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839A -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9839A KR20130099839A KR1020130018545A KR20130018545A KR20130099839A KR 20130099839 A KR20130099839 A KR 20130099839A KR 1020130018545 A KR1020130018545 A KR 1020130018545A KR 20130018545 A KR20130018545 A KR 20130018545A KR 20130099839 A KR20130099839 A KR 201300998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oint
- reinforcing bar
- nut
- rebar
- thread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2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제조 용이 또한 시공성이 우수한 철근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제1 철근(10)과 제2 철근(20)을 축방향으로 배열한다. 제1 철근(10)의 외주에는 수나사산(11)을 형성한다. 통 형상의 조인트(30)를 제1, 제2 철근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치게 한다. 조인트(30)의 내주에는, 수나사산(11)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31)을 형성한다. 너트(40)를 제1 철근(10)의 외주에 끼워서 조인트(30)의 단부에 맞닿게 한다.
제1 철근(10)과 제2 철근(20)을 축방향으로 배열한다. 제1 철근(10)의 외주에는 수나사산(11)을 형성한다. 통 형상의 조인트(30)를 제1, 제2 철근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치게 한다. 조인트(30)의 내주에는, 수나사산(11)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31)을 형성한다. 너트(40)를 제1 철근(10)의 외주에 끼워서 조인트(30)의 단부에 맞닿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개의 철근을 연결해서 되는 구조 및 상기 연결에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또는 토목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이형 철근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와,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는 마디를 갖고 있다. 상기 리브 및 마디에 의해 콘크리트 부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상기의 이형 철근끼리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2개의 통 형상의 조인트 부재와, 수나사 부재가 사용되어 있다. 한쪽의 이형 철근의 단부에 상기 조인트 부재의 1개를 압착해서 덧붙이고, 다른 쪽의 이형 철근의 단부에 또 하나의 조인트 부재를 압착해서 덧붙인다. 각 조인트 부재의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1개의 조인트 부재의 암나사에 상기 수나사 부재의 약 절반을 비틀어 박고, 또 하나의 조인트 부재의 암나사에 상기 수나사 부재의 나머지 절반을 비틀어 박는다. 이에 의해, 수나사 부재를 개재해서 2개의 조인트 부재가 연결되고, 나아가서는 2개의 이형 철근끼리가 연결된다.
상기 공보의 철근 연결 수단은, 나사부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비용이 높다. 또한, 2개의 조인트 부재의 압착 작업 등을 필요로 하여, 시공이 번잡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철근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 철근의 외주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림이 가능한 암나사산을 내주에 갖고, 상기 제1, 제2 철근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치는 통 형상의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제1 철근측의 단부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제1 철근의 외주에 끼워진 너트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철근, 조인트 및 너트의 나사산의 요구 정밀도를, 밀리 나사 등의 규격 나사의 요구 정밀도보다 느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조인트 및 너트를 간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산 간에 충분한 여유를 갖게 함으로써, 철근 연결 작업의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여유가 있어도,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철근과 조인트와 너트를, 덜컹거리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너트의 상기 조인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피후크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의 상기 너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조인트를 상기 제2 철근 측을 향하는 회전 방향(이하 「제1 회전 방향」이라고 칭한다)으로 돌릴 때 상기 피후크부에 맞닿는 후크부와, 상기 피후크부가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하면, 조인트를 제1 회전 방향으로 돌려서 제1 철근으로부터 제2 철근에 걸치도록 이동시킬 때, 너트도 조인트와 일체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철근 연결 작업의 시공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그 후, 너트를 체결할 때는, 상기 릴리프부가 상기 피후크부를 해제시킴으로써, 너트를 조인트에 대하여 체결 방향(제1 회전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피후크부는, 적어도 너트의 체결 각도만큼,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허용되면 된다.
상기 조인트의 상기 너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향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축방향의 상기 너트측으로 기우는 제1 나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상기 조인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나선면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면 접촉하는 제2 나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인트를 제1 회전 방향으로 돌려서 제1 철근으로부터 제2 철근에 걸치도록 이동시킬 때, 제1 단차면에 제2 단차면을 걸침으로써, 너트를 조인트에 추종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너트를 체결할 때는, 제2 나선면이 제1 나선면에 안내됨으로써, 너트의 암나사산을 주위 방향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변위시켜서 수나사산에 강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너트의 체결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체결에 의해, 제1 철근과 조인트와 너트를, 덜컹거리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차면에 의해, 상기 후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면에 의해, 상기 피후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선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릴리프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의 내주와 상기 제1, 제2 철근 사이에 그라우트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제2 철근을, 인장력이 확실하게 전달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혹은 제1 단차면) 및 피후크부(혹은 제2 단차면)를 갖는 구조에서는, 상기 너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후크부(혹은 제1 단차면) 및 피후크부(혹은 제2 단차면)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고, 양자간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 후, 조인트의 내주와 철근 사이에 그라우트를 충전할 때, 상기 개구부로부터 그라우트가 누출되므로, 그라우트가 조인트의 단부까지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시점에서 그라우트 주입을 정지할 수 있다. 너트와 철근 사이에까지 그라우트를 충전하지 않아도 되어, 그라우트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주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철근 연결 장치로서,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을 내주에 갖고, 상기 제1, 제2 철근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치는 길이의 통 형상의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제1 철근측의 단부에 맞닿는 너트
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의 상기 너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조인트를 상기 제2 철근 측을 향하게 돌리는 회전 방향(이하 「제1 회전 방향」이라고 칭한다)을 향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축방향의 상기 너트측으로 기우는 제1 나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상기 조인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나선면과 같은 측으로 기우는 제2 나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 구성에 의하면, 상기 철근, 조인트 및 너트의 나사산의 요구 정밀도를, 밀리 나사 등의 규격 나사의 요구 정밀도보다 느긋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조인트 및 너트를 간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나사산 간에 충분한 여유를 갖게 함으로써, 철근 연결 작업의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철근 연결 작업에 있어서, 조인트를 제1 회전 방향으로 돌려서 제1 철근으로부터 제2 철근에 걸치도록 이동시킬 때, 제1 단차면에 제2 단차면을 걸음으로써, 너트를 조인트에 추종시켜서 이동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너트를 체결한다. 이때, 제2 나선면이 제1 나선면으로 안내됨으로써, 너트의 암나사산을 주위 방향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도 변위시켜서 수나사산에 강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너트의 체결 각도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체결에 의해, 제1 철근과 조인트와 너트를, 덜컹거리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그 후, 조인트 내에 그라우트를 충전하면, 제1 철근과 조인트를 한층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 제1, 제2 철근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너트의 체결에 의해 제1, 제2 단차면 간에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 개구부로부터 그라우트가 누출되므로, 그라우트의 충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너트와 철근 사이에까지 그라우트를 충전하지 않아도 되어, 그라우트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철근 연결 구조 또는 상기 철근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혹은 제1 단차면) 또는 상기 피후크부(혹은 제2 단차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높이는, 상기 제1 철근의 수나사산과 상기 조인트의 암나사산 사이의 상기 축방향의 여유 및 상기 제1 철근의 수나사산과 상기 너트의 암나사산 사이의 상기 축방향의 여유의 합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너트를 조인트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 있고, 나아가 확실하게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철근의 외주에 제2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철근 연결 구조 또는 상기 철근 연결 장치가, 상기 조인트의 제2 철근측의 단부에 맞닿게 하고, 상기 제2 철근의 외주에 끼워진 제2 너트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인트의 양단부에 각각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제1, 제2 철근을 한층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 장치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철근 연결 작업의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구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해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르는, 제1 철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르는,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기본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을 일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조인트를 제1 철근과 제2 철근 사이에 걸치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기본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제1, 제2 철근간에 걸치는 조인트의 양단에 너트를 각각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기 각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변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구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해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개변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개변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을 일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측 너트를 조인트의 최상부에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개변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상측 너트의 제2 단차면이 조인트의 제1 단차면과 주위 방향으로 일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측 너트와 조인트가 맞물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개변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조인트를 제1 철근으로부터 제2 철근에 걸치게 하는 도중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기 조인트의 양단부에 너트를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c)는, 상하의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을 따르는, 제1 철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르는,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기본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을 일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조인트를 제1 철근과 제2 철근 사이에 걸치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기본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제1, 제2 철근간에 걸치는 조인트의 양단에 너트를 각각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기 각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변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구조를,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해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개변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개변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을 일직선상으로 배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측 너트를 조인트의 최상부에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개변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상측 너트의 제2 단차면이 조인트의 제1 단차면과 주위 방향으로 일치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측 너트와 조인트가 맞물린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개변 형태의 철근 연결 수순을 나타내고, 동도 (a)는, 조인트를 제1 철근으로부터 제2 철근에 걸치게 하는 도중의 정면도이며, 동도 (b)는, 상기 조인트의 양단부에 너트를 맞닿게 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동도 (c)는, 상하의 너트를 체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기본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구조(1)를 나타낸 것이다. 철근 연결 구조(1)는, 건축 분야 또는 토목 분야에 있어서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등에 적용된다. 철근 연결 구조(1)는, 2개의 철근(10, 20)과, 철근 연결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철근(10, 20)은, 상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예를 들어 기둥부의 주근을 구성하고 있다. 이들 철근(10, 20)이, 축방향을 연직으로 향해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철근(10)은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제2 철근(20)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철근(10, 20)은, 나사 형상(나선 형상)의 마디(11, 21)(돌기)를 갖는 이형 철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철근(10)의 외주에는, 마디로서, 제1 수나사산(11)이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산(11)은, 제1 철근(10)의 주위 방향으로 180도 이격된 2개의 나사 형성 영역(12, 12)에, 일정한 피치로, 제1 철근(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철근(10)의 외주에 있어서의 2개의 나사 형성 영역(12, 12) 사이의 부분은, 거의 평평한 평탄부(13)가 되어 있다. 도 1의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영역(12)의 수나사산(11)을 평탄부(13)에 가상적으로 연장하면, 상기 가상의 수나사산(11)이 다른 쪽 영역(12)의 수나사산(11)에 연속한다. 수나사산(11)은, 우나사로 되어 있지만, 좌나사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철근(20)은, 제2 수나사산(21) 및 평탄부(23)를 갖고, 제1 철근(10)과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철근(10, 20)이, 철근 연결 장치(3)로 연결되어 있다. 철근 연결 장치(3)는, 조인트(30)와, 이 조인트(30)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너트(40, 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는,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인트(30)의 내주에는, 거의 전역에 걸쳐 암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30)의 외형의 단면은, 예를 들어 10각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0각형 이외의 다각형이어도 좋고, 원형이어도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의 축방향의 중앙부에는, 그라우트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라우트 구멍(32)은, 조인트(30)의 외주로부터 내주에 관통하고 있다. 그라우트 구멍(32)의 위치는, 조인트(30)의 중앙부에 한정되지 않고, 조인트(30)의 단부 가까이에 설치해도 된다. 그라우트 구멍(32)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 설치해도 된다. 2개의 그라우트 구멍(32)을 조인트(30)의 양단부에 형성해도 되고, 이 경우, 한쪽의 구멍(32)을 그라우트 주입 구멍으로 하고, 다른 쪽의 구멍(32)을 그라우트 배출공으로 해도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는, 축선을 철근(10, 20)의 축선과 일치시켜서, 철근(10, 20)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쳐 있다. 조인트(30)의 상측 부분에 제1 철근(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조인트(30)의 하측 부분에 제2 철근(2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조인트(30)의 상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제1 철근(10)의 수나사산(11)과 축방향으로 여유를 가지고 맞물려 있다. 조인트(30)의 하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상기 나사산(31, 11) 사이와 동일 정도의 축방향의 여유를 가지고, 제2 철근(20)의 수나사산(21)과 맞물려 있다. 암나사산(31)과 수나사산(11, 21) 사이의 간극에는, 그라우트(61)가 충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는, 조인트(30)보다 상측의 제1 철근(10)의 외주에 끼워지고, 또한 조인트(30)의 상단부에 맞닿아 있다. 너트(40)의 내주에는, 암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산(41)은, 상기 나사산(31, 11) 사이와 동일 정도의 축방향의 여유를 가지고, 제1 철근(10)의 수나사산(11)과 맞물려 있다. 암나사산(41)과 수나사산(11) 사이의 간극에는, 그라우트(61)가 충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는, 조인트(30)보다 하측의 제2 철근(20)의 외주에 끼워지고, 또한 조인트(30)의 하단부에 맞닿아 있다. 너트(50)의 내주에는, 암나사산(51)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산(51)은, 상기 나사산(31, 11) 사이와 동일 정도의 축방향의 여유를 가지고, 제2 철근(20)의 수나사산(21)과 맞물려 있다. 암나사산(51)과 수나사산(21) 사이의 간극에는, 그라우트(61)가 충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철근 연결 장치(3)에 의해 한 쌍의 철근(10, 20)을 연결해서 철근 연결 구조(1)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의 제2 철근(20)에는, 상단부로부터 너트(50)를 끼워 넣는다. 상측의 제1 철근(10)에는, 하단부로부터 너트(40) 및 조인트(30)를 순차로적으로 끼워 넣는다. 이들 철근(10, 20)을 연직된 일직선상으로 배치한다. 통상은, 하측의 제2 철근(20)을 시공 현장에 정치한 후, 제1 철근(10)을 제2 철근(20)의 상방에 배치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를 하강하도록 돌려서 제1 철근(10)으로부터 제2 철근(20)에 걸치게 한다.
이어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40)를 하강하도록 돌려서 조인트(30)의 상단부에 맞닿게 한다. 또한, 너트(50)를 상승하도록 돌려서 조인트(30)의 하단부에 맞닿게 한다. 조인트(30)를 또한 하강하도록 돌리는 것에 의해 너트(50)에 맞닿게 해도 된다.
수나사산(11, 21)과 암나사산(31, 41, 51) 사이에는,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조인트(30) 및 너트(40, 50)의 나사 결합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너트(40, 50)를 각각 조인트(30)를 향해서 체결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너트(40, 50)의 체결에 의해, 너트(40)의 암나사산(41)이 제1 철근(10)의 수나사산(11)에 하측으로부터 강하게 맞닿고, 너트(50)의 암나사산(51)이 제2 철근(20)의 수나사산(21)에 상측으로부터 강하게 맞닿는다. 조인트(30)의 상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제1 철근(10)의 수나사산(11)에 상방으로부터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수나사산(11)의 상측부에 맞닿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하게 맞닿는다. 조인트(30)의 하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제2 철근(20)의 수나사산(21)에 하방으로부터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수나사산(21)의 하측부에 맞닿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하게 맞닿는다. 따라서, 나사산 간에 여유가 있어도, 철근(10, 20)과 조인트(30)와 너트(40, 50)를, 덜컹거리지 않게 연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서, 그라우트(61)를 그라우트 구멍(32)으로부터 조인트(30)의 내부에 주입한다. 이 그라우트(61)가, 조인트(30)의 내주와 철근(10, 20)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다. 또한, 그라우트(61)는, 제1 너트(40)의 내주와 제1 철근(10) 사이의 간극 및 제2 너트(50)의 내주와 제2 철근(20) 사이의 간극에도 충전된다. 그리고, 제1 너트(40)의 나사 구멍의 상단부로부터 그라우트(61)가 누설되고, 또한 제2 너트(50)의 나사 구멍의 하단부로부터 그라우트(61)가 누설된다. 이에 의해, 그라우트(61)가 철근 연결 장치(3) 내에 충분히 널리 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그라우트(61)의 주입을 정지한다. 그라우트(61)는, 드디어 고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철근(10, 20)을, 철근 연결 장치(3)를 개재해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철근 연결 구조(1)에 의하면, 상기 나사산(11, 21, 31, 41, 51)의 맞닿음 및 그라우트(61)의 충전 고화에 의해, 철근(10, 20) 사이에서 인장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철근 연결 장치(3)보다 상측의 철근(10)은, 외주의 수나사산(11)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철근 연결 장치(3)보다 하측의 철근(20)은, 외주의 수나사산(21)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철근(10, 20)의 주근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0) 및 너트(40, 50)는, 고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형태와 중복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간소화한다.
<개변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개변 형태에 관한 철근 연결 구조(1A)를 나타낸 것이다. 철근 연결 구조(1A)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부의 주근을 구성하는 2개의 철근(10, 20)과, 철근 연결 장치(3A)를 구비하고 있다. 기본 형태(도 1)와 마찬가지로, 상측의 제1 철근(10)의 외주에는, 180도 이격되어서 한 쌍의 나사 형성 영역(12, 12)이 설치되고, 각 영역(12)에 수나사산(11)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측의 제2 철근(20)의 외주에는, 수나사산(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철근(10, 20)이, 축방향을 연직으로 향해서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철근 연결 장치(3A)로 연결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근 연결 장치(3A)는, 통 형상의 조인트(30A)와, 이 조인트(30A)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한 쌍의 너트(40A, 50A)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30A)의 내주의 거의 전역에 암나사산(31)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30A)의 축방향의 중앙부에는, 그라우트 구멍(32)이 조인트(30A)의 외주로부터 내주에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라우트 구멍(32)의 위치 및 수를 적절히 개변할 수 있는 것은, 기본 형태(도 1)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는, 기본 형태(도 1)와 마찬가지로, 축선을 상하로 향해서, 철근(10, 20)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쳐 있다. 조인트(30A)의 상측 부분에 제1 철근(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조인트(30A)의 하측 부분에 제2 철근(2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조인트(30A)의 상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축방향으로 상기 기본 형태(도 1)와 동일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제1 철근(10)의 수나사산(11)과 맞물려 있다. 이 상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수나사산(11)에 상방으로부터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수나사산(11)의 상측부에 맞닿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하게 맞닿아 있다. 조인트(30)의 하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상기 나사산(31, 11) 사이와 동일 정도의 축방향의 여유를 가지고, 제2 철근(20)의 수나사산(21)과 맞물려 있다. 이 하측 부분의 암나사산(31)은, 수나사산(21)에 하방으로부터 근접하고, 바람직하게는 수나사산(21)의 하측부에 맞닿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하게 맞닿아 있다. 암나사산(31)과 수나사산(11, 21) 사이의 간극에는, 그라우트(61)가 충전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의 상단부면(너트(40A)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1개 또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제1 단차면(33)과, 1개 또는 복수(여기서는 2개)의 제1 나선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단차면(33)의 높이(조인트(30A)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암나사산(31)과 수나사산(1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와, 암나사산(41)과 수나사산(1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의 합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제1 단차면(33)은, 조인트(30A)의 주위 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 있다. 각자 제1 단차면(33)은, 조인트(30A)를 제2 철근(20) 측(하측)을 향하게 돌리는 방향(이하 「제1 회전 방향」이라고 칭한다)을 향하고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 지면 전방측의 제1 단차면(33)은 좌측 방향을 향하고, 지면 내측의 제1 단차면(33)은 우측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단차면(33)은, 조인트(30A)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그 직경 방향의 내측의 단부는 조인트(30A)의 내주면에 도달하고, 직경 방향의 외측의 단부는 조인트(30A)의 외주면에 도달하고 있다.
제1 단차면(33)에 의해, 조인트(30A)의 상단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의 상단부면에 있어서, 2개의 제1 단차면(33, 33)으로 나뉘어진 2개의 반주 부분이, 각각 제1 나선면(34)이 되어 있다. 각 제1 나선면(34)은, 제1 회전 방향(평면에서 보아 시계 방향)을 따라 상측(너트(40A) 측)으로 기우는 나선 형상의 경사면이 되어 있다. 제1 나선면(34)의 주위 방향의 낮은 쪽의 단부가, 한쪽 단차면(33)의 하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그 180도 반대측에서, 상기 제1 나선면(34)의 높은 쪽의 단부가, 다른 쪽의 단차면(33)의 상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의 하단부면(너트(50A)를 향하는 단부면)은, 조인트(30A)의 상단부면에 대하여 상하로 180도 회전 대칭인 형상이 되어 있다. 즉, 조인트(30A)의 하단부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서 2개의 단차면(35)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35)의 높이(조인트(30A)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나사산(31, 2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와, 나사산(51, 2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의 합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면(35)은,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제2 회전 방향(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을 향하고 있다. 단차면(35)에 의해, 조인트(30A)의 하단부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 돌출된 후크부가 구성되어 있다.
조인트(30A)의 하단부면에 있어서의, 이들 단차면(35, 35) 사이의 2개의 반주 부분은, 각각 나선면(36)이 되어 있다. 각 나선면(36)은, 제2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기우는 나선 형상의 경사면이 되어 있다. 나선면(36)의 주위 방향의 높은 쪽의 단부가, 한쪽의 단차면(35)의 상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그 180도 반대측에서, 상기 나선면(36)의 낮은 쪽의 단부가, 다른 쪽의 단차면(35)의 하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는, 조인트(30A)보다 상측의 제1 철근(10)의 외주에 끼워지고, 또한 조인트(30)의 상단부에 맞닿아져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40A)의 내주에는, 암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산(41)은, 상기 나사산(31, 11) 사이와 동일 정도의 축방향의 여유를 가지고, 제1 철근(10)의 수나사산(11)과 맞물려 있다. 철근 연결 구조(1A)에서는, 기본 형태(도 1)와는 달리, 암나사산(41)과 수나사산(11) 사이의 간극에는, 그라우트(61)가 대부분 인입하지 않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의 하단부면(조인트(30A))을 향하는 단부면)은, 조인트(30A)의 상단부면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 대칭인 형상이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너트(40A)의 하단부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 2개의 제2 단차면(4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차면(43)의 높이(너트(40A)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나사산(31, 1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와, 나사산(41, 1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의 합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단차면(33)의 높이와 동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단차면(43)은, 제2 회전 방향(평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에 면하고 있다. 즉, 도 7에 있어서, 지면 전방측의 제2 단차면(43)은 우측 방향을 향하고, 지면 내측의 제2 단차면(43)은 좌측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2 단차면(43)은, 제1 너트(40A)의 직경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그 직경 방향의 내측의 단부는, 제1 너트(40A)의 내주면에 도달하고 있다. 제2 단차면(43)의 직경 방향의 외측의 단부는, 제1 너트(40A)의 외주면에 도달하고 있다.
제2 단차면(43)은, 후술하는 철근 연결 공정에 있어서, 조인트(30A)의 상기 제1 단차면(33)으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에 걸 수 있는 피후크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의 하단부면에 있어서의 2개의 제2 단차면(43, 43)으로 나뉘어진 2개의 반주 부분은, 각각 제2 나선면(44)이 되어 있다. 각 제2 나선면(44)은,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을 따라 제1 나선면(34)과 같은 측(상측)으로 기우는 나선 형상의 경사면이 되어 있다. 제2 나선면(44)의 주위 방향의 낮은 쪽 단부가, 한쪽의 단차면(43)의 하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그 180도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나선면(44)의 높은 쪽 단부가, 다른 쪽의 단차면(43)의 상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의 체결 상태에 있어서, 제2 단차면(43)(피후크부)은, 제1 단차면(33)(후크부)보다 제1 회전 방향으로 조금 이격되고, 제1 나선면(34)의 낮은 쪽 부분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나선면(34)의 낮은 쪽 부분은, 피후크부(43)가 후크부(33)로부터 제1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프부를 구성한다.
제2 단차면(43)(피후크부)과 제1 단차면(33)(후크부)이 주위 방향으로 대향하고, 이들 단차면(33, 43) 사이에 개구부(4)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4)로부터 그라우트(61)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상태에 있어서, 제1 나선면(34)과 제2 나선면(44)이 서로 강하게 맞닿고 있다. 또한, 암나사산(41)이 수나사산(11)의 하측부에 강하게 맞닿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A)는, 제1 너트(40A)와 동일 형상, 동일 치수로 되어 있고, 또한 제1 너트(40)에 대하여 상하 반대 자세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A)는, 조인트(30A)보다 하측의 제2 철근(20)의 외주에 끼워지고, 또한 조인트(30A)의 하단부에 맞닿아져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A)의 내주에는, 암나사산(51)이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산(51)은, 상기 나사산(31, 11) 사이와 동일 정도의 축방향의 여유를 가지고, 수나사산(21)과 맞물려 있다. 철근 연결 구조(1A)에서는, 기본 형태(도 1)와는 달리, 암나사산(51)과 수나사산(21) 사이의 간극에는, 그라우트(61)가 대부분 인입하지 않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A)의 상단부면(조인트(30A))을 향하는 단부면)은, 조인트(30A)의 하단부면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 대칭인 형상이 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너트(50A)의 상단부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180도 이격되어서 2개의 단차면(55)이 형성되어 있다. 단차면(55)의 높이(너트(50A)의 축방향을 따르는 치수)는, 나사산(31, 2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와, 나사산(51, 21) 사이의 축방향의 여유의 합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차면(35)의 높이와 동등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차면(55)은,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을 향하고 있다.
단차면(55)은, 후술하는 철근 연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30A)의 단차면(35)으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에 걸 수 있는 피후크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A)의 하단부면에 있어서의 2개의 단차면(55, 55)으로 나뉘어진 2개의 반주 부분은, 각각 나선면(56)이 되어 있다. 각 나선면(56)은, 제2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을 따라 나선면(36)과 같은 측(하방)으로 경사지는 나선 형상의 경사면이 되어 있다. 나선면(56)의 주위 방향의 높은 쪽의 단부가, 한쪽의 단차면(55)의 상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그 180도 반대측에서, 상기 나선면(56)의 낮은 쪽 단부가, 다른 쪽의 단차면(55)의 하단부에 이어지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너트(50A)의 체결 상태에 있어서, 단차면(55)(피후크부)은, 단차면(35)(후크부)보다 제2 회전 방향으로 조금 이격되고, 나선면(56)의 높은 쪽 부분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나선면(56)의 높은 쪽 부분은, 피후크부(55)가 후크부(35)로부터 제2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프부를 구성한다.
단차면(55)(피후크부)과 단차면(35)(후크부)이 주위 방향으로 대향하고, 이들 단차면(35, 55) 사이에 개구부(5)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5)로부터 그라우트(61)가 노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상태에 있어서, 나선면(36, 56)끼리 서로 강하게 맞닿고 있다. 또한, 암나사산(51)이 수나사산(21)의 상측부에 강하게 맞닿고 있다.
상기 구성의 철근 연결 장치(3A)에 의해 한 쌍의 철근(10, 20)을 연결해서 철근 연결 구조(1A)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의 제2 철근(20)에는, 상단부로부터 제2 너트(50A)를 끼워 넣는다. 상측의 제1 철근(10)에는, 하단부로부터 제1 너트(40A) 및 조인트(30A)를 순차로 끼워 넣는다. 이들 철근(10, 20)을 연직된 일직선상으로 배치한다. 통상은, 하측의 제2 철근(20)을 시공 현장에 정치한 후, 제1 철근(10)을 제2 철근(20)의 상방에 배치한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를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돌려 조인트(30A)를 향해서 하강시킨다. 또는, 조인트(30A)를 제2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제1 너트(40A)를 향해서 상승시켜도 된다. 그리고, 제1 너트(40A)의 최하부(제2 나선면(44)의 낮은 쪽 단부)를, 조인트(30A)의 최상부(제1 나선면(34)의 높은 쪽 단부)에 맞닿게 한다.
거기에서, 제1 너트(40A)를 또한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조금 돌리면,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단차면(43)이 제1 단차면(33)보다 제1 회전 방향으로 어긋난다. 그러면, 암나사산(41)과 수나사산(11) 사이의 여유만큼, 제1 너트(40A)를 낙하(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는, 암나사산(31)과 수나사산(11) 사이의 여유만큼, 조인트(30A)를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단차면(33)과 제2 단차면(43)이 대면한다. 나아가서는, 이들 단차면(33, 43)으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와 피후크부가 맞물린다. 또한, 나선면(34, 44)끼리 면 접촉한다.
이어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를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돌려 제2 철근(20)을 향해서 하강시킨다. 그러면, 제1 단차면(33)이 제2 단차면(43)에 맞닿고, 제1 너트(40A)가 조인트(30A)와 일체가 되어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너트(40A)도 조인트(30A)와 추종시켜서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30A)와 제1 너트(40A)의 양쪽을 따로따로 돌리고, 따로따로 하강시킬 필요가 없어서, 시공 수순을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를 제1 철근(10)으로부터 제2 철근(20)에 걸치게 하고, 조인트(30A)의 하측 부분을 제2 철근(20)에 비틀어 박는다. 나아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30A)의 하단부를 제2 너트(50A)에 맞닿게 하고, 단차면(35, 55)으로 이루어지는 후크부와 피후크부를 맞물리게 한다.
수나사산(11, 21)과 암나사산(31, 41, 51) 사이에는, 충분한 여유가 있기 때문에, 이들의 비틀어 박기 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 후,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를 제1 회전 방향(시계 방향)으로 토크를 걸어서 체결하는 동시에, 제2 너트(50A)를 제2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토크를 걸어서 체결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너트(40A)의 체결에 의해, 나선면(44, 34)끼리 강하게 맞닿는 동시에, 나선면(44)이 나선면(34)에 안내됨으로써, 너트(40A)가 조인트(30A)에 대하여 상방으로 변위한다. 그로 인해, 암나사산(41)은, 제1 회전 방향으로 변위할 뿐만 아니라 상방으로도 변위한다. 따라서, 기본 형태(도 1)보다 작은 체결 각도로, 암나사산(41)을 수나사산(11)에 강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차면(33, 43)끼리 주위 방향으로 이격하여, 개구부(4)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너트(50A)를 체결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면(56, 36)끼리 강하게 맞닿는 동시에, 나선면(56)이 나선면(36)에 안내됨으로써, 제2 너트(50A)가 조인트(30A)에 대하여 하방으로 변위한다. 그로 인해, 암나사산(51)은, 제2 회전 방향으로 변위할 뿐만 아니라 하방으로도 변위한다. 따라서, 기본 형태(도 1)보다 작은 체결 각도로, 암나사산(51)을 수나사산(21)에 강하게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단차면(35, 55)끼리 주위 방향으로 이격하여, 개구부(5)가 형성된다.
이어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라우트(61)를 그라우트 구멍(32)으로부터 조인트(30A)의 내부에 주입한다. 이 그라우트(61)가, 조인트(30A)의 내주와 철근(10, 20)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다. 조인트(30A) 내의 상단부에 도달한 그라우트(61)는, 개구부(4)에서 밖으로 누설된다. 또한, 조인트(30A) 내의 하단부에 도달한 그라우트(61)는, 개구부(5)에서 밖으로 누설된다. 이에 의해, 그라우트(61)가 조인트(30A) 내에 충분히 널리 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그라우트(61)의 주입을 정지한다. 그라우트(61)를 제1 너트(40A)와 제1 철근(10) 사이에까지 충전할 필요는 없고, 또한 제2 너트(50A)와 제2 철근(20) 사이에까지 충전할 필요는 없다. 이에 의해, 그라우트(61)의 주입량을 기본 형태(도 1)보다 적게 할 수 있어서, 그라우트(61)를 절약할 수 있다. 그라우트(61)는, 드디어 고화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철근(10, 20)을, 철근 연결 장치(3A)를 개재해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너트(40A, 50A)는 서로 동일 형상 또한 동일 치수이기 때문에, 각 너트(40A, 50A)를 다른 쪽의 너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0A)는, 상하로 회전 대칭이기 때문에, 어느 쪽의 단부를 위로 향해도 된다. 따라서, 부재 관리가 용이하고, 나아가 시공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30A) 및 너트(40A, 50A)는, 고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철근 연결 구조(1A)에 의하면, 기본 형태(도 1)와 마찬가지로, 상기 나사산(11, 21, 31, 41, 51)의 맞닿음 및 그라우트(61)의 충전 고화에 의해, 철근(10, 20) 사이에서 인장력을 확실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철근(10, 20)은, 외주의 수나사산(11, 21)에 의해 콘크리트와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 결과, 철근(10, 20)의 주근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로 일직선으로 배열한 2개의 철근 중, 하측의 철근이 「제1 철근」을 구성하고, 상측의 철근이 「제2 철근」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은, 연직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은, 기둥부의 주근에 한정되지 않고, 빔부의 주근을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이, 연직 및 수평에 대하여 비스듬해져 있어도 된다.
개변 형태(도 6 내지 도 10)에 있어서, 각 단차면(33, 35, 43, 55)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된다. 각 나선면(34, 36, 44, 56)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너트(30A)의 상단부면에, 단차면(33)의 하단부로부터 제1 회전 방향으로 이어지는 평탄면을 설치해도 된다. 조인트(30A)의 체결 시, 상기 평탄면이 「피후크부가 후크부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프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평탄부는, 적어도 너트(30A)를 체결하는 데 필요한 각도만큼 주위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면 된다. 단차면(33)과 나선면(34) 사이에 상기 평탄면을 개재시켜도 된다.
조인트(30A)의 하단부면 및 제2 너트(50A)의 상단부면에 대해서는, 기본 형태(도 1)와 마찬가지로 전체 둘레에 걸쳐 평탄면으로 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건축·토목 구조물의 구축에 적용 가능하다.
1, 1A 철근 연결 구조
3, 3A 철근 연결 장치
4, 5 개구부
10 제1 철근
11 제1 수나사산
12 나사 형성 영역
13 평탄부
20 제2 철근
21 제2 수나사산
23 평탄부
30, 30A 조인트
31 암나사산
32 그라우트 구멍
33 제1 단차면(후크부)
34 제1 나선면(릴리프부)
35 단차면(후크부)
36 나선면(릴리프부)
40, 40A 제1 너트
41 암나사산
43 제2 단차면(피후크부)
44 제2 나선면
50, 50A 제2 너트
51 암나사산
55 단차면(피후크부)
56 나선면
61 그라우트
3, 3A 철근 연결 장치
4, 5 개구부
10 제1 철근
11 제1 수나사산
12 나사 형성 영역
13 평탄부
20 제2 철근
21 제2 수나사산
23 평탄부
30, 30A 조인트
31 암나사산
32 그라우트 구멍
33 제1 단차면(후크부)
34 제1 나선면(릴리프부)
35 단차면(후크부)
36 나선면(릴리프부)
40, 40A 제1 너트
41 암나사산
43 제2 단차면(피후크부)
44 제2 나선면
50, 50A 제2 너트
51 암나사산
55 단차면(피후크부)
56 나선면
61 그라우트
Claims (6)
-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철근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 철근의 외주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을 내주에 갖고, 상기 제1, 제2 철근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치는 통 형상의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제1 철근측의 단부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제1 철근의 외주에 끼워진 너트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상기 조인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피후크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의 상기 너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조인트를 상기 제2 철근 측을 향하는 회전 방향(이하 「제1 회전 방향」이라고 칭한다)으로 돌릴 때 상기 피후크부에 맞닿는 후크부와, 상기 피후크부가 상기 후크부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허용하는 릴리프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상기 너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향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축방향의 상기 너트측으로 기우는 제1 나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상기 조인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나선면과 같은 측으로 기울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면 접촉하는 제2 나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내주와 상기 제1, 제2 철근 사이에 그라우트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철근의 외주에 제2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인트의 제2 철근측의 단부에 맞닿도록 하여, 상기 제2 철근의 외주에 끼워진 제2 너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구조. - 외주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 철근과, 제2 철근을, 축방향으로 연결하는 철근 연결 장치로서,
상기 수나사산과 맞물림 가능한 암나사산을 내주에 갖고, 상기 제1, 제2 철근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의 외주간에 걸치는 길이의 통 형상의 조인트와,
상기 조인트의 제1 철근측의 단부에 맞닿는 너트
를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의 상기 너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조인트를 상기 제2 철근 측을 향하게 돌리는 회전 방향(이하 「제1 회전 방향」이라고 칭한다)을 향하는 제1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축방향의 상기 너트측으로 기우는 제1 나선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상기 조인트를 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제2 단차면과, 상기 제1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 나선면과 같은 측으로 기우는 제2 나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43695A JP5926982B2 (ja) | 2012-02-29 | 2012-02-29 | 鉄筋連結構造および鉄筋連結装置 |
JPJP-P-2012-043695 | 2012-02-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839A true KR20130099839A (ko) | 2013-09-06 |
KR102197519B1 KR102197519B1 (ko) | 2020-12-31 |
Family
ID=4927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8545A KR102197519B1 (ko) | 2012-02-29 | 2013-02-21 |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5926982B2 (ko) |
KR (1) | KR10219751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403B1 (ko) * | 2013-12-12 | 2015-02-23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철근 연결장치 |
KR102074739B1 (ko) * | 2018-11-19 | 2020-02-07 |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30625B2 (ja) * | 2016-03-03 | 2021-02-17 | 日鉄建材株式会社 | 多段式排水パイプの押出治具及び多段式排水パイプの押出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50151A (ja) * | 1984-05-24 | 1985-12-10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鋼棒の継手構造 |
JPH10131303A (ja) | 1996-11-05 | 1998-05-19 | Fuji Bolt Seisakusho:Kk | 鉄筋の継手構造 |
KR20060026576A (ko) * | 2004-09-21 | 2006-03-24 |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 타이바 고정구조 |
JP2008075414A (ja) * | 2006-09-25 | 2008-04-03 | Kyoei Steel Ltd | ねじ鉄筋の接続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7157Y2 (ja) * | 1993-12-24 | 2001-04-16 | 東京鐵鋼株式会社 | 鉄筋連結用カプラーナット |
-
2012
- 2012-02-29 JP JP2012043695A patent/JP5926982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2-21 KR KR1020130018545A patent/KR1021975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250151A (ja) * | 1984-05-24 | 1985-12-10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鋼棒の継手構造 |
JPH10131303A (ja) | 1996-11-05 | 1998-05-19 | Fuji Bolt Seisakusho:Kk | 鉄筋の継手構造 |
KR20060026576A (ko) * | 2004-09-21 | 2006-03-24 |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 타이바 고정구조 |
JP2008075414A (ja) * | 2006-09-25 | 2008-04-03 | Kyoei Steel Ltd | ねじ鉄筋の接続方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3403B1 (ko) * | 2013-12-12 | 2015-02-23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철근 연결장치 |
KR102074739B1 (ko) * | 2018-11-19 | 2020-02-07 | 주식회사 대동엠에스 | 철근 연결용 슬리브 |
US11732479B2 (en) | 2018-11-19 | 2023-08-22 | Dae Dong M.S. Ltd. | Sleeve for connecting steel b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26982B2 (ja) | 2016-05-25 |
JP2013181278A (ja) | 2013-09-12 |
KR102197519B1 (ko) | 2020-12-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7516003A (ja) | ロッキング片ベアが設けられた鉄筋継手及びこれを利用した既組立鉄筋網の連結継ぎ合わせ工法 | |
JP2008533390A (ja) | 補強棒 | |
KR20130099839A (ko) | 철근 연결 구조 및 철근 연결 장치 | |
CN103835441A (zh) | 预制钢筋混凝土构件用钢筋机械连接件及其安装方法 | |
KR100584014B1 (ko) | 철근 연결구 | |
JP2018178365A (ja) | 鉄筋継手カプラー | |
KR101123347B1 (ko) | 철근 결속장치 | |
JP7356951B2 (ja) | 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KR20130099840A (ko) | 철근 연결 장치 및 철근 연결 방법 | |
KR100411242B1 (ko) | 유니버셜 너트형 철근 연결 장치 | |
KR101807825B1 (ko) | 철근 커플러 | |
JP2008075415A (ja) | ねじ鉄筋の接続方法 | |
JP2023121246A (ja) | 鋭角ネジ節鉄筋及び軽量継手 | |
JP2020190103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 |
JP5990052B2 (ja) | ネジ節鉄筋継手 | |
KR200392061Y1 (ko) | 철근 연결 구조 | |
JP4864619B2 (ja) | ねじ鉄筋の接続方法 | |
JP2006233588A (ja) | 定着部材付鉄筋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9228554A (ja) | 鉄筋継手 | |
KR101587733B1 (ko) | 나선철근용 철근연결구 | |
JP6921413B2 (ja) | 鉄筋継手および鉄筋組立体、並びに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体 | |
JP2010100991A (ja) | 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配筋構造とそれに用いる機械継手 | |
JP2011084898A (ja) | 頭部・継手付き鉄筋構造 | |
JP2017203280A (ja) | 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構造と、コンクリート部材接合構造用のスパイラル筋 | |
KR20060122168A (ko) | 철근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