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337A -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337A
KR20130103337A KR1020127031975A KR20127031975A KR20130103337A KR 20130103337 A KR20130103337 A KR 20130103337A KR 1020127031975 A KR1020127031975 A KR 1020127031975A KR 20127031975 A KR20127031975 A KR 20127031975A KR 20130103337 A KR20130103337 A KR 20130103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ic
polyisocyanate
reacted
trimerization catalyst
polyisocya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스 크라우제
만프레드 슈미츠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0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3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9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n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 C08G18/02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the polymeric product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89Reaction retard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4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rom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단량체 부분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 NCO 관능성 예비중합체로 제조된 다공질 및 비-다공질 폴리우레탄 (PUR)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POLYURETHANE ELASTOMERS, A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삼량체 비율을 포함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 NCO-관능성 예비중합체로부터 유도된 다공질 및 비다공질 폴리우레탄 (PUR)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수많은 마모-민감성 용도에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인열 전개 저항의 마멸 및/또는 부족에 따른 마모 이외에, 동적 용도, 예컨대 롤러(roller), 휠(wheel), 실(seal), 다공질 완충 요소 및 다공질 신발 밑창에서 반복되는 특정 다수의 응력에의 종속 이후에 변형 및/또는 열 축적으로 인한 마모가 있다. 이들 응력은 보통 주기적이다. 여기에서는, 높은 영구 변형이 일어나고 추가 사용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내부 열 축적 (비탄성 상호작용으로 인한)이 매우 높아 폴리우레탄이 응력 하에 붕괴되는 정도까지 뜨거워질 수 있다. 또한, 폴리올의 관능가가 2보다 높게 증가하는 경우 동적 안정도는 증가하지만, 동시에 인열 전개 값이 그 만큼 감소하여 엘라스토머가 비동적 마모 현상에 의해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관능가를 갖고 동시에 매우 우수한 인열 전개 저항 및 매우 우수한 동적 거동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제 놀랍게도, 기계물리적 특성의 변화 없이 하기에 보다 상세히 명시된 바와 같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재 특정 NCO 예비중합체의 사용에 의해 동적 특성이 동시에 개선된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마멸, 항복 응력, 인열 전개 저항, 파단 신도)을 갖는 폴리우레탄이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반응시키며, 여기서 삼량체화 촉매를 사용한 상기 반응을 1:2 내지 20:1의 정지제(stopper)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로 사용된 정지제에 의해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에서 정지시키고,
b) a)로부터의 단량체성 및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과 반응시켜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제공하고,
c)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제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올이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반응시키며, 여기서 삼량체화 촉매를 사용한 상기 반응을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로 사용된 정지제에 의해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에서 정지시키고,
b) a)로부터의 단량체성 및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과 반응시켜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올이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NCO-말단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반응시키며, 여기서 삼량체화 촉매를 사용한 상기 반응을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로 사용된 정지제에 의해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에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을 갖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그리고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의 정지제에 의해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될 수 있음),
b)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 및
c)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제로부터
d)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의 존재 하에 수득가능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을 갖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그리고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의 정지제에 의해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될 수 있음), 및
b)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로부터
d)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의 존재 하에 수득가능한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그리고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의 정지제에 의해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가능한,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을 갖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반응은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ume E20, part 2,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1987, pp. 1739-1751]에 서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삼량체화 촉매, 예를 들어 4급 수산화암모늄, 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페놀 만니히(Mannich) 염기 또는 이들 촉매의 혼합물에 의해 수행된다. 디메틸아민 및 포름알데히드와 페놀 또는 비스페놀 A의 반응에 의해 수득가능한 페놀 만니히 염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삼량체화 촉매는 용매, 예를 들어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및 2-에틸-1-헥산올), 에테르 또는 폴리에테르, 인산 에스테르, 예컨대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TCPP) 또는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TEP)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목적하는 전환 이후에,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브뢴스테드(Bronsted) 또는 루이스(Lewis) 산, 예컨대 염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또는 유기 광산, 예컨대 디부틸 포스페이트에 의해 정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우수한 기계물리적 특성과 조합된 매우 우수한 동적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롤러, 휠 및 컨베이어 벨트의 제조를 위한 유동성 엘라스토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일부는 캐스팅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본원에서는,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먼저 제조한다.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생성된 즉시 사슬 연장제/가교제와 반응시키거나, 저온 (저장 온도)로 냉각시켜 이후의 사슬 연장/가교 목적을 위해 저장한다.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거친 합성의 특별한 이점은 NCO-말단 예비중합체의 합성 동안에 반응 열의 일부가 방산되고 그 결과 엘라스토머를 제공하는 실제 중합체 축적에서 방산되는 열이 더 낮아진다는 점이다. 이는 분자량 축적 속도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고 더 긴 캐스팅 시간을 가능하게 하는, 즉 가공처리 이점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실온에서 또는 승온에서 감압의 적용에 의해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먼저 탈기시키고, 그리고 나서 보통 승온에서 사슬 연장제/가교제와 반응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10℃의 온도로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감압 하에 탈기시킨다. 그리고 나서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제를, 통상적으로 그의 용융점보다 5℃ 이상 높은 온도까지 임의로 가열하면서, 액체 형태로 첨가한다. 이 반응 혼합물을 바람직하게는 예열된 금형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에 붓고 90℃ 내지 140℃에서 약 24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NCO-관능성 예비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된다: NDI (나프탈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톨릴렌 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 MDI (2,2'-, 2,4'- 및 4,4'-MDI 또는 그의 혼합물), TODI (3,3'-디메틸비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PPDI (파라페닐렌 1,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CHDI (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및/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개질된 화합물, 예를 들어 우레토니민, 이소시아네이트의 중합체 (중합체성 MDI, 예를 들어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Bayer MaterialScience AG)의 데스모두르(Desmodur)® 44V20L) 또는 기타 개질된 이소시아네이트. 덜 바람직하지만 대안물로서, 고리-수소화 MDI (예를 들어, 데스모두르® W)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를 사용하거나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NCO-관능성 예비중합체는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 유리 이소시아네이트를 제거하여 유리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까지 감소시킨다. 상기 제거는 보통 감압 하에 (예를 들어 박막 또는 단경로 및/또는 강하막식 증발기에 의해) 수행된다. 이 목적을 위해 공비제를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공비제는, 예를 들어 용매 또는 기체, 예를 들어 질소일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수득된 이들 NCO-예비중합체를, 예를 들어 블록킹된 아민, 예컨대 블록킹된 디아미노디페닐메탄 (예를 들어, 케이투르(Caytur)® 31)과 혼합하거나 2-성분 시스템 (문헌에서 종종 1-성분 시스템으로도 또한 지칭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로서, 예를 들어 20 내지 200 ㎎ KOH/g,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150 ㎎ KOH/g, 특히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120 ㎎ KOH/g의 히드록실 가 (OH 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및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스타터(starter) 분자 및 에폭시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옥시드 또는 프로필렌 옥시드로부터, 알칼리성 촉매작용에 의해 또는 이중 금속 시아니드 촉매작용에 의해, 또는 임의로 단계적 반응의 경우 알칼리성 촉매작용 및 이중 금속 시아니드 촉매작용에 의해 제조되고, 말단 히드록실 기를 갖는다. 가능한 스타터에는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히드록실 및/또는 아미노 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물이 있다. 여기에서 스타터의 관능가는 2 이상 4 이하이다. 물론, 복수의 스타터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폴리에테르 폴리올 혼합물을 또한 폴리에테르 폴리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대안물로서, C4 기재 폴리에테르 폴리올,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히드로푸란을 또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3-프로필렌 글리콜 기재 C3-폴리올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주로 반응 성분으로서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 분자량 폴리올을 사용하여, 중축합에 의해, 4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카르복실산으로부터, 임으로는 이들의 무수물로부터 또는 임의로는 환형 에스테르를 비롯한 이들의 저 분자량 에스테르로부터 자체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에 대한 구성 성분의 관능가는 바람직하게는 2이지만, 각각의 경우에 2보다 클 수도 있는데, 이때 2보다 큰 관능가를 갖는 성분이 단지 소량으로 사용되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산술 수 평균 관능가는 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1의 범위에 존재하게 된다.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합성에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동반 사용에 의해 제조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은, 예를 들어 중축합에 의해 카르본산 유도체, 예를 들어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또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스겐, 및 폴리올로부터 선행 기술분야에 따라 수득된다.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제로서, 예를 들어 방향족 아민-유형 물질, 예컨대 디에틸톨루엔디아민 (DETDA), 3,3'-디클로로-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MBOCA), 3,5-디아미노-4-클로로이소부틸 벤조에이트, 4-메틸-2,6-비스(메틸티오)-1,3-디아미노벤젠 (에타큐어(Ethacure) 300), 트리메틸렌 글리콜 디-p-아미노벤조에이트 (폴라큐어(Polacure) 740M) 및 4,4'-디아미노-2,2'-디클로로-5,5'-디에틸디페닐메탄 (MCDEA) 및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MDA) 또는 염에 의해 블록킹된 MDA (켐투라(Chemtura)의 케이투르 21, 31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아민-유형 사슬 연장제 또는 가교제를 마찬가지로 사용하거나 동반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 그룹, 예를 들어 1,2-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사슬 연장제 또는 가교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1,4-부탄디올을 사슬 연장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촉매, 안정화제, UV 안정화제, 가수분해 억제제, 유화제, 바람직하게는 혼입가능한 염료, 및 착색 안료, 기포 조절제 및 충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촉매의 예로는 트리알킬아민, 디아자비시클로옥탄, 주석 디옥토에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N-알킬모르폴린, 납 옥토에이트, 아연 옥토에이트, 칼슘 옥토에이트, 마그네슘 옥토에이트, 상응하는 나프테네이트 및 p-니트로페녹시드가 있다.
안정화제의 예로는 브뢴스테드 및 루이스 산, 예컨대 염산, 벤조일 클로라이드, 유기 광산, 예를 들어 디부틸 포스페이트, 및 아디프산, 말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또는 시트르산이 있다.
UV 안정화제 및 가수분해 억제제의 예로는 2,6-디부틸-4-메틸페놀 및 입체 장애 카르보디이미드가 있다.
혼입가능한 염료는 체레비티노프(Zerevitinov)-활성 수소 원자를 갖는, 즉 NCO 기와 반응할 수 있는 것들이다.
개요는 문헌 [G. Oertel, Polyurethane Handbook, 2nd edition, Carl Hanser Verlag, Munich, 1994, chapter 3.4]에서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롤(roll), 휠, 롤러, 히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 체, 파이프라인 피그(pipeline pig)용 유동성 엘라스토머 및 완충 요소용 다공질 및 비다공질 엘라스토머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실시예
사용된 화합물:
촉매: 헌츠만(Huntsman)의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960-1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MDI: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의 데스모두르® 44M (단량체성 디페닐메탄 4,4'-디이소시아네이트); NCO 함량: 33.6 중량%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모노에틸렌-부틸렌 글리콜 아디페이트 기재 분자량 2000 g/mol의,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의 데스모펜(Desmophen)® 2001KS
정지제: 벤조일 클로라이드
BDO: 1,4-부탄디올
예비중합체 1 (본 발명에 따름):
MDI를 60℃에서 반응 용기에 넣고, MDI 기준 200 ppm의 촉매와 혼합하고 1시간 30분간 교반했다. 그리고 나서 반응 혼합물을 1.5 몰 과량의 정지제와 혼합했다. NCO 함량은 32.9 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혼합물 34.218 중량부를 60℃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65.682 중량부와 60℃에서 혼합하고, 이 둘을 서로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은 8.42 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비중합체는 용해되지 않은 입자를 포함했고 엘라스토머를 제공하도록 수동으로 가공처리될 수 있다.
예비중합체 2 (본 발명에 따름):
예비중합체 1의 일부를 취해, 용해되지 않은 입자가 전혀 존재하지 않도록 여과시켰다. 입자는 몇몇 상황 하에 기계적 가공처리를 방해할 수 있다. NCO 함량은 8.40 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비중합체 3 (본 발명에 따름):
MDI를 60℃에서 반응 용기에 넣고, MDI 기준 50 ppm의 촉매와 혼합하고 1시간 30분간 교반했다. 그리고 나서 반응 혼합물을 1.5 몰 과량의 정지제와 혼합했다. NCO 함량은 33.5 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33.72 중량부의 MDI를 60℃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66.28 중량부와 60℃에서 혼합하고, 이 둘을 서로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은 8.50 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비중합체는 용해되지 않은 어떤 입자도 함유하지 않았다.
예비중합체 4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음):
33.61 중량부의 MDI를 60℃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66.39 중량부와 60℃에서 혼합하고, 이 둘을 서로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예비중합체의 NCO 함량은 8.37 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비중합체는 용해되지 않은 어떤 입자도 함유하지 않았다.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의 예비중합체를 각 경우에 80℃에서 1,4-부탄디올 (양은 표 1에서 나타냄)과 반응시키고 120℃에서 고온 금형에 부었다. 기계적 특성은 7일 후에 측정했다.
<표 1>
Figure pct00001
기계적 특성은 측정 정확도 내에서 부분 반응에 의해 변하지 않음을 표 1로부터 알 수 있다.
<표 2>: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에 대한 동적 특성 결과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18 ㎜의 직경 및 25 ㎜의 높이를 갖는 실린더를 각각의 경우에 시험했다. 실린더를 1.2 kN의 힘 및 0.8 kN의 진폭에서의 고정 진동수를 갖는 펄스로 압축시켰다. 시험을 60%의 변형에서 정지하였다.
Figure pct00002
부분 반응은 기계물리적 특성 또는 가공처리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동적 성능을 2-3배 증가시킨다는 사실이 상기 시험 결과로부터 명백하다. 낮은 전환률에서도, 우수한 기계물리적 특성 및 매우 우수한 동적 특성을 갖는 엘라스토머가 입자가 형성되는 것 없이 그리고 아마도 기계적 가공처리 전에 여과시켜야 하는 것 없이 수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예비중합체 점도, 캐스팅 시간, 기계적 및 동적 기계적 특성에 대해 독특한 조합의 유리한 특성을 나타낸다.

Claims (7)

  1.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반응시키며, 여기서 상기 반응을 1:2 내지 20:1의 정지제(stopper)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로 사용된 정지제에 의해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에서 정지시키고,
    b) a)로부터의 단량체성 및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과 반응시켜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제공하고,
    c)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제와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올이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것인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제조 방법.
  2.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반응시키며, 여기서 상기 반응을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로 사용된 정지제에 의해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에서 정지시키고,
    b) a)로부터의 단량체성 및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을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과 반응시켜 NCO-말단 예비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폴리올이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것인 NCO-말단 예비중합체의 제조 방법.
  3.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반응시키며, 여기서 상기 반응을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로 사용된 정지제에 의해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반응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에서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여기서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는 것인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의 제조 방법.
  4. a)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을 갖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며,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그리고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의 정지제에 의해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가능한 것인 혼합물,
    b)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 및
    c) 사슬 연장제 및/또는 가교제
    로부터
    d)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의 존재 하에
    수득가능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5. a)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을 갖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며, 여기서, 상기 혼합물은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그리고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의 정지제에 의해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가능한 것인 혼합물, 및
    b) 20 내지 200 ㎎ KOH/g의 OH 가 및 1.95 내지 2.40의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
    로부터
    d) 임의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의 존재 하에
    수득가능한 NCO-말단 예비중합체.
  6. a)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1 내지 2000 ppm의 양의 삼량체화 촉매에 의해, 그리고 1:2 내지 20:1의 정지제 대 삼량체화 촉매의 몰비의 정지제에 의해 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수득가능한,
    전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의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비율을 갖는 단량체성 및 비단량체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7. 예를 들어, 롤(roll), 휠(wheel), 롤러(roller), 히드로사이클론(hydrocyclone), 체, 파이프라인 피그(pipeline pig)용 유동성 엘라스토머 및 완충 요소용 다공질 및 비다공질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의 용도.
KR1020127031975A 2010-05-07 2011-05-02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201301033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9701.7 2010-05-07
DE102010019701 2010-05-07
PCT/EP2011/056955 WO2011138275A1 (de) 2010-05-07 2011-05-02 Polyurethanelastomer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337A true KR20130103337A (ko) 2013-09-23

Family

ID=4420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1975A KR20130103337A (ko) 2010-05-07 2011-05-02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30109830A1 (ko)
EP (1) EP2566905A1 (ko)
JP (1) JP2013525583A (ko)
KR (1) KR20130103337A (ko)
CN (1) CN102933631A (ko)
MX (1) MX2012012904A (ko)
RU (1) RU2012152518A (ko)
WO (1) WO2011138275A1 (ko)
ZA (1) ZA2012092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97590A (zh) * 2021-11-09 2022-02-01 衡水众一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热塑型材料制作水力旋流器的新型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6316A (en) * 1966-02-02 1969-10-08 Bayer Ag Polymerization of Aromatic Polyisocyanates
WO1990014372A1 (en) * 1989-05-16 1990-11-29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Method of producing modified organic polyisocyanate
DE19548771A1 (de) * 1995-12-23 1997-06-26 Basf Ag Mikrozelluläres, harnstoffgruppenhaltiges Polyurethanelastomer
DE10309432A1 (de) * 2003-03-05 2004-09-16 Degussa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ruchsarmen und lagerstabilen monomerhaltigen Polyisocyanuraten auf Basis von Isophorondiisocyanat
US20070142607A1 (en) * 2005-12-15 2007-06-21 Bayer Materialscience Llc Weather resistant polyurethane elastomer
DE102006004527A1 (de) * 2006-02-01 2007-08-09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urethan-Gießelastomere aus NCO-Prepolymeren auf Basis von 2,4-MDI,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8275A1 (de) 2011-11-10
CN102933631A (zh) 2013-02-13
US20130109830A1 (en) 2013-05-02
RU2012152518A (ru) 2014-06-20
ZA201209249B (en) 2014-05-28
MX2012012904A (es) 2012-12-17
EP2566905A1 (de) 2013-03-13
JP2013525583A (ja)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3846B2 (en) Polyurethane and polyurethane urea elastomers based on polycarbonate polyols
JP2009525363A (ja) 2,4’−mdiに基づくncoプレポリマーから形成されるポリウレタン注型エラストマ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CA2652297C (en) Polyurethane elastomer with enhanced hydrolysis resistance
US20070155941A1 (en) Polyurethane cast elastomers made of NCO prepolymers based on 2,4&#39;-MDI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H058213B2 (ko)
JP5540093B2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オールを含む第2級ヒドロキシル末端基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ポリマーの製造方法
CN101868484A (zh) 基于2,4′-二苯基甲烷二异氰酸酯预聚物的聚氨酯/聚脲弹性体和其的制备
US20040220290A1 (en) Flexible moldings of foamed polyurethane and their use
KR101682505B1 (ko) 비공기압식 타이어 부재용 폴리우레탄 주조 엘라스토머 및 그 제조 방법
DK2643377T3 (en) POLYURETHANE ELASTOMER CASTLES OF DIPHENYLMETHANDEISOCYANATE-BASED NCO PREPOLYMERS AND METAL SALT COMPLEXES AND A PROCEDURE FOR PREPARING IT
KR20130103337A (ko)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1672061B1 (ko) 젖은 노면에서의 제동성능이 향상된 비공기압식 타이어 부재용 폴리우레탄 주조 엘라스토머
JP6756353B2 (ja) 2液硬化型接着剤組成物
TWI419906B (zh) 多異氰酸酯基生質材料及其形成方法
US20030212236A1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
JP6903895B2 (ja) 熱硬化性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形成性組成物
JPWO2021150923A5 (ko)
JP3100349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20210030924A (ko)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폼 및 그 제조 방법
JPH09286835A (ja) 2液注型用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
JPH0570541A (ja) ポリウレタンプレポリマー組成物及び二液性ポリウレタン組成物
US20100036080A1 (en) Plastics mouldings of polyurethane and their use
CN117986522A (zh) 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824381B2 (ja) 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
JPWO2021200477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