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413A -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413A
KR20130099413A KR1020120020902A KR20120020902A KR20130099413A KR 20130099413 A KR20130099413 A KR 20130099413A KR 1020120020902 A KR1020120020902 A KR 1020120020902A KR 20120020902 A KR20120020902 A KR 20120020902A KR 20130099413 A KR20130099413 A KR 20130099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catalyst
carboxylic acid
hydroxyiminomethylbenzoate
am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230B1 (ko
Inventor
김석찬
김우선
김기림
류영
정근우
김영운
김남균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23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9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2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saturated and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04Formation of amino groups in 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히드록시 아민과 반응시켜 옥심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옥심화된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를 팔라듐, 백금 및 로듐을 포함하는 혼합촉매 존재하에서 NaOH 용액 및 수소를 통하여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비교적 낮은 수소압력의 사용이 가능하며, 정제 과정도 간단하여 낮은 비용으로 고수율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4-AMINOMETHYLCYCLOHEXANE CARBOCYLIC ACID}
본 발명은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 및 이의 염(이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이라 통칭한다)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은 항플라스민제 제조용 원료인 트란엑사믹산(Tranexamic acid) 및 위궤양 치료제인 세트락세이트(Cetraxate)의 주요 원료로 사용된다.
종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 및 그 저급 알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으로는 (1)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산 및 이의 염을 무수초산 존재하에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해 접촉 환원하는 방법, 또는 (2)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의 옥심을 저급 알코올 존재 하에서, 팔라듐 촉매를 사용해 접촉환원시키고, 벤젠링의 환원 및 에스터 그룹을 가수분해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정 (1)은 약 150℃의 고온 반응 및 약 100㎏/㎠의 고압이 필요하며, 무수초산 또는 초산 등의 유기용제 등을 사용함에 따라 경제성이나 안전상 측면에서도 공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공정 (2)는 여러 단계의 공정이 요구됨에 따라 공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제조공정의 부산물인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로부터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산을 얻고, 이를 옥심화시켜 수득한 옥심을 미네랄산, 및 팔라듐, 백금, 로듐 등의 혼합 촉매 존재하에서, 환원을 행하여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을 제조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원료는 PTA 제조공정의 부산물로부터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산을 얻을 수 있으며, 미네랄산의 수용액 등의 공존하에 고압 수소반응을 진행함에 따라 헤스텔로이(Hastelloy) 등의 고가의 반응기 재질을 사용해야만 하는 반응기 재질이 한정되는 문제와 정제과정에서 유기용제를 사용함에 따라 비용 발생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고압 반응기 재질 선정의 한계에 따른 고비용과 상업적 안정적인 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1: 영국 공개특허 제2084145호
따라서, 본 발명의 관점은 PTA 또는 DMT(Dimethyl terephthalate) 제조공정의 부산물로부터 얻어지는 값싼 원료, 즉,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 혼합물부터 안전한 운전 조건(염기성 운전 조건)하에 높은 수율을 달성할 수 있는 새로운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은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히드록시 아민과 반응시켜 옥심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옥심화된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를 팔라듐, 백금 및 로듐을 포함하는 혼합촉매 존재하에서 NaOH 용액 및 수소를 통하여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어떤 구체 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Pd/C, Pt/C 및 Rh/C 촉매이고, 상기 Pd, Pt 및 Rh 함량은 전체 촉매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 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는 1 내지 15 기압의 압력 및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 이후에 생성물을 농축 및 여과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는 1200 내지 1700 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 있어서, 상기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는 전체 반응물을 기준으로 12 내지 18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 예에 있어서, 상기 NaOH 용액은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중량의 0.7배 내지 1.0배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를 원료로 3 성분의 혼합촉매 및 NaOH 수용액에서 반응시키므로, 비교적 낮은 수소압력의 사용이 가능하며, 정제 과정도 간단하여 낮은 비용으로 높은 수율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준비한다. 여기서,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의 알킬에스테르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814597호("메틸 4-포밀벤조에이트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분리방법")를 참고하여 얻을 수 있는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예컨대,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히드록시 아민과 반응시켜 옥심화시킨다. 이렇게 옥심화된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를 팔라듐, 백금 및 로듐을 포함하는 촉매 존재하에서 NaOH 용액 및 수소를 통하여 접촉 환원시켜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을 제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MFB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 -> MHB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 AMBA (4-아미노메틸벤조산) -> AMCA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로의 반응단계를 거치게 된다. 이는 종래의 일반적인 반응(특허문헌 1)이 CBA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 HBA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산) -> AMBA (4-아미노메틸벤조산) -> AMCA의 반응 단계와 비교하여 낮은 반응 압력 및 산성 조건이 아닌 염기성 조건하에서 반응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AMCA의 제조방법의 반응 메커니즘은 하기 반응식 1과 같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1
상기 반응식 1에서, A는 MFB이고, B는 MHB이며, C는 AMCA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반응 수율은 사용되는 알카리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카리는 NaO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에서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촉매는 팔라듐(Pd), 백금(Pt) 및 로듐(Rh)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며, 루테늄, 이리듐 및/또는 니켈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촉매의 사용량은 Pd/C, Pt/C 및 Rh/C 촉매를 기준으로 각각 5∼20중량%인 것이 반응 효율 및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Pd, Pt 또는 Rh 함량이 약 5 내지 10 중량%인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3 성분의 혼합 촉매를 사용하지 않으면 상기 반응식 1에서 MHB에서 AMCA로의 반응이 진행되지 않는다. 즉, 단독 촉매를 사용하거나 상기 3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촉매를 포함하지 않으면, MHB가 대부분 AMBA로 전환되고, AMCA로의 전환율이 떨어지거나 전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팔라듐(Pd), 백금(Pt) 및 로듐(Rh)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혼합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소의 첨가량은 각각의 수소 첨가 반응에 필요한 양으로서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는 약 1 내지 15 기압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기압의 압력 하에서 수행된다. 이는 통상적인 AMCA 제조 공정에서 과도하게 높은 압력, 예를 들어, 50 기압 이상의 고압에서 수소 반응이 진행되어 비효율적이었던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AMCA를 제조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서 수소반응이 수행되어 효율성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는 상온(약 20∼25℃) 내지 약 8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상온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이 늦어 AMCA로의 전환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고, 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순물이 증가되어 AMCA로의 전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는 약 1200 내지 1700 rpm의 교반 속도, 바람직하게는 약 1400 내지 1600rpm으로 교반될 수 있다. 교반 속도가 1200rpm 미만인 경우에는 AMCA로의 전환율이 저조하고, 1700rpm 이상은 경제성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 이후에 생성물을 농축 및 여과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즉, 반응이 완료되면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과액에 염산 등을 가하여 pH를 조절한다. 이후 상압에서 진공 건조하여 고순도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반응수율은 반응액 내의 알카리 용액, 예를 들어 NaOH의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NaOH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부산물인 다이머(Dimer)의 양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NaOH는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의 중량의 0.7배 내지 1.0배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aOH 용액이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중량의 0.7배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AMCA의 전환율이 낮고 부산물인 다이머의 양이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NaOH 용액의 농도가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중량의 1.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액 내의 수소 용해도가 낮아져 환원 반응이 감소됨에 따라 AMCA의 전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전환율은 MHB(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의 반응 농도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MHB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AMCA 전환율이 낮아짐을 하기의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바람직한 MHB의 농도는 전체 반응물 기준으로 12 내지 18중량%의 함량이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6중량% 일 수 있다. 상기 MHB의 농도가 12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수득 가능한 AMCA의 양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1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응 이후에도 대부분이 AMCA로 전환되지 못하여 현격히 낮은 AMCA 전환율을 가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 및 비교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본 발명자에 의하여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814597호,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분리방법"에 의하여 얻은 순도 99.0%의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 886g을 메탄올 2000g에 녹이고, 물 650g에 히드록시아민 염산염 450g(6.47 mole)을 녹인 반용액을 가하여 25 내지 3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 내의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가 완전히 소모된 후, 강하게 교반하면서 3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pH를 7.5 내지 8.0으로 맞추어 여과한다. 상압에서 80℃의 온도로 4시간 동안 건조하여 순도 99.0%의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962g(수율 99.5%)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310g, 물 3000g, 및 수산화나트륨 168.5g 및 5wt% Pt/C(wet 50% 물) 6g, 5wt% Pd/C(wet 50% 물) 6g, 및 5wt% Rh/C(wet 50% 물) 6g을 4ℓ 오토클레이브에 넣어 수소 압력 10㎏/㎠, 상온에서 4시간 반 동안 1500rpm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촉매를 제거한 후, 진한 염산 452g을 가해 pH를 7로 중화하고, 물을 제거하여 농축을 수행하였다.
이후, 상기 농축액을 여과하고 건조하여 순도 99.9%의 4-아미노메틸헥산 카르복실산 241g(수율 90.0%)을 얻었다.
실시 예 2
오토클레이브에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80g과 물 800g을 오토클레이브에 넣었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32g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완전히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에 5wt% Pt/C(wet 50% 물) 1.5g, 5wt% Pd/C(wet 50% 물) 1.5g, 및 5wt% Rh/C(wet 50% 물) 1.5g을 첨가한다. 수소 압력 10㎏/㎠ 하에서 45℃의 온도로 가열하면서 4시간 동안 1500rpm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온으로 냉각하고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액에 10% 염산 수용액을 천천히 가하여 pH가 4.5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때,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여 메탄올/물 = 1/1 용액으로 재결정하고, 상압에서 건조시켰다. 이에 의하여 순도 99.9%의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 염산염 55.5g(수율 64.9%)을 흰색 고체로 얻었다.
비교 예 1
실시 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얻은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310g, 물 3000g, 및 수산화나트륨 168.5g 및 5wt% pd/C(wet 50% 물) 22.5g을 4ℓ 오토클레이브에 넣어 수소 압력 10㎏/㎠, 상온에서 3 시간동안 1500rpm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촉매를 제거한 후, 진한 염산 452g을 가해 pH를 7로 중화하고, 물을 제거하여 농축을 수행하였다. 상기 농축액은 이후에 여과되고 건조되어 순도 99.9%의 4-아미노메틸벤조산 245 g(수율 93.5%)을 얻었다. 이때, 녹는점은 351.3 ℃ 내지 352.5 ℃였다.
비교 예 2-3
교반속도가 각각 700rpm 및 1000rpm이고, 다른 반응 조건은 실시 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하기 표 1에 교반 속도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응기 rpm MHB(%)* HBA(%)* 다이머(%)* AMBA(%)* 기타(%)* AMCA(%)*
실시 예 1 4ℓ 1,500 0.0 0.0 1.2 1.9 1.1 95.8
비교 예 1 4ℓ 1,500 0.0 0.0 1.7 95.7 2.6 0.0
비교 예 2 4ℓ 1,000 0.0 10.7 1.7 41.8 2.6 43.2
비교 예 3 4ℓ 700 0.0 93.2 2.5 1.2 3.1 0.0
*: LC 면적 %
먼저, 혼합촉매를 사용한 실시 예 1과 단독촉매를 사용한 비교 예 1을 비교해보면, AMCA의 전환율이 현저하게 차이가 나고, 상기 비교 예 2 및 3과 실시 예 1을 비교해보면,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반응 전환율이 교반 속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교반 속도가 가장 낮아 수소 기체와 반응액과의 접촉 면적이 적은 비교 예 3의 경우는 MHB가 HBA로 전환되나 AMCA로의 전환율은 매우 낮으며, 비교 예 2의 경우는 교반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AMCA 반응 경로가 MHB → HBA → AMBA → AMCA로 진행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 1에 비하여 AMCA로의 전환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즉, 실시 예 1 및 비교 예 1-3에서와 같이, 촉매의 선택 및 교반 속도가 증가할수록 AMCA로의 전환율이 높아짐을 상기 표 1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실시 예 3 및 비교 예 4-6
NaOH의 농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산화나트륨의 첨가량을 하기 표 2와 같이 각각 48.5g(3.5eq), 33.7g(2.4eq), 41.6g(3.0eq) 및 55.4g(4.0 eq)로 변경시키고, 물, MHB, 촉매, 및 압력 조건을 하기 표 2에 기재된 것으로 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실시를 하였다. 하기 표 2에 상기 NaOH의 첨가량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물(g) MHB(g) NaOH(g) Cat(g)* 압력
(㎏/㎠)
조성(LC%)
AMCA AMBA HBA MHB 다이머
비교 예 4 600 62 33.7 4.5 10 93.1 1.2 1.1 0 4.6
비교 예 5 600 62 41.6 4.5 10 94.2 1.5 1.6 0 2.7
비교 예 6 600 62 55.4 4.5 10 94.1 1.8 3.9 0 0.2
실시 예 3 600 62 48.5 4.5 10 96.2 1.2 1.4 0 1.2
*Cat: 5wt% Pd/C + 5wt% Pt/C + 5wt% Rh/C = 1:1: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NaOH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부산물인 다이머의 양이 감소하였다. 또한, 과도하게 NaOH를 첨가한 경우에는 다이머의 양은 줄어드나, 불순물의 양이 늘어나고 AMCA의 양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NaOH는 MHB 중량의 0.8배가 포함되는 것이 최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 예 4 및 비교 예 7-8
MHB의 농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MHB의 농도가 각각 9wt%, 15wt%, 20 wt%로 조절하고, 물, NaOH, 촉매, 및 압력 조건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것으로 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실시를 하였다. 하기 표 3에 상기 MHB의 농도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물(g) MHB(g) NaOH(g) Cat(g)* 압력
(㎏/㎠)
조성(LC%)
AMCA AMBA HBA MHB 다이머
실시 예 4 320 62
(15wt%)
33.7
(2.4eq)
4.5 10 93.2 1.3 1.2 0 4.3
비교 예 7 600 62
(9wt%)
33.7
(2.4eq)
4.5 10 86.7 9.8 1.1 0 2.4
비교 예 8 215 62
(20wt%)
33.7
(2.4eq)
4.5 10 4.2 1.2 90.8 0 3.8
*Cat: 5wt% Pd/C + 5wt% Pt/C + 5wt% Rh/C = 1:1:1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MHB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AMCA로의 전환율이 낮았고, MHB의 농도가 낮을 경우에는 최종 수득 가능한 AMCA의 양이 적었다. 따라서 MHB의 농도가 15wt%인 경우에 최적인 결과를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 5 및 비교 예 9-10
비교 예 9-10은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에 사용되는 알칼리의 종류를 각각 KOH, 및 Na2CO3로 변경시키고, 물, MHB, 촉매, 및 압력 조건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것으로 하여 상기 실시 예 1과 같은 실시를 하였다. 하기 표 4에 상기 알카리 종류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g)
MHB
(g)
알카리 종류 (g) Cat*
(g)
압력
(㎏/㎠)
조성(LC%)
AMCA AMBA HBA MHB 다이머
비교 예 9 60 6.2 KOH(g)
4.85(3.5eq)
0.45 10 88.9 4.5 1.1 0 5.5
비교 예 10 120 6.2 Na2CO3(g)
6.80(3.5eq)
0.45 10 77.7 12.3 2.5 0 7.5
실시 예 5 60 6.2 NaOH(g)
12.8(3.5eq)
0.45 10 95.4 0.1 1.1 0 3.4
*Cat: 5wt% Pd/C + 5wt% Pt/C + 5wt% Rh/C = 1:1:1
상기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알칼리로서 KOH, 또는 Na2CO3을 사용한 경우는 수율이 높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알카리로서 NaOH가 사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7)

  1.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4-카르복실 벤즈알데히드 또는 이의 알킬에스테르(메틸 4-포밀벤조에이트)를 히드록시 아민과 반응시켜 옥심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옥심화된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를 팔라듐, 백금 및 로듐을 포함하는 혼합촉매 존재하에서 NaOH 용액 및 수소를 통하여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Pd/C, Pt/C 및 Rh/C 촉매이고, 상기 Pd, Pt 및 Rh 함량은 전체 촉매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는 1 내지 15 기압의 압력 및 2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 이후에 생성물을 농축 및 여과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환원시키는 단계는 1200 내지 1700 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을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는 전체 반응물을 기준으로 12 내지 18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aOH 용액은 메틸 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 중량의 0.7배 내지 1.0배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20120020902A 2012-02-29 2012-02-29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KR101359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02A KR101359230B1 (ko) 2012-02-29 2012-02-29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902A KR101359230B1 (ko) 2012-02-29 2012-02-29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413A true KR20130099413A (ko) 2013-09-06
KR101359230B1 KR101359230B1 (ko) 2014-02-07

Family

ID=49450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902A KR101359230B1 (ko) 2012-02-29 2012-02-29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2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6173A (zh) * 2021-11-10 2022-01-21 烟台万润药业有限公司 一种氨甲环酸的制备方法
CN114436873A (zh) * 2022-01-25 2022-05-06 上海巽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氨甲环酸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894B2 (ko) 1972-10-02 1980-04-04
US8889936B2 (en) 2006-07-31 2014-11-18 Basf Se Method of regenerating ruthenium catalysts for the hydrogenation of benzene
TW200900376A (en) 2007-03-19 2009-01-01 Daiichi Sankyo Co Ltd Method for producing 4-aminomethylbenzoic acid
KR101002061B1 (ko) 2010-01-14 2010-12-17 에스케이유화 주식회사 4-아미노메틸벤조산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6173A (zh) * 2021-11-10 2022-01-21 烟台万润药业有限公司 一种氨甲环酸的制备方法
CN113956173B (zh) * 2021-11-10 2023-09-19 烟台万润药业有限公司 一种氨甲环酸的制备方法
CN114436873A (zh) * 2022-01-25 2022-05-06 上海巽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氨甲环酸的制备方法
CN114436873B (zh) * 2022-01-25 2023-08-22 上海巽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氨甲环酸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230B1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399B1 (ko)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의 제조 방법
KR101529403B1 (ko) 3,4-디알킬비페닐디카르복실산 화합물, 3,4-디카르보알콕시비페닐-3'',4''-디카르복실산 및 상당하는 산무수물,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WO2015155784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2,5-furandicarboxylic acid and its ester derivative
KR101002061B1 (ko) 4-아미노메틸벤조산 제조방법
KR101292329B1 (ko) 알킬락테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락타미드의 제조방법
CN109942407B (zh) 一种合成9,10-二羟基十八碳硬脂酸的方法
KR101359230B1 (ko) 4-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US20160326092A1 (en) Method for producing hexamethylenediamine
JPH08259492A (ja) 置換シクロヘキサノン類の製造法
JPH0848661A (ja) グリコロイルアニリド類の製造方法
KR20140050901A (ko) 고순도 4-아미노메틸벤조산의 제조방법
KR20110101691A (ko) 페놀 및 과산화수소로부터 카테콜과 히드로퀴논의 개선된 제조방법
JP4633400B2 (ja) 脂環式多価カルボン酸及びその酸無水物の製造方法
JP4409057B2 (ja) ベンゼンジメタノ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CN114516810B (zh) 制备药物中间体2-氨基-4-羟基苯甲酸的方法
KR101521607B1 (ko) 메틸 4-포밀벤조에이트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를 고수율로 분리회수하는 방법
CN111018664B (zh) 一种2-烷基-1,3-丙二醇类化合物的合成方法
KR101329242B1 (ko) 파라-아미노벤조산의 제조방법
JP2010180142A (ja) シクロヘキサンカルボニトリルの製造方法
KR101778617B1 (ko) 메틸-4-히드록시이미노메틸벤조에이트의 제조방법
JP3199618B2 (ja) 1,4−ジヒドロキシ−2−ナフトエ酸の製造方法
JP3219256B2 (ja) ビス(p−ヒドロキシフェニル)酢酸の製造方法
JPS6372649A (ja) 3,3′,4,4′−ビフエニルテトラ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CN116655454A (zh) 一种顺-1,4-环己二醇的合成方法
US20160311739A1 (en) Method for preparing 1,6-hexanedi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