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508A - 저부하 동작으로의 전력공급모드 전환을 위한 조절 - Google Patents

저부하 동작으로의 전력공급모드 전환을 위한 조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508A
KR20130102508A KR1020130024681A KR20130024681A KR20130102508A KR 20130102508 A KR20130102508 A KR 20130102508A KR 1020130024681 A KR1020130024681 A KR 1020130024681A KR 20130024681 A KR20130024681 A KR 20130024681A KR 20130102508 A KR20130102508 A KR 2013010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witch
power converter
switching powe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264B1 (ko
Inventor
리앙 얀
존 윌리엄 케스터슨
샤오얀 왕
Original Assignee
아이와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와트 인크. filed Critical 아이와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13010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스위칭 전력 변환기(switching power converter)는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 포인트에서 동작상태의 결정에 의해 제1동작모드로부터 제2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동작이 제1동작모드에 있다면 제2동작모드상태에서 스위치를 켜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로써 전력 변환기에 포함된 켜져 있는 스위치의 포인트를 사용한다. 상기 기준 포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제2동작모드에서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부하 동작으로의 전력공급모드 전환을 위한 조절{REGULATION FOR POWER SUPPLY MODE TRANSITION TO LOW-LOAD OPERATION}
본 발명은 저부하(low-load) 또는 무부하(no-load) 상태로 전환할 때 전력 변환기의 출력 전압 파형의 왜곡을 감소시키기 위한 스위칭 전력 변환 제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증가되는 효율성 요구는 스위칭 파워 컨버터의 저부하 또는 무부하 동작에서 파워를 조절하기 위한 과제를 낳는다. 이러한 과제는 디바이스가 플러그-인되는 경우 신속하게 파워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에, 대기 모드에서 거의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그리고 배터리로 동작하는 많은 기기에 대해서 전력 절약을 위한 상기 요구들은 점점 저부하와 무부하 에너지 절약에 집중된다.
상기 과제들은 많은 휴대용 전자 기기들은 부하 상태에 기반하여 다른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스위칭 전력 조절기를 사용한다는 것을 언급한다.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과부하 상태 동안에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을 사용하고, 저부하 상태 동안에는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을 사용한다. 동작모드는 일반적으로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동작모드 보다 특히, 전도(conduction) 손실과 스위칭 손실을 포함하는 더 높은 부하 상태에서의 동적 손실(dynamic losses)에 더 효과적이다. 한편,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동작모드는 일반적으로 PFM(pulse frequency modulation) 동작모드 보다 특히,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의한 정전류 누설과 같은 저부하 상태에서의 정적 손실에 더 효과적이다. 상기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다중-모드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부하 상태의 넓은 범위에서 증진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다중-모드 동작을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스위칭으로 인해 출력 전압에서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왜곡은 다른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 포인트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조절에서 비연속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연속은 전환 포인트가 다른 두 동작모드로부터 전압 요구를 제어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차이는 전환 포인트(transition point)에서 원하지 않는 출력 전압 리플(ripple)의 양을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스위칭 전력 변환기(switching power converter)의 변압기(tranformer) 특성의 정보 없이, 양쪽의 전환 포인트에서의 전력 조절에 사용된 동작모드에 의존하는 전환 포인트(즉, 경계)를 미리 결정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예들은 스위칭 포인트를 사용하는 전환 포인트에서 동작 상태의 결정에 의해 제1 동작모드로부터 제2 동작모드로 전환을 위한 전력 조절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포인트는 제1 동작모드 상태에서 동작할 경우 제2 동작모드로 전환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로서 스위칭 포인트이다. 상기 기준 포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제2 동작모드에서 스위치의 스위칭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제1 동작모드에서 스위치의 오프(off) 구간의 끝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기준 포인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전환에서 동작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그러므로 VMS (valley mode switching)와 같은 제1 동작모드로부터 PFM와 같은 다른 동작모드로의 전환은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동작모드 상태에서 스위치를 전환할 때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준 포인트를 사용하는 것은 또한 변압기 특성에 대해 모르는 모든 동작상태를 거쳐 PFM 동작모드로의 전환 조절을 위한 제어기를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하는 동안에 요구되지 않은 원하지 않는 출력 전압 리플(ripple)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된 언어는 읽기 쉽고 지시용을 위한 언어로 주로 선택되도록 주의해야 되고, 발명 제안 내용을 제한 하거나 묘사하는 언어로 선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제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전력 변환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PWM 동작모드에서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대한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VMS 동작모드에서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대한 동작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PFM 동작모드에서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대한 동작파형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VMS 동작모드에서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을 제어하기 위한 데드 타임(dead time)을 사용하여 PFM 동작모드로 전환할 때 스위칭 주기의 조절에 대한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동작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과 다음의 설명은 그림의 방법에 의해 본 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연관된다. 다음과 같은 논의에서, 여기서 공개되는 구조 및 방법의 대안의 실시예들은 본원의 원칙으로부터 출발 없이 이용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 쉽게 인식되는 것으로 언급되어야 한다.
참조는 본원의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세부적으로 이루어지며, 이것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된다. 실행이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 어디에서나 사용될 수 있고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으로 언급된다. 도면은 그림의 목적으로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는 여기서 도시되는 구조 및 방법의 대안의 실시예들이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원칙으로부터의 출발 없이 이용될 수 있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스위칭 파워 변환기 회로의 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는 프라이머리-사이드(primary-side) 피드백 플라이백 변환기(feedback flyback converter)이고, 3개의 주요 부분, 프론트 엔드(front end)(104), 전력 스테이지(power stage) 그리고 2차 스테이지(secondary stage)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엔드(front end)(104)는 L, N 노드에서 AC 전압원(나타내지 않은)과 연결되고, 인덕터 L1, 저항 R1, F1, 다이오드 D1, D2, D3, D4 그리고 캐패시터 C2로 구성된 브릿지 정류기(bridge rectifier)를 포함한다. 상기 노드 105에서 정류된 입력 라인 전압은 저항 R10과 R11을 통해 제어기 IC(102)의 전압 공급 핀 Vcc(pin 1)을 위한 입력이다. 상기 105 노드에서 라인 전압은 또한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 106과 연결된다. 캐패시터 C5 는 정류된 라인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노드 105에서 프론트 엔드 부분의 출력은 조절되지 않은 DC 입력 전압이다.
상기 전력 스테이지는 전력 변압기 T1-A, 스위치(111) 그리고, 제어기 IC(102)를 포함한다. 전력 변압기 T1-A는 1차 권선 106, 2차 권선 107 그리고 보조 권선 108을 포함한다. 제어기 IC(102)는 스위치(111)의 ON과 OFF상태의 제어를 통해 출력 조절을 유지한다. 상기 스위치(111)의 ON 과 OFF 상태는 제어기 IC(102)의 OUTPUT 핀(pin 5)으로부터의 출력인 제어 신호(110)를 통해 제어된다. 제어 신호(110)은 스위치(111)의 베이스(base)(B)를 구동한다. 상기 스위치(111)의 콜렉터(collector)(C)는 1차 권선(106)에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스위치(111)의 에미터(emitter)(E)는 제어기 IC(102)의 ISENSE 핀 (pin 4) 연결되고, 감지(sense) 저항 R12를 통해 그라운드와 연결된다. ISENSE 핀은 감지(sense) 저항 R12를 가로지르는 전압의 형태로 스위치(111) Q1의 BJT와 1차 권선(106)을 통해 전류를 감지한다. 제어기 IC(102)는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된 변조기술(즉, 동작모드)을 사용한다. 스위치(111)의 ON과 OFF 상태, 상기 스위치(111)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제어하고, 그리고 노드 109에서 변화하는 부하 상태에 따른 상기 스위치(111) 베이스(base) 전류의 진폭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기 IC(102)의 GND 핀(pin 2)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BJT 스위치 Q1은 스위치(111)로써 사용되고, 전력 MOSFE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를 위한 스위치(111)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2차 스테이지는 출력 정류기로서의 기능을 하는 다이오드 D6와 출력 필터로서의 기능을 하는 캐패시터 C10을 포함한다. 상기 노드 109에서 정류된 출력 전압 결과는 부하(나타내지 않은)와 프리-부하(pre-load) 저항 R14로 전달된다. 상기 프리-부하(Pre-load) 저항 R14는 무부하 상태에서 전력 변환기의 출력을 안정시킨다. 또한, ESD(Electrostatic Discharge) 갭(gap) (ESD1)은 1차 권선(106)과 다이오드 D6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노드 109에서 출력 전압 Vout은 보조 권선(108)을 거쳐 반영되고, 상기 보조 권선(108)은 저항 R3과 R4로 이루어진 저항 전압 디바이더(divider)를 통해 제어기 IC(102)의 VSENSE 핀 (pin 3)을 위한 입력이다. 또한, 제어기 IC(102)는 스타트-업(start-up)에서 라인 전압(105)에 의해 동작되지만, 보통의 동작에서 제어기 IC(102)는 스타트-업(start-up) 후에 보조 권선(108)에 걸친 전압에 의해 동작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 D5와 저항 R2는 보통의 동작 동안 스타트-업(start-up) 후에 제어기 IC(102)의 VCC 핀 (pin 1)을 위한 입력 전압원으로써 사용을 위해 보조 권선(108)을 거친 전압 정류를 위한 정류기를 형성한다. 캐패시터 C9는 스타트-업(start-up)에서 노드 105에서 라인 전압으로부터 에너지 저장을 위해 사용되거나 스위칭 주기(cycles) 사이의 스타트-업(start-up) 후에 보조 권선 108을 걸친 전압으로부터 사용된다.
조정 모드 전환
도 2A-2C는 다양한 동작모드에서의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대한 동작파형을 나타내고, PWM (Pulse Width Modulation), VMS (Valley Mode Switching), 그리고 PFM (Pulse Frequency Modulation) 동작모드를 포함한다.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저부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 변조 동작모드들은 다른 출력 전류(부하) 상태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 동작모드에 대해 상기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포함하는 스위치 Q1에 적용되는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특수한 방법으로 조절한다. 상기 듀티 사이클은 스위치 Q1이 켜져 있는 동안 스위칭 주기의 일부분(흔히 백분율로써)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과부하 상태에서 전력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해,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PWM을 사용하거나 일 실시예에 따른 VMS를 사용하는 제어기 IC(102)의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PWM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위치의 듀티 사이클은 각 스위치 주기 동안 얼마나 오래 스위치를 ON(즉, 펄스 폭의 상태)으로 두는지 조절에 따라 변화된다. 즉, 제어 변동 때문에 스위치 Q1의 정확한 시간에 사용하고, 스위칭 주기는 유지된다. 예를 들면, PWM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위치는 스위칭 주파수 100kHz에서 ON될 수 있다(따라서, 스위칭 주기는 10㎲이다.). 30%의 듀티 사이클을 위해, 상기 스위치 Q1은 각 스위칭 주기의 3㎲ 동안 ON되고 7㎲ 동안 OFF되도록 제어된다.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이 PWM 동작모드는, 제거기 IC(102)는 제어 신호(110)의 전도 펄스 폭(TONx) 변화에 의한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고(따라서 스위치 Q1의 정시간에), 동시에 스위칭 주기(TP)를 일정하게 유지한다(스위칭 주파수의 역과 동일한). 감소를 조절함으로써(즉, 부하감소), 제어기 IC(102)는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TON1부터 TON4까지 전도 펄스 폭을 감소시킨다. 스위치(111)에 적용하기 위한 전도 펄스 폭의 감소는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에게 스위칭 사이클 마다 전환하기 위한 적은 에너지를 야기한다. 상기 전력 변압기 T1-A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차례로 감소시킨다. 반대로, 증가를 조절함으로써(즉, 부하증가), 제어기 IC(102)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위치 111에 적용하기 위한 전도 펄스 폭을 증가시킨다. 스위치(111)의 전도 펄스 폭 증가는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에게 사이클 마다 더 많은 에너지를 전달한다. 상기 전력 변압기 T1-A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차례로 증가시킨다.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VMS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위치(111)의 듀티 사이클은 제어 신호(110)의 스위칭 주기와 전도 펄스 폭 두 가지 모두의 조절에 의해 변화된다. 특히, VMS 동작모드에서 상기 전도 펄스 폭(즉, TONx)은 PWM, PFM에 따라 변화되거나 다른 적합한 변환기 제어 신호(즉, 동작모드)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스위칭 주기는 기설정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는 Vsense 신호의 밸리(valley)(최소점(local minimum))에서 켜진다. 상기 Vsense 신호는 바로 뒤에 또는 도 3에 설명된 사용된 동작모드(PWM 또는 PFM)에 의해 계산된 상기 요구된 스위치가 켜지는 시간 뒤에 발생한다. 앞서 설명된 도 1에서 상기 신호 VSENSE 는 보조권선(108)을 거쳐 반영된 노드 109에서 출력 전압 Vout 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VMS 동작모드와 설명된 관련 기술은 어떤 제어 도식(scheme)을 사용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에 PWM또는 PFM 또는 사용된 다른 동작모드에 상관 없이 이점을 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VMS 동작모드에서 상기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동작을 나타낸다.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주어진 스위칭 사이클에 대한 VMS 동작모드에서, 제어기 IC(102)는 펄스 폭 변환(PWM), 펄스 주파수 변환(PFM), 또한 다른 적합한 변환 신호 도식(즉, 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요구된 스위치가 켜지는 시간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기 IC(102)는 스위치(111)에 걸친 전압에 대한 최소점(valleys)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간을 예측한다. 그러면 스위치(111)은 즉시 후에 또는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결정된 요구된 스위치 시간 후에 발생시키기 위해 예측된 밸리(valley)에서 켜진다.
예를 들면, 도 1에 보인 것과 같이 VSENSE (302)은 제어기 IC(102)의 VSENSE 핀(pin 3)에서의 전압을 나타낸다. VCE (304)는 상기 스위치(111)에 걸친 전압을 나타낸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의 상기 스위치(111)은 BJT이고, VCE(304) 는 BJT 스위치(111)의 콜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 사이의 전압이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나타내지 않은), 스위치(111)은 전력 MOSFET 수 있고, 이 경우 VCE(304)는 전력 MOSFET의 드레인(drain)과 소스(source) 사이의 전압에 해당한다. 도 1의 도식에 보인 것과 같이 VSENSE (302)은 변압기의 보조권선(108)에 걸친 전압에 주로 비례한다. VSENSE (302) 와 VCE (304)은 거의 동일한 타이밍 특성을 보인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어 신호(110)은 제어기 IC (102)의 OUTPUT 핀(pin 5)에서의 전압을 나타낸다. 스위치(111)은 제어 신호(110)가 HIGH일 때ON(닫힘) 상태이고, 스위치(111)은 제어 신호(110)가 LOW일 때 OFF(열림)상태이다. VVMS (306), 밸리 표시자 펄스(valley indicator pulses)(308)와 요구된 스위치 펄스(310)들은 제어기 IC(102)에서의 내부 타이밍 신호이고, 상기 제어기 IC(102)에서의 내부 타이밍 신호의 자세한 생성과 의미는 아래 도 3을 참조한다.
타임 tON (312A)에서 제어기 IC (102)는 제어 신호(110)를 HIGH로 생성하고, 스위치(111)을 켠다(닫는다). 스위치(111)은 타임 tOFF (314A)까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tON (312A)과 tOFF (314A)의 특정 타임들은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에서 사용된 특정 동작모드(PWM 또는 PFM)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PWM 동작모드에 대해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되었고, PFM 동작모드에 대해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스위치(111)은 타임 tON (312A)에서 tOFF (314A)까지 닫혀 있는 동안, 이때 상기 ON-타임(펄스 폭 또는 스위치(111)의 ON-주기) TON 324을 나타내고, 상기 정류 DC 입력 전압 VIN (105)은 1차 권선(106)에 적용되고 상기 1차 권선(106)을 흐르는 전류는 증가한다. ON-타임(TON 324) 동안, 상기 보조권선(108)에 걸친 전압은 수학식
Figure pat00001
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NX 는 보조권선(108)을 감은 횟수이고, N1 은 1차 권선(106)을 감은 횟수이고, VIN 은 노드 105에서 정류 DC 입력 전압이고, VX 는 보조권선(108)에 걸친 전압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타임 tOFF (314A)에서, 제어 신호 (110)은 LOW 상태로 되고, 스위치(111)은 열림 상태가 되어 1차 권선(106)을 흐르는 전류를 갑자기 차단한다. 상기 1차 권선(106)을 흐르는 전류는 스위치(111)의 OFF 주기의 끝까지, 즉, 제어기 IC(102)가 스위치(111)를 타임 tON (312B)에서 다시 켤 때까지 제로(zero)에 머무르고 더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한다. 도 3에 보인 것과 같이, 전류에서 상기 갑작스런 변화는 타임 tOFF (314A)을 즉각 따르는 VSENSE (302)와 VCE (304)에 대한 고주파 기생 링잉(ringing)을 초래한다. 상기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와 상기 기생 캐패시터 사이의 공진으로부터 오는 상기 고주파 기생 링잉(ringing)은 1차 권선(106)의 등가 병렬 기생 캐패시터와 병렬인 BJT 스위치(111)의 콜렉터(collector)와 에미터(emitter)로부터 보여지고, 일반적으로 빠르게 사라진다. 고주파 기생 링잉(ringing)이 사라진 후에, VSENSE (302) and VCE (304)은 도 3의 타임 tRESET (316A) 보여진 것과 같이 변압기가 리셋(reset)될 때까지 거의 플랫(flat)상태로 남아있는다.
상기 tOFF (314A) 와 tRESET (316A) 사이의 지속기간은 변압기 리셋 주기(TRST)(326)를 나타낸다. 변압기 리셋 주기(TRST)(326) 동안, 다이오드 D6은 전도하고, 상기 2차 권선(107)에 걸친 전압은 노드(109)(VO)에서의 출력 전압과 거의 동일하다(상기 다이오드 D6에 걸친 정방향 전압은 명확한 예를 위해 무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권선(106)에 걸친 전압(V1)은 출력 전압(109)(VO)을 사용하여
Figure pat00002
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권선(108)에 걸친 전압(VX)은
Figure pat00003
로써 표현될 수 있다. 이때 N1, N2, 그리고 NX 은 1차 권선(106)의 감은 횟수, 2차 권선(107)의 감은 횟수, 그리고 보조 권선(108)을 감은 횟수를 각각 나타낸다. 변압기 리셋 타임 TRST (326) 동안, VSENSE (302)은 도 1에 보여진 저항 R3과 R4로 구성된 상기 전압 드라이버에 의한 스케일링 펙터(scaling factor) 세트에 따른 상기 보조 권선(108)에 걸친 전압을 따른다. 그 동안, VCE (304)은 식
Figure pat00004
으로 주어지고, 이때 VIN 은 노드 105에서 다시 정류 DC 입력 전압이다.
상기 변압기 리셋 타임 TRST (326) 은 변압기 코어를 리셋하기 위해 볼트-2차-균형(volt-second-balance) 요구를 따르고, 부하에서의 변동을 기반한 스위칭 사이클과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 내에서의 다른 팩터 사이에서 변화할 수 있다. tRESET (316A)(변압기 리셋 타임(TRST 326)의 끝)에서, 다이오드 D6은 전도를 멈추고, 변압기 전자기 유도를 초래하고, 그러므로 공진을 위한 VSENSE (302)와 VCE (304)은 변압기 링잉(ringing) 현상이 나타난다. 상기 공진 주파수(fRES)와 VSENSE (302)에 대한 링잉의 공진 주기(TRES)(328)와 변압기 링잉에 의한 VCE (304) 은 1차 권선(106)의 등가 병렬 기생 캐패시턴스와 병렬인 BJT 스위치(111)의 에미터와 콜렉터로부터 보여진 기생 캐패시터에 의해 결정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스위칭 장치(즉, 스위치(111))로써 전력 MOSFET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공진 주파수(fRES)와 VSENSE (302)에 대한 링잉의 공진 주기(TRES)(328)와 변압기 링잉에 의한 VCE (304)는 1차 권선(106)의 등가 병렬 기생 캐패시터와 병렬인 전력 MOSFET 스위치의 드레인(drain)으로부터 소스(source)까지 보여진 기생 캐패시터에 의해 결정된다.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 내에서 변화하는 댐핑(damping)과 손실 팩터 때문에, VSENSE (302)와 VCE (304)는 공진 주기 TRES (328)를 갖는 감쇠 정현파(decaying sinusoidal) 신호이다.
도 3에 보여진 것과 같이, 상기 유도된 링잉 전압은 진동은 주기적인 접근 또는 최소점 전압과 최고점 전압에 도달하기 위한 VSENSE (302)와 VCE (304) 초래한다. 스위치(111)에 대한 OFF 타임이 길 때 상기 공진 주기 TRES (328)에 관련 있고, 결국 상기 변압기 링잉은 완전히 감소하고, VCE (304)는 VIN (105)에 놓는다. 이때 VIN (105)는 다시 노드 105에서 정류 DC 입력 전압이 된다. VCE (304)이 최소점에 도달하는 타임에서 변압기 링잉의 결과는 밸리 320A, 320B, ...320D에 관련된다. 예를 들면, 도 3은 제1 차 밸리 320A, 제2 차 밸리 320B, 제3 차 밸리 320C, 그리고 제4차 밸리 320D을 나타낸다. 도 3에서 4개의 밸리가 보여지지만, 스위치(111)이 tON (312B)에서 다시 ON되기 전에 4개의 밸리보다 그 이상 또는 그 이하 일 수 있다.
제어기 IC(102)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VMS 동작모드와 다르게, 종래의 VMS 동작모드는 제1 차 밸리(320A)에서 스위치(111)(즉, 제어 신호(110)을 HIGH로 놓는다.)을 켜고, 이것은 사전에 요구된 스위칭 타이밍(310)이다. 그러므로 상기 변압기 리셋 타임 TRST (326) 또한 상기 ON-타임 TON (324)에서의 변동은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스위칭 주파수에서 변화를 가져올 수 있고, PFM 모드와 같은, 오직 변화하는 스위칭 주파수 제어모드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을 강요할 수 있다.
그에 반해서 제어기 IC(102)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VMS 동작모드는 제1 차 밸리 (320A)에서 스위치(111)가 켜지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즉, 제어 신호(110)를 HIGH 상태로 놓는다.). 더 정확히 말하면, 제어기 IC (102)는 변압기 리셋 주기(tRESET (316A))의 끝 이후의 어떤 타임에서든 스위치(111)을 켤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 켜지는 타임(도 3에서 tON (312B)로써 보여진)은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에 의해 사용된 동작모드에 따라 결정된다(예를 들어, PWM, PFM, 또는 다른 적합한 동작모드).
특히, 제어기 IC(102)는 PWM, PFM, 또는 다른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에 적합한 동작모드에 따라 요구된 스위치 타임 tDESIRED (322)을 결정한다. 제어기 IC(102)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공진 특성(예를 들어, 스위치에 걸친 전압의 공진 주기) 또는 변압기 리셋 주기의 요구되는 스위치 타임 tDESIRED (322)을 각각 결정한다. 이것은, 제어기 IC(102)는 각 스위칭 사이클에서 스위치(111)의 요구된 켜지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스위치(111)이 실제로 켜지는 시간과는 다르다. 이때, 변압기 리셋 주기 TRST (326) 또는 상기 공진 주기 TRES (328)을 포함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공진 특성은 제어기 IC(102)에 의해 수행된 상기 동작모드를 유지하지 않거나 요구된 스위치 타임 tDESIRED (322)의 결정에 영향을 준다.
제어기 IC(102)는 결정된 요구된 스위치 타임 tDESIRED (322)에서 요구된 스위치 펄스(310)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 IC(102)는 밸리 320D에서 제어 신호(110)을 HIGH 상태에 놓는다. 이것은 즉시 도 3에 보여진 다음 요구된 스위치 펄스(310)를 발생시키기 위해 예측된다. 예를 들면, 최소점의 실제 발생 전에 발생을 위해 예측된 스위치에 걸친 전압의 최소점에서 예측된 타이밍을 계산하기 위해, 제어기 IC(102)는 전압 피드백 신호에 포함된 공진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 IC(102)는 발생할 수 있는 스위치(111)에 걸친 전압 VCE (304)의 밸리 320A, 320B, ...320D에서의 타임을 예측하기 위해 VVMS (306)의 상승과 하강 에지(edges)의 타이밍을 계산함으로써 전압 피드백 신호의 특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 IC(102)는 상기 요구된 스위치 펄스 후에 발생하는 어떤 밸리에서든 제어 신호(110)을 HIGH 상태로 놓을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VMS 동작 모드의 일 측면에 있어서, 스위치(111)을 켜는데 이점이 있고, VCE (304)는 최소점(즉, 밸리 320A, 320B, ...320D)에서 동작모드 또는 스위칭 주파수 제한 없이 제어기 IC(102)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기 IC(102)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상기 공진 특성에 관계없이 사용된 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적절한 요구된 스위치 타임 tDESIRED (322)을 결정하고, 스위치(111)을 밸리 320D 에서 상기 요구된 스위치 타임 switch time tDESIRED (322)를 따라 즉시 켜지도록 초래한다.
상기 VMS 동작모드는 상기 설명한 일시예와 일치하고, 그러므로 사용된 스위치 동작모드(즉, PWM, PFM 등) 간섭 없이 사용하는 밸리 모드 스위칭에 의한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 공진 특성에서 변동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동시에 밸리(즉, 스위치(111)에 걸친 전압이 최소점일 때)에서 스위치(111)를 스위칭함에 따른 손실 감소의 이점은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VMS 동작모드의 이점은 PWM 동작모드와 함께 낮은 전압에서 동작 가능한 공진기반 스위칭 제어기 IC(102)에 의해 수행된다. 제어기 IC(102)에 의해 수행되는 VMS 동작모드의 또 다른 이점은 스위칭 주기가 변압기 리셋 주기 TRST (326)를 따르는 것보다 길고, 따라서 BJT와 같이 느린 스위칭 장치를 위한 스위치(111)을 동작시킨다는 점이다.
도 3에 보여진 것과 같이 tDESIRED (322)에서 제어기 IC(102)에 의해 생성된 요구된 스위치 펄스(310)와 밸리 320D에서 스위치(111)가 켜지는 타이밍 tON (312B)(즉, 제어 신호(110)가 HIGH되는) 사이에 타이밍 지연이 있다. 그러나, 상기 타이밍 지연은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동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공진 주기 TRES (328)은 전형적으로 짧고,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스위칭 주기에 관련 있고, 그래서 상기 요구된 스위치 펄스(310)와 tON (312B) 사이의 상기 지연은 보통 중요하지 않다. 게다가, 상기 타이밍 지연의 상기 작은 영향은 노드 109에서의 출력 전압과 다른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 파라미터들에 반영되고, 그러므로 상기 PWM, PFM, 또는 제어기 IC(102)에 의해 수행되는 다른 피드백 기반 제어 도식(schemes)은 다음 스위칭 주기에 대한 온-타임과 오프-타임을 결정할 때 타이밍 지연에 대해 자연적으로 보상한다. 추가적으로, 하나의 스위칭 사이클로부터 다음 스위칭 사이클까지의 타이밍 지연에서 상기 약간의 변동은 스위칭 주파수 오버 타임을 위한 인트린직 디더링(intrinsic dithering)을 수행하고, 이롭게도 스위치에서 발생된 EMI를 감소시킨다.
다시 도 2에서, VMS 동작모드에서, 제어기 IC(102)는 변압기 권선 전압의 검출된 밸리에 기반하여 전도 펄스 폭(즉, TP1, TP2, 그리고 TP3)을 변화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 감소에 따라, 제어기 IC(102)는 PWM을 수행함으로써 TON1로부터 TON3까지의 제어 신호(110)의 전도 펄스 폭을 감소시킨다. 전도 펄스 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스위치(111)은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으로 적은 에너지를 전달하고, 이것은 스위칭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VMS 동작모드가 VSENSE 신호의 밸리에서 실제 켜지는 타임을 결정함으로써 PWM에 기반하여 계산된 다음 요구되는 켜지는 타임을 발생시키고, 상기 실제 켜지는 타임은 VSENSE 에서 링잉(ringing)에 기반하여 랜덤하게 변화할 수 있고, 그러므로 스위칭 주기 또한 변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VMS 동작에서, 상기 스위치(111)의 켜지는 타임은 제어 변동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스위칭 주기는 밸리에 의해 결정된 켜지는 타임 결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치(111)의 상기 듀티 사이클은 제어 신호(110)의 전도 펄스 폭을 유지함으로써 변화되고, 동시에 스위칭 주기를 변화하고 따라서 스위칭 주파수도 변화한다. 예를 들면, PFM 동작 모드에서, 스위치는 스위칭 주기의 5㎲ 동안 켜지지만, 스위칭 주파수는 40 kHz 와 130 kHz 사이에서 변화된다. 40 kHz 의 스위칭 주파수는 25㎲의 스위칭 주기에 해당하고, 그러므로, 이 스위칭 주파수의 상기 듀티 사이클은 20%이다(= 5㎲ / 25㎲). 130 kHz의 스위칭 주파수에 대해 상기 스위칭 주기는 7.7㎲그러므로 130 kHz에서 상기 듀티 사이클은 65%이다(=5㎲ / 7.7㎲).
도 2에 보여진 것과 같이, PFM 동작모드에서, 제어기 IC(102)는 제어 신호(110)의 스위칭 주기(즉, TP1, TP2, 그리고 TP3)를 변화함으로써 출력 전압을 조절하고, 동시에 제어 신호(110) 상수의 펄스 전도 폭(TON)을 유지한다. 상기 감소 조절(즉, 부하 감소)로 인해, 제어기 IC(102)는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위칭 주기를 Tp1 에서부터 Tp3까지 증가시킨다. 스위치(111)의 스위칭 주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에 시간당 전달되기 위한 적은 에너지를 야기하고(즉, 듀티 사이클의 감소), 스위칭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차례로 감소시킨다. 반면에, 증가 조절(즉, 부하 증가)로 인해, 제어기 IC(102)는 스위칭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위칭 주기를 감소시킨다. 스위치(111)의 스위칭 주기의 감소는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에 시간당 더 많은 에너지를 전달하고(즉, 듀티 사이클 증가), 스위칭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차례로 증가시킨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제어기 IC(102)는 부하가 L2와 L3 사이(동작 포인트 1과 0 사이)일 때 PWM 동작모드 또는 VMS 동작모드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은 동작시키고, 부하레벨이 L1과 L2사이(동작 포인트 2와 1 사이)의 저부하 상태의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를 동작시킨다. 제어기 IC(102)는 동작 포인트 에서 PFM 동작모드가 아닌 상태(PWM 또는 VMS 동작모드)에서 PFM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을 동작시킨다.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가 부하 상태 L2-L3 상태로PWM 동작모드에서 동작한다고 가정하고,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가 동작 포인트 1에서 PWM 동작모드로부터 PFM 동작모드로 전환할 때, 온-타임 값(TON)은 PWM 동작모드에서 제어기 IC(102)에 의해 사용된 변화 제어 때문에 알려지고, 스위칭 주기(TP)의 값은 상수 값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알려진다. 따라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는 PFM 동작모드에 대한 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스위칭 주기(TP)를 사용하여 시작할 수 있고, 동작 포인트 1에서 알려진 스위칭 주기(TP)의 값을 사용할 수 있고, 그러므로 동작 포인트 1에서 PWM으로부터 PFM 동작모드까지 불연속이 없다.
한편,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부하 상태 L2-L3의 VMS 모드에서 동작시키고, 저부하 상태(L1-L2)에 대한 동작 포인트1에서 PFM 동작모드로 전환을 필요로 한다. 동작 포인트 1에서 상기 스위치(TP)은 VSENSE 신호(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을 반영하는)의 밸리 포인트 VMS 동작모드가 스위치(111)을 켜기 때문에 알려지고, 이것은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자기장 요소에서 상기 공진을 따라 링잉을 나타내고, 따라서, 상기 밸리 포인트는 예측할 수 없다. 그러므로 VMS 동작에서 전환할 때, 동작 포인트 1에서 스위칭 주기(TP)는 제어기 IC(102)에 대한 값이 알려지지 않았고, 그러므로 제어기 IC(102)는 저부하 상태의 PFM 동작모드에서 동작을 시작하기 위해 동작 포인트 1에서 초기값으로써 사용하기 위한 스위칭 주기(TP)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 그 결과, 제어기 IC(102)는 동작 포인트 1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전환 전의 VMS 동작모드로부터 PFM 동작모드까지 스위칭 주기(TP) 결과로부터 차이를 같게 하는 값을 사용해야만 한다. 다음에,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전압의 조절에서 불연속을 야기하고, 노드 109에서 출력 전압의 원하지 않은 리플(ripple)을 야기한다.
따라서, 동작 포인트 1에서 VMS 동작모드로부터 PFM 동작모드까지 불연속 없이 전환을 위해, 제어기 IC(102)는 변화하는 Td (dead time) 조절을 결정하고, 이것은 경계(즉, 동작 포인트 1)와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치(111)을 켜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를 제공한다.
Td 는 PWM, VMS, 그리고 PFM을 포함하는 모든 동작모드 상태에서 스위칭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제공한다. 상기 기준 포인트에서 Td = 0 는 스위치(111)가 사용된 동작모드에 의해 계산된 요구된 온-타임에서 켜지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PWM 또는 PFM이다. 동작 포인트 1에서 VMS에서 PFM 동작모드까지의 전환 포인트에서, Td = 0 은 PFM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전에 동작모드(VMS 또는 PWM)에 앞서 스위치(111)가 켜지는 포인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제어기 IC (102)가 동작포인트 0과 동작 포인트 1사이에서 VMS 동작모드를 사용한다면, 상기 기준 포인트는 PFM 동작모드로 전화하기 바로 전에 실제 켜지는 타임을 위해 결정된 밸리 포인트일 수 있다. 상기 밸리 포인트는 Td = 0에서 설정되고, 그러면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변화를 제어를 위해 Td 를 사용한다. 데드 타임 Td 가 사용되고 이런 데드 타임 Td 가 전환 포인트(동작 포인트 1)에서 알려진 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상기 출력 전압의 조절에서 불연속과 노드 109에서 출력 전압의 원하지 않는 리플(ripple)을 겪지 않는다.
상기 제어 주기는 PFM 동작모드에서 동작할 때 제어기 IC(102)가 기준 포인트(즉, Td = 0) 이후로 스위칭 주기를 연장하는 타임의 양을 나타낸다. PFM 동작모드 상태에서, 제어기 IC(102)는 스위치(111)을 제어 주기의 끝에서 켜고,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에 전달하기 위한 에너지를 야기한다. 예를 들면,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부하 레벨은 L2에서 L1으로 감소되기 때문에 제어기 IC(102)는 Td 를 증가시킴으로써(동작 포인트 1에서 Td = 0으로부터)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고, 제어 주기를 차례로 증가시키고, 그러므로 스위칭 주기도 증가시킨다. 그리고 스위칭 주기를 증가 시킴으로써, 제어기 IC(102)는 전력 변압기 T1-A의 1차 권선(106)에 전달하기 위한 적은 에너지를 야기하고, 이것은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출력 레벨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데드 타임 Td 를 사용하는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을 조절함으로써, 제어기 IC(102)는 변압기 특성에 관계없이 모든 동작상태들에 걸친 스위치 조절 동작 모드의 어떤 다른 타입으로부터 PFM 동작모드로의 연속적인 전환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제어기들과는 다른 제어기 IC(102)는 권선비(turns ratio), 자계 인덕턴스, 변압기 리셋 주기 또는 PFM 동작모드 동안 스위칭 주기에 영향을 주는 다른 특성의 정보 없이 PFM 동작모드에 대해 전환 포인트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위칭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데드 타임(Td)을 사용하는 PFM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스위칭 주기를 조절하기 위한 도 1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5는 스위칭 주기 TP _ reg 를 조절하기 위한 변화를 제어하기 위해 Td 를 사용하는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칭 전력 변환기(100)의 동작 파형을 나타낸다. 이때, Td 는 제어기 IC(102)가 VMS 동작모드(또는 PFM 으로 전환하기 바로 전의 다른 동작모드)에서 스위치(111)을 켜는 시기를 기반한다. TON 은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치(111)의 전도 펄스 폭을 나타내고, TP _ reg 는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칭 주기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PFM 동작모드에서, 스위치(111)는 타임 Ta1, Ta2, 그리고 Ta3 에서 켜진다. 그러나 PFM 동작모드로 전환할 때, 전환 포인트(도 4에서 동작 포인트 1)에서 사용하기 위한 상기 초기 스위칭 주기는 제어기 IC(102)가 VMS 동작모드에서 밸리가 발생했을 때 스위칭 주기가 검출되지 않아 전환 주기 바로 전 스위칭 사이클에서 스위칭 주기 TP _ reg 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알려지지 않는다. 그리고 VMS 동작모드에서 밸리가 발생된 상기 타이밍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 제어기 IC(102)인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예측할 수 없는 자기장 특성에 의존한다.
따라서, 다든 동작모드(예를 들어 VMS 동작모드)로부터PFM 동작모드로의 전환 포인트에서 스위치(111)가 켜지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기 IC(102)는 기준 포인트를 정의하기 위해 앞선 동작모드에서 스위치(111)가 켜지는 타임을 사용한다. 이때, VMS 동작모드를 앞선 모드로써 사용하는 것은, 스위치(111)은 밸리 검출 포인트 504와 506에서 켜지고, 이것은 앞선 VMS 동작모드에서 Tb2, Tb3의 가상적으로 스위치가 켜지는 타임과 각각 일치한다. 그러므로, VMS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위칭 주기는 스위칭 사이클에 대한 Ta1으로부터 Tb2까지의 상기 타임주기인TP _ VMS 으로써 나타나고, Ta2으로부터 Tb3까지는 다음 스위칭 사이클이다. TP _ reg 와 TP _ VMS 사이의 차이는 Td 변화 제어를 나타내고, 상기 Td 는 제어기 IC(102)가 기준 포인트(즉, Td = 0) 이후로 스위칭 주기를 연장하는 타임의 양과 일치하고, 이때 스위치(111)은 앞선 모드에서 켜져 있다. 따라서, 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데드 타임(Td)을 정의함으로써, 제어기 IC(102)는 PFM이 아닌 다른 어떤 동작모드로부터 PFM 동작모드로의 전환 포인트에서 동작 포인트를 결정할 수 있다. 전환 포인트에서 동작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제어기 IC(102)는 모든 동작 상태를 거쳐 PFM 동작모드로 연속적인 전환을 허용하고,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변압기 특성에 대해 알지 못한다.
본 명세서를 읽을 시,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추가적인 대안의 설계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 IC(102) 및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어기 IC(102)의 적용 회로는 상기 프라이머리-사이드 피드백(primary-side feedback) 제어에 기초하지만, 본 원의 동일한 원칙은 상기 세컨드리-사이드 피드백(secondary-side feedback) 제어에 기초하여 대안의 설계에 적용된다. 유사한 원칙은 부스트 타입(boost type) 스위칭 전력 변환기 또는 다른 토폴로지들의 스위칭 전력 변환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 및 어플리케이션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며, 여기에 기술된 정확한 구조 및 구성 요소에 국한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은 여기에 기술된 본원의 방법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 동작 및 세부 설명으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스위칭 전력 변환기에 있어서,
    입력전압과 연결되는 1차 권선(primary winding)과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2차 권선(secondary winding)을 포함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을 통하는 전류는 스위치가 켜져있는 동안 생성되고 스위치가 꺼져있는 동안 생성되지 않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를 켜거나 끄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가 제1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켜지고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꺼지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출력에서 제1 전류레벨보다 작고 제2 전류 레벨보다 큰 전류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는 제1 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전류레벨은 상기 제1 전류레벨보다 작으며,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출력에서 상기 제2 전류레벨보다 작지만 제3 전류레벨보다 큰 전류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는 제2 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전류레벨은 상기 제2 전류레벨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동작모드와 상기 제2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 포인트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이전에 상기 스위치가 켜졌던 포인트를 상기 제2 동작모드 동안 상기 스위치를 켜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로서 사용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상기 제어기는 제어 주기의 끝에서 상기 스위치를 켜고, 상기 제어 주기는 상기 제어기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기준 포인트 이후로 스위칭 주기를 연장하는 시간의 양을 나타내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밸리(valley)모드 스위칭 동작모드인
    스위칭 전력 변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동작모드인
    스위칭 전력 변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밸리(valley)모드 스위칭 동작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동작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위치가 꺼지는 구간의 끝과 일치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8. 스위칭 전력 변환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는 입력전압과 연결되는 1차 권선(primary winding)과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출력과 연결되는 2차 권선(secondary winding)을 포함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상기 1차 권선과 연결되고 상기 1차 권선을 통하는 전류는 스위치가 켜져있는 동안 생성되고 스위치가 꺼져있는 동안 생성되지 않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제1 상태에서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켜지고 제2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꺼지며,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출력에서 제1 전류레벨보다 작고 제2 전류 레벨보다 큰 전류레벨에 응답하여, 제1 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전류레벨은 상기 제1 전류레벨보다 작으며;
    상기 스위칭 전력 변환기의 출력에서 상기 제2 전류레벨보다 작지만 제3 전류레벨보다 큰 전류에 응답하여, 제2 동작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전류레벨은 상기 제2 전류레벨보다 작으며;
    상기 제1 동작모드와 상기 제2 동작모드 사이의 전환 포인트에서,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이전에 상기 스위치가 켜졌던 동작 포인트를 상기 제2 동작모드 동안 상기 스위치를 켜는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포인트로서 사용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모드 동안, 제어 주기의 끝에서 상기 스위치를 켜고, 상기 제어 주기는 제어기가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동작할 때 상기 기준 포인트 이후로 스위칭 주기를 연장하는 시간의 양을 나타내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밸리(valley)모드 스위칭 동작모드인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는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동작모드인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밸리(valley)모드 스위칭 동작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펄스 폭 변조 동작모드에 따라 결정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포인트는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상기 스위치가 꺼지는 구간의 끝과 일치하는
    스위칭 전력 변환기 제어 방법.
KR1020130024681A 2012-03-07 2013-03-07 저부하 동작으로의 전력공급모드 전환을 위한 조절 KR10150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08031P 2012-03-07 2012-03-07
US61/608,031 2012-03-07
US13/772,202 US9419527B2 (en) 2012-03-07 2013-02-20 Regulation for power supply mode transition to low-load operation
US13/772,202 2013-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508A true KR20130102508A (ko) 2013-09-17
KR101505264B1 KR101505264B1 (ko) 2015-03-23

Family

ID=4911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681A KR101505264B1 (ko) 2012-03-07 2013-03-07 저부하 동작으로의 전력공급모드 전환을 위한 조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19527B2 (ko)
KR (1) KR101505264B1 (ko)
CN (1) CN103312197B (ko)
TW (1) TWI489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74150B2 (en) 2012-12-09 2016-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for synchrophasor data management
US9318963B2 (en) 2013-03-13 2016-04-19 Dialog Semiconductor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secondary to primary messaging
US9444364B2 (en) 2013-03-15 2016-09-13 Dialog Semiconductor Inc. Adaptive peak power control
US9722490B2 (en) * 2013-09-05 2017-08-01 Intersil Americas LLC Smooth transition of a power supply from a first mode, such as a pulse-frequency-modulation (PFM) mode, to a second mode, such as a pulse-width-modulation (PWM) mode
US9379625B2 (en) * 2013-12-26 2016-06-28 Dialog Semiconductor Inc. Current meter for load modulation communication receiver architecture
US9660542B2 (en) 2014-02-26 2017-05-2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Valley to valley switching in quasi-resonant mode for driver
CN106233605B (zh) * 2014-05-07 2018-12-18 戴乐格半导体公司 功耗减小的mosfet驱动器
US9515553B2 (en) 2014-06-16 2016-12-06 Endura Technologies LLC Transient power control
GB201421055D0 (en) 2014-11-27 2015-01-14 Dialog Semiconductor Inc Isolated switching power converter with data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ides
CN105991032B (zh) * 2015-01-29 2019-02-26 通嘉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转换器的频率控制器及其相关的频率控制方法
JP6554888B2 (ja) * 2015-04-15 2019-08-07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7846152B (zh) 2015-11-10 2019-12-10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以占空比调节峰值频率的方法和系统
CN107508462B (zh) 2017-07-10 2020-01-07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针对负载的切换控制器和方法
US10491125B2 (en) * 2018-02-12 2019-11-26 Silanna Asia Pte Ltd Switched-mode power controller with multi-mode startup
US10601329B2 (en) * 2018-07-04 2020-03-24 Richtek Technology Corporation Switching regulator and power switch controller circuit thereof
US11271483B2 (en) 2018-10-17 2022-03-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ias power regulator circuit for isolated converters with a wide output voltage range
US10848054B2 (en) * 2018-11-06 2020-11-24 Dialog Semiconductor Inc. Adaptive startup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8920B2 (en) * 2003-10-02 2005-10-25 Supertex, Inc. Switching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voltage thereof using predictive sensing of magnetic flux
US7738266B2 (en) * 2006-05-26 2010-06-15 Cambridge Semiconductor Limited Forward power converter controllers
KR101236955B1 (ko) 2006-07-19 2013-02-2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및 그 구동 방법
CN101127495B (zh) 2006-08-16 2010-04-2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为开关式电源提供控制的系统和方法
CN101154113B (zh) * 2006-09-26 2010-05-12 尼克森微电子股份有限公司 电源供应器的准谐振控制电路及其控制方法
JP4855887B2 (ja) 2006-10-03 2012-01-18 トレックス・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Pwm/pfm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4618339B2 (ja) 2008-06-20 2011-01-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US8094468B2 (en) 2008-10-21 2012-01-10 System General Corp. Control circuit having off-time modulation to operate power converter at quasi-resonance and in continuous current mode
WO2010056249A1 (en) 2008-11-14 2010-05-20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Quasi-resonant power supply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US8755203B2 (en) 2008-12-30 2014-06-17 Dialog Semiconductor Inc. Valley-mode switching schemes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s
US8018743B2 (en) 2009-03-05 2011-09-13 Iwatt Inc. Adaptive control for transition between multiple modulation modes in a switching power converter
US8098502B2 (en) * 2009-06-10 2012-01-17 Infineon Technologies Ag System and method for emissions suppression in a switched-mode power supply
TWI410031B (zh) 2009-08-26 2013-09-2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隨負載改變運作模式之裝置及其方法
TWI437238B (zh) 2009-10-09 2014-05-11 Richpower Microelectronics 應用於馳返式轉換器一次側的輸出電流感測裝置及方法
TWI411214B (zh) 2009-10-29 2013-10-01 On Bright Electronics Shanghai 開關模式電源變換系統及其工作模式的方法
US8305055B2 (en) * 2010-01-29 2012-11-06 Intersil Americas Inc. Non-inverting buck boost voltage converter
US8310845B2 (en) 2010-02-10 2012-11-13 Power Integrations, Inc. Power supply circuit with a control terminal for different functional modes of operation
US8482937B2 (en) * 2010-06-11 2013-07-09 System General Corporation Switching control circuits with valley lock for power converters
US8488338B2 (en) * 2010-10-01 2013-07-16 System General Corporation Controller with valley switching and limited maximum frequency for quasi-resonant power conver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35621A1 (en) 2013-09-12
CN103312197A (zh) 2013-09-18
US9419527B2 (en) 2016-08-16
CN103312197B (zh) 2016-07-20
KR101505264B1 (ko) 2015-03-23
TW201347386A (zh) 2013-11-16
TWI489757B (zh) 201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264B1 (ko) 저부하 동작으로의 전력공급모드 전환을 위한 조절
JP535311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444364B2 (en) Adaptive peak power control
US8755203B2 (en) Valley-mode switching schemes for switching power converters
US87177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gain within a resonant converter
CN102265232B (zh) 提高开关型功率转换器中的轻负载效率的自适应多模式数字控制
JP5453508B2 (ja) 効率的軽負荷動作を有する分離フライバックコンバータ
TWI672896B (zh) 主動鉗位反馳式電源轉換器與相關之控制方法
KR101355309B1 (ko) 초저부하 및 무부하 동작을 위한 파워 서플라이 레귤레이션
TWM557846U (zh) 具有動態頻率折返之切換模式電源供應器
JP201006332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516301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08283798A (ja) スイッチング制御装置
US20140098576A1 (en) Load change detection for switched mode power supply with low no load power
JP201519253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19225262A1 (ja) トーテムポール型単相pfcコンバータ
CN113472211B (zh) 反激式开关电源及其同步整流控制器
JP3568870B2 (ja) コンバータ
Fei Optimization of LLC resonant converters: State-trajectory control and PCB based magnetics
KR101170804B1 (ko) 서지 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공진형 인버터
JP200924011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GB2450005A (en) Resonant discontinuous forward power converter
KR20220057696A (ko) 고전력 밀도 dc-dc 변환기의 돌입 전류를 제어하는 mosfet 설계 방법
JP2022012317A (ja)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機器
JPH0393464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