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529A -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 Google Patents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529A
KR20130091529A KR1020120012895A KR20120012895A KR20130091529A KR 20130091529 A KR20130091529 A KR 20130091529A KR 1020120012895 A KR1020120012895 A KR 1020120012895A KR 20120012895 A KR20120012895 A KR 20120012895A KR 20130091529 A KR20130091529 A KR 20130091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mirror
cabinet
bathroom cabine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옥
Original Assignee
김기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옥 filed Critical 김기옥
Priority to KR102012001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529A/ko
Publication of KR20130091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2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e.g. decalcoman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적 시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문양부를 갖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은, 전방 개구된 내부 수납공간부를 갖고 벽체에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수납공간부를 위한 개폐용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는 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러는 유리부재와 이의 후방에 입힌 은막, 그리고 상기 유리부재 전면(前面)에 인쇄되는 문양부로 이루어져, 상기 문양부가 상기 은막에 반사되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BATHROOM CABINET}
본 발명은 욕실장의 도어에 구비된 거울에 있어, 거울의 사용면에 문양을 형성하고 거울을 이루는 유리의 두께나 문양을 이루는 두 레이어의 색상, 그리고 문양의 반사각 범위를 확대시키는 구성 등을 통해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에 관한 기술이다.
문양을 갖는 거울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98292호(2006.06.30.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이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투명 유리원판을 제품의 규격에 따라 절단하고 절단된 투명유리의 가장자리의 단면 또는 사면을 연마처리 및 광택처리를 행한 후 투명한 유리 표면에 문양을 도안한 다음 그 문양에 여러 가지 소재와 색조를 첨가한 도료를 입히고 그 상면에 은막과 동막을 형성하여 거울면을 생성한 뒤 두 번에 걸쳐서 상기 문양과 은막 및 동막의 보호 및 습기의 차단을 위해 소부용 도료코팅을 한 문양거울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즉 유리의 한쪽 면에 은막 및 문양이 형성되고, 이 은막 및 문양은 동막이나 소부용 도료 등에 의해 덮이게 됨에 따라 문양 및 은막을 보호하게 되며, 유리의 다른 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에서의 문양은 시각적으로 평탄한 형태의 평면적 효과만을 기대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유리의 사용면 즉, 은막이 입혀진 반대편의 면에 문양부를 형성하여 이 문양부의 전면(前面)과 은막에 반사된 후면(後面)을 동시에 봄에 따라 시각적으로 입체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문양부가 적층된 두 레이어로 이루어지고, 각 레이어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짐에 따라 좀 더 입체감이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은박이 입혀진 유리면에서 문양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문양부와 상응한 형상의 요입형 만곡부를 형성함에 따라 문양부에 대한 반사각을 넓히어 입체적으로 보이는 시각 또한 넓힌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은,
전방 개구된 내부 수납공간부를 갖고 벽체에 설치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수납공간부를 위한 개폐용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는 미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러는 유리부재와 이의 후면(後面)에 입힌 은막, 그리고 상기 유리부재 전면(前面)에 인쇄되는 문양부로 이루어져, 상기 문양부가 상기 은막에 반사되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은,
거울의 사용면에 문양을 형성하고 거울을 이루는 유리의 두께나 문양을 이루는 두 레이어의 색상, 그리고 문양의 반사각 범위를 확대시키는 구성 등을 통해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문양을 통해 다양한 욕실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일 예에 따른 도 2의 일부 확대 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다른 예에 따른 도 2의 일부 확대 측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미러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캐비닛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은,
크게 캐비닛(10), 도어(20) 및 미러(3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캐비닛(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 등의 벽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상하 이격된 두 수평플레이트(11),
상기 두 수평플레이트(11) 후단부(後端部)를 상호 연결하는 후부플레이트(12), 그리고
상기 두 수평플레이트(11) 양단부(兩端部)를 상호 연결하는 두 측부플레이트(13)
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각 플레이트(11, 12, 13)에 의해 내부에 전방 개구된 형태의 내부 수납공간부(S)를 갖는다.
이때 상기 후부플레이트(12)에는 벽체에 박힌 앙카볼트 등이 삽입되는 둘 이상의 볼트공(121)이 더 형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수납공간부(S)는 상기 두 수평플레이트(11) 사이에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선반플레이트(14)를 통해 다수의 분체공간부(S1)로 나누어져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의 수납공간부(S)에 대한 개폐를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캐비닛(10)의 두 수평플레이트(11) 전단부(前端部) 각각에 접하게 되는 두 수평프레임(21),
상기 캐비닛(10)의 두 측부플레이트(11) 전단부 각각에 접하게 되는 두 측부프레임(22), 그리고
상기 두 측부프레임(22) 중 하나의 측부프레임(22)과 이에 접한 측부플레이트(11)를 상호 연결하는 힌지부재(2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수납공간부(S) 개폐를 위한 하나의 도어 형태를 이룬다.
다른 예로, 상기 도어(20)가 두 분체도어(20A, 20B)로 이루어지는데,
좌측에 위치한 분체도어(20A)는 좌단부가 상기 힌지부재(23)에 의해서 좌측 분체도어(20A)와 접하는 측부플레이트(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우측에 위치한 분체도어(20B)는 우단부가 상기 힌지부재(23)에 의해서 우측 분체도어(20B)와 접하는 측부플레이트(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두 분체도어(20A, 20B)는 각각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에 장착되어 거울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전면에 장착되는 유리부재(31),
상기 유리부재(31) 후면(後面)에 입힌 은막(32), 그리고
상기 유리부재(31) 전면(前面)에 인쇄되는 문양부(33)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문양부(33)가 상기 은막(32)에 반사됨으로써, 상기 유리부재(31)의 전방, 특히 사선(전방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서 비스듬히 바라볼 때에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고,
상기 유리부재(31)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입체감이 클 것이고,
반대로 상기 유리부재(31)의 두께가 얇은 경우 입체감이 작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리부재(31)의 두께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러(3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두 분체도어(20A, 20B)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두 분체도어(20A, 20B)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러(30)의 문양부(33)는
에폭시수지 80 중량%와, 경화제 20 중량%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에폭시수지는 투명에폭시와 안료가 8.5 : 1.5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료는 입자 크기가 0.04~0.08㎛ 인 반사형 파우더를 포함하는데,
상기 파우더는 펄(pearl)가루, 유리가루, 돌가루, 금속가루 중 1종 또는 선택된 2종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안료는 단색 또는 2종 이상의 다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미러(30)의 문양부(33)는
전방에 배열되는 제1레이어(331)와 이의 후방에 배열되는 제2레이어(332)로 이루어진 이층 구조를 이루되,
상기 각 레이어(331, 332)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제1레이어(331)가 엷은 푸른색을 발현하고, 상기 제2레이어(332)가 짙은 푸른색을 발현하며, 전방 또는 사선 방향에서 상기 문양부(33)를 바라볼 때에,
상기 제1레이어(331)의 엷은 푸른색이 보이게 되고 동시에 상기 은막(32)에 반사된 상기 제2레이어(332)의 짙은 푸른색이 보이게 되면서 좀 더 다양한 입체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문양부(33)의 제1레이어(331) 형성을 위해 일차로 상기 유리부재(31) 전면에 실크 인쇄를 하고, 건조를 거쳐 경화된 후 상기 문양부(33)의 제2레이어(332) 형성을 위해 이차로 상기 경화된 제1레이어(331) 표면에 실크 인쇄를 한다.
이때 실크 인쇄는 40~200 메시(mesh)의 망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건조는 약 2~3 시간 자연 건조 후 설정된 내부 온도가 70도인 건조기 등에 넣어 상기 안료의 색상에 따라 70~170도 사이로 조정하면서 건조하게 된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미러(30)의 유리부재(31)는
이의 전면에 인쇄된 문양부(33)와 대응되는 후면 위치에 상기 문양부(33)와 상응한 형상을 갖는 전방 요입형 만곡부(311)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311)에 상기 은막(32)이 채워진다.
결국 상기 만곡부(311)는 이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문양부(33)에 대한 전방으로의 반사각을 확대시켜 줌으로써, 평탄한 면보다는 입체적으로 보이는 각도가 넓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캐비닛
11 : 수평플레이트 12 : 후부플레이트
13 : 측부플레이트 14 : 선반플레이트
S : 수납공간부 S1 : 분체공간부
20 : 도어
20A, 20B : 제1 및 제2 분체도어 21 : 수평프레임
22 : 측부프레임 23 : 힌지부재
30 : 미러
31 : 유리부재 311 : 만곡부
32 : 은막 33 : 문양부
331, 332 : 제1 및 제2 레이어

Claims (7)

  1. 전방 개구된 내부 수납공간부(S)를 갖고 벽체에 설치되는 캐비닛(10);
    상기 캐비닛(10)의 수납공간부(S)를 위한 개폐용 도어(20); 및
    상기 도어(20)의 전면(前面)에 장착되는 미러(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러(30)는 유리부재(31)와 이의 후면(後面)에 입힌 은막(32), 그리고 상기 유리부재(31) 전면(前面)에 인쇄되는 문양부(33)로 이루어져, 상기 문양부(33)가 상기 은막(32)에 반사되어 입체적으로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0)의 문양부(33)는 에폭시수지 80 중량%와, 경화제 20 중량%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폭시수지는 투명에폭시와 안료가 8.5 : 1.5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입자 크기가 0.04~0.08㎛ 인 반사형 파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펄(pearl)가루, 유리가루, 돌가루, 금속가루 중 1종 또는 선택된 2종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단색 또는 2종 이상의 다색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33)는 전방에 배열되는 제1레이어(331)와 이의 후방에 배열되는 제2레이어(332)로 이루어지되,
    상기 각 레이어(331, 332)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30)의 유리부재(31)는 이의 전면에 인쇄된 문양부(33)와 대응되는 후면 위치에 상기 문양부(33)와 상응한 형상을 갖는 전방 요입형 만곡부(311)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311)에 상기 은막(32)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KR1020120012895A 2012-02-08 2012-02-08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KR20130091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895A KR20130091529A (ko) 2012-02-08 2012-02-08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895A KR20130091529A (ko) 2012-02-08 2012-02-08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529A true KR20130091529A (ko) 2013-08-19

Family

ID=4921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895A KR20130091529A (ko) 2012-02-08 2012-02-08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5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775A (ko)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 정산유리 욕실장 도어의 제조방법 및 욕실장 도어
KR20200000407U (ko) 2018-08-09 2020-02-20 권홍순 거치가 용이한 욕실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775A (ko) 2015-02-04 2016-08-12 주식회사 정산유리 욕실장 도어의 제조방법 및 욕실장 도어
KR20200000407U (ko) 2018-08-09 2020-02-20 권홍순 거치가 용이한 욕실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3279B2 (en) Decorated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02179962A (zh) 具有立体效果的装饰材料
CN207252069U (zh) 手机壳和电子产品
MX2010011316A (es) Metodo para fabricar un miembro decorativo, particularmente destinado para usarse como un emblema en un vehiculo motorizado.
JP2009160534A (ja) 模様付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模様付成形体
CA2635053C (en) External wall panel and method of coating for the same
KR20130091529A (ko) 입체문양 발현형 욕실장
CN203698421U (zh) 立体车壳的宽环形边框和内围装饰
JP7081726B2 (ja) 化粧材、化粧材の製造方法、化粧材を用いた積層体
CN106140582A (zh) 一种闪光漆板的制造方法
CN207305171U (zh) 一种装饰片、模具及电子设备盖板
KR200369687Y1 (ko) 유리판 장식재
CN2920999Y (zh) 设有反光金属膜的着色装饰玻璃
CN109567450A (zh) 一种室内艺术装饰收纳柜
JP7329787B2 (ja) 装飾板及びそれからなる自動車用内装部品
JP6488987B2 (ja) 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416538U (zh) 装饰材料的软膜
CN104339967B (zh) 一种防火防水防晒的艺术装饰画
CN201550777U (zh) 彩色反光板材
CN202952757U (zh) 充气塑胶制品
CN201400038Y (zh) 一种电子产品装饰件
JPH1076623A (ja) 化粧フィルム
KR20050112334A (ko) 실내 도어 및 실내 도어의 제조방법
CN203019774U (zh) 一种剔透装饰膜
CN102602217A (zh) 显示器边框钻石仿真制造方法及其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