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249A -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249A
KR20130091249A KR1020127029865A KR20127029865A KR20130091249A KR 20130091249 A KR20130091249 A KR 20130091249A KR 1020127029865 A KR1020127029865 A KR 1020127029865A KR 20127029865 A KR20127029865 A KR 20127029865A KR 20130091249 A KR20130091249 A KR 2013009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tream
displaying
user
screen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372B1 (ko
Inventor
피에트로 베리소미
프란코 무시노
피에트로 포르지오 지우스토
사베리오 셀리아
Original Assignee
시스벨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스벨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시스벨 테크놀로지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3009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래픽 엘리먼트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되고, 그래픽 엘리먼트의 치수들 및/또는 위치는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의 어떤 부분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영역을 정의하도록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의 함수로서 수정된다. 비디오 스트림은 그 다음,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되고, 각 프레임에 대하여,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된 프레임 부분이 수정된 치수들 및/또는 위치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Description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를 위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SED FORMAT}
본 발명은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리콜될(recall)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된(customised) 디스플레이 포맷을 정의하기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들에서, 텔레비전 세트들, 모니터들 및 다른 유형들의 비디오 스크린들은 비디오 스트림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이제 4:3 종횡비에서 "와이드 스크린" 16:9 종횡비로 전환을 겪어왔다.
용어 "종횡비"는 비디오 스트림에서 프레임 폭과 프레임 높이 사이의 수학 비율을 지칭한다.
가장 최신의 디스플레이들이 16:9 비디오 콘텐츠들로 최적화되어 왔지만, 심지어 동일 방송 내에서도 상이한 원래의 종횡비들을 갖는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이 여전히 있다. 이는 프로그램을 관객에 대해 보다 즐겁게 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디스플레이 포맷이 선택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종종 하나의 텔레비전 방송국은 프로그램들의 본래의(native)(즉, 녹화한) 포맷에 따라 4:3 포맷으로 프로그램들을 방송하고, 다른 프로그램들은 16:9 포맷으로 방송한다. 평소에는, 방송국들은 검정-배경 밴드들(black-background bands)(소위 매트들(mattes))을 원래의 영상의 위 및 아래에 부가함으로써, 원래의 비디오 스트림의 영상(예를 들면, 2.35:1, 1.85:1 또는 1.78:1과 같은 다양한 종횡비들 중 임의의 하나로 녹화된 필름)을 제작한다.
이러한 매트들(원래의 영상을 프레이밍(frame)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배열될 수 있는)은 텔레비전 방송국들에 의해 광고 또는 정보 목적들을 위해 종종 사용되는데, 텔레비전 방송국들은 원래의 비디오 스트림의 콘텐츠와 관련이 있든지 없든지 매트들을 텍스트들, 영상들, 로고들 또는 다른 부속 콘텐츠들 안으로 입력하고, 종종 주요 영상에 대한 프레임의 유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밴드들은, 특히, 그것들이 광고들 또는 다른 보조의 동적인 콘텐츠들을 포함하는 경우, 텔레비전 스크린 상에 이용가능한 공간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따라서, 관객들에게 성가실 수 있는데, 관객들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밴드들 사이에 포함되는 영상에 더 많은 관심을 갖는다.
스크린 크기에 대한 비디오 콘텐츠들의 시각화를 적합하게 하기 위해, 텔레비전 신호에(예들 들면, 아날로그 방송용 "와이드 스크린 시그널링"(WSS)에 또는 디지털 방송용 "전달 스트림"의 테이블들에 또는 "시퀀스 헤더"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방송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의 포맷을 인식할 수 있고, 그래서 그것들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스크린 크기에 적합하게 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이 현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단지 시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들에 대해서만 효과적이고, 비디오 제작 레벨로 도입되는 임의의 밴드들을 고려할 수 없다. 게다가, 그들의 동작은 비디오 신호 자체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림의 포맷들에 대한 정보의 정확도에 아주 많이 의존한다; 이러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텔레비전 방송국에 의해 업데이트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는 정확하게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비디오 스트림의 디스플레이 모드(텔레비전 방송국에 의해 방송되거나 저장 매체로부터 플레이되는(played))이 디바이스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공장 설정들에 따라 수동으로 조정되게 하는 디바이스들이 또한 알려져 있다. 사용자는 디바이스에서 이용가능한 미리 정의된 포맷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포맷(예들 들면, "4:3", "16:9", "와이드스크린", "중앙 줌", "시네마" 등)을 선택할 것이고, 그러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옵션에 따라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 상에서 영상 크기조정(resizing), 컷팅(cutting), 또는 변형 동작들을 실행할 것이다.
그러나, 관객들이 상이한 기호들을 갖기 때문에, 공장에서 설정된 크기조정 옵션들은 모든 사용자들의 선호들을 보장할 수 없다. 이러한 필요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삼성 LE 40A856S1M 텔레비전 세트는 특정한 환경 설정 절차에 의해 사용자-정의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모드, 소위 "ZOOM"을 선택하게 하는데, 그러나, 이는 시간-소모적이고, 복잡하며, 매우 직관적이지 않다. 디스플레이 모드를 정의하기 위해, 실제, 사용자는 전체 영상을 완전하게 보지 못하면서 영상을 이동 및 확장함으로써 텔레비전 세트와 몇 번 상호작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동 크기조정 방법들이 있는데, 여기서, 디바이스는 비디오 스트림의 활성 콘텐츠를 직접 분석하고, 이러한 콘텐츠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모드를 독자적으로 변경한다; 이러한 유형의 디바이스는, 예들 들면, 유럽 특허 EP 제0685139호로부터 공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로부터 획득된 결과들은 사용자에게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비디오 스트림의 활성 영역들을 자동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그것이 비디오 스트림의 각 프레임의 화소들의 휘도 임계치에 배타적으로 기반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대한 관심의 정보를 포함하는 임의의 영역들을 정확하게 검출하고 식별할 수 없다.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이 그들의 콘텐츠를 순간마다 상당히 변화시키기 때문에(예들 들면, 중간 광고(advertising break) 동안 또는 디스플레이된 프로그램이 변경되는 동안), 디바이스는 시각적 경험을 망칠 수 있는 성가시고 방해되는 일련의 쓸모없는 연속적인 크기조정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들의 분야에서 종래 기술에 의해 겪는 문제들의 일부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비디오 콘텐츠들의 성과 개선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비디오 스트림 디스플레이 포맷을 정의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포맷들 사이에 자동이든 아니든 전환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개시된 특징들을 통합하는 비디오 스트림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는 본 설명에 일체로 된 부분으로서 의도된다.
본 발명에 기반한 일반적인 개념은 사용자가 방송국에 의해 정의된 또는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된 제 1 포맷에 따라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되는 그래픽 엘리먼트를 통하여 비디오 스트림 디스플레이 포맷을 정의하게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의 특정 부분이 디스플레이되는(제 1 포맷으로) 스크린 영역, 예들 들면, 30 내지 400 열들 및 5 내지 500 행들의 화소들을 정의하도록 그래픽 엘리먼트의 형상 및/또는 위치를 수정한다. 관심의 프레임 부분들이 일단 한번 정의되면, 비디오 스트림은 각 프레임에 대하여 선택된 부분이 스크린 상의 확대 형태로(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변경된 치수들 및/또는 위치로) 디스플레이되는 제 2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따라서, 스크린의 볼 수 있는 영역으로부터 원하지 않는 부분들을 매우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제거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한다; 무엇보다도,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되는 그래픽 엘리먼트의 사용은 공정 설정들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사용자의 요구들에 가장 적합한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정의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되는 그래픽 엘리먼트는 직사각형이고, 프레임에서 이들의 치수들 및 전체적인 위치는 특정 명령들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직사각형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의 끝에서 크기조정될 비디오 부분의 직관적인 아이디어를 얻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디스플레이 포맷들에 관련된 설정들을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그래서 후자는 사전에 저장된 포맷들을 리콜,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미 과거에 재정의되고 저장된 이용가능한 공지된 포맷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포맷들의 정의를 단순화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된 디스플레이 포맷들의 설정들은 포맷, 텔레비전 방송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이름 등과 같은 원래의 비디오 스트림의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유리하게 저장된 디스플레이 포맷들이 자동적으로 리콜되게 하고, 또한, 사용자가 포맷을 기억을 돕게 소정의 이벤트와 관련시키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고, 도면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비디오 스트림 프레임의 관심의 부분을 선택하는 모드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는 비디오 스트림 프레임을 크기조정하기 위한 제 1 유형의 절차 중 3개 모드들을 도시한다.
도 3b는 비디오 스트림 프레임을 크기조정하기 위한 제 2 유형의 절차 중 3개의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상에 중첩된 그래픽 엘리먼트의 3개의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의 예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와 관련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방법은 텔레비전 세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러한 방법은 임의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예들 들면, 셋-톱-박스 및 디스플레이, 비디오 레코더, 비디오 프로젝터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의 비디오 스트림 디스플레이 포맷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그/그녀는 아래와 같이 그것을 변경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를 리콜하고, 예들 들면, 디바이스의 리모컨 상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그녀의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101).
이때, 텔레비전 세트 스크린은 제 1 포맷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을 것인데(단계 102), 이는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새로운 포맷으로 변경될 초기 조건을 나타낸다. 제 1 디스플레이 포맷은 사용자가 새로운 디스플레이 포맷을 정의하기 위한 절차를 시작하는 경우 현재 채택된 것일 수 있거나, 그것은, 예들 들면, 임의의 크기조정 동작에 종속되지 않는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과 같은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된 미리 정의된 포맷일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용어 "원래의 포맷"은 비디오 스트림이 TV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었거나 비디오 플레이어(예들 들면, DVD 또는 블루-레이(Blu-ray))에 의해 판독되었거나 다른 소스(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된 파일)에 의해 획득되었던 포맷을 지칭한다. 이러한 경우, 비디오 스트림은 스크린 크기와 비디오 스트림 포맷 사이의 차이들에 기인하여 비디오 영상의 가장자리들 부근에 검정 밴드들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 1 포맷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프레임의 전체 콘텐츠가 텔레비전 세트 스크린 내에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것이다.
특정한 그래픽 엘리먼트는 그 다음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데(단계 103), 이는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대응하는 부분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범위 내에서, 예들 들면, 각 프레임의 30 내지 400 열들 및 5 내지 500 행들의 화소들과 같은 특정 그룹의 화소들 내에서 스크린의 영역을 선택하게 한다. 이러한 프레임 부분들은 사용자가 새로운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될 프레임 부분들일 것이다. 이러한 그래픽 엘리먼트는, 예를 들면, 직사각형일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에서 현재의 이동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덜 복잡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새로운 포맷 선택 동작의 전체 기간 동안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을 정지시킨다고 유리하게 생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의 끝에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비디오 스트림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즐겨질 이동을 중지할 것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특정한 리모컨 버튼들에 작용함에 의해 직사각형의 측면들을 변형함으로써, 그래픽 엘리먼트의 형상 및/또는 위치를 수정한다(단계 104). 따라서, 사용자는 그/그녀가 디스플레이에 대해 선택 및 유지하기 원하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프레임의 부분을 대화식으로 정의한다.
그래픽 엘리먼트들의 형상 및/또는 위치에 대해 이루어진 변형들, 예들 들면, 직사각형의 측면들을 변형하기 위한 명령들 - 이는 그들의 크기를 변화시킴-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사용자의 선택을 동적인하게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스트림의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래픽 엘리먼트는 비디오 스트림이 플레이되고 있는 동안 나오는(flowing) 영상들 상에 중첩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그/그녀의 선택을 재생되고 있는 장면들에 따라 변경하게 한다. 그래픽 엘리먼트의 중첩은 반투명(즉, 아래에 있는 화소들의 콘텐츠를 들여다보이게 함으로써) 또는 불투명(즉, 아래에 있는 화소들의 콘텐츠를 숨김으로써) 중 하나로 획득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들 들면, 특정한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또는 일정 시간, 예들 들면, 15초보다 긴 시간 동안 변화되지 않은 그래픽 엘리먼트의 형상 및/또는 위치로 되게 둠(leave)으로써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선택되고 정의된 대상의 프레임 부분을 확인해야 한다(단계 105).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부분은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바와 같이, 압도적인(preponderant) 스크린 영역을 점유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확대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06). 따라서,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는 관심의 프레임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 및 스크린 상에 선택된 부분을 크기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그/그녀가 크기조정 처리를 원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 선택 절차를 중단(interrupt)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의사가 사용자에 의해 신호되는(signal) 경우(단계 107),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는 가능하면(possibly) 두 번째 확인을 가정으로 중단된다. 중단 다음에, 비디오 스트림은 제 3 포맷, 예들 들면, 미리 결정된 포맷 또는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의 시작 이전에 사용된 포맷에 따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고(단계 108), 디바이스는, 예들 들면, 눌러질 버튼에 대해 대기중인 그의 초기 상태(101)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는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의 관심의 부분의 선택하는 모드의 예를 도시한다.
프레임(201)은 미리 정의된 포맷, 예들 들면, 원래의 포맷에 따라(도 1의 단계(10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나타낸다. 프레임이 원래의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그의 활성 부분(202)은 볼 수 있는데, 이는 예들 들면, 레터 박스 포맷의(letterbox) 밴드들 또는 측면 밴드들의 존재에 기인하는 빈 부분(203)에 둘러싸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고려사항들은 부분(203)이 없고 활성 부분(202)이 전체 비디오 스크린과 일치할 수 있는 전체 프레임(201)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에 또한 적용할 것이다. 활성 부분(202)은, 차례로, 풍경의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관심의 부분(202b), 스크린 상에 나오는 기록(written) 정보, 이는 사용자가 관심이 없고, 예들 들면, 최신 뉴스들에 의해 점유되는 하부 부분(204), 및 사용자가 또한 관심이 없는 고정된 기록 정보, 예들 들면, 현재 기상 상태들에 의해 점유되는 측면 부분(205)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록 정보 모두는 비디오 스트림 제작자에 의해 입력되어 왔다.
프레임(201')은 중첩된 그래픽 엘리먼트 직사각형과 함께 형상으로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201)을 나타낸다(도 1의 단계(103)를 참조하여). 최초에, 장치는 이러한 선택 직사각형(210)을 디바이스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정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치수들 및 위치로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예에서, 선택 직사각형(210)은 16:9 종횡비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4:3 레터 박스 포맷의 전송들로 활성이며, 스크린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프레임 부분을 점유한다. 대안적으로, 직사각형은 전체 프레임 또는 그 자체로 공지된 방법들에 따라 예들 들면, 화소 휘도에 기반한 적합한 알고리즘에 따라 추정되는 프레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인터페이스 제어들, 예들 들면, 리모컨 버튼들에 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프레임(201")에 디스플레이되는 포맷(210')을 획득하기 위해 직사각형의 치수들을 수정한다(도 1의 단계(104)를 참조하여). 사용자는 그/그녀가 관심이 있는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 부분을 그 안에 포함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직사각형(210')의 치수들 및 위치를 변경하고, 그 다음 선택을 확인한다(도 1의 단계(105)를 참조하여).
바람직하게는, 특정 화살표 버튼이 누러질 때마다 획득되는 직사각형(210)의 측면들의 이동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의해 유리하게 어떤 프레임 부분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개별 동작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직사각형(210)의 측면 또는 무게의 중심을 이동시키기 위한 버튼이 잡고 눌려지거나 복수회 연속으로 눌러지는 경우, 사각형이 확대되거나 변형되는 화소들의 수는 점진적으로 "가속"됨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TV 방송국 또는 플레이되고 있는 임의의 다른 비디오 소스로부터 들어오는(coming)(도 1의 단계(102)를 참조하여)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201)의 제 1 미리 정의된 포맷은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의 모든 콘텐츠가 바람직하게는 4:3이든 16:9이든 원래의 포맷의 비율들을 변경하지 않고,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러한 비율들은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거나(carried)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필요하면 언제든지, 이전에 활성된 임의의 자동 또는 수동의 포맷 변경들은 불활성화될(deactivate)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 사용자가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을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이전에 사용된 디스플레이 포맷이 임의의 변형들 또는 관심의 콘텐츠에서 커트들을 초래했는지를 평가하게 한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버튼을 누름으로써, 비디오 스트림의 관심의 프레임 부분의 선택을 확인한 후, 그/그녀는 크기조정된 비디오 스트림 포맷의 선택의 결과를 감상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를 최상으로 충족하기 위해, 상이한 모드들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부분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 디스플레이 포맷을 관리하기 위해 착상될 수 있다.
도 3a의 예는 비디오 스트림이 제 1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의 끝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3개의 가능한 모드들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그/그녀가 선택된 부분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유력하게 관심이 있는 점에서, 비디오 스크린의 2개의 치수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비디오 스트림 프레임의 선택된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들 들면, 사용자의 선택, 즉, 도 2의 직사각형(210') 내부의 프레임 부분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예시하는 확대 모드들에 따라 이전보다 큰 스크린 부분을 점유하도록 확장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ⅰ. 프레임(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트들이 없는 프레임의 비율들을 유지함, 즉, 선택된 부분들 중 하나의 치수가 스크린의 2개의 치수들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할 때까지 변형이 없고, 선택된 비디오 콘텐츠의 추가 커트(cut)들이 없이 선택된 부분을 수평 및 수직 방향들로 평탄하게 확대함으로써; 물론, 이러한 모드에서, 일부 스크린 영역들에서 활성 비디오 스트림 콘텐츠가 없고, 따라서 "검정"으로 존재할 것이 가능하다. 프레임(301)의 예에서, 검정 밴드들은 측면들에 나타난다; 그러나, 프레임의 관심의 선택이 상이했다면, 검정 밴드들은 활성 프레임 부분 위 및 아래에 나타날 수 있다.
ⅱ. 프레임(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에 대한 임의의 커트들을 형성하지 않고,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채움, 즉, 스크린의 치수들을 일치하는 양 치수들을 가지고, 따라서, 선택된 비디오 콘텐츠를 커트하지 않고 선택된 프레임을 스크린의 가장자리들까지 확장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을 변형함; 물론, 이러한 모드에서, 화소들의 종횡비는 원래의 포맷에 대하여 수정될 것이고, "검정" 영역들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ⅲ. 도 3a의 프레임(303)과 같이, 전체 스크린이 선택된 비디오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채울 때까지 스크린의 중앙에서 선택을 중심이 되게 함으로써 비율들을 유지함, 즉, 다른 치수는 스크린의 다른 치수보다 크거나 동일할 수 있는 반면, 선택된 영역들의 단지 하나의 치수가 스크린의 하나의 치수와 일치할 때까지, 그것을 수평으로도 수직으로도 변형하지 않고 선택을 크기조정함으로써. 이러한 모드에서, 주변 영역들(이러한 경우, 선택의 상부 및 하부 영역들이지만, 또한 측면 영역들일 수 있는)은 대칭의 방식으로 스크린의 외부로 커트된다; 물론, 검정 영역들이 없을 것이고, 프레임은 원래의 비율들에 비하여 변형을 겪지 않을 것이지만, 스크린의 외측으로 커트된 비디오 스트림의 이러한 영역들에 포함된 정보는 손실될 것이다. 이러한 확대 모드에서, 선택된 프레임 부분의 확장이 스크린 외부로 커트된 영역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즉, 선택된 영역의 어느 하나의 치수를 스크린의 어느 하나와 일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확장을 실행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은 유리하다.
물론, 위에서 설명된 3개의 확대 모드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다른 대안적인 모드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현될 수 있다.
이전 예들에서와 같이, 선택이 확장 처리의 끝에서 그들의 표시를 최적화하도록 자동적으로 스크린 상에 중앙에 위치된다고 또한 생각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확대 모드들은 공장에서 사전에 정의될 수 있고,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확대 모드는 특정한 선호들 메뉴에서 모두에 대하여 한번 설정될 수 있거나, 그것은 사용자에 의해 때때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선택의 확인과 선택의 크기조정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확대 모드가 매번 정의되어야 하는 경우, 기록된 정보 또는 표시들은, 예들 들면, 스크린 상에 상이한 확대 모드들의 최종 결과를 도시하는 동시에 또한 소형 미리보기 상자들에 의해 사용자가 다양한 가능한 확대 모드들 중에서 선택하게 하기 위해 스크린 상에 중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히, 설명되는(도 3a의 프레임(303)을 참조하여) 제 3 모드로 디스플레이될 크기조정된 선택의 스크린 상에 위치를 변경하도록 또한 허용될 수 있고, 스크린의 외부에서 커트된 주변 영역들은 그렇지 않으면 볼 수 없는 관심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유닛의 적합한 항목들에 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더 적은 관심의 다른 부분들(예들 들면, 청각 장애자용 설명 자막들)을 빼면서 그렇지 않으면 스크린의 외부에 남아 있을 스크린 커트 영역들 안으로 다시 이동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선택을 4개의 방향들(상, 하, 우, 좌) 모두로 더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들은 입력된 이동 명령들의 결과로서 스크린 상에 도시된 선택을 변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관심의 프레임 부분을 선택하는 단계에 관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 또한 절차는 디스플레이될 선택의 이동의 정도를 동적인하게 변경하는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도 1의 단계들(107 및 108)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크린은 초기 디스플레이 방식 또는 미리 정의된 포맷으로 복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도 3b), 사용자는 그들의 치수들 또는 종횡비를 원하는 데로 변경함으로써 프레임 부분을 다른 위치로 이동하도록(reposition) 원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장소로의 이동은, 예들 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스크린의 전용 영역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 부분을 방송하는 것이 외의 소스들로부터 들어오는 비디오 콘텐츠들(영상들 또는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소위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AP("Picture And Picture") 시스템들에 의해 생성되는 상자들이 있을 수 있는데, 여기서, 상이한 방송국들로부터의 텔레비전 프로그램들, 동일한 튜닝된 방송국의 문자 다중방송(teletext) 페이지들, 멀티미디어 판독기들로부터 들어오거나 전자 반도체 메모리들에 저장된 필름들 등과 같은 상이한 비디오 스트림들은 스크린 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최근에, "위젯들"로 불리는 인터넷 사이트들로부터 들어오는 시각 정보(예들 들면, 뉴스 기상 예보들, 환전 시세들 등)를 디스플레이하는 가능성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제한되고 일반적으로 주변의 스크린의 부분을 점유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위젯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불쾌한 오버랩들을 위한 비디오 스크린의 영역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크기조정 처리의 끝에서 선택된 프레임 부분에 의해 점유되는 영역을 마음대로 재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재정의는, 예들 들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유닛(501)의 대응하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재정의 동작을 실행하는 의사를 표현한다. 이때, 디바이스는 이전의 선택 단계 동안 선택된 프레임 부분(210')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여기서, 사전에 중첩된 그래픽 엘리먼트는 여전히 볼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예들 들면, 선택된 프레임 부분의 측면들의 길이를 변경함에 의해 또는 영역의 하나의 정점을 외부로 또는 내부로 드래그함에 의해 상기 선택을 수평 및 수직 방향들 양측으로 대칭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부분에 의해 점유되는 스크린의 영역을 재정의할 수 있다. 치수 변경 또는 드래그 동작은 화살표 또는 커서와 같은 보조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실행될 수 있는 동작을 지시하도록 스크린 상에 이미 존재하는 그래픽 엘리먼트를 그래픽식으로 변경함으로써(컬러 또는 두께, 섬광 등에서의 변경)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각 입력에서, 원하는 조정을 실행하기 위해 눌려질 버튼들은 대화식 및 문맥상의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어떤 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사전에 선택된(예들 들면, "OK" 버튼으로) 전체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그 다음 그것의 치수들을 변경하지 않고 그것을 전체로서 리모컨 상에 눌려진 버튼들에 따라 수평으로, 수직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b에서, 예들 들면, 사용자는 사전에 선택된 프레임(210')의 선택을 프레임 선택(도면에서 도면 부호 210'로 지시되는)의 높이가 프레임(320')의 치수들에 일치할 때까지 대칭적으로 확장하였는데, 프레임(320')은, 예들 들면, 비디오 스트림을 위해 이용가능한 스크린의 치수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프레임(3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즉, 선택된 프레임(210")의 좌측을 프레임(320")의 좌측 상에 중첩시킴으로써 프레임 선택(210")을 변형하였다. 이는 자유 프레임 부분(330)을 남겨두는데, 여기에 PIP 또는 PAP 영상들, 위젯들 등과 같은 다른 비디오 콘텐츠들을 놓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한 확인 버튼(동일한 "OK" 버튼일 수 있는)이 눌려지는 경우, 프레임 선택의 위치 및 치수들은 스크린 상에서 완성된다. OK 버튼의 작용 다음에, 그래픽 엘리먼트는 그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거될 수 있고, 따라서 크기조정 설정들이 디바이스에 의해 획득되고 저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선택 단계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 유닛을 동작시킴으로써 선택된 영역의 이동의 정도를 변경하는 가능성과 같은 측정들은 사용자가 선택될 영역을 정의하는 것이 더 쉽게 되도록 또한 취해질 수 있다.
선택된 영역이 크기조정되었고, 디스플레이 설정들이 정의되었으면, 사용자는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최종 확인을 발행하거나(issue), 나감 버튼을 누름으로써 절차를 중지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그 다음, 디스플레이 프레임 선택 단계의 끝에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즉: 적어도 하나의 치수의 확장 및 일치 또는 위치 및 치수들의 커스터마이징된 재정의), 선택된 프레임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2개의 가능한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관련되거나 내장된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명령 지시들에 의해 사용자에게 어떤 옵션이 실행되어야 하는지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이전에 설명된 크기조정될 프레임을 선택하기 위한 절차는 리모컨 키패드 이외에, 예들 들면, 터치 스크린 상에 설치된 터치 인터페이스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덕분에, 사용자는 특정 포인트들 또는 일반적으로 미리 결정된 버튼들 및 그래픽 심벌들을 수용하는 스크린의 영역들을 터치함으로써 명령들 및 조정 파라미터들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그녀를 프레임하는(frame)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의해 사용자의 제스처들을 해석하는 획득 디바이스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설명은 대화식으로 디스플레이될 대상의 비디오 부분을 선택함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정의하기 위한(및 그 다음 그것을 그 포맷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크기조정 방법을 설명해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402)에 연결된 비디오 신호 처리 유닛(401)을 포함한다. 도 4의 에에서, 처리 유닛(401) 및 디스플레이(402)는 단일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3) 안에 통합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 유닛은 디스플레이 포맷 제어기(404), 비디오 프로세서(405) 및 메모리(406)를 포함한다.
비디오 처리 유닛(401)은 공지된 기술들에 기반하여 입력 비디오 신호들을 복수의 원래의 포맷들을 생성하는 비디오 소스(407)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402)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8)에 의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비디오 소스(407)는, 예들 들면, 다음 중 임의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또는 하드-디스크 비디오 레코더, 전자 또는 USB 메모리, 디지털 텔레비전 신호들(예들 들면, DVB 또는 ATSC)을 수신할 수 있고 연결 포트에 외면상으로 연결되는(예들 들면, HDMI, 디스플레이, DVI, RGB 또는 SCART 포트를 이용한 유선 연결에 의해 또는 Wi-Fi 또는 무선 연결에 의해) 셋 톱 박스. 그것은 또한 바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3)에 내장되는 튜너 또는 아날로그 텔레비전용 수신 모듈(예들 들면, PAL, SECAM 또는 NTSC)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 유닛(예들 들면, DVB 또는 ATSC), 또는 외부 연결을 경유하여 그에 연결되는 대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403)에 직접 내장되는 전술한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는 경우, 스크린은 비디오 스트림 및 사용자가 새로운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부분을 선택하게 하는 그래픽 엘리먼트를 디스플레이는 동안, 사용자는 처리 유닛(401)을 제어하기 위해 인터페이스(408)에 작용한다.
일단 사용자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포맷을 정의하였으면, 포맷 제어기(404)는 현재 설정들을 메모리(406)에 저장하고, 그래서 그것은 나중에 리콜될 수 있다. 설정들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방식으로, 즉, 디바이스들의 전력 공급기의 중지에 견디게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전원 고장의 경우에 커스터마이징된 포맷 정의 절차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선호될 것이다.
저장된 현재 설정들은 설정들을 리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프레임 부분의 치수들 및 위치, 바람직한 확장 또는 크기조정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리콜 절차는, 수동이든 자동이든, 선택이 이루어졌던 상황을 고려하게 하고,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원래의 비디오 스트림의 콘텐츠의 임의의 밴드들 및 다른 관심 없는 엘리먼트들은 일반적으로 비디오 스트림 제작자,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국, 방송되고 있는 특정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콘텐츠 또는 유형 분류체계(typology)(예들 들면: 낡은 흑백 영화, 스포츠 또는 뉴스 프로그램)에 의존함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사한 유형의 프로그램들에 대해 이미 과거에 사용된, 즉, 사용자에 의해 "선호된" 크기조정 설정들을 사용하길 원할 것이라고 할 것 같다.
크기조정 설정들을 리콜하는 제 1 모드는 수동 유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호된 디스플레이 포맷들의 설정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 및, 예들 들면, 그것을 가능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이름으로 저장하며, 공지된 기술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408)에 의해 입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들 들면, 사용자에 의해 프로그래밍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설정은 공장 설정들 및 이미 저장된 임의의 커스터마이징된 설정들의 리스트의 끝에 추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리스트 순서를 재결정할 수 있고, 그래서 보다 중요하거나 보다 빈번하게 사용될 고려된 임의의 설정들은 보다 빠르게 선택될 수 있다고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쓸모없게 되었거나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러한 아이템들은 리스트로부터 삭제될 수 있다고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삭제는, 예들 들면, 커스터마이징된 설정들에 대해서만 또는 모든 설정들에 대하여 허용될 수 있다; 그것은 임의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권한 없는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데 또한 필요하다.
리스트에서의 설정은 각 설정을 주기적으로 열람하는 특정한 버튼에 의해 리콜될 수 있다. 보다 유리하게, 드롭-다운(drop-down) 리스트는 스크린 상의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중첩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는 현재 활성 포맷 상에 포인터 또는 다른 표시를 함께 메모리에 저장된 포맷들(커스터마이징되든 아니든)에 대한 참조들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에 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활성될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설정할 수 있고, 그 다음 특정한 명령을 통하여 그/그녀의 선택을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설정들이 하나의 스크린 상에 적절하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을 넘어서는 경우, 복수의 스크린들 상의 차례로 디스플레이될 드롭-다운 리스트 상의 다른 이용가능한 설정들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서 또는 추가로서, 디스플레이 설정은 장치의 대화식 제어 메뉴에서의 특정한 옵션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그/그녀가 사용될 크기조정 설정을 선택하는 페이지 또는 서브-메뉴로의 접근을 얻는다.
중첩된 그래픽 엘리먼트, 또는 그것의 소형 표현을 포함하는 선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의 정지된 프레임을 저장한다고 또한 생각할 수 있고, 그래서 그것은 사용자에 의해 나중에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리콜하는 제 2 모드는 자동 유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단 사용자가 도 1의 단계(10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선호된 디스플레이 포맷을 확인하면, 포맷 제어기(404)는 설정들을 리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의 치수들 및 위치를 저장하는데, 파라미터는, 예들 들면, 다음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
- 비디오 스트림의 콘텐츠 또는 그것의 부분들;
- TV 수신기의 활성 프로그램 수;
-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콘텐츠를 초래하는 비디오 입력(SCART, HDMI1, HDMI2, USB, 컴포넌트, 등);
- DVD 또는 블루-레이의 제목 또는 플레이되고 있는 파일의 이름;
- 텔레비전 방송국의 이름 또는 식별자;
- TV 프로그램의 제목 및/또는 그것의 유형(스포츠들, 뉴스들, 기상 예보들);
- TV 프로그램 방송 날짜 및 시간.
저장된 파라미터들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콘텐츠의 소스(TV 튜너, 외부 비디오 입력, 저장 매체) 및 비디오 콘텐츠에서의 그들의 이용가능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경우, 방송국은 일반적으로 간략 설명(예들 들면, 간략_이벤트_서술자 또는 확장된_이벤트_서술자 필드들에서) 및 이벤트 유형(콘텐츠_서술자 필드에서)뿐만 아니라, 특히,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디지털 비디오 방송) 표준에 의해 제공되는 메타데이터 테이블들의 필드들에 의해 텔레비전 신호에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제목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프로그램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었던 경우 활성되었던 크기조정 설정에 관한 정보와 함께 획득되고 저장될 수 있다.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에서, 덜 상세하지만, 처리는 유사하고, 여기서, 방송국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프로그램 수 또는 방송국 이름 또는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한 정보는 문자 다중방송 또는 아날로그 전송들의 VPS 신호에 의해 또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어떤 파라미터의 획득의 모드는 수신된 신호의 유형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은, "시퀀스 헤더"가 "수평 크기", "수직 크기", "화소 종횡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나타내는 ISO/IEC 11172-2 표준(파트 2: 비디오, 2.3.4 절 "비디오 비트스트림 문법에 대한 시멘틱스(Semantics for the video bitstream syntax)")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 전송들에 대한 기술 표준 ETSI 300 294에 의해 정의된 WSS(Wide Screen Signalling; 와이드 스크린 시그널링) 신호 또는 디지털 전송들에 대한 전송 스트림의 테이블의 특정한 데이터 필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일단 새로운 디스플레이 포맷에 관한 정보가 메모리(406) 안에 저장되었으면, 그것은 나중에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데로 리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406)에 저장되는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은 디스플레이될 비디오의 특성들의 함수로서 자동적으로 리콜된다.
특히, 입력(407)에 존재하는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들은 메모리(406)에 저장된 참조 포맷 파라미터들과 비교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비교에 기반하여, 어떤 설정이 수신된 비디오 스트림에 가장 적합한지가 설정된다. 예들 들면, 소정의 TV 전송은 항상 동일한 종류의 밴드들에 의해 특징이 되고, 메모리 매체에 저장된 어떤 비디오 트랙은 정상적으로 그자신의 원래의 포맷을 플레이될 때마다 보존하고, 따라서, 동일한 조건들이 나중에 나타나는 경우, 자동적인 크기조정을 하게 한다.
예들 들면, "뉴스 속보"란 제목의 프로그램이 방송되고 있었던 경우, 사용자가 과거에 어떤 프레임 부분을 선택했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좋아하지 않는 변하는 텍스트와 함께 짜증스러운 밝은 오렌지색 밴드들이 포함되었고,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방해했다.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자동적으로 리콜하기 위한 함수가 온된 경우, 포맷 제어기(404)는 이제 프로그램 제목 "뉴스 속보"를 검출할 것이고(예들 들면, 전송 스트림의 이벤트 테이블 또는 전술한 프로그램 식별자들 중에서 임의의 다른 프로그램 식별자로부터), 그 다음 메모리(406)에 접근하여 프로세서(405)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 포맷의 설정들을 변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적합한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활성화할 것이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402)는 "뉴스 속보"란 제목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원했거나 사용자 자신에 의해 과거의 요구에 따라 선택된 설정들로 비디오 스트림을 플레이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자동적으로 리콜하기 위한 함수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들 들면, 비교 기준으로서 방송국 이름과 같은 복수의 파라미터들을 동시에 저장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실제로, 동일한 제목을 갖는 TV 프로그램은, 예들 들면, 상이한 국가들에 속하는 상이한 방송국들에 의해 분배될 수 있고, 위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국은 분배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상이한 밴드들로 프레이밍할 수 있거나, 일부 방송국은 원래의 비디오 콘텐츠를 프레미밍할 수 있고, 다른 방송국은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예들 들면, 전송되는 스포츠들 프로그램 및, 상이한 방송국들에 의해 상이하게 방송한다(위성, 케이블 또는 지상파 텔레비전)고 생각한다.
유사한 고려사항들이 광학 또는 전자 매체 또는 비디오 스트림들의 외부 판독기와 같은 다른 소스들로부터 들어오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적용된다; 필름 이름 또는 DVD 또는 블루-레이 필름의 제목 및/또는 장(chapter)은 판독될 것이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커스터마이징된 크기조정 설정들과 관련된 비디오 콘텐츠에 대하여 이전에 저장된 아날로그 파라미터들과 비교될 것이다.
설정들이 완전히 자동 방식으로 리콜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즉, 처리 유닛(401)의 제어는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 또는 그와 관련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전술한 처리를 구현한다.
대안적으로, 설정들은, 사용자가 특정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임의의 커스터마이징된 설정들을 리콜하기 원함을 나타내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채널들을 변경하거나 상이한 비디오 입력 소스들 사이를 전환할 때마다 자동적으로 리콜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 리콜 모드에 따르면, 자동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 파라미터들은 생산 레벨에서의 제조업자에 의해 또는 펌웨어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설정된다.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리콜하는 제 3 모드는 반자동 유형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드는 전술한 2개 사이의 중간이며, 유리하게 사용자의 선호들에 대한 디스플레이 포맷을 더 잘 적응하게 하도록 이 둘의 일부 특징들을 활용하게 한다. 이러한 제 3 반자동 모드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적용되고 있는 포맷 이외의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그/그녀의 요구를 표현하다; 이는, 예들 들면, 제어 유닛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시그널링 다음에, 제어기(404)는, 자동 리콜 모드를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콘텐츠의 특성 파라미터들을 검출한다.
반자동 모드에서, 이러한 특성 파라미터들은 우선 순위로 분류된 선호된 디스플레이 설정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메모리(406)에 저장된 커스터마이징된 포맷들의 대응하는 파라미터들과 비교된다. 바람직하게는, 리스트에서의 다양한 포맷들은 장치가 제조되었던 때 또는 펌웨어가 업데이트되었던 때 정의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저장된다; 예들 들면, 일 실시예에서, 우선 순위는 일치하는 파라미터들의 수에 의존한다; 대안적으로, 우선 순위는 일치하는 파라미터들의 수뿐만 아니라 그에 관련된 상이한 가중치들에 의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스트 순서는 사용자에 의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설정들을 고려한다.
디스플레이 포맷들의 리스트가 정의된 다음, 제어기(404)는 비디오 스트림을 리스트에서의 제 1 포맷에 따라 디스플레이하고, 결과는 디스플레이(402) 상에 보인다. 사용자가 리콜된 포맷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 그/그녀는 예들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408)에 의해 포맷 변경 버튼을 다시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 포맷을 변경하는 의사의 신호를 보낸다; 포맷 제어기(404)는 그 다음 리스트에서의 제 2 포맷을 선택하고, 이러한 제 2 포맷에 기반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한다. 절차는 사용자에 의해 승인되는 디스플레이 포맷이 찾아질 때까지 또는 리스트의 끝에 이를 때까지 반복된다. 만족스러운 디스플레이 포맷들이 없는 경우,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포맷을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정의하도록 스크린 상의 프롬프트에 의해 요청된다.
저장된 포맷들을 리콜하는 전술한 3개의 모드들은 엄밀히 서로 대안적이지 않다; 예들 들면, 그들은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을 이용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해 유리하게 및 용이하게, 제어기(404)는 비디오 스트림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이전에 활성 포맷 및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저장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방식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경우, 즉, 예들 들면, 성가신 아이템들이 원래의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나타났었던 경우, 이전의 활성 디스플레이 모드으로 복귀되는 디바이스를 갖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예들 들면, 사용자가 "뉴스 속보"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에 대한 어떤 비디오 스트림 프레임(210')을 선택했으면, 제어기(404)는 비디오 스트림에서의 그 프로그램에 대해 저장된 파라미터들(예들 들면: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서비스 또는 방송국 이름, 비디오 스트림 포맷 및 해상도 등)의 지속성을 모니터링할 것이고, 이러한 파라미터들 또는 그것의 중요한 서브세트가 변경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로그램 "뉴스 속보"가 시작되었던 이전에 또는 게다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그것의 수신을 검출하였고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의전에 프로그래밍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적용했던 이전에 활성되었던 영상 포맷을 자동적으로 적용할 것이다. 예들 들면, 텔레비전 방송국이 클래식 음악 콘서트를 16:9로 방송하고 있었던 경우, 이는 "변형되지 않은 풀-스크린 16:9"로 명명되는 설정이 사용되었고, "뉴스 속보" 프로그램의 끝에서, 이어지는 프로그램에 대해 다른 디스플레이 설정이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정의되었던 경우 이외에는, 포맷 제어기(404)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그것이 시작되기 전에 활성되었던 그 디스플레이 설정으로 복귀하게 할 것이다.
유사하게, 사용자가 텔레비전 프로그램 또는 스크린 상에 재생될 비디오 소스를 변경하면, 포맷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 부분에 대한 이전에 프로그래밍된 커스터마이징된 설정들을 자동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상기 파라미터들의 존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반면, 그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영상은 선택된 특정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제조업자에 의해 정의된 디폴트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사용자가, 예들 들면, 중간 광고에 기인하여 텔레비전 방송국 방송 "뉴스 속보"가 저장되는 프로그램 수를 일시적으로 변경하고, 따라서, "RAI 2"라 명명된 텔레비전 방송국에 의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포맷 제어기(404)는, 이용가능하면, RAI 2에 의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대해 이미 정의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설정들,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되었던 시각화를 적용할 것이고, 또는 그것은 RAI 2에 의해 방송되는 그런 특정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디스플레이 설정들, 또는 그것들이 없는 경우, RAI 2에 의해 발생되는 총괄적인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적용가능한 기준을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었든지 제조업자에 의해 정의되었든지, 전술한 정의 모드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적용할 것이다. 사용자가 그 다음 "뉴스 속보"라 불리는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는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복귀하면, 디바이스는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되거나 관련된 식별 파라미터들(예들 들면, 프로그램 수, 프로그램 제목, 방송 시간 등) 사이에 유사성을 검출할 것이고, 이러한 프로그램 동안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프로그래밍된 디스플레이 설정들을 자동적으로 적용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디바이스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도 4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08)에 대응하는)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는 텔레비전 또는 비디오 장치들에 대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그 중에서도, 디바이스를 턴-온/오프 및 채널 또는 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게 하는 일반 제어 부분(502)을 갖는 유형의 리모컨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 제어들(502)은 종래 기술의 교시들에 따라 디바이스를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이들 버튼들 모두를(이들 모두는 간단함을 위해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 포함한다.
이러한 버튼들에 추가로, 전형적인 리모컨 상에 이미 설치된 공통 버튼들을 재사용하는 간단함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는 "OK" 수락 버튼(503) 및 그래픽 엘리먼트(210)(도 2를 참조)를 4개 방향 모두로 이동하거나 확장하기 위한 4개의 버튼들(504)을 또한 포함한다("OK" 수락 버튼 및 이러한 화살표 버튼들은 시장에서 이용가능한 대부분의 리모컨들 상에 이미 존재한다).
게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는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를 시작하기 위한 버튼(505)을 포함하고, 이러한 설정 리콜 모드들이 제공되는 경우, 또한, 수동 리콜 함수용 버튼(506) 및 자동/반자동 리콜 함수용 버튼(507)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는, 예들 들면,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포맷 설정들을 수정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포맷 메뉴에 접근하기 위한 버튼(508)을 더 포함한다.
인터페이스(501)는 사용자가 원래의 비디오 스트림 포맷(예들 들면, 이러한 정보가 텔레비전 방송국에 의해 정확하게 전송되지 않는 경우, 16:9 또는 4:3)을 수동으로 선택하게 하는 버튼(509)을 또한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501)는, 도 1의 단계(107)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를 언제라도 중지하게 하는 버튼(51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 동안, 사용자는 스크린 상에 연속적으로 등장하고 설정 동작들 및 조정들을 위해 눌려질 버튼들을 나타내는 간략 제어 지시들에 의해 안내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들은, 예들 들면, 제어 유닛 상의 도움말 버튼(511)을 누름으로써 리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의 끝에서, 사용자는 문자 숫자식의 식별자를 방금 정의된 디스플레이 포맷에 할당하고, 그래서, 그것은 미래에 용이하게 식별 및 리콜될 수 있다고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자 할당은 단지 이동 전화들과 같이, 글자들을 숫자 키패드에 의해 또는 스크린 상에 디스프레이되는 가상 키보드에 의해 입력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에 사용되는 그래픽 엘리먼트의 일부 예들을 도시한다.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402)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선택되고 풀 스크린으로 확대될 프레임 영역을 나타낸다; 그래픽 엘리먼트는 확대 또는 크기조정 모드에 관한 추가 정보 또는 중첩된 텍스트 또는 그래픽 심벌들(유색 화살표들, 대시 측면들을 갖는 직사각형들 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엘리먼트의 제 1 예(601)는 적합한 색 및 두께를 갖는 대시 직사각형인데, 이는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보이도록 비디오 스트림에 중첩된 스크린 상에 놓인다. 예들 들면, 사용자가 직사각형(601)의 한 측면의 위치를 변경하길 원하는 경우, 그/그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그것을 선택할 것이고, 그 다음 선택된 측면은, 예들 들면, 연속적인 선으로 변함으로써 또는 색을 변경함으로써 그의 외관을 변경할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그래픽 엘리먼트의 측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전체 엘리먼트의 형상 및 치수들을 수정할 수 있다.
그래픽 엘리먼트는, 그것들이 선택될 영역을 정의하게 한다면, 그래픽 부분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엘리먼트(60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직사각형의 4개의 정점들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그것들이 정점에 수렴하는 2개의 선 세그먼트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동일한 대각선 상에 놓인 단지 2개의 대향하는 정점들만 또는 선 세그먼트들을 수렴하는 것에 의한 그것의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그래픽 엘리먼트의 제 2 예(602)는 이전 예들에 하나의 특징, 즉, 치수 확대의 방향을 나타내는 일종의 화살표를 나타내도록 외부로 향하는 빗면에 대향하는 정점을 갖는 4개의 직각 삼각형들(603)의 존재를 더 한다. 이러한 삼각형들을 선택함으로써, 각 측면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수정할 필요가 없는 장점으로 사용자는 그들의 비율들을 변경하지 않고 가변적인 치수들을 갖는 프레임 부분을 둘러싸도록 직사각형(602)을 확장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물론, 가능하면 심벌들 및/또는 문자 숫자식의 기록들의 형식으로 중첩된 지시들에 의해 수반되는 다른 그래픽 엘리먼트들이 이러한 대칭적인 크기조정 동작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래픽 엘리먼트의 제 3 예(604)는 중앙 엘리먼트(605)를 포함하고, 이 경우, 십자는 심지어 스크린 상에 중앙에 놓이지 않아도, 프레임 부분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직사각형(604)의 중앙이 4개의 방향들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그래픽 엘리먼트 예들은 물론 엄밀하게 서로 대안적이지 않지만, 추가적인 및 보다 복잡한 그래픽 엘리먼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함께 조합될 수 있다.
상기에 부가하여, 다음은 이제 본 발명에 통합될 수 있는 몇몇 유리한 변형예들 또는 추가예를 설명할 것이다.
사용자가 이전에 저장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포맷들을 수정할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은 유리하다; 예들 들면, 사용자는 리스트로부터 장치에 저장된 설정들을 리콜할 수 있고, 그들의 숫자 파라미터들을 변경하거나 이전에 설명된 대화식 그래픽 절차를 실행함으로써 그것들을 대화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
포맷은 오프라인, 즉, 포맷이 적용되어야 하는 비디오 스트림의 부재시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샘플 배경 상에 선택 영역을 정의하고, 또한 그/그녀가 그런 포맷을 적용하기 원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유형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명시한다. 상기 동작 파라미터들은 스크린 상에 메뉴 또는 테이블(프로그램 또는 방송국 이름, 프로그램 수, 파일 또는 DVD 이름, 비디오 입력, 입력 비디오 스트림 포맷 등)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관심의 상기 파라미터들(또는 심지어 이용가능한 파라미터들 모두의 단지 서브세트만)을 채워질 메뉴 또는 테이블 안에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이 확인된 후, 디바이스는 그것들을 방금 설정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포맷과 연관시킴으로써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전술한 모드들에 따라 리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는 제조업자에 의해 설정된 어떤 조건들이 발생한 경우 금지된다: 예들 들면, 삭제된 원래의 포맷(16:9)과 스크린 포맷(16:9)이 일치하거나, 비디오 콘텐츠 제작자들(예들 들면, 고용(pay) TV 방송국, DVD 또는 블루-레이 필름 제작자)에 의해 정의된 특별한 이유들에 대하여, 사용자가 광고 정보를 제거하기 위해 비디오 콘텐츠의 크기를 변경하게 하지 않는 경우.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프로그램 수 또는 비디오 입력이 변경되는 경우, 현재 활성 포맷의 이름은 잠시 동안 스크린 상에 중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저장된 디스플레이 포맷의 설정들을 리콜할 수 있고, 수정된 포맷을 그 다음 사용자에 의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리콜될 수 있는 상이한 포맷으로서 저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것을 수정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는 현재의 디스플레이 포맷의 파라미터들을 그것들을 변경하고 그 다음 새로운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으로서 저장하기 위해 또한 리콜할 수 있다. 두 경우들에서, 디스플레이 포맷 정의 절차는 사용자에게 상당히 더 간단하게 됨이 판명된다.
많은 변경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명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다.
예들 들면, 포맷 제어기(404)는 특정한 회로 또는 칩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것의 기능들은 비디오 프로세서 또는 디바이스의 동작을 관리하는 마이크로프로그래밍 가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형적으로 구성되는 디바이스의 일반적인 제어 유닛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것은 완전하게든 또는 부분적으로든, 공장에서 정의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국부적으로 또는 원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것의 기능들의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상호작용하거나 함께 협동하는 상이한 회로들 또는 모듈들에 의해 분산된 및 조직화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들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08)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의 수신 및 해석, 지시들 및 데이터를 본 설명에서 언급되고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프레임들 및 그래픽 엘리먼트들을 생성하기 위한 비디오 프로세서(405)로의 공급, 및 디스플레이 영역 선택 단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인터페이스(408)를 통하여 입력된 명령들에 따른 그것의 양상들 및 특징들의 변경을 처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플레이될 비디오 스트림과 관련되거나 그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을 직접적으로든 비디오 프로세서를 경유하여서든, 또는 예들 들면, 문자 다중방송 및/또는 WSS 복호기, PAL, SECAM 또는 NTSC 튜너, DVB 또는 ATSC 복조기, MPEG 2 또는 MPEG 4 복호기를 포함하는 이러한 파라미터들(도 4에 미도시)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한 모듈에 의해 또한 획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현재 플레이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의 파마리터들을 그것에 의해 메모리(406)에 이전에 저장된 것과 비교할 수 있고, 새로운 커스터마이징된 포맷들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을 그들의 특성들(삭제된 화소 좌표들, 원하는 부분 및 스크린 상의 위치, 스크린 상의 확대의 모드 등)을 메모리(406)로부터 획득함으로써 저장할 수 있는데, 여기서, 그것은 이전에 그것들을 저장하고 있었다.
본 발명을 결합하는 디바이스가 반드시 내장 디스플레이를 가질 수 없음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디바이스가 스크린에 관련될 수 있는 신호를 운반하는 하나의 비디오 출력을 갖는 것이 충분한데, 이것의 포맷은 알려져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을 특징짓는 필수적인 단계들을 실행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본 발명은 비디오 녹화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그/그녀가 어떤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포맷을 관련시켰던 "뉴스 속보"란 제목의 프로그램의 기록을 프로그래밍하는 경우, 비디오 녹화기는 가능하면 녹화 처리 동안 이러한 포맷을 자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재생 처리 동안 본 발명의 교시들에 따라 그런 커스터마이징된 디스플레이 포맷을 저장할 수 있고, 출력 비디오 신호를 전환하는 포맷을 실행할 수 있다. 유사한 고려사항들은 텔레비전 수신기들(셋 톱 박스들, PC들용 TV 카드들), 비디오 녹화기들 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지만, 디스플레이-구비된 디바이스와 결합하여 비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는 다른 장치들에 또한 적용하는데, 여기서, 이러한 장치들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들 들면, 플라즈마 모니터들, LCD들, CRT 또는 검정-투사형 텔레비전 세트들, 비디오 프로젝터들)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면, 상기 비디오 신호들은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들 들면, 양방향 HDMI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또는 심지어 제어 인터페이스(408)를 작동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게다가, 항상 증가하는 전지 회로 집적에 기인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능적인 유닛들(포맷 제어기, 메모리 및 비디오 프로세서)은 본 특허의 청구범위들에 개시된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 모두를 수행하는 단일 집적 회로 안에 미래에 통합될 수 있다.

Claims (21)

  1.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포맷에 따라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방법은,
    그래픽 엘리먼트를 제 1 포맷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 상에 중첩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프레임들의 특정 부분이 디스플레이되는 스크린 영역을 정의하도록,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의 함수로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의 치수들 및/또는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제 2 포맷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트림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되는 프레임 부분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프레임 부분은 변경된 치수들 및/또는 위치로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의 치수들 및/또는 위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스크린 상에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의 큰(major) 치수가 상기 프레임 부분의 종횡비를 유지하면서 상기 스크린의 치수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된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의 양(both) 치수들이 상기 스크린의 치수들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커트되고(cut), 나머지 언커트된(uncut)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프레임 부분의 작은(minor) 치수가 상기 스크린의 치수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분은,
    디스플레이되기 이전에 자동적으로 상기 스크린 상의 중앙에 놓이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8. 제 4 항 내지 제 7 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스크린 상에 확대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의 상기 스크린 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크린 상의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를 발행한(issue) 후에 수행되고,
    상기 제 1 포맷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상기 프레임들의 전체 콘텐츠를 상기 스크린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사용자의 명령시에 중단되고, 상기 중단 후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상기 사용자의 신호 이전에 활성화되었던 동일한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들은 직사각형을 정의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의 측면들은,
    상기 사용자의 명령 시에 변형(translate)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포맷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설정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설정들은,
    특히, 디스플레이될 상기 프레임 부분의 치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들은 리스트로부터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리콜(recall)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들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임의의 이미지의 정지된(frozen) 프레임을 선택함으로써 리콜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들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는(carry) 정보의 함수로서 자동적으로 리콜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포맷들을 정의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포맷들에 관한 상기 설정들은 메모리 영역 안에 저장되며,
    상기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상기 방법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는 정보의 함수로서 상기 복수의 저장된 포맷들 중 하나의 포맷을 리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전달되는 상기 정보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원래의 포맷;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방송하는 텔레비전 채널; 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제목 또는 실행되고 있는 파일의 이름; 텔레비전 방송국 이름 또는 식별자; TV 프로그램 제목; TV 프로그램 유형; TV 프로그램 방송 날짜 및 시간을 포함하는 정보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들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수신되고 있는 비디오 소스의 함수로서,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스트림이 들어오고 있는(coming) 비디오 입력의 함수로서, 자동적으로 리콜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고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디스플레이 포맷을 수정하기 위한 절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차는,
    -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상기 프레임들의 전체 콘텐츠가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포맷으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를 상기 저장된 포맷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프레임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및 위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명령들의 함수로서 상기 그래픽 엘리먼트의 상기 형상 및/또는 위치를 수정하는 단계,
    - 제 3 포맷에 따라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림의 프레임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정된 그래픽 엘리먼트에 의해 정의된 프레임 부분들은 상기 스크린 상에 확대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에 알맞은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
KR1020127029865A 2010-04-14 2011-04-11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101862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0A000294A IT1399695B1 (it) 2010-04-14 2010-04-14 Metodo per visualizzare un flusso video secondo un formato personalizzato.
ITTO2010A000294 2010-04-14
PCT/IB2011/051547 WO2011128829A2 (en) 2010-04-14 2011-04-11 Method for displaying a video stream according to a customised form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49A true KR20130091249A (ko) 2013-08-16
KR101862372B1 KR101862372B1 (ko) 2018-05-29

Family

ID=4330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865A KR101862372B1 (ko) 2010-04-14 2011-04-11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06162B2 (ko)
EP (1) EP2559230B1 (ko)
JP (1) JP5783245B2 (ko)
KR (1) KR101862372B1 (ko)
CN (2) CN108777775B (ko)
IT (1) IT1399695B1 (ko)
TW (1) TWI463870B (ko)
WO (1) WO201112882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93A (ko) * 2014-08-11 2016-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43040A (ko) *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3723B2 (en) * 2011-06-17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ading ease of text on a device
US9646313B2 (en) 2011-12-13 2017-05-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sture-based tagging to view related content
US20130167072A1 (en) * 2011-12-22 2013-06-27 Sap Portals Israel Ltd. Smart and Flexible Layout Context Manager
JP5919838B2 (ja) * 2012-01-20 2016-05-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分析装置制御システム
US20140002460A1 (en) 2012-06-27 2014-01-02 Viacom International, Inc. Multi-Resolution Graphics
US8850503B2 (en) * 2012-08-31 2014-09-30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television viewing
US9438652B2 (en) * 2013-04-15 2016-09-06 Opentv, Inc. Tiered content streaming
TWI572198B (zh) * 2015-11-11 2017-02-21 瑞軒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電視設備的檔案管理方法與檔案管理裝置
JP2017175459A (ja) * 2016-03-24 2017-09-28 シャープ株式会社 信号変換装置、信号変換方法、テレビジョン受像機、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80046361A1 (en) * 2016-08-09 2018-02-15 Adobe Systems Incorporated Fitting Content to a Resized Frame
JP6727989B2 (ja) * 2016-08-31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7484001B (zh) * 2017-08-22 2019-09-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信号源通道命名方法、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17135B2 (en) * 2017-08-23 2022-08-1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R3081273B1 (fr) * 2018-05-18 2020-07-31 Adways Dispositif video d'affichage editorial et publicitaire
CN109348276B (zh) * 2018-11-08 2019-12-17 北京微播视界科技有限公司 视频画面调整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636320A (zh) * 2019-09-24 2019-12-3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用于直播的动画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与电子设备
CN113079388B (zh) * 2021-03-22 2023-02-03 浙江合众新能源汽车有限公司 车载多媒体内容的播放方法和播放系统
JP7440664B2 (ja) * 2021-11-11 2024-02-28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編集環境において複数のメディア要素を有する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5334355B (zh) * 2022-10-17 2023-02-24 广州市保伦电子有限公司 一种web播放器的多画面模式切换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5296A (en) * 1982-07-02 1988-11-15 Hitachi, Ltd.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 data
JPS59212930A (ja) * 1983-05-18 1984-12-01 Hitachi Ltd 端末主導型電源投入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5367615A (en) * 1989-07-10 1994-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Spatial augmentation of vertices and continuous level of detail transition for smoothly varying terrain polygon density
JP2692406B2 (ja) * 1991-04-04 1997-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拡大装置
US5289390A (en) * 1992-05-22 1994-02-2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the electrical cable length of an active ring of a token ring local area network
SG54145A1 (en) 1993-02-17 1998-11-1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Adaptive letterbox detector
US5699123A (en) * 1993-10-20 1997-12-1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elevision receiver with an adjustable frame size
JP3125552B2 (ja) * 1993-12-28 2001-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テレビ会議システム
US5659477A (en) * 1994-12-28 1997-08-19 Collins; Charles Michael Self reproducing fundamental fabricating machines (F-Units)
DE69609264T2 (de) * 1995-08-09 2001-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orrichtung zur Bildanzeige mit Verschiebung des unteren Bildbereichs
US5748189A (en) * 1995-09-19 1998-05-05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input devices amongst plural independent graphic display devices
US5805118A (en) * 1995-12-22 1998-09-08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Of New York Display protocol specification with session configuration and multiple monitors
JPH09326958A (ja) * 1996-06-05 1997-12-1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7074999B2 (en) * 1996-07-10 2006-07-11 Sitrick David H Electronic image visualization system and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methodologies
TW316308B (en) * 1997-01-16 1997-09-21 Acer Peripherals Inc Display screen function adjusting method and device
WO1998032068A1 (en) * 1997-01-17 1998-07-23 Intergraph Corporation Multiple display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268149B1 (ko) * 1997-05-12 2000-10-16 윤종용 와이드(Wide) 디스플레이 모니터에서의 화면 사이즈 제어 방법
JPH10319925A (ja) * 1997-05-20 1998-12-04 Sharp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912668A (en) * 1997-05-30 1999-06-15 Sony Corporation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of a group of images represented by a graphical object
US6067126A (en) * 1998-01-05 2000-05-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a video recording with audio selections
TW412732B (en) * 1998-01-16 2000-11-21 Hitachi Ltd Video apparatus with zoom-in magnifying functionand zoom location displaying method
JP4401465B2 (ja) * 1999-02-22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6847335B1 (en) * 1998-10-29 2005-01-25 Ati International Srl Serial communication circuit with display detector interface bypass circuit
US6570546B1 (en) * 1998-10-31 2003-05-27 Duke University Video display configuration detector
US6411302B1 (en) * 1999-01-06 2002-06-25 Concise Multimedia And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multiple frame buffers
KR100313901B1 (ko) * 1999-02-08 2001-11-17 구자홍 텔레비젼 수신기에서의 부화면 처리 장치
US7660868B1 (en) * 1999-04-26 2010-02-09 John Albert Kembe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nternet content via one or more applications that do not include native web browsing navigation control features
KR100631499B1 (ko) * 2000-01-24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 표시 방법
KR100327377B1 (ko) * 2000-03-06 2002-03-06 구자홍 디지털 영상 수신기와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서디지털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US6839903B1 (en) * 2000-03-24 2005-01-04 Sony Corporation Method of selecting a portion of a block of data for display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US6690425B1 (en) * 2000-06-22 2004-02-10 Thomson Licensing S.A. Aspect ratio control arrangement in a video display
US7030892B1 (en) * 2000-09-19 2006-04-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US20020109794A1 (en) * 2000-10-13 2002-08-15 Bergman Barry R. Display screen aspect ratio adjusting mask assembly and method
JP4670169B2 (ja) * 2000-11-15 2011-04-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処理方法、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画像表示装置、それに使用される係数種データ生成装置、並びに情報記録媒体
US7206029B2 (en) * 2000-12-15 2007-04-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in-picture repositioning and/or resizing based on video content analysis
GB0100563D0 (en) * 2001-01-09 2001-02-21 Pace Micro Tech Plc Dynamic adjustment of on-screen displays to cope with different widescreen signalling types
US6678009B2 (en) * 2001-02-27 2004-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justable video display window
US6802058B2 (en) * 2001-05-10 2004-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ed previewing user-interface appearance on multiple platforms
CN1463537A (zh) * 2001-05-17 2003-12-24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电视接收机、图象显示装置、用于显示图象的电视系统和方法
US20030001908A1 (en) * 2001-06-29 2003-0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ture-in-picture repositioning and/or resizing based on speech and gesture control
US20040022202A1 (en) * 2002-08-05 2004-02-05 Chih-Lung Ya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video channels and for alternately continuously transmitt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participants in a video conference individual images containing information concerning each of said video channels
US20030015632A1 (en) * 2001-07-18 2003-01-23 Daniel Dunn Multiple flat panel display system
US9544523B2 (en) * 2001-08-06 2017-01-10 Ati Technologies Ulc Wireles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7102643B2 (en) * 2001-11-09 2006-09-05 Vibe Solutions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visual presentation of data
JP2003169269A (ja) * 2001-11-30 2003-06-13 Toshiba Corp デジタル放送の受信方法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6801211B2 (en) * 2001-12-21 2004-10-05 Ladd B. Forsline Computer painting system with passive paint brush stylus
US7262790B2 (en) * 2002-01-09 2007-08-28 Charles Adams Bakewell Mobile enforcement platform with aimable violation identification and documentation system for multiple traffic violation types across all lanes in moving traffic, generating composite display images and data to support citation generation, homeland security, and monitoring
US20030182418A1 (en) * 2002-03-21 2003-09-25 Adc Telecommunications Israel Ltd. Monitoring circuit cards of electronic systems technical field
US7123248B1 (en) * 2002-07-30 2006-10-17 Matrox Electronic Systems Ltd. Analog multi-display using digital visual interface
US20040075623A1 (en) * 2002-10-17 2004-04-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on multiple monitors
US7278019B2 (en) * 2002-11-04 2007-10-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of hindering the propagation of a computer virus
JP3793142B2 (ja) * 2002-11-15 2006-07-05 株式会社東芝 動画像加工方法及び装置
JP2005018744A (ja) * 2003-06-04 2005-01-20 Ricoh Co Ltd 描画装置、描画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描画方法
KR100617178B1 (ko) * 2003-06-13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비전 시스템의 화면 크기 변환 장치 및 방법
US7274382B2 (en) * 2003-07-16 2007-09-25 Plut William J Customizable background sizes and controls for changing background size
US7075552B2 (en) * 2003-08-25 2006-07-11 Integrated Color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grid characterization,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US7667815B2 (en) * 2003-08-27 2010-02-23 Ming Su Multi-panel monitor displaying systems
US20050094034A1 (en) * 2003-10-31 2005-05-05 Sandeep Bhatia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ly scanning video for different size pictures
US20050180858A1 (en) * 2004-02-04 2005-08-18 Halgas Joseph F.Jr. Customized video processing modes for HD-capable set-top decoders
JP2005227476A (ja) 2004-02-12 2005-08-25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948448B2 (en) * 2004-04-01 2011-05-24 Polyvision Corporation Portable present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20050237699A1 (en) * 2004-04-21 2005-10-27 David Carroll Multi-screen mobile computing system
KR101013143B1 (ko) * 2004-06-29 201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 관리시스템
US7743348B2 (en) * 2004-06-30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hysical objects to adjust attributes of an interactive display application
JP2006066951A (ja) * 2004-08-24 2006-03-09 Canon Inc 画像再生装置
WO2006041478A1 (en) * 2004-10-06 2006-04-2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icture cropping function
US8407347B2 (en) * 2004-11-19 2013-03-26 Xiao Qian Zhang Method of operating multiple input and output devices through a single computer
US7878476B2 (en) * 2005-03-29 2011-02-01 Xybix System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monitors having adjustable distance to a viewer
US7760269B2 (en) * 2005-08-22 2010-07-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izing an image on a display
US8174627B2 (en) * 2005-09-06 2012-05-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vely masking image data
US8191008B2 (en) * 2005-10-03 2012-05-29 Citrix Systems, Inc. Simulating multi-monitor functionality in a single monitor environment
TWI296176B (en) * 2005-12-23 2008-04-21 Acer Inc Adaptive video scaling system and aspect ratio manipulation method
JP4865355B2 (ja) * 2006-02-21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CN101025908A (zh) * 2006-02-22 2007-08-29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电子装置转换不支持其他画面规格的影像资料的方法
US20070258012A1 (en) * 2006-05-04 2007-11-08 Syntax Brillian Corp. Method for scaling and cropping images for television display
JP2007336515A (ja) * 2006-05-15 2007-12-27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画像記録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70279315A1 (en) * 2006-06-01 2007-12-06 Newsflex,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80483B2 (en) * 2006-06-14 2012-10-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modality medical image viewing
TW200805016A (en) * 2006-07-11 2008-01-16 Teco Elec & Machinery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udio/video effect and mode in DTV
JP2008083681A (ja) * 2006-08-31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パネルインターフェイス装置、画像処理用lsi、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機器
JP2008122800A (ja) * 2006-11-14 2008-05-29 Sharp Corp 画像表示装置
JP5105861B2 (ja) * 2006-12-25 2012-12-26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サーバとその画角変換方法
US8607144B2 (en) * 2007-01-08 2013-12-10 Apple Inc. Monitor configuration for media device
EP1959389B1 (en) 2007-02-16 2017-11-15 Axis AB Providing area zoom functionality for a camera
US8423903B2 (en) * 2007-04-11 2013-04-16 Gvbb Holdings S.A.R.L. Aspect ratio hinting for resizable video windows
US7710434B2 (en) * 2007-05-30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Rotation and scaling optimization for mobile devices
CN101094369B (zh) 2007-07-18 2010-08-2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数字电视机显示模式切换方法
WO2009038596A1 (en) * 2007-09-18 2009-03-26 Thomson Licensing User interface for set top box
US20090079687A1 (en) * 2007-09-21 2009-03-26 Herz Williams S Load sensing forced mode lock
CN101394506A (zh) 2007-09-21 2009-03-25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视频显示调整系统以及视频显示调整方法
US20090109243A1 (en) * 2007-10-25 2009-04-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zooming objects on a display
CN101442634A (zh) 2007-11-22 2009-05-27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视机自动转换显示模式的方法及系统
CN101222570A (zh) * 2008-01-25 2008-07-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图像浏览器及图像调整方法
WO2010002399A1 (en) * 2008-07-01 2010-0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 P. Display configuration method for a remote visualization system
TWI383659B (zh) * 2008-08-06 2013-01-21 Wistron Corp 顯示器畫面局部放大方法及應用該方法之裝置
JP4564557B2 (ja) * 2008-08-28 2010-10-20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CN101616281A (zh) * 2009-06-26 2009-12-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一种将手机电视播放画面局部放大的方法及移动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9293A (ko) * 2014-08-11 2016-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200043040A (ko) * 2018-10-17 2020-04-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디스플레이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372B1 (ko) 2018-05-29
US9706162B2 (en) 2017-07-11
JP2013530562A (ja) 2013-07-25
CN102870409A (zh) 2013-01-09
IT1399695B1 (it) 2013-04-26
JP5783245B2 (ja) 2015-09-24
WO2011128829A2 (en) 2011-10-20
TW201143421A (en) 2011-12-01
CN108777775A (zh) 2018-11-09
WO2011128829A3 (en) 2011-12-29
EP2559230B1 (en) 2018-12-12
EP2559230A2 (en) 2013-02-20
US20130027608A1 (en) 2013-01-31
ITTO20100294A1 (it) 2011-10-15
TWI463870B (zh) 2014-12-01
CN108777775B (zh)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372B1 (ko) 커스터마이징된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101132601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통해 현재방송중인 프로그램을 광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189736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content
JP2001339650A (ja) チャンネルマトリックスを含むディスプレイインターフェース
KR20000061347A (ko) 티브이의 방송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KR20040107267A (ko) 텔레비전 시스템의 화면 크기 변환 장치 및 방법
KR100598223B1 (ko)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90184887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012658B2 (en) User interface techniques for television channel changes
KR20010034608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상의 현재 시간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US20070200953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of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 Video Image
US20090083797A1 (en) Method for displaying extra information and video apparatus thereof
JP2001521324A (ja) 電子番組ガイド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07086868A1 (en) Closed-captioning system and method
US200802950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pplication program and menu
US20110157211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CN103034405A (zh) 屏幕显示画面的显示方法
JPH08251496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107459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621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운용방법
JP2005520408A (ja) 画像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91423A (ko) 티브이의 캡션 제어장치 및 방법
WO20201361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ent preview
KR20050076475A (ko) Osd 화면 확대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