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864A -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 Google Patents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864A
KR20130098864A KR1020127029853A KR20127029853A KR20130098864A KR 20130098864 A KR20130098864 A KR 20130098864A KR 1020127029853 A KR1020127029853 A KR 1020127029853A KR 20127029853 A KR20127029853 A KR 20127029853A KR 20130098864 A KR20130098864 A KR 20130098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rame
compartment
retaining device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355B1 (ko
Inventor
션 톰슨
아론 제이. 콕스
패트릭 에이. 레온하르트
Original Assignee
에너지 업소업션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지 업소업션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너지 업소업션 시스템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8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은 구획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노즈를 구비한다. 에너지 흡수용 카트리지는 구획부 안에 배치된다. 유지 장치는 프레임에 결합되는데, 유지 장치는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의 위에 배치되고 그에 걸쳐서 연장된다. 유지 장치는 방벽이 차량에 의해 충격될 때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여 부딪힐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지 장치는 충격중에 적어도 수직 방향에서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방벽을 이용하고 조립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Energy absorbing vehicle barrier}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차량 방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명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충격 차량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차량 방벽에 관한 것이다.
고속 도로 파괴 쿠션들과 같은,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들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벽, 통행료 부스, 터널 입구, 교량등과 같은 장애물의 앞에서 고속도로를 따라 이용된다. 파괴 쿠션의 한가지 유형은 다이아프램들을 따라서 연장된 펜더 패널들의 어레이(array) 및 다이아프램의 어레이 안에 배치된 복수개의 에너지 흡수용 요소들을 이용한다. 축방향 충격의 경우에, 파괴 쿠션은 축방향 또는 길이 방향에서 붕괴될 때 충격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파괴 쿠션이 붕괴될 때, 다이아프램들은 서로 더 가깝게 움직이고 펜더 패널들은 서로의 위에 망원경식으로 끼워지고, 이것은 다이아프램들 안에 배치된 에너지 흡수용 요소들이 압축 및 변형되게 함으로써, 충격 차량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그러한 충돌 이후에, 다이아프램들 및 펜더 패널들을 그들의 원래 위치에 재위치시키고, 에너지 흡수용 요소들 및 다른 손상된 구성 요소들을 교체함으로써, 구성 요소 부분들중 많은 것이 재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에너지 흡수 요소들은 조립 및 재활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수직 방향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개선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양상에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일 실시예는 구획부를 형성하는 프레임, 구획부 안에 배치된 에너지 흡수용 카트리지 및, 프레임에 결합된 유지 장치를 구비한다. 유지 장치는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고 그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유지 장치는 구획부가 차량에 의해 충격되었을 때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여 부딪히도록 적합화됨으로써, 유지 장치는 충격중에 적어도 수직 방향에서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제 1 측부와 제 2 측부 사이에 연장된 노즈 및 구획부의 대향하는 측들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측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장치는 노즈에 부착된 브래킷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브래킷은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 위에 외팔보(cnatilever)로 걸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지 장치는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부들에 결합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구비하고, 이것은 일 실시예에서 노즈(nose)를 구비한다. 유지 장치는 카트리지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장치는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바아(bar)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충격 차량을 포착하는 방법은 구획부 안에 배치된 에너지 흡수용 카트리지 및 구획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구비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지 장치는 프레임에 결합되고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어 그것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방법은 방벽이 차량에 충격되고 그 충격중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의 방향에서 카트리지를 제한함으로써, 유지 장치 및 프레임이 충격중에 실질적으로 카트리지를 구획부 안에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을 조립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조립하고, 카트리지를 구획부 안에 배치하고,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 위에서 프레임에 유지 장치를 부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의 서술은 전체적인 도입으로써 제공된 것이며, 다음의 청구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장점들과 함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은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안내 레일의 세그먼트 (segment)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선 3-3 을 따라서 취해진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선 4-4 을 따라서 취해진 단부 도면이다.
도 5 는 도 2 의 안내 레일 세그먼트의 단부 사시도이다.
도 6 은 다이아프램 조립체의 정면도로서, 다이아프램 조립체와 안내 레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6 의 다이아프램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는 유지 장치를 가지고 구성된, 도 1 에 도시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10(a)은 유지 장치의 분해 상세도이다.
도 10(b)은 도 10(a)의 유지 장치의 조립된 상세도이다.
도 11 은 에너지 흡수용 방벽의 노즈 구획부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12 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유지 장치의 대안의 실시예를 가지고 구성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부분적인 확대도이다.
도 15 및 도 16 은 충격의 초기 단계 동안에 차량을 감속시키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을 도시한다.
도 17 은 내부에 에너지 흡수용 카트리지가 없는 노즈 구획부의 부분적인 절단면도이다.
"측방향", "측방향으로" 및, 그것의 변형된 용어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10)의 제 1 펜더 패널(fender panel)과 제 2 펜더 패널(16)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Y)을 지칭한다. 측방향은 차량 방벽(10)의 최전방 단부(101)로부터 최후방 단부(102)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또는 축방향(X)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후방으로" 라는 용어는 일 단부(101)에 있는 노즈 펜더(nose fender, 24)로부터, 차량 방벽(10)의 반대 단부(102)를 향하여 움직이는 방위 또는 위치를 지칭하는데, 반대 단부(102)는 다리 기둥, 통행료 징수소(toll booth)등과 같은 장애물 또는 위험물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상부" 또는 "위로"라는 용어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10)의 최상부 가장자리를 향하는 수직 방향 또는 방위를 지칭하는 반면에, "하부" 또는 "아래로"라는 용어는 지면을 향하는 수직 방향 또는 방위를 지칭한다. "겹침 구성"이라는 용어는 내부 또는 외부 구성에서 겹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상세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7 은 미국 특허 US 5,868,521 에 설명된 고속도로 충돌 쿠션과 유사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10)을 나타내며, 상기 미국 특허는 본 출원의 양수인인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에게 양도된 것으로서, 본 출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도 1 의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10)은 2 개 이상의 세그먼트(segment, 26)들을 구비하는 안내 레일(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26)들 각각은 상부 플레이트(28) 및 2 개의 측부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28)는 2 개의 대향하는, 수평으로 연장된 플랜지(29)들을 형성한다. 측부 플레이트(30)들은 일련의 하부 플레이트(32)들에 고정된다. 하부 플레이트(32)들 각각은 적어도 2 개의 개구(34)를 형성하는데, 개구의 크기는 개별의 지면 고정구(ground anchor, 15)를 수용하도록 정해진다. 조임 플레이트(bracing plate, 36)들은 측부 플레이트(30)들과 하부 플레이트(32)들 사이에 고정되어 추가적인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26)의 일 단부는 중앙의 요부(38)를 형성하는데, 중앙의 요부는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도 2, 도 3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그먼트(26)의 다른 단부는 중앙의 돌출부(40)를 형성한다. 중앙의 돌출부(4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지만, 경사진 하부 표면(42)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8)는 예를 들어 제한 없이 10 cm 의 폭 및 1.3 cm 의 두께를 가지는 강철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30)들은 7.6 cm 의 높이 및 0.95 cm 의 두께를 가진 평탄한 바아(flat bar)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2)들은 1.3 c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ASTM A-36 또는 AISM 1020과 같은 열간 압연 강철이 적절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함께 고정시키는데 표준적인 용접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안내 레일(12)이 세그먼트(segment)로 되기 때문에, 일체형 안내 레일보다 더 용이하게 운반 및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손상의 경우에, 오직 손상된 세그먼트(26) 만이 교체되어야 하며, 그에 의해 유지 관리 비용이 절감된다. 중앙 돌출부(40)에 가까운 하부 플레이트(32)의 슬롯들 및 중앙(55)의 돌출부(40)의 경사 하부 표면(42)은 중앙의 요부(38)를 형성하는 단부를 위로 들어올림으로써 손상된 세그먼트(26)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 6 및 도 7 은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을 도시한다. 각각의 다이아프램 조립체(14)는 상부 부분(44) 및 하부 부분(46)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부분(44)은 다이아프램을 형성하고, 중앙 패널(48)을 구비하는데, 중앙 패널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랑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ridged metal plate)이며, 단면이 펜더 패널(fender panel)과 동일할 수 있다. 패널(48)은 각각의 단부에서 개별의 금속 플레이트(5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지지 브래킷(52)들은 패널(48)의 하부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에너지 흡수 요소들 또는 카트리지(22)들을 지지할 수 있다. 정렬 브래킷(54)들은 패널(48)에 고정되어 베이(bay) 또는 노즈 구획부(nose compartment)에서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를 측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이아프램 조립체(14)의 하부 부분(46)은 다리 조립체(56)를 구비한다. 다리 조립체(56)는 이러한 실시예(10)에서 2 개의 사각 단면 다리(58)들을 구비하는데, 다리(58)들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유사한 것에 의해서 상부 부분(44)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다리 조립체(56)는 상부 부분(60)을 형성하고, 상부 부분(60)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다이아프램 조립체(14)의 다이아프램, 2 개의 측부 부분(62) 및 하부 부분(64)에 고정된다. 측부 부분(62)들은 차량 방벽(10)의 측방향 또는 폭방향에서 중앙선(66)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앙선(66)은 수직 방향으로 방위가 정해진다.
다리(58)들 각각은 개별의 발 부분(foot, 68)을 지지한다. 발 부분(68)은 다리(58)들의 하부 부분(64)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그리고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발 부분(68) 각각은 20 의 하부 플레이트(70) 및 한쌍의 측부 플레이트(72)들에서 종결된다. 하부 플레이트(70)는 지지 표면상에서 다이아프램 조립체(14)를 지지하고 지지 표면을 따라서 자유롭게 미끄러지도록 형상화된다. 이러한 지지 표면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 패드(concrete pad)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측부 플레이트(72)들은 하부 플레이트(72)로부터 발 부분(68)으로 상방향 연장되는 램프(ramp)를 형성한다. 이러한 램프들은 발 부분(68)의 최하부 부분에 충격되는 차량의 바퀴 또는 타이어가 걸리는 것을 감소시킨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안내부(74)들은 고정구(fastener, 76)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다리(58)들 사이에서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안내부(74)들 각각은 중앙선(66)을 향하는, 이격된 수평의 플레이트(70,80)들의 개별 쌍을 구비한다. 플레이트(78,80)들은 그 사이에 플랜지(29)들을 수용하는데, 상부 플레이트(78)들은 플랜지(29)들의 상부 표면상에 놓이고 하부 플레이트(80)들은 플랜지(29)들의 하부 표면과 맞물리도록 위치된다. 작동되는 동안에, 다이아프램 조립체(14)의 중량은 발 부분(78) 및 플레이트(78)들에 의해 지지된다.
작동시에, 플레이트(80)들은 차량과의 충격중에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이 안내 레일(12)과 관련하여 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안내부(74)들은 제거 가능 고정부(76)들에 의해 다이아프램 조립체(14)에서 제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만약 충격에서 손상된다면 안내부(74)들은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을 제거하지 않으면서 교체될 수 있다. 차량 방벽(10)은 축방향 충격에서 붕괴되므로, 안내 레일(12)이 차량 방벽(10)의 모든 측방향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동안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은 안내 레일(12) 아래로 미끄러진다. 안내부(74)들은 실질적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20 cm 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대략 1.3 cm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안내부(74)들은 예를 들어 ASTM A-36 또는 AISM 1020 과 같은 냉간 압연 강철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안내부(74)들의 길이는 축방향/길이 방향 붕괴/압축에서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이 안내 레일(12)에 결속되고 안내 레일을 요동시키는 그 어떤 경향이라도 감소시킴으로써, 차량 방벽(10)의 안정되고 일관성 있는 축방향 붕괴를 보장한다. 하부 플레이트(80)들은 플랜지(29)들의 하부측에 맞물리기 때문에, 하부 플레이트(80)들 및 플랜지(29)들은 차량 방벽(10)이 충격시에 뒤집어지거나 또는 튀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안내부(14)들의 상부 플레이트(78)들은 지지 표면에서의 불규칙성에도 불구하고, 안내 레일(12)에 대하여 적절한 높이에서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을 유지한다. 안내 레일(12) 및 안내부(74)는 붕괴되는 차량 방벽(10)의 전체적인 축방향 스트로크(stroke)를 통하여 측방향의 저항, 안내되는 붕괴 및 뒤집힘에 대한 저항을 제공한다. 더욱이, 펜더 패널(16)에 대한 측부 충격의 경우에, 안내부(74)들은 안내 레일(12)에 대하여 잠기는(lock) 경향이 있는데 이는 안내부들이 안내 레일(12)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로 충격 차량에 의해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잠금 작용은 측방향 충격에서 차량 방벽(1)에 측방향의 견고성을 더 제공한다. 발 부분(68)들 사이의 넓은 분리는 차량 방벽(10)의 안정성 및 측방향 충격에서 뒤집히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더 패널(16)의 후방 부분은 고정구(104) 및 플레이트(106)에 의해 다이아프램에 가까운 후방에 고정된다. 이러한 플레이트(106)는 가까운 리지(ridges, 82)들에 일치하도록 형상화된 측부들 및, 차량의 걸림을 감소시키도록 경사진(bevelled)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들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106)는 상대적으로 크고, 예를 들어 25 cm 의 길이일 수 있고, 개별의 슬롯(88)으로 하방향 연장된 돌기(lug)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펜더 패널(16)들이 축방향의 붕괴시에 서로에 대하여 원활하게 망원경식으로 끼워지고 또한 고정구(104)를 빼내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8 은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들중 하나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는 외측 하우징(108)을 구비하며, 외측 하우징(108)은 수평으로 지향된 솔기(seam, 110)에서 만나는 2 개 부분들로 형성된다. 하우징은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112,114)을 형성하며, 상기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은 근접한 다이아프램 조립체(14)들에 대하여 위치된다. 각각의 하우징(108)은 개별의 상부 표면(116)을 한정한다. 상부 표면(116)은 증가된 압축성의 영역(118)을 한정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압축성의 영역은 평행한 주름들 또는 물결 형상들의 열(array)을 한정한다. 물결 형상(corrugation, 120)들은 전방 및 후방 표면(112,114)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증가된 압축성(118)의 영역은, 하우징(108)이 전방 표면(112)과 후방 표면(114)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될 경우에, 그러한 압축이 처음에 영역(118)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단순히 하나의 예로서, 하우징(108)은 약 82 cm, 57 cm 및 55 cm 의 길이, 높이 및 폭을 가질 수 있고, 영역(118)은 약 11 cm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8)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몰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외선 억제제(ultraviolet inhibitor)를 가지는, 선형의, 고밀도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것으로 몰딩될 수 있다. 하우징(108)은 임의의 적절한 에너지 흡수 구성 요소(109)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구성 요소들의 임의의 특정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에너지 흡수 구성 요소들은 미국 특허 US 4,352,484 에 설명된 것과 같이 연약한 종이 하니콤 재료(5 cm 의 셀 직경 및 5cm 의 층 두께) 및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이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에너지 흡수 요소(109)들은 4 개의 연약한 금속 하니콤 요소(111)들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각각은 17.8 cm 두께이고, 3.8 cm 의 셀 직경을 가진다. 그 요소들이 바람직스럽게는 저탄소의 완전히 어니일링(annealing)된 강철 시트(하나의 요소는 0.45 mm 두께이고 다른 3 개의 요소는 0.71 mm 두께)로 형성된다. 도 1 의 실시예에서, 노즈 구획부(nose compartment)에 배치된 카트리지(22)와 같은 전방 카트리지(22)는 종이 하니콤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2 베이(bays)와 같은 후방 구획부(rearward compartment)는 강철 재료를 채용한 카트리지(22)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는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에너지 흡수 특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프리 플로우팅(free-floating) 에너지 흡수 장치가 구획부(2)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2)는 부숴지기 쉽기 때문에, 카트리지를 구획부(2) 안에서 영구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은 곤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이(4)들중 하나 또는 노즈 구획부 안에 영구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더욱이, 베이(4)들의 다이아프램(14) 및 노즈 구획부가 후방의 방향으로 망원경식으로 수축되고 압축되면서 카트리지(22)들이 붕괴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충격 및 변형중에 카트리지(22)가 제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2)들은 노즈 구획부 및 베이(4)들을 포함하는 구획부(2) 안에 배치됨으로써, 이들은 다이아프램 및 펜더 패널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자유롭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2)들의 하부 표면은 각각의 구획부(2) 안에 배치된 지지부들상에 단순하게 놓인다. 예를 들어, 도 1, 도 11, 도 13 및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 카트리지(22)는 최전방 다이아프램(14)의 전방 표면에 부착된 선반 브래킷(shelf bracket, 203)에 놓일 수 있고, 노즈 펜더(nose fender)에 부착된 선반 브래킷(201)에 놓일 수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22)는 노즈 구획부에 있는 노즈 펜더(24)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에 부착되지 않으며, 오히려 구획부 안에서 단순히 그에 의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베이(4)들에 있어서, 카트리지(22)들은 다이아프램(14), 펜더 패널(16) 또는 안내 레일(12)에 실제로 부착되지 않고, 오히려 그에 의해 한정된 구획부 안에서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2)들은 전단 핀(shear pins)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프레임에 부숴질 수 있게 부착될 수 있으며, 전단 핀들은 충격시에 부숴져서 구획부(2)들이 충격중에 망원경식으로 움직여서 붕괴될 때 카트리지(22)들이 후방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차량 방벽(10)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자유로운 카트리지(22)들을 이용하는 실시예들은 단순화된 조립 과정 및 차량과의 충격 이후에 수리/교체 과정에서 혜택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2)들은 차량 방벽(10)에 실제로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충격중에 카트리지(22)가 전단되거나 또는 구획부(2) 밖으로 이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즈 구획부에 있는 카트리지는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움직임은 강철 노즈 펜더(24)에 의해 노즈 구획부 안에서 부분적으로 완화되는데, 이것은 부숴져서 노즈 구획부의 중심을 향해 안으로 굽혀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의해 최전방 카트리지(22)의 전방 단부상에 "쥐는(gripping)"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유지 장치(3)가 결여되면, 카트리지(22)는 충격중에 전환되거나, 회전되거나, 또는 상방향으로 다르게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카트리지(22)가 부러지고 그리고/또는 펜더 패널(16)의 위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만약 전체 카트리지(22)가 구획부(2) 안에 더 이상 완전하게 포함되지 않는다면, 카트리지의 오직 일부분만이 압축성의 충격력에 실제로 노출되며, 따라서 카트리지(22)의 전체의 잠재적인 에너지 흡수능의 오직 일부만이 이용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카트리지(22)는 차량의 충격중에 덜 이용되며, 추가적인 에너지는 다른 구획부(2)(예를 들어, 베이(4))에 배치된 나머지 카트리지(22)들에 의해 흡수되어야 한다. 일부 환경에서, 카트리지(들)(22) 및, 특히 노즈 구획부에 배치된 최전방 카트리지(22)의 이러한 에너지 흡수 성능의 미달된 이용(under utilization)은 전체적인 차량 방벽(10)이 적절하거나 또는 소망되는 에너지의 양을 흡수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만약 최전방 카트리지(22)가 최대의 잠재적인 에너지 양을 실질적으로 흡수하지 않는다면, 전체 시스템은 덜 효율적이 될 것이고 차량 방벽(10)의 최대로 한정된 에너지 흡수 성능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소망되는 레벨의 에너지 흡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베이(bay)들이 차량 방벽(10)에 추가되어야 하며, 이것은 불필요한 비용 및 자원의 낭비에 이르게 된다.
적용예에 따라서,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10)은 프레임에 의해 한정된 가변적인 수의 구획부(2)를 가질 수 있다. 프레임은 복수개의 다이아프램 조립체(14), 펜더 패널(16), 안내 레일 및 노즈 펜더(24)로부터 조립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프레임은 구획부를 한정하는 상이한 구성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에 도시된 예에서, 차량 방벽은 3 개의 분리된 구획부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노즈 구획부 및 2 개의 베이(4)들을 구비한다. 그러나, 차량 방벽(100은 그에 제한되지 않으며, 2 개 이상의 베이(4)들을 구비할 수 있고, 비제한적으로, 5 개 또는 그 이상의 베이(4)들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를 위해서, 베이(4)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10)의 섹션(section)을 설명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한쌍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다이아프램(14),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 및, 카트리지(22)의 대향하는 측들에 배치된 2 개의 측방향으로 이격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펜더 패널(16)들을 포함한다.
노즈 구획부(nose compartment)는 노즈 펜더(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즈 펜더는 카트리지(22) 둘레를 감싸고 제 1 베이(4)의 대향측들에 배치된 펜더 패널들을 연결한다. 대안으로서, 노즈 펜더(24)는 2 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펜더 패널(26)들 또는 카트리지(22)의 대향측들에 배치된 다른 프레임 부분들을 연결할 수 있다. 노즈 펜더(24)는 예를 들어 14 게이지 강철 시트(14 gauge steel sheet)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도 1 및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단결정(monolithic) 강철 시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기계적인 고정구 또는 유사한 것에 의해 연결된 2 개 또는 그 이상의 시이트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노즈 펜더는 예를 들어 제한 없이 다른 적절한 재료들로 만들 수 있는데, 다른 게이지의 강철,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금속들, 다양한 플라스틱들, 파이버글래스(fiberglass)와 같은 복합체 또는 그것의 다양한 조합물이 포함된다.
도 9 및 도 10(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장치(3)는 노즈 펜더(24)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장치(3)는 브래킷으로서 구성되는데, 브래킷은 저부 표면(259) 및 그것의 양측 단부들상에 배치된 2 개의 수직으로 연장된 직립 벽(254)들을 가진 박스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장착 플랜지(257)는 직립 벽(254)들 각각의 연장부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장착 플랜지(257)는 브래킷의 측방향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굽혀져서 실질적으로 직각을 형성한다. 브레이스(brace)는 단일의 단결정 금속 시트로부터 만들 수 있으며, 즉, 평탄한 패턴으로서 만들 수 있으며, 이것은 상기 설명된 형상으로 굽혀져서, 특히 직립 벽(254)들을 저부 표면(259)에 접합시키는 굽힘 가장자리들 및, 직립 벽(254)과 장착 플랜지(257)들 사이의 접합부에서, 차량으로부터 충격력을 받을 때의 변형에 저항하는 고강도의 디자인을 초래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L 형상" 브레이스 부재(252)들은 기계적인 고정구(23), 용접, 접착제 및 그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브래킷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구들은 저부 표면(259) 및 각각의 장착 플랜지(257)들상에 배치된 부착 구멍(258)들을 통하여 삽입된다. 비록 유지 장치가 브레이스 부재들 없이 이용될 수 있을지라도, 브레이스 부재(252)들은 그것의 부착 지점에서 브래킷을 강화하도록 작용하며, 특히 유지 장치의 굽힘 강도를 증가시킨다. 브래킷 및 브레이스 부재(252)들은 예를 들어 제한 없이 ASTM A-36 또는 AISM 1020 강철과 같은 10 게이지 강철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브래킷 및 브레이스 부재는 예를 들어 제한 없이, 다른 적절한 재료들로 만들 수 있는데, 다른 게이지의 강철,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금속, 다양한 플라스틱들, 파이버글래스와 같은 복합체, 또는 그것의 다양한 조합체가 포함된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로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량과의 충격중에 구획부(2) 안에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를 유지하고 제한하기에 적절하게 넓은 접촉 표면을 제공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는 임의의 재료로부터 브래킷 및/또는 브레이스 부재(brace member, 252)가 만들어질 수 있다.
유지 장치(3)는 저부 표면 아래에 균일하게 분포된 1000 lbs 의 정적인 힘을 견딜 수 있는 반면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오직 작은 영역들만을 나타낸다. 실제의 파괴 시험에서, 유지 장치(3)의 이러한 실시예의 브래킷 및 브레이스 부재(252)의 조합체는 충격 사건 동안의 변형을 크게 회피할 정도로 강력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다중의 전체 시스템 용량 파괴 시험들에서 손상되지 않고 다시 사용될 수 있었다.
도 9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장치는 노즈 펜더(24)의 전방 부분의 상부 표면 위에 외팔보(cantilever)의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장치는 노즈 펜더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에 부착된다. 저부 표면(259)이 카트리지(22)의 상부 표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부 표면의 위에 배치되도록 브래킷이 부착된다. 브래킷이 바람직스럽게는 노즈 펜더(24)에 제거 가능하게 연결되며, 예를 들어 핀 또는 탭(tab)과 같은 고정구(23)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써 연결된다. 브래킷의 저부 표면(259)이 바람직스럽게는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22)의 상부 표면 위로 이격됨으로써 그 사이에 적어도 최소의 간극(224)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극(224)은 공차/두께의 축적(tolerance/thickness buildup)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 없이 노즈 펜더(24)에 유지 장치(3)가 장착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제조, 조립 및 교체 과정들을 단순화시킨다. 브래킷의 저부 표면(259)은 겹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22)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후방의 방향으로 외팔보 방식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브래킷은 카트리지(22)와 일정한 양(225)으로 겹칠 수 있는데, 그 양은 예를 들어 3 인치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의 범위일 수 있고, 32 인치 구획부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략 10 % 의 겹침을 제공한다. 브래킷은 오직 카트리지(22)의 측방향 폭의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브래킷은 전체 폭과, 카트리지(22)의 길이 방향 거리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더욱이, 브래킷은 브레이스(259)를 가지거나 또는 브레이스 없이 노즈 펜더(24)에 부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유지 장치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 방향의 거리에 걸쳐 연장되는데, 여기에서 유지 장치는 일 단부가 노즈 펜더에 고정되고 다른 단부가 다이아프램 부재에 고정된다. 비록 유지 장치가 노즈 펜더에 의해 한정된 구획부 안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시되었을지라도, 유사한 유지 장치들이 베이(bay)로서 한정된 다른 구획부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장치(3)는 충격중에 카트리지(22)를 유지하고 제한하도록 제공되며, 카트리지(22)의 에너지 흡수 특성들이 덜 이용되는 것(under utilization)을 방지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지 장치(3)는 카트리지(22)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됨으로써, 구획부(2)가 충격을 받았을 때, 저부 표면(259)은 카트리지(22)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반작용 표면으로서 작용하고, 그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카트리지(22)가 적어도 수직 방향(Z)에서 움직이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카트리지(22)가 Z 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급속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카트리지(22)는 예를 들어 차량(300)의 범퍼와의 직접적인 충격에 노출되지 않고, 이것은 카트리지가 부러지거나 또는 갈라지게(shear off) 할 수 있다. 더욱이, 카트리지(22)는 구획부(2) 안에 유지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체 카트리지(22)가 압축성의 충격력을 받는다. 따라서, 카트리지(22)는 충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최대의 에너지 흡수량을 흡수할 수 있다.
더욱이, 카트리지(22)는 구획부(2) 안에 포함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노즈 펜더(24)는 펜더 패널들로부터 이탈되게 덜 굽혀질 것 같으며 시스템상에서 토크를 덜 증가시킬 것 같다. 노즈 펜더(24)는 충격중에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노즈 펜더(24)는 차량(300)의 전방을 차량 방벽(10)의 중심으로 직접적으로 안내하는데 도움이 되며, 그에 의해 카트리지(22)들 각각의 에너지 흡수를 최대화시킨다.
도 12 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4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 유지 장치(3)는 구획부(2)들 각각에 부착되며, 노즈 구획부 및 모두 6 개의 베이(4)들을 구비한다. 유지 장치(3)가 도 9 내지 도 11 의 브래킷으로서 도시되었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3 및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장치는 바아(3') 또는 다른 유사한 횡단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아(3')는 기계적 고정구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하여 노즈 펜더(24)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22)의 전체적인 측방향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아(3')는 베이(4)들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도 있고, 대향하는 펜더 패널(16)들에 교체 가능하게 부착될 수도 있다. 바아 유지 장치(3')는 도 1 내지 도 11 의 실시예(10)에서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이기보다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된 것은 모든 균등예를 포함하는 첨부된 청구항들이다.
10. 차량 방벽 24. 노즈 펜더(nose fender)
28. 상부 플레이트 30. 측부 플레이트
101. 최전방 단부 102. 최후방 단부

Claims (24)

  1. 구획부를 한정하는 프레임;
    상기 구획부 안에 배치된 에너지 흡수 카트리지;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연장되는 유지 장치;를 구비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으로서,
    상기 유지 장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이 차량에 의해 충격받았을 때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상부 표면과 접촉하여 부딪히도록 적합화되고, 그에 의하여 상기 충격중에 수직 방향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임의의 부착에서 자유로운,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지지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부숴지기 쉬운,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숴지기 쉬운 카트리지의 저부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구획부를 형성하는 노즈(nose)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노즈에 부착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브래킷은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에 걸쳐 외팔보의 형태로 배치된(cantilevered),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상부 표면에 근접하게 위치된 저부 벽 및 상기 저부 벽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대향하는 측부 벽들을 가지는 박스와 유사한 구조체 및, 상기 측부 벽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노즈에 결합된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저부 벽에 연결된 제 1 부분 및 상기 노즈에 연결된 제 2 부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각각 상기 프레임의 대향하는 측들에 결합되고,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의 위에서 측방향으로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아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12. 차량을 포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구획부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상기 구획부 안에 배치된 에너지 흡수용 카트리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방벽에 상기 차량이 충격되는 단계; 및,
    상기 충격 동안에 상기 유지 장치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의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단계로서, 상기 유지 장치 및 상기 프레임은 상기 충격 동안에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구획부 안에 실질적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는 최대 흡수력보다 크거나 또는 최대 흡수력과 같은 힘으로 상기 차량 방벽이 충격되었을 때, 상기 카트리지는 최대 흡수력 전체를 실질적으로 흡수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구획부를 형성하는 노즈(nose)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노즈에 부착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에 걸쳐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배치된 브래킷(bracket)을 포함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상부 표면에 가깝게 위치된 저부벽 및 상기 저부벽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대향된 측벽들을 가진 박스형 구조체 및, 상기 측벽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노즈에 결합된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저부 벽에 연결된 제 1 부분 및 상기 노즈에 연결된 제 2 부분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강화 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는 상기 프레임의 대향하는 측들에 결합되고,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카트리지 위에 측방향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해제 가능하게(releasably) 결합된 바아(bar)를 포함하는, 차량의 포착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저부측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차량의 포착 방법.
  20.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조립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2 개의 반대편 측부들 및 상기 측부들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측부들에 결합된 노즈(nose)를 가지는, 단계;
    카트리지를 상기 구획부 안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카트리지의 상부 표면 위에서 상기 프레임에 유지 장치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조립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상부 표면에 가깝게 위치된 저부벽 및 상기 저부벽으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대향된 측벽들을 가진 박스형 구조체 및, 상기 측벽들로부터 연장된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플랜지를 상기 노즈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조립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강화 부재의 제 1 단부를 상기 저부벽에 부착시키고 상기 강화 부재의 제 2 단부를 상기 노즈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조립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구획부 안에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프레임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저부측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함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구획부의 상기 프레임에 대한 부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조립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유지 장치를 부착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구획부 안에 배치한 이후에 수행되는,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의 조립 방법.
KR1020127029853A 2010-04-15 2011-04-12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KR101945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60,748 US8469626B2 (en) 2010-04-15 2010-04-15 Energy absorbing vehicle barrier
US12/760,748 2010-04-15
PCT/US2011/032019 WO2011130197A1 (en) 2010-04-15 2011-04-12 Energy absorbing vehicle barr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64A true KR20130098864A (ko) 2013-09-05
KR101945355B1 KR101945355B1 (ko) 2019-02-07

Family

ID=44788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853A KR101945355B1 (ko) 2010-04-15 2011-04-12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8469626B2 (ko)
EP (1) EP2558646B1 (ko)
JP (1) JP5932767B2 (ko)
KR (1) KR101945355B1 (ko)
CN (1) CN102869835B (ko)
AU (1) AU2011240776B2 (ko)
BR (1) BR112012026323B1 (ko)
CA (1) CA2796279C (ko)
ES (1) ES2733928T3 (ko)
HU (1) HUE045806T2 (ko)
IL (1) IL222422A (ko)
MX (1) MX2012011962A (ko)
MY (1) MY166687A (ko)
NZ (1) NZ602519A (ko)
PT (1) PT2558646T (ko)
SG (1) SG184515A1 (ko)
TR (1) TR201909921T4 (ko)
WO (1) WO2011130197A1 (ko)
ZA (1) ZA2012072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1268S1 (en) * 2008-12-31 2019-12-31 Concaten, Inc. Mobile barrier
DE202012013184U1 (de) * 2012-05-30 2015-04-01 Sps Schutzplanken Gmbh Terminal
EP3040480B1 (en) * 2013-11-05 2020-04-22 Shinsung Control Co., Ltd.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US20150132056A1 (en) * 2013-11-08 2015-05-14 Tyson Silva Soft crash-barrier impact-attenu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US9404231B2 (en) * 2014-08-26 2016-08-02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Module for use in a crash barrier and crash barrier
ITUB20155211A1 (it) * 2015-10-22 2017-04-22 Pasquale Impero Sistema di guida della deformazione per un dispositivo di sicurezza stradale e gruppo dispositivo di sicurezza stradale
US9739328B1 (en) * 2016-02-12 2017-08-22 Verdegro Holding B.V. Impact attenuator and vehicle, trailer and guardrail comprising such an impact attenuator
US10961674B2 (en) * 2019-02-04 2021-03-30 Lindsay Transportation Solutions, Llc Anchorless crash cushion apparatus with transition weldment connectable to a rigid hazard object
CA3146403A1 (en) * 2019-07-10 2021-01-14 Viken Detection Corporation Vehicle barrier with transfer force deployment
US11453988B2 (en) * 2020-02-18 2022-09-27 Lindsay Transportation Solutions, Llc Crash cushion with improved side panel attachment
CA3170950A1 (en) * 2020-03-09 2021-09-16 Trinity Highway Products Llc Crash cushion
US11268250B2 (en) * 2020-04-15 2022-03-08 Lindsay Transportation Solutions, Llc Crash cushion with improved side panel attachment
US11970826B2 (en) 2020-06-05 2024-04-30 Valtir, LLC Crash cushion
CA3182100A1 (en) * 2020-06-19 2021-12-23 Traffix Devices, Inc. Crash impact attenuator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4115A (en) 1970-09-23 1972-07-04 Energy Absorption System Liquid shock absorbing buffer
US4007917A (en) * 1974-03-07 1977-02-15 The Dow Chemical Company Structures for absorbing impact energy
US3944187A (en) 1974-09-13 1976-03-16 Dynamics Research And Manufacturing, Inc. Roadway impact attenuator
US4321989A (en) 1980-01-22 1982-03-30 Meinco Mfg. Co. Energy absorbing impact barrier
US4352484A (en) * 1980-09-05 1982-10-05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Shear action and compression energy absorber
US4583716A (en) 1982-05-19 1986-04-22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Universal anchor assembly for impact attenuation device
US4674911A (en) 1984-06-13 1987-06-23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pneumatic crash cushion
US4770420A (en) * 1985-01-14 1988-09-13 United Research And Manufacturing, Inc. Vehicle mounting system for impact absorption apparatus
US5052732A (en) * 1990-04-02 1991-10-01 Renco Supply, Inc. Crash attenuator utilizing fibrous honeycomb material
US5011326A (en) * 1990-04-30 1991-04-30 State Of Connecticut Narrow stationary impact attenuation system
US5248129A (en) * 1992-08-12 1993-09-28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roadside crash barrier
FR2712950B1 (fr) * 1993-11-25 1995-12-29 Gec Alsthom Transport Sa Dispositifs et procédé d'amortissement de choc, ossature et véhicule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d'amortissement de choc.
WO1996033117A1 (en) 1995-04-19 1996-10-24 Barry Michael Frank Jarvis A resilient buffer
US5733062A (en) 1995-11-13 1998-03-31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Highway crash cushion and components thereof
CN2264203Y (zh) * 1996-02-13 1997-10-08 叶均尉 一种具有缓冲作用的交通安全岛岛头
US5642792A (en) * 1996-03-12 1997-07-01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Highway crash cushion
US5700106A (en) 1996-03-12 1997-12-23 Young; James E. Island form
US6092959A (en) * 1998-11-16 2000-07-25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Method for decelerating a vehicle, highway crash cushion, and energy absorbing element therefor
US6461076B1 (en) * 2001-01-03 2002-10-08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Vehicle impact attenuator
JP2003064629A (ja) * 2001-08-27 2003-03-05 Nkc Kk 車両用衝突緩衝装置
US6579034B1 (en) * 2001-12-19 2003-06-17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Highway crash attenuator frame
US6843613B2 (en) * 2002-02-07 2005-01-18 Universal Safety Response, Inc. Energy absorbing system
EP1527233B1 (en) 2002-05-13 2008-12-24 Sung Ku Kang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US20040025451A1 (en) * 2002-08-05 2004-02-12 Douglas Barton Energy absorb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05163267A (ja) * 2003-11-28 2005-06-23 Mitsuboshi Belting Ltd 衝撃緩衝体
US8523150B2 (en) 2004-03-15 2013-09-03 Edward L. Gibbs Fence with tiltable picket
CN100594274C (zh) 2004-09-15 2010-03-17 能量吸收系统公司 碰撞缓冲器
US7168880B2 (en) * 2004-11-17 2007-01-30 Battelle Memorial Institute Impact attenuator system
US7874572B2 (en) * 2005-01-10 2011-01-25 Energy Absorption Systems, Inc. Towable impact attenuator
KR100798346B1 (ko) * 2006-09-04 2008-01-28 주식회사 코트라스 차량 충돌 충격흡수장치
CN201155092Y (zh) * 2008-01-17 2008-11-26 蔡文学 带有吸能波带的高强度护栏板
CA2721238C (en) * 2008-03-17 2015-10-06 Battelle Memorial Institute Rebound control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40776B2 (en) 2016-08-25
JP5932767B2 (ja) 2016-06-08
PT2558646T (pt) 2019-07-12
BR112012026323A2 (pt) 2016-07-12
NZ602519A (en) 2014-04-30
US8469626B2 (en) 2013-06-25
SG184515A1 (en) 2012-11-29
EP2558646A4 (en) 2016-11-02
US20130266369A1 (en) 2013-10-10
KR101945355B1 (ko) 2019-02-07
US20110255916A1 (en) 2011-10-20
MY166687A (en) 2018-07-18
CA2796279C (en) 2018-11-27
CN102869835A (zh) 2013-01-09
CA2796279A1 (en) 2011-10-20
AU2011240776A1 (en) 2012-10-18
EP2558646B1 (en) 2019-05-29
IL222422A (en) 2016-07-31
US9790653B2 (en) 2017-10-17
BR112012026323B1 (pt) 2019-10-22
CN102869835B (zh) 2016-08-03
HUE045806T2 (hu) 2020-01-28
JP2013524060A (ja) 2013-06-17
TR201909921T4 (tr) 2019-07-22
EP2558646A1 (en) 2013-02-20
ZA201207203B (en) 2013-11-27
ES2733928T3 (es) 2019-12-03
IL222422A0 (en) 2012-12-31
WO2011130197A1 (en) 2011-10-20
MX2012011962A (es)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355B1 (ko) 에너지 흡수용 차량 방벽
US5199755A (en) Vehicle impact attenuating device
CA2189176C (en) Highway crash cushion and components thereof
JP2013524060A5 (ko)
US20030210954A1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US20150191883A1 (en) Crash cushion
AU688987B2 (en) Crash attenuator
AU2005228901A1 (en) Energy absorbing device having notches and pre-bent sections
KR20040093077A (ko) 디플렉터 스킨을 구비한 충격 쿠션
US9944325B2 (en) Vehicle and chassis therefor
US20080283806A1 (en) Multi-Rail Parapet
KR20150051778A (ko) 충돌 충격 흡수장치
CN218029145U (zh) 电梯井道防护结构
KR101869058B1 (ko) 상하 비대칭 구조를 갖는 레일을 통한 다단의 충격 흡수 가능한 가드레일
AU6536999A (en) Highway crash cushion and componen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