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820A - 차량용 캐리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820A
KR20130096820A KR1020120018325A KR20120018325A KR20130096820A KR 20130096820 A KR20130096820 A KR 20130096820A KR 1020120018325 A KR1020120018325 A KR 1020120018325A KR 20120018325 A KR20120018325 A KR 20120018325A KR 20130096820 A KR20130096820 A KR 20130096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arrier
bumper beam
vehic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921B1 (ko
Inventor
박성욱
김재용
공태윤
소원섭
권용성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9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5Front-end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8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nterchangeable parts, e.g. new part adapting to old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빔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사출로 형성하고 사이드 멤버의 상측에 상부 패널이 결합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 멤버의 공용화가 가능하며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각각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리어 {Carri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빔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사출로 형성하고 사이드 멤버의 상측에 상부 패널이 결합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 멤버의 공용화가 가능하며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각각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개발은 부품 및 제작공정의 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많은 방안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 개발에 있어서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중 다수의 부품을 각각 조립하여 집합체를 형성시켜 조립라인에서 조립하는 모듈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프론트 엔드 모듈을 들 수 있는데, 캐리어는 헤드램프, 쿨링모듈, 범퍼 및 범퍼 빔 등의 구성품과 하나로 조립되어 모듈화된다.
여기에서 상기 캐리어(C)는 도 1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패널(10) 및 하부 멤버(20), 상기 상부 패널(10)의 양단에서 상기 하부 멤버(20)의 양단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이드 멤버(30)는 범퍼 빔(미도시)이 전면에 결합되고 후면에 차량의 뼈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캐리어는 상부 지지대(11), 하부 지지대(21) 및 한 쌍의 사이드 패널(31)이 각각 금속 재질로 제작되고, 이를 금형에 삽입시키고 플라스틱의 사출하여 각각의 부품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그러므로 캐리어의 공용화가 불가능하여 각각의 차종에 대한 캐리어의 개발을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사출 금형이 대형화 되므로 투자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세계차량수리기술연구위원회(RCAR; 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pairs)는 차량 각 요소들의 내구성 및 안정도의 기준 산정하고 연구하는 기관으로서, 각각의 차량은 상기 세계차량수리기술연구위원회에서 제시하는 기준의 해당되는 지를 평가받게 되며, 이 평가 결과는 보험회사의 보험료를 산정함에 있어 기준이 된다.
즉, 캐리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캐리어의 파손시 수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므로 보험료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10-2010-0064193)인 프런트 엔드 모듈 구조가 있다.
KR 10-2010-0064193 A (2010.06.1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캐리어에 있어서 범퍼 빔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사출로 형성하고 사이드 멤버의 상측에 상부 패널이 결합되도록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 멤버의 공용화가 가능하며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각각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캐리어가 분리형으로 형성되므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캐리어의 파손 시 일부분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으므로 수리비용 및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수평부(110)의 양측에 수직부(120)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120)의 단부에 각각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형성되는 범퍼 빔(100); 내측에 중공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 및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패널(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중공부(220)의 내측으로 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고정후크(240)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걸림턱(230)과 고정후크(240)에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테두리에 상기 수직부(120) 방향으로 절곡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일측과 상기 절곡부(131)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절곡부(131)는 상기 사이드 멤버(200)와 결합되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가 범퍼 빔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별개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 멤버를 공용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각각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어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제작 및 투자비가 절감되고, 제품이 소형화 되므로 물류 및 생산 시스템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캐리어의 파손 시 일부 부품만 교체 또는 수리하면 되므로 RCAR 성능이 향상되어 수리비 및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의 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1000)는, 수평부(110)의 양측에 수직부(120)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120)의 단부에 각각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형성되는 범퍼 빔(100); 내측에 중공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 및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패널(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범퍼 빔(100)은 차량의 범퍼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범퍼의 뼈대 역할을 하며 특정한 곡률을 갖도록 길게 수평부(110)가 형성되고 그 양측 일면에 수직으로 수직부(120)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20)의 단부에는 판형으로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수직부(120)가 형성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며, 차량의 뼈대에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3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범퍼 빔(100)은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차량의 쿨링모듈 및 헤드램프 등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칭이 되도록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210)의 내측에 중공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상기 중공부(220)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범퍼 빔(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30)와 상기 사이드 멤버(200)가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중공부(220)에 위치된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차량의 뼈대에 구성되는 차체 마운팅부(400)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중공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 빔(100)과 사이드 멤버(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차체 마운팅부(4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패널(300)은 상기 범퍼 빔(100)에 결합되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 양단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 패널(300)은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조립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가 범퍼 빔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별개로 형성되므로 다양한 차종에 사이드 멤버를 공용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멤버를 각각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제작할 수 있어 금형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제작 및 투자비가 절감되고, 제품이 소형화 되므로 물류 및 생산 시스템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캐리어의 파손 시 일부 부품만 교체 또는 수리하면 되므로 RCAR 성능이 향상되어 수리비 및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중공부(220)의 내측으로 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고정후크(240)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걸림턱(230)과 고정후크(240)에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범퍼 빔(100)과 사이드 멤버(200)를 조립할 때,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일면이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정해진 위치까지만 삽입되도록 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타면의 상측과 하측이 한 쌍의 고정후크(24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상기 걸림턱(230)과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는 고정후크(240)의 사이에 걸려서 상하 및 전후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고정되고, 좌우 방향으로는 일부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범퍼 빔(100)과 사이드 멤버(200)를 임시로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를 좌우 방향으로 조금씩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 상부 패널(300)을 결합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테두리에 상기 수직부(120) 방향으로 절곡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일측과 상기 절곡부(131)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판형으로 형성되되 수직부(120) 방향으로 테두리에 절곡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와 사이드 멤버(20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절곡부(131) 중 측면 좌측의 절곡부(131)와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좌측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조립하고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공(132,250)을 관통하도록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패널(300)을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 결합한 후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절곡부(131)와 사이드 멤버(200)를 결합하는 것이 조립이 용이하며, 상기 사이드 멤버(200)에 형성되는 결합공(250)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32,250)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마주보는 내측에 형성하는 것이 조립할 수 있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130)에 절곡부(131)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사이드 멤버(200)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후크(240)는 상기 절곡부(13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하고 보강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절곡부(131)는 상기 사이드 멤버(200)와 결합되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절곡부(131) 중 상기 사이드 멤버(200)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절곡부(131)가 형성되지 않도록 제작하거나 일부를 절개하여 개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체결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박스렌치 등의 공구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범퍼 빔(100)의 우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30)에는 절곡부(131)를 상측, 하측 및 좌측에 형성되도록 제작하고, 상기 범퍼 빔(100)의 좌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30)에는 절곡부(131)를 상측, 하측 및 우측에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의 하측에는 각각 하부멤버 결합부(270)가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를 연결하도록 하부멤버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의 바깥쪽과 상기 상부 패널(300)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헤드램프 결합부(260,310)가 형성되어 헤드램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차량용 캐리어
100 : 범퍼 빔
110 : 수평부 120 : 수직부
130 : 사이드 플레이트 131 : 절곡부
132 : 결합공 133 : 관통공
200 : 사이드 멤버
210 : 몸체 220 : 중공부
230 : 걸림턱 240 : 고정후크
250 : 결합공 260 : 헤드램프 결합부
270 : 하부멤버 결합부
300 : 상부 패널 310 : 헤드램프 결합부
400 : 차체 마운팅부

Claims (4)

  1. 수평부(110)의 양측에 수직부(120)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120)의 단부에 각각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형성되는 범퍼 빔(100);
    내측에 중공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멤버(200); 및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상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상부 패널(3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멤버(200)는 중공부(220)의 내측으로 걸림턱(230)이 형성되고 일면에 상하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한 쌍의 고정후크(240)가 형성되어, 상기 범퍼 빔(100)의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상기 걸림턱(230)과 고정후크(240)에 사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는 테두리에 상기 수직부(120) 방향으로 절곡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멤버(200)의 일측과 상기 절곡부(131)를 관통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30)의 절곡부(131)는 상기 사이드 멤버(200)와 결합되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부분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리어.
KR1020120018325A 2012-02-23 2012-02-23 차량용 캐리어 KR10178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25A KR101781921B1 (ko) 2012-02-23 2012-02-23 차량용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325A KR101781921B1 (ko) 2012-02-23 2012-02-23 차량용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820A true KR20130096820A (ko) 2013-09-02
KR101781921B1 KR101781921B1 (ko) 2017-09-26

Family

ID=4944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325A KR101781921B1 (ko) 2012-02-23 2012-02-23 차량용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9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8572B2 (en) 2013-12-13 2015-08-18 Hyundai Motor Company Bumper carrier device for vehicle
KR20160090133A (ko) * 2015-01-21 2016-07-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CN113859366A (zh) * 2021-10-29 2021-12-31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通用化前端模块、机舱总成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444B2 (ja) * 2001-06-15 2011-08-3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8572B2 (en) 2013-12-13 2015-08-18 Hyundai Motor Company Bumper carrier device for vehicle
KR20160090133A (ko) * 2015-01-21 2016-07-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CN113859366A (zh) * 2021-10-29 2021-12-31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通用化前端模块、机舱总成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921B1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97222B (zh) 车身结构
RU2401214C2 (ru) Крашбокс и демпфирующая система с крашбоксом
CN102897221B (zh) 车身结构
CN107380265B (zh) 可适配多类散热器且具有容差功能的通用型前端框架
CN104554478A (zh) 车尾侧翼子板模块
RU2011116597A (ru) Автомоби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3492233A (zh) 车辆用保险杠安装构造
KR20130096820A (ko) 차량용 캐리어
JP2007090916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CN204775507U (zh) 前端模块
JP2020050057A (ja) 車体前部構造
JP5250005B2 (ja) 車体前部構造
KR102103246B1 (ko) 차량용 캐리어
US8998300B2 (en) Front-end module for a vehicle, particularly a motor vehicle
KR100826472B1 (ko) 차량의 프론트 엔드 모듈용 캐리어
US20210114538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CN204547997U (zh) 后保险杠及具有该后保险杠的轻型客车
CN202944301U (zh) 一种汽车前端外饰总成安装模块
JP7227555B2 (ja) 車両前部構造
CN104859567A (zh) 后保险杠及具有该后保险杠的轻型客车
CN203186440U (zh) 汽车尾门和具有该尾门的汽车
KR101371167B1 (ko) 보강 부재를 구비한 플라스틱 재질의 캐리어
US10589794B2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 front-end module of a motor vehicle and front-end module comprising said supporting structure
CN215752659U (zh) 一种新型汽车前端模块及与前舱盖的安装结构
CN219487570U (zh) 用于设置在车前部的集成式支架、车前部结构、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