 #는 활성화 작용기의 부착 부위를 나타낸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0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1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2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4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5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s는 6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t는 1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t는 2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t는 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t는 4이다.
II . 활성화 작용기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중성 질소 함유 작용기, 양이온성 모이어티, 인-함유 작용기 및 이들 중 2개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II .a. 중성 질소 함유 활성화 기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 상의 하나 이상의 테터링된 활성화 작용기는은 중성 질소 함유 모이어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모이어티는 이하의 표 Z-1 내의 구조들 중 하나 이상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표 Z-1]
Figure pct00120
식 중,
각각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여기서 R1 및 R2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여기서 R3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혹은 하이드록실 보호기이거나, 또는 C1 -20 아실;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기는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R1기는 상이하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 페닐, 8- 내지 10-원 아릴 및 3- 내지 7-원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C1 -12 지방족 및 C1 -12 헤테로지방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C1 -6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C1 -20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C1 -12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페닐 또는 벤질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뷰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아이소프로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네오펜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퍼플루오로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CF2CF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벤질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2기는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R2기는 상이하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 페닐, 8- 내지 10-원 아릴 및 3- 내지 7-원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C1 -12 지방족 및 C1 -12 헤테로지방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6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페닐 또는 벤질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뷰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아이소프로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네오펜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퍼플루오로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CF2CF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벤질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은 각각 수소이고 각각의 R2는 수소 이외의 것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2는 각각 수소이고, 각각의 R1은 수소 이외의 것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둘 모두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페닐 또는 벤질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뷰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아이소프로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퍼플루오로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CF2CF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벤질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개재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함께 -C(Ry)2-, -C(Ry)2C(Ry)2-, -C(Ry)2C(Ry)2C(Ry)2-, -C(Ry)2OC(Ry)2- 및 -C(Ry)2NRyC(Ry)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리 단편을 형성하되, 여기서 R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함께 -CH2-, -CH2CH2-, -CH2CH2CH2-, -CH2OCH2- 및 -CH2NRyCH2-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불포화 링커 모이어티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진 질소-함유 고리는 부분 불포화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진 질소-함유 고리는 융합된 다환식 복소환을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H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임의로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 페닐, 8- 내지 10-원 아릴 또는 3- 내지 7-원 복소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임의로 치환된 C1 -6 지방족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페닐 또는 벤질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뷰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아이소프로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퍼플루오로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3은 -CF2CF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R1 또는 R2기는 R3 및 개재 원자들과 함께 임의로 치환된 복소환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과 R3은 함께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와 R3은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융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R2 및 R3의 어느 것의 조합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고리는 부분 불포화되거나 방향족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C1-12 지방족, 페닐, 8- 내지 10-원 아릴 및 3- 내지 8-원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C1 -12 지방족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C1 -6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 아릴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아실이거나, 또는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C1 -6 아실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하이드록실 보호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실릴 보호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4는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알릴, 페닐 또는 벤질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과 R4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복소환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N-연결된 아미노기:
Figure pct00121
이며,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N-연결된 아미노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22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활성화 작용기는 N-연결된 R 하이드록실 아민 유도체:
Figure pct00123
이고, 여기서 R1 및 R4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N-연결된 하이드록실 아민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24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 내의 활성화 작용기는 아미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아미딘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25
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1, R2 및 R3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N-연결된 아미딘:
Figure pct00126
이고, 여기서, R1, R2 및 R3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N-연결된 아미딘기는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27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이민 질소를 통해서 연결된아미딘 모이어티:
Figure pct00128
이고, 여기서, R1, R2 및 R3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이민-연결된 아미딘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29
.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탄소 원자를 통해서 연결된 아미딘 모이어티:
Figure pct00130
이고, 여기서 R1, R2 및 R3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탄소-연결된 아미딘 활성화 기는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31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활성화 작용기는 카바메이트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바메이트는 N-연결되어 있고:
Figure pct00132
, 여기서 각각의 R1과 R2의 각각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바메이트는 O-연결되어 있고:
Figure pct00133
, 여기서 각각의 R1과 R2의 각각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2는 메틸, t-뷰틸, t-아밀, 벤질, 아다만틸, 알릴, 4-메톡시카보닐페닐, 2-(메틸설포닐)에틸, 2-(4-바이페닐릴)-프로프-2-일,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2-브로모에틸 및 9-플루오레닐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구아니딘 또는 비스- 구아니딘기이되:
Figure pct00134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2개 이상의 R1 또는 R2기는 개재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기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3개 이상의 R1 및/또는 R2기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융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가 구아니딘 혹은 비스 구아니딘 모이어티인 경우,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35
.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유레아:
Figure pct00136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옥심 또는 하이드라존기:
Figure pct00137
이되, 여기서 R1, R2, R3 및 R4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N-옥사이드 유도체:
Figure pct00138
이되, 여기서 R1 및 R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N-옥사이드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39
.
II .b. 양이온성 활성화 기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 상의 하나 이상의 테더링된 활성화 작용기는 양이온성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이온성 모이어티는 이하의 표 Z-2 내의 구조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표 Z-2]
Figure pct00140
표 중,
R1, R2 및 R3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R5는 R2 또는 하이드록실이며; R1과 R5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혹은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여기서 R6과 R7은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6과 R7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각 경우의 R8은 할로겐, -NO2, -CN, -SRy, -S(O)Ry, -S(O)2Ry, -NRyC(O)Ry, -OC(O)Ry, -CO2Ry, -NCO, -N3, -OR7, -OC(O)N(Ry)2, -N(Ry)2, -NRyC(O)Ry, -NRyC(O)ORy;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2개 이상의 인접한 R8기는 함께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5- 내지 12-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X-는 임의의 음이온이며;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기이고;
고리 B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상기 서술된 고리 질소에 부가해서 0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이온성 활성화 작용기는 양성자화된(protonated) 아민:
Figure pct00141
이되, 여기서 R1 및 R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양성자화된 아민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42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구아니디늄기:
Figure pct00143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20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20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3- 내지 7-원 복소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는 중 하나 이상은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의 2개 이상의 R1 및 R2기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기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3개 이상의 R1 및/또는 R2기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융합 고리계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1 및 R2기는 개재 원자와 함께,
Figure pct00144
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형성하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고리 G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고리이다.
구아니디늄 양이온이
Figure pct00145
로 묘사될 경우, 이러한 모든 공명 형태가 상정되어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는
Figure pct00146
,
Figure pct00147
로서 묘사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아니디늄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48
.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설포늄기 또는 아르소늄(arsonium)기:
Figure pct00149
이되, 여기서 R1, R2 및 R3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르소늄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50
.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임의로 치환된 질소-함유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질소-함유 복소환은 방향족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질소-함유 복소환은 피리딘, 이미다졸, 피롤리딘, 피라졸, 퀴놀린, 티아졸, 다이티아졸, 옥사졸, 트라이아졸, 피라졸렘, 아이소옥사졸, 아이소티아졸, 테트라졸, 피라진, 티아진 및 트라이아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질소-함유 복소환은 4차화된 질소 원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질소-함유 복소환은
Figure pct00151
등과 같은 이미늄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질소-함유 복소환은 피리디늄, 이미다졸륨, 피롤리디늄, 피라졸륨, 퀴놀리늄, 티아졸륨, 다이티아졸륨, 옥사졸륨, 트라이아졸륨, 아이소옥사졸륨, 아이소티아졸륨, 테트라졸륨, 피라지늄, 티아지늄 및 트라이아지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질소-함유 복소환은 고리 질소 원자를 통해서 금속 착체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착이 이루어지는 고리 질소는 이와 같이 해서 4차화되고,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에 대한 연쇄는 N-H 결합과 질소 원자의 개소를 취함으로써 중성으로 남는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N-연결된 질소-함유 복소환은 피리디늄 유도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N-연결된 질소-함유 복소환은 이미다졸륨 유도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N-연결된 질소-함유 복소환은 티아졸륨 유도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임의로 치환된 N-연결된 질소-함유 복소환은 피리디늄 유도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52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6-원 헤테로아릴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A는 융합 복소환의 고리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Z가
Figure pct00153
인 경우, 고리 A는 이미다졸, 옥사졸 또는 티아졸 이외의 것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질소-함유 복소환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54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B는 5-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B는 6-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B는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B는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테트라하이드로티에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도닐, 피페리디닐, 피롤리닐,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아이소퀴놀리닐, 데카하이드로퀴놀리닐, 옥사졸리디닐, 피페라지닐, 다이옥사닐, 다이옥솔라닐, 다이아제피닐, 옥사제피닐, 티아제피닐, 몰폴리닐 및 퀴누클리디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리 B는 피페리디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55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56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57
이고,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58
이고, 여기서 R1, R2, R6 및 R7의 각각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페닐 및 8 내지 10-원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20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과 R7은 함께 임의로 치환된 C3-C14 탄소환, 임의로 치환된 C3-C14 복소환, 임의로 치환된 C6-C10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6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의 각 경우는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또는 벤질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의 각 경우는 독립적으로 퍼플루오로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6 및 R7의 각 경우는 독립적으로 -CF2CF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59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60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61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62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63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활성화 작용기는
Figure pct00164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반대이온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임의의 음이온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친핵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존재하지 않는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친핵성 리간드이다. 예시적인 친핵성 리간드로는 -ORx, -SRX, -O(C=O)Rx, -O(C=O)ORx, -O(C=O)N(Rx)2, -N(Rx)(C=O)Rx, -NC, -CN, 할로(예컨대, -Br, -I, -CI), -N3, -O(SO2)Rx 및 -OPRx 3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기서 각각의 Rx는 독립적으로 수소,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불소화된 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아릴, 불소화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및 플루오로알킬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CH3 또는 -O(C=O)CF3이다.
또한,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플루오로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O)C6H5 또는 -O(C=O)C6F5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Rx이되, 여기서 Rx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C6H5 또는 -OC6H2(2,4-NO2)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할로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Br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Cl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I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SO2)Rx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Ts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SO2Me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OSO2CF3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2,4-다이나이트로페놀레이트 음이온이다.
II .c. 인-함유 활성화 기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 Z는 임 함유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함유 작용기는 포스핀(-PRy 2); 포스핀 옥사이드 -P(O)Ry 2; 포스피나이트 P(OR4)Ry 2; 포스포나이트 P(OR4)2Ry; 포스파이트 P(OR4)3; 포스피네이트 OP(OR4)Ry 2; 포스포네이트; OP(OR4)2Ry; 포스페이트 -OP(OR4)3; 포스포늄염([-PRy 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여기서 인-함유 작용기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위치를 통하여(예컨대, 인 원자를 통한 직접 연결, 또는 몇몇 경우에 산소 원자를 통해서) 금속 착체에 연결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함유 작용기는
Figure pct00165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4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2개의 R4기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R4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헤테로아릴 또는 아릴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 함유 작용기는 문헌[The Chemistry of Organophosphorus Compounds . Volume 4. Ter - and Ouinquevalent Phosphorus Acids and their Derivatives. The Chemistry of Functional Group Series Edited by Frank R. Hartley (Cranfield University, Cranfield, u.K.). Wiley: New York. 1996. ISBN 0-471-95706-2]에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며, 이 문헌의 전문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 함유 작용기는 식: -(V) b -[(R9R10R11P)+] n W n -를 지니되, 여기서
V는 -O-, -N= 또는 -NRZ-이고
b는 1 또는 0이며,
R9, R10 및 R11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으며, 만약 존재한다면, 임의로 치환된 C1-C20 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페닐, 임의로 치환된 C8-C14 아릴,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4-원 복소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 할로겐, =O, -ORz, =NRZ 및 N(RZ)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z는 수소이거나,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C20 지방족, 임의로 치환된 페닐,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4-원 아릴,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4-원 복소환 또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이고,
W는 임의의 음이온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포스포네이트기:
Figure pct00166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4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스포네이트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67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포스폰산 다이아마이드기:
Figure pct00168
이되, 여기서, 각각의 R1, R2 및 R4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스폰산 다이아마이드의 각각의 R1 및 R2기는 메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활성화 작용기는 포스핀기:
Figure pct00169
이되,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스핀 활성화 작용기는 하기의 것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170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이금속성 착체(bimetallic complex)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되, 여기서:
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1
이고;
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2
이며;
i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3
이고;
iv)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4
이며;
v)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5
이고;
v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6
이며;
v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7
이고;
vi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8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ix)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79
이고;
x)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0
이며;
x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1
이고;
x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2
이며;
xi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3
이고;
xiv)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4
이며;
xv)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5
이고;
xv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6
이며;
xv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7
이고;
xvi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8
이며;
xix)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89
이고;
xx)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0
이며;
xx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1
이고;
xx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2
이며;
xxi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3
이고;
xxiv)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4
이며;
xxv)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5
이고;
xxv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6
이며;
xxv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7
이고;
xxvii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8
이며;
xxix)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199
이고;
xxx)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200
이며;
xxxi) 활성화 기는
Figure pct00201
이고;
xxxii)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각각의 R1기는 동일하며;
xxxiii)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각각의 R1기는 수소이고;
xxxiv)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R1기는 기타 R1기와는 상이하며;
xxxv)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R1은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고;
xxxvi)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수소, -CF2CF3,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이며;
xxxvii) 서브세트 i) 내지 xxxvi)에 대해서, 각각의 R2기는 동일하고;
xxxviii) 서브세트 i) 내지 xxxvi)에 대해서, 각각의 R2기는 수소이며;
xxxix) 서브세트 i) 내지 xxxvi)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R2기는 다른 R2기와는 상이하고;
xl) 서브세트 i) 내지 xxxvi)에 대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며;
xli) 서브세트 i) 내지 xxxvi)에 대해서,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CF2CF3,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이고;
xlii) 서브세트 i) 내지 xli)에 대해서, R1 및 R2는 동일하며;
xliii) 서브세트 i) 내지 xli)에 대해서, R1 및 R2는 개재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xliv) R3을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R3은 수소이며;
xlv) R3을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R3은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고;
xlvi) R3을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CF2CF3,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질이며;
xlvii) R3을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R1 또는 R2기는 R3 및 개재 원자들과 함께 임의로 치환된 복소환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고;
xlviii) R4를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v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R4는 수소이며;
xlix) R4를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v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R4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고;
1) R4를 지니는 서브세트 i) 내지 xlviii)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R1과 R4는 개재 원자와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복소환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며;
li) 서브세트 xvi) 및 xvii)에 대해서, 고리 A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기이고;
lii) 서브세트 li)에 대해서, R5는 하이드록실이며;
liii) 서브세트 li)에 대해서, R5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이고;
liv) 활성화 기가 양이온성인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X는 아세테이트이며;
lv) 활성화 기가 양이온성인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X는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이고;
lvi) 활성화 기가 양이온성인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X는 임의로 치환된 벤조에이트이며;
lvii) 활성화 기가 양이온성인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X는 페녹사이드이고;
lviii) 활성화 기가 양이온성인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X는 다이나이트로페녹사이드이며;
lvix) 활성화 기가 양이온성인 서브세트 i) 내지 xxxi)에 대해서, X는 할로이다.
내지 lvix)에 기재된 변수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이 본 발명에 의해 상정되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그리고 여기에 기재된 식들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화합물,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변수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취함으로써 생성되는 그의 서브세트(서브세트 i) 내지 lvix)를 포함하지만 이로써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III . 금속 착체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좌 리간드계에 배위 결합된 금속 원자 및 다좌 리간드에 테터링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금속 착체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하기 구조 C-1을 지닌다:
[C-1]
Figure pct00202
상기 구조 중,
M1은 제1금속 원자이고;
M2는 제2금속 원자이며;
Figure pct00203
는 두 금속 원자를 배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좌 리간드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204
은 상기 다좌 리간드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되,
Figure pct00205
는 상기 리간드계에 공유 결합된 링커 모이어티이고, 각각의 Z는 활성화 작용기이며; m은 개별의 링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Z기의 수를 나타내는 1 내지 4의 정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다좌 리간드계에 배위 결합된 2개의 금속 원자 및 다좌 리간드에 테터링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좌 리간드에 테더링된 1 내지 10개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206
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좌 리간드에 테더링된 1 내지 8개의 이러한 활성화 모이어티가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좌 리간드에 테더링된 1 내지 4개의 이러한 활성화 모이어티가 있다.
다좌 리간드계의 합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문헌[Kember et al. Macromolecules 2010, 43, 2291-2298] 및 WO 2007/091616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다좌 리간드는 다이알데하이드(임의로
Figure pct00207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함) 2당량을 다이아민(임의로
Figure pct00208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함) 2당량과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다좌 리간드는 금속 이온 2당량과 (몇몇 실시형태에서는 동소에서(in situ)) 조합하여 이금속성 착체를 형성할 수 있다.
테더링된 활성화 모이어티를 지니는 모노-금속 착체의 합성을 위한 추가의 합성 절차는 WO 2010/022388에서 발견되며,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III .a. 금속 원자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주기율표의 3 내지 13족(13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원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주기율표의 5 내지 12족(12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주기율표의 4 내지 11족(11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주기율표의 5 내지 10족(10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주기율표의 7 내지 9족(9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Cr, Mn, V, Fe, Co, Mo, W, Ru,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 티타늄; 루테늄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원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코발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크롬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알루미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은 아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3 내지 13족(13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원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주기율표의 5 내지 12족(12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주기율표의 4 내지 11족(11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주기율표의 5 내지 10족(10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주기율표의 7 내지 9족(9족 포함)으로부터 선택된 전이금속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Cr, Mn, V, Fe, Co, Mo, W, Ru,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 티타늄; 루테늄 및 망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원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코발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크롬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알루미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2는 아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M1 및 M2는 동일한 금속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M1 및 M2는 상이한 금속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 및 M2는 둘 모두 코발트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 및 M2는 둘 모두 크롬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 및 M2는 둘 모두 알루미늄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M1 및 M2는 둘 모두 아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는 다이코발트 착체이다. 금속 착체가 다이코발트 착체인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코발트 원자는 3+(즉, Co(III))의 산화 상태를 갖는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코발트 금속은 2+(즉, Co(II))의 산화 상태를 갖는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가 다이코발트 착체인 경우, 하나의 코발트 원자는 3+(즉, Co(III))의 산화 상태를 갖고 다른 하나의 코발트 금속은 2+(즉, Co(II))의 산화 상태를 갖는다.
III .b. 리간드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
Figure pct00209
는 하나의 다좌 리간드계에 배위된 2개의 금속 원자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는 복수의 개별의 리간드를 함유하는 킬레이트를 포함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는 적어도 하나의 2좌 리간드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는 적어도 하나의 3좌 리간드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는 적어도 하나의 4좌 리간드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는 6좌 리간드를 함유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10
L-1을 지니되, 여기서,
Q1, Q2, Q3, Q3, Q4, Q5 및 Q6은 각각 독립적으로 원자가 규칙에 의해 허용된다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이고;
각각의
Figure pct00211
는 임의로 존재하고, 독립적으로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브리지를 나타내되, 이러한 브리지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임의로 존재하는 각 브리지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하나 이상의
Figure pct00212
기는 하나 이상의
Figure pct00213
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각
Figure pct00214
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는 활성화 모이어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15
L-2를 지니되, 여기서,
Q1, Q2, Q3, Q3, Q4, Q5, Q6
Figure pct00216
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각각의
Figure pct00217
모이어티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불포화된 임의로 치환된 탄소 브리지이되, 상기 브리지를 구성하는 임의의 탄소 원자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의 일부일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18
L-3을 지니되, 여기서,
Q1, Q2, Q3, Q3, Q4, Q5, Q6
Figure pct00219
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고리 C 및 D는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2-원 단환식 혹은 다환식 고리를 나타내며;
각각의 Re는 독립적으로 수소;
Figure pct00220
기;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모이어티이고; 여기서 2개의 Re기가 동일 위치에 존재한다면, 이들은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고 하나 이상의 Rc기(아래에 정의된 바와 같음)로 임의로 치환된 스피로환식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q는 1 또는 2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21
L-4를 지니되, 여기서,
Q1, Q2, Q3, Q3, Q4, Q5, Q6, Re
Figure pct00222
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2개 이상의 Ra기 및/또는 2개 이상의 Rb기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하는 치환체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및 Rb
Figure pct00223
기, 할로겐, -NO2, -CN, -SRy, -S(O)Ry, -S(O)2Ry, -NRyC(O)Ry, -OC(O)Ry, -CO2Ry, -NCO, -N3, -OR4, -OC(O)N(Ry)2, -N(Ry)2, -NRyC(O)Ry, -NRyC(O)ORy;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2개 이상의 인접한 Ra 및 Rb기는 함께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5- 내지 12-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Ry 및 R4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24
L-5를 지니되, 여기서,
Q1, Q2, Q3, Q3, Q4, Q5, Q6, Ra, Rb 및 Re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hi는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이며;
각각의 Rc 및 Rd는 독립적으로
Figure pct00225
기, 할로겐, -OR7, -N(Ry)2, -SR7, -CN, -NO2, -SO2Ry, -SOR, -SO2N(Ry)2; -CNO, -NRySO2Ry, -NCO, -N3, -SiR3;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기로부터 선택되되; 여기서 2개 이상의 Rc 또는 Rd기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 및 임의의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2개의 Rc 또는 Rd기가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될 경우, 이들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 스피로환식 고리, 카보닐기, 임의로 치환된 알켄, 임의로 치환된 옥심,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라존 및 임의로 치환된 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이어티를 형성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26
L-6을 지니되, 여기서,
Q1, Q2, Q3, Q3, Q4, Q5, Q6, Ra, Rb, Rc, Rd 및 Re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C1의 착체 내의 다좌 리간드계는 하기 구조:
Figure pct00227
L-7을 지니되, 여기서,
Ra, Rb, Rc, Rd 및 Re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R12는 임의로 존재하고, 존재한다면,
Figure pct00228
;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및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기 화학식 I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의 단지 하나의 페닐 고리에 테더링된다:
[화학식 I]
Figure pct00229
식 중,
Figure pct00230
, M1, M2, R12, Ra, Rb, Rc, Rd 및 Re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혹은 음이온이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231
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한다.
선택된 금속 이온(들) 및 그들의 산화 상태에 따라서, 추가의 반대이온 X기 및/또는 금속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혹은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X기는 다수의 금속 중심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화학식이 본 발명에 의해 상정된다:
Figure pct00232
Figure pct00233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기 화학식 II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의 두 페닐 고리에 테더링된다:
[화학식 II]
Figure pct00234
식 중,
Figure pct00235
, M1, M2, R1, Ra, Rb, Rc, Rd, Re, X1 및 X2는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236
는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각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한다.
위에 기재된 화학식들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간드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독립적으로 이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되:
Figure pct00237
여기서, 각
Figure pct00238
은 독립적으로 페닐 고리의 임의의 비치환된 위치에 결합된 활성화 모이어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녹시기에 대해서 메타 위치에 있는 각 아릴 고리 상에 하나의
Figure pct00239
기가 있다. 위에 기재된 화학식을 가지는 착체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의 페닐 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이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240
Figure pct00241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Figure pct00242
을 지니는 리간드 내의 페닐 고리들의 둘 모두는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메타 위치에서 치환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리간드는 위치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하는 한편,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리간드는 실질적으로 하나의 위치이성질체를 포함한다:
Figure pct00243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녹시기에 대해서 메타 위치에 있는 각 아릴 고리 상에 2개의
Figure pct00244
기가 있다. 위에 기재된 화학식을 가지는 착체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의 페닐 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이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245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녹시기에 대한 파라 위치에 있는 각 아릴 고리 상에 하나의
Figure pct00246
기가 있다. 위에 기재된 화학식을 가지는 착체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의 페닐 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이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247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페닐 고리의 벤질 위치 상에 하나의
Figure pct00248
기가 있다. 위에 기재된 화학식을 가지는 착체의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금속 착체의 페닐 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독립적으로 이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249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 구조 내에 포함된 2개의 페닐 고리는 동일할 필요는 없다. 상기 소정의 화학식에 명시적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촉매가 두 고리의 각각 상의 상이한 위치에 부착된 활성화 모이어티를 지닐 수 있고, 이러한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구체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활성화 모이어티는 리간드의 다수의 부분 상에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활성화 모이어티는 동일한 촉매 내에서 다이아민 브리지 상에 그리고 한쪽 또는 양쪽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기 화학식 IIl-a, III -bIII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의 다이아민 브리지에 테더링된다:
[화학식 III -a]
Figure pct00250
[화학식 III -b]
Figure pct00251
[화학식 III -c]
Figure pct00252
여기서, Ra, Rb, Rc, Rd, Re, Z, m, M1, M2, X1, X2 및 R1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기 화학식 IV-a, IV -bIV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의 다이아민 브리지에 테더링된다:
[화학식 IV -a]
Figure pct00253
[화학식 IV -b]
Figure pct00254
[화학식 IV -c]
Figure pct00255
식 중, Ra, Rb, Rc, Rd, Re, Z, m, M1, M2, X1, X2 및 R1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기 화학식 V-a, V-bV-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의 다이아민 브리지에 테더링된다:
[화학식 V-a]
Figure pct00256
[화학식 V-b]
Figure pct00257
[화학식 V-c]
Figure pct00258
상기 식 중, Ra, Rb, Rc, Rd, Re, Z, m, M1, M2, X1, X2 및 R1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기재되고 본 명세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된 바와 같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 모이어티는, 하기 화학식 VI-a, VI -bVI -c에 표시된 바와 같이, 리간드의 다이아민 브리지에 테더링된다:
[화학식 VI -a]
Figure pct00259
[화학식 VI -b]
Figure pct00260
[화학식 VI -c]
Figure pct00261
식 중, Ra, Rb, Rc, Rd, Re, Z, m, M1, M2, X1, X2 및 R1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금속 착체는 하기 화학식 VII -a 내지 VII -e이다:
[화학식 VII -a]
Figure pct00262
[화학식 VII -b]
Figure pct00263
[화학식 VII -c]
Figure pct00264
[화학식 VII -d]
Figure pct00265
[화학식 VII -e]
Figure pct00266
식 중, X1 및 X2의 각각은, 존재한다면,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고; Rc, Rd, Re, Z, m, M1 및 M2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금속 착체는 이하의 표 1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ct00267
Figure pct00268
Figure pct00269
Figure pct00270
Figure pct00271
Figure pct00272
Figure pct00273
Figure pct00274
Figure pct00275
Figure pct00276
Figure pct00277
Figure pct00278
Figure pct00279
Figure pct00280
Figure pct00281
Figure pct00282
상기 표 중, 각각의 M은 독립적으로 M1 또는 M2에 대해서 위에서 기재된 바와 같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X이되, 여기서 X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본 명세서에서의 부류 및 하위부류에 기재되어 있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OC(O)CF3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OAc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OC(O)C6F5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N3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Cl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나이트로페녹시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o-다이나이트로페녹시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 1의 착체에 대해서, M1 및 M2는 Cr-X이다.
IV . 중합체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공된 금속 착체의 존재 하에 에폭사이드를 이산화탄소와 접촉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중합 방법을 제공하되, 해당 방법은 이하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하기 화학식의 에폭사이드를 제공하는 단계:
Figure pct00283
[식 중,
Ra'는 수소이거나, 또는 C1 -30 지방족; C1 -30 헤테로지방족; 페닐;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개의 탄소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2-원 다환식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0-원 이환식 헤테로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b', Rc' 및 Rd'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12 지방족; C1 -12 헤테로지방족; 페닐;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개의 탄소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2-원 다환식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0-원 이환식 헤테로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a'와 Rc'), (Rc'와 Rd') 및 (Ra'와 Rb') 중 어느 하나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음]; 및
b)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금속 착체의 존재 하에 상기 에폭사이드와 이산화탄소를 접촉시켜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지니는 중합체를 제공하는 단계:
Figure pct00284
.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중합체는 이하의 화학식:
Figure pct00285
을 지닌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공된 중합체는 이하의 화학식:
Figure pct00286
을 지닌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는 임의적이며, 제공된 중합체는 이하의 화학식:
Figure pct00287
을 지닌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b', Rc' 및 Rd'는 각각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에폭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 중 하나는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 중 둘은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 중 셋은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d'는 수소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3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1 -8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3 -8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Rb',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C3 -12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C1 -3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C1 -3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C1 -30 지방족 기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d'는 임의로 치환된 C1 -30 지방족 기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2-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2개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다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다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2개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2-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2개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2개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2-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a'와 Rb'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2-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2개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다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2개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다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2개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2-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2개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2개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탄소환식 고리를 포함하는 이환식 탄소환을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2-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접한 탄소에 부착된 Rb'와 Rc'는 함께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7-원 탄소환식 고리를 형성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두 상이한 반복 단위의 Ra', Rb' 및 Rc'가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닌 두 상이한 반복 단위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두 상이한 반복 단위의 각각의 Ra', Rb' 및 Rc'가 다른 상이한 반복 단위의 어느 것의 Ra', Rb' 및 Rc'와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닌 3개 이상의 상이한 반복 단위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테이퍼링된 공중합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금속 착체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금속 착체의 기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합체는 유기 양이온과 X의 염을 포함하되, 여기서 X는 친핵체 혹은 반대이온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X는 2,4-다이나이트로페놀레이트 음이온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7-원 복소환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메틸, 에틸, 프로필, 뷰틸, 비닐, 알릴, 페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Figure pct00288
Figure pct00289
또는 이들 중 임의의 2개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메틸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에틸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프로필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뷰틸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비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알릴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페닐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0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1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2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3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4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5
이다. 소정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Ra'
Figure pct00296
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7-원 복소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수소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헤테로지방족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8- 내지 10-원 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c'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7-원 복소환이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와 Rc'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임의로 치환된 C3 -C14 탄소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4-원 복소환, 임의로 치환된 페닐, 임의로 치환된 C8 -C10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b'와 Rc'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임의로 치환된 C3 -C14 탄소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4-원 복소환, 임의로 치환된 페닐, 임의로 치환된 C8 -C10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Ra'와 Rb'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임의로 치환된 C3 -C14 탄소환,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14-원 복소환, 임의로 치환된 페닐, 임의로 치환된 C8 -C10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고리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에폭사이드로부터 폴리에터를 합성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들 반응을 수행하는 적절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7,399,822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몇몇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된 촉매를 이용해서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로부터 환식 카보네이트를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반응을 수행하는 적절한 방법은 미국 특허 제6,870,004호에 개시되어 있고,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는 변경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방법을 이용하는 기타 실시형태들을 제공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예로서 제시된 특정 실시형태에 의해서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36)

  1. 에폭사이드 및 이산화탄소를 하기 구조를 지니는 이금속성 착체(bimetallic complex)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Figure pct00297

    상기 구조 중,
    M1은 제1금속 원자이고;
    M2는 제2금속 원자이며;
    Figure pct00298
    는 두 금속 원자를 배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좌 리간드계(multidentate ligand system)를 포함하고;
    Figure pct00299
    은 상기 다좌 리간드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되,
    Figure pct00300
    는 상기 리간드계에 공유 결합된 링커 모이어티(linker moiety)이고, m은 개별의 링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Z기의 수를 나타내는 1 내지 4의 정수이며; 각각의 (Z)는
    Figure pct00301

    Figure pct00302

    Figure pct0030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활성화 작용기이고;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1 및 R2는 개재 원자들(intervening atoms)과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며;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3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며;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하이드록실 보호기이거나, 또는 C1 -20 아실;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5는 R2 또는 하이드록실이고; R1과 R5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혹은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며;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6과 R7은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6과 R7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각 경우의 R8은 할로겐, -NO2, -CN, -SRy, -S(O)Ry, -S(O)2Ry, -NRyC(O)Ry, -OC(O)Ry, -CO2Ry, -NCO, -N3, -OR7, -OC(O)N(Ry)2, -N(Ry)2, -NRyC(O)Ry, -NRyC(O)ORy;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2개 이상의 인접한 R8기는 함께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5- 내지 12-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C1 -6 지방족, 페닐,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탄소환식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고리, 및 8- 내지 10-원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며;
    X-는 임의의 음이온이고;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기이며;
    고리 B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상기 서술된 고리 질소 원자에 부가해서 0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r, Mn, V, Fe, Co, Mo, W, Ru,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o, Al 및 C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o인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r인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Al인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04
    모이어티는 적어도 1개의 탄소 원자, 그리고 임의로, N, O, S, Si, B 및 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를 포함하는 1 내지 30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05
    모이어티는 C2 -30 지방족 기이되, 1개 이상의 메틸렌 단위는 -NRy-, -N(Ry)C(O)-, -C(O)N(Ry)-, -O-, -C(O)-, -OC(O)-, -C(O)O-, -S-, -Si(Ry)2-, -SO-, -SO2-, -C(=S)-, -C(=NRy)- 또는 -N=N-으로 임의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대체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06
    모이어티는 하기 기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07

    상기 기에서, 각각의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고, t는 0 내지 4이며, *는 리간드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내고, 각각의 #는 활성화 작용기의 부착 부위를 나타내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08
    모이어티는 6좌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09
    모이어티는 2개의 3좌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6좌 리간드는 살렌 유도체, 살렌 리간드의 유도체, 비스-2-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도 유도체 및 로브슨형 매크로환식 시프 염기(Robson-type macrocyclic Schiff ba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6좌 리간드는 이하의 화학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10

    Figure pct00311

    Figure pct00312

    상기 식 중,
    Q1, Q2, Q3, Q3, Q4, Q5 및 Q6은 각각 독립적으로, 원자가 규칙에 의해 허용된다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이고;
    각각의
    Figure pct00313
    는 임의로 존재하고, 독립적으로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브리지(bridge)를 나타내되, 이러한 브리지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고, 임의로 존재하는 각 브리지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각각의
    Figure pct00314
    모이어티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불포화된 임의로 치환된 탄소 브리지이되, 상기 브리지를 구성하는 임의의 탄소 원자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의 일부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Figure pct00315
    기는 하나 이상의
    Figure pct00316
    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고리 C 및 D는 각각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2-원 단환식 혹은 다환식 고리를 독립적으로 나타내고;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하는 치환체이되, 2개 이상의 Ra기 및/또는 2개 이상의 Rb기는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Rc 및 Rd
    Figure pct00317
    기, 할로겐, -OR7, -N(Ry)2, -SR7, -CN, -NO2, -SO2Ry, -SOR, -SO2N(Ry)2; -CNO, -NRySO2Ry, -NCO, -N3, -SiR3;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2개 이상의 Rc 또는 Rd기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들 및 임의의 개재 원자들과 함께 1개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2개의 Rc 또는 Rd기가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될 경우, 이들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 스피로환식 고리, 카보닐기, 임의로 치환된 알켄, 임의로 치환된 옥심,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라존 및 임의로 치환된 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이어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Re 수소;
    Figure pct00318
    기;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모이어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2개의 Re기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할 경우, 이들은 함께 하나 이상의 Rc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스피로환식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2는 임의로 존재하며, 존재할 경우,
    Figure pct00319
    기;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및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hi는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이며;
    q는 1 또는 2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20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고;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321
    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한다.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22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고;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323
    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한다.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24

    Figure pct00325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26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27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28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Figure pct00329

    Figure pct00330
    또는
    Figure pct00331

    를 포함하되, X1 및 X2의 각각은, 존재한다면,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인 것인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표 1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되, 각각의 M은 독립적으로 금속 이온인 것인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각각의 M은 코발트인 것인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32
  24. 제23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33
  25. 제13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34

    Figure pct00335
  26. 제13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36
  2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37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Z기는 독립적으로 아민, 포스핀, 구아니딘, 비스-구아니딘, 아미딘 및 질소-함유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성 작용기인 것인 방법.
  29.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양이온성 모이어티인 것인 방법.
    Figure pct00338
  30.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링커 모이어티
    Figure pct00339
    는,
    Figure pct00340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각각의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고, t는 0 내지 4이며, *는 리간드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내고, 각각의 #는 활성화 작용기의 부착 부위를 나타내는 것인 방법.
  31.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코발트, 알루미늄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32.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코발트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33.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코발트인 것인 방법.
  34.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염소, 브롬, 임의로 치환된 C1 -12 카복실레이트, 아자이드, 임의로 치환된 페녹사이드, 설포네이트 염,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35.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염소, 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아자이드, 펜타플루오로벤조에이트 및 나이트로페놀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1 내지 8개의 Z기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1 내지 6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1 내지 4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3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2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4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4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41
  4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Z기는
    Figure pct00342
    인 것인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4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43
  4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Figure pct0034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방법.
  50. 제47항에 있어서, R3은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방법.
  51. 제47항에 있어서, R1, R2 및 R3 중 둘 이상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5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45
    .
  5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46
    .
  54. 제53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방법.
  55. 제53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방법.
  56. 제53항에 있어서, R1 및 R2 중 둘 이상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5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Figure pct00347
  5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Figure pct00348
    인 것인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20 지방족인 것인 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방법.
  61. 제58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중 2개 이상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방법.
  6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Figure pct0034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Figure pct00350
  6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사이드는 하기 화학식을 지니는 것인 방법:
    [화학식]
    Figure pct00351

    식 중,
    Ra'는 수소이거나, 또는 C1 -30 지방족; C1 -30 헤테로지방족; 페닐;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개의 탄소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2-원 다환식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0-원 이환식 헤테로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b', Rc' 및 Rd'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12 지방족; C1 -12 헤테로지방족; 페닐;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개의 탄소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2-원 다환식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복소환; 또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0-원 이환식 헤테로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며,
    (Ra'와 Rc'), (Rc'와 Rd') 및 (Ra'와 Rb') 중 어느 하나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인 방법.
  65. 제64항에 있어서, 형성된 중합체는
    Figure pct0035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학식을 지니는 것인 방법.
  66. 제64항에 있어서, Rb', Rc' 및 Rd'는 각각 수소인 것인 방법.
  67. 제64항에 있어서, Ra'는 임의로 치환된 C1 -12 지방족인 것인 방법.
  6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뷰틸렌 옥사이드,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1,2 옥텐 옥사이드, 3-비닐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및 이들 중 임의의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6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사이클로헥센 옥사이드인 것인 방법.
  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사이드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인 것인 방법.
  7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O2 압력은 약 50 내지 800 psi인 것인 방법.
  72. 제1항에 있어서, 에폭사이드에 대한 촉매의 비는 약 1:1000 내지 약 1:100,000인 것인 방법.
  73. 제1항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중합체 분자량이 달성될 때까지 중합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중합 반응을 중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중합체를 단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4. 하기 구조를 지니는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53

    상기 구조 중,
    M1은 제1금속 원자이고;
    M2는 제2금속 원자이며;
    Figure pct00354
    는 두 금속 원자를 배위 결합시킬 수 있는 다좌 리간드계를 포함하고;
    Figure pct00355
    은 상기 다좌 리간드계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를 포함하되,
    Figure pct00356
    는 상기 리간드계에 공유 결합된 링커 모이어티이고, m은 개별의 링커 모이어티 상에 존재하는 Z기의 수를 나타내는 1 내지 4의 정수이며; 각각의 (Z)는
    Figure pct00357

    Figure pct00358

    Figure pct00359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활성화 작용기이고;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1 및 R2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며;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3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며;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하이드록실 보호기이거나, 또는 C1 -20 아실;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5는 R2 또는 하이드록실이고; R1과 R5는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탄소환식, 복소환, 아릴 혹은 헤테로아릴 고리를 형성하며;
    각각의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고; R6과 R7은 개재 원자들과 함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R6과 R7기는 R1 또는 R2기와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각 경우의 R8은 할로겐, -NO2, -CN, -SRy, -S(O)Ry, -S(O)2Ry, -NRyC(O)Ry, -OC(O)Ry, -CO2Ry, -NCO, -N3, -OR7, -OC(O)N(Ry)2, -N(Ry)2, -NRyC(O)Ry, -NRyC(O)ORy;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2개 이상의 인접한 R8기는 함께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 5- 내지 12-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C1 -6 지방족, 페닐,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탄소환식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고리, 및 8- 내지 10-원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이며;
    X-는 임의의 음이온이고;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기이며;
    고리 B는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상기 서술된 고리 질소 원자에 부가해서 0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임의로 치환된,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이다.
  75. 제74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r, Mn, V, Fe, Co, Mo, W, Ru, Al 및 N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76. 제74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o, Al 및 C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이금속성 착체.
  77. 제74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o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78. 제74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Cr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79. 제74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Al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80.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60
    모이어티는 적어도 1개의 탄소 원자, 그리고 임의로, N, O, S, Si, B 및 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자를 포함하는 1 내지 30개의 원자를 함유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81.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61
    모이어티는 C2 -30 지방족 기이되, 1개 이상의 메틸렌 단위는 -NRy-, -N(Ry)C(O)-, -C(O)N(Ry)-, -O-, -C(O)-, -OC(O)-, -C(O)O-, -S-, -Si(Ry)2-, -SO-, -SO2-, -C(=S)-, -C(=NRy)- 또는 -N=N-으로 임의로 그리고 독립적으로 대체되고, 각각의 경우의 Ry는 독립적으로 -H이거나, 또는 C1 -6 지방족, 페닐,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탄소환식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2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7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헤테로아릴 고리, 및 8- 내지 10-원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82.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62
    모이어티는 하기 기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63

    상기 기에서, 각각의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고, t는 0 내지 4이며, *는 리간드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내고, 각각의 #는 활성화 작용기의 부착 부위를 나타내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83.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64
    모이어티는 6좌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84.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ct00365
    모이어티는 2개의 3좌 리간드를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85.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6좌 리간드는 살렌 유도체, 살렌 리간드의 유도체, 비스-2-하이드록시벤즈아마이도 유도체 및 로브슨형 매크로환식 시프 염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86. 제83항에 있어서, 상기 6좌 리간드는 하기 화학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66

    Figure pct00367

    Figure pct00368

    상기 식 중,
    Q1, Q2, Q3, Q3, Q4, Q5 및 Q6은 각각 독립적으로, 원자가 규칙에 의해 허용된다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이고;
    각각의
    Figure pct00369
    는 임의로 존재하고, 독립적으로 2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브리지를 나타내되, 이러한 브리지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고, 임의로 존재하는 각 브리지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며;
    각각의
    Figure pct00370
    모이어티는 독립적으로 임의로 불포화된 임의로 치환된 탄소 브리지이되, 상기 브리지를 구성하는 임의의 탄소 원자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의 일부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Figure pct00371
    기는 하나 이상의
    Figure pct00372
    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고리 C 및 D는 각각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방향족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5- 내지 12-원 단환식 혹은 다환식 고리를 독립적으로 나타내고;
    각각의 Ra 및 Rb는 독립적으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하는 치환체이되, 2개 이상의 Ra기 및/또는 2개 이상의 Rb기는 함께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Rc 및 Rd
    Figure pct00373
    기, 할로겐, -OR7, -N(Ry)2, -SR7, -CN, -NO2, -SO2Ry, -SOR, -SO2N(Ry)2; -CNO, -NRySO2Ry, -NCO, -N3, -SiR3;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2개 이상의 Rc 또는 Rd기는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들 및 임의의 개재 원자들과 함께 1개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2개의 Rc 또는 Rd기가 동일한 탄소 원자에 부착될 경우, 이들은 이들이 부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 스피로환식 고리, 카보닐기, 임의로 치환된 알켄, 임의로 치환된 옥심, 임의로 치환된 하이드라존 및 임의로 치환된 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모이어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Re 수소;
    Figure pct00374
    기;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탄소환; 7-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탄소환;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5- 내지 6-원 단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8- 내지 14-원 다환식 헤테로아릴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3- 내지 8-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단환식 복소환 고리; 질소, 산소 또는 황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지니는 6- 내지 14-원 포화 혹은 부분 불포화 다환식 복소환; 페닐; 또는 8- 내지 14-원 다환식 아릴 고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모이어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2개의 Re기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할 경우, 이들은 함께 하나 이상의 Rc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스피로환식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R12는 임의로 존재하며, 존재할 경우,
    Figure pct00375
    기; 또는 C1 -20 지방족; C1 -20 헤테로지방족; 및 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임의로 치환된 라디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hi는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이며;
    q는 1 또는 2이다.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76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고;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377
    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한다.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78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고,
    하나 이상의 활성화 모이어티
    Figure pct00379
    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용가능한 위치에 있는 상기 표시된 페닐 고리 상에 존재한다.
  89.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0

    Figure pct00381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90.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2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91.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3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92.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4

    상기 식 중,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93.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 화학식을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5

    Figure pct00386

    상기 식 중,
    X1 및 X2의 각각은, 존재한다면, 독립적으로 에폭사이드를 개환시킬 수 있는 친핵체 또는 음이온이다.
  94.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표 1의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되, 각각의 M은 독립적으로 금속 이온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95. 제94항에 있어서, 각각의 M은 코발트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96. 제86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7
  97. 제96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8
  98. 제86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89

    Figure pct00390
  99. 제86항에 있어서, 이금속성 착체의 적어도 하나의 페닐 고리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91
  100.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92
  101.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Z기는 독립적으로 아민, 포스핀, 구아니딘, 비스-구아니딘, 아미딘 및 질소-함유 복소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중성 작용기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2.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양이온성 모이어티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93
  103.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링커 모이어티
    Figure pct00394
    는,
    Figure pct00395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되,
    각각의 s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이고, t는 0 내지 4이며, *는 리간드에 대한 부착 부위를 나타내고, 각각의 #는 활성화 작용기의 부착 부위를 나타내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4.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코발트, 알루미늄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5.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코발트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6.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1 및 M2는 코발트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7.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염소, 브롬, 임의로 치환된 C1 -12 카복실레이트, 아자이드, 임의로 치환된 페녹사이드, 설포네이트 염, 및 이들 중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8. 제96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는 염소, 아세테이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아자이드, 펜타플루오로벤조에이트 및 나이트로페놀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10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1 내지 8개의 Z기를 포함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1 내지 6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1.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1 내지 4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2.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2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3.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이금속성 착체는 총 4개의 Z기를 함유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4.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96
    .
  11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Z기는
    Figure pct00397
    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6. 제115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7. 제115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8. 제115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19.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98
  120.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399
    .
  121. 제120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22. 제120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23. 제120항에 있어서, R3은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24. 제120항에 있어서, R1, R2 및 R3 중 둘 이상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25.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400
    .
  126.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401
    .
  127. 제126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28. 제126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29. 제126항에 있어서, R1 및 R2 중 둘 이상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30.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402
  131.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Figure pct00403
    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32. 제13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2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33. 제131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독립적으로 -H 또는 임의로 치환된 C1 -10 지방족인 것인 이금속성 착체.
  134. 제13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중 2개 이상은 함께 추가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로 치환된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135.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404
    .
  136. 제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Z기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이금속성 착체:
    Figure pct00405
KR1020137009218A 2010-09-14 2011-09-14 중합체 합성용의 촉매 및 방법 KR101805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286010P 2010-09-14 2010-09-14
US61/382,860 2010-09-14
PCT/US2011/051639 WO2012037282A2 (en) 2010-09-14 2011-09-14 Catalysts and methods for polymer synthe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532A true KR20130103532A (ko) 2013-09-23
KR101805648B1 KR101805648B1 (ko) 2017-12-14

Family

ID=4583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218A KR101805648B1 (ko) 2010-09-14 2011-09-14 중합체 합성용의 촉매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84406B2 (ko)
EP (1) EP2616513B1 (ko)
JP (2) JP2013539802A (ko)
KR (1) KR101805648B1 (ko)
CN (1) CN103201034A (ko)
WO (1) WO20120372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07607D0 (en) 2008-04-25 2008-06-04 Imp Innovations Ltd Catalyst
CN109734893A (zh) 2008-08-22 2019-05-10 沙特阿美技术公司 用于合成聚合物的催化剂和方法
WO2010028362A1 (en) 2008-09-08 2010-03-11 Novomer, Inc. Polycarbonate polyol compositions and methods
EP2616513B1 (en) 2010-09-14 2019-11-06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Catalysts and methods for polymer synthesis
CN103228137B (zh) 2010-09-22 2018-11-27 沙特阿美技术公司 取代的水杨醛衍生物的合成
US9327280B2 (en) 2011-05-13 2016-05-03 Novomer, Inc. Catalytic carbonylation catalysts and methods
GB201115565D0 (en) 2011-09-08 2011-10-26 Imp Innovations Ltd Method of synthesising polycarbonates in the presence of a bimetallic catalyst and a chain transfer agent
JP6619140B2 (ja) 2011-12-20 2019-12-11 サウジ アラムコ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ポリマー合成方法
WO2013158621A1 (en) 2012-04-16 2013-10-24 Novomer,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JP6527080B2 (ja) 2012-05-24 2019-06-05 サウジ アラムコ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オール組成物および方法
US9771388B2 (en) 2012-08-24 2017-09-26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Metal complexes
GB201308978D0 (en) 2013-05-17 2013-07-03 Imp Innovations Ltd Method for producing polymers and block copolymers
GB201402109D0 (en) * 2014-02-07 2014-03-26 Imp Innovations Ltd Catalyst
AU2015293702B2 (en) * 2014-07-22 2018-11-01 Econic Technologies Ltd Catalysts
GB201514506D0 (en) 2015-08-14 2015-09-30 Imp Innovations Ltd Multi-block copolymers
GB201515350D0 (en) * 2015-08-28 2015-10-14 Econic Technologies Ltd Method for preparing polyols
EP3168273B1 (de) * 2015-11-11 2018-05-23 Evonik Degussa GmbH Härtbare polymere
GB201703324D0 (en) * 2017-03-01 2017-04-12 Econic Tech Ltd Method for preparing polyether carbonates
WO2019126221A1 (en) 2017-12-22 2019-06-27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Catalysts for polycarbonate production
KR20210020880A (ko) 2018-04-18 2021-02-24 사우디 아람코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 중합체의 말단 그룹 이성질체화
US11180609B2 (en) 2018-08-02 2021-11-23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Sustainable polymer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3166391A (zh) 2018-09-24 2021-07-23 沙特阿美技术公司 聚碳酸酯嵌段共聚物及其方法
GB201906214D0 (en) 2019-05-02 2019-06-19 Econic Tech Ltd A polyol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therefor
GB201906210D0 (en) 2019-05-02 2019-06-19 Econic Tech Limited A polyol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and processes therefor
GB202003002D0 (en) 2020-03-02 2020-04-15 Crane Ltd Method of preparation of a polyol block copolymer
GB202003003D0 (en) 2020-03-02 2020-04-15 Econic Tech Ltd A polyol block copolymer
US20220002469A1 (en) 2020-06-24 2022-01-06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Polyol compositions and methods
GB202017531D0 (en) 2020-11-05 2020-12-23 Econic Tech Limited (poly)ol block copolymer
WO2022153149A1 (en) 2021-01-12 2022-07-21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Continuous manufacturing of polyol
KR20240034195A (ko) 2021-06-23 2024-03-13 사우디 아람코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폴리올 조성물 및 방법
CN118103137A (zh) 2021-08-11 2024-05-28 伊科尼克技术有限公司 使用大环双金属催化剂与双金属氰化物催化剂的混合物通过环氧化物和co2共聚制备表面活性剂的方法
GB202115335D0 (en) 2021-10-25 2021-12-08 Econic Tech Ltd Surface-active agent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3445A (en) * 1987-12-14 1988-11-08 Arco Chemical Company Soluble epoxide/carbon dioxide copolymerization catalysts
US5637739A (en) 1990-03-21 1997-06-10 Research Corporation Technologies, Inc. Chiral catalysts and catalytic epoxidation catalyzed thereby
US5223631A (en) 1992-06-30 1993-06-29 National Science Council Bimetallic complexes as catalysts in an oxidation process
US5665890A (en) 1995-03-14 1997-09-0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Stereoselective ring opening reactions
WO1998004538A1 (en) 1996-07-26 1998-02-05 Princeton University Catalytic oxygenation of hydrocarbons by metalloporphyrin and metallosalen complexes
TWI246520B (en) 1997-04-25 2006-01-01 Mitsui Chemicals Inc Processes for olefin polymerization
US6130340A (en) 1998-01-13 2000-10-10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Asymmetric cycloaddition reactions
US6521561B1 (en) 1998-05-01 2003-02-18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Main-group metal based asymmetric catalysts and applications thereof
US6897332B2 (en) * 2000-08-02 2005-05-24 Nesmeyanov Institute Of Organoelement Compounds Process for the cyanation of aldehydes
KR100342659B1 (en) 2000-12-15 2002-07-04 Rstech Co Ltd Chiral polymer salene catalyst and process for preparing chiral compounds from racemic epoxide using the same
CN1233648C (zh) 2001-06-27 2005-12-28 尔艾斯特公司 Salen催化剂、催化剂的制备和通过使用催化剂制备手性化合物的方法
US6639087B2 (en) 2001-08-22 2003-10-28 Rhodia Pharma Solutions Inc. Kinetic resolution method
US6870004B1 (en) 2001-08-24 2005-03-22 Northwestern University Metal-ligand complexes and related methods of chemical CO2 fixation
DE10235316A1 (de) 2002-08-01 2004-02-12 Basf Ag Katalysator und Verfahren zur Carbonylierung von Oxiranen
JP4238354B2 (ja) 2003-07-29 2009-03-1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鉄複核錯体中心をもつレドックス応答性有機分子からなる素子
US7304172B2 (en) * 2004-10-08 2007-12-0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Polycarbonates made using highly selective catalysts
KR100724550B1 (ko) 2004-12-16 2007-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중 금속 아연 착화합물과 이를 촉매로 사용한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WO2006099162A2 (en) 2005-03-14 2006-09-2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Polymeric salen compounds and methods thereof
US7399822B2 (en) 2005-06-21 2008-07-15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Isotactic specific catalyst for direct production of highly isotactic poly (propylene oxide) or highly isotactic poly (butylene oxide)
US20090062110A1 (en) 2006-02-08 2009-03-05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al complex and use thereof
US8232267B2 (en) 2006-10-06 2012-07-31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Porphyrin catalysts and methods of use thereof
GB0708016D0 (en) 2007-04-25 2007-06-06 Univ Newcastle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EP2147037B1 (en) 2007-05-04 2014-08-20 SK Innovation Co. Ltd. A process for producing polycarbonates and a coordination complex used therefor
CN101715465A (zh) * 2007-06-08 2010-05-26 国立大学法人东京大学 环氧化物和二氧化碳的立体选择性交替共聚
US7902415B2 (en) 2007-12-21 2011-03-08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Processes for dimerizing or isomerizing olefins
EP2096132A1 (en) 2008-02-26 2009-09-02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Monomers issued from renewable resources and process for polymerising them
WO2009109765A1 (en) 2008-03-07 2009-09-11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Synthesis of cyclic carbonates
GB0807607D0 (en) * 2008-04-25 2008-06-04 Imp Innovations Ltd Catalyst
CN102702022B (zh) 2008-07-30 2015-05-20 Sk新技术株式会社 新型配位络合物和以该络合物为催化剂经二氧化碳和环氧化物的共聚合制备聚碳酸酯的方法
CN109734893A (zh) * 2008-08-22 2019-05-10 沙特阿美技术公司 用于合成聚合物的催化剂和方法
WO2010028362A1 (en) 2008-09-08 2010-03-11 Novomer, Inc. Polycarbonate polyol compositions and methods
CA2639870A1 (en) 2008-09-29 2010-03-29 Nova Chemicals Corporation Trimerization
KR101503745B1 (ko) 2010-02-25 2015-03-1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나이트레이트 음이온의 이산화탄소/에폭사이드 공중합 촉매 시스템
EP2616513B1 (en) 2010-09-14 2019-11-06 Saudi Aramco Technologies Company Catalysts and methods for polymer synthesis
WO2013022932A1 (en) 2011-08-08 2013-02-14 Novomer, Inc. Catalysts and methods for polymer synthesis
GB201115565D0 (en) 2011-09-08 2011-10-26 Imp Innovations Ltd Method of synthesising polycarbonates in the presence of a bimetallic catalyst and a chain transfer a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7282A3 (en) 2012-05-10
CN103201034A (zh) 2013-07-10
EP2616513B1 (en) 2019-11-06
JP2016216742A (ja) 2016-12-22
WO2012037282A2 (en) 2012-03-22
KR101805648B1 (ko) 2017-12-14
US20130172524A1 (en) 2013-07-04
JP2013539802A (ja) 2013-10-28
US9856349B2 (en) 2018-01-02
US9284406B2 (en) 2016-03-15
US20160137777A1 (en) 2016-05-19
EP2616513A4 (en) 2017-04-05
EP2616513A2 (en)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3532A (ko) 중합체 합성용의 촉매 및 방법
KR101983007B1 (ko) 폴리머 합성용 촉매 및 방법
KR102128706B1 (ko) 촉매 및 중합체 합성방법
KR102093604B1 (ko) 폴리머 합성 방법
KR102048191B1 (ko) 이산화탄소와 에폭사이드의 공중합용의 금속 착체
WO2019126221A1 (en) Catalysts for polycarbonate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