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051A - Dmd 모듈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Dmd 모듈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051A
KR20130103051A KR1020120024375A KR20120024375A KR20130103051A KR 20130103051 A KR20130103051 A KR 20130103051A KR 1020120024375 A KR1020120024375 A KR 1020120024375A KR 20120024375 A KR20120024375 A KR 20120024375A KR 20130103051 A KR20130103051 A KR 20130103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md module
compressed air
dmd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4866B1 (ko
Inventor
한기수
박재형
이건
김광석
최광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옵틱스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옵틱스,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옵틱스
Priority to KR102012002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866B1/ko
Priority to JP2013041234A priority patent/JP5646667B2/ja
Publication of KR2013010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7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light modulating optical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D 모듈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DMD 모듈의 상부에 수직장착되는 히트 파이프와; 상기 히트 파이프의 상부 끝단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판 형상의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파이프의 하부와 DMD 모듈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트 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D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파이프와 히트 블록을 이용하여 DM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흡수 및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DMD 모듈의 손상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DMD 모듈 냉각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 module cooling apparatus}
본 발명은 DMD 모듈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DMD모듈과 결합되는 열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열을 빠르게 이동시키면서 상기 열전달 매개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DMD 모듈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 시스템은 소형 영상을 광학 수단을 이용하여 대화면으로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영상을 구현하는 소자의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좀더 살펴보면, 상기 CRT 방식은 소형 고화질 브라운관을 거울에 반사시켜 스크린 영상이 맺히게 하는 방식으로 가장 오래된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LCD 방식은 외부 재생 영상신호를 TV로 보내면 TV 내부의 직경이 작은 소형 LCD화면이 영상신호를 받아 영상을 재현하게 되고, 화면에 맺힌 영상을 액정화면 뒤에서 강한 빛을 쏘여 렌즈를 통해 화면을 확대하고, 거울에 반사시켜 스크린에 투영하게 되는 방식이다.
또한 DLP 방식은 수만개의 미세 구동 거울이 집적된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조립체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확대 투사하는 형태의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상기 DLP 방식은 시스템의 심장부인 표시장치에 DMD를 채용하는데, 표면에 극소의 거울을 무수히 배치한 칩으로, 거울 하나가 화소(pixel) 하나에 대응되는 것으로, 기존의 브라운관 방식이나 액정 방식, 플라스마 방식과 완전히 다른 투사 방식이다. DLP는 투과식이 아닌 거울반사 원리를 이용하므로 빛 효율이 좋고, LCD에 비해 흑색의 표현력이 좋아 상대적으로 홈씨어터용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DLP 방식의 TV에 내장되는 일반적인 DMD 모듈은 복수의 IC칩과 다수의 전자소자가 집적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DMD 모듈과, 상기 DMD 모듈이 설치된 기판을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DMD 모듈을 상기 기판에 결합시키는 브라켓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DMD 모듈을 냉각하는 냉각구조를 도시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DMD 모듈의 냉각구조(100)는 방열판(210)에 다수개의 방열핀(220)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히트 싱크(200)와, 상기 히트 싱크(20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DMD 모듈이 장착되는 DMD 모듈용 보드(300)와, 상기 히트 싱크(200)와 DMD 모듈용 보드(300)의 사이에 장착되고 인터미디어트 블록(intermediate block)(410)과 스프링 블록(spring block)(420) 및 상기 인터미디어티 블록(410)과 스프링 블록(4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체결블록(430)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조립수단(400)을 고정결합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DMD 모듈의 냉각구조(100)는 DMD 모듈용 보드(300)와 히트 싱크(200)의 사이에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에서 DMD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DMD 모듈의 냉각구조(100)는 DMD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는 구성이 복잡하여 열의 이동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열을 흡수하는 히트 싱크(200)를 냉각시키지 못함으로써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1150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DMD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파이프와 히트 블록을 이용하여 DM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흡수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냉각관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DMD 모듈에서 열을 흡수 및 전달하는 히트 파이프와 히트 싱크 및 히트 블록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MD 모듈의 상부에 수직장착되는 히트 파이프와; 상기 히트 파이프의 상부 끝단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판 형상의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파이프의 하부와 DMD 모듈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트 블록;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MD 모듈과 결합되는 히트 파이프와 히트 블록을 이용하여 DMD 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흡수 및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에 의한 DMD 모듈의 손상과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각관을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DMD 모듈에서 열을 흡수 및 전달하는 히트 파이프와 히트 싱크 및 히트 블록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 파이프와 히트 싱크 및 히트 블록을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DMD 칩의 냉각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냉각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을 나타낸 정면도.
도 7(a) 및 7(b)은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반사판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냉각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분사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a) 및 7(b)은 본 발명에 따른 DMD 모듈 냉각장치를 구성하는 반사판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DMD 모듈 냉각장치(10)는 DMD 모듈(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히트 파이프(30)와, 상기 히트 파이프(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히트 싱크(40)와, 상기 DMD 모듈(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트 블록(50)과, 상기 히트 싱크(4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냉각관(70)과, 상기 냉각관(70)에 장착되어 분사공기의 방향과 양을 조절하는 분사노즐(80)과, 상기 냉각관(70)의 후방에 장착되는 반사판(9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DMD 모듈(20)은 도시된 도면의 DMD 모듈 이외에 공지된 DMD 모듈 중 택일하여 구성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트 파이프(30)와 히트 싱크(40) 및 히트 블록(50)은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원발명에서는 분리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DMD 모듈(20)의 상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히트 파이프(30)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택일한 후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히트 파이프(3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히트 싱크(40)는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택일한 후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히트 싱크(40)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30)의 상부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DMD 모듈(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트 블록(50)은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택일한 후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트 블록(50)을 사각 블록형상으로 형성한 것은 상기 DMD 모듈(20)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빠르게 흡수 및 배출함과 동시에 흡수한 열을 상기 히트 파이프(3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트 싱크(40)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냉각시키는 냉각관(70)은 도시된 도 4 및 5와 같이 구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냉각관(70)은 상기 DMD 모듈(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 블록(60)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시된 도 4의 냉각관(70)은 상기 냉각관(70)의 일 측 끝단에 분사공(71)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DMD 모듈(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 블록(60)으로 일 측 끝단에 분사공(71)이 형성되는 냉각관(70)을 장착하여 상기 히트 싱크(40)의 일 측에만 집중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냉각관(70)은 상기 냉각관(70)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분사공(71)이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공(71)에는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상·하, 좌·우로 분사될 수 있도록 끝단에 경사면(7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DMD 모듈(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 블록(60)으로 측면에 간격을 두고 분사공(71)이 형성되는 냉각관(70)을 장착하여 상기 히트 싱크(40)에 균등하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냉각관(70)의 분사공(71)에 각각 장착되는 분사노즐(80)은 관통공(82)이 구비된 중앙부(81)와, 상기 중앙부(8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부(83)와, 상기 수평부(83)의 끝단에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84)와, 상기 곡면부(84)와 연결되는 테두리부(85)가 일체로 형성되어 분사공기의 방향과 공기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분사노즐(80)은 분사공(71)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중앙부(81)에 형성되는 관통공(82)을 이용하여 직선으로 분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앙부(81)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수평부(83)와 곡면부(84)를 통해 회전하면서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냉각관(70)의 후방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반사판(90)은 도시된 도 7(a) 및 7(b)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히트 싱크(40)를 통해 반사되는 압축공기를 다시 한번 상기 히트 싱크(40)에 전달하게 된다.
즉, 도시된 도 7(a)의 반사판(90)은 히트 싱크(40)를 통해 반사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히트 싱크(40)의 상·하부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도시된 7(b)은 상기 히트 싱크(40)에 반사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히트 싱크(40)에 각각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시된 도 7(b)의 반사판(90)에 대해서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반사판(90)은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 장착홈(91)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장착홈(91)에는 위치 장착돌기(93)와 공간(94)이 형성되는 가이드 판(92)을 장착하여, 상기 반사판(90)의 내면과 가이드 판(92)을 통해 상기 히트 싱크(40)에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DMD 모듈 냉각장치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DMD 모듈(20)을 택일하여 준비한 후 상기 DMD 모듈(20)의 상부에 소정의 지름과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택일하여 제작되는 히트 파이프(3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DMD 모듈(20)의 상부와 히트 파이프(30)의 하부에는 소정의 크기와 높이를 가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택일하여 제작되는 히트 블록(5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히트 파이프(30)의 상부 끝단에서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구리나 알루미늄 등을 택일하여 제작되는 히트 싱크(40)를 간격을 두고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DMD 모듈(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 블록(60)에 측면에 간격을 두고 분사공(71)이 형성되는 냉각관(70)을 장착하면 DMD 모듈 냉각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DMD 모듈 냉각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냉각관(70)의 분사공(71)에는 관통공(82)이 구비된 중앙부(81)와, 상기 중앙부(8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부(83)와, 상기 수평부(83)의 끝단에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84)와, 상기 곡면부(84)와 연결되는 테두리부(85)가 일체로 형성되는 분사노즐(80)이 선택적으로 각각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DMD 모듈 냉각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DMD 모듈(20)의 작동에 따라 열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DMD 모듈(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히트 파이프(30)와 히트 블록(50)은 상기 DMD 모듈(20)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DMD 모듈(20)의 열을 흡수한 히트 파이프(30)와 히트 블록(50)의 열은 상기 히트 파이프(30)를 따라서 상부에 위치하는 히트 싱크(40)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관(70)은 압축공기기계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공(71)을 이용하여 상기 히트 싱크(40)로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공(71)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분사노즐(80)을 거치면서 일부는 중앙부(81)의 관통공(82)을 직접 통과하고 일부는 수평부(83)와 곡면부(84)를 거치면서 회전분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40)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낮추고, 주변 공기는 히트 싱크(40)를 흡수하여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DMD 모듈 냉각장치를 통해서 DMD 모듈(20)의 열을 빠르게 히트 싱크(40)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상기 냉각관(70)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히트 싱크(40)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DMD 모듈 냉각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DMD 모듈 냉각장치, 20 : DMD 모듈,
30 : 히트 파이프, 40 : 히트 싱크,
50 : 히트 블록, 60 : 고정 블록,
70 : 냉각관, 80 : 분사노즐.

Claims (6)

  1. DMD 모듈(20)의 상부에 수직장착되는 히트 파이프(30)와;
    상기 히트 파이프(30)의 상부 끝단에서부터 하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판 형상의 히트 싱크(40)와;
    상기 히트 파이프(30)의 하부와 DMD 모듈(20)의 상부에 장착되는 히트 블록(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D 모듈 냉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MD 모듈(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 블록(60)에는 상기 히트 싱크(40)에 압축공기기계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공(71)이 형성되는 냉각관(70)이 장착되되,
    상기 분사공(71)은 냉각관(70)의 일 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히트 싱크(40)의 일 측에만 압축공기를 집중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D 모듈 냉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MD 모듈(20)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고정 블록(60)에는 상기 히트 싱크(40)에 압축공기기계를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공(71)이 형성되는 냉각관(70)이 장착되되,
    상기 분사공(71)은 냉각관(70)의 측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면서 끝단에 경사면(72)을 형성하여 상기 히트 싱크(40)에 균등하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D 모듈 냉각장치.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70)의 분사공(71)에는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방향과 압축공기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80)이 장착되되,
    상기 분사노즐(80)은 관통공(82)이 구비된 중앙부(81)와, 상기 중앙부(81)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수평부(83)와, 상기 수평부(83)의 끝단에 곡면지게 형성되는 곡면부(84)와, 상기 곡면부(84)와 연결되는 테두리부(85)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D 모듈 냉각장치.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냉각관(70)의 후방에는 상기 히트 싱크(40)를 통해 반사되는 압축공기를 히트 싱크(4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내면이 곡면지게 형성되는 반사판(90)이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D 모듈 냉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90)의 내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 장착홈(91)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장착홈(91)에는 상기 히트 싱크(40)에 각각 압축공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위치 장착돌기(93)가 형성된 가이드 판(92)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D 모듈 냉각장치.
KR1020120024375A 2012-03-09 2012-03-09 Dmd 모듈 냉각장치 KR10134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375A KR101344866B1 (ko) 2012-03-09 2012-03-09 Dmd 모듈 냉각장치
JP2013041234A JP5646667B2 (ja) 2012-03-09 2013-03-01 Dmdモジュール冷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375A KR101344866B1 (ko) 2012-03-09 2012-03-09 Dmd 모듈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051A true KR20130103051A (ko) 2013-09-23
KR101344866B1 KR101344866B1 (ko) 2013-12-24

Family

ID=4938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375A KR101344866B1 (ko) 2012-03-09 2012-03-09 Dmd 모듈 냉각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46667B2 (ko)
KR (1) KR101344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9610B2 (en) * 2016-12-20 2019-05-07 Xerox Corporation Cooling insert
CN111580333A (zh) * 2020-07-01 2020-08-25 嘉兴麦远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防止投影仪投映口温度过高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9653A (ja) * 1985-04-04 1986-10-24 Fujitsu Ltd 半導体部品の冷却構造
JPH04292326A (ja) * 1991-03-22 1992-10-16 Sekisui Chem Co Ltd 棒状成形体の冷却搬送装置
JPH05301284A (ja) * 1992-04-24 1993-11-16 Diafoil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H09166790A (ja) * 1995-09-13 1997-06-24 Canon Inc 表示装置
JP2931966B2 (ja) * 1997-06-10 1999-08-09 アジア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子機器の冷却装置
TWI328997B (en) * 2006-08-21 2010-08-11 Delta Electronics Inc Cooling module for use with a projection apparatus
JP2011141395A (ja) * 2010-01-06 2011-07-21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866B1 (ko) 2013-12-24
JP2013186474A (ja) 2013-09-19
JP5646667B2 (ja)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711B2 (ja) 冷却装置
CN100409100C (zh) 光学装置和投影机
US8651668B2 (en) Projector
CN109254484B (zh) 具散热结构的数字微镜装置
KR101344866B1 (ko) Dmd 모듈 냉각장치
KR20010078771A (ko) 프로젝터 장치
WO2015025687A1 (ja) 電子装置
CN110780519B (zh) 投影仪
JP2010256864A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070111697A (ko) 투사렌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엔진
KR100646243B1 (ko) 커버를 이용한 프로젝터용 냉각판
TWI665507B (zh) 具散熱結構之數位微鏡裝置
JP2005024810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CN217360533U (zh) 一种投影仪
CN220730607U (zh) 一种数字多媒体投影设备
US12001127B2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2010020049A (ja) 冷却器、冷却装置、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20240053665A1 (en)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US20110227814A1 (en) Light source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14311263U (zh) 激光投影设备
KR101041808B1 (ko) 디엘피 프로젝터의 dmd 칩 냉각용 히트싱크의 구조
US8610870B2 (en) Air-cool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800200B1 (ko) 프로젝션 시스템의 컬러 휠 냉각 구조.
KR100723054B1 (ko) 프로젝션 tv의 엔진 조립체
WO2005114994A1 (en) Project televi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