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830A - 내시경용 나이프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830A
KR20130087830A KR1020120009033A KR20120009033A KR20130087830A KR 20130087830 A KR20130087830 A KR 20130087830A KR 1020120009033 A KR1020120009033 A KR 1020120009033A KR 20120009033 A KR20120009033 A KR 20120009033A KR 20130087830 A KR20130087830 A KR 2013008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fe
sheath
endoscope
wire
pus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1194B1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1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8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with reciprocat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이프 이동공간과 와이어 이동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쉬스와; 상기 쉬스의 나이프 이동공간에 전·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끝단은 병변부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는 나이프; 및 상기 쉬스의 와이어 이동공간에 전·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절연물질인 플렉시블 와이어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병변부위를 젖힐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는 푸쉬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 작동이 가능한 나이프와 푸쉬 부재 및 나이프와 푸쉬 부재가 장착되는 쉬스를 통해 조직을 자르고 젖히는 역할을 하나의 기구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시경용 나이프{KNIFE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나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과 함께 사용되고 조직과 조직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한 내시경용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식도나 위(胃), 소장(小腸), 대장(大腸)과 같은 생체 체강(體腔)의 점막 속의 악성 및 양성 병변부에 대해 개복수술을 하지 않고서 내시경을 이용해서 전기 메스의 일종인 이른바 고주파 나이프 등을 삽입하여, 이 고주파 나이프 등으로 병변부를 절제하는 내시경적 점막절제술(內視鏡的粘膜切除術)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나이프를 도시한 도면으로, 종래의 내시경용 나이프는 쉬스(2 : sheath)의 전면으로 돌출된 나이프(1)가 구비된 구성을 포함한다. 여기서 나이프(1)는 내부에 전기가 통하도록 구성되며, 이 전기력으로 신체 조직을 지지면서 껍질을 잘라내고 벗겨내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내시경용 나이프는 조직을 자르는 동작은 용이하게 수행하지만, 잘린 조직을 젖혀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내시경(미도시)의 끝단부에 설치된 투명한 캡(미도시)으로 조직을 젖혀주는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이 경우 투명한 캡과 절제할 병변이 너무 가까워서 시야가 좁아지며, 투명한 캡의 크기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잘린 조직을 용이하게 젖혀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제943130호(내시경 점막하 절제용 처치구, 2010. 2. 10. 등록) 및 미국 공개특허 제2008/0051627호(ENDOSCOPIC INSERTION OR BALLON SYSTEM AND METHOD", 2008. 2. 28. 공개)등과 같이 내시경용 나이프의 선단에 풍선을 설치하는 기술들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풍선이 나이프나 쉬스의 선단에 구비되어 있어서 풍선이 펴져 조직이 벌려진 상태에서 나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풍선이 쉬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 풍선을 통해 내부 조직을 내시경으로 관찰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820497호 공개특허 2008-1089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후 작동이 가능한 나이프와 푸쉬 부재 및 나이프와 푸쉬 부재가 장착되는 쉬스를 통해 조직을 자르고 젖히는 역할을 하나의 기구로 수행하도록 하면서도 조직과 조직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하면서 시술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이프 이동공간과 와이어 이동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쉬스와; 상기 쉬스의 나이프 이동공간에 전·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끝단은 병변부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는 나이프; 및 상기 쉬스의 와이어 이동공간에 전·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절연물질인 플렉시블 와이어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병변부위를 젖힐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는 푸쉬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 작동이 가능한 나이프와 푸쉬 부재 및 나이프와 푸쉬 부재가 장착되는 쉬스를 통해 조직을 자르고 젖히는 역할을 하나의 기구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쉬스에 푸쉬 부재를 장착하여 조직과 조직 내부를 용이하게 관찰하면서 시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직을 젖히는 푸쉬 부재를 플렉시블 바로 구성하여 환자의 상태와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대처하면서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나이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나이프를 나타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나이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내시경용 나이프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나이프를 구성하는 절곡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나이프를 나타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나이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내시경용 나이프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나이프를 구성하는 절곡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내시경용 나이프(10)는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이 구비된 쉬스(sheath)(20)와, 상기 쉬스(20)의 나이프 이동공간(22)에 전·후진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나이프(30)와, 상기 쉬스(20)의 와이어 이동공간(24)에 전·후진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푸쉬 부재(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쉬스(sheath)(20)는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쉬스(20)에 형성되는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은 나이프(30)와 푸쉬 부재(40)의 전·후진 작동 및 상·하·좌·우로 작동할 수 있도록 나이프(30)와 푸쉬 부재(4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은 도시된 도 3과 같이 쉬스(20)의 내부에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이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2와 같이 쉬스(20)의 중앙부분에 나이프 이동공간(22)이 형성되고 상기 나이프 이동공간(22)의 둘레에 두 개 이상의 와이어 이동공간(2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쉬스(20)에 형성되는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은 내부에 장착되는 나이프(30)와 푸쉬 부재(40)가 비접촉 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쉬스(20)는 도시된 도 4와 같이 중앙 부분에 나이프 이동공간(22)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하나의 전방 와이어 이동공간(24a)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두 개 이상의 후방 와이어 이동공간(24b)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때 상기 나이프 이동공간(22)과 와이어 이동공간(24a, 24b)은 내부에 장착되는 나이프(30)와 푸쉬 부재(40)가 비접촉 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쉬스(20)의 나이프 이동공간(22)에 전·후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나이프(30)는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끝단(32)은 병변부위를 전·후진 작동을 통해 절단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이프(30)의 일 측에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미도시)이 결합되고 상기 끝단(32)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나이프(30)는 일 측에 결합되는 전선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은 후 절곡형성되는 끝단(32)의 전·후진 작동을 통해 병변부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쉬스(20)의 와이어 이동공간(24)에 전·후진 작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푸쉬 부재(40)는 절연물질이면서 형상 변경이 가능한 플렉시블 와이어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병변부위를 젖힐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 부재(40)는 도시된 도 2 및 3과 같이 와이어 이동공간(24)에 절곡부(42)가 구비된 푸쉬 부재(40)가 각각 장착되어 개별작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4와 같이 상기 푸쉬 부재(40)는 하나의 조작부(40a)와 상기 조작부(40a)와 결합되고 절곡부(42)가 각각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병변 젖힘부(40b)로 구성되어 동시에 절곡부(42)를 작동시킬 수 있음을 밝힌다.
여기서 병변부위를 젖히는 절곡부(42)는 젖힘과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면(42a)이나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부(42b)가 형성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시경용 나이프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내부 중앙부분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이프 이동공간(22)이 형성되며, 상기 나이프 이동공간(24)의 둘레에는 와이어 이동공간(24)이 형성되는 쉬스(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이동공간(24)은 하나의 전방 와이어 이동공간(24a)과 두 개 이상의 후방 와이어 이동공간(24b)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쉬스(20)의 나이프 이동공간(24)에는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선이 일 측이 결합되고 반대 측에는 병변부위를 절단할 수 있도록 끝단(32)이 절곡형성되는 나이프(30)를 전·후진 작동가능하게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 이동공간(24)에 절연물질인 플렉시블 와이어로 형성되고 끝단 부분에는 병변부위를 젖힐 수 있도록 절곡부(42)가 형성되는 푸쉬 부재(40)를 전·후진 작동가능하게 장착하면 내시경용 나이프(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푸쉬 부재(40)는 하나의 조작부(40a)와 상기 조작부(40a)와 결합되고 절곡부(42)가 각각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병변 젖힘부(40b)로 구성되고, 상기 내시경용 나이프(10)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시경용 나이프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내시경용 나이프(10)를 식도나 위(胃), 소장(小腸), 대장(大腸)과 같은 생체 체강(體腔)을 통해 병변부위 조직에 내시경용 나이프(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전선을 통해 나이프(30)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병변부위의 조직을 자른다.
그리고 병변부위의 조직을 절단한 후, 상기 내시경용 나이프(10)를 일정 깊이 삽입시킨 다음, 쉬스(20)에 장착되는 푸쉬 부재(40)를 전·후진 작동시키면서 끝단에 장착되는 절곡부(42)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의 조직을 젖히도록 한다.
즉, 내시경적 점막절제 시술에서 조직을 자르고 젖히는 역할이 내시경용 나이프 하나로 이루어지며, 푸쉬 부재(40)를 통해 조직 내부를 내시경으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병변부위 조직검사 후 다른 부분의 조직검사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쉬스(20)에 장착되는 나이프(30)와 푸쉬 부재(40)를 후진작동시킨 후 상기 내시경용 나이프(10)를 절단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나이프(30)를 이용하여 병변부위의 조직을 절단한 후 푸쉬 부재(40)의 전진작동을 반복과정을 통해 병변부위 조직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내시경용 나이프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내시경용 나이프,
20 : 쉬스,
30 : 나이프,
40 : 푸쉬 부재,
50 : 전선.

Claims (4)

  1. 절연물질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나이프 이동공간과 와이어 이동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쉬스와;
    상기 쉬스의 나이프 이동공간에 전·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전기가 통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끝단은 병변부위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절곡형성되는 나이프; 및
    상기 쉬스의 와이어 이동공간에 전·후 작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절연물질인 플렉시블 와이어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병변부위를 젖힐 수 있도록 절곡부가 형성되는 푸쉬 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나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쉬스의 중앙 부분에 나이프 이동공간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와이어 이동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나이프 이동공간과 와이어 이동공간은 내부에 장착되는 나이프와 푸쉬 부재가 비접촉 되도록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나이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쉬 부재는 하나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고 절곡부가 각각 구비되는 두 개 이상의 병변 젖힘부로 구성되고,
    상기 쉬스는 푸쉬 부재와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의 전방 와이어 이동공간과 두 개 이상의 후방 와이어 이동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나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가장자리 부분에 곡면이나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나이프.
KR1020120009033A 2012-01-30 2012-01-30 내시경용 나이프 KR10134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033A KR101341194B1 (ko) 2012-01-30 2012-01-30 내시경용 나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033A KR101341194B1 (ko) 2012-01-30 2012-01-30 내시경용 나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830A true KR20130087830A (ko) 2013-08-07
KR101341194B1 KR101341194B1 (ko) 2013-12-12

Family

ID=4921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033A KR101341194B1 (ko) 2012-01-30 2012-01-30 내시경용 나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94A (ko) * 2015-02-27 2016-09-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절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내시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2503B1 (en) * 1998-07-17 2002-03-05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ic surgery apparatus
AU2007238753B2 (en) 2006-04-13 2013-04-0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scopic resection of tissue
US8663221B2 (en) 2007-06-08 2014-03-0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ic treatment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994A (ko) * 2015-02-27 2016-09-0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절개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1194B1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8326B1 (en) High-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CN102933168B (zh) 手术器械
JP5017549B2 (ja)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JP4109092B2 (ja) 高周波ナイフ
JP4870710B2 (ja) 高周波ナイフおよび高周波ナイフシステム
CN105188507B (zh) 内窥镜处理系统
KR20050033471A (ko) 고주파 나이프 및 내시경 장치
US20170105797A1 (en)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device and endoscope system
JP2020505142A (ja) 内視鏡用処理装置、内視鏡、及び拡張型ステント
JP5861002B2 (ja) 医療器具
JP6013625B2 (ja) 内視鏡用粘膜挙上具及び内視鏡処置システム
CN106456146B (zh) 内窥镜用粘膜提起器具及内窥镜处置系统
JP2006346417A (ja)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JP4423474B2 (ja) 内視鏡用鉗子の先端部
US11109908B2 (en) RF surgical resection snare for flexible endoscopy
JP2004000544A (ja) 内視鏡用切開具
KR20170121499A (ko) 고주파 처치장치
KR101341194B1 (ko) 내시경용 나이프
KR100596554B1 (ko)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CN215349414U (zh) 一种高频切开刀
JP2009254650A (ja) 高周波処置具
JP2008093247A (ja) 内視鏡用先端フード及び内視鏡
US9023041B2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 retractable and selectively activated electrode assembly
JP2006325812A (ja) 高周波処置具
JP2007229294A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嘴状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