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802A - 실린더 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802A
KR20130088802A KR1020130010464A KR20130010464A KR20130088802A KR 20130088802 A KR20130088802 A KR 20130088802A KR 1020130010464 A KR1020130010464 A KR 1020130010464A KR 20130010464 A KR20130010464 A KR 20130010464A KR 20130088802 A KR20130088802 A KR 20130088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ylinder
hole
protrusion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982B1 (ko
Inventor
마사히로 아시바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4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annular discs per se, singularly or in comb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특성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실린더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린더 장치는, 유로(95)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련되고, 관통 구멍(81)이 형성된 고리형의 밸브 부재(76)와, 밸브 부재(76)의 관통 구멍(81)에 삽입 관통되는 핀 부재(98)와, 핀 부재(98)가 삽입 관통되고, 밸브 부재(76)의 일측면(76a)으로부터 내외주 모두에 이격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로(95)를 개폐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110)를 가지며, 밸브 부재(76)의 일측면(76a)의 관통 구멍(81)의 주위에 돌출부(84)를 형성하고, 돌출부(84)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홈부(91)가 마련되며, 디스크 밸브(110)의 내주측에는, 홈부(91)를 향해서 연장되어 핀 부재(98)와 미끄럼 이동하는 소직경부(116)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실린더 장치{CYLINDER APPARATUS}
본 발명은 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일본 특허 공개 소화64-40731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로가 형성된 밸브 부재에 대하여 디스크 밸브가 미끄럼 이동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것이 있다.
실린더 장치에서는 밸브 특성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밸브 특성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실린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련되고,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리형의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밸브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외주 모두에 이격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와, 상기 핀 부재의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확경부를 가지며,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크 밸브의 내주측에는, 상기 홈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핀 부재와 미끄럼 이동하는 소직경부가 마련되는 구성으로 했다.
본 발명의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면, 밸브 특성이 적정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인 완충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인 완충기의 베이스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인 완충기의 베이스 밸브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인 완충기의 디스크 밸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2 실시형태인 완충기의 베이스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3 실시형태인 완충기의 베이스 밸브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장치의 제1 실시형태인 완충기를 도 1∼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액체 혹은 기체 등의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11)를 갖고 있다. 이 실린더(11)는, 내통(12)과, 내통(12)보다 대직경이며 내통(12)을 덮도록 동심형으로 설치되는 외통(13)을 가지며, 이들 내통(12)과 외통(13) 사이에 리저버실(14)이 형성된 이중 통구조를 이루고 있다.
실린더(11)의 내통(12) 내에는, 피스톤(17)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피스톤(17)은, 내통(12) 내, 즉 실린더(11) 내에 상실(18)과 하실(19)을 구획하고 있다. 실린더(11) 내에는, 구체적으로, 상실(18) 및 하실(19) 내에 유체로서의 작동액이 봉입되고, 리저버실(14) 내에 유체로서의 작동액 및 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실린더(11)에는, 일단이 실린더(11)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22)의 타단이 내통(12) 내에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17)은, 이 로드(22)의 내통(12) 내의 타단에, 너트(23)에 의해서 체결되어 있다. 로드(22)의 일단측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내통(12) 및 외통(13)의 상단부에 장착된 로드 가이드 및 오일 시일에 삽입 관통되어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로드(22)는, 주축부(25)와, 실린더(11) 내측의 단부이며 주축부(25)보다 소직경인 부착축부(26)를 갖고 있다. 주축부(25)에는, 부착축부(26)측의 단부에 축직교 방향을 따르는 단차(27)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축부(26)에는, 주축부(25)와는 반대측의 소정 범위에 상기 너트(23)를 나사 결합시키는 수나사(28)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7)은, 실린더(11)의 내통(12) 내에 끼워져 내통(12) 내를 상실(18) 및 하실(19)의 2실로 구획하는 대략 원판형의 피스톤 밸브 부재(31)와,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내통(12) 내를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 부재(32)를 갖고 있다. 피스톤 밸브 부재(31)에는, 그 하실(19)측의 외주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밸브 부재(31)에는, 직경 방향의 중앙에 로드(22)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35)이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밸브 부재(31)에는, 그 축방향에서 원통형부(34)와는 반대측에, 관통 구멍(35)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돌출부(36)와, 돌출부(36)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내측 시트부(37)와, 내측 시트부(37)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외측 시트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밸브 부재(31)에는, 그 축방향에서 원통형부(34)측에, 관통 구멍(35)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보스부(40)와, 보스부(40)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이자 원통형부(34)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시트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축방향에 있어서, 돌출부(36), 내측 시트부(37) 및 외측 시트부(38)는, 서로 높이 위치가 일치하고 있고, 또한 시트부(41)는, 보스부(40)보다 돌출 방향의 높이가 약간 높게 되어 있다.
피스톤 밸브 부재(31)에는, 유로 구멍(43)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도 1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1개소만 도시) 형성되어 있다. 유로 구멍(43)은, 축방향의 일단이 돌출부(36)와 내측 시트부(37) 사이에 개구되고, 타단이 보스부(40)와 시트부(41) 사이에 개구되어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또한, 피스톤 밸브 부재(31)에는, 유로 구멍(44)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도 1에서는 단면으로 한 관계상 1개소만 도시) 형성되어 있다. 유로 구멍(44)은, 축방향의 일단이 내측 시트부(37)와 외측 시트부(38) 사이에 개구되고, 타단이 시트부(41)와 원통형부(34) 사이에 개구되어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내측의 유로 구멍(43)은, 상실(18)과 하실(19) 사이에서 작동액을 유통시키는 한쪽 유로(45)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의 유로 구멍(44)은, 상실(18)과 하실(19) 사이에서 작동액을 유통시키는 다른 쪽 유로(46)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로(45, 46)는 피스톤 밸브 부재(31)에 마련되어 있다.
피스톤(17)은,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축방향의 원통형부(34)측에, 피스톤 밸브 부재(3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디스크 밸브(50), 스페이서(51) 및 규제 부재(52)를 갖고 있다. 또한, 피스톤(17)은,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축방향의 원통형부(34)와는 반대측에, 피스톤 밸브 부재(31)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디스크 밸브(55), 스페이서(56), 스프링 부재(57), 규제 부재(58)를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50)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0)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1)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1)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52)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2)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50), 스페이서(51) 및 규제 부재(52)는, 각각의 로드 삽통 구멍(60), 로드 삽통 구멍(61) 및 로드 삽통 구멍(62)에, 로드(22)의 부착축부(2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너트(23)와 피스톤 밸브 부재(31)에 의해, 디스크 밸브(50), 스페이서(51) 및 규제 부재(52)의 내주측이 협지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55)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3)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6)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4)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7)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5)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58)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로드 삽통 구멍(66)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55), 스페이서(56), 스프링 부재(57) 및 규제 부재(58)는, 각각의 로드 삽통 구멍(63), 로드 삽통 구멍(64), 로드 삽통 구멍(65) 및 로드 삽통 구멍(66)에 로드(22)의 부착축부(26)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 밸브 부재(31)와 로드(22)의 주축부(25)의 단차(27)에 의해, 디스크 밸브(55), 스페이서(56), 스프링 부재(57) 및 규제 부재(58)의 내주측이 협지되어 있다.
하실(19)측의 디스크 밸브(50)는, 시트부(41)보다 약간 대직경의 외경을 갖고 있고,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보스부(40)와 시트부(41)에 접촉하여 내측의 유로(45)를 폐쇄한다. 그리고, 디스크 밸브(50)는, 로드(22)가 실린더(11) 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량을 늘리는 신장측으로 이동했을 때, 로드(22)와 함께 이동하는 피스톤(17)에 의해서 상실(18)의 압력이 하실(19)보다 높아짐으로써, 시트부(41)로부터 이격되어 유로(45)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로드(22)가 신장측으로 이동했을 때, 피스톤 밸브 부재(31)에 마련된 내측의 유로(45)를 통하여, 유체가 상실(18)로부터 하실(19)을 향해 유통하게 된다. 디스크 밸브(50)는, 이 유로(45)를 개폐하는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로 되어 있다. 유로(45)에는, 이와 같이 로드(22) 및 피스톤(17)이 신장측으로 이동했을 때 유체가 유통한다.
스페이서(51)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50)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보스부(4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52)는, 그 외경이, 스페이서(51)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며 디스크 밸브(50)의 외경보다 약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52)는, 디스크 밸브(50)가 시트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량 변형되었을 때, 디스크 밸브(50)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상실(18)측의 디스크 밸브(55)는, 그 외경이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외측 시트부(38)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55)에는, 내측 시트부(37)와의 접촉 위치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절결부(68)가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68)를 통해 내측의 유로(45)를 항상 상실(18)에 연통시키고 있다.
디스크 밸브(55)는,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돌출부(36)와 내측 시트부(37)와 외측 시트부(38)에 접촉하여, 외측의 유로(46)를 폐쇄한다. 그리고, 로드(22)가 실린더(11)에의 진입량을 늘리는 수축측으로 이동했을 때, 로드(22)와 함께 이동하는 피스톤(17)에 의해서 하실(19)의 압력이 상실(18)보다 높아짐으로써, 디스크 밸브(55)는 외측 시트부(38)로부터 이격되어, 외측의 유로(46)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로드(22)가 수축측으로 이동했을 때, 피스톤 밸브 부재(31)에 마련된 외측의 유로(46)를 통해, 유체가 하실(19)로부터 상실(18)을 향해 유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밸브(55)는, 이 유로(46)를 개폐하는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로 되어 있다. 유로(46)에는, 이와 같이 로드(22) 및 피스톤(17)이 수축측으로 이동했을 때 유체가 유통한다.
스프링 부재(57)는, 디스크 밸브(55)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 밸브(55)를 축방향에서 하실(19)측으로 눌러 피스톤 밸브 부재(31)에 접촉시킨다. 규제 부재(58)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55)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58)에는, 연통 구멍(69)이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에,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69)은, 내측의 유로(45)를, 절결부(68)를 통해 상실(18)에 상시 연통시킬 수 있다. 규제 부재(58)는, 디스크 밸브(55)가 외측 시트부(38)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량 변형되었을 때, 디스크 밸브(55)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55)의 그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외통(13)은, 원통형의 원통 부재(72)와, 원통 부재(72)의 하단에 끼워 맞춰 그 하단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바닥 덮개 부재(73)를 구비하고 있다. 바닥 덮개 부재(73)는, 그 외주부가 원통 부재(72)의 내주부에 끼워 맞춰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중앙측일수록 축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단차형을 이루고 있다. 바닥 덮개 부재(73)는, 원통 부재(72)에 용접 등에 의해 밀폐 상태로 고정된다.
내통(12)의 하단부에는 베이스 밸브(71)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71)는, 실린더(11) 내에 하실(19)과 상기 리저버실(14)을 구획하고, 수축측의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감쇠 밸브(103)와, 신장측에서 리저버실(14)로부터 하실(19) 내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오일액을 흘리는 석션 밸브(110)를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71)는, 실린더(11)의 내통(12) 내에 끼워져 실린더(11) 내를 하실(19) 및 리저버실(14)의 2실로 구획하는 고리형의 베이스 밸브 부재(밸브 부재)(76)를 갖고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76)는 소결 금속제이며, 상부의 외주부에 하부보다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7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77)가, 내통(12)의 하단의 내주부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베이스 밸브 부재(76)는, 하부의 외주측에 축방향으로 돌출된 원환형의 돌출 푸트부(78)를 갖고 있고, 이 돌출 푸트부(78)에서 바닥 덮개 부재(73)에 접촉한다. 이 돌출 푸트부(78)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 홈(79)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되어 있다. 유로 홈(79)에 의해서, 내통(12)과 외통(13) 사이로부터, 베이스 밸브(71)와 바닥 덮개 부재(73) 사이까지의 범위가 연통하여 리저버실(14)이 된다. 또한, 유로 홈(79)은 1개소이어도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 부재(76)에는, 직경 방향의 중앙에 관통 구멍(81)이 축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 부재(76)에는, 그 축방향에서 돌출 푸트부(78)와는 반대측면(일측면)(76a)에, 관통 구멍(81)의 직경 방향의 주위에서 축방향으로 테이퍼진 통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4)와, 돌출부(84)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내측 시트부(85)와, 내측 시트부(85)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외측 시트부(8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 부재(76)에는, 그 축방향에서 돌출 푸트부(78)측에, 관통 구멍(81)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보스부(88)와, 보스부(88)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이자 돌출 푸트부(78)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형의 시트부(89)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축방향에 있어서, 내측 시트부(85) 및 외측 시트부(86)는 서로 높이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돌출부(84)는, 이들보다 돌출 방향의 높이 위치가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부(89)는, 보스부(88)보다 돌출 방향의 높이가 약간 높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출부(8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개소(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돌기(9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90)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둘레 방향으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기(90)는, 관통 구멍(81)측의 내면부(90a)의 일부를 갖고 있다. 내면부(90a)의 일부는, 관통 구멍(81)과 동심 동직경의 원통면을 일부 절취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돌기(90)는, 관통 구멍(81)과는 반대측의 외면부(90b)를 갖고 있다. 외면부(90b)는, 관통 구멍(81)과 동심이며 관통 구멍(81)보다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면부(90b)는, 끝이 가는 테이퍼면을 일부 절취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돌출부(84)의 둘레 방향에서 돌기(90)의 양측에 있는 한쌍의 측면부(90c, 90d)는, 도 3에서 볼 때, 돌출 선단측일수록 서로 근접하도록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돌기(90)의 돌출 선단측의 정상면부(90e)는, 돌출 기단측에 대하여 대략 서로 비슷한 형태를 이루며 수축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축직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동일한 형상의 돌기(90)가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돌출부(84)가 구성됨으로써, 돌출부(84)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돌기(90)와 돌기(90) 사이에, 홈부(91)가 돌기(90)와 동일한 수로 형성되게 된다. 이들 홈부(91)는, 인접하는 돌기(90, 90)의 대향하는 측면부(90c, 90d)와, 이들 측면부(90c, 90d) 사이의 바닥면부(91a)로부터 부분적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바닥면부(91a)는, 돌출부(84)와 내측 시트부(85)의 사이에 있는 원환형의 평탄면(85a)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정상면부(90e)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홈부(91)는,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는 관통 구멍(81)측일수록 폭이 좁게 되어 있고, 또한 동일한 직경 방향 위치에서는 바닥면부(91a)측일수록 폭이 좁게 되어 있다. 그 결과, 바닥면부(91a)는, 관통 구멍(81)측일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대향하는 측면부(90c, 90d)의 간격도,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는 관통 구멍(81)측일수록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 부재(76)는, 상기와 같이 소결 금속제이며, 소결 성형상, 복수의 외면부(90b)로 이루어진 돌출부(84)의 직경 방향 외측의 외주면은 끝이 가는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밸브 부재(76)는, 유로 구멍(92)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로 구멍(92)은 1개소이어도 좋다. 유로 구멍(92)은, 축방향의 일단이 돌출부(84)와 내측 시트부(85) 사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그 타단이 보스부(88)와 시트부(89) 사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 부재(76)에는, 유로 구멍(93)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로 구멍(93)은 1개소이어도 좋다. 유로 구멍(93)은, 축방향의 일단이 내측 시트부(85)와 외측 시트부(86) 사이에 개구되어 있다. 또한, 타단이 시트부(89)에 대하여 보스부(88)와는 반대측에 개구되어 있다.
내측의 유로 구멍(92)은, 하실(19)과 리저버실(14) 사이에서 작동액을 유통시키는 한쪽 유로(94)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의 유로 구멍(93)은, 하실(19)과 리저버실(14) 사이에서 작동액을 유통시키는 다른 쪽 유로(95)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로(94, 95)는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71)는 핀 부재(98)를 갖고 있다. 핀 부재(98)는,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관통 구멍(81)에 삽입 관통되는 원기둥형의 축부(99)와, 축부(99)의 일단에 마련되며 축부보다 대직경인 원판형의 헤드부(100)를 갖고 있다. 축부(99)의 헤드부(100)와는 반대측의 타단에는, 스웨이징에 의해 축부(99)보다 대직경으로 확경된 스웨이징부(확경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밸브(71)는,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축방향의 돌출 푸트부(78)측에, 베이스 밸브 부재(7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감쇠 밸브로서 작용하는 디스크 밸브(103), 스페이서(104) 및 규제 부재(105)를 갖고 있다. 또한, 베이스 밸브(71)는,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축방향의 돌출 푸트부(78)와는 반대측에, 베이스 밸브 부재(76)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석션 밸브로서 작용하는 디스크 밸브(110), 스프링 부재(111) 및 규제 부재(112)를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103)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106)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104)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107)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 부재(105)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108)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3), 스페이서(104) 및 규제 부재(105)는, 각각의 핀 삽입 관통 구멍(106), 핀 삽입 관통 구멍(107) 및 핀 삽입 관통 구멍(108)에 핀 부재(98)의 축부(99)가 삽입 관통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핀 부재(98)의 헤드부(100)와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의해 내주측이 협지된다.
디스크 밸브(110)는, 1장의 판부재로 프레스 성형하여 성형되는 것으로, 평탄하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형을 이루고 있다. 즉, 디스크 밸브(110)는, 일정한 내외경, 즉 직경 방향으로 일정한 폭의 원환형을 이루는 밸브 본체부(115)와, 밸브 본체부(115)의 내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으로써 디스크 밸브(110)에서의 소직경 부분이 되는 복수개소[구체적으로는 홈부(91)와 동일한 3개소]의 텅 부재(소직경부)(116)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텅 부재(116)는,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밸브 본체부(115)의 둘레 방향의 균등한 위치로부터 밸브 본체부(115)의 중심 방향을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이루어 연장된다.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는, 반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고, 밸브 본체부(115)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117)의 선단이, 디스크 밸브(110) 중에서 가장 소직경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10)의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의 선단 위치에서의 직경은, 핀 부재(98)의 축부(99)의 직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크 밸브(110)는, 모든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보다 중심측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부재(98)의 축부(99)를 삽입 관통시키고 있다. 각 텅 부재(116)를 홈부(91) 내에 배치하여,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있어서 돌출부(84), 내측 시트부(85) 및 외측 시트부(86)가 형성된 일측면(76a)에 마련된다. 디스크 밸브(110)는, 이 면(76a)으로부터, 내외주 모두에 이격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그 이동시에, 텅 부재(116)가 홈부(91)를 향해서 연장되어 홈부(91) 내에서 이동하고, 그 내주단의 선단부(117)가 핀 부재(98)의 축부(99)와 미끄럼 이동한다.
밸브 본체부(115)의 내주연부(대직경부)(118)는, 텅 부재(116)보다 대직경이며, 돌출부(84)의 외주와 대향한다.
디스크 밸브(110)는, 밸브 본체부(115)가 내측 시트부(85)와 외측 시트부(86)에 동시에 접촉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마련된 유로(95)를 폐쇄하고, 이들 내측 시트부(85)와 외측 시트부(86)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유로(95)를 개방한다.
스프링 부재(111)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124)이, 규제 부재(112)의 직경 방향의 중앙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125)이, 각각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111) 및 규제 부재(112)는, 각각의 핀 삽입 관통 구멍(124) 및 핀 삽입 관통 구멍(125)에 핀 부재(98)의 축부(99)가 삽입 관통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돌출부(84)와 핀 부재(98)의 확경부(101)에 의해 내주측이 협지된다. 확경부(101)는, 디스크 밸브(110)가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면(76a)으로부터의 이격되는 방향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확경부(101)에 의해, 디스크 밸브(110)의 핀 부재(98)로부터의 이탈이, 스프링 부재(111) 및 규제 부재(112)를 통해 방지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 밸브(71)를 조립하는 경우, 핀 부재(98)의 스웨이징전의 축부(99)를, 규제 부재(105)의 핀 삽입 관통 구멍(108), 스페이서(104)의 핀 삽입 관통 구멍(107), 디스크 밸브(103)의 핀 삽입 관통 구멍(106),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관통 구멍(81), 디스크 밸브(110)의 복수의 텅 부재(116)의 내측, 스프링 부재(111)의 핀 삽입 관통 구멍(124), 규제 부재(112)의 핀 삽입 관통 구멍(125)에, 이 순으로 삽입 관통시킨다. 이 상태에서, 규제 부재(112)로부터 돌출되는 축부(99) 중 헤드부(100)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헤드부(100)측으로 스웨이징한다. 그렇게 하면, 규제 부재(105), 스페이서(104), 디스크 밸브(103), 베이스 밸브 부재(76), 스프링 부재(111) 및 규제 부재(112)는, 헤드부(100)에서 이동이 규제되므로, 이들을 축방향으로 간극없이 사이에 끼우도록 축부(99)가 확경되어 확경부(101)가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 밸브 부재(76)는, 규제 부재(112) 및 스프링 부재(111)를 통해 도입되는 스웨이징의 하중을, 돌출부(84)에 의해 받는다. 바꿔 말하면, 핀 부재(98)는,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돌출부(84)에 의해 하중을 받으면서, 단부가 스웨이징되어 확경부(101)가 형성된다.
리저버실(14)측의 디스크 밸브(103)는, 구멍이 형성된 원판형의 복수매의 동일한 외경의 단판 디스크가 축방향으로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그 외경은, 시트부(89)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03)는,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보스부(88)와 시트부(89)에 접촉함으로써, 내측의 유로(94)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밸브(103)는, 도 1에 도시하는 로드(22)가 수축측으로 이동하고, 피스톤(17)이 하실(19)측으로 이동하여 하실(19)의 압력이 상승하면, 도 2에 도시하는 시트부(89)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의 유로(94)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마련된 내측의 유로(94)는, 로드(22)가 수축측으로 이동했을 때, 유체가 하실(19)로부터 리저버실(14)을 향해 유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밸브(103)는, 이 유로(94)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로(94)에는, 로드(22) 및 피스톤(17)이 수축측으로 이동했을 때 유체가 유통한다. 한편, 디스크 밸브(103)는, 도 1에 도시하는 피스톤(17)에 설치된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55)와의 관계에서, 주로 로드(22)의 실린더(11)에의 진입에 의해 생기는 액의 잉여분을 배출하도록 하실(19)로부터 리저버실(14)에 액을 흘리는 기능을 한다. 한편, 수축측의 디스크 밸브를 실린더 내압이 높아졌을 때 압력을 릴리프하는 릴리프 밸브로 해도 좋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104)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103)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며 보스부(88)의 외경보다 약간 소직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105)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103)의 외경보다 약간 소직경이며 시트부(89)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105)는, 디스크 밸브(103)가 시트부(8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량 변형되었을 때, 디스크 밸브(103)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변형을 규제한다.
하실(19)측의 디스크 밸브(110)는, 그 외경이 외측 시트부(86)의 외경보다 약간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110)는, 내측 시트부(85)와의 접촉 위치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있는 텅 부재(116) 사이의 간극을 통해, 내측의 유로(94)를 항상 하실(19)에 연통시키고 있다. 디스크 밸브(110)는, 상기와 같이, 내외주 모두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대하여 이격 접촉 방향(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핀 부재(98)의 축부(99)에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가 안내되어 이동한다.
디스크 밸브(110)는, 그 밸브 본체부(115)가,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내측 시트부(85)와 외측 시트부(86)에 접촉하여 외측의 유로(95)를 폐쇄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로드(22)가 신장측으로 이동하고 피스톤(17)이 상실(18)측으로 이동하여 하실(19)의 압력이 하강하면, 디스크 밸브(110)는, 돌출부(84)를 따라서 이동하고, 외측 시트부(86) 및 내측 시트부(85)로부터 이격되어 유로(95)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마련된 외측의 유로(95)는, 로드(22)가 신장측으로 이동했을 때, 유체가 리저버실(14)로부터 하실(19)을 향해 유통하게 되고, 디스크 밸브(110)는, 이 유로(95)를 개폐하는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로 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밸브(110)는, 피스톤(17)에 설치된 신장측의 디스크 밸브(50)와의 관계에서, 주로 로드(22)의 실린더(11)로부터의 돌출에 따른 액의 부족분을 보충하도록 리저버실(14)로부터 하실(19)에 액을 실질적으로 저항없이(감쇠력이 나오지 않을 정도) 흘리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유로(95)에는, 로드(22) 및 피스톤(17)이 신장측으로 이동했을 때 유체가 유통한다.
스프링 부재(111)는, 디스크 밸브(110)에 접촉하여 이것을 축방향으로 눌러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접촉시킨다. 규제 부재(112)는, 그 외경측에, 축방향의 디스크 밸브(110)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113)는, 디스크 밸브(110)의 외경보다 약간 소직경이며 외측 시트부(86)와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밸브(110)가 유로(9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부(113)는, 스프링 부재(111)를 디스크 밸브(110)로 협지하지 않고, 디스크 밸브(110)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110)의 이동을 정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규제 부재(112)에는, 연통 구멍(127)이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소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127)은,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내측의 유로(94)와 텅 부재(116) 사이의 간극을 통해 하실(19)에 항상 연통하고 있다. 디스크 밸브(110)가,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내측 시트부(85) 및 외측 시트부(86), 즉 면(76a)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량 리프트되면, 규제 부재(112)는, 그 접촉부(113)가 디스크 밸브(110)의 밸브 본체부(115)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110)의 그 이상의 리프트를 규제한다. 이 규제 부재(112)의 외경은, 디스크 밸브(110)의 밸브 본체부(115)의 내주연부(118)의 직경보다 크다.
스프링 부재(111)는, 대략 판형의 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 원형의 핀 삽입 관통 구멍(124)이 형성된 평탄한 원판형의 베이스(131)와, 베이스(131)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이자 축방향 일측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복수개소의 탄성 레그(13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프링 부재(111)의 탄성 레그(132)는 스프링 상수가 매우 작게 설정되어 있어, 변형되더라도 디스크 밸브(110)를 내측 시트부(85) 및 외측 시트부(86)에 접촉시키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압박력만 발생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밸브(110)는, 하실(19)의 압력이 리저버실(14)의 압력 이상이면, 탄성 레그(132)의 압박력으로 유로(95)를 확실하게 폐쇄해 놓을 수 있지만, 하실(19)의 압력이 리저버실(14)의 압력을 하회하면, 변형이 용이한 탄성 레그(132)를 누르면서 내측 시트부(85) 및 외측 시트부(86)로부터 이격되어 곧바로 유로(95)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밸브(110)는, 그 자체는,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하지 않는 체크 밸브로 되어 있고, 적어도 피스톤 속도 0.05 m/s 이하로 밸브를 개방하는 체크 밸브로 되어 있다.
이상의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는, 로드(22)가 피스톤(17)과 함께 실린더(11)에 대하여 신장측으로 이동하면, 로드(22)가 실린더(11)로부터 돌출된 만큼, 상실(18), 나아가 하실(19) 내의 작동액의 액량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하실(19)의 압력이 리저버실(14)의 압력보다 낮아지지만, 디스크 밸브(110)는, 스프링 부재(111)의 스프링 상수가 작은 탄성 레그(132)로 압박되고 있을 뿐이므로, 외측 시트부(86) 및 내측 시트부(85)로부터 곧바로 이격되어 유로(95)를 개방하고, 리저버실(14)로부터 하실(19)에 액을 보급한다.
그 후, 행정이 수축 행정으로 전환되고, 로드(22)의 실린더(11)에의 진입에 의해 액이 잉여가 되어 하실(19)의 압력이 리저버실(14)의 압력 이상이 되면, 디스크 밸브(110)는, 탄성 레그(132)의 압박력에 의해서 신속하게 외측 시트부(86) 및 내측 시트부(85)에 접촉하여, 유로(95)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소화64-40731호 공보에 기재된 완충기는, 밸브 부재의 핀 부재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의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에서 디스크 밸브의 미끄럼 이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밸브 부재는,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등의 목적으로 소결에 의해 성형된다. 소결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에, 상형, 하형 모두 분할형으로 하면, 가압할 때 이용하는 예컨대 유압 실린더도, 분할한 형마다 구동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요철 형상이 큰 부재에 대해서는 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분할형으로 할 수밖에 없지만, 요철 형상이 작은 부재에 대해서는 형, 구동 장치 모두 심플한 구성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체형(一體型)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밸브 부재(76)는, 돌출 푸트부(78)의 높이를 높게 하여 인접하는 돌출 푸트부(78) 사이의 유로 홈(79)의 유로 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이것은, 최근의 감쇠력 특성 향상의 요구가 고조되고, 밸브 부재의 유로를 크게 확보하는 요구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철이 작은 돌출부측을 일체형에 의해 성형하므로, 일체형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드래프트 각도를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돌출부의 외주면이 끝이 가는 테이퍼면이 되어 버린다. 돌출부의 외주면이 상기와 같이 테이퍼형을 이루면, 돌출부의 축방향의 위치에 따라 디스크 밸브의 내주와 돌출부의 외주의 직경 방향간의 간극이 달라지기 때문에, 디스크 밸브의 궤도 및 자세가 불안정해져, 안정된 밸브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물론, 별도로 절삭 가공을 행하여 테이퍼를 제거하고 원통면으로 하거나, 외주가 원통면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부품을 돌출부의 외주측에 설치하거나 하면 대응 가능하지만, 어느 경우든 비용이 증대되어 버린다.
이에 비해,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에 의하면,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돌출부(84)에 홈부(91)를 마련하고, 이 홈부(91)를 통해서 디스크 밸브(110)의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를 핀 부재(98)에서 미끄럼 이동시키기 때문에, 디스크 밸브(110)의 궤도 및 자세가 안정되게 되고, 따라서, 안정된 밸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돌출부(84)에 홈부(91)를 마련하는 것은 소결 성형으로 가능하므로, 별도의 절삭 가공이나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거나 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돌출 푸트부(78)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돌출 푸트부(78) 사이의 유로 홈(79)의 유로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감쇠력 특성이 향상되어, 탑재 차량의 주행 안정성이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핀 부재(98)의 스웨이징에 의한 확경부(101)의 형성시에,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돌출부(84)에 의해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밸브 부재(76)에 스웨이징 하중을 받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밸브(110)의 베이스 밸브 부재(76)로부터의 이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리형의 규제 부재(112)를, 확경부(101)와 돌출부(84)로 협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112)를 협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84)는, 그 외주가 디스크 밸브(110)의 밸브 본체부(115)의 내주연부(118)와 대향하도록 길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소결시에 테이퍼가 되기 쉽다는 점에서, 상기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5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조금 변경한 규제 부재(112A)와, 별도의 규제 부재(135)가 이용되고 있다. 규제 부재(112A)는,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제1 실시형태에서의 접촉부(113)]이나 핀 삽입 관통 구멍(125) 이외에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제1 실시형태에서의 연통 구멍(127)]을 갖지 않는 원환 부재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112A)는, 그 외경이 스프링 부재(111)의 베이스(131)의 외경보다 크지만, 디스크 밸브(110)의 밸브 본체부(115)의 내주연부(118)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규제 부재(135)는, 직경 방향의 중앙에 핀 삽입 관통 구멍(136)이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원환형을 이루고 있다. 규제 부재(135)는 범용의 와셔이다. 규제 부재(135)는, 그 외경이, 디스크 밸브(110)의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의 위치에서의 직경보다 크고, 밸브 본체부(115)의 내주연부(118)의 직경보다 작으며, 또한 스프링 부재(111)의 베이스(131)의 외경 이하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135)는, 스프링 부재(111)와 베이스 밸브 부재(76)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돌출부(84)와 스프링 부재(111)의 베이스(131)에 의해 내주측이 협지된다.
디스크 밸브(110)가,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면(76a), 즉 내측 시트부(85) 및 외측 시트부(86)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했을 때, 상기 규제 부재(135)는, 디스크 밸브(110)의 텅 부재(116)의 선단부(117)측에 접촉하여, 디스크 밸브(110)의 그 이상의 변위를 규제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두꺼운 규제 부재(112A)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135)로서 범용의 얇은 와셔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135)를 추가하더라도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를 주로 도 6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호칭,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비해 조금 변경한 핀 부재(98B) 및 너트(확경부)(140)가 이용되고 있다. 즉, 핀 부재(98A)는, 축부(99)의 헤드부(100)와는 반대측에 수나사(141)가 형성되어 있어, 스웨이징하지 않고, 이 수나사(141)에 너트(140)를 나사 결합시켜, 이 너트(140)와 헤드부(100)로, 규제 부재(105), 스페이서(104), 디스크 밸브(103), 베이스 밸브 부재(76), 스프링 부재(111) 및 규제 부재(112)를 협지한다. 그 결과, 너트(140)가 디스크 밸브(110)의 핀 부재(98B)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너트(140)와 헤드부(100)로, 규제 부재(105), 스페이서(104), 디스크 밸브(103), 베이스 밸브 부재(76), 스프링 부재(111) 및 규제 부재(112)를 협지하기 때문에, 협지력의 정확한 관리를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하는 제2 실시형태의 확경부(101)가 스웨이징에 의해 형성되는 핀 부재(98) 대신, 도 6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의 축부(99)에 수나사(141)가 형성된 핀 부재(98A)와 너트(140)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제1∼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스 밸브 부재(76)의 돌출부(84)의 돌기(90) 및 홈부(91)의 수와, 디스크 밸브(110)의 텅 부재(116)의 수는, 상기 3개소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소 이하 혹은 4개소 이상으로 해도 좋다. 그러나, 디스크 밸브(110)의 안정된 이동 개폐와, 돌기(90) 및 홈부(91)의 소결에 의한 양호한 성형의 양립을 도모하면, 3개소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든 유로(94)의 디스크 밸브(110)의 둘레 방향에서의 위치를, 모든 텅 부재(116)[바꿔 말하면 홈부(91)]에 대하여 어긋나게 하는 것이 디스크 밸브(110)의 작동상 바람직하다. 즉, 유로(94)는, 디스크 밸브(110)의 직경 방향에서 텅 부재(116)와 위치가 서로 겹치기 때문에, 둘레 방향에서도 위치가 서로 겹치면, 텅 부재(116)를 향해서 유체를 토출하게 되어, 디스크 밸브(11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둘레 방향에서의 위치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17)의 피스톤 밸브 부재(31) 및 디스크 밸브(55)에, 상기 구조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스페이서(56)를 없애고 피스톤 밸브 부재(31)의 관통 구멍(35)의 주위의 돌출부(36)의 돌출량을 늘리며, 이 돌출부(36)에 상기 돌출부(84)의 구성을 적용하여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홈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디스크 밸브(55)에 상기 디스크 밸브(110)의 구성을 적용하여 내주측에 텅 부재를 형성하고 그 선단의 소직경부를 로드(22)의 부착축부(26)에 미끄럼 이동시키도록 한다. 나아가, 실린더(11) 바깥에 부착되는 밸브에 상기 구성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형태는,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가 이동했을 때 유체가 유통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련되고,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리형의 밸브 부재와,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는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밸브 부재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외주 모두에 이격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와, 상기 핀 부재의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확경부를 갖는 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주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홈부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크 밸브의 내주측에는, 상기 홈부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핀 부재와 미끄럼 이동하는 소직경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밸브 부재의 돌출부에 홈부를 마련하고, 이 홈부를 통해 디스크 밸브의 소직경부를 핀 부재에서 미끄럼 이동시키기 때문에, 디스크 밸브의 궤도가 안정되게 되고, 따라서, 안정된 밸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의해 하중을 받으면서 단부가 스웨이징되어 상기 확경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핀 부재의 스웨이징에 의한 확경부의 형성시에, 밸브 부재의 돌출부에 의해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부재에 하중을 받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경부는, 상기 핀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이기 때문에, 부착 상태의 정확한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리형의 규제 부재가, 상기 확경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협지되어 있어,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리형의 규제 부재를, 확경부와 돌출부로 협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를 협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비용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밸브에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와 대향하는 대직경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는, 그 외주가 대직경부와 대향하도록 길어지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안정된 밸브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제 부재의 외경은, 상기 디스크 밸브의 상기 소직경부보다 크고, 상기 대직경부보다 작기 때문에, 규제 부재를 작게 할 수 있어, 비용 증가 및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 특성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앞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몇몇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사항 및 장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많은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본 출원은 35 U.S.C. 119조에 의거 2012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19174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2012년 1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19174호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비롯한 모든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Claims (8)

  1. 실린더 장치로서,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11)와,
    일단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로드(22)와,
    상기 로드(22)가 이동했을 때 유체가 유통하는 유로(94, 95)와,
    상기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마련되고, 관통 구멍(81)이 형성된 고리형의 밸브 부재(76)와,
    상기 밸브 부재(76)의 상기 관통 구멍(81)에 삽입 관통되는 핀 부재(98)와,
    상기 핀 부재(98)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밸브 부재(76)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외주 모두에 이격 접촉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고리형의 디스크 밸브(110), 그리고
    상기 핀 부재(98)의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확경부(101, 140)
    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부재(76)의 상기 일측면(76a)에는, 상기 관통 구멍(81)의 주위에 돌출부(8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84)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홈부(91)가 마련되며,
    상기 디스크 밸브(110)의 내주측에는, 상기 홈부(91)를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핀 부재(98)와 미끄럼 이동하는 소직경부(116)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는, 상기 밸브 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의해 하중을 받으면서 상기 핀 부재의 단부를 스웨이징하여 확경된 스웨이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경부는, 상기 핀 부재(98)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리형의 규제 부재(112)가, 상기 확경부(101, 140)와 상기 돌출부(84)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리형의 규제 부재(112)가, 상기 확경부(101, 140)와 상기 돌출부(84)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이격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리형의 규제 부재(112)가, 상기 확경부(101, 140)와 상기 돌출부(84)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밸브(110)에는, 상기 돌출부(84)의 외주와 대향하는 대직경부(118)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112)의 외경은, 상기 디스크 밸브(110)의 상기 소직경부(116)보다 크고, 상기 대직경부(118)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장치.
KR1020130010464A 2012-01-31 2013-01-30 실린더 장치 KR102012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9174 2012-01-31
JP2012019174A JP5923323B2 (ja) 2012-01-31 2012-01-31 シリン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802A true KR20130088802A (ko) 2013-08-08
KR102012982B1 KR102012982B1 (ko) 2019-08-21

Family

ID=4878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64A KR102012982B1 (ko) 2012-01-31 2013-01-30 실린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52015B2 (ko)
JP (1) JP5923323B2 (ko)
KR (1) KR102012982B1 (ko)
CN (1) CN103225664B (ko)
CZ (1) CZ201348A3 (ko)
DE (1) DE1020132012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7961B2 (ja) * 2013-10-31 2015-09-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緩衝器
CN106536965B (zh) * 2014-07-25 2020-01-17 日立汽车系统美国有限公司 减震器
JP6625000B2 (ja) * 2016-03-31 2019-12-25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DE102016213328B4 (de) * 2016-07-21 2020-06-18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 mit richtungsabhängigem Voröffnungsquerschnitt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JP6339716B1 (ja) 2017-03-09 2018-06-06 株式会社ショーワ 圧力緩衝装置
TWI645811B (zh) * 2017-11-06 2019-01-01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可活動傢俱件及其緩衝裝置
DE102017221122B4 (de) * 2017-11-27 2021-03-18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JP7223956B2 (ja) * 2018-08-31 2023-0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超音波流量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964B2 (ja) * 1990-10-09 1999-09-2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US7048099B2 (en) * 2003-01-08 2006-05-23 Showa Corporatio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11080563A (ja) * 2009-10-08 2011-04-21 Showa Corp 油圧緩衝器用ピストン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6737A (en) * 1947-01-08 1955-12-13 Houdaille Hershey Corp Telescopic shock absorber foot valve structures
BE631369A (ko) * 1962-04-26 1900-01-01
US3321051A (en) * 1966-06-24 1967-05-23 Oldberg Mfg Company Shock absorber
GB1365306A (en) * 1970-09-08 1974-08-29 Girling Ltd Fluid flow control valves
US3845782A (en) * 1970-12-14 1974-11-05 Girling Ltd Flow control valve for hydraulic damper and the like
FR2236130A1 (en) * 1973-07-03 1975-01-31 Girling Ltd Control valve for vehicle shock absorber - spring washer lifts from annular seats to control two way flow
JPS6440731A (en) 1987-08-04 1989-02-13 Atsugi Motor Parts Co Ltd Valve construction of liquid pressure buffer
US4809829A (en) * 1987-12-08 1989-03-07 Maremont Corporation Vehicular shock absorber and piston comfort valving
DE3840302C2 (de) * 1988-11-30 1999-06-10 Mannesmann Sachs Ag Geräuscharmes Dämpfventil
JP3455808B2 (ja) * 1994-12-19 2003-10-1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ノンリタンバルブ構造
DE10207506A1 (de) * 2002-02-22 2003-09-04 Volkswagen Ag Dämpferventil mit Voröffnungsfunktion
DE10351357B3 (de) * 2003-11-04 2005-02-24 Zf Friedrichshafen Ag Dämpfventil mit richtungsabhängig schaltbaren Querschnitt
US8342303B2 (en) * 2006-07-28 2013-01-01 Hitachi, Ltd. Valve apparatus
JP4751955B1 (ja) 2010-07-09 2011-08-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964B2 (ja) * 1990-10-09 1999-09-2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緩衝器
US7048099B2 (en) * 2003-01-08 2006-05-23 Showa Corporation Bottom valve apparatus of hydraulic shock absorber
JP2011080563A (ja) * 2009-10-08 2011-04-21 Showa Corp 油圧緩衝器用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01348A3 (cs) 2014-04-09
JP2013155858A (ja) 2013-08-15
JP5923323B2 (ja) 2016-05-24
CN103225664B (zh) 2017-04-26
CN103225664A (zh) 2013-07-31
US9052015B2 (en) 2015-06-09
US20130192457A1 (en) 2013-08-01
DE102013201279A1 (de) 2013-08-01
KR102012982B1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982B1 (ko) 실린더 장치
KR101850337B1 (ko) 완충기
US7954609B2 (en)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for shock absorber
US9410595B2 (en) Damping valve for shock absorber
US8991570B2 (en) Cylinder apparatus
US9194455B2 (en) Shock absorber
KR102107858B1 (ko) 실린더 장치
US11199241B2 (en) Damper
JP6942185B2 (ja) 緩衝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96116B1 (ko) 완충기
JP2022132595A (ja) 緩衝器
US10837514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6623099B2 (ja) 緩衝器
US10746249B2 (en) Damping valve, in particular for a vibration damper
JP6800056B2 (ja) 緩衝器
JP2020034068A (ja) 流体圧緩衝器
EP1906047A1 (en)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for shock absorber
US11906014B2 (en) Assembly, shock absor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ssembly
JP5933345B2 (ja) 緩衝器
JP6789004B2 (ja) 緩衝器
US20230272835A1 (en) Shock absorber
JP5948186B2 (ja) 緩衝器
WO2024070710A1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およ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製造方法
US20230287954A1 (en) Shock absorber
CN110998130B (zh) 缓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