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621A -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621A
KR20130095621A KR1020127008515A KR20127008515A KR20130095621A KR 20130095621 A KR20130095621 A KR 20130095621A KR 1020127008515 A KR1020127008515 A KR 1020127008515A KR 20127008515 A KR20127008515 A KR 20127008515A KR 20130095621 A KR20130095621 A KR 20130095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ient
braking pressure
vehicle
rotation
start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트 디첼
울리 스타르크
한스 포겔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9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18Hill h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6Hill holder; Start aid systems on inclined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8Braking system
    • B60W2510/182Brake pressure, e.g. of fluid or between pad and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6Direction of tra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보조장치의 브레이크에 제동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제동력에 의해 자동차를 유지하는 단계; 운전자에 의해 개시되는 시동 작동의 검출에 대한 반응으로서 제동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갖는 자동차, 특히 버스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가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의 감소; 자동차의 변속장치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 방향 혹은 구동 휠의 회전 속도의 기능으로서 회전하는 또 다른 부품의 동시 검출;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의 검출 상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의 계속적인 감소 및 또 다른 신호의 검출 상에서,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제 2 구배에 의한 제동 압력에서의 계속적인 감소 또는 제동 압력에서의 증가;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STARTING AID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특히 버스의 시동 보조장치(starting aid)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요약된 특징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과 같이, 특히 시동 작동 동안 제동 압력(braking pressure)을 감소시킴으로써 시동 보조장치의 완료 혹은 해제를 다루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는 그때 자동차가 오르막 길 상에서 뒤로 구를 수 없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일어난다. 이는 까다로운 문제인데 그 이유는 뒤로 구르도록 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적용하는 경사 저항 모멘트(grade resistance moment)가 경사의 각도 및 서로 다른 하중 상태에 기인하는 자동차의 중량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최악의 경우에서, 다시 말해서 자동차의 최대 하중 및 최대 경사에서, 상기 자동차가 뒤로 구르지 않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 즉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가 천천히 발생할 때 쉽게 해결될 수 있다. 제동 토크는 따라서 구동 모터의 구동 토크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간단한 방법의 단점은 그때 뒤로 구르려는 자동차의 어떤 위험도 존재하지 않을 때, 예를 들면 평평한 도로 혹은 내리막 길 상에서 시동할 때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 혹은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가 그에 따라 천천히 발생한다는 점이다. 자동차의 운전자는 편의 손실로서 감속된 출발을 경험하는데 그 이유는 차량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료 소비는 불필요하게 증가한다.
시동 작동 동안에 실제로 만연하는 경사에 따른 제동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대부분의 알려진 제어 방법들은 경사 각을 검출함으로써 경사를 결정하고 검출된 경사에 따라 제동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제시한다. 그러한 경사 각 혹은 경사의 검출은 예를 들면 독일특허 DE 103 03 415 A1, 독일특허 DE 101 03 713 A1, 독일특허 199 12 878 A1, 독일특허 36 18 532 A1, 유럽특허 0 912 747 A2 및 독일특허 196 30 870 A1에서 설명된다. 제동 토크에서의 감소의 서로 다른 연대순이 검출된 경사 각에 따라 상세히 제공된다. 독일특허 DE 36 18 532 A1은 게다가 브레이크의 회전가능한 부 상에 스위치를 제공하며, 반면에 도로의 상태, 즉 오르막 혹은 내리막에 따라 그것의 스위칭 모드(switching mode)가 변경되는 것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스위치의 스위칭 모드가 변경되었는가를 결정하며 그리고 나서 일단 스위칭 모드가 요청한 대로 변경되면, 시동 보조장치를 위한 스위치-오프(switch-off) 신호를 발생시킨다. 비록 이러한 방법은 뒤로의 구름(rolling)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나, 스위칭 모드에서의 변경이 아직 일어나지 않는 한, 시동 작동 동안에 자동차는 말하자면 도로상에 "움직이지 않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동 편리성이 감소된다. 움직이지 않은 상태 이후에, 자동차는 스위치의 상태 변경 동안에 이미 상대적으로 높은 구동 토크로 인하여 덜컥거리며 출발한다. 게다가 제조 노력이 높으며 시스템은 기계적 스위치로 인해 오류를 범하기 쉽다. 스위치의 고장은 차량을 운전할 수 없게 만들거나, 혹은 만일 고장의 경우에 스위치가 바이패스(bypass)될 수 있으면, 어떠한 시동 보조장치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특히 버스의 시동 보조장치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자동차는 허용 구역에서 뒤로 구르는 것으로부터 안전하게 예방되고, 운전 편리성이 증가되며 또한 고장의 경우에도 시동 보조장치가 이용가능해질 수 있다. 방법은 자동차에서의 간단한 구현 및 높은 작동 신뢰도에 의해 특징지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특히 적합한 실시 예들이 종속항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활성화된 시동 보조장치의 경우에, 시동 보조장치의 브레이크(brake)에 제동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제동력(braking force)에 의해 자동차가 멈추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한 시동 보조장치의 활성화 혹은 자동차의 완벽한 유지는 운전자가 뒤에 브레이크 페달을 해제하거나 혹은 서비스 브레이크(service brake)를 해제하는가에 상관없이, 특히 풋 페달(foot pedal)에 의해 작동되는 서비스 브레이크에 의해, 예를 들면 일단 운전자가 0의 속도까지 자동차를 제동하면 트리거링(triggering)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운전자가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를 작동시킬 때, 운전자에 의해 개시되는 시동 작동의 검출에 대한 반응으로서 제동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시동 보조장치는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는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
제동 압력이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first gradient)에 따라 감소된다. 상기 감소는 특히 운전자가 시동 작동을 개시한 후에, 특히 액셀러레이터를 누른 후에 즉시 시작된다.
동시에, 자동차의 변속장치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 방향 또는 구동 휠의 회전 속도의 기능으로서 회전하는 또 다른 부품의 회전 방향이 검출되거나 혹은 상기 검출이 개시된다. 회전 방향의 검출의 결과가 이용가능해지자마자, 특히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의 시작 후 일정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결과가 해석되며,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가 검출될 때, 제동 압력은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라 더 감소된다. 만일 역으로 또 다른 신호가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로서 검출되면,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제 2 구배에 의해 계속되거나 혹은 제동 압력이 증가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이전에 나타낸 단계에 따른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가 다시 시작될 수 있거나 혹은 우선 제동 압력이 증가될 수 있고 그 뒤에 제 1 구배로부터 벗어나는 구배, 특히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구배에 따라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시간에 따라 선형으로 발생한다. 게다가, 일 실시 예에 따라,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비선형으로 혹은 또한 제 2 구배에 따라 덜 가파르게 선형으로 일어날 수 있다.
회전 방향은 센서, 특히 예를 들면 출력 신호가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 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동 홀 센서(differential Hall sensor)로서 디자인될 수 있는 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의 출력 펄스의 주파수는 감지된 회전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펄스의 길이는 순수한 속도 신호, 회전 방향 신호 "왼쪽" 혹은 회전 방향 신호 "오른쪽"이 이용가능한지에 대하여 알려주며, 반면에 그에 따라 두 개의 회전 방향 신호 중 하나는 앞으로의 이동으로 매핑되고(mapped) 두 개의 회전 방향 신호 중 다른 하나는 뒤로의 이동으로 매핑된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펄스의 길이는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펄스의 길이보다 짧아야 한다. 따라서 센서 펄스는 노화(ageing) 현상에 기인하여 단축될 수 있도록 고려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선택은 실패의 경우(펄스의 단축)에 있어서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상대적으로 감소된 구배에 따라 더 확실히 실행되거나 혹은 빠른 감소가 실행되지 않거나 혹은 제 1 구배에 따라 계속되는 것을 보장한다.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그것이 정지 및 회전 사이의 전환 후에 첫 번째 펄스로서 순수한 속도 신호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를 갖는 다음의 펄스뿐만 아니라 이러한 펄스는 특히 비보정 모드(uncalibrated mode)에서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는 단지 세 번째 펄스에서만 정확하다. 따라서 회전 방향을 검출할 때 데드 위상(dead phase)이 우선 획득될 수 있는데, 상기의 내부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라 제동 압력이 감소된다. 데드 위상의 길이 및 제 1 구배의 선택은 허용 범위 내에 위치해야만 하는 자동차의 최대 가능 롤백(roll-back) 거리로 정의한다.
센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다른 신호, 즉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속도 신호가 없을 때 적용되는 신호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 자동차의 정지를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 및/또는 순수한 회전 방향 신호일 수 있다. 나아가 타임아웃 모니터링(timeout monitoring)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데, 즉 일단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가 시작되면 현재의 시간이 경과된 후에 아무 신호도 적용되지 않는지(정지)를 체크하고,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2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를 감속하거나 혹은 더 높은 압력 램프(pressure ramp)에 따라 그것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는 또한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속도 신호를 검출한 후에, 회전 방향이 더 검출되며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의 뒤따르는 검출과 함께, 제동 압력이 증가되거나, 혹은 제 2 구배 또는 제 2 구배와 관련하여 감소되는 제 3 구배에 따라 감소가 계속된다는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면, 제동 압력은 또한 우선 갑자기 증가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특히 제 1, 제 2, 혹은 제 3 구배에 상응하는 구배에 따른 증가된 값으로부터 시작하여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두 가지 작동 모드, 즉 안전 모드 및 편리 모드(comfort mode)를 가질 때 그것은 바람직하다. 편리 모드에서,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할 때, 특히 출력 샤프트의 회전 방향 또는 구동 휠의 회전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다른 부품의 검출 혹은 검출의 시작과 함께 시동 작동의 개시 후에 즉시, 제동 압력은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라 감소된다. 안전 모드에서, 현재의 제 2 구배 혹은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또 다른 구배에 따라 제동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특히 개시된 시동 작동의 검출 후에 즉시 시동 보조장치는 해제된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일 실시 예에 따라, 일단 센서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이 타당성을 위하여 체크되면 편리 모드만이 스위칭 온(switching on)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함이 검출된 후에, 센서의 고장 혹은 실패한 검출의 경우에 있어서, 일단 타당성 체크가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면 안전 모드로의 변경이 개시될 수 있다.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의 타당성 체크는 예를 들면 제동 압력의 적용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 자동차를 멈추기 전에 혹은 멈출 때까지 상기 자동차의 감속 동안에,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이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의 존재를 체크되며,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할 때, 즉 편리 모드로 전환할 때,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감속 동안에 회전 방향 신호들이 검출될 때만 발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할 때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제 2 구배 혹은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또 다른 구배에 따라, 즉 안전 모드로 전환할 때, 즉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자동차의 감속 혹은 정지는 예를 들면 자동차 구동 트레인의 변속 기어박스의 기어의 순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반면에 변속 기어박스에 의한 것은 또한 자동 변속장치 혹은 자동화 변속 기어박스인 것으로 여겨지며, 반면에 상기 검출은 순서 제 2 기어, 제 1 기어, 정지를 포함할 수 있거나 혹은 제 1 기어, 정지만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센서가 이러한 순서에서 정확한 "앞으로의" 펄스를 전달하면, 뒤따르는 시동 동안에 편리 기능이 사용되거나 혹은 편리 모드가 개시된다.
만일 센서가 펄스의 주파수가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달하면, 검출된 회전 속도는 시동 작동 동안의 한계 값과 비교될 수 있으며, 한계 값이 초과한 경우에 고장이 예측될 수 있는데, 그 결과로서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둔화되거나 혹은 나타낸 것과 같이, 제동 압력이 증가되거나 또는 안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정지된다. 만일 반대로 정확한 신호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나면 시동 보조장치는 따라서 높은 회전 속도로 인하여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아마 차량 변속장치에 맞물린 기어를 고려하는 동안, 계산된 회전 속도가, 캔 버스(CAN bus) 상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될 수 있는 또 다른 센서 혹은 계산된 엔진 속도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 속도와 비교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타당성을 위하여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이 체크된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만일 회전 방향 신호에 더하여 특히 위에서 설명된 센서에 의해, 회전 속도 신호가 검출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회전 속도가 해석될 수 있으며 검출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 압력이 변화될 수 있으며, 특히 앞으로의 이동이 검출될 때 특히 감소된다. 만일 회전 방향 신호가 반대로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면, 검출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 압력이 특히 증가될 수 있거나 혹은 검출된 회전 속도에 따라 감소의 구배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도 1 및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주요 단계를 설명한 플로차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따라서 차량이 정지하고, 시동 보조장치가 활성화되며, 제동 압력, 특히 최대 제동 압력이 적용된 상태로부터 시작한다. 이제 시동 작동이 요청되었거나 혹은 개시되었는지가 체크된다. 만일 아니라고 응답하면, 제동 압력은 감소되지 않으며, 오히려 유지된다. 만일 맞다고 확인되면, 제동 압력은 선형으로 감소되며 회전 방향의 검출이 시작된다.
미리 설정된 기간이 경과된 후에, 특히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미리 결정된 얼마간의 펄스, 예를 들면 세 번째 펄스 후에, 회전 방향의 검출로부터 유래하는 신호, 혹은 센서의 평가가 개시된다. 만일 회전 방향 신호가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면, 제동 압력은 선형으로 더 감소된다. 만일 반대로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시간 지연과 함께 계속된다.
또한 제동 압력에서의 지속적인 선형 감소의 경우에서 회전 방향 검출 신호가 더 검출되고 해석되며, 제동 압력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회전 방향 신호가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안 선형 감소는 계속된다. 시동 보조장치는 그 뒤에 불활성화될 수 있다.
만일 반대로 또 다른 신호의 검출에 기인하는 제동 압력에서의 시간 지연 감소가 설정되었다면, 제동 토크에서의 시간 지연 감소는 특히 제동 압력이 제거될 때까지 첫 번째 실시 예(A로 표시)에 따른 동일한 구배로 계속될 수 있거나, 혹은 두 번째 실시 예(B로 표시)에 따라, 회전 방향 검출 신호가 더 해석되며, 만일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가 검출되면, 제동 압력은 제동 압력에서의 선형 감소를 위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하는, 선형으로 더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더 신뢰할만한 롤백 방지를 허용하며 동시에 최소량의 제조와 기술 노력 및 높은 고장 안전성을 갖는 편안한 시동을 허용한다. 시동 보조장치의 브레이크는 예를 들면 차량의 서비스 브레이크, 일반적으로 액슬(rear axle) 상에 작용하는, 버스(도시 버스)의 경우에 있어서의 이른바 빈번한 정차 브레이크(stop brake), 적절한 작동이 출력을 차단하거나 혹은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 변속장치의 다중 디스크 브레이크 혹은 다중 디스크 클러치일 수 있다.

Claims (11)

  1. 시동 보조장치의 브레이크에 제동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제동력에 의해 자동차를 유지하는 단계;
    운전자에 의해 개시되는 시동 작동의 검출에 대한 반응으로서 제동력의 감소에 의해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갖는, 자동차, 특히 버스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동 보조장치의 해제 단계는: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의 감소;
    자동차의 변속장치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 방향 혹은 구동 휠의 회전 속도의 기능으로서 회전하는 또 다른 부품의 동시 검출;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의 검출 상에서,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의 계속적인 감소 및 또 다른 신호의 검출 상에서,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제 2 구배에 의한 제동 압력에서의 계속적인 감소 또는 제동 압력에서의 증가;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시간에 따른 선형 감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 혹은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선형 혹은 비선형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하여 센서, 특히 회전 방향 신호 및 회전 속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홀 센서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전기 펄스를 발생시키며, 반면에 펄스의 주파수는 회전 속도를 나타내며 펄스의 길이는 회전 방향을 나타내며, 반면에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펄스의 길이는 특히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펄스의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신호는 다음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 일부 혹은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속도 신호
    - 자동차의 정지를 나타내는 회전 속도 신호
    - 일단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가 시작되면 현재 기간이 경과된 후의 무신호
    - 순수한 회전 속도 신호.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를 검출한 후에, 회전 방향은 더 검출되며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의 뒤따르는 검출과 함께, 제동 압력이 증가되거나 혹은 제 2 구배 혹은 제 2 구배에 관련하여 감소된 제 3 구배에 따라 감소가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속도 신호를 검출할 때,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동일한 시동 작동 동안 이전에 일단 회전 속도 신호가 검출되면, 제동 압력이 우선 갑자기 증가하며 그리고 나서 특히 제 1, 제 2 혹은 제 3 구배에 상응하는 구배에 따라 증가된 값으로부터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9. 제 4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동 압력의 적용에 의한 제동력에 의해 자동차의 멈춤 전 또는 멈춤까지의 상기 자동차의 감속 동안에, 상기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이 자동차의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들의 존재를 위하여 체크되며,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할 때 제 1 구배에 따른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만일 회전 속도 신호가 앞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상기 감속 동안에 검출되었을 때만 발생하며, 그렇지 않으면 시동 보조장치를 해제할 때 제동 압력에서의 감소는 제 2 구배 또는 제 1 구배와 비교하여 감소된 또 다른 구배에 따라 즉시 발생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센서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들이 타당성을 위하여 체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0. 제 4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뒤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회전 방향 신호가 검출될 때, 검출된 회전 속도에 따라 제동 압력이 증가하거나 혹은 검출된 회전 속도에 따라 감소의 구배가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11. 제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로서 자동차의 서비스 브레이크, 리어 액슬 상에서만 작용하는, 차량이 버스인 경우의 빈번한 정차 브레이크 혹은 동력 인출 장치가 차단된, 자동 변속장치의 다중 디스크 클러치뿐만 아니라 다중 디스크 브레이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20127008515A 2010-08-04 2011-07-23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30095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3416.2 2010-08-04
DE102010033416A DE102010033416A1 (de) 2010-08-04 2010-08-04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nfahrhilfe eines Kraftfahrzeugs
PCT/EP2011/003701 WO2012016648A1 (de) 2010-08-04 2011-07-23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nfahrhilfe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21A true KR20130095621A (ko) 2013-08-28

Family

ID=44534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515A KR20130095621A (ko) 2010-08-04 2011-07-23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18892B2 (ko)
EP (1) EP2454132B1 (ko)
KR (1) KR20130095621A (ko)
CN (1) CN103038107B (ko)
DE (1) DE102010033416A1 (ko)
IN (1) IN2012DN01969A (ko)
RU (1) RU2013104427A (ko)
WO (1) WO2012016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7708B2 (ja) 2012-11-16 2015-05-13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DE102013000276A1 (de) 2013-01-09 2014-07-10 Wabco Gmbh Elektronisches Bremsensteuergerät, Brem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ieb desselben
US9126597B2 (en) * 2013-03-14 2015-09-08 Robert Bosch Gmbh Hill hold decay
DE102013017213A1 (de) * 2013-10-16 2015-04-16 Audi Ag Fahrzeug und Verfahren zum Ausleuchten eines Bereichs hinter einem Fahrzeug
JP6256456B2 (ja) * 2015-12-14 2018-01-1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停止維持装置
US11001261B2 (en) * 2017-01-23 2021-05-11 Volvo Truck Corporation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during a downhill start
CN111683844B (zh) 2017-12-29 2023-06-23 Zf主动安全美国股份公司 非对称摩擦系数斜坡上的牵引力控制倒溜减轻
CN109094563B (zh) * 2018-07-20 2020-11-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起步辅助控制方法、系统及车辆
JP7152321B2 (ja) * 2019-01-11 2022-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システム
CN111114549A (zh) * 2019-12-23 2020-05-08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手动挡车辆坡起辅助装置、手动挡车辆和坡起辅助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0698D0 (en) * 1984-01-11 1984-02-15 Automotive Prod Plc Motor vehicle transmission
US4644826A (en) * 1984-08-24 1987-02-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dling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providing smooth starting off action
SE445629B (sv) * 1984-11-23 1986-07-07 Volvo Ab Hjelpanordning vid fordonsstart i backe
US4717207A (en) 1985-06-03 1988-01-05 Nissan Motor Co., Ltd. Booster unit for moving a vehicle on a slop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3909907C2 (de) * 1989-03-25 1997-03-13 Bosch Gmbh Robert Feststellbremse für Kraftfahrzeuge
KR100250273B1 (ko) * 1995-12-28 2000-04-01 정몽규 자동 변속기 드라이브단시 후진 방지 제어 방법
EP0812747B1 (de) 1996-06-11 2002-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esthalten und Lösen von druckmittelbetätigten Fahrzeugbremsen für eine Anfahrhilfe auf einer geneigten Fahrbahn
DE19630870A1 (de) 1996-07-31 1998-02-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Fahrzeugs
DE19941482B4 (de) * 1998-09-30 2017-11-0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s Rückwärtsrollens eines an einem Hang befindlichen Fahrzeuges
DE19912878B4 (de) 1998-10-14 2019-11-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Unterstützung des Bremsens eines Fahrzeugs
DE19925249B4 (de) * 1999-06-01 2019-11-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remsanlage zur Unterstützung eines Anfahrvorganges bei einem Kraftfahrzeug
DE19932052A1 (de) * 1999-07-09 2001-01-1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Erkennung der Drehrichtung einer Abtriebswelle beim Anfahren
KR100337359B1 (ko) * 1999-12-15 2002-05-21 이계안 차량의 주행단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E10103713A1 (de) 2000-02-10 2002-11-2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eenden einer aktiven Anfahrhilfe-Funktion
JP3891467B2 (ja) * 2000-09-12 2007-03-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キ液圧保持装置
DE10135744A1 (de) * 2001-07-21 2003-02-0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meidung des Rückrollens eines Fahrzeuges
US7317980B2 (en) * 2002-07-30 2008-01-08 Adivics Co., Ltd. Automatic brake device for controlling movement of vehicle in direction opposite to intended direction of movement of driver
DE10303415A1 (de) 2003-01-29 2004-08-05 Voith Turbo Gmbh & Co. Kg Verfahren zur Optimierung des Fahrverhaltens
DE102004043119B4 (de) * 2003-09-15 2013-11-0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Parametern
JP4556633B2 (ja) * 2004-11-17 2010-10-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ヒルホールド制動力制御装置
JP4329695B2 (ja) * 2005-01-07 2009-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動装置の制御装置
US7853388B2 (en) * 2006-02-23 2010-12-14 Siemens Industry,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braking system
JP4961857B2 (ja) * 2006-06-23 2012-06-2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自動制動力制御装置
FR2914894B1 (fr) * 2007-04-12 2009-07-1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 d'aide a la conduite dans les pentes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7023929A1 (de) * 2007-05-23 2008-11-27 Lucas Automotive Gmbh Technik zum Anfahren eines Kraftfahrzeugs auf einer geneigten Fahrstrecke
DE102007027770A1 (de) * 2007-06-16 2008-12-18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Steuern und/oder Regeln eines Anfahr- oder Rangiervorganges bei einem automatisierten Getriebe
FR2918336B1 (fr) * 2007-07-06 2009-10-23 Renault Sas Procede d'assistance aux manoeuvres en cote.
DE102008026530A1 (de) * 2007-08-11 2009-02-1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und/oder Durchführung eines Anfahrvorgangs eines Kraftfahrzeugs
FR2934831B1 (fr) 2008-08-07 2010-08-27 Renault Sas Procede de desserrage de freins d'un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dispositif d'assistance au demarrage en cote, un tel dispositif d'assistance et vehicule automobile le compor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4499A1 (en) 2013-06-06
CN103038107A (zh) 2013-04-10
WO2012016648A1 (de) 2012-02-09
RU2013104427A (ru) 2014-09-10
DE102010033416A1 (de) 2012-02-09
EP2454132A1 (de) 2012-05-23
EP2454132B1 (de) 2013-04-10
CN103038107B (zh) 2016-02-03
IN2012DN01969A (ko) 2015-08-21
US8718892B2 (en) 201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5621A (ko)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JP5418908B2 (ja) 自動車制動装置を操作する方法及び装置
US9180844B2 (en) Electric parking brake control device
US10358120B2 (en) Stop maintaining system of vehicle
JP5583323B2 (ja) 原動機を備えた車両のブレーキ装置作動方法
US853290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electromechanical parking brake unit of an electromechanical parking brake system
EP2468593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rake control
JP5142722B2 (ja) 手動操作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作動方法
CN108382377B (zh) 用于防止车辆滚离的系统、方法、计算机程序及控制单元
US20050246081A1 (en) Method and system to prevent unintended rolling of a vehicle
JP5291933B2 (ja) 車両用のブレーキ装置を作動させる方法
CN107054369B (zh) 改进的具有手动换挡变速器的机动车辆的自动启动/停止系统
JP2002518241A5 (ko)
JP2000108861A (ja) 斜面上に存在する車両の後方転がり移動防止装置および方法
US10118602B2 (en) Adaptive automatic start-stop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th automatic gearbox, taking obstructions into account
US200800875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tuating a Braking System, in Particular a Parking Brake of a Motor Vehicle
CN103043045A (zh) 电子驻车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EP3174768B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parking brake of vehicle having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234622B1 (ko)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57846A (ko) 차량의 언덕길 밀림방지 제어방법과 시스템 및 언덕길 밀림방지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CN108128295B (zh) 用于运行机动车的至少一个驻车制动器的方法
CN107206981B (zh) 用于防止无意的车辆运动的控制单元和方法
JPH0217967Y2 (ko)
JP2007198238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9166982A (ja) 車両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