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887A -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887A
KR20130094887A KR1020120016131A KR20120016131A KR20130094887A KR 20130094887 A KR20130094887 A KR 20130094887A KR 1020120016131 A KR1020120016131 A KR 1020120016131A KR 20120016131 A KR20120016131 A KR 20120016131A KR 20130094887 A KR20130094887 A KR 2013009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interior handle
split
assemb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회현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20016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4887A/ko
Publication of KR2013009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핀 형태의 클립을 이용하여 삽입식으로 실내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이 없이도 쉽고 빠르게 클립 모듈을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클립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사출 또는 압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클립 모듈을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CLIP MODULE FOR ASSEMBLING ASSISTANT HANDLE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 분할 클립을 이용하여 차체 패널에 끼워 넣은 다음 가압편을 이용하여 탄성 분할 클립을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분할 핀 방식으로 실내 손잡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조립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실내 손잡이가 구비된다. 이러한 실내 손잡이는 이용자의 체중 등을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차체 패널에 장착된다. 이처럼 강한 지지력과 함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실내 손잡이는 다양한 구조의 클립을 이용하여 조립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보조 손잡이(실내 손잡이)를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고정구는, 기단부에는 차량의 바디패널(10)과 헤드라이너(20) 사이에 조립되는 베이스(31)가 구비되고, 선단부에는 이 베이스로(31)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바디패널(10)의 결합공(11)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33)가 형성된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후크(33)는 베이스(31)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벤딩된 내측벽(34)과, 이 내측벽(34)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하향 경사지게 벤딩된 외측벽(36)과, 이 외측벽(36)의 하단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벤딩된 걸림부(38)와, 이 걸림부(38)의 선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바디패널(10)의 결합공(11) 둘레면(11a)에 걸려지는 지지턱(38a)을 포함하며,상기 내측벽(34)은 그 하단부 양측에 소정면적으로 절단된 개구부(35)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38)는 이 개구부(35)와 대응되는 위치의 외측벽(36) 하단부에 형성되어 구성되며, 바디패널(10)의 결합공(11)에 끼움 결합시 상기 걸림부(38)가 내측벽(34)에 간섭되지 않고 오무러들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고정구를 바디패널에 끼운 상태에서 고정구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보조 손잡이를 그 체결 위치에 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 이러한 어려움은 보조 손잡이의 조립 시간이 많이 걸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로 이어지게 되었다.
3)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보조 손잡이를 체결하여 고정시켜 하는데, 고정구가 움직이기 때문에 고정수단을 고정구에 맞춰서 조립체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4) 기존의 고정구는 절곡되는 부분과 곡선 부분이 많아 한번에 제조하기가 어려워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이는 고정구를 제조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2014호(2006년02월07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분할핀 형태의 클립을 이용하여 삽입식으로 실내 손잡이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이 없이도 쉽고 빠르게 클립 모듈을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클립과 베이스 플레이트를 각각 사출 또는 압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클립 모듈을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은, 차체 패널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끼워 실내 손잡이를 고정시켜 주는 클립을 포함하는 클립 모듈에 있어서, 실내 손잡이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구멍에 끼워서 조립되는 탄성 분할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분할 클립은, 적어도 두 개의 분할편이 구비되며, 조립구멍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클립몸체; 및 상기 클립몸체의 중앙에 끼워지면서 각 분할편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변형시켜 주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탄성 분할 클립은 각각 사출 또는 압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할편은 외주면에 차체 패널에 걸려지도록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분할편은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압편은 실내 손잡이를 고정시켜 주는 브라켓 덮개를 닫음에 따라 그 안쪽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탄성 분할 클립을 끼워서 실내 손잡이를 조립할 수 있에서 스크류와 같은 기존의 고정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조립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클립 모듈을 사출 또는 압출 방식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추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3) 탄성 분할 클립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가조립된 상태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 위치에 따라 별도의 위치 조절을 해 주지 않아도 되어 조립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4)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상 및 탄성 분할 클립의 조립 위치를 바꾸어 줌으로써, 차종이나 실내 손잡이의 장착위치에 따라 조립 위치가 달라지더라도 쉽게 그 장착위치에 맞는 위치로 조립위치를 변경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의 장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1에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순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H"은 보조 손잡이라고도 불리우는 실내 손잡이를, "P"는 차체 패널을, "PH"은 차체 패널에 형성되어 클립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구멍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클립 모듈은, 실내 손잡이(H)를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실내 손잡이(H)와 헤드 라이닝(HL)을 함께 고정시켜 주기 위한 탄성 분할 클립(2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탄성 분할 클립(200)은 원터치 방식으로 끼워서 분할편(211)이 벌어지면서 차체 패널(P)에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쉽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실내 손잡이(H)를 장착하기 위한 플레이트로서, 이 실내 손잡이(H)의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
특히,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양단부에 실내 손잡이(H)의 각 단부를 지지하여 차체 패널(P)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삽입구멍(110)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삽입구멍(110)은 후술하게 될 탄성 분할 클립(200)을 가조립하기 위한 것으로, 이 탄성 분할 클립(200)의 단면 형상과 같은 형태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구멍(110)은 가조립된 탄성 분할 클립(200)의 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한다. 이는 돌출된 탄성 분할 클립(200)의 단부가 차체 패널(P)에 조립되어 고정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삽입구멍(110)은 제조시 형성 각도라든가 위치 등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하여 제작하게 된다. 이는 차량마다 실내 손잡이(H)의 장착위치에 따라 조립 위치도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조립 위치에 맞도록 그 각도라든가 실내 손잡이(H)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수지 등을 이용하여 압출 또는 사출 공정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분할 클립(200)은, 상기 각 삽입구멍(110)에 가조립되어 실내 손잡이(H)를 조립시켜 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탄성 분할 클립(200)은 헤드 라이닝(HL)과 겹쳐진 차체 패널(P)에 형성된 조립구멍(PH)에 조립되게 된다.
이러한 탄성 분할 클립(200)은, 분할편(211)이 형성된 클립몸체(210) 및 이 클립몸체(210)에 끼워져서 분할편(211)을 변형시켜 조립구멍(PH)에 고정되게 하는 가압편(220)을 포함한다.
클립몸체(210)는 적어도 두 개의 분할편(211)이 구비되며, 일측에는 플랜지(212)가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212)는 클립몸체(210)가 베이스 플레이트(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고, 헤드 라이닝(HL)이 구비되는 경우 실내 손잡이(H)와 함께 함께 눌러서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함께 한다.
이러한 클립몸체(210)에는 플랜지(212)로부터 분할편(211)의 단부까지 연장되게 압착구멍(213)이 형성된다. 압착구멍(213)은 분할편(211)의 단부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서, 상기 분할편(211)의 단부에는 그 외주면에 각각 바깥쪽으로 걸림턱(21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 걸림턱(211a)은 분할편(211)의 단부가 조립구멍(PH)에 끼워졌을 때에 걸림작용을 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할편(211)는 그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서,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분할핀(211)은 사각 형태로 제작하여, 삽입구멍(11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돌아가지 않고 항상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클립몸체(210)는 실내 손잡이(H)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브라켓이 각각 삽입구멍(110)과 밀착되게 한 다음 이 삽입구멍(110)에 가조립하여 이용한다.
가압편(220)은 상기 압착구멍(213)에 끼우기 위한 일종의 핀으로, 압축구멍(213)에 끼워짐에 따라 그 내경을 강제로 넓히면서 분할편(211)이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압편(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몸체(210)가 가조립된 상태, 즉 분할편(211)이 조립구멍(PH)에 끼워진 상태에서 압착구멍(213)에 끼워서 사용한다. 이에 압착구멍(213)이 점차 넓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분할편(211)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걸림턱(211a)이 삽입구멍(110)에 걸려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편(220)은 압착구멍(213)에 압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다시 빠질 우려가 많지 않으나, 차량의 특성상 장시간 진동 등에 의하여 빠질 우려가 있다. 이에, 상기 가압편(220)의 끝단부가 실내 손잡이(H)를 조립하면서 마감하는 브라켓 덮개(B)의 안쪽면에 맞닿게 하여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브라켓 덮개(B)는, 통상적으로 실내 손잡이(H)의 핸들 부분 중에서 양단에 각각 탄성지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브라켓 덮개(B)는 이 브라켓에 형성된 조립구멍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는 덮개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분할 클립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사출 또는 압출 방식으로 제작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탄성 분할 클립을 이용하여 가조립된 실내 손잡이의 조립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원터치 방식으로 쉽고 정확하게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10 : 삽입구멍
200 : 탄성 분할 클립
210 : 클립몸체
211 : 분할편
211a : 걸림턱
212 : 플랜지
213 : 압착구멍
220 : 가압편

Claims (5)

  1. 차체 패널(P)에 형성된 조립구멍(PH)에 끼워 실내 손잡이를 고정시켜 주는 클립을 포함하는 클립 모듈에 있어서,
    실내 손잡이(H)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조립구멍(PH)에 끼워서 조립되는 탄성 분할 클립(200);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분할 클립(200)은, 적어도 두 개의 분할편(211)이 구비되며, 조립구멍(PH)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클립몸체(210); 및 상기 클립몸체(210)의 중앙에 끼워지면서 각 분할편(211)의 단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변형시켜 주는 가압편(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탄성 분할 클립(200)은 각각 사출 또는 압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211)은 외주면에 차체 패널(P)에 걸려지도록 걸림턱(211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편(211)은 단면이 사각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220)은 실내 손잡이(H)를 고정시켜 주는 브라켓 덮개(B)를 닫음에 따라 그 안쪽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KR1020120016131A 2012-02-17 2012-02-17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KR20130094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31A KR20130094887A (ko) 2012-02-17 2012-02-17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131A KR20130094887A (ko) 2012-02-17 2012-02-17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887A true KR20130094887A (ko) 2013-08-27

Family

ID=4921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131A KR20130094887A (ko) 2012-02-17 2012-02-17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4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887A (ko) * 2015-10-26 2017-05-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부품의 장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7887A (ko) * 2015-10-26 2017-05-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부품의 장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9814B2 (ja) ドアライニングの固定構造および固定方法
JP4384204B2 (ja) 部材の取付構造
US20120272487A1 (en) Piercing rib clip
KR101359424B1 (ko) 차량의 모듈헤드라이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US11440487B2 (en) Overmolded metal-plastic clip
JP2012154485A5 (ko)
WO2012114394A1 (en) Step unit
KR101582894B1 (ko) 자동차용 고정구
JP5084641B2 (ja) クリップ
JP643381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の取付構造
KR101582895B1 (ko) 자동차용 고정구
RU2682027C2 (ru) Потолочный обивочный узел для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потолочной обивки к кузову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130094887A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KR20210066959A (ko) 자동차용 펜더 인슐레이션
JP6851850B2 (ja) シート状部材の取付具
KR101275024B1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CN205686250U (zh) 一种背门扣手盒及汽车
KR101582898B1 (ko) 자동차용 고정구
KR10125430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패스너
US20130202350A1 (en) Assist handle clip for headliner module of automobile
KR100881742B1 (ko) 훼스너 조립구조가 개선된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트림판넬
KR200482534Y1 (ko) 차량용 테더 클립 고정 구조물
KR100537000B1 (ko) 자동차의 도어 풀 핸들 고정구조
CN210027159U (zh) 顶棚拉手、拉手套件及汽车
JP5287141B2 (ja) インサイドハンド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