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170A - 퀵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퀵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170A
KR20130098170A KR1020127031778A KR20127031778A KR20130098170A KR 20130098170 A KR20130098170 A KR 20130098170A KR 1020127031778 A KR1020127031778 A KR 1020127031778A KR 20127031778 A KR20127031778 A KR 20127031778A KR 20130098170 A KR20130098170 A KR 20130098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duit
retainer
connector assembly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라스 밀턴 팬슬러
마이클 리차드 부처
Original Assignee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98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5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the element being a we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Abstract

퀵 커넥터 어셈블리는 제1 도관과 제2 도관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퀵 커넥터 어셈블리는 하우징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도관과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도관과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퀵 커넥터 어셈블리{QUICK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유체 도관들을 누출 방지 연결로 결합시키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 식별항목에서는 반드시 종래기술일 필요는 없는 배경기술 정보를 기술한다. 2개의 유체 라인을 결합시키는 여러 가지 연결 조인트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현재의 몇몇의 연결 조인트들의 한 가지 한계점은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유체 라인을 고정시키는 나사를 조이기 위한 스크루 드라이브와 같은 공구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현재의 몇몇의 연결 조인트들의 또 다른 한계점은 유체 연결 라인들이 실제로는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 유체 연결 라인들 내를 그리고 연결 조인트를 통해 유체가 이송되는 동안에 서로 분리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을 때에도, 사용자에게는 유체 연결 라인들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주기 쉽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 하우징 및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있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제1 도관과 제2 도관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도관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도관과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도관과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연결할 때, 상기 제1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킨다. 연결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제1 도관과 맞닿음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 간의 맞닿음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의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하우징 및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도관과 호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관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고, 벽 내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체 통로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부 둘레에 권취된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관을 수용할 때, 상기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전방으로 변위시킨다.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이 내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도관과 맞닿음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 간의 맞닿음 및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과 상기 개구부의 표면 간의 맞닿음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관의 분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하우징, 와이어 스프링, 및 탭을 포함하고 있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은 도관과 호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관은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관을 수용하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호스 내로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제1 레그를 가지고 있다.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제2 레그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탭은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서 상기 도관의 수용 방향에 대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탭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이 상기 도관을 수용할 때,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전방으로 변위시킨다.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가 내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도관과 맞닿음하게 된다.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탭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킨다.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을 통과한다.
여기에 간단히 설명되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도관에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형태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 저면도이다.
도 7은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8은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 상면도이다.
도 9는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도관의 단부 쪽에서 본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끝면도이다.
도 11은 도관에 결합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O-링, 부싱, 리테이너, 삽입 확인 탭, 및 도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 내에 위치된 도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 및 커넥터 어셈블리 내에 잠금된 도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커넥터 어셈블리 내에서 도관이 삽입 확인 탭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O-링, 부싱, 리테이너, 및 삽입 확인 탭을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O-링, 부싱, 리테이너, 및 삽입 확인 탭이 둘레에 위치될 수 있는 도관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삽입 확인 탭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삽입 확인 탭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삽입 확인 탭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삽입 확인 탭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도시하고 있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2 가요성 탭, 후크, 및 노듈을 도시하고 있는 삽입 확인 탭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가요성 탭 및 노듈을 도시하고 있는 삽입 확인 탭의 후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 및 리테이너와 맞물림하고 있는 도관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퀵 커넥터 어셈블리는 호스 클램프를 사용함이 없이, 예컨대 금속 파이프와 고무 호스와 같은, 2개의 도관 사이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호스 클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퀵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도관(12)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10)는 하우징(14), 리테이너(16), 삽입 확인 탭(18), O-링(20)(도 13), 및 부싱(22)(도 13)을 채용한다. 도관(12)은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삽입되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에서 잠금된다. 커넥터 어셈블리(10)는 고무 호스(도시 안됨)와 같은 유체 이송 라인을 중공형 유입구(26) 둘레에 리지(ridge) 또는 바브(barb)(24)를 구비한 니플(nipple)에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중공형 유입구(26)가 배출구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하우징(14)은 도관 또는 호스가 바브(24) 위에 설치될 때 도관 또는 호스가 맞닿게 되는 도관 스톱부 또는 호스 스톱부(28)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4)은 33% 유리 충전 나일론 66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재료도 적합할 수도 있고,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몰딩 성형되는 플라스틱 구조체로서의 하우징(14)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파이프와 같은 중공형 도관(12)의 하우징(14) 내부에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형태적 특징부를 자체에 몰딩 성형해 둘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4)은 당해 하우징(14)의 벽 두께를 관통하여 하우징(14)의 원주의 대부분의 둘레에 형성되는 개구부 즉 그루브(28)를 채용할 수 있다. 도 6은 하우징(14)의 바닥부에서의 그루브(28)를 도시하고 있다. 그루브(28)는 하우징 내에 일정 각도를 이루어 몰딩 성형된다. 즉, 그루브(28)는 하우징(14)을 관통하는 유체 통로의 길이방향 중심선에 대해 수직하지 않다. 그루브(28)가 하우징(14) 내에 몰딩 성형되는 각도는 그루브(28) 내에서의 리테이너(16)의 이동 방향을 효과적이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스틸 즉 스프링 와이어와 같은 스틸 피스로 제작될 수 있는 리테이너(16)는 도관(12)의 삽입 이전에는 도면부호 30으로 도시되는 제1 위치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2)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삽입될 때, 도관(12)이 리테이너(16)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 리테이너(16)는 그루부(28)를 따라 위치(30)로부터 위치(32)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위치(30)로부터 위치(32)까지, 리테이너(16)는 유체 통로(48)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되고, 도관(12)의 삽입 방향에 대해 전방으로 변위된다.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제1 외벽(34)은 도관(12)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압입되어 리테이너(16)와 맞닿음될 때 리테이너(16)가 지지되는 표면을 제공한다. 제2 외벽(36) 또한 제1 외벽(34)에 평행한 상태로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외벽(34)과 함께 리테이너(16)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그루브(28)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외벽(34, 36) 사이에서는, 그루브(28)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유체 통로(48)까지 관통되지 않고, 유체 통로(48)의 외측에 또한 하우징(14)의 외측에 위치된다. 하지만, 그루브(28)의 그 밖의 다른 부분은 위치(30)와 위치(32)에서의 리테이너(16)가 도관에 대해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벽을 관통하고 있다.
도 6은 커넥터 어셈블리(10) 및 그루브(28)의 저면도를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어떻게 그루브(28)의 제1 부분(38)이 도관(12) 및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비수직인 각도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그루브(28)의 제2 부분(40)이 도관(12) 및 커넥터 어셈블리(10)에 대해 직각으로 즉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유사하게, 도 7의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상면도는 도관(12)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삽입되는 동안에 어떻게 리테이너(16)가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그루브(28) 내에서 이동하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관(12)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삽입되기 전에는, 단일 피스의 리테이너(16)는 위치(30)에 있다. 도관(12)이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삽입될 때, 도관(12)의 플랜지(42)(도 10)가 위치(30)에 있는 리테이너(16)의 하나 이상의 부분과 접촉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의 도관(12)의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를 밀어 가압하여 위치(30)로부터 위치(32)로 변위시킨다. 리테이너(16)는 그루브(28) 내에서 초기에는 도관(12)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되어 있는 그루브(28)의 표면들 사이(경사진 부분)에서 이동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12)이 계속해서 커넥터 어셈블리(10) 내로 더 들어감에 따라, 리테이너(16)가 그루브(28)의 경사진 부분의 끝에 도달하게 되고, 그런 다음 도관에 대해 90도 각도인 그루브(28) 부분 내에서 진행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16)의 프롱(prong)(44, 46) 사이의 거리가 플랜지(42)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리테이너(16)의 프롱(44, 46)이 외측으로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외경부를 향해) 이동하자 마자, 리테이너(16)와 프롱(44, 46)은 내측으로 이동하여 위치(30)로 탄성 복귀한다.
도 9는 리테이너(16)의 2개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위치(30)는 도관(12)이 아직 삽입되지 않은 위치나 도관(12)이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의 제1 프롱(44)을 나타내고 있다. 리테이너(16)의 프롱(44)의 제2 위치(32)는 도관(12)이 삽입되고 있는 위치를 나타낸다. 다르게 말하면, 리테이너(16)의 프롱(44, 46)이 제 2 위치(32)에 있으면, 도관은 삽입되고 있고, 리테이너(16)의 프롱(44, 46)이 제1 위치(30)에 있으면, 삽입 및 설치가 개시되지 않았거나 종료되었다.
도 10은 도관(12)의 플랜지(42)가 하우징(14)의 통로(48)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하여 하우징(14)과 도관(12)이 분리되지 못하는 하는 제1 위치(30)에 리테이너(16)가 있는 상태에서의 도관(12)의 완전히 삽입된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리테이너(16)가 플랜지(42)와 하우징(14)의 통로(48)의 출구 사이에 있다. 도 10은 또한, 리테이너가 제1 위치(30)를 차지하여 플랜지(42)와 도관(12)을 하우징(14) 내에 잠금하도록 플랜지(42)가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위치에 리테이너(16)의 프롱(44, 46)이 배치된 상태에서의 리테이너(16)의 제2 위치(32)를 도시하고 있다. 다시 도 7을 참고하여,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관(12)이 리테이너(16)의 후방에 잠금될 수 있도록 하는 깊이로 도관(12)을 하우징(14) 속에 설치한 후에, 도관(12)이 뒤쪽 반대 방향 또는 비-삽입 방향으로 당겨지면,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관(12)의 삽입에 필요하기 때문에, 하우징(14) 내의 그루브(28)의 표면(50)의 단부가 리테이너(16)가 외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루브(28)가 경사져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또한, 단면 사시도로, 리테이너(16)가 하우징(14)의 통로(48)의 출구와 도관(12)의 플랜지(42) 사이에 어떻게 위치되어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테이너(16)가, 스테인레스 스틸 스프링 와이어와 같은, 단일편의 재료이기 때문에, 리테이너(16)는, 도관(12)을 하우징(14) 속으로 삽입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한 것과 같이, 다른 방향으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힘을 받지 않으면, 플랜지(42)에 맞닿아서 자신의 형상 및 위치를 유지한다.
도 12는 또한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싱(22)이 하우징(14)의 통로(48)속으로의 도관(12)의 용이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둥글게 가공되거나 경사진 에지(52)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관(12)이 둥글게 가공되거나 경사진 단부(54)를 가지고 있고, 이 둥글게 가공되거나 경사진 단부(54)는, 예를 들어, 둥글게 가공되거나 경사진 단부(54)가 부싱(22)의 둥글게 가공되거나 경사진 에지(52)와 부딪치는 경우, 도관(12)을 커넥터 어셈블리(10) 속으로 인도하는데 도움을 준다. 부싱(22)의 옆에는, 도관과 하우징(14) 사이의 유체-밀봉 시일을 만들기 위해서 O-링(20)이 놓여 있다. O-링(20)이 제공하는 유체-밀봉 시일은 유체가 O-링(20)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O-링(20)은 압축되기 때문에, O-링(20)이 도관(12)과 접촉하는 경우에 도관(12)에 대해 일정하고 동일한 힘을 유지함으로써 O-링(20)은 하우징(14) 내에서의 도관(12)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도 14는 도관(12)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동안에 O-링(20)과 부싱(22)이 하우징(14) 내에서 자신들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4는 하우징(14)의 중심선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리지(56)를 도시하고 있다. 리지(56)는 부싱(22)의 밸리(valley)(58)와 맞물리거나 끼워맞춤되어 하우징(14) 내에서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고, 다르게 말하면, 도관(12)과 하우징(14)의 중심선의 방향으로의 전후 이동이 제한되거나 방지된다. 계속하여 도 14를 참고하면, O-링(20)은 한쪽에서는 부싱(22)과, 다른쪽에서는 하우징 구조 자체와 맞닿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O-링(20)은 하우징(14) 내에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20을 참고하여, 삽입 확인 탭(18)에 관한 설명을 제공한다. 먼저 도 22 및 도 23를 참고하면, 삽입 확인 탭(18)은 상부 버튼(60), 스토크(stalk)(62), 제1 탭(64), 제2 탭(66), 텐션 포스트(tension post)(68), 랜드면(land)(72)을 가진 후크(70), 제1 노듈(74), 그리고 제2 노듈(76)을 가지고 있다. 도 23의 후면도로 볼 때, 제1 탭(64) 및 제2 탭(66)은,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탭(64, 66)이 자신의 설치 위치에서 하우징에 맞닿아서 편평하게 가압되어 있을 때 텐션 포스트(68)에 텐션을 부여하도록 아치 형태로 몰딩 성형되어 있다. 탭(64, 66)은 유연하기 때문에, 탭(64, 66)은, 삽입 확인 탭(18)이 도 11 및 도 15의 설치 위치에 있을 때 텐션 포스트(68)를 텐션을 받는 상태로 배치시키는 스프링으로 작용한다. 탭(64, 66)이 탄성변형된 상태로 하우징(14)의 상부 표면과 맞닿아 압축되어 있을 때 후크(70)는 하우징(14)의 일부분의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4)의 일부분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탭(64, 66)과 후크(70) 사이에서 텐션 포스트(68)에 텐션이 발생한다. 탭(64, 66)이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펴져서 이완되려고 하지만, 하우징(14)의 내측 표면 아래에서 하우징(14)의 내측 표면과 맞닿아 있는 후크(70)의 위치에 의해서 탭(64, 66)이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로 펴져서 이완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으므로, 텐션 포스트(68)는 일정한 텐션을 받는 상태로 된다. 계속하여 설치 위치에 있을 때, 삽입 확인 탭(18)은 하우징(14)의 상부에 있는 구멍(78)(도 19)을 통과하고 탭(64, 66)은 하우징(14)의 상부 표면(80)과 수직인 수직벽에 맞닿는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관(12)은 아직 완전히 하우징(14)의 통로(48) 속으로 삽입되어 있지 않다. 명료함을 기하기 위해서, 도 16은 하우징(14), 삽입 확인 탭(18), O-링(20), 부싱(22), 리테이너(16), 그리고 하우징(14) 내의 그루브(28)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상대 위치가 도관(12)이 없이 도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7은 하우징(14)이 없는 상태의 도관(12), 삽입 확인 탭(18), O-링(20), 부싱(22), 그리고 리테이너(16)의 상대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삽입 확인 탭(18)이 통과하는 구멍(78)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14)의 확대도이다. 상기 구멍(78)은 하우징(14)의 내경부(82)와 상부 벽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삽입 확인 탭(18)의 후크(70)의 랜드면(72)은 하우징(14)의 통로(48)의 내경부와 맞닿아 있다. 도 18은 또한 삽입 확인 탭(18)의 단부에 있는 제1 노듈(74) 및 제2 노듈(76)을 도시하고 있다. 노듈(74, 76)은 삽입 확인 탭(18)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9를 참고하여, 삽입 확인 탭(18)이 통과하는 하우징(14)의 구멍(78)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멍(78)은 하우징(14)의 외측 벽 또는 내측 벽에 있으며 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4)의 통로(48) 내부로부터 하우징(14)의 상부 표면(80)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다. 상기 구멍(78)은,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표면(80)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이지만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계속하여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구멍(78)은 모든 대향하는 면이 평행하기만 하지는 않게 몰딩 성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벽(84)은 하우징(14)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대해 수직인 반면에, 제1 벽(84)에 대향하는 제2 벽(86)은 그렇지 않다. 제2 벽(86)은 구멍(78)속으로 들어갈수록 제1 벽(84)에 가까워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멍의 크기는 상부 표면(80)에서 더 크고 구멍(78)의 깊이가 하우징(14)의 벽을 따라 깊어짐에 따라 상기 구멍의 크기가 작아진다. 한 단부에서, 예를 들어, 하우징의 외측 표면에서의 구멍(78)의 크기가 다른 단부, 예를 들어 하우징(14)의 내측 표면(88)에서의 구멍(78)의 크기보다 더 큰 테이퍼형 구멍(tapered hole)에 대한 한 가지 이유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도관(12)을 커넥터 어셈블리(10) 속으로 삽입하기 전에, 삽입 확인 탭(18)이 하우징(14)의 구멍(78)을 통하여 제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도시된 대로 위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둥글게 가공되거나 경사진 단부(54)를 가진 도관(12)이 먼저 커넥터 어셈블리(10) 속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4)의 통로(48) 속으로 삽입된다. 도관(12)이 하우징(14) 속으로 더 깊이 밀어넣어짐에 따라,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국에는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와 접촉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테이너(16)가 제1 위치(30)에 있을 때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와 먼저 접촉한다. 그 다음에 하우징(14)의 외측으로부터 도관(12)으로 몰딩 성형되어 있는 것과 같은 그루브(28)의 각도로 인해, 리테이너(16)가 외측으로 그리고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관(12)으로부터 멀어지고 하우징(14)의 외측 또는 외경부쪽으로 가까워진다.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관(12)이 거의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리테이너(16)는 제2 위치(32)로 이동한다.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16)가 플랜지(42)의 외경부와 접촉할 때, 리테이너(16)는 가장 큰 각도로 펼쳐지거나 벌어진다. 그 다음에, 도관(12)을 하우징(14)의 통로(48) 속으로 조금 더 밀어넣으면, 리테이너가 다시 이동하여 제1 위치(30)로 이동한다. 도관(12)이 하우징(14) 속으로 완전히 밀어넣어지고, 리테이너(16)가 제1 위치(30)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42)는 제1 위치(30)의 리테이너(16)와 부싱(22) 사이에 잠금된다. 따라서, 도관(12)이 화살표 90의 후방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더라도, 리테이너(16)가 도관(1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그루브(28)가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도관(12)이 화살표 90 방향으로 이동되면, 실제로는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를 도관(12)으로부터 멀어지는 대신에 도관(12) 속으로 안내하는데, 이것은 도관을 분리시키는데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10)는 플랜지(42), 리테이너(16), 그리고 리테이너의 대부분의 둘레의 하우징(14) 벽을 완전히 관통하여 몰딩 성형된 경사진 그루브(28)를 이용하여 기능하는 도관 잠금 및 스냅결합부를 가지고 있다.
도관(12)의 상기 구조와 삽입 방법은 도관(12)이 하우징(14) 내에 잠금되고, 삽입 확인 탭(18)은 도관(12)이 제위치에 잠금되어 있는지를 사용자가 실제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다르게 말하면, 삽입 확인 탭(18)은 도관(12)이 하우징(14) 내의 제위치에 잠금되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확인시켜 준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이 하우징(14), 도관(12), 리테이너(16)와 삽입 확인 탭(18) 사이의 관계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관(12)의 플랜지(42)가 삽입 확인 탭(18)의 후크(70)와 부딪칠 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랜지(42)는 이미 외측으로 리테이너(16)를 가압하고, 리테이너(16)를 지나서, 리테이너(16)를, 후크(70)가 플랜지(42)의 반대쪽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42)의 한 쪽에 있는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스냅결합되게 하거나, 찰칵하는 소리를 내며 결합되게 하거나, 이동되게 한다. 사용자가 계속하여 도관(12)을 하우징(14) 속으로 밀어넣을 때, 삽입 확인 탭(18)의 테이퍼진 전방 부분(91)(도 22)이 도관의 플랜지(42)와 접촉하고 후크(70)는 내측 표면(88)(도 11 및 도 18)으로부터 분리되게 힘을 받는다. 삽입 확인 탭(18)의 테이퍼진 전방 부분(91)에 가해지는 플랜지(42)의 작용력으로 인해 후크(70)가 하우징(14)의 내측 표면(88)으로부터 분리되게 힘을 받으면, 텐션 포스트(68)의 텐션이 제1 탭(64) 및 제2 탭(66)에 저장된 에너지와 함께, 후크(70)를 구멍(78) 속으로 밀어넣거나 이동시킨다. 후크(70)가 구멍(78) 속으로 이동되면, 전체 삽입 확인 탭(18)이 하우징(14)의 상부 표면(80)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관 플랜지가 제1 위치(30)의 리테이너(16)와 부싱(22)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져 있는 것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제1 탭(64)과 제2 탭(66)이, 도 11 및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축되어 편평하게 펴진 위치로부터 도 10에 도시된 응력이 작용하지 않는 아치형 위치로 이동된다. 탭(64, 66)을 하우징(14)으로 또는 하우징(14)으로부터 멀어지게 안내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상부 벽(92)이 상부 표면(80)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부 표면(80)과 탭(64, 66) 사이의 갭(94)을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면, 사용자는 후크(70)의 랜드면(72)이 하우징(14)의 내측 표면(88)으로부터 이동되었다는 것과 도관의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와 부싱(22) 사이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42)를 고정되게 설치하면, 삽입 확인 탭(18)은 사용자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 확인 탭(18)을 분리하지 않기로 하면, 텐션 포스트(68)의 텐션이 제거되었고 후크(70)의 랜드면(72)이 하우징(14)의 내경부(82)로부터 분리되었기 때문에, 그리고 제1 노듈(74)과 제2 노듈(76) 때문에, 삽입 확인 탭(18)은 하우징(14)의 구멍(78)에서 헐거운 상태로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듈(74, 76)이 하우징(14)으로부터 삽입 확인 탭(18)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이유는 제1 노듈(74)의 제1 팁(96)과 제2 노듈(76)의 제2 팁(98) 사이의 거리가 하우징(14)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 삽입 확인 탭(18)이 통과하는 구멍(78)의 폭(100)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삽입 확인 탭(18)은 압축가능하거나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 몰딩 성형되거나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삽입 확인 탭(18)의 버튼(60)을 약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구멍(78)을 통하여 삽입 확인 탭(18)이 하우징(14)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잡아당기면, 노듈(74, 76)이 변형되어 하우징(14)의 구멍(78)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로부터 분리되게 힘을 받은 후에, 후크(70)의 랜드면(72)이 더 이상 하우징(14)의 내측 표면(88)에 위치되어 있지 않으면, 삽입 확인 탭(18)을 하우징(14)으로부터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개시된 하나의 실시형태는, 하우징(14)의 벽의 적어도 일부분을 관통하여 그루브 또는 개구부(28)를 형성하는 튜브형 하우징(14)과 관통 구멍(78)을 이용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그루브(28)를 통과하는, 스테인레스 스틸 스프링 와이어 리테이너와 같은, 리테이너(16)를 이용할 수 있고, 관통 구멍(78)을 통과하는 삽입 확인 탭(18)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또한 환형 플랜지(42)를 형성하는 튜브형 도관(12)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환형 플랜지는 상기 튜브형 도관(12)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튜브형 도관(12)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환형 도관(12)의 플랜지(42)가 부싱(22)과 리테이너(16)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4) 내에 위치된 환형 부싱(22)을 이용할 수 있다. 환형 O-링(20)이 리테이너(16)의 반대쪽의 부싱(22)의 한 측면에서 부싱(22)과 맞닿아 위치될 수 있다. 하우징(14)의 그루브(28)는, 플랜지(42)가 하우징(14) 속으로 더 깊이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우징(14)의 길이방향의 축선에 대해 90도가 아닌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의 그루브(28)의 상기 각도는, 리테이너(16)가 그루브(28)의 폐쇄 단부에 도달할 때 도관(12)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관(12)이 삽입되는 동안에는,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의 제1 측면, 예를 들면, 하우징(14)의 삽입 단부(도관(12)이 하우징(14)으로 들어가는 경우)와 마주 대하는 리테이너(16)의 한 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도관(12)의 삽입이 완료되면,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의 제2 측면, 즉 도관(12)이 하우징(14)으로 들어가는 경우에 하우징(14)의 상기 단부와 마주 대하지 않는 레테이너(16)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도관(12)이 삽입되는 동안에는,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의 제1 측면과 접촉할 수 있고, 도관(12)의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말해서, 삽입 확인 탭(18)의 후크(70)의 랜드면(72)이 구멍(78) 속으로 밀어넣어지면,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의 제2 측면과 접촉한다. 리테이너(16)는, 플랜지(42)가 리테이너(16)와 접촉하는 것으로 인해서 도관(12)이 하우징(14) 속으로 삽입되는 동안, 유체 통로(48)의 내외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4)의 그루브(28)의 내외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 스틸 와이어로 될 수 있다.
삽입 확인 탭(18)은 제1 단부(디스크 또는 버튼(60)을 가진 단부)와 제2 단부(후크(70)를 가진 단부)를 가진 메인 스토크(main stalk)(62)를 이용할 수 있다. 메인 스토크(62)의 제1 단부에 몰딩 성형될 수 있는 디스크(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관(12)을 완전히 삽입한 후에 하우징으로부터 메인 스토크(62)를 빼내기 위해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쥐는데 사용될 수 있다. 편평한 랜드면(72)을 가진 후크(70)는 메인 스토크(62)의 제2 단부에 몰딩 성형될 수 있고, 제1 텐션 탭(64)과 제2 텐션 탭(66)은 디스크(60)와 후크(70) 사이에서 메인 스토크(62)에 몰딩 성형될 수 있다. 제1 텐션 탭(64)과 제2 텐션 탭(66)은, 메인 스토크(62)가 하우징(14) 속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각각의 에지 또는 팁부분, 예를 들어, 메인 스토크(62)에 대해 가장 멀리 있는 부분이 하우징(14)에 가장 가깝게 되도록 아치형상으로 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탭(64, 66)이 하우징(14)에 맞닿아서 가압될 때 상기 탭(64, 66)은 스프링으로 작용하고, 탭(64, 66)의 일부분이 여전히 메인 스토크(62)에 연결된 상태에서, 메인 스토크(62)의 일부분을 텐션을 받는 상태로 배치시키도록 탄성변형시키고, 후크(70)의 랜드면(72)은 하우징(14)의 내측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1 텐션 탭(64)과 제2 텐션 탭(66)은 하우징(14)의 상부 표면(80)과 맞닿아서 편평하게 가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텐션 탭 및 제2 텐션 탭(64, 66)과 후크(70) 사이에서 메인 스토크(62)에 텐션을 발생시킨다.
삽입 확인 탭(18)은 또한 메인 스토크의 제2 단부, 또는 후크(70)를 가진 메인 스토크의 단부에 배치된 제1 노듈과 제2 노듈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 스토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제1 노듈 팁(96)과 메인 스토크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제2 노듈 팁(98) 사이의 거리는 관통 구멍(78)의 대향하는 평행한 측면들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보다 더 짧다. 도관(12)의 하우징(14) 속으로의 삽입과 후크(70)의 플랜지(42)에 의한 상기 구멍(78)속으로의 밀어넣기를 완료한 후에 삽입 확인 탭(18)을 하우징(14)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듈(74, 76)과 관통 구멍(78)의 벽은 변형될 수 있다. 메인 스토크(62)는, 메인 스토크(62)의 분리를 위해 후크(70)를 상기와 같이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탄성변형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예시의 실시형태의 설명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 포함된 기술사항은 특정 실시형태에 관한 것으로, 용어 또는 문장이 특별히 정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나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에 명백한 다양한 다른 실시형태와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있을 것이다. 모든 그와 같은 다른 실시형태, 변경 및 수정은 첨부의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예컨대", "와 같은", "등"의 용어와, "포함하다", "가지다", "구비하다"의 동사 및 다른 동사 형태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 또는 기타 항목의 열거와 함께 사용될 때, 각각 그러한 열거가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나 항목을 배제하는 것이 아닌 개방형의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다른 용어들은 문장 내에서 다른 해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편 타당한 의미로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20)

  1. 퀵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랜지를 구비한 제1 도관과 제2 도관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도관과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도관과 연결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리테이너로서,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연결할 때, 상기 제1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연결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제1 도관과 맞닿음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 간의 맞닿음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는 표면에 복수의 바브가 배치된 니플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관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 단부 내에 수용되는 금속 파이프이고, 상기 제2 도관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단부 위에 끼워맞춤되는 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된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체 통로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도관의 연결 방향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의 전방 변위를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도관의 연결 방향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의 후방 변위를 방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일부분이 대면하는 제1 및 제2 개구부 표면으로서 i)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경사져 있고, ii) 상기 제1 도관의 연결 방향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의 전방 변위를 허용하고, iii) 상기 제1 도관의 연결 방향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의 후방 변위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대면하는 제1 및 제2 개구부 표면에 의해 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된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연결할 때, 상기 제1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연결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이 내측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제1 도관과 맞닿음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부분 간의 맞닿음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에 권취된 와이어 스프링이고,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의 연결 전과 후에 상기 하우징의 리세스 내에 안착되는 프롱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은 제1 레그 및 제2 레그를 구비한 대략 U-자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통로로 개방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레그는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레그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연결할 때, 상기 제1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제2 레그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레그를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연결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2 레그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레그가 내측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제1 도관과 맞닿음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제2 레그 간의 맞닿음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퀵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서 상기 제1 도관의 연결 방향에 대해 상기 리테이너의 상기 부분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탭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탭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을 연결할 때, 상기 제1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탭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연결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부싱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O-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O-링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이 연결될 때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도관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2. 퀵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랜지를 구비한 도관과 호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서,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고, 벽 내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부가 상기 유체 통로로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부 둘레에 권취되는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된 부분을 가지고 있는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도관을 수용할 때, 상기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전방으로 변위시키고,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이 내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도관과 맞닿음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 간의 맞닿음 및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과 상기 개구부의 표면 간의 맞닿음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관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관을 수용하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호스 내로 삽입되는 외부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바브를 구비한 제2 단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과 상기 개구부의 표면 간의 맞닿음이 상기 도관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이후의 도관의 수용 방향에 대한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의 추가적인 후방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배치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퀵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서 상기 도관의 수용 방향에 대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부분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탭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탭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도관을 수용할 때, 상기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탭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부싱이 상기 도관의 수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O-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O-링은 상기 도관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될 때 상기 도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8. 퀵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랜지를 구비한 도관과 호스 사이에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으로서, 상기 도관을 수용하는 제1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호스 내로 삽입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뻗어 있는 유체 통로를 가지고 있고, 제1 개구부, 제2 개구부 및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제1 레그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제2 레그를 가지고 있는 와이어 스프링; 및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뻗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서 상기 도관의 수용 방향에 대해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탭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을 가지고 있는 탭;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도관을 수용할 때, 상기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와이어 스프링의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와 접촉하여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또한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전방으로 변위시키고,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레그 및 상기 제2 레그가 내측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탄성 복귀하여 상기 도관과 맞닿음하게 되고, 상기 도관의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과 접촉하여 상기 탭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에 대해 외측으로 변위시키고, 수용 동작을 더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플랜지가 상기 탭의 상기 제1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부싱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부싱이 상기 도관의 수용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체 통로 내에 위치되는 O-링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O-링은 상기 도관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될 때 상기 도관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27031778A 2010-05-04 2011-05-04 퀵 커넥터 어셈블리 KR20130098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384610P 2010-05-04 2010-05-04
US61/343,846 2010-05-04
PCT/US2011/035267 WO2011140280A2 (en) 2010-05-04 2011-05-04 Quick connector assembl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24A Division KR102025623B1 (ko) 2010-05-04 2011-05-04 퀵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170A true KR20130098170A (ko) 2013-09-04

Family

ID=449044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24A KR102025623B1 (ko) 2010-05-04 2011-05-04 퀵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27031778A KR20130098170A (ko) 2010-05-04 2011-05-04 퀵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424A KR102025623B1 (ko) 2010-05-04 2011-05-04 퀵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40256B2 (ko)
EP (1) EP2567136B1 (ko)
JP (1) JP6016786B2 (ko)
KR (2) KR102025623B1 (ko)
CN (1) CN103354884B (ko)
BR (1) BR112012028201A2 (ko)
RU (1) RU2012151833A (ko)
WO (1) WO20111402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9541B2 (ja) * 2012-09-26 2016-06-2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AT516151B1 (de) * 2015-03-03 2016-03-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baugruppe zum Verbinden von Leitungen
DE102015111895A1 (de) * 2015-07-22 2017-01-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komponente und Kraftfahrzeug
DE102015117090A1 (de) * 2015-10-07 2017-04-13 Johannes Schä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Lösbare Steckverbindung für Rohrleitungen
US10550982B2 (en) 2016-06-17 2020-02-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10947938B2 (en) 2017-06-21 2021-03-16 Steere Enterprises, Inc. Air duct assembly with a secured seal
EP3669110B1 (en) * 2017-08-14 2021-12-08 Oetiker NY, Inc. Quick connect with indicator tab
FR3083290B1 (fr) * 2018-06-29 2021-12-24 Sogefi Air & Cooling Systeme de raccordement rapide et procede de realisation
FR3084435B1 (fr) * 2018-07-24 2020-06-26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raccord tubulaire
DE102018122597A1 (de) * 2018-09-14 2020-03-19 Norma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zweier röhrenförmiger Objekte
CN109027481A (zh) * 2018-09-18 2018-12-18 深圳市新源科技有限公司 快装接头
AT522804B1 (de) * 2019-09-03 2021-02-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US11898676B2 (en) 2020-05-13 2024-02-13 Mercury Plastics Llc Quick-connect fitting
RU200320U1 (ru) * 2020-05-20 2020-10-16 Эдуард Гаязович Исламов Быстрос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8711A1 (ko) * 1970-06-11 1971-12-16 Kessler & Co Tech Chem Gmbh
US4561682A (en) * 1982-09-03 1985-12-31 Rain Bird Consumer Products Mfg. Corp. Quick connect coupling
US5000614A (en) * 1989-05-05 1991-03-19 Huron Products Corporation Conduit quick connector assembly having a ramped housing with a hair pin retainer
DE4300037C1 (de) * 1993-01-02 1994-04-21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FR2705431B1 (fr) * 1993-05-14 1995-07-13 Legris Sa Connecteur rapide avec dispositif indicateur.
JPH08219352A (ja) 1995-02-09 1996-08-30 Toto Ltd 管継手
DE19708377C1 (de) * 1997-03-01 1998-06-18 Raymond A & Cie Lösbare Steckverbindung mit Montageanzeige
JPH11325361A (ja) * 1998-05-19 1999-11-26 Togo Seisakusyo Corp コネクタにおけるパイプ組付け状態の確認構造
JP4529658B2 (ja) * 2003-11-28 2010-08-2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6018376A (ja) * 2004-06-30 2006-01-19 Canon Inc ネットワーク通信方式
JP4011575B2 (ja) * 2004-10-15 2007-11-21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06183764A (ja) * 2004-12-27 2006-07-13 Onda Seisakusho Seki Kojo:Kk 継手
WO2007066675A1 (ja) * 2005-12-06 2007-06-14 Tokai Rubber Industries, Ltd. クイックコネクタ及びチェッカー
US7731245B2 (en) * 2006-10-06 2010-06-08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FR2908494B1 (fr) * 2006-11-15 2008-12-26 Legris Sa Connecteur rapide
FR2919372B1 (fr) * 2007-07-25 2013-05-10 Legris Sa Raccord a temoin.
US8240716B2 (en) *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FR2945100A1 (fr) *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7136A2 (en) 2013-03-13
WO2011140280A3 (en) 2012-04-05
KR20180087469A (ko) 2018-08-01
EP2567136A4 (en) 2014-05-21
RU2012151833A (ru) 2014-06-10
JP2013534992A (ja) 2013-09-09
CN103354884B (zh) 2015-09-16
US8740256B2 (en) 2014-06-03
CN103354884A (zh) 2013-10-16
US20120104746A1 (en) 2012-05-03
KR102025623B1 (ko) 2019-09-26
WO2011140280A2 (en) 2011-11-10
JP6016786B2 (ja) 2016-10-26
EP2567136B1 (en) 2015-09-09
BR112012028201A2 (pt) 2017-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623B1 (ko) 퀵 커넥터 어셈블리
JPH10510038A (ja) 管を堅い端部部材に連結するための迅速連結装置
HUT52223A (en) Joint piece for corrugated metal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joint piece
US20080018105A1 (en) Instantaneous connection device
BRPI0619152A2 (pt) conector rápido capaz de ser instalado com um verificador, verificador capaz de ser instalado em um conector rápido, e conector rápido
BRPI0903433A2 (pt) acoplamento de engate rápido com retentor com aba de puxar
CN209960045U (zh) 连接管件
KR101267647B1 (ko) 플라스틱수지 파이프용의 관이음매
BRPI0808318A2 (pt) "acoplamento macho conectável e separável de um acoplamento fêmea"
US7654584B2 (en) Guide bushing easily inserted into a coupling bore, and a corresponding coupling
TWM529798U (zh) 管路接頭
KR101352538B1 (ko) 파이프 이음관용 이탈방지클립
TWM587240U (zh) 通用型按壓式快速接頭
NL2028103B1 (en) A support sleev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port sleeve
TW200907210A (en) A coupling device for a fluid line
JP2003329181A (ja) 管継手
CN210440758U (zh) 快速接头
CN107257896B (zh) 用于流体管路的联接装置
CN214197656U (zh) 一种方便安装的管件连接结构
JP4808757B2 (ja) 支管
CN215908618U (zh) 快速连接器联接件
JP2009092153A (ja) 管継手用ロックリング及び管継手
CN217133423U (zh) 一种光纤接头防脱离加强件
CN218005418U (zh) 一种快接式的带等电位内螺纹管接头
JPS611007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