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4353A -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및 송신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및 송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4353A
KR20130094353A KR1020137020343A KR20137020343A KR20130094353A KR 20130094353 A KR20130094353 A KR 20130094353A KR 1020137020343 A KR1020137020343 A KR 1020137020343A KR 20137020343 A KR20137020343 A KR 20137020343A KR 20130094353 A KR20130094353 A KR 20130094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ceiver
transmitter
network interfa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제이. 크냅
토니 수산토
에드먼드 엠. 슈나이더
웨슬리 엘. 모크리
Original Assignee
스탠다드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421,947 external-priority patent/US7912381B2/en
Application filed by 스탠다드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탠다드 마이크로시스템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9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4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terconnection network, e.g. matrix, shuffle, pyramid, star, snowfl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64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장치와 같은 디지털 시스템의 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통신망이 제공된다. 통신망의 각 노드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노드의 수신기 및 송신기는 광 수신기 및 광 송신기일 수 있다. 광 수신기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핀이 상이한 공급량을 제공하는 두 개의 전원 핀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수신기 내의 활동 검출기는 제1 공급량으로 전력 공급될 수 있고, 광 수신기의 신호 경로는 제1 공급량보다 큰 제2 공급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공급량은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제2 공급량은 활동이 검출되는 경우에만 제공된다. 제1 공급량을 제공하는 전압 조절기는 망의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망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집적회로에 구현될 수 있다. 신호 경로와 분리된 활동 검출기에 전력 공급함으로써, 전력 하강 및 전력 상승 (정상) 작동 상태가 구현되어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고 광 수신기 및 광 송신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및 송신 회로{TRANSMISSION NETWORK HAVING AN OPTICAL RECEIVER THAT UTILIZES DUAL POWER PINS AND A SINGLE STATUS PIN TO LOWER POWER CONSUMPTION, LOWER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TRANSMITTER CIRCUIT}
본 발명은 통신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활동 검출기를 포함하는 광 수신기로서, 상기 활동 검출기는 망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생성되는 더 낮은 전력 공급량(예컨대, 더 낮은 공급 전류)을 공급받고, 수신기로 유입하는 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망 인터페이스의 나머지 제2 부분과 상기 광 수신기의 데이터 프로세싱 신호 경로에 공급되는 더 높은 전력 공급량(예컨대, 더 높은 공급 전류)을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상태 신호를 전송하는, 활동 검출기를 포함하는 광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기술 및 예시들은 배경기술란에 기재되어 있으나, 종래 기술 또는 관습적인 것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은 일반적으로 통신선 또는 통신 회선(communication link)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두 개 이상의 노드(node)를 포함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각각의 노드는 보통 송수신기(transceiver)로 지칭되는 송신기(transmitter) 및 수신기(receiver)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와 예컨대 디지털 영역 내의 신호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전자 서브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회선이 광섬유라면, 수신 회로는 빛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반대로, 송신기는 전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광신호는 통신 회선을 통해 망의 또 다른 노드 내의 수신기로 전송된다.
광 송신기는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즉 LED를 포함한다. 광 수신기는 광검출기(photo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검출기의 종류에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수많은 유형이 있다. 통상적인 광검출기로는 일 예로 광다이오드 또는 PIN 광다이오드를 들 수 있다. 수신기는 어떠한 형태이든 상당량의 전류를 소모하므로 전원(power supply)으로부터 전력 공급되어야 하며, 상기 전원은 빛이 광검출기에 부딪힐 때 상당량의 전류를 상기 수신기의 전치 증폭기(trans-impedance amplifier)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송신기도 빛이 광 회선에 진입될 때마다 상당량의 전류를 소모할 수 있다. 고 전류는 통신망 내의 전력 소모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열 손실(heat dissipation)도 증가시킨다. 너무 많은 전력이 소모되거나, 및/또는 너무 많은 열이 발산된다면, LED 부근에 연결된 반투명한 플라스틱 광 회선이 검게 변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불투명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지 못한 전력 소모량 및 열 손실 이외에도, 송신기 및 수신기는 보통 데이터가 망을 통해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만 빛을 각각 송신 및 수신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망은 자주 비활성화된다. 망이 배터리로 전력 공급되는 휴대용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통신이 비활성화될 때마다 망에 대한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터리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LED 및 광검출기의 수명도 연장될 것이다. 통신 활동 상태(communication activity)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력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으며 전력 송신 및 수신을 최적화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교정(calibrate)할 수 있는 통신망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할 뿐만 아니라 현대 집적회로의 저 전력 동작 모드에서는 필수적일 수 있다. 현재, 종래의 망으로는 이러한 이점들을 비용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고 광 수신기 및 광 송신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통신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에서 약술한 문제점들은 통신 회선 내에서 활동이 검출될 때 선택적으로 전력 공급할 수 있는 통신망에 의해 대부분 해결될 수 있다. 활동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망은 저 전력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송신기는 제조된 이후 및 실제로 통신망에 연결된 이후에 용이하게 교정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조절되는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필요하다면, 송신기를 진단 모드에 배치함으로써 망 회선을 테스트할 수 있다. 수신기가 유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유입 신호는 미리 정해진 신호 강도와 비교될 수 있다. 유입 신호가 미리 정해진 양보다 크거나 또는 작다면, 송신기는 이에 따라 더 높은 또는 더 낮은 출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통신망을 선택적으로 전력 상승시킬 수 있는 하나의 메카니즘은 수신 회로에서 두 개의 전원 핀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전원 핀은 상기 수신 회로의 제1 부분에 제1 공급량을 공급할 수 있다. 나머지 전원 핀은 상기 수신 회로의 제2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공급량보다 큰 제2 공급량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급량 및 제2 공급량은 전류일 수 있다. 또한, 제1 공급량은 바람직하게는 활동 검출 회로에 가해지는 반면, 제2 공급량은 데이터 입력 포트 및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수신기의 나머지 회로에 가해진다.
제1 공급량은 제2 공급량보다 바람직하게는 10배, 더 바람직하게는 100배, 또한 가능하다면 1000배 이상 작을 수 있다. 활동 검출기는 바람직하게는 1 - 10㎂를 공급하는 제1 전원 핀(power supply pin)으로부터 전력 공급된다. 수신 회로는 활동 검출기가 통신 회선에 빛이 존재한다고 결정할 때에만 상태 핀(status pin)을 통해 상태 신호(status signal)를 전송할 것이다. 수신 회로의 상태 핀은 망 인터페이스 회로(network interface circuit)의 상태 핀에 연결된다. 일단 상태 신호가 망 인터페이스에 수신되면, 망 인터페이스는 전원 조절기가 제2 전력 공급량을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전력 공급량은 수신기의 제2 전원 핀뿐만 아니라 망 인터페이스 회로의 일부분에도 전송된다.
본 통신망은 통신선 또는 통신 회선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 일련의 노드를 포함한다. 상기 회선은 광케이블과 같은 광 회선일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수신기 및 송신기와 상기 수신기 및 송신기에 연결되는 망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수신기는 바람직하게는 망 인터페이스 회로와는 별개의 집적회로이며,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핀을 포함하는데, 이 중 3개의 핀은 제1 전원 핀, 제2 전원 핀, 및 상태 핀으로 구성된다. 제1 전원 핀은 배터리로부터 제1 공급량을 수신하는 반면, 제2 전원 핀은 배터리에 연결된 전압 생성기로부터 제2 공급량을 수신한다. 상태 핀은 양방향성이며, 수신기와 동일한 노드 내에 포함된 망 인터페이스와 데이터의 다중-비트 패킷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LED만을 포함한다. LED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LED와 별개의 집적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드라이버 회로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상기 드라이버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망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모놀리식 기판(monolithic substrate)에 구현된다. 상기 LED 및 수신기와 떨어져 있는 망 인터페이스 집적회로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모리는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유입 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수신기 집적회로가 유입 신호 전력을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상기 망 인터페이스 집적회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비교 결과에 따라, 인터페이스 회로는 증가된 또는 감소된 신호 강도를 인터페이스 회로의 프로그램 가능한 드라이버를 통해 인터페이스 회로로부터 업스트림 송신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망 인터페이스 내의 전압 생성기는 수신 회로의 제1 전원 핀으로 전송되는 제1 공급량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제1 공급량을 생성하기 위해 특수한 고 전압 집적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제1 공급량을 생성하는데 사용된 망 인터페이스의 일부분은 수신 회로 내에서는 활동 검출기에만 가해지고, 망 인터페이스 내에서는 상기 활동 검출기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는 로직에만 가해진다. 따라서, 활동 검출기는 제1 전원 핀을 통해 항상 전력 공급되는 반면, 수신기의 나머지 부분과 망 인터페이스의 나머지 부분은 활동이 검출된 이후에만 전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에 따라, 광 수신기의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은 전체 망 내에서 전력 소모량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전압 조절기를 별도의 고 전압 집적회로가 아닌 망 인터페이스 집적회로 내에 구현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보다 낮출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신호와 미리 정해진(최적화된) 신호 강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화된 출력을 생성하는 망 인터페이스 내의 프로그램 가능한 드라이버를 이용함으로써 전송 효율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기술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통신망 내의 상호 접속된 노드를 도시한 블록선도로서, 이 중 단일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되고 있는 하나의 노드를 상세히 도시한 블록선도;
도 2는 통신망의 광신호 경로에 의해 연결되는 광 송신기 및 수신기의 일부만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단일 전원 핀으로 전력 공급되는 광 수신기로서, 수신기가 빛을 수신하고 있는지에 따라 상이한 공급 전류, 즉 저 전력 공급량(낮은 공급 전류) 및 고 전력 공급량(높은 공급 전류)을 생성하는 전력 조절기가 상기 단일 전원 핀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광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4는 하나의 전원 핀에는 저 전력 공급량(즉, 낮은 공급 전류)이 제공되고 나머지 전원 핀에는 고 전력 공급량(즉, 높은 공급 전류)이 제공되는 두 개의 전원 핀에 의해 전력 공급되는 더 바람직한 광 수신기로서, 상기 저 전력 공급량은 망 인터페이스의 제1 부분으로부터 생성되어 활동 검출기에 가해지며, 상기 고 전력 공급량은 유입 신호가 검출기에 의해 검출될 때 전력 생성기로부터 생성되어 이후 광 수신기 및 망 인터페이스의 다른 부분에 공급되는, 더 바람직한 광 수신기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5는 도 4의 광 수신기의 활동 검출기 및 데이터 프로세서 부분을 더 상세히 도시한 블록선도;
도 6은 통신망의 광신호 경로를 테스트하기 위해 가변 드라이버가 진단 모드에 배치되어있는 광 송신기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7은 망 내의 다운스트림 수신기의 전력 출력량에 따라 업스트림 송신기의 송신기 출력을 변화시키는 망 인터페이스에 배치되는 가변 드라이버를 갖는 더 바람직한 광 송신기로서, 상기 송신기 출력은 광 수신 감도에 따라 망 내의 송신기를 재교정하는 정상 동작 모드인지 여부에 따라 변화할 수 있고, 또는 진단 동작 모드에 배치되는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주기적인 교정과, 상기 송신기로부터 최대 출력 전력을 설정함으로써 제조 후 송신기를 교정하기 위해 교정 툴이 사용될 수 있는, 더 바람직한 광 송신기를 도시한 블록선도;
도 8은 망 인터페이스로부터 광 수신기로 데이터의 쓰기 전송 중 상태 핀을 통해 전송되는 상태 신호의 비트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광 수신기로부터 망 인터페이스로 데이터의 읽기 전송 중 상태 핀을 통해 전송되는 상태 신호의 비트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 및 대안적인 형태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여기서는 도면에 하나의 예시로서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 및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본 발명을 아래에 개시되는 특정 형태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와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 등가물, 및 대안물을 포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는 통신망(1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망은 통신 회선(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노드(12)를 포함하고 있다. 통신 회선(14)은 바람직하게는 빛이 전송될 수 있는 광케이블로 구성된다. 노드들(12)은 서로 분리되어 있지만, 통신 회선(14)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각각의 노드(12) 내에는 광섬유 수신기(FOR)(16) 및 광섬유 송신기(FOX)(18)가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노드(12a)의 다양한 요소들을 더 상세히 도시하였다. 간결함을 위해 다른 노드(12b,12c)에는 오직 송수신기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모든 노드가 상기 노드(12a)에 도시된 것과 거의 동일한 요소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송수신부(16a,18a)는 망 인터페이스(20a)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망 인터페이스는 유입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수의 멀티미디어 장치(22a-22N)(최대 N까지 가능한 다중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데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 회로(20a)의 하나의 기능은 상이한 유형의 유입 데이터를 적절한 멀티미디어 장치로 구문 분석(parse)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망(10)은 통신 회선(14)을 통해 스트리밍 데이터 및 패킷화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유입 데이터가 수신 회로(16a)에 의해 수신되면, 망 인터페이스(20a)는 이 데이터에 대한 적절한 채널을 결정하고, 필요한 디코딩 또는 복호화를 실행하며, 이 데이터를 적절한 멀티미디어 장치에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장치가 데이터를 생성하면, 이 데이터는 인터페이스(20a)에 의해 획득되고, 적절한 타임 슬롯 또는 회선(14)의 채널 내에 송신기(18a)에 배치된다. 상이한 유형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채널 및 타임 슬롯을 찾는 것은 망 인터페이스(20a)의 하나의 기능일 뿐이다. 또 다른 기능도 이용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노드(12a)의 여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단일 전원(26)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26)은 수신기 및 송신기뿐만 아니라 각각의 멀티미디어 장치 및 망 인터페이스에도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은 빛이 존재할 때와 존재하지 않을 때 모두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망(10)이 활성 및 비활성일 때 모두 전력을 가하는 것은 과도한 양의 전력을 소모케 하며, LED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일반적으로 배터리로 작동하는 휴대용 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면에서도 비효율적이라고 입증되었다.
도 2는 수신기, 즉 수신기(16c)에 광으로 연결되는 송신기(18a)의 일 예를 도시한다. 하나의 광 회선만이 도시되었지만, 예컨대 송신기(18b)와 수신기(16a) 사이의 광 회선과 같은 다른 광 회선을 예로 들 수도 있다. 도 2의 예에서 송신기(18a)는 LED(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ED는 전기 신호를 통신 회선(14)을 통해 전송되는 광 에너지 또는 빛 에너지로 변환한다. 부하용량(load capacitance) 및 관련된 전기 드라이버(34)는 상당량의 구동 전류(drive current)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유사하게, 광검출기(36) 및 증폭 회로(38)에서도 상당량의 전류가 소모되고, 이는 비트 레이트가 높을수록 더욱 많이 소모된다. 한편, 광검출기(36)는 일반적으로 저항기(32)를 통해 전원과 연결되고 커패시터(31)를 통해 접지와 연결된다. 광검출기(36)는 빛이 존재할 때는 언제나 상당량의 전류를 증폭기(38)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빛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도, 바람직하게는 보다 적은 공급양이기는 하지만 전원이 요구된다.
도 3은 수신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최적화되지 않은 전력 조절 회로(40)를 도시한다. 수신 회로(16a)(도 1) 또는 수신기(16c)(도 2)가 단일 전원 핀을 사용한다면, 전력 조절 회로(40)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42)는 예컨대 7 - 12볼트를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의 전력은 트랜지스터(46)의 게이트에 연결된 증폭기(44)에 가해진다. 저항 분배기(48)로 구성된 피드백 회로는 밴드갭 기준 회로(50)에 의해 생성되는 밴드갭 기준 전압과 비교되는 피드백 전압을 제공한다. 밴드갭 기준 회로(bandgap reference circuit)는 예컨대 저항 분배 망일 수 있다. 빛을 수신하는 수신기(16a) 등으로 인해 피드백 전압이 줄어든다면, 증폭기(44)의 반전 입력은 접지쪽으로 강하될 것이다. 이는 증폭기(44) 출력을 증가시키고 트랜지스터(46)의 소스-드레인 경로의 전체적인 저항을 감소시켜, VDD 노드를 상승시키고, 또한 피드백 전압을 밴드갭 기준 전압쪽으로 다시 끌어올린다. 따라서, 빛이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음에 따라, 트랜지스터(36)를 지나는 전류는 변할 것이다. 예를 들면, 빛이 수신될 때 이 전류는 10 - 50㎃까지 상승할 수 있지만, 빛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이 전류는 10 - 50㎂일 수 있다.
단일 핀을 매개로 수신기(16a)에 공급되는 변화하는 전류는 때때로 특정 전류 범위 내로 제한하기 어렵다. VDD는 홀딩 커패시터(50)로 인해 상당히 유사한 전압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지만, VDD 노드를 근원으로 하는 전류는 극적으로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16a)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도 극적으로 변할 수 있다. 수신기(16a)는 단일 전원 핀을 구비하는 대신, 두 개의 전원 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망이 비활성화될 때 수신기(16a)의 일부만이 전력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망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줄이고, 광 회로의 수명을 증가시키며, 아래에서 기술되는 것과 같이 노드 제조시의 복잡도를 최소화시킨다.
도 4는 더 바람직한 전압 조절 회로(52)(파선으로 도시됨)를 도시하고 있다. 전압 조절기(52)는 망 인터페이스(20a)가 구비되어 있는 모놀리식 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7 - 12볼트 배터리(42)가 조절기(52)에 전압을 공급하지만 격리 저항(54)이 사용되므로, 노드(56)에서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드(56)에서 VDDU에 의해 수신기(16a)의 제1 전원 핀으로 공급되는 전류도 감소시킬 수 있다. 작동 중, 조절 회로(52)는 증폭기(60)의 하나의 입력에서, 밴드갭 기준(62)에 의해 생성된 전압과 대략 동등한 전압 분배량을 가진다. 따라서, 증폭기(60)의 출력은 상당히 작으며, 이는 트랜지스터(64)를 통해 매우 작은 전류가 유도되도록 한다. 한편, 격리 저항(54)이 상당히 크다면(예컨대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배터리(42)의 출력과 노드(56)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4 - 8볼트를 초과할지라도, 저항기(54)를 통해 작은 전류가 유도될 것이다.
이러한 상당히 작은 전류는 부분적으로 트랜지스터(64)를 통해 소모되지만, 나머지는 수신기(16a)의 VDDU 핀(즉, 제1 전원 핀)으로 흐른다. 더 상세하게는, VDDU는 수신기(16a)의 활동 검출기(activity detector) 또는 시동 회로(68)에 가해지지만, 수신기(16a) 내의 다른 모든 회로에 가해지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전압 조절기(40)와 달리, 도 4의 조절기(52)는 망 인터페이스(20a)와 동일한 모놀리식 기판에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주로 전압 조절기(40)는 고전압 공급 신호를 필요로 하므로 도 4의 노드(56)의 더 낮은 전압 공급량과는 달리 더 높은 전압 공급량을 수용할 수 있는 기판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드(56)의 더 낮은 전압 공급량은 망 인터페이스(20a)에 가해지는 더 낮은 전압과 조화될 수 있다. 조절기(52)는 망 인터페이스(20a) 내의 다른 회로와 동일한 전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조절기(52)를 동일 기판에 구현할 수 있는 경제적 이익을 누릴 수 있어 조절기의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줄어든다.
VDDU가 제1 전원 핀에 가해지는 반면, 제2 전원 핀은 VDD를 수용할 수 있다. VDD는 제2 공급량, 즉 바람직하게는 VDDU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전류보다 훨씬 더 큰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공급량은 수신기(16a)의 활동 검출기(68)가 빛을 수신할 때마다 생성된다. 활동 검출기가 빛을 수신하는 경우, 상태 신호가 단일 핀을 통해 활동 검출기(68)로부터 망 인터페이스(20a) 내의 로직(70)으로 전송된다. 로직(70)은 상태 신호의 필요한 디코딩을 실행하고, 전력 조절기(72)로 전송되는 이네이블 신호(enable signal)를 생성한다. 조절기(72)는 VDD 내에서 제2 공급량을 생성한다. 이후, VDD는 로직(70) 및 조절기(52) 이외에도 망 인터페이스(20a) 내의 모든 다른 회로와 연결되고, 활동 검출기(68) 이외에도 수신기(16a) 내의 모든 다른 회로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수신기(68) 내의 나머지 회로는 수신기(16a)의 신호 경로(signal path) 내에서 데이터 유입 포트 및 데이터 프로세서(74)로 분류될 수 있다.
도 5는 수신 회로(16a)의 일 예를 도시한다. 수신 회로(16a)는 도 1의 통신망(10) 내의 모든 수신 회로와 유사하다. 수신기(16a)는 두 개의 주요 회로 요소, 즉 데이터 프로세서부(74) 및 활동 검출부(68)로 구분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부(74)는 데이터 프로세서(80) 및 차동 출력 D+/D-을 갖는 증폭기(82)를 포함한다. 데이터 프로세서(80)는 광검출기(84)에 의해 변환된 유입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광검출기는 VDD 및/또는 VDDU에 의해 전력 공급된다. 예를 들면, 활동 검출기(68)에 의해 활동이 검출되는 경우, 광검출기(84)는 VDD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반면, 활동이 검출되기 전이라면, 광검출기(84)는 VDDU에 의해 전력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가 상태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VDDU 및 VDD를 수신하기 위해 예컨대 다중화기(multiplex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활동 검출기(68)는 유입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는 증폭기(8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신호가 기준 신호의 진폭(amplitude)을 초과한다면, 타이머(88)가 활성화될 것이다. 타이머는 클럭 펄스의 시퀀스일 수 있다. 타이머(88)의 일시중단 기간(timeout period) 동안 증폭기(86)의 신호 출력이 활성화된 채로 유지된다면, 활동은 신호화, 즉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의 빛의 지시 등으로 구현된다. 이 신호는 이후 수신기(16a)의 상태 핀에서 상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출력 버퍼(90)에 의해 버퍼될 수 있다.
아래에서 기술되는 것과 같이, 상태 신호는 양방향성이므로 상태 신호를 망 인터페이스(20a)(도 4)로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 레지스터(92)에 기록하기 위해 상태 신호를 망 인터페이스(20a)로부터 버퍼(90)로 다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활동 검출부(68)는 VDDU에 의해 전력 공급되고, 데이터 프로세싱부(74)는 VDD에 의해 전력 공급된다는 것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수신기(16a)는 두 개의 전원 핀과 단일 상태 핀을 포함한다. 단일 상태 핀은 활동이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활동이 검출된다면, 상태 신호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송된다.
도 6은 일부의 노드(12a)로서, 특히 수신기(16a), 망 인터페이스(20a), 및 송신기(18a)를 도시한다. 수신기(16a)는 활동을 검출한다. 유입 광신호에서 활동이 검출되면 수신기(16a)의 나머지 부분이 제2 전원 핀에 의해 활성화되어, 데이터를 광 에너지로부터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프로세싱 기능을 실행한다. 유입 데이터(데이터 인)는 추가 프로세싱이 실행될 수 있는 망 인터페이스(20a)로 전송된다. 송신기(18a)는 예컨대 프로그램 가능한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진단 신호(diagnostic signal)가 송신기(18a)로 전송되면(진단), 드라이버(94)에 공급되는 전력은 스위치(96)의 활성화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저항 값(R1,R2)이 동일하다면, 드라이버(94)에 가해지는 전력 공급량은 절반으로 감소되어 LED(98)는 절반 전력으로 감소된 광신호를 전송한다.
진단 동작 모드에서는 운용자가 전송되는 신호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신기가 여전히 유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수신기를 테스트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은 가능하다면 특정 범위 내, 예컨대 -1.5dBm 내지 -10dBm 내로 지정될 수 있다. 수신기도 -2dBm 내지 -23dBm에서 동작하도록 지정될 수 있다. 송신기 출력이 절반으로 감소되고 수신기가 어떠한 유입 신호도 검출할 수 없다면, 이는 프로세스 변동(variation) 또는 광통신 회선 내의 허용할 수 없는 감쇠량(attenuation)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10dBm의 신호를 송신하는 최악의 경우에, 회선이 허용할 수 있고 수신기가 여전히 -23dBm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 감쇠량을 가정해보면, 감쇠량은 -13dBm보다 커서는 안 된다. 회선의 감쇠량이 -13dBm이라면, 진단 모드에서는 수신기의 전력이 -26dBm까지 감소될 것이며, 이로 인해 수신기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어떤 과도한 감쇠량은 수신기가 유입 신호를 수신할 수 없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진단 동작은 송신기를 최악의 경우를 가상해 배치하고 수신기 능력을 검사함으로써,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송신기 내에 진단 회로(96)를 배치함으로써 진단 동작이 가능해지지만, 수신기 입력을 기초로 송신기 출력을 어느 정도 감소시켜야 하는지는 대개 알기 어렵다. 예를 들면, 수신기(16a)가 최적화되지 않은 조건에서 동작하거나, 망 인터페이스(20a)를 통해 전달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충분한 드라이브를 생성하지 않는다면, 데이터 아웃(도면 참조) 신호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없으며, 회로(96) 내에서 어떤 유입 신호 또는 데이터 아웃(도면 참조) 신호에 대한 적절한 감쇠량이 모방(mimic)될 수 없다. 더욱 최적화된 교정 또는 진단 기술이 도 7에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망 인터페이스(20a)는 수신기(16a)로부터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16a) 내에는 비교 회로(112)가 있으며, 상기 비교 회로는 수신되는 광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VREF(가능하다면 메모리에 저장됨)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논리값 "1" 또는 "0"이 수신기(16a) 내의 레지스터(108)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된 광신호가 VREF 이하라면, 논리값 1이 레지스터(108)에 저장될 수 있다. 수신된 광신호가 VREF 이상이라면, 논리값 0이 레지스터(108)에 저장될 수 있다. 적절한 논리값은 이후 망 인터페이스(20a)에 의해 주기적으로 인출(fetch)될 수 있고, 상기 망 인터페이스는 이후 레지스터(108)에 저장된 로직 상태에 따라 전력 상승(PU) 또는 전력 하강(PD) 메시지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수신된 광신호가 VREF 이상임을 지시하는 논리값 1이 저장된다면, PU 메시지가 망 인터페이스(20a)에 의해 생성되어 송신기(18a) 및 수신기(16a)를 통해 업스트림 망 인터페이스(20b)로 전송된다. 이후 업스트림 망 인터페이스(20b)는 PU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드라이버(102)를 통해 송신되는 전력을 증가시킨다.
드라이버(102)는 인터페이스(20a)와 동일한 모놀리식 기판에 제조될 수 있고, 드라이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레지스터에 의해 프로그램될 수 있다. 드라이버(102)는 감소된 광 전력을 출력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감소된 광 전력은 시스템이 진단 모드에서 동작 중일 때 하나 이상의 노드로 내려진 명령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망 인터페이스(20a)에게 송신기(18a)의 광 출력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이는 수신기(16b)에 대한 광 입력 전력을 감소시킨다. 감소량은 프로그램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광 전력은 진단 모드에서 3dB 감소될 수 있다. 회선이 여전히 동작한다면, 명백히 3dB 이상의 여유가 있는 것이다. 회선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회선은 한계라고 간주되므로 교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7의 드라이버(102) 출력은 별도의 진단 핀(도 6)을 구비하지 않고, 예컨대 소프트웨어로 프로그램될 수 있다. 개선된 구성은 송신기(18a) 내에 LED(104)만을 포함한다. LED(104)를 구동시키기 위한 나머지 회로는 인터페이스(20b)의 집적회로 내에 구비된다.
진단 모드에서 망 회선, 송신기, 및 수신기를 테스트하는 이외에도, 각 송신기는 제조 후 송신기를 망에 배치하기 전에 테스트될 수 있다. 각 송신기 출력 전력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과정 중 미리 정해진 값에 가능하면 가깝게 그러나 이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교정 툴(106)은 각 노드마다 송신기 출력과 수신기 입력을 가로질러 제조 후 즉시 결합될 수 있다. 툴(106)은 노드가 망에 삽입된 후 전체 망이 동작하는 동안이 아닌, 노드의 제조 중에 주로 사용된다. 툴(106)은 노드(12a)의 송신기(18a)로부터 광 출력 전력을 측정하고, 이 값을 메시지로 망 인터페이스(20a)에게 전송한다. 송신기가 예컨대 -1.5dBM 이상의 값을 생성한다면, 툴(106)은 메시지를 노드(12a)로, 특히 구성 레지스터로 전송하여 송신기(18a)의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수신기(16a)에서 -1.5dbM 이하 값이 나타날 때까지 계속되며, 이 때에는 송신기 출력을 -1.5dBM에 가능하면 가깝게 그러나 이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정하는데 사용된 값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이는 송신기(18a)가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 -1.5dbM 이상의 값을 생성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송신되는 전력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는 LED 및 드라이버 제조 프로세스 변동, LED 및 드라이버 온도 변동, 및 LED 에이징이 포함된다. 프로세스 변동은 인터페이스(20a) 및 송신기(18a)를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에 배치한 후 최종제품 제조업자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온도 및 에이징 변동은 송신기(18a) 및 망 인터페이스(20a) 내 드라이버의 일반적인 측정법에 기초하여 인터페이스(20a)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제조 후, 상기 교정 툴(106)은 각각의 노드 송신/수신 포트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 망이 형성될 수 있다(노드가 제조된 후 결합 툴(106)이 각각의 노드로부터 제거됨을 나타내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음). 송신기는 실제로 사용될 때에는 가능하면 노드를 켬으로써 망이 활성화될 때마다 주기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기(16a)는 송신기(18b)로부터 수신되는 광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수신되는 전력이 일정 레벨 이상이라면, 망 인터페이스(20a)는 망 인터페이스(20b)의 LED 드라이버(102) 출력의 감소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망 인터페이스(20b)에게 전송한다. 인터페이스(20b)가 그 드라이버 전류를 감소시키고 나면, 인터페이스(20a)는 수신기(16a)를 검사할 것이다. 수신된 전력이 여전히 임계값 이상이라면, 인터페이스(20a)는 인터페이스(20b)에게 또 다른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터페이스(20b)의 출력을 다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수신기(16a)가 임계값 이하의 수신 전력을 검출할 때까지 반복된다. 일단 임계값 이하라면, 인터페이스(20a)는 수신되는 전력이 임계값 바로 이상이 될 때까지 인터페이스(20b)의 구동 전류를 증가시키도록 인터페이스(20b)에게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이 값은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유닛 내의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한편,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에이징, 접속 상의 오물 축적 등으로 인해, 송신기(18b)와 수신기(16a) 사이의 회선에서는 감쇠량이 악화될 것이다. 인터페이스(20a)가 수신기(16a)를 측정하여 수신되는 전력이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할 때마다, 인터페이스(20a)는 인터페이스(20b)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인터페이스(20b)의 구동 전류 및 송신기(18b) 광 출력 전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감쇠량이 매우 불량하여 인터페이스(20b)가 예컨대 -1.5dBM의 시각 안전 한계(eye safety limit)를 초과하도록 인터페이스(20b)의 출력 전류를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인터페이스(20a 또는 20b)는 중앙 시스템 컨트롤러에게 회선이 한계임을 통지할 것이며, 이는 사용자 또는 기술자에게 보고될 것이다. 기술자는 망 인터페이스 유닛에 저장된 모든 진단 정보를 읽을 수 있고 어떤 광 회선이 한계인지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기술자는 한계가 어느 정도인지는 모를 수도 있다. 여전히 3dB의 여유가 있는지 측정하기 위해, 기술자는 예컨대 각각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광 전력을 3dB 감소시키도록 진단 모드에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이 여전히 적절하게 동작한다면, 여전히 3dB의 여유가 있는 것이다.
신호 강도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한다면, 전력 하강(PD) 메시지가 망을 통해 예컨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18)를 구비한 업스트림 망 인터페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변환기(118)는 드라이버(102)의 출력을 감소시킬 것이다. 그러나, 신호 강도가 메모리(110)에 저장된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다면, 전력 상승(PU) 신호가 변환기(118)로 전송되어 드라이버(102)의 출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의 펌웨어가 미리 정해진 전압 값을 저장하는데, 또한 다운스트림 수신기(16a)의 입력 전력을 기초로 업스트림 송신기(18a)의 출력 전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작은 광감쇠량을 갖는 회선은 낮은 전력 소모량, 더 낮은 전자파 방출, 및 향상된 LED 신뢰도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이는 수신기(16a)에서 유입 광신호를 모니터하고, 이 신호를 수신기 내의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업스트림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을 유지하기에 적절한 송신 전력만이 남도록 송신 전력이 계속해서 모니터될 수 있으므로, 전력 소모 및 방출이 감소되고, 열 손실이 줄어들며, LED를 상당 기간 과구동(overdrive)함으로써 야기되는 LED에 대한 손상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작동 중에는 수신 전력 표시기가 주기적으로 모니터된다. 송신 포트가 이미 최대 안전 보장 전력(maximum guaranteed safe power)을 출력중이라면, 애플리케이션이 통지된다. 프로세스, 온도, 및 에이징 변동이 얼마나 잘 보정되는지에 따라, -1.5dBm에 얼마나 근접한지 측정될 수 있어 송신되는 전력이 보장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동작 모드에서, 상태 핀은 단지 디지털 상태 출력으로 동작하며, 이러한 디지털 상태 출력은 수신기(16a)가 저 전력 모드에 있는지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 있는지 지시한다. 저 전력 모드는 광검출기에 어떠한 빛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고, 정상 동작 모드는 빛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상태 핀은 양방향 직렬 통신을 제공하므로, 이에 의해 외부 컨트롤러가 수신기의 내부 레지스터 및/또는 이 수신기와 관련된 망 인터페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수신기 및 망 인터페이스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상태 라인(status line)은 직렬 비동기 포맷(serial asynchronous format)을 사용하여 작동한다. 내부에는, 레지스터 어드레스 포인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8비트 레지스터가 있다. 라인이 활성화된 이후의 제1 전송은, 우선 레지스터 어드레스 포인터로 로드되는 2개의 시작 비트(01), 5개의 어드레스 레지스터 비트, MSB 비트와, 후속하는 전송의 방향(direction)을 지정하는 읽기/쓰기 비트를 포함하는 제1 바이트의 쓰기 전송이어야 한다. 읽기/쓰기가 낮다면(low), 후속하는 바이트는 읽기 어드레스 레지스터에 의해 지시되는 레지스터에 쓰여진다. 읽기/쓰기가 높다면(high), 바이트는 레지스터 어드레스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레지스터로부터 읽혀진다. 레지스터 어드레스는 5개의 비트 폭을 가지며, 최대 32 내부 레지스터까지 허용된다.
상태 라인은 수신기로 들어오는 유효한 빛이 있을 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상태 신호가 논리값 0의 레벨로 천이되도록 한다. 상태 라인이 활성화되면, 내부 오실레이터가 켜져 상태 기기를 클럭한다. 일단 전송이 완료되면, 내부 오실레이터는 전력 관리 상태 기기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다면 꺼진다. 상태 핀에서 데이터와 관련하여 외부 클럭이 구비될 필요가 없는데, 즉 데이터는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되고, 수신기는 내부적으로 상태 핀에서 신호를 오버샘플하며, 이 데이터로부터 클럭을 재생하고 데이터를 샘플한다. 이 데이터는 NRZ 포맷으로 전송될 수 있다. 수신기는 타이밍 복원(timing recovery)을 위해 항상 슬레이브 모드로 있을 수 있다.
도 8은 쓰기 전송(write transfer), 특히 망 인터페이스(20a)로부터 상태 핀을 통한 수신기(16a)로의 데이터의 쓰기를 도시한다.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빛이 검출되고 상태 신호가 저 전압의 논리값(logic low voltage value)으로 천이된다. 이후에, 마스터 장치(즉, 망 인터페이스)는 상태 핀에서 대략 200㎲동안 높음을 어서트할 것이며(assert high), 이는 상태 핀을 중간전압(mid-rail)으로 유도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으로 인해 수신기가 시동되며, 이 수신기는 상태 핀을 해제(release)하고, 망 인터페이스가 01의 시작 코드를 전송하게 되는 올바른 시작 시퀀스를 대기할 것이다. 적절한 시퀀스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시스템은 대략 미리 정해진 횟수의 클럭 사이클 후에 타임 아웃(time out)할 수 있다. 일단 시퀀스가 수신되면, 망 인터페이스는 5비트 어드레스를 통해 어드레스를 전송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망 인터페이스가 수신기에 기록 중이라면, 망 인터페이스는 전압의 논리값이 0인 쓰기 비트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망 인터페이스는 8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한 후 즉시 상태 핀을 해제한다. 이후에 수신기는 상태 핀을 도시된 것처럼 낮게(low) 구동할 것이다.
도 9는 망 인터페이스(20a)가 수신기(16a)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읽기 전송(read transfer) 동작을 도시한다. 도 8과 유사하게, 빛이 수신기 광검출기에 도달하면, 상태 신호는 저 전압의 논리값으로 천이한다. 이후 망 인터페이스는 상태 핀을 중간전압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전송을 개시할 것이며, 이후에 수신기는 상태 핀을 해제한다. 망 인터페이스는 01 시작 코드를 전송하고, 마스터 장치와 같은 망 인터페이스는 어드레스를 전송한다. 읽기/쓰기 비트는 읽기 동작을 나타내는 고 전압의 논리값(logic high voltage value)에 있을 것이다. 이후 망 인터페이스는 읽기 비트를 전송한 후 상태 핀을 해제할 것이다. 수신기는 이후 시작 코드(01)를 전송하고, 8비트 데이터 패킷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로 시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것이다.
당업자는 여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이, 배터리와 같은 휴대용 전원을 포함하는 전력 소모 및 전력 관리가 신중하게 모니터되어야 하는 응용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은 자동차 내에서 각각의 노드가 자동차 내의 선택적인 위치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장치가 각각의 노드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 회선은 바람직하게는 광케이블이고, 각 노드 내의 수신기 및 송신기는 바람직하게는 광섬유 수신기 및 광섬유 송신기이다. 그러나, 또 다른 구조 및 구성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망, 수신기, 송신기의 각 요소 및 모든 요소는 다양하게 변경 및 변화할 수 있으며, 다음의 청구항은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은 한정적인 의미가 아닌 예시적 의미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4)

  1. 발광 다이오드인 LED; 및
    상기 LED와 연결되고, 드라이버로부터 디지털 프로그램된 출력 및/또는 드라이버로부터 출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입력 핀으로서, 상기 드라이버는 드라이버와 연결된 수신 회로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의존하는, 입력 핀;을 포함하는 송힌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다운스트림 수신 회로, 유입 신호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는 상기 다운스트림 수신 회로 내의 비교기, 비교 결과가 전력 상승 값을 산출하는지 전력 하강 값을 산출하는지를 계산하는 다운스트림 망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전력 상승 값 또는 전력 하강 값을 상기 수신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로 전송하는 다운스트림 송신 회로로부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스트림 망 인터페이스가 전력 상승 값을 계산하는지 전력 하강 값을 계산하는지에 따라 상기 드라이버 출력을 각각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수신 회로가 업스트림 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LED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와 수신 회로 사이에 연결되는 진단 툴로서, 상기 진단 툴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수신 회로로 유입되는 신호 강도에 따라 상기 LED의 출력을 교정하는 진단 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회로.
KR1020137020343A 2006-02-17 2007-02-16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및 송신 회로 KR20130094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003322.2 2006-02-17
EP06003321.4 2006-02-17
EP06003321 2006-02-17
EP06003322 2006-02-17
US11/421,947 US7912381B2 (en) 2006-06-02 2006-06-02 Transmission network having an optical receiver that utilizes dual power pins and a single status pin to lower power consumption, lower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US11/421,947 2006-06-02
PCT/US2007/062327 WO2007098411A2 (en) 2006-02-17 2007-02-16 Transmission network having an optical receiver that utilizes dual power pins and a single status pin to lower power consumption, lower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732A Division KR20080114739A (ko) 2006-02-17 2007-02-16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4353A true KR20130094353A (ko) 2013-08-23

Family

ID=384380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732A KR20080114739A (ko) 2006-02-17 2007-02-16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KR1020137020343A KR20130094353A (ko) 2006-02-17 2007-02-16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 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및 송신 회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732A KR20080114739A (ko) 2006-02-17 2007-02-16 전력 소모량 및 제조 비용을 낮추고 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중 전원 핀 및 단일 상태 핀을 이용하는광 수신기를 포함하는 통신망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2477348A1 (ko)
JP (3) JP4988772B2 (ko)
KR (2) KR20080114739A (ko)
CN (1) CN102176686A (ko)
WO (1) WO20070984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7613A1 (de) 2008-11-10 2010-06-24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Transceiverschaltung für ein Bussystem und Knoten für ein Bussystem
US8601296B2 (en) 2008-12-31 2013-12-03 Intel Corporation Downstream device service latency reporting for power management
WO2012124231A1 (ja) * 2011-03-14 2012-09-20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蓄電池ユニット、及び蓄電池システム
JP6189336B2 (ja) * 2013-01-17 2017-08-30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US9229889B2 (en) * 2013-03-13 2016-01-05 Atieva, Inc. Dual voltage communication bus
CN107342821B (zh) * 2017-07-18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网络设备、光学系统及通信系统
CN110572602B (zh) 2019-03-12 2021-10-15 飞昂创新科技南通有限公司 用于光学数据互连系统的激活的电池触发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3533A1 (de) * 1980-04-08 1981-10-15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mit einer laserdiode zur uebertragung von nachrichtensiglnalen ueber einen lichtwellenleiter
JPH062359Y2 (ja) * 1990-08-30 1994-01-19 サンクス株式会社 光通信用受信回路
JPH04196825A (ja) * 1990-11-28 1992-07-16 Hitachi Ltd 光伝送信号受信装置の電源制御回路
JPH05114886A (ja) * 1991-10-22 1993-05-07 Nec Corp 遠隔装置電源制御方式
JPH05251949A (ja) * 1992-03-04 1993-09-28 Nec Corp 光受信回路
JPH0993199A (ja) * 1995-09-26 1997-04-04 Nec Shizuoka Ltd 光送受信レベル調整回路
JPH09326756A (ja) * 1996-06-07 1997-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発光制御装置
JPH11205230A (ja) * 1998-01-19 1999-07-30 Fujitsu Ltd 赤外線通信装置
JPH11205239A (ja) * 1998-01-20 1999-07-30 Victor Co Of Japan Ltd 光通信装置及び光通信装置における光量制御方法
TW391588U (en) * 1998-06-19 2000-05-21 Hu Yu Min Power-saving Infra Red signal sensing system
US7221285B1 (en) 1998-08-17 2007-05-22 Zilog,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standby mode for infrared data transceivers
US6763060B1 (en) * 1999-02-19 2004-07-13 Oasis Silicon System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network of power managed transceivers that can generate a clocking signal or enable data bypass of a digital system associated with each transceiver
JP2000332686A (ja) * 1999-05-17 2000-11-30 Nec Corp 光伝送装置、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伝送方法
US6810216B1 (en) * 1999-07-02 2004-10-26 Nokia Corporation Fast infrared transceiver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DK1109336T3 (da) 1999-09-17 2006-10-09 Tellabs Denmark As Fremgangsmåde til initialisering af en optisk transmitter
US7072582B2 (en) 2001-10-19 2006-07-04 Lockheed Martin Corporation Optical transmitter power setting using feedback
JP2003143113A (ja) * 2001-10-30 2003-05-16 Fujitsu Ltd 波長多重光伝送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集中管理装置並びに同システムにおけるプリエンファシス制御方法
JP2003298526A (ja) * 2002-03-29 2003-10-17 Ngk Insulators Ltd 光通信システム、光通信方法及び光伝送媒体
JP3959381B2 (ja) * 2003-09-04 2007-08-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光センサ、及び、携帯端末
JP4368182B2 (ja) * 2003-10-31 2009-11-18 富士通株式会社 送信光パワー制御方法,光通信システムおよび光伝送装置
JP4133897B2 (ja) * 2004-03-29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光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88772B2 (ja) 2012-08-01
WO2007098411A3 (en) 2008-03-13
JP2012085359A (ja) 2012-04-26
JP5260762B2 (ja) 2013-08-14
EP2477348A1 (en) 2012-07-18
WO2007098411B1 (en) 2008-05-29
EP1989802A2 (en) 2008-11-12
EP1989802B1 (en) 2014-04-09
KR20080114739A (ko) 2008-12-31
JP2011217412A (ja) 2011-10-27
CN102176686A (zh) 2011-09-07
JP2009527951A (ja) 2009-07-30
WO2007098411A2 (en)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3174B2 (en) Transmission network having an optical receiver that utilizes dual power pins and a single status pin to lower power consumption, lower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JP5260762B2 (ja) 電力消費を低下させ、製造コストを低下させ、送信効率を増大させるために、二つの給電ピンと一つのステータスピンとを用いた光受信器を有する送信ネットワーク
US921339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tting the address of a module using a clock
US929890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tting the address of a module using a voltage
US7620317B2 (en) Programmable loss of signal detect hardware and method
CN101385264B (zh) 接收器电路、传送器电路和通信网络
US6559997B1 (en) Optical transmitter and optical transmit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775841B2 (en) Circuit configuration having a transceiver circuit for a bus system and nodes for a bus system
US20040136421A1 (en) Loss of signal detection and programmable behavior after error detection
US20180159634A1 (en) Receiver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receiver system
KR100766031B1 (ko) 동작 코드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데이터 필드를갖는 투와이어 인터페이스
US11355946B2 (en) Communication architecture between ear bud device and charging device based on fewer pins
US7543176B2 (en) Background consistency checking in an optical transceiver
CN214315268U (zh) Swp主接口电路及终端
CN112511153B (zh) Swp主接口电路及终端
JP7287413B2 (ja) 状態検出装置
JP2000112588A (ja) トライステートバス用光信号変換装置
JPH10327107A (ja) 光送信装置
JPH0213049A (ja) 信号伝送システムの異常交信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