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292A -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292A
KR20130092292A KR1020120013938A KR20120013938A KR20130092292A KR 20130092292 A KR20130092292 A KR 20130092292A KR 1020120013938 A KR1020120013938 A KR 1020120013938A KR 20120013938 A KR20120013938 A KR 20120013938A KR 20130092292 A KR20130092292 A KR 20130092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lycol
hollow fiber
mol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아
지성대
김도현
신동수
임지영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2292A/ko
Publication of KR20130092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지방족산 및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방향족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산성분, 술폰산금속염 및 탄소수 2~14의 디올성분을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축합시켜 제조되는 섬유로써, 지방족산 9 내지 20몰%, 방향족산 79 ~ 90몰% 및 술폰산금속염 0.1 내지 1.5몰%로 혼합되고,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을 포함하는 물질과 디올성분의 비율이 1.0 : 1.0~1.4 중량비로 혼합된 섬유이며, 중공율 10~30%로 이루어지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Blend composition biodegradable hollow faber having heat insulation and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분해가 잘 이루어지면서 방사공정이 가능하여 원사 등에 활용가능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생분해성 수지 즉,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 폴리에틸렌석시네이트, 폴리라틱에시드 등은 생분해성이 우수하지만, 높은 가격으로 경제성이 결여되어 있거나, 용융점이 낮아 1회용품인 성형사출물에 한정적일 수밖에 없고, 섬유제품군과 같이 제품 제조에 있어, 열적 안정성을 유지해야하는 제품군의 용도 전개는 곤란한 실정이다. 기존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경우 기계적 물성, 내화학성, 내구성이 낮기 때문에 1회용 포장용 소재 즉 사출성형 제품군에 국한되어 적용되고 있다는 제한된 용도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중합 시 사용되는 원료로 디올 성분 중 디 에틸렌글리콜(DEG)를 사용함으로써 섬유제품군을 제조하기 위한 방사 공정 전 단계인 건조단계에서 건조조건 확보가 곤란한 단점이 발생하였고, 반응 속도를 촉진하기 위해 상용한 코촉매인 알루미늄아세테이트 베이직으로 인하여 방사 시 초기 팩압이 발생함으로써 방사 작업성이 곤란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로 인하여 제조된 폴리머의 색조 b값이 9 이상으로 섬유제품군으로 용도 전개함에 있어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7002339호, 발명의 명칭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혼합물" 및 동 제2001-0055645호, 발명의 명칭 "인열강도가 보강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과 같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0-0075068호에서는 섬유제품군으로 제조가 가능한 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을 제조하였으나, 색조 b값이 9 이상이며, 방사 시, 초기 팩압이 높은 단점으로 인하여 방사 작업성이 용이하지 않음으로 섬유용도로 제품을 전개하기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보공개특허 특개평4-189822, 189823호 등에서는 지방족 디카르본산류와 지방족 2가 글리콜류를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후 중축합 반응을 한 다음, 다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하고 반응시켜 분자량을 증가시킴으로서 분자량 및 용융점도의 향상하여 기존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보다 물성을 향상시켰으나 섬유나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는 물성을 확보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지방족폴리카르복실산과 방향족 폴리카폴리카르복실부터 유도된 퇴비화 조건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개발되었으며, 지방산 또는 방향족산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섬유화가 가능한 수지 개발 및 용도전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족, 방향족 생분해성 수지를 적용하여 경량 및 보온성을 갖는 섬유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침구 제품 또는 의류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섬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발명된 것으로 지방족산과 방향족산을 이용하여 투입 원료의 조성 변경 등으로 방사 및 연신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공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최적의 제조조건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공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 및 보온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지방족산 및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방향족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산성분, 술폰산금속염 및 탄소수 2~14의 디올성분을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축합시켜 제조되는 섬유로써, 지방족산 9 내지 20몰%, 방향족산 79 ~ 90몰% 및 술폰산금속염 0.1 내지 1.5몰%로 혼합되고,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을 포함하는 물질과 디올성분의 비율이 1.0 : 1.0~1.4 중량비로 혼합된 섬유이며, 중공율 10~30%로 이루어지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향족산이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의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방족산이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수베린산(sube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피메르산(Pimeric acid),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스산(Sebasic acid), 노나노산(Nonanoic acid), 데카노인산(Decanoic acid), 도데카노인산(Dodecanoic acid) 및 헥사노데카노인산(Hexadecano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의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올성분이 탄소수 2 내지 14인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트리메틸글리콜(Trimethyl Glycol), 테트라메틸렌글리콜(Tetramethylene Glycol), 펜타메틸글리콜(Pentamethyl Glycol), 헥사메틸렌글리콜(Hexamethylene Glycol), 헵타메틸렌글리콜(Heptamethylene Glycol), 옥타메틸렌글리콜(Octamethylene Glycol), 노나메틸렌글리콜(Nonamethylene Glycol), 데카메틸렌글리콜(Decamethylene Glycol), 운데카메틸렌글리콜(Undecamethylene Glycol), 도데카메틸렌글리콜(Dodecamethylene Glycol), 트리데카메틸렌글리콜(Tridecamethylene Glycol) 및 테트라데카메틸렌글리콜(Tetradecam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의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족산 9 내지 20몰%, 방향족산 79 ~ 90몰% 및 술폰산금속염 0.1 내지 1.5몰%로 혼합되고, 산성분(지방족산 및 방향족산) 및 술폰산금속염을 포함하는 물질과 디올성분의 비율이 1.0 : 1.0~1.4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200 내지 260℃에서 210 내지 330분 동안, 40 내지 8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에스테르화단계; 상기 올리고머를 240 ~ 285℃에서 180 ~ 210분 동안, 40 ~ 100rpm으로 중축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단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방사하여 중공율 10~30%로 제조하는 중공사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은 방사가 가능하고 연신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공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는 경량 및 보온성이 향상되어 침구 제품 또는 의류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는 강도가 4.1~4.8g/de, 신도 25~35%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중공사는 지방족산 및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방향족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산성분, 술폰산금속염 및 탄소수 2~14의 디올성분을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축합시켜 제조되는 섬유로써, 지방족산 9 내지 20몰%, 방향족산 79 ~ 90몰% 및 술폰산금속염 0.1 내지 1.5몰%로 혼합되고,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을 포함하는 물질과 디올성분의 비율이 1.0 : 1.0~1.4 중량비로 혼합된 섬유이며, 중공율 10~30%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산성분 중 상기 지방족산은, 바람직하게는,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수베린산(sube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피메르산(Pimeric acid),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스산(Sebasic acid), 노나노산(Nonanoic acid), 데카노인산(Decanoic acid) 및 도데카노인산(Dodecanoic acid), 헥사노데카노인산(Headecano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2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지방족산은 특히 탄소수가 짝수인 옥살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등을 1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2가 글리콜과의 반응시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지니고 있어 바람직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지방족산은 상기 산성분 및 금속산술폰산 총 몰%에서 9 내지 20몰%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산의 사용량이 9몰%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생분해성을 갖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20몰%를 초과할 경우 성형가공시에 기계적 물성이 매우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산성분 중 상기 방향족산은, 바람직하게는,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1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산의 사용량은 상기 산성분 총 중량 중 상기 지방족산과 상기 술폰산금속염의 함량을 제한 잔여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방향족산의 사용량이 너무 적은 경우, 수득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섬유제품군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사성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많은 경우, 수득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분해 및 퇴비화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산은 상기 산성분 및 금속산술폰산 총 몰%에서 79 내지 90몰%의 범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술폰산금속염은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을 사용하여 생분해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데, 상기 술폰산금속염은 상기 산성분 및 금속산술폰염 총 몰%에서 0.1 내지 1.5몰%의 범위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술폰산금속염이 0.1몰%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득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생분해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1.5몰%를 초과하는 경우, 성형성이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디올성분은 탄소수 2 내지 14인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헵타메틸렌글리콜, 옥타메틸렌글리콜, 노나메틸렌글리콜, 데카메틸렌글리콜, 운데카메틸렌글리콜, 도데카메틸렌글리콜, 트리데카메틸렌글리콜, 테트라데카메틸렌글리콜의 지방족 2가 글리콜로서, 특히 탄소수가 2 내지 6개이고, 짝수인 에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등이 물성개선에 있어서 우수하다.
상기 방향족산, 지방족산의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 물질과 디올성분의 혼합비율은 1.0 : 1.0 ~ 1.4 중량비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의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방향족산, 지방족산의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 물질과 디올성분을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공정 및 중축합공정으로 제조한다.
상기 에스테르화 공정은 방향족산과 지방족산의 산성분과, 디올성분을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용도에 따른 조성으로 조성한 후, 200~260℃에서 210~330분, 40~80rpm으로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공정이다.
상기 에스테르화 공정에서 반응온도는 260℃ 이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부산물 생성이 적고 원료물질의 열분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공정은 상기 에스테르 공정으로 제조된 올리고머를 240~285℃에서 180~210분, 40~100rpm으로 중축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중합물의 경우 200 내지 270℃의 저온에서 행해지는데, 본 발명의 경우, 방향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중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240 내지 285℃의 더 높은 온도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촉매와 열안정제의 선택은 중요하다.
상기 중합공정에서 중합촉매로 티탄계 촉매 또는 안티몬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탄계 촉매는 테트라부틸 이소프로폭시드(Tetrabutyl Isopropoxide) 또는 테트라부틸 티탄네이트(Tetrabutyl Titanat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티몬계 촉매는 안티몬 트리옥시드(Antimon Triox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중합촉매는 티탄계 촉매 또는 안티몬계 촉매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두 촉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티탄계 촉매, 안티몬계 촉매를 혼합하여 사용시에는 티탄계 촉매와 안티몬계 촉매를 25:75~50:5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중합 반응시 사용한 촉매로는 안티몬화합물을 이용하였으며, 고온에서 색상의 변색을 억제하기 위해 인화합물을 사용하였고, 안티몬화합물로는 삼산화안티몬, 사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과 같은 산화안티몬류, 삼황화안티몬, 삼불화안티몬, 삼염화안티몬 등과 같은 할로겐화 안티몬류,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 안티몬벤조에이트, 안티몬트리스테아레이트 등을 사용하였고, 특히 삼산화안티몬, 안티몬트리아세테이트 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며, 그 사용량은 중합 후에 수득되는 이론치로서의 중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600ppm을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인화합물로는 인산, 모노메틸인산 트리메틸인산, 트리부틸인산 등 인산류 및 그의 유도체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중에서도 특히 트리메틸인산 또는 트리페닐아인산이 그 효과가 우수하여 바람직하고, 인화합물의 사용량은 중합 후에 수득되는 이론치로서의 중합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0 내지 500ppm을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방사하여 중공율을 갖는 중공사를 제조할 수 있는 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약 270℃의 방사온도에서 방사하며, 방사속도 3500~4500rpm에서 연신비 2~4배로 진행한다. 방사가 진행된 이후에 NaOH 1% 용액에 약 20분 동안 용출시킨 후에 중공율 10~30%인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된 중공사는 강도가 4.1~4.8g/de, 신도 25~35%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공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교반기 및 콘덴서가 부착된 250㎖ 플라스크에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으로서 반응몰비로 아디프산 10몰%와 테레프탈산 89몰% 및 술폰산금속염 1몰%를 투입한 후, 에틸렌글리콜의 투입량은 상기 산성분과 술폰산금속염의 물질 : 에틸렌 글리콜이 1: 1.2의 중량비가 되도록 투입한 후, 에스테르화 촉매로 리튬아세테이트 400ppm을 첨가하고, 반응기 내의 온도를 상온으로부터 30분간에 걸쳐 120℃까지 승온시키고 교반하면서 120분간 250℃까지 승온 반응시켰다. 이때 생성된 부반응물인 메탄올과 물은 콘덴서를 통하여 유출시켰다. 이어서 열안정제로 인산 300ppm, 촉매로서 삼산화안티몬 300ppm을 첨가한 후, 40분간에 걸쳐 관내 압력을 0.5mmHg까지 서서히 감압시킴과 동시에 관내 온도를 280℃까지 승온 반응시키면서 180분 동안 교반 반응을 진행한 다음 교반을 중단하고 토출시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바탕으로 12 hole 타입의 중공 구금을 적용하여 중공사를 제조할 수 있는 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25D/12F(125데니안/12필라멘트)의 섬유로 제조하며, 중공율 10~30%인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제조시 약 270℃의 방사온도에서 방사하며, 방사속도 3500~4500rpm에서 연신비 2~4배로 진행하여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아디프산 20몰%, 테레프탈산을 79몰% 및 술폰산금속염 1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100D/12F(100데니안/12필라멘트)의 중공사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5D/12F(75데니안/12필라멘트)의 중공사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50D/12F(50데니안/12필라멘트)의 중공사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테레프탈산을 59몰%, 아디프산 40몰% 및 술폰산금속염 1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75D/12F(75데니안/12필라멘트)의 섬유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산성분으로 석신산 40몰% 및 테레프탈산 60몰%을 혼합하고, 술폰산금속염을 사용하지 않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바탕으로 방사하여 중공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중공사의 물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구 분 가공성 섬도(de') 강도(g/de) 신도(%) 중공율(%) 가수분해율(%)
실시예 1 방사가능 119.7 4.2 31.9 25.0 88.5
실시예 2 방사가능 120.5 4.1 29.8 24.7 86.9
실시예 3 방사가능 98.2 4.2 27.0 18.7 90.2
실시예 4 방사가능 74.9 4.3 24.8 16.5 90.5
실시예 5 방사가능 50.4 4.7 25.5 11.6 92.4
비교예 1 방사불가능
(계면분리)
비교예 2 방사불가능
(계면분리)
비교예 3 방사불가능
(계면분리)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카르복실산기를 포함하는 지방족산 및 페닐렌기를 포함하는 방향족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산성분, 술폰산금속염 및 탄소수 2~14의 디올성분을 혼합하여 에스테르화 및 중축합시켜 제조되는 섬유로써,
    지방족산 9 내지 20몰%, 방향족산 79 ~ 90몰% 및 술폰산금속염 0.1 내지 1.5몰%로 혼합되고, 산성분 및 술폰산금속염을 포함하는 물질과 디올성분의 비율이 1.0 : 1.0~1.4 중량비로 혼합된 섬유이며, 중공율 10~30%로 이루어지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산이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Dimethyl Terephthalate)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Dimethyl Isophthalate) 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의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산이 옥살산(Oxal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석신산(Succin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수베린산(sube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피메르산(Pimeric acid), 아젤라인산(Azelaic acid), 세바스산(Sebasic acid), 노나노산(Nonanoic acid), 데카노인산(Decanoic acid), 도데카노인산(Dodecanoic acid) 및 헥사노데카노인산(Hexadecanoic acid) 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의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성분이 탄소수 2 내지 14인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트리메틸글리콜(Trimethyl Glycol), 테트라메틸렌글리콜(Tetramethylene Glycol), 펜타메틸글리콜(Pentamethyl Glycol), 헥사메틸렌글리콜(Hexamethylene Glycol), 헵타메틸렌글리콜(Heptamethylene Glycol), 옥타메틸렌글리콜(Octamethylene Glycol), 노나메틸렌글리콜(Nonamethylene Glycol), 데카메틸렌글리콜(Decamethylene Glycol), 운데카메틸렌글리콜(Undecamethylene Glycol), 도데카메틸렌글리콜(Dodecamethylene Glycol), 트리데카메틸렌글리콜(Tridecamethylene Glycol) 및 테트라데카메틸렌글리콜(Tetradecamethylene Glycol)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의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5. 지방족산 9 내지 20몰%, 방향족산 79 ~ 90몰% 및 술폰산금속염 0.1 내지 1.5몰%로 혼합되고, 산성분(지방족산 및 방향족산) 및 술폰산금속염을 포함하는 물질과 디올성분의 비율이 1.0 : 1.0~1.4 중량비로 혼합하는 혼합단계;
    200 내지 260℃에서 210 내지 330분 동안, 40 내지 8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올리고머를 제조하는 에스테르화단계;
    상기 올리고머를 240 ~ 285℃에서 180 ~ 210분 동안, 40 ~ 100rpm으로 중축합하여 제조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단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방사하여 중공율 10~30%로 제조하는 중공사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제조방법.
KR1020120013938A 2012-02-10 2012-02-10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2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38A KR20130092292A (ko) 2012-02-10 2012-02-10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938A KR20130092292A (ko) 2012-02-10 2012-02-10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292A true KR20130092292A (ko) 2013-08-20

Family

ID=4921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938A KR20130092292A (ko) 2012-02-10 2012-02-10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22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3595B2 (en) Co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a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JP2015517606A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JP2008069271A (ja) ポリラクチドの製造方法
CN101466760A (zh) 含1,4-环己烷二甲醇的聚酯的制备方法
TWI589639B (zh) 具有增進顏色的聚(對苯二甲酸1,4-環己二甲酯樹脂)的方法與以此方法製備的聚(對苯二甲酸1,4-環己二甲酯樹脂)
KR10131776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US10072118B2 (en)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ving enhanced crystallization speed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101792080B1 (ko) 용출형 편직물 제조방법
KR20130008818A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CN114989406B (zh) 一种非金属有机化合物在dmt法合成聚酯中的应用、dmt法功能共聚酯及其制法
KR101369717B1 (ko) 분해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37285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블렌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섬유
KR20160052260A (ko)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의 제조 방법
KR101371115B1 (ko) 분해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292654B1 (ko) 스크린 원단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20130092292A (ko) 보온성을 갖는 생분해성 중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US3935168A (en) Process for preparing polyesters from terephthalic acid in the presence of phosphonium compounds
KR101911385B1 (ko) 유연성을 향상시킨 폴리시크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
CN111116883A (zh) 一种生物可降解共聚酯及其制备方法
KR10030854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터섬유의 제조방법
KR102499138B1 (ko) 염기성 염료 가염성 부직포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KR20140057716A (ko) 발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
KR20140042695A (ko) 바이오 매스 유래 성분을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66808B1 (ko)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2608910B2 (ja) ポリエステル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