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0581A -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0581A
KR20130100581A KR1020120021923A KR20120021923A KR20130100581A KR 20130100581 A KR20130100581 A KR 20130100581A KR 1020120021923 A KR1020120021923 A KR 1020120021923A KR 20120021923 A KR20120021923 A KR 20120021923A KR 20130100581 A KR20130100581 A KR 20130100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touch
press
point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822B1 (ko
Inventor
이신준
이상협
드로어 아미르
홍경수
엥골즈 오피르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1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22B1/ko
Priority to PCT/KR2013/001620 priority patent/WO2013129858A1/en
Priority to US13/782,392 priority patent/US9046957B2/en
Publication of KR2013010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책 리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지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정보의 검출에 응답하여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자책의 페이지를 기결정된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지점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페이지의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AGE}
본 발명은 전자책 리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이지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정보의 검출에 응답하여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책은 텍스트나 이미지와 같은 정보를 전자 매체에 기록하여 서적처럼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도서를 총칭한다. 사용자는 전자책 리더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전자책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전자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원하는 전자책을 구입하고 독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책의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라 전자책의 페이지를 넘긴다. 그러나 이러한 페이지 넘김은 매우 단순하다. 즉 종래 페이지 넘김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실제 종이책을 조작하듯 페이지를 넘기는 느낌을 주기 어렵다. 종래 페이지 넘김 방법 및 장치는 페이지 넘김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 정보 예컨대, 다음 페이지(next page) 버튼의 누름을 검출하면,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를 다음 페이지로 순간적으로 교체한다. 이러한 교체 방식은 실제로 페이지를 넘기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웹 페이지를 브라우징하는 것과 같다.
한편 최근에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추세이다. 단말기는 임의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 제스처를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제공한다. 즉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단말기는 페이지를 직접 조작하듯 페이지를 넘기는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종래 단말기는 페이지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응답하여 페이지가 눌려지는 사실적인 애니메이션을 제공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자책을 독서할 때 종이책을 읽는 듯 사실적인 느낌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페이지에 대한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페이지가 눌려지는 사실적인 애니메이션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은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자책의 페이지를 기결정된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지점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페이지의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자책의 페이지를 기결정된 모드로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지점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페이지의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책을 독서할 때 종이책을 읽는 듯 사실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메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전자책 설정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볼륨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페이지 표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책장'은 독서 아이템을 담을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책장은 표시되는 형태가 다양한데, 예컨대, 폴더가 될 수 있고, 또한 책꽂이(bookshelf) 모양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책장에 담기는 독서 아이템은 전자책, 다수의 전자책을 묶어서 관련된 이미지로 나타낸 폴더, 독서 계획이 설정되어 있는 전자책의 독서 스케줄 정보, 책장을 꾸미기 위한 액세서리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책(e-book)'은 분야별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분야는 크게, 서적(book), 교과서(textbook), 잡지(magazine), 신문(newspaper), 만화(comic), 전문 서적(specialty publication)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야는 더 세세하게 분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서적은 소설, 수필, 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전자책은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사용자가 별도로 페이지 또는 표시되는 페이지에 입력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 정보는 메모, 하이라이트, 이미지 및 책갈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정보는 터치 입력 수단(예,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필기(handwriting)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애니메이션은 콘텐츠 특히, 페이지의 움직임(motion) 또는 이러한 움직임을 수행하는 단말기의 기능을 의미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은 사용자의 입력 정보(예컨대, 터치제스처 등)에 응답하여 페이지가 눌려지는 모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페이지 메쉬(page mesh)'는 페이지의 기하학적인 정보로 정의된다. 이러한 페이지 메쉬는 다수의 노드와 이들 노드들을 각각 연결하는 링크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노드에는 적절한 질량 값이 할당되고 각각의 링크에는 적절한 탄성 값이 할당된다. 여기서 탄성 값은 사용자에게 사실적인 느낌을 전달하고자 하는 종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페이지가 두껍게 설정될 경우(즉, 질량 값이 큰 경우) 탄성 값은 크게 할당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페이지가 얇은 경우 탄성 값은 적게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페이지의 안쪽 방향(예를 들어, 책등(spine))에 위치한 노드들은 큰 질량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바깥쪽 방향(예를 들어, 책 에지(edge))에 위치한 노드들은 안쪽에 비해 위치 변화가 크므로 작은 질량 값이 할당될 수 있다. 물론 모드 노드들에 동일한 질량 값이 할당될 수도 있다.
각각의 노드에 작용하는 힘은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탄성력과 같은 내부 힘이 있다. 그리고 중력이나 인위적인 힘(human power)과 같은 외부 힘이 있다. 이러한 외부 힘에서 중력은 노드들을 아래로 당기는 힘으로 정의된다. 페이지가 표시되는 화면이 XY 평면이고 사용자의 관점(viewpoint)이 상기 XY 평면에서 Z축의 양의 방향이면, 상기 XY평면의 아래는 Z축의 음의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Z축은 상기 XY 평면에 수직이다. Z축은 실제 축(actual axis)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페이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가상의 축이다. 중력은 모든 노드들에 동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단 중력은 사용자에게 사실적인 느낌을 전달하고자 하는 종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작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실제 종이책의 페이지를 들어 올렸다가 놓으면, 해당 페이지가 얇은 경우 천천히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 빨리 떨어질 것이다. 다음 표 1은 종이의 종류별로 두께를 예시한 것이다. 표 1을 참고하면, 전단지보다 상대적으로 팜플렛이 빨리 떨어질 것이다.
신문에 삽입되는 전단지 52.3g/ m2
잡지본문, 광고지 64g/ m2
티켓, 주간지 표지, 팜플렛 127.9g/ m2
패션 잡지 표지, 명함 157g/ m2
스케치북 200g/ m2
인쇄 용지 75g/ m2
한편 인위적인 힘은 사용자가 페이지에 작용하는 힘이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제스처가 인위적인 힘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제스처는 플릭(Flick)이나 드래그(Drag) 또는 프레스(press)와 같이 크기(빠르기, 이동 거리 등)와 방향을 갖는 벡터 값이다.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인 힘이 작용하는 노드는 인위적인 힘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인위적인 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위적인 힘은 링크들을 통해 다른 노드들에도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노드들에는 내부 힘과 외부 힘을 합한 힘이 작용된다. 인위적인 힘이 표시되는 페이지에 가해지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가해진 인위적인 힘을 기반으로 각각의 노드들에 작용하는 힘들을 계산하고, 계산된 각각의 노드들의 힘들을 바탕으로 페이지 메쉬를 변형한다. 여기서 힘은 타겟 노드의 이동 거리와 빠르기를 곱하여 가속도를 구하고, 이러한 가속도에 해당 타겟 노드의 질량을 곱하여 얻을 수 있으며, 힘의 계산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는 변형된 페이지 메쉬를 페이지에 반영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이러한 인위적인 힘을 기반으로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과정은 AP(Application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nt) 등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는 전자책 리더 기능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다양한 형태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핸드 헬드(hand-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책 리더(e-book reader)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터치패널(111)과 표시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스크린(110), 키입력부(120), 터치패널 컨트롤러(130), 저장부(140), 무선통신부(150), 오디오 처리부(160), 스피커(SPK), 마이크(MIC), 근거리 통신 모듈(170), 진동 모터(180), 센서부(185) 및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2)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111)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시켜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터치패널(111)은 표시부(112)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112)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터치스크린(100)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하여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크게,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패널(1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190)로 전달되고, 제어부(19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패널(1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12)는 휴대 단말기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이하 줄여 '앱(App)'이라 한다) 실행 화면, 메뉴 화면, 키패드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인터넷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112)의 화면이 켜지면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특정 터치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9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해당 앱 예컨대, 전자책 앱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112)는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 및 페이지가 눌려지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의 두께, 페이지 내에서의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거리, 터치의 이동 방향 또는 터치의 빠르기 등에 따라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이 다를 수 있다. 또한, 프레스 지점의 위치, 프레스의 세기, 프레스된 페이지 아래에 남은 페이지의 수 등에 따라 페이지가 눌려지는 애니메이션이 다를 수 있다.
표시부(112)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키 신호는 전원 온/오프 신호, 볼륨 조절 신호, 화면 온/오프 신호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한 구성들을 제어한다. 또한 키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의 터치패널(111)이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화면 온/오프 및 휴대단말기 온/오프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패널 컨트롤러(130)는 터치패널(111)에 연결되고 터치패널(111)으로부터 터치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이벤트를 AD(Analog to Digital)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제어부(19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터치제스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190)는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거리, 터치의 이동 방향, 터치의 빠르기 및 터치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휴대 단말기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본 발명에 필요한 앱을 비롯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크게 데이터 영역과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의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즉, 전자책, 연락처, 이미지, 문서, 비디오, 메시지, 메일, 뮤직, 효과음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표시부(112)가 표시하는 상기 화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뉴 화면은 화면 전환을 위한 화면 전환키(예컨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리턴(return) 키 등), 현재 실행 중인 앱의 제어를 위한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복사 및 붙여 넣기(copy & paste) 등을 위해 사용자가 메시지, 사진, 웹페이지, 문서 등에서 복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의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다수의 전자책을 포함하는 전자책 DB(141)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저장된 다수의 전자책 각각에 대한 독서 현황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독서 현황 정보는 전자책의 저장된 날짜, 전자책을 읽은 횟수, 읽은 페이지, 읽은 날짜, 읽지 않은 페이지,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 정보는 해당 페이지가 표시될 때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40)의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양한 앱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 영역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플레이어, 피사체의 촬영, 표시 및 저장을 위한 카메라 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영역은 전자책 DB(141)에 저장된 전자책들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책 앱(142)을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50)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50)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및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로 전송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6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예를 들어, 페이지가 넘어가는 효과음을 스피커로 출력한다. 페이지의 두께, 페이지 내에서의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거리, 터치의 이동 방향 또는 터치의 빠르기 등에 따라 페이지가 넘어가는 효과음이 다를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페이지가 눌려지는 효과음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다. 프레스 지점의 위치, 프레스의 세기, 프레스의 지속 시간, 프레스된 페이지 아래에 남은 페이지의 수 등에 따라 페이지가 눌려지는 효과음이 다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70)는 휴대 단말기(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외부 기기와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70)는 지그비(Zigbee)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17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전자책을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저장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진동 모터(18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진동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180)는 촉각(haptic)과 관련된 피드백을 제공한다. 즉 제어부(190)는 터치제스처의 이동에 따라 페이지가 넘어가는 피드백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동 모터를 구동하여 제공한다. 이러한 진동 모터(180)에 의한 피드백은 페이지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센서부(185)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 조도 변화, 가속도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변화들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85)는 휴대 단말기(100)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태 변화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185)는 다양한 센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 구동 시(또는 사용자 설정 기반), 제어부(19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전원이 공급되어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부(185)를 항상 동작시켜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 특히, 기울기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미리 정의되는 사용자 설정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센서부(185)가 구동될 수 있다.
센서부(185)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sensing device)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85)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조도 센서(luminanc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노이즈 센서(Noise Sensor)(예컨대, 마이크), 비디오 센서(Video Sensor)(예컨대, 카메라 모듈), 그리고 타이머 등과 같은 다양한 센싱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185)는 하나의 칩(chip)에 복수의 센서들(예컨대, 센서1, 센서2, 센서3 등)이 일체화되거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이 별도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90)는 동작 센서에 의해 검출된 기울기 정보(예컨대, x축, y축, z축에 대한 측정 값)에 따라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85)는 휴대 단말기(100)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85)가 3축 가속도 센서인 경우를 가정하면, 도 19에 표시된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한 중력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185)는 휴대 단말기(100)의 운동 가속도와 중력 가속도가 더해진 가속도를 측정하지만,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이 없으면 중력 가속도만 측정할 수 있다. 일예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양(+)의 방향,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이 위로 향하는 것을 중력 가속도의 음(-)의 방향이라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가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센서부(185)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 축 성분만이 특정 양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반대로, 휴대 단말기(100)의 전면이 수평한 면에 닿도록 놓여 있는 경우, 센서부(185)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X축 및 Y축 성분이 0m/sec2로 측정되고, Z축 성분만이 특정 음의 값(예컨대, -9.8m/sec2)이 측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단말기(3600)를 들고 있어 비스듬하게 놓인 경우, 센서부(185)에 의해 측정되는 중력 가속도는 적어도 하나의 축이 0m/sec2가 아닌 값으로 측정되고, 이때, 세 축의 성분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 즉, 벡터합의 크기는 특정 값(예컨대, 9.8m/sec2)이 될 수 있다. 센서부(185)는 좌표계에서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에 대한 각각의 가속도를 감지한다. 물론 센서부(185)가 부착된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축들과 그에 해당하는 중력 가속도는 바뀔 수 있음이다.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어부(190)는 터치제스처(예컨대, 드래그 또는 플릭)에 응답하여 페이지가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터치제스처 및 휴대 단말의 기울기 정보에 응답하여 페이지를 변형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90)는 GPU(1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GPU(191)는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페이지 메쉬를 변형하며, 변형된 페이지 메쉬를 페이지에 반영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PU(191)는 터치패널 컨트롤러(130)로부터 터치제스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GPU(191)는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 메쉬를 변형한다. 페이지에 인위적인 힘이 작용하면, GPU(191)는 인위적인 힘에 응답하여 페이지 메쉬를 변형한다. 페이지에 인위적인 힘이 사라지면(예컨대, 사용자가 드래그하다가 페이지에서 터치 해제하거나 사용자를 페이지를 프레스하다가 프레스를 해제하면), GPU(191)는 페이지 메쉬를 원 상태로 복원한다. 즉 변형된 페이지 메쉬는 링크들의 탄성력과 각각의 노드들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원된다. GPU(191)는 저장부(140)로부터 페이지를 수신한다. GPU(191)는 페이지 메쉬의 변형 정보를 저장부(140)로부터 수신된 페이지에 반영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여기서 페이지 메쉬의 변형 정보는 페이지 메쉬를 구성하는 각 노드들의 좌표 값(x, y, z)을 포함한다. 그리고 GPU(191)는 애니메이션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센서부(185)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축 성분에 의해 측정된 경우, 각 축들에 대한 가속도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산출된 기울기는 롤각(roll angle)(Φ), 피치각(pitch angle)(θ) 및 요각(yaw angle)(ψ)을 포함할 수 있다. 롤각(Φ)은 도 35에서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피치각(θ)은 도 35에서 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내며, 요각(ψ)은 상기 도 35에서 Z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5의 예시의 경우, 센서부(185)로부터 전달된 중력 가속도에서 X축 및 Y축 중력 가속도가 0m/sec2이고 Z축 중력 가속도가 +9.8m/sec2이면,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Φ, θ, ψ)는 (0, 0, 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휴대 단말기(100)의 어떠한 기울기라도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오일러 각을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를 이용한 자세 계산 알고리즘, 가속도 예측 스위칭 알고리즘 등과 같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가속도계 등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GPU(191)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변화에 응답하여 페이지 메쉬를 변형하며, 변형된 페이지 메쉬를 페이지에 반영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GPU(191)는 제어부(190)로부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 정보를 수신한다. GPU(191)는 수신된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의 변형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 결과에 대응되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기(Φ, θ, ψ)는 (0, 0, 60)이고, 표시 모드가 화면 좌우로 두 페이지를 표시하는 가로 모드(landscape mode)이며, 화면 우측에 놓인 페이지의 잔량이 200페이지인 경우, GPU(191)는 100페이지가 좌측으로 넘어가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페이지 넘김 모드(page turning mode)는 표준 모드(normal mode), 기울기 모드(gradient mode) 및 결합 모드(merge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 넘김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사용자가 표준 모드를 선택한 경우, GPU(191)는 검출된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기울기 모드를 선택한 경우, GPU(191)는 산출된 기울기 정보만으로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사용자가 결합 모드를 선택한 경우, GPU191)는 터치제스처 및 기울기 정보 모두를 고려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각각의 모드에서 페이지에 설정된 속성 정보(예, 두께, 무게, 재질 등)가 페이지의 변형에 고려될 수 있다. 또는 속성 정보는 페이지의 변형에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생성은 GPU(191)에서도 할 수 있고, AP(Application Processor)에서도 할 수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의 생성은 GPU(191) 및 AP 모두에서 할 수 있다. AP는 CPU와 GPU가 SoC(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AP는 CPU 및 GPU가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 있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GPS 모듈 및 카메라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메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a (a)를 참고하면, 제어부(190) 특히, GPU(191)는 페이지 메쉬를 구성한다. 페이지 메쉬는 다수의 노드(node)와 이들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link)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210은 다수의 노드를 대표하여 표기된 것이고, 도면 부호 220은 다수의 링크를 대표하여 표기된 것이다. 다수의 노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XY 좌표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노드는 적절한 질량 값이 할당되고 각각의 링크(스프링)는 적절한 탄성 값이 할당된다. 전자책의 중심(230)에 위치한 노드들은 큰 질량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중심(230)에서 멀어지는 바깥쪽에 위치한 노드들은 중심(230)에 비해 작은 질량 값이 할당될 수 있다. 그렇다면 노드는 바깥쪽에 위치할수록 그 움직임이 가볍다. 다시 말해, 바깥쪽에 위치한 노드일수록 사용자의 터치제스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다만 페이지가 넘어감에 있어 중심축(230; X축)에 위치한 노드들은 다른 노드들과 달리 고정된다. 한편, 모든 노드들에 동일한 질량 값이 할당될 수도 있다. 그렇다면 앞에 경우보다는 전체적으로 페이지 메쉬의 움직임이 무거울 수 있다. 즉 페이지의 변형 정도가 해당 페이지에 설정된 속성 정보(예컨대, 두께, 무게, 재질 등)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또한 페이지의 변형 정도가 산출된 기울기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인위적인 힘 즉, 터치제스처가 페이지에 작용하는 경우, 제어부(190) 특히, GPU(191)는 터치제스처를 검출하고, 검출된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페이지 메쉬를 변형하며, 변형된 페이지 메쉬를 페이지에 반영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2a (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소정의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 펜 등)으로 페이지의 우하귀 지점(240)을 터치한다. 그러면, GPU(191)는 터치 입력 수단이 터치한 노드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터치 입력 수단을 우하귀 지점(240)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GPU(191)는 터치된 노드(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타겟 노드'라 함)를 XY 평면상에서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타겟 노드는 중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GPU(191)는 이동된 타겟 노드의 변위(displacement)를 계산한다. 여기서 변위는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벡터 값이다. 또한 변위의 크기는 구체적으로, 타겟 노드의 현재 위치, 타겟 노드가 이동한 거리 및 타겟 노드의 빠르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변위의 크기는 타겟 노드의 현재 위치만, 타켓 노드의 이동 거리만, 타겟 노드의 빠르기만 또는 타겟 노드의 현재 위치, 타겟 노드의 이동 거리 및 타겟 노드의 빠르기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 (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소정의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 펜 등)으로 페이지의 중앙 지점(250)을 프레스(press)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90)는 프레스의 세기 및 프레스된 타겟 노드를 검출한다. 제어부(190)는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에 따라 타겟 노드를 프레스 방향 예컨대, 도 2b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 방향(26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타겟 노드의 변위(displacement)를 산출한다.
제어부(190)는 산출된 변위에 따라 페이지 메쉬를 변형한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도 2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메쉬의 우하귀 지점(240)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볼록하게 넘어 가도록 페이지 메쉬를 변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도 2b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메쉬의 중앙 지점(250)이 깊게 눌리도록 페이지 메쉬를 변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변형된 페이지 메쉬를 페이지에 반영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GPU(191)는 계산된 변위를 이용하여 각각의 노드들에 작용하는 힘들을 계산한다. 여기서 힘은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 값이다. 힘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력, 중력 및 인위적인 힘을 합한 값이다. 또한 페이지 넘김 모드가 기울기 모드 또는 결합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힘은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U(191)는 계산된 힘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노드들의 위치 값들을 계산한다. 그리고 GPU(191)는 계산된 위치 값들을 이용하여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한편, GPU(191)는 타겟 노드(즉, 인위적인 힘이 직접 작용하는 노드)를 중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타겟 노드의 X축의 값 및 Y축의 값은 변화에 따라 Z축의 값은 변하거나 또는 '0'일 수 있다. 또한 GPU(191)는 중심축(230)에 위치한 노드에 대해선 다른 노드들과 달리, 고정시킨다. 이는 곧 사용자가 실제로 종이책의 페이지를 눌러서 이동시키는 것과 같다. 따라서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페이지는 볼록한 형태로 표현된다. 이상으로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페이지 메쉬는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방향 및 터치의 빠르기 등에 따라 실제처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을 통해 사실적인 종이책의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90)는 대기 상태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전자책 앱의 실행을 위한 아이콘을 포함하는 홈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부(190)는 전자책 앱의 실행 요청과 관련된 터치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책 앱의 실행 요청이 검출되면, 단계 301에서 제어부(190)는 전자책 앱을 실행하여 책장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302에서 제어부(190)는 다수의 전자책 중 어느 하나의 전자책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터치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302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전자책 앱이 실행되면 전자책의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단계 303에서 제어부(190)는 선택된 전자책의 페이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읽어 와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실제 종이책을 펼쳐서 책상에 놓았을 때 페이지가 볼록해지는 것처럼, 페이지를 볼록하게 표시할 수 있다. 물론, 페이지가 평평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페이지가 볼록 또는 평평하게 표시될 것인지는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 설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사항이다. 또한, 제어부(190)는 표시된 페이지의 모서리에 전자책의 볼륨을 표시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90)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쪽 번호(page number) 를 기준으로 남은 페이지의 수에 비례하여 전자책의 볼륨을 표시하도록 한다. 예컨대, 전자책의 총 페이지 수가 100이고 현재 표시된 페이지의 쪽 번호가 21인 경우, 남은 페이지는 80이다. 이에 따라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80 페이지에 해당하는 볼륨을 모서리에 표시한다. 만약 남은 페이지가 20이면, 표시부(112)는 20 페이지에 해당하는 볼륨을 모서리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미리 설정된 페이지 단위로 볼륨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단위가 10인 경우, 표시되는 페이지의 쪽 번호가 1부터 10까지는 모서리의 두께가 동일하다. 그런데 표시되는 페이지의 쪽 번호가 11이 되면, 쪽번호가 '10'과 비교하여 한 장 차이이긴 하나 상기 설정된 단위에 의거하여 모서리의 볼륨이 더 얇게 표시된다. 여기서 페이지 단위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페이지의 두께에 비례하여 전자책의 볼륨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표 1을 참조하면, 페이지의 수가 같더라도, 스케치북이 인쇄 용지보다 볼륨이 크다. 또한, 전자책이 처음으로 실행되는 경우 목차나 또는 첫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전에 본 전자책인 경우 마지막으로 저장된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02에서 전자책의 선택이 아닌 다른 기능 예컨대, 책장 편집 기능의 실행 요청과 관련된 터치제스처를 검출하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단계 304에서 제어부(190)는 터치의 검출 여부를 결정한다. 터치가 검출되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 305로 진행된다. 단계 305에서 제어부(190)는 임계 시간의 경과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화면을 자동으로 끄기 위해 설정된 값으로 정의된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상기 임계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아무런 터치도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306으로 진행하여 화면을 오프시킨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30초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값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한편, 프로세스는 단계 306의 수행 없이 종료될 수 있다.
터치가 검출되면 단계 307에서 제어부(190)는 검출된 터치가 터치제스처(예컨대, 프레스(press))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검출된 터치의 접촉시간을 산출하여 프레스 여부를 결정한다. 예컨대, 터치의 접촉시간이 0.5 초(sec)초과하는 경우를 의미하며, 터치의 접촉시간은 사용자 또는 제조사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검출된 터치제스처가 플릭이나 드래그인 경우 제어부(190)는 플릭이나 드래그에 해당되는 기능 예컨대, 페이지를 넘기는 애니메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된 터치제스처가 프레스인 경우 단계 308에서 제어부(190)는 프레스에 응답하여 피드백(예컨대, 애니메이션, 효과음 및 진동)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터치패널 컨트롤러(130)로부터 수신된 터치이벤트로부터 프레스를 검출한다. 특히, 제어부(190)는 프레스 지점의 위치 및 프레스의 세기를 포함하는 압력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검출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를 변형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몇 가지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프레스 지점이 페이지의 안쪽(예를 들어, 책등(spine))일수록 페이지가 더 깊게 눌려지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표시부(1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프레스 지점이 페이지의 바깥쪽(예를 들어, 책 모서리(edge))일수록 페이지가 덜 깊게 눌려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가 강할수록 페이지가 더 깊게 눌려지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표시부(1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가 약할수록 페이지가 덜 깊게 눌려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프레스된 페이지를 기준으로 남은 페이지의 수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달리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남은 페이지의 수가 많을수록 페이지가 더 깊게 눌려지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표시부(1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남은 페이지의 수가 적을수록 페이지가 덜 깊게 눌려질 수 있다. 제어부(190)는 페이지의 두께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달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페이지가 얇으면 페이지가 깊게 눌려지고 상대적으로 페이지가 두꺼우면 페이지가 덜 깊게 눌려질 수 있다. 이상으로 제어부(190)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함에 있어 프레스 지점의 위치, 프레스 세기, 남은 페이지의 수 및 페이지 두께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90)는 프레스 지점의 위치만을, 프레스 세기만을, 남은 페이지의 수만 또는 페이지의 두께만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프레스 지점의 위치, 프레스 세기, 남은 페이지의 수 및 페이지 두께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애니메이션 생성을 위한 고려 대상을 삼을 수 있다. 물론, 제어부(190)는 상기 넷 중에서 둘, 셋 또는 모두를 고려 대상으로 삼을 수도 있다.
단계 308에서 제어부(190)는 상술한 애니메이션 이외에,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효과음도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지점의 위치, 프레스 세기, 남은 페이지의 수 및 페이지 두께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이다. 나아가, 프레스의 지속 시간에 따라서도 효과음이 달라질 수 있다. 효과음의 다양한 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몇 가지 예를 들면, 제어부(190)는 프레스가 지속되는 동안에 효과음을 계속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프레스가 예컨대, 2초 이상 지속되면 메아리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프레스 지점이 바깥쪽이면 둔탁한 소리가 출력되고 상대적으로 프레스 지점이 안쪽이면 메아리가 출력될 수 있다. 프레스 세기가 약하면 저음이 출력되고 상대적으로 프레스 세기가 강하면 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의 세기가 점점 강해질수록 볼륨 또한 점점 높아질 수 있다. 남은 페이지의 수가 적으면 둔탁한 소리가 출력되고 상대적으로 남은 페이지의 수가 많으면 메아리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단계 308에서 제어부(190)는 상술한 애니메이션 및 효과음 이외에, 프레스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지점의 위치, 프레스 세기, 남은 페이지의 수, 페이지 두께 및 프레스의 지속 시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이다. 진동의 다양한 예들이 있을 수 있으며 몇 가지 예를 들면, 프레스 세기가 강하면 진동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프레스 세기가 약하면 진동이 약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의 세기가 점점 강해질수록 진동 또한 점점 강해질 수 있다. 프레스가 지속되는 동안 진동이 계속될 수 있다.
피드백 출력 후 단계 309에서 제어부(190)는 프레스의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프레스가 유지되면 제어부(190)는 단계 309로 복귀하여 피드백의 출력을 유지한다. 프레스가 해제되면 단계 310에서 제어부(190)는 프레스에 의해 변형된 페이지를 원래대로 복원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단계 311에서 제어부(190)는 전자책 실행의 종료 여부를 결정한다. 전자책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스는 단계 304로 복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책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 제어부(190)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홈 화면에는 환경 설정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환경 설정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단계 402에서 제어부(190)는 홈 화면에서 환경 설정에 대응되는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403에서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기(100)의 환경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환경 설정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터치패널(111)을 조작하여 휴대 단말기의 환경 특히, 전자책에 대한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책 설정 정보는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전자책 설정 정보는 전자책 앱(142)이 실행될 때, 활용될 수 있다. 환경 설정 화면에 포함되는 항목들은 휴대 단말기(100)의 성능 및 휴대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하나의 예로 환경 설정 화면은 무선 네트워크, 위치서비스, 사운드, 디스플레이, 보안 및 전자책 등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목들에서 사용자는 전자책 항목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9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책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12)를 제어한다.
도 5는 전자책 설정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전자책 설정 화면(500)을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책 설정 화면(500)은 페이지 두께(501), 페이지 재질(502), 피드백(503), 서체(504), 글자 크기(505) 및 테마(506) 등과 같은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페이지 두께(501)와 재질(502)은 상기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75g/m2와 인쇄용지가 될 수 있다. 피드백(503)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을 정하는 항목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피드백으로써, 애니메이션, 진동 및 효과음 모두를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중에서 하나만, 또는 둘만이 피드백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서체(504) 및 글자 크기(505)는 페이지에서 표시되는 글자의 서체 및 크기를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서체를 '고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글자의 크기는 12 point로 설정될 수 있다. 테마(506)는 페이지의 배경 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항목이다. 예컨대, 사용자는 페이지의 배경 색을 화이트(white)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 예시도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화면의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landscape mode)와 세로 모드(portrait mode)로 구분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100)는 가로 모드인 경우 좌우로 두 페이지를 표시하고, 세로 모드인 경우 한 페이지를 표시한다. 물론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회전시키면 휴대 단말기(100)의 센서부는 이를 검출하고, 검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제어부(170)는 전달받은 검출 정보를 기반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의 볼륨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6 (a)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610) 및 제 2 페이지(620)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 1 페이지(610) 및 제 2 페이지(620) 각각의 모서리에 전자책의 볼륨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볼륨은 현재 펼치진 페이지를 기준으로 그 아래에 남은 페이지의 수에 비례하는 두께이다. 예컨대, 전자책의 전체 100 페이지 중에서 화면 좌측에 제 20 페이지가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 제 21 페이지가 표시되면, 전자책의 전체 100 페이지 중에서 총 80페이지가 화면 우측에 남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면, 표시부(112)는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페이지보다 우측 페이지의 볼륨을 더 두껍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볼륨은 페이지에 설정된 두께에 비례할 수 있다. 즉 페이지가 두꺼울수록 볼륨이 커질 수 있다.
표시부(112)는 제 1 페이지(610)의 좌측 모서리(611)에 제 1 볼륨 영역(630)을 표시한다. 표시부(112)는 제 2 페이지(620)의 우측 모서리(621)에 제 2 볼륨 영역(640)을 표시한다. 한편, 도면 부호 650은 제 1 페이지(610)의 우측 모서리 그리고 제 2 페이지(620)의 좌측 모서리에 해당되며, 두 페이지를 구분하는 중앙선을 나타낸 것이다. 제 1 볼륨 영역(630)의 제 1 가로 길이(631) 및 제 2 볼륨 영역(640)의 제 2 가로 길이(641)는 각각, 남은 페이지의 수에 비례한다. 예컨대, 제 1 페이지(610)의 쪽 번호가 전체 100 페이지 중에서 20이고, 제 2 페이지(620)의 쪽 번호가 전체 100 페이지 중에서 21이면, 제 1 볼륨 영역(630)에 해당되는 남은 페이지 수는 20이고 제 2 볼륨 영역(640)에 해당되는 남은 페이지 수는 80이다. 따라서 도 6 (a)를 참고하면, 제 2 볼륨 영역(640)이 제 1 볼륨 영역(630)보다 두껍게 표시된다. 페이지가 넘어가면 볼륨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페이지를 넘기는 터치제스처에 응답하여 다수의 페이지(예컨대, 60페이지)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넘길 수 있다. 그러면,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볼륨 영역(630)이 제 2 볼륨 영역(640)보다 두껍게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 (a)를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710) 및 제 2 페이지(720)를 평평하게 표시한다. 여기서, "평평하게 표시한다는 것"은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들(710, 720)의 측면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즉,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를 일직선이 되게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시부(112)는 제 1 페이지(710)의 좌측 모서리(711)에 제 1 볼륨 영역(730)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2)는 제 2 페이지(720)의 우측 모서리(721)에 제 2 볼륨 영역(740)을 표시한다. 제 1 볼륨 영역(730)의 제 1 가로 길이(l1) 및 제 2 볼륨 영역(740)의 제 2 가로 길이(l2)는 각각, 남은 페이지의 수에 비례한다. 도 7 (b)를 참조하면, 실제 종이책을 펼쳤을 때 좌/우측 페이지가 볼록해지는 것처럼,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710′) 및 제 2 페이지(7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여기서 "볼록하게 변형한다는 것"은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들(710', 720')의 상/하단 모서리들을 볼록하게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112)는 제 1 볼륨 영역(730′) 및 제 2 볼륨 영역(740′)을 넓게 펼친다. 예컨대,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 1 볼륨 영역(730′) 및 제 2 볼륨 영역(740′)의 가로 길이를 기존(예컨대, 도 7 (a)의 볼륨영역들의 길이)보다 두 배 넓혀서 표시한다. 이상으로 제어부(190)는 페이지를 평평하게 또는 볼록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이지의 표시 형태는 전자책의 환경 설정에서 정해질 수 있는 항목이다.
도 8a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810) 및 제 2 페이지(8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물론 제어부(190)는 제 1 페이지(810) 및 제 2 페이지(820)를 평평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 2 페이지(820)의 좌상 지점(82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제 1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상(左上) 지점(821)이 눌린 제 2 페이지(8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동일 좌상 지점(821)에서 제 1 프레스보다 강한 제 2 프레스(예컨대, 제 1 프레스의 힘의 2배)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좀 더 강하게 좌상 지점(821)이 눌린 제 2 페이지(8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 2 프레스가 해제되면 제어부(190)는 눌려진 제 2 페이지(820″)를 원래대로 즉, 평평한 제 2 페이지(820)로 복원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9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910) 및 제 2 페이지(9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2 페이지(920)의 우상(右上) 지점(92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우상 지점(921)이 눌린 제 2 페이지(9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0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010) 및 제 2 페이지(10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2 페이지(1020)의 좌중(左中) 지점(102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중 지점(1021)이 눌린 제 2 페이지(10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1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110) 및 제 2 페이지(11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2 페이지(1120)의 우중(右中) 지점(112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우중 지점(1121)이 눌린 제 2 페이지(11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2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210) 및 제 2 페이지(12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2 페이지(1220)의 좌하(左下) 지점(122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하 지점(1221)이 눌린 제 2 페이지(12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3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가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310) 및 제 2 페이지(132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2 페이지(1320)의 우하(右下) 지점(132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우하 지점(1321)이 눌린 제 2 페이지(13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14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세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1 페이지(141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1 페이지(1410)의 좌중(左中) 지점(141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중 지점(1411)이 눌린 제 2 페이지(141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5 (a) 및 (b)를 참조하면, 표시 모드는 세로 모드이고,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제 1 페이지(1510)를 볼록하게 표시한다. 제 1 페이지(1510)의 우중(右中) 지점(1511)에 터치가 검출되고, 기결정된 접촉시간을 초과한 프레스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우중 지점(1511)이 눌린 제 1 페이지(151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으로, 제어부(190)는 프레스 지점의 위치 및 프레스의 세기를 포함하는 압력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검출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를 변형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90)는 프레스 지점의 위치 및 프레스의 세기에 따라 페이지를 다르게 변형하고 변형된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즉 도 8 내지 도 15를 참고하면, 프레스 지점의 위치 및 프레스 세기에 따라 변형된 페이지의 모습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페이지가 많고(예컨대, 200페이지 이상) 프레스가 검출된 페이지의 남은 페이지 수에 따라 변형된 페이지의 모습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남은 페이지의 수가 많을수록 페이지가 더 깊게 눌려지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여 표시부(112)로 출력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남은 페이지의 수가 적을수록 페이지가 덜 깊게 눌려질 수 있다. 반대로 남은 페이지의 수가 많을수록 남은 페이지의 수가 적은 경우보다 깊게 눌러질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페이지의 두께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달리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페이지가 얇으면 페이지가 깊게 눌려지고 상대적으로 페이지가 두꺼우면 페이지가 덜 깊게 눌려질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예시된 지점들 외에도, 페이지의 어느 지점에서든 터치 입력 수단을 누를 수 있음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페이지 표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16을 참고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610) 및 제 2 페이지(1620)를 평평하게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제 1 페이지(1610)의 좌측 모서리(1611)에 제 1 볼륨 영역(1630)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 2 페이지(1620)의 우측 모서리(1621)에 제 2 볼륨 영역(1640)을 표시한다. 제 2 페이지(1620)의 어느 곳 예컨대, 좌상(左上) 지점(1650)에서 기결정된 제 1접촉시간(예컨대, 1초)을 초과한 터치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터치된 좌상 지점(1650)의 주위를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 1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650)의 주위를 제 1 동심원 형태(1660)로 변형한다. 즉 터치의 접속 시간에 따라 동심원 형태(예컨대, 동심원의 크기, 동심원의 컬러 그라데이션(gradation), 동심원의 투명도(transparency), 동심원의 밝기 등)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터치의 세기에 따라 동심원 형태(예컨대, 동심원의 크기, 동심원의 컬러 그라데이션(gradation), 동심원의 투명도(transparency), 동심원의 밝기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제 1 동심원 형태(1660)로 변형 후 좌상(左上) 지점(1650)에서 기결정된 제 2접촉시간(예컨대, 1초)을 초과한 터치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650)의 주위를 제 1 동심원 형태(1660)와 다르게 변형한다. 예컨대, 도 1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 1 동심원 형태(1660)을 제 2 동심원 형태(1670)로 크게 변형한다. 좌상 지점(1650)의 주위가 제 2 동심원 형태(1670)로 변형된 후 좌상 지점(1650)에서 터치 해제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650)의 주위를 원래의 페이지 형태로 복원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표시부(130)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710) 및 제 2 페이지(1720)를 평평하게 표시한다. 여기서, "평평하게 표시한다는 것"은 도 1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들(1710, 1720)의 측면 모서리를 제외한 나머지(즉, 상단 모서리 및 하단 모서리)를 일직선이 되게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시부(130)는 제 1 페이지(1710)의 좌측 모서리(1711)에 제 1 볼륨 영역(1730)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제 2 페이지(1720)의 우측 모서리(1721)에 제 2 볼륨 영역(1740)을 표시한다. 제 2 페이지(1720)의 어느 곳 예컨대, 좌상(左上) 지점(1750)에서 기결정된 제 1접촉시간(예컨대, 1초)을 초과한 터치가 검출되면,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제 1 페이지(1710') 및 제 2 페이지(1720')을 볼록하게 변형한다. 여기서 "볼록하게 변형한다는 것"은 도 1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들(1710', 1720')의 상/하단 모서리들을 볼록하게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제 1 볼륨 영역(1730') 및 제 2 볼륨 영역(1740')을 넓게 펼친다. 여기서 터치된 페이지만 볼록하게 변형되고 터치된 페이지에 해당되는 볼륨 영역만 넓게 펼쳐질 수도 있다. 이러한 페이지와 볼륨영역의 변형 후 좌상 지점(1750)에서의 기결정된 제 2접촉시간(예컨대, 1초)을 초과한 터치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750)이 눌린 제 2 페이지(17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이후 좌상 지점(1750)에서 터치 해제되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750)의 주위를 원래의 페이지 형태로 복원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페이지를 볼록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책 앱이 실행되면 제어부(190)는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810) 및 제 2 페이지(1820)를 볼록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 1 페이지(1810) 및 제 2 페이지(1820)는 예컨대, 이전에 본 전자책에서 마지막으로 본 페이지들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2)는 제 1 페이지(1810)의 제 1 볼륨 영역(1830)과 제 2 페이지(1820)의 제 2 볼륨 영역(1840)을 넓게 펼친다. 제 2 페이지(1820)의 어느 곳 예컨대, 좌상(左上) 지점(1821)에서 터치가 검출되고, 터치 시간이 미리 정해진 제 1 임계 시간(예, 1sec)을 초과하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821)이 눌린 제 2 페이지(18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 1 임계 시간의 경과 후 터치 시간이 다시 제 2 임계 시간(예, 1sec)을 초과하면, 제어부(190)는 전보다 좀 더 세게 좌상 지점(1821)이 눌린 제 2 페이지(18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좌상 지점(1821)에서 터치 해제되면 제어부(190)는 좌상 지점(1821)의 주위를 원래의 페이지 형태로 복원한다. 도8내지 도 18에서, 프레스 지점과 세기 및 터치의 접촉 시간에 따라 동심원 또는 눌림, 깊이 등이 각각의 실시예로 기재되어 있지만, 하나로 병합되어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설치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부가 위로 향하고 휴대 단말기의 후면부가 아래로 향한 상태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손에 들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화면 좌/우측에 각각 제 1 페이지(1910) 및 제 2 페이지(1920)를 표시한다. 제어부(190)는 센서부(185)로부터 전달된 각 축들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롤각(Φ), 피치각(θ) 및 요각(ψ)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경우, 산출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Φ, θ, ψ)는 (0, 30, 0)일 수 있다. 제 2 페이지(1920)의 우중(右中) 지점(1921)에서 터치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제 2 페이지(1920)에서 우중 지점(1921)의 주위를 변형한다.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는 우중 지점(1921)이 눌린 제 2 페이지(1920)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지의 변형에는 터치 위치, 터치 시간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제어부(190)는 검출된 터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페이지(1920)를 변형한다. 이러한 페이지의 변형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 정보도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기울기의 방향에 따라 우중 지점(1921)의 변형 정도 예컨대, 눌린 깊이 또는 음영 등이 각각 다를 수 있다. 즉, 기울기의 반대 방향과 비교하여 기울기의 방향으로 우중 지점(1921)이 눌린 깊이 또는 음영이 쏠리게 된다. 예컨대, 기울기의 반대 방향과 비교하여 기울기의 방향으로 우중 지점(1921)이 깊게 눌려서 표시되거나 어둡게 표시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9에서 기울기 정보는 하나의 축 즉, Y축으로 한정하였으나,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기울기는 "Φ≠0, θ≠0, ψ≠0"일 수 있다. 즉, 3축(x, y, z)이 모두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3축의 기울기 정보를 바탕으로 페이지의 볼록한 변형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페이지의 접힌 부분에 음영 효과를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90)는 접힌 부분을 음영으로 처리하기 위해, 페이지의 각 좌표에서 법선 벡터를 산출하고, 이 법선 벡터와 광원을 향하는 광원벡터 사이의 각도를 계산한다. 만약 계산된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예컨대, 10도)보다 작으면, 해당 좌표는 광원을 향해 직접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밝게 처리된다. 반면 계산된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보다 크면, 해당 좌표는 광원으로부터 빛이 도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어둡게 처리된다. 여기서 광원은 페이지에 대해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90)는 어두운 정도를 단계별로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0)는 상기 계산된 값이 제1임계치(예컨대, 10도)보다 크고 제2임계치(예컨대, 20도)보다 작으면, 해당 좌표를 조금 어둡게 처리하고 반면, 상기 제2임계치보다 크면 해당 좌표를 좀 더 어둡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음영 효과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페이지에 음영 효과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제 1 휴대 단말기
110: 터치스크린 111: 터치패널
112: 표시부 120: 키 입력부
140: 저장부 141: 전자책 DB
142: 전자책 앱 150: 무선통신부
160: 오디오 처리부 170: 근거리 통신모듈
180: 터치패널 컨트롤러
185: 진동 모터
190: 제어부
191: GPU

Claims (21)

  1.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의 페이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자책의 페이지를 결정된 모드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지점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페이지의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스된 지점이 상기 페이지의 안쪽에 가까울수록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깊게 눌러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스된 지점에서 상기 프레스의 세기가 강할수록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깊게 눌러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의 전체 페이지의 수에 대응되게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페이지 종류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페이지의 눌린 깊이가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스된 지점에서 상기 프레스의 세기가 강할수록 상기 프레스된 지점에 대응되는 동심원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스된 지점에서 상기 프레스의 시간에 대응되는 동심원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에 응답하여 효과음 및 햅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의 해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변형된 페이지를 변형 전의 상태로 복원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결정된 모드는 상기 페이지를 평평하게 표시하는 모드 및 상기 페이지를 볼록하게 표시하는 모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11.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의 페이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자책의 페이지를 평평하게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페이지의 상기 터치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이 제 1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페이지를 볼록하게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이 제 2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볼록하게 변형된 페이지에서의 상기 터치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13.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의 페이지 표시 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전자책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 및 상기 기울기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울기의 반대 방향과 비교하여 상기 기울기의 방향으로 상기 프레스된 지점의 눌린 깊이 또는 음영이 쏠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방법.
  15. 전자책의 페이지를 기결정된 모드로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고,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지점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페이지의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스된 지점이 상기 페이지의 안쪽에 가까울수록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깊게 눌러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스된 지점에서의 상기 프레스의 세기가 강할수록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깊게 눌러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의 전체 페이지의 수에 대응되게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의 두께에 대응되게 상기 페이지의 눌린 깊이가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레스의 검출에 응답하여 효과음 및 햅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지 표시 장치.
  21.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전자책의 페이지를 기결정된 모드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페이지에서 터치를 검출하며, 상기 터치의 접촉시간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지점 및 상기 검출된 프레스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상기 페이지의 상기 프레스된 지점을 변형하여 표시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KR1020120021923A 2012-03-02 2012-03-02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94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23A KR101945822B1 (ko) 2012-03-02 2012-03-02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PCT/KR2013/001620 WO2013129858A1 (en) 2012-03-02 2013-02-28 Method for displaying pages of e-book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US13/782,392 US9046957B2 (en) 2012-03-02 2013-03-01 Method for displaying pages of E-book and mobile device adapted theret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923A KR101945822B1 (ko) 2012-03-02 2012-03-02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81A true KR20130100581A (ko) 2013-09-11
KR101945822B1 KR101945822B1 (ko) 2019-02-11

Family

ID=4904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923A KR101945822B1 (ko) 2012-03-02 2012-03-02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46957B2 (ko)
KR (1) KR101945822B1 (ko)
WO (1) WO20131298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410A (ko) * 2015-10-21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70068800A (ko)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7361A3 (en) * 2011-10-25 201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book i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e-book reader
JP6043544B2 (ja) * 2012-08-23 2016-12-1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デバイス、入力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感覚提示方法
US9547366B2 (en) * 2013-03-14 2017-01-17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and gesture-driven paper simulation
JP6086851B2 (ja) * 2013-09-18 2017-03-01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60106985A (ko) * 2015-03-03 201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CN105100492A (zh) * 2015-08-11 2015-11-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压力反馈系统和方法
CN105096980B (zh) * 2015-08-27 2017-08-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录音的方法及终端
JP6881449B2 (ja) * 2016-06-06 2021-06-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の選別方法、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タッチパネルペン用筆記シート、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US10492206B2 (en) * 2017-06-02 2019-11-26 Apple Inc. Coexistence of collocated radios
US11829581B2 (en) * 2018-05-21 2023-11-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control method and terminal
US11550469B2 (en) * 2021-02-24 2023-01-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using force-based gestur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5481A (ja) * 2000-03-21 2001-09-28 Nec Corp ページ情報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ページ情報表示用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7667703B2 (en) * 2003-12-19 2010-02-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 for turning pages in a three-dimensional electronic document
US8499251B2 (en) * 2009-01-07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page turn
KR20100082903A (ko)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전자문서 표시 방법 및 장치
US9262063B2 (en) * 2009-09-02 2016-02-16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8624851B2 (en) * 2009-09-02 2014-01-07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screen user interface
JP5752708B2 (ja) * 2010-01-11 2015-07-22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テキスト処理及び表示
US9665258B2 (en) 2010-02-05 2017-05-30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displaying an e-book graphic object and method of manipulating a e-book graphic object
US8798534B2 (en) * 2010-07-09 2014-08-05 Digimarc Corporation Mobile devices and methods employing haptics
CA2749620A1 (en) * 2010-08-20 2012-02-20 Exopc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an electronic book on a touch screen display
US9041734B2 (en) * 2011-07-12 2015-05-26 Amazon Technologies, Inc. Simulating three-dimensional feat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410A (ko) * 2015-10-21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70068800A (ko) 2015-12-10 2017-06-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이북 리더용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9858A1 (en) 2013-09-06
US9046957B2 (en) 2015-06-02
KR101945822B1 (ko) 2019-02-11
US20130229371A1 (en)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822B1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100580A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넘김 방법 및 장치
US101145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eedback associated with e-book in mobile device
KR20130114336A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301986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age in terminal
US9760241B1 (en) Tactile interaction with content
US93610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book in terminal having function of e-book reader
TWI545502B (zh) 用於呼叫電子手寫或書寫界面之系統、方法和電腦可讀媒體
EP2770422A2 (en) Method for providing a feedback in response to a user input and a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US2014007530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handwritten document processing method
KR102393295B1 (ko) 컨텐트를 스타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JP6313028B2 (ja) タッチ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
KR20150002312A (ko)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30298068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096780A (ko) 콘텐츠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TWI489333B (zh) 文字指示符方法及電子裝置
JP5777915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表示方法
JP5323111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985888B1 (ko) 전자 게시판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33054B1 (ko) 휴대단말에서 시각 효과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00089336A1 (en) Physically Navigating a Digital Space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30099643A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088695A (ko) 단말기에서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50095835A1 (en) Providing a user specific reader mode on an electronic personal display
KR201400864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