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741A -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741A
KR20130098741A KR1020120020502A KR20120020502A KR20130098741A KR 20130098741 A KR20130098741 A KR 20130098741A KR 1020120020502 A KR1020120020502 A KR 1020120020502A KR 20120020502 A KR20120020502 A KR 20120020502A KR 20130098741 A KR20130098741 A KR 20130098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rtual object
terminal
game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711B1 (ko
Inventor
강산
Original Assignee
강산
(주)앤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산, (주)앤씨드 filed Critical 강산
Priority to KR1020120020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7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에서 가상세계에서 플레이하는 게임과 현실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객체와의 상호작용을 연동시킨 게임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도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는 가상객체제어부;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Using the Virtual Object and System for Providing Mixed Type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말에서 가상세계에서 플레이하는 게임과 현실에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객체와의 상호작용을 연동시킨 게임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기술 발달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활동이 존재하고 있다. 다양한 활동 중 대표적인 것으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 서비스 정보 획득 또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마케팅이 있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이 존재하기는 하나 컨텐츠의 발달도 미약하며, 제약적인 환경에서 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한 게임 플레이의 경우, 오직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화면을 보며 화면의 터치 등의 입력을 통하여 롤플레잉, 육성 시뮬레이션 등의 게임을 플레이하고 현실에서의 활동과 연계되어 플레이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셜커머스와 같은 서비스 제공 방법이 존재하나 이는 개인이 직접 선택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기업 등 사업자들이 개인의 선호를 파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마케팅을 하는 것에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에서 플레이 가능한 게임을 제공하고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현실 지도상에 배치한 가상객체들과 교류하는 정보를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의 정보와 연동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 또는 이시(異時)에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가상객체를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여 개인 선호에 맞는 서비스와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지도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는 가상객체제어부;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치된 가상객체는, 설정된 조건 달성시 상기 가상객체를 상기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받아 배치된 가상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조건 달성은 상기 단말로 플레이하는 게임을 통하여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며, 상기 조건은 레벨업, 미션(Mission) 완수, 등록된 친구 수 증가, 게임 플레이 시간, 아이템 획득, 아이템 구입, 이벤트, 금전의 양, 스토리 진행 정도 또는 추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상기 단말이 요청한 정보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정보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로 쿠폰, 현물 교환권 또는 아이템 또는 특정한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에서 상기 설정된 바는 상기 가상객체제어부에서 설정된 바이며, 상기 가상객체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상객체의 말투, 대화체, 표정 또는 몸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본 설정에서 변경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제어부는 상기 가상객체에 관한 업데이트(Update), 상기 가상객체가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미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에 게임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을 관장하며, 설정된 조건 달성시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객체를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부여받은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에 상기 가상객체를 배치하거나 상기 권한 부여 없이 상기 지도상에 상기 가상객체를 배치하며, 상기 단말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게임서버; 및 상기 지도상에 배치된 상기 가상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또는 상기 게임서버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게임서버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연동하며,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가 상기 단말로 전송한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상기 단말이 요청한 정보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단말이나 상기 게임서버로 전송한 정보에 대응한 정보, 상기 단말이나 상기 게임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접속자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 인하여 발생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가상객체와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와 공유하며, 상기 게임서버는 상기 공유된 정보를 게임을 관장하는데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정보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로 쿠폰, 현물 교환권 또는 아이템 또는 상기 게임상에서 이용가능한 특정한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며,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가 상기 단말로 전송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 공유하며, 상기 보상부가 기반하는 수신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 상기 공유한 정보에 관련된 것에 한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 모두에서 수신한 정보를 취합한 것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은, 지도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는 가상객체제어단계;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치된 가상객체는, 설정된 조건 달성시 상기 가상객체를 상기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받아 배치된 가상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조건 달성은 상기 단말로 플레이하는 게임을 통하여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며, 상기 조건은 레벨업, 미션(Mission) 완수, 등록된 친구 수 증가, 게임 플레이 시간, 아이템 획득, 아이템 구입, 이벤트 또는 추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보 전송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상기 단말이 요청한 정보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은, 상기 정보 전송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단계가 수신한 정보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로 쿠폰, 현물 교환권 또는 아이템 또는 특정한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보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에서 상기 설정된 바는 상기 가상객체제어단계에서 설정된 바이며, 상기 가상객체제어단계는, 상기 정보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상객체의 말투, 대화체, 표정 또는 몸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본 설정에서 변경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객체제어단계에서 배치된 가상객체는, 설정된 조건 달성시 상기 가상객체를 상기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받아 배치된 가상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정보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온라인 게임에 관한 정보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구현된 가상객체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방식의 게임이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현실에서 활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서비스 제공과 마케팅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셜네트워크게임시스템은 증강현실 기술과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치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게임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게임서버(110),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단말(130)을 포함한다.
게임서버(110)는 단말(130)에서 플레이되는 게임과 관련된 것을 관장하며,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할 수도 있다.
지도는 현실세계를 나타내는 지도를 말한다. 지도는 2차원 뿐만아니라 3차원으로 표현된 것도 해당한다. 즉, 지도는 현실세계의 공간을 표현한 것도 포함한다. 현실세계의 공간은 단말에서 입체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지도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공위성으로 촬영하여 제공되는 지도, 거리뷰가 제공되는 지도 또는 GPS 기술을 이용한 지도가 있다. 지도는 게임서버(110)에서 제공하여 단말(130)에서 볼 수 있는 지도일 수 있으며, 단말(130)에 설치된 지도제공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게임서버(110)에서 게임을 위하여 제공하는 가상 세계에서의 지도는 현실세계의 지도와 동일할 수 있으며, 크기만 다를 수도 있다.
가상객체란, 논플레이어캐릭터(NPC, Non Player Character), 아이템(Item), 상점과 같은 건물 또는 브랜드 등을 디지털로 표현한 객체를 말한다. 논플레이어캐릭터는 동물, 로봇과 같은 무생물, 신화적 존재 또는 사람모습의 캐릭터를 표현한 것으로 2D나 3D 캐릭터로 표현된 것일 수 있다.
가상객체는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으나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단말(130)을 통하여 시각, 촉각 또는 청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다.
단말(130)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이여야 하며, GPS 기능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13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가 될 수 있다.
단말(130)에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가상객체를 식별하고 게임서버(110)와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와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었거나 설치될 수 있다.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는 지도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한다. 또한,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는 게임서버(110) 및 단말(130)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130)과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사이는 이동성을 고려하여 무선통신으로 연결됨이 바람직며, 게임서버(110)와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사이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게임서버(110),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단말(130)은 상호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함으로써, 각각의 정보를 공유하고 연동하여, 단말(130)의 사용자는 단말(130)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음과 동시에 일상생활에서도 게임과 관련된 행위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단말(130)에서 게임서버(110)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가상세계에서 게임을 플레이한다. 게임 플레이로 인하여 게임서버(110)에 저장된 정보가 변경된다. 또한, 단말(130)은 현실에서 증강현실로 구현된 가상객체와 교류한다. 가상객체와 교류로 인하여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에 저장된 정보가 변경된다. 게임서버(110)와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에서 변경된 정보를 서로 연동한다. 이로 인하여 단말(130)의 사용자 또는 소지자는 온라인에서 즐기는 게임을 오프라인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다.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의 구체적인 설명에 관하여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는 가상객체 제어부(122), 정보 전송부(124), 정보 수신부(126) 및 보상부(128)를 포함한다.
가상객체 제어부(122)는 가상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저장 또는 변경하고, 지도상에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한다.
가상객체 제어부(122)는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 대응방식 설정부(122c), 미션 관리부(122e), NPC 제어부(122g), 아이템 제어부(122i) 및 건물 제어부(122k)를 포함한다.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는 가상객체와 관련된 정보를 게임서버(110), 단말(130) 또는 정보 수신부(126)를 통하여 수집하고 저장한다. 또한, 수집하고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존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는 가상객체를 업데이트 한다.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는 상황변화에 따라서 가상객체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상황은 게임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변화될 수 있다.
또는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는 필요에 따라서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으며, 가상객체의 모양, 가상객체의 음성기능, 가상객체의 움직임 또는 가상객체의 종류 등 가상객체와 관련된 모든 것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서버(110)에서 제공하는 게임의 종류가 상점을 성장시키는 게임이라면,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는 수시로 가상객체 중 점원의 역활을 하는 논플레이어캐릭터의 수나 종류 또는 브랜드의 종류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대응방식 설정부(122c)는 가상객체의 대응 방식을 설정한다. 가상객체의 대응 방식은 말투, 대화체, 표정 또는 몸짓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것이다. 가상객체의 대응 방식은 기 본적으로 설정된 기본설정이 존재할 수 있다.
대응방식 설정부(122c)는 게임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정보 또는 단말(13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130)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을 분석한다. 성향은 성별, 나이, 서비스이용 시간대, 서비스이용 시간, 선호 브랜드, 선호하는 물건의 종류 등 단말(130) 사용자 또는 서비스이용자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대응방식 설정부(122c)는 분석한 단말(130)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을 기반으로 하여 기본설정을 변경하여 단말(130)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의 성향에 보다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대응 방식으로 재설정한다.
이러한 대응방식 설정부(122c)의 대응방식 재설정으로 인하여 단말(130) 사용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가 새롭고 몰입도 높은 게임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미션 관리부(122e)는 정보 전송부(124)에서 단말(130)로 제공하는 미션을 관리한다. 미션에 관한 정보는 게임서버(110)와 연동된 정보일 수 있다.
미션은 경쟁, 수집, 탐색, 호위, 정찰, 또는 접근 등의 다양한 활동이 될 수 있다. 미션은 단말(130)의 소유자 또는 서비스의 이용자가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게임서버(110),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단말(130) 상호 간에 수시로 또는 계속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으며 미션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쟁은 전투나 게임을 통해 다른 단말의 소유자가 소유한 가상객체 등 가상객체 제어부(122)에서 제어되는 가상객체와 겨루는 것을 말한다.
수집은 특정 물건이나 정보를 수집해서 지정된 가상객체로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탐색은 가상객체가 지정한 장소로 단말(130)의 소유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가 이동하여 가상객체가 제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말한다.
호위는 특정 가상객체를 특정 위치까지 장애물이나 방해요소를 피하여 데려가는 것을 말한다. 장애물이나 방해요소는 게임서버(110)나 가상객체 제어부(122)에서 배치한 다른 가상객체가 될 수 있다.
정찰은 특정 가상객체가 단말(130) 소유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특정 지역을 돌아다니도록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접근은 특정 가상객체가 단말(130) 소유자 또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른 가상객체에 접근하거나 대화를 요청하는 것을 말한다.
미션의 종류는 앞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활동방식이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PC 제어부(122g), 아이템 제어부(122i) 및 건물 제어부(122k)는 각각 가상객체인 논플레이어캐릭터, 아이템 및 건물을 제어한다. 아이템은 브랜드 종류, 현실에 존재하는 물건을 디지털화한 것 또는 특정 능력이나 기능을 부여하는 물건 등이 될 수 있다.
제어한다는 것은 이러한 가상객체를 수동이나 설정된 바에 따라 반응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한다는 것에는 가상객체의 반응에 오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 해결하는 것도 포함한다. 수동이나 설정된 바에 따라 하는 반응은 시간 정보, 정보 수신부(126)에서 수신하는 정보 또는 게임서버(110)에서 수신하는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움직이거나, 소리내거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또는 NPC 제어부(122g), 아이템 제어부(122i) 및 건물 제어부(122k)는 가상객체와 단말(130)이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가상객체를 배치한 단말(130)만 정보를 주고 받도록 설정하거나, 가상객체의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접근하는 모든 단말(130)에 정보를 주고 받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130)로 제공하는 정보를 제한할 수도 있다.
정보 전송부(124)는 단말(130)로 정보를 전송한다. 정보의 전송 방법은 유선 통신도 가능하나, 이동성을 고려하여 무선통신이 됨이 바람직하다.
정보 전송부(124)는 단말(130)에 설치된 필수적인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 경우에 단말(13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실행 중이지 않고 설치만 되어있는 경우에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전송부(124)는 단말(130)로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정보, 브랜드 정보, 상품 정보, 쿠폰 정보 또는 다른 단말(130)에 관한 정보 또는 단말(130)이 요청한 정보 등 여러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을 설명하면, 가상객체 존재여부에 관한 정보 전송은, 단말(130)이 가상객체가 존재하는 곳에서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단말(130)로 가상객체가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가상객체 존재를 단말(130)로 전송하기 전에 가상객체와 단말(130)의 관계를 파악한 후 전송할지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가상객체를 배치한 단말(130)이거나, 해당 가상객체를 배치한 단말(130)과 친구관계 등록된 단말(130)인 경우에만 가상객체의 존재여부를 해당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가상객체관리부의 NPC 제어부(122g), 아이템 제어부(122i) 및 건물 제어부(122k)에서 설정된 바에 따라서 특정 단말(130)에 한하여 가상객체 존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상객체 위치정보 전송은 단말(130)에 가상객체가 존재하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가상객체 위치정보 전송은 단말(130)에 구비된 GPS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전송은 게임 스토리에 대한 이해 또는 게임 진행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 단말(130)로 전송하는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는 게임서버(110)와 정보가 연동되어 생성된 정보가 될 수 있다.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는 가상객체 중 단말(130)을 통하여 대화을 제공하는 경우, 앞서 설명한 가상객체 제어부(122)의 대응방식 설정부(122c)에서 설정된 대응방식에 기반한 대화 등의 음성 정보를 말한다.
미션 정보는 앞서 설명한 가상객체 제어부(122)의 미션 관리부(122e)에서 관리되는 미션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단말(130)로 전송되는 미션 정보는 게임서버(110)와도 연동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미션 관리부(122e)에서 관리되는 모든 미션을 단말(130)로 전송할 수도 있느나,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미션만을 전송할 수도 있다.
설문 및 평가는 단말(130)로 각종 설문과 평가에 대하여 응답을 요청하는 것이다. 응답시에는 보상부(128)에서 보상을 줄 수도 있다. 설문과 평가는 단말(130)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에 관한 것, 제공받는 서비스에 관한건, 선호하는 브랜드 또는 선호하는 음식점 등 각종 질문과 정보에 대하여 선택형 또는 서술형 등으로 응답을 요청하는 것이다.
설문 및 평가에 대한 응답은 정보 수신부(126)에서 수신하여 분류되고 수집될 수 있다. 응답에 대한 정보는 게임 등의 서비스 제공의 향상 및 가상객체 업데이트부(122a)에서 업데이트 방향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응답자의 동의하에 마케팅을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게임서버(110)와 연동되어 단말(130)로 제공되는 정보이다. 이벤트는 아이템 할인행사 등의 단순 정보제공일 수 있으며, 미션과 연동된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브랜드와 상품에 관한 정보는 단말(130)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획득가능한 브랜와 상품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위치에 획득가능한 브랜드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획득가능한 브랜드와 상품 이외에도 단말(130)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소정의 범위내에 존재하는 브랜드와 상품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쿠폰에 관한 정보는 단말(130)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또는 가상객체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획득가능한 쿠폰에 관한 정보이다. 쿠폰에 관한 정보는 보상부(128)와 정보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쿠폰에 관한 정보는 미션 관리부(122e)와 연동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단말(130)에 대한 정보는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나 게임서버(110) 등의 시스템상에서 양측 동의하에 특정한 관련을 맺은 단말(130) 또는 설정된 바에 따라 선정된 단말(130) 등 자신의 단말(130) 이외의 다른 단말(130)이 배치한 가상객체의 현재 상태, 게임 플레이 정보 등을 포함한 다른단말(130)에 대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단말(130)이 요청한 정보는 단말(130)이 요청한 가상객체 위치, 가상객체 상태, 가상객체 업데이트, 다른 단말(130) 정보, 획득하거나 배치할 수 있는 가상객체, 미션 수행에 따른 보상 등의 게임이나 서비스 제공과 관련하여 요청된 다양한 정보를 말한다.
정보 전송부(124)는 앞서 설명한 정보들을 단말(130)들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시 가상객체 제어부(122), 보상부(128) 또는 게임서버(110)와 연동되어 미리 설정된 설정에 기반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요청된 정보가 동일하더라도 단말(130)과 가상객체의 관계나 해당 단말(130)의 게임서버(110) 상에 저장된 정보 등에 따라서 다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126)는 게임서버(110) 또는 단말(1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수신부(126)는 정보 전송부(124)가 단말(130)이나 게임서버(110)로 전송한 정보에 대응한 정보, 단말(130)이나 게임서버(110)로부터 단말(130)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게임서버(110)에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접속자에 관한 정보, 단말(130)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 인하여 발생한 정보 또는 가상객체와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보상부(128)는 정보 수신부(126)에서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된 기준이나 조건을 충족한 경우 단말(130)로 쿠폰, 현물 교환권, 아이템 또는 특정한 권한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쿠폰이나 현물 교환권의 경우 실제 현실에서 이용가능한 매장 등에 제시하면 이용가능할 수 있다. 또는 게임서버(110)를 통한 온라인 게임상에서 이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아이템 또는 특정한 권한의 경우 일반적으로 게임서버(110)를 통한 온라인 게임상에서 이용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동안 경험치를 향상시키는 아이템, 일정시간 동안 상점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권한 등이 예가 될 수 있다.
정보 보상부(128)에서 보상을 한 경우, 보상에 관한 정보를 게임서버(110) 또는 가상객체 제어부(122)로 전송함으로써 게임, 서비스제공 또는 가상객체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객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정보 전송부(124)에서 전송하는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구성도이다.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게임서버(110)를 통하여 플레이하는 게임과 가상객체를 통하여 수행하는 미션 등의 다양한 활동이 연동되는 시스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게임서버(110),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130)을 포함한다.
게임서버(110)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단말(130)과 정보를 공유하고 연동되며, 단말(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플레이 가능한 게임을 제공하고 관리한다.
또한, 게임서버(110)는 가상세계의 게임상에서 특정 조건 달성시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부여받은 권한을 이용하여 단말(130)의 사용자가 특정 가상객체나 특정 위치를 선택하면, 선택된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한다. 또는 게임서버(110)는 권한 부여 없이 게임서버(110)에 설정된 바에 따라서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서버(110)는 게임 제어부(112), 가상객체 배치부(114) 및 정보 연동부(116)를 포함한다.
게임 제어부(112)는, 단말(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플레이 가능한 게임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게임의 종류는 롤플레잉게임 또는 육성시뮬레이션게임 등 다양한 종류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130)을 통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고 이러한 플레이와 관련된 것들은 게임 제어부(112)에서 제어하고 관리한다.
가상객체 배치부(114)는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한다.
가상객체 배치부(114)는 자동 배치부(114a) 및 권한부여 배치부(114c)를 포함한다.
자동 배치부(114a)는 게임진행, 게임의 몰입도, 게임 플레이의 재미 향상 등의 게임에 필요한 가상객체를 지도상에 배치한다. 자동 배치부(114a)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필요에 따라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하거나, 배치한 가상객체를 제거할 수 있다.
권한부여 배치부(114c)는 게임상에서 특정한 조건 달성시 지도상에 가상객체를 배치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부여한 권한에 따라서 가상객체를 배치하고자 하는 단말(130)의 입력을 수신하여 가상객체를 배치한다.
가상객체를 배치할 수 있는 권한은 특정한 조건 달성의 종류에 따라서 배치할 수 있는 가상객체의 종류, 가상객체가 배치되어 있는 기간 또는 배치할 수 있는 지도상의 범위에 대한 권한이 상이할 수 있다.
특정한 조건달성은 단말(130)로 플레이하는 게임을 통하여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러한 조건으로는 레벨업, 미션 완수, 등록된 친구 수 증가, 게임 플레이 시간, 특정 아이템 획득, 특정 아이템 구입, 이벤트, 금전의 양, 스토리 진행 정도 또는 추첨 등의 게임상에서 수행되거나 수치를 증가 시킬수 있는 경우는 모두 해당할 수 있다.
각 조건들은 게임서버(110)의 게임 제어부(112)에서 설정된 바에 따르며, 설정은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정보 연동부(116)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단말(130)과 정보 및 데이터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 또는 수신하면서 관련 정보를 연동한다. 정보를 연동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단말(130)로 즐기는 가상세계의 게임과 현실세계에서 활동이 상호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정보 연동을 통하여, 단말(130)의 소지자, 단말(130)의 이용자 또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이용자는 단말(13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게임서버(110)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게임을 즐김과 동시에, 현실에서도 증강현실로 구현된 가상객체들과의 접촉과 정보 교류로 게임이나 각종 서비스를 즐기고 제공받을 수 있다.
이렇게 온라인과 현실에서 게임을 즐기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미치게된다. 즉, 온라인에서 게임을 즐기면서 변화된 정보는 현실에서 증강현실로 구현된 가상객체들과의 접촉과 정보교류가 변화시킨다. 반대로, 현실에서 증강현실로 구현된 가상객체들과의 접촉과 정보교류는 게임서버(110)를 통한 온라인 게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게임서버(110)를 통한 온라인 게임 중 행위로 특정 위치의 상점을 선택하고 단말(130)이 현실세계에서 그 특정 위치의 소정의 범위 내에 도달하는 경우, 선택된 특정 위치의 상점의 효율이 일정 시간 동안 증가하는 등 상호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말(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및 GPS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130)은 게임서버(110)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고 게임서버(110)를 통하여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거나 설치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설치된 프로그램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시각 또는 청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와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단말(130)에서 플레이 하는 온라인 게임에 관한 정보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구현된 가상객체와의 현실에서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정보가 상호 영향을 주는 새로운 방식의 게임이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와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현실에서 활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맞는 서비스 제공과 마케팅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상객체 제어부(122)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지도상에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한다(S410 단계).
정보 전송부(124)가 게임, 서비스 제공 또는 정보 수집을 위한 설문 등의 각종 정보나 데이터를 게임서버(110) 또는 단말(130)로 전송한다(S420 단계).
정보 수신부(126)는 게임서버(110) 또는 단말(130)로부터 정보 전송부(124)가 전송한 정보나 데이터에 대응된 정보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는 게임이나 제공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나 데이터를 게임서버(110) 또는 단말(130)로부터 수신한다.(S430 단계).
게임서버(110)의 정보 연동부(116)는 정보 수신부(126)가 수신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임서버(110)의 정보 연동부(116)는 정보 수신부(126)에서 수신한 정보를 전송받고 수신한 정보를 잉요하여 정보나 데이터를 연동하여 게임서버(110)의 게임 제어부(112)가 게임을 관장하고 제어하는데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440 단계).
보상부(128)는 정보 수신부(126)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보상여부를 결정한다(S450 단계).
정보 수신부(126)에서 수신한 정보가 보상부(128)에 설정된 바를 충족한다면 보상부(128)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서 보상을 하고, 설정된 바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보상부(128)는 보상을 하지 않거나, 보상을 하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단말(1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보상부(128)는 보상 여부에 관한 정보를 게임서버(110)로 전송하여 게임서버(110)와 정보가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S46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은 단말(130)에서 즐기는 가상세계의 게임을 오프라인에서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실에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활동 정보와 선호하는 것을 수집할 수 있어 개개인별로 맞춘 서비스 제공 또는 마케팅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게임서버(110),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120) 및 단말(130) 간에 발생하는 정보교환은 전후의 순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이시적 또는 동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Claims (23)

  1. 지도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는 가상객체제어부;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된 가상객체는, 설정된 조건 달성시 상기 가상객체를 상기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받아 배치된 가상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건 달성은 상기 단말로 플레이하는 게임을 통하여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며, 상기 조건은 레벨업, 미션(Mission) 완수, 등록된 친구 수 증가, 게임 플레이 시간, 아이템 획득, 아이템 구입, 이벤트, 금전의 양, 스토리 진행 정도 또는 추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상기 단말이 요청한 정보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전송부가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정보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로 쿠폰, 현물 교환권 또는 아이템 또는 특정한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에서 상기 설정된 바는 상기 가상객체제어부에서 설정된 바이며,
    상기 가상객체제어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상객체의 말투, 대화체, 표정 또는 몸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본 설정에서 변경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제어부는 상기 가상객체에 관한 업데이트(Update), 상기 가상객체가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미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10.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에 게임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플레이되는 게임을 관장하며, 설정된 조건 달성시 증강현실을 이용한 가상객체를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하며, 상기 부여받은 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에 상기 가상객체를 배치하거나 상기 권한 부여 없이 상기 지도상에 상기 가상객체를 배치하며, 상기 단말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게임서버; 및
    상기 지도상에 배치된 상기 가상객체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 또는 상기 게임서버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게임서버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정보를 연동하며,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가 상기 단말로 전송한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상기 단말이 요청한 정보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단말이나 상기 게임서버로 전송한 정보에 대응한 정보, 상기 단말이나 상기 게임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게임서버에 접속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접속자에 관한 정보, 상기 단말로 게임을 플레이함으로 인하여 발생한 정보 또는 상기 단말이 상기 가상객체와의 접촉으로 발생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정보는 상기 게임서버와 공유하며, 상기 게임서버는 상기 공유된 정보를 게임을 관장하는데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는, 상기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정보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로 쿠폰, 현물 교환권 또는 아이템 또는 상기 게임상에서 이용가능한 특정한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며,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가 상기 단말로 전송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 공유하며,
    상기 보상부가 기반하는 수신한 정보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이 상기 공유한 정보에 관련된 것에 한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 모두에서 수신한 정보를 취합한 것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지도상에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배치된 가상객체를 제어하는 가상객체제어단계; 및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 단말로 상기 가상객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직접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된 가상객체는, 설정된 조건 달성시 상기 가상객체를 상기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받아 배치된 가상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건 달성은 상기 단말로 플레이하는 게임을 통하여 조건을 달성하는 것이며, 상기 조건은 레벨업, 미션(Mission) 완수, 등록된 친구 수 증가, 게임 플레이 시간, 아이템 획득, 아이템 구입, 이벤트 또는 추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는, 상기 가상객체의 존재여부, 상기 가상객체의 위치정보, 게임 스토리와 관련된 정보,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 미션(Mission) 정보, 설문, 평가, 이벤트, 브랜드, 상품, 쿠폰, 상기 단말이 요청한 정보 또는 다른 단말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은, 상기 정보 전송단계에서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에 대응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은, 상기 정보 수신단계가 수신한 정보의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로 쿠폰, 현물 교환권 또는 아이템 또는 특정한 권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보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바에 따른 대화에서 상기 설정된 바는 상기 가상객체제어단계에서 설정된 바이며,
    상기 가상객체제어단계는, 상기 정보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가상객체의 말투, 대화체, 표정 또는 몸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본 설정에서 변경하여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객체제어단계에서 배치된 가상객체는, 설정된 조건 달성시 상기 가상객체를 상기 지도상에 배치할 권한을 부여받아 배치된 가상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정보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정보에 기반하여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객체 정보교류 방법.
KR1020120020502A 2012-02-28 2012-02-28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3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02A KR101330711B1 (ko) 2012-02-28 2012-02-28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502A KR101330711B1 (ko) 2012-02-28 2012-02-28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41A true KR20130098741A (ko) 2013-09-05
KR101330711B1 KR101330711B1 (ko) 2013-11-19

Family

ID=4945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502A KR101330711B1 (ko) 2012-02-28 2012-02-28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7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436A (ko) * 2014-08-08 2016-02-17 그렉 반 쿠렌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션 게임 시스템
US9779633B2 (en) 2014-08-08 2017-10-03 Greg Van Curen Virtual reality system enabling compatibility of sense of immersion in virtual space and movement in real space, and battle training system using same
KR20180000867U (ko) * 2018-03-12 2018-03-2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가상 요소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 서버 및 시스템
US10296940B2 (en) 2016-08-26 2019-05-21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game video
US10406440B2 (en) 2016-08-26 2019-09-10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360 VR game replay vide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409B1 (ko) 2007-11-27 2011-02-15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3차원 가상현실 영어마을 운용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125619B1 (ko) * 2009-08-21 2012-03-27 (주)셈투유 온-라인 게임 연동형 유비쿼터스 오프-라인 테마 파크 시스템
JP5413170B2 (ja) 2009-12-14 2014-02-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アノテーション表示システム,方法及びサーバ装置
KR20110136063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포비커 육성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광고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436A (ko) * 2014-08-08 2016-02-17 그렉 반 쿠렌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션 게임 시스템
US9779633B2 (en) 2014-08-08 2017-10-03 Greg Van Curen Virtual reality system enabling compatibility of sense of immersion in virtual space and movement in real space, and battle training system using same
US10296940B2 (en) 2016-08-26 2019-05-21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game video
US10406440B2 (en) 2016-08-26 2019-09-10 Minkonet Corporation Method of collecting advertisement exposure data of 360 VR game replay video
KR20180000867U (ko) * 2018-03-12 2018-03-2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가상 요소를 중개하기 위한 중개 서버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711B1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53516B (zh) 服务器装置
US8348768B2 (en) Game-based incentives for location-based actions
JP6579757B2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330711B1 (ko) 가상객체 정보교류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혼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00287011A1 (en) Method and System of Location-Based Game for Improving Mobile Operator's Profit
WO2002020111A2 (en) Coexistent interaction between a virtual character and the real world
CN101553290A (zh) 用于管理具有移动功能的大型多人在线角色扮演游戏(mmorpg)中映射到现实位置的虚拟世界的系统和方法
EP220072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vatar's landing zone in a virtual environment
CN108126344A (zh) 游戏中位置的共享方法、存储介质
JP6649506B2 (ja) モバイル端末連携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配信方法
US2022006275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OT Enabled Arcade Games
WO202211405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8524693A (ja) 航空会社マイレージとゲームマネーとの相互交換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航空機内のゲームサービス方法並びにシステム
JP7398319B2 (ja) 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
JP2022095357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KR20110001503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오프라인 위치 연동 게임 운영 시스템
KR101426562B1 (ko)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의 엔피시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0891541B1 (ko) 사이버 애완동물 보육 서비스 시스템
KR20190059662A (ko)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40031446A (ko) Nfc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시스템
KR20150020359A (ko) 온라인 경주 대회를 이용한 포인트 서비스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7450156B2 (ja) 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KR20190110467A (ko) 세상을 가지고 놀 수 있는 게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387402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2553856B1 (ko) 통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통제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