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6554B1 -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 Google Patents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554B1
KR100596554B1 KR1020040077720A KR20040077720A KR100596554B1 KR 100596554 B1 KR100596554 B1 KR 100596554B1 KR 1020040077720 A KR1020040077720 A KR 1020040077720A KR 20040077720 A KR20040077720 A KR 20040077720A KR 100596554 B1 KR100596554 B1 KR 10059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utter
wire
ablation
cannula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845A (ko
Inventor
조주영
Original Assignee
(주)가주테크놀로지
조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주테크놀로지, 조주영 filed Critical (주)가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7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55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4Endoscopic instruments
    • A61B2010/045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Apparatus f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점막절제시술시구는 내시경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과하는 캐뉼러 튜브와; 상기 캐뉼러 튜브의 후단부가 선단부에 감합 고정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통전전극과 전도성 매개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통전되고 활주하는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와; 각각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에 일단이 결합되어 통전되고, 타단은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 내측부에 위치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타단이 후단부에 편심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두개의 팁이 형성되며 상기 두 팁을 공유하는 한 쌍의 V형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환부를 절제하는 전도성 절제커터와; 상기 절제커터의 내부를 통과하며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후단부에 결합되고 선단부에는 단일 팁이 형성되어 환부를 절제하는 전도성 니들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점막절제시술기구는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절제 시술을 가능하게 하고 시술 능률을 개선시키며 절제 시술과 전도성 유체 매개물의 투입을 동시에 구현 가능하게 한다.
내시경(endoscope), 내시경(catheter), 튜브(tube), 채널(channel), 점막(mucosa)

Description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Apparatus f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사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부분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6은 내시경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 일반적인 주사바늘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절제커터와 니들커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0a 내지 도 10f는 각각 본 발명기구를 사용한 체강 내 점막 제거의 시술 예를 그 시술 순서를 따라 도시한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19 : 손잡이
11a,12a : 제1,제2통전로드 11b,12b : 제1, 제2통전가이드
11c,12c : 제1, 제2연결단자 13 : 단속편
14 : 통전스위치 18 : 랙(rack)
18t : 이(tooth) 21,22 :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21s : 스토퍼 30 : 캐뉼러 튜브
41,42 :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50 : 절제커터
51,52 : 팁 53,54 : 블레이드
60 : 통전전극 61 : 보호캡
70 : 니들커터 80 : 주입구
200 : 내시경 210 : 내시경관
본 발명은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Apparatus f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 (endoscopic incision & submucosal dissection; EISD)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도성 유체(conductive fluid)를 매개로 하여 병리적 위장관 조직(abnormal gastronomic tissue) 등과 같은 점막 조직(mucosal tissue)을 치료하기 위한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endoscope)은 1968년 쿠스몰(Kussmaul)에 의해 개발된 이후로 경성/연성 내시경을 거쳐 현재의 전자내시경에 이르고 있으며, 내시경 치료 시술은 1974년 클라센(Classen), 카와이(Kawai) 등에 의해 시술된 내시경 유두괄약근절개술 (endoscopic sphincterotomy)을 시초로 한다.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분야는 특히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된다. 전자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즉 내시경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작업채널(working channel)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手技)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 즉, 예컨대 과거에는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던 위암은 내시경의 등장과 부속기구의 발전 등으로 인하여 그 조기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위암(gastric cancer)은 통상적으로 병기(病期)에 따라 조기위암(또는 전암(前癌, precancer))과 진행성 위암으로 구분되며, 내시경치료의 가능 경계선은 진행성 위암인가 조기위암인가를 조직생검, 위암의 림프선 전이유무, 병변의 위치와 형태 및 크기 등을 종합 판단함으로써 결정된다. 대체로 림프선의 전이가 없고 종양의 크기가 대략 직경 20㎜ 이하인 경우에는 그 병변을 보이는 부위의 점막층에 대한 내시경 치료술이 행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종양의 크기에 상관없이 내시경 치료술의 적응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내시경점막절제술(EMR)은 내시경 절제시술(endoscopic resection)의 하나로서, 내시경점막 절제술을 통하여 조기 위암을 개복하지 않고 절제할 수 있다. 내시경점막절제술(EMR)은 내시경 수기(手技)를 통해 병리조직을 제거하며,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함을 의미한다. 조기위암에 있어서 내시경점막절제술은 외과적 수술에 비하여 보다 침습성이 적고(less invasive), 의료비용과 효과 면에서 유리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점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다. 내시경점막절제술은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한 한 큰 점막 및 종양 등을 절제할 수 있다. 단, 내시경점막절제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병변을 정확하고 확실하게 절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내시경점막절제술을 이용한 조기위암의 근치(根治)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는 원격 전이나 림프절 전이가 없는 국소적 암의 경우이다. 이 경우에 내시경점막절제술의 적용 여부는 융기/침윤의 깊이, 병변 크기(통상 20㎜ 이하), 조직학적 형태(궤양의 유무 등)의 완전 절제가 가능한 범위 등을 고려하여 사려깊게 결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내시경점막절제술은 그 병변이 20mm이상인 경우 일반 절제가 어려워서 환부를 여러조각으로 나누어 절제해야 하는데 이러한 분할절제는 생체의학에서의 병변의 완벽한 구축(驅逐)이 어려워 시술의 성공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종래 내시경점막절제술의 보다 구체적인 기술의 하나로서 근래에 각광받고 있는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법(endoscopic incision & submucosal dissection; EISD)은 비교적 병변의 크기와 상관없이 시술가능한 기법으로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를 구분하기 위한 경계를 표시하고(marking), 약물의 점막하주입(submucosal injection)은 일반적인 일반적인 내시경점막 절제시술의 경우와 동일하나 특수 제작된 내시경 시술기구를 사용하여 병변 주위의 정상 점막을 점막하층까지 360ㅀ 절개하며, 이어서 그 절개된 병변을 중심으로 점막하층을 박리하는 시술이다. 즉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법(EISD)은 시술자가 병변으로 보이는 환부의 점막 하부(submucosa)에 주사 바늘을 사용하여 약물(예컨대, 생리식염수)를 주입함으로써 절제하고자 하는 환부(점막)를 근육층과 분리되게 부풀린 후 그 두드러지게 부풀어 오른 환부를 전기메스를 사용하여 그 환부 둘레를 따라 고주파 전력으로 한 번에 절제한 이후에 다시 그 절제된 점막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박리해 내는 방식의 시술이다.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법(EISD)은 EMR과 마찬가지로 전도성 확장 매개물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전도성 확장 매개물로서 각각 기체 매개물은 복강경이나 위장병 수술에서, 액체 매개물은 바람직하지 못한 잠재부피를 가지는 확장성 체강에서의 수술시 채용된다. 그러나 전도성 확장 매개물로는 유체가 통상적이며, 예컨대 생리식염수가 유체 매개물로써 유용하다. 전도성 확장 매개물로써의 생리식염수는 0.9% 정도의 생리식염수가 사용된다. 비록 생리식염수가 대부분의 인체 조직의 전도성에 비하여 높은 전도성을 갖는다 하더라도, 흡수 또는 혈관외 유출에 의한 수술부위로부터의 이탈은 생리학적 효과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생리식염수는 비전도성의 전해질이 없는 용액에 의한 물중독효과를 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한편, 내시경은 전도성 작업 채널(conductive working channel)을 제공하며, 전극 장착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전극은 내시경의 분리된 진입구를 통하여 체강 내부로 진입된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법은 인체 개구를 통하여 체강에 접근할 수 있을 경우에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의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법은 1999년에 성공적으로 시술되었으나 이때의 시술기구는 국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수입기구가 사용되었다. 근래에는 국산화에 성공한 특수기구들을 이용하여 내시경 절개점막하박리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점차 일반적인 내시경점막절제술(EMR) 보다는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법(EISD)이 주로 사용된다.
미국특허 제6689130호와 영국 특허출원 제9612993.7호는 각각 고주파 전기메스를 사용하여 환부를 절제하는 장치 및 방법과, 전도성 유체물 매개물의 존재 하에서의 조직의 치료를 위한 전기수술기구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651788호, 제6686051호 및 제6319260호 등은 내시경 절제시술에 있어서 병변 위치의 점막하부에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환부점막을 근육층으로부터 부풀어오르게 한 후, 그 융기된 부위를 결찰하여 제거하는 시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내시경 절제시술은 단극 기구나 양극 기구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단극전기수술에서는 활성전극이 수술부위 내에서 사용되며 전도성 복귀극판은 환자의 피부에 고정된다. 이 배열에 따라서 전류는 활성전극으로부터 환자의 조직을 통하여 외부복귀극판까지 통과한다. 양극전기 수술에서는 활성전극과 복귀전극 한 쌍이 조직 적용 지점에서 함께 사용된다. 이 배열은 두 전극이 상대적으로 근접해 있기 때문에 안전성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미세한 전극을 요구하는 응용분야에서는 전극간의 공간이 협소하여 조직효과 및 출력전력에 제한이 있다.
국제특허 PCT/GB/96/01473호에 개시된 양극 기구는 그 전극 구조가 전도성 유체 매개물과 함께 단극이나 양극의 전기수술에서 겪는 문제점의 대부분을 회피한다. 더욱이, 양 전극의 사이에 비교적 큰 공간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개량된 효과를 얻는다.
국제특허 PCT/GB/96/01472호는 개방된 공간이나 기체가 있는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는 관주되는 양극 전기수술기구를 제시한다. 위 국제특허 PCT/GB/96/01472호는 복귀전극까지의 전기회로를 완성시키는 도전성 유체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서, 생리식염수를 조직치료전극의 노출된 단부로 주입하기 위한 내부 통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직치료전극의 노출된 단부로부터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채널을 포함하고 있다. 생리식염수와 같은 유체의 존재는 부행의 조직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의 제거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런 타입의 기구는 원래 개방된 공간이나 기체가 있는 환경에서의 사용을 위해서 의도된 것이며, 체강의 확장을 요하는 전기 외과적인 절차에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도성 유체 매개물의 존재 하에 체강 내 조직치료를 위한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에 있어서, 종래의 내시경 시술기구에 비하여 다른 특징을 갖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도구(EMR),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절개점막하박리시술기구 (EISD)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체강 내의 환부를 절개하여 제거하는 시술을 함에 있어서 환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절제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도성 매개물의 투입과 절제시술을 단일기구로써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한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제 시술시 용이한 시술 조작을 위하여 절제커터가 캐뉼러 튜브에서 출몰될 수 있도록 한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절제 시술시 용이한 시술 조작을 위하여 니들커터가 절제커터로부터 출몰될 수 있도록 한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 서술된 목적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위에서 언급되지 아니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 서술되는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해당되는 것이다.
위 목적들은,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과하는 캐뉼러 튜브와; 상기 캐뉼러 튜브의 후단부가 선단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통전전극과 전도성 매개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각각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통전되고 활주하는 제1슬라이더 및 제2 슬라이더와; 각각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에 일단이 결합되어 통전되고, 타단은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 내측부에 위치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와;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캐뉼러 튜브의 선단부를 통해 출몰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두개의 팁이 형성된 V형 블레이드를 갖는 중공형 전도성 절제커터와; 그리고 상기 절제커터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절제커터의 선단부로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후단부에 결합된 전도성 니들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전도성 매개물이 상기 캐뉼러 튜브를 거쳐 상기 절제커터를 통해 유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활주를 안내하는 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에는 상기 랙의 이에 작동적으로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활주하되 작동적으로 걸림되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슬라이더가 활주하여 상기 절제커터가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가 활주하여 상기 니들커터가 상기 절제커터의 선단부에서 출몰되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미세굵기의 강선이 편향 꼬임되어 이루어짐으로써 강성(stiffness)을 증진시킨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와이어 및/또는 제2와이어는 그 전 길이에 걸쳐 외주면이 절연물로 피복되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와 상기 통전전극과의 전류 흐름을 택일적으로 단속하는 통전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절제커터에 있어서 그 선단부에 형성된 두 팁 상호간의 높이차가 있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상술하기 위한 일 예로, 이에 의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로써 설명되는 것이다. 또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한정/제한되거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걸쳐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주지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루는 각 요소를 지칭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사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100)는 인체 내부로 인입되는 내시경관(210)이 형성된 내시경(endoscope)(200)과 협력하여 체강 내의 환부를 절제 시술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의 각 부를 이루는 요소의 구조, 기능 및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부분배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몸체(10); 캐뉼러 튜브(30);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21)(22);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41,42); 전도성 절제커터(50); 및 전도성 니들커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는 내측 일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가 이 개구부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나란히 장착된다. 몸체(10) 선단부에는 캐뉼러 튜브(30)의 일단이 유체연통(流體連通)가능하게 끼워져서 결합되는 선단개구부 및 상기 캐뉼러 튜브와 연통(連通)하는 약물주입구(8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는 몸체(1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활주)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21,22)의 상면에는 그 슬라이더들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서 밀어 오르내릴 때 미끄럼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傳導性) 매개물은 유체 매개물로서, 대표적으로 생리식염수, 에피네트린, 인디고카민의 혼합물, 고장액의 포도당, 소디움 아햐루로닉산, 파이브리노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10)의 후단부에는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와 통전전극(通電電極)(60)과의 전류 흐름을 택일적으로 단속(斷續)하는 통전스위치(14)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통전전극(60)이 외부 전원 이외의 것으로부터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61)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캡(61)은 부도체로 구비되도록 한다. 보호캡(61)은 식별의 용이함을 위하여 색도가 높은 색상으로 착색되어도 좋다. 예컨대, 몸체(10)와 보호캡(61)을 각각 흑색 및 적색으로 착색한다면 상호간의 색 대비에 의해 보호캡(61)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0) 저면부에는 보관 또는 취급의 용이함을 위하여 링형 손잡이(19)가 형성되고, 몸체(10)의 측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저면부에는 손잡이(19)가 형성된다. 위 손잡이(1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형 손잡이(19)로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몸체(10) 내부는 중앙부에 형성된 격벽으로써 좌우 공간이 분할 형성되어 있다. 즉, 격벽은 몸체(10) 내측의 일부 공간을 양분한다. 또한, 격벽의 측면과, 상기 격벽에 대향하는 몸체(10)의 내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공히 다수의 이(tooth)(18t)가 구비된 랙(rack)(18)이 형성된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21,22)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10)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인입되는 가이드바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는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 형성된 두 공간에 각각 위치되며 측면의 가이드홈이 몸체(10)의 가이드바에 끼움되어 활주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측면에는 랙(18)의 이(18t)에 걸림되는 스토퍼(21s)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활주를 가능케 하기 위한 구성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절제시술기구(100)를 이루는 세부 요소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10) 선단부에는 캐뉼러 튜브(30)의 일단이 유체연통가능하게 결합되며, 캐뉼러 튜브(30)에 인입되는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41,42)는 몸체(10) 중앙부를 거쳐 각각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다.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는 가이드바에 의해 안내되면서 몸체(10) 내부를 활주함으로써 각각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41,42)의 전후진 길이를 조절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후술된다.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통전로드 및 제2통전로드(11a,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전로드1,2(11a,12a)는 각각 통전가이드1,2(11b,12b) 내부를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출입하면서 제1통전가이드 및 제2통전가이드 (11b,12b)와 항시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41,42)의 일단은 각각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에 결합되어 통전로드1,2(11a,12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통전가이드 및 제2통전가이드(11b,12b)는 각각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 (11c,12c)와 결합되며, 통전전극(60)과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11c,12c) 사이에는 전기적 단속편(13)이 형성된다. 단속편(13)은 통전스위치(14)와 결합되거나, 또는 통전스위치(14)와 일체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속편(13)은 통전전극(60)으로부터 인입되는 전기에너지를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11c,12c)로 전달하되,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11c,12c) 어느 한 쪽만으로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단속적으로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만을 통전시킨다.
즉, 통전전극(60)은 바람직하게는 몸체(10)의 후단부에 형성되며 외부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전달받고, 이를 다시 단속편(13)이 전달받아 제1연결단자(11c)과 제2연결단자(12c) 중 어느 하나의 연결단자로 택일적으로 전달한다. 통전스위치(14)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단속편(13)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연 결단자(12c)가 통전되고, 이로써 니들커터(70)에 통전된다. 반면, 통전스위치(14)를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단속편(13)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연결단자1(11c)이 통전되고, 이로써 절제커터(50)에 통전된다. 여기서, 제1통전로드 및 제2통전로드 (11a,12a), 제1통전가이드 및 제2통전가이드(11b,12b),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11c,12c) 및 단속편(13)은 공히 전도체로 구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는 몸체(10) 내부를 활주하되, 스토퍼(21s)가 랙(18)의 이(18t)에 걸림되어 활주가 작동적으로 다단 걸림된다. 즉,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는 몸체(10)를 활주하면서 스토퍼(21s)가 이(18t)에 걸림되기 때문에 그 활주량이 정량적(定量的)으로 결정된다. 즉,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를 밀거나 당길 경우 스토퍼(21s)가 이(18t)에 순차적으로 작동적으로 걸림되면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급격한 이동이 방지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구성의 보다 유용하고 궁극적인 기술적 효과는 캐뉼라 튜브(30)의 선단으로부터 출몰되는 절제커터(50) 및 절제커터의 선단으로부터 출몰하는 니들커터(70)의 각 출몰량으로 정량적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그 출몰된 위치를 가변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랙(18)의 이(18t)를 등간격으로 형성한다면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활주량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이(18t)의 피치(pitch)를 측정할 수 있음으로써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활주에 따른 절제커터(50) 및 니들커터(70)의 출몰 정도를 정량적으로 제어하여 그 출몰위치를 가변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은 내시경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내시경 절제시술은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시경기구(200)의 내시경관(210)의 작업 채널(working channel)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내시경관(210)에는 기본적으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CCD(Charge Coupled Device, 고체촬상소자) 촬영채널과, 빛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 광섬유로 구비되는 광학채널(optical fiber channel)과, 작업채널(working channel)이 구비된다. 그리고 별도의 목적을 위한 기타채널(the other channel)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 채널은 통한 시술방법은 그 시술기구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는데, 종래 기술로써 미국특허 제4932942호에서 개시되는 주입기구는 이중 관상 침(twin tubler needle)을 제안한다. 그러나 위 이중 관상 침은 치료용 약물의 투입에 국한된다.
또한, 주지된 내시경 시술기구는 약물 투여와 절제를 각각 별개의 시술기구로써 구현한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6585642호에서 제안하는 내시경의 프로브 (probe)는 광학채널(optical fiber channel)과, 흡입튜브(suction tube)의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슬롯(slot) 및 그 외의 채널(the other channel)을 가진다. 여기서, 위 미국특허 제6585642호의 개방 슬롯이 작업 채널(working channel)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성 매개물의 투입과 절제시술이 단일 기구에 의해 동시에 구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체강내 환부 하부에 대한 전도성 유체 매개물의 투입과 환부의 환상절제 및 박리절제시술을 본 발명에 따 른 단일 기구를 사용하여 원스텝(one-step)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점막절제시술기구(100)의 몸체(10) 선단부에 전도성 매개물의 주입구(80)가 구비되어 있다. 주입구(80)를 통하여 주입되는 전도성 매개물은 캐뉼러 튜브(30)를 통하여 유동하여 절제커터(50)를 통해 체강 내로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절제커터(50)와 니들커터(70)를 나타내는 부분확대사시도이다.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41,42)는 전도성 강선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미세 강선이 편향 꼬임됨으로써 강성(stiffness)를 높일 수 있다. 동일한 외경의 와이어라 할지라도, 단일 강선의 와이어와 미세 직경을 갖는 다수의 강선을 꼬아서 형성한 와이어는 역학(力學)상 후자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41,42)는 그 외주면이 절연물(미도시)로써 피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100)에 있어서 내시경관(210)의 작업 채널을 관통하는 캐뉼러 튜브(30)는 그 내부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투명 소재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는 그 캐뉼러 튜브내를 통하여 이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들 또는 약물의 이동상태, 즉 작동의 건전성 여부를 시술전 또는 시술도중 일차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을 고려한 것이다. 실리콘(silicon) 소재는 인체에 무해하며 유연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있어 캐뉼라 튜브 소재로써 적당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절제 프로브(probe)에 있다. 체강 내의 점막을 절개 하기 위한 절제 프로브는 본 발명에서 절제커터(resection cutter)(50)와 니들커터 (needle cutter)(70)로 정의된다.
내시경점막절제시술에 있어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개별부속기구로서의 주지된 종래의 니들(needle)(220)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지창(一枝槍)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니들은 통상의 단일 팁(221)을 가지는데, 본 발명에서의 이에 대응되는 요소인 절체커터(50)는 그 선단에 두개의 팁을 갖는 점에서 종래 주지된 일지창 형상의 니들과 결정적으로 구분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절제커터(50)는 그 블레이드(blade)를 한 쌍의 “V”형 블레이드(53,54)로 형성함으로써 점막과의 접촉면적으로 높여 인체로의 통전(通電)효율을 증대시킴으로서 전기메스로서의 절제 효율을 높이고, 아울러 중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환부 점막 하부로의 약물 투입을 병행할 수 있는 바, 본 발명 기구는 약물주입과 환부의 절제를 단일 기구로서 겸하여 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제커터(50)는 그 선단부에 두 개의 이중 팁(tip)(51,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대략 V형 블레이드(53,54)가 형성된다. 절제커터(50)의 두 팁(51,52)은 점막에 대한 접촉면적 증대에 따른 절개효율을 높인다는 점에서는 크게 유리하나 한편으로는 제7도에 도시한 종래 주지의 단일팁 니들에 비해서는 점막을 찌르고 들어갈 때 그만큼 관통(貫通)저항이 커서 불리하므로 이 불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서는 절제커터의 선단에 형성된 두 팁 선단간에 높이차(d)를 둔 것을 또 다 른 특징으로 한다. 즉, 어느 하나의 팁(51)이 다른 하나의 팁(52)에 비하여 높이차 d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이러한 이지창(二枝槍) 형상의(forked) 절제커터(50)는 환부 절제시 높은 절제속도와 능률을 제공하며 점막하부까지의 관입(貫入)에도 큰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지창인가 단일창인가의 여부, 나아가 이지창에서의 선단부 높이차의 존재여부 및 그 높이차의 크기 여부는 기본적으로 그 절제커터의 굵기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으므로 절제커터의 굵기가 충분히 가늘 경우에는 그 커터의 선단부 형상으로 이지창 형태로 구성하되 선단부 단차를 두지 않을 수도 있고 약물 주입효율을 고려하여 절제커터의 굵기가 충분히 굵을 경우에는 이지창 선단간의 높이차(d)의 크기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서의 절제커터(50)는 대략 직경 0.5mm-3mm 정도의 중공 원통형이다. 또한, 절제커터(50)는 제1와이어(41)가 전달하는 전기를 환부로 전달하기 위하여 전도성(conductive) 소재로써 제조된 것이다. 절제커터(50)의 후단부에는 제1와이어(41)와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제1슬라이더(21)이 전후방향으로 활주하면 이와 연결된 제1와이어(41)도 함께 축방향으로 전후진됨으로써 절제커터(50)가 이동되어 캐뉼러 튜브(30) 선단에서 출몰되도록 이루어진다. 주입구(80)를 통하여 유입된 전도성 매개물은 캐뉼러 튜브(30)와 절제커터(50) 내부를 통해 체강 내 대상 환부로 유출되므로, 전도성 확장 매개물의 환부의 점막하부에 대한 투입과 환부의 절제 시술이 절제커터라는 단일기구에 의해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니들커터(70)이다. 이 니들커터(70)는 절제커터 (50)의 내부를 통과하여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니들커터(70)는 절제커터(50)와 마찬가지로 제2와이어(42)의 일단이 그 저면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와이어(42)의 타단은 제2슬라이더(22)와 결합되어 있어 제2슬라이더(22)의 전후방향 활주에 따라 니들커터(70)가 전후진 이동되어 절제커터(50)의 선단부로부터 출몰되는 것이 특징이다. 니들커터(70)는 전술한 절제커터(50)의 두 가지 역할(약물주입 및 점막절개) 중에서 수직의 점막절개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지만 보다 주된 기능으로서는 절제커터(50)를 사용한 점막의 수직절개(환형절개) 이후 그 점막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박리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적합하게 발명된 것이다. 한편 니들커터(70)의 선단은 시술 도중 정상조직(예컨대 점막하부의 근육층이나 그 하부의 장막층 등)에 대한 손상(예컨대 천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그 끝이 날카롭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니들커터(70)의 작용 및 기능은 하기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선단부를 향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전진은 각각 절제커터(50)와 니들커터(70)를 돌출되게 한다. 반면, 몸체(10) 후단부를 향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후퇴는 각각 절제커터(50) 및 니들커터(70)를 캐뉼러 튜브(30) 내측으로 인입되게 한다. 이때,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21,22)의 스토퍼(21s)와 이(18t) 피치는 절제커터(50)의 돌출/인입 거리를 정량적으로 가변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는 요소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를 사용한 환부절제 과정을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여 시술경과순서에 맞추어 경시적(經時的)으로 설명한다.
도 10a 내지 도 10f에 있어서 도면부호 120는 점막층, 122는 점막하층, 124는 근육층, 126은 장막층, 128은 장막하층, 130은 환부 그리고 132는 마킹표지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a는 예컨대 위 내벽의 환부(130)를 절개 시술하고자 할 때 그 절개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마킹작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마킹표지(132)는 통상의 레이저로 하여도 좋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절제커터(50)를 돌출시켜 점막표면에 접한 상테에서 통전함으로써 점막표면이 전기적 국소열해(局所熱害)를 입게하여 나타나는 변색(대개 흰색으로 변색됨)으로서 충분하다.
도 10b는 마킹작업이 끝난 이후 마킹된 내부 위치에서 절제커터(50)를 점막층(120)를 뚫고 그 점막하층(122) 내지 그 하부의 근육층(122) 경계까지 삽입한 다음 약물(예컨대 생리 식염수)를 주입함으로써 환부(130)를 포함한 마킹표지 내부의 점막층을 근육층(124)으로부터 분리하여 부풀어 오르게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c는 전술한 도 10b의 단계 이후 절개하고자 마킹표시한 부위의 점막하층까지 절제커터(50)를 약간의 경사를 두어 대략 수직하게 삽입한 단면도이며, 도 10d는 10도 c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마킹위치를 따라 환형으로 절개하는 것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0c 및 도 10d의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의 절제커터(50)는 점막하층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및 마킹해 둔 환부의 점막층을 대략 수직방향으로 절개하는 커터의 기능을 아울러 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절제커터(50)의 절개기능을 수행함에 있 어서 그 선단에 형성된 높이차가 있는 V자형 이지창은 절개효율을 증진하는데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약물주입을 위해 그 선단이 점막하층까지 뚫고 들어가기 위한 역할도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0d와 같이 환부둘레를 환상으로 절개함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그 절개를 절제커터(50)가 아닌 니들커터(70)로 수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절제커터(50)은 캐뉼러 튜브(30) 내부로 인입되어 있고 단지 니들커터(70)만을 캐뉼러 튜브(30) 선단부 외부로 돌출시키면 된다. 이러한 절제커터(50)와 니들커터(70)의 선택적인 출몰과 필요에 따른 교호적(交互的) 사용은 병변부위의 다양한 조건에 적응하도록 결정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의 간편한 선택적 슬라이딩 조작 및 통전스위치의 가변조작에 의해 쉽게 가능한 것이다.
도 10e는 도 10d에서 설명한 점막층(또는 그 점막하부층을 포함한)을 환상으로 수직절개(incision)한 이후 그 환상 절개부를 수평으로 절개(dissection)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니들커터(70)를 사용하여 박리시술을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f는 최종적으로 환부(130)를 포함한 점막층 내지 그 점막하층(122)까지가 생체기관으로부터 완전히 박리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렇게 박리된 환부는 별도의 기구를 통해 인체외부로 적출된다.
이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제시된 기술적 사상과 실시예 등이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본 발명의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즉, 특허청구범위에서 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구성요소의 등가 재료로의 치환, 또는 설계 변경에 의한 실시예의 선택적 변경 등은 본 발명에 귀속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제커터의 블레이드(blade)를 이중 팁의 V형 블레이드로 형성하고 상기 절제커터 내부에 니들커터가 상호 협력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시경을 이용하여 체강 내의 환부를 시술함에 있어 보다 신속한 절제 시술을 가능하게 하고 시술 효율을 높인다.
또한, 절제커터를 중공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절제 시술과 전도성 유체 매개물의 투입이 동시에 구현 가능한 효과를 얻는다.
또한, 절제커터가 캐뉼러 튜브 선단부에서 출몰되며, 니들커터가 절제커터의 선단부에서 출몰됨으로써 이들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시술 능률이 크게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내시경점막절제술에 이용되는 내시경 부속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한 부속기구들은 각각의 독립된 부속기구들이어서 시술의 단계별로 각 부속기구들을 매번 교환해야 되는 번거로움과 장시간의 시술시간 소요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시술기구에 의한 비교적 병변부위가 큰 경우조차 그 진단, 마킹, 약물주입, 절개 및 박리까지 모든 치료적 시술단계를 원스텝(one-step)으로 한 번에 할 수 있는 것이 큰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조기위암, 조기의 대장암 이외에 상하부 위장관의 출혈, 유두부 절개 등 치료내시경 분야에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내시경의 작업 채널을 통과하는 캐뉼러 튜브와;
    상기 캐뉼러 튜브의 후단부가 선단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통전전극과 전도성 매개물이 주입되는 주입구가 각각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통전되고 활주하는 제1슬라이더와;
    각각 상기 제1슬라이더에 일단이 결합되어 통전되고, 타단은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 내측부에 위치된 제1와이어와; 그리고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와이어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를 통해 출몰가능하게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두개의 팁이 형성된 V형 블레이드를 갖는 중공형 전도성 절제커터;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통전되고 활주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 일단이 결합되어 통전되고, 타단은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 내측부에 위치된 제2와이어와; 그리고
    상기 제2와이어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를 통해 출몰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절제커터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 절제커터의 선단부로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장착된 전도성 니들커터;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된 전도성 매개물이 상기 캐뉼러 튜브를 거쳐 상기 절제커터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의 활주를 안내하는 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에는 상기 랙의 이(齒)에 걸림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 중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가 상기 몸체 내부에서 활주하되 상기 랙의 이에 작동적으로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가 활주하여 상기 절제커터가 상기 캐뉼러 튜브의 선단부에서 출몰되고,
    상기 제2슬라이더가 활주하여 상기 니들커터가 상기 절제커터의 선단부에서 출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미세강선이 꼬와져 그 강성(stiffness)이 증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그 외주면이 절연물로 피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8.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제1슬라이더 및 제2슬라이더와 상기 통전전극과의 전류 흐름을 택일적으로 단속하는 통전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팁의 상호간 높이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KR1020040077720A 2004-09-30 2004-09-30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KR10059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720A KR100596554B1 (ko) 2004-09-30 2004-09-30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720A KR100596554B1 (ko) 2004-09-30 2004-09-30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845A KR20060028845A (ko) 2006-04-04
KR100596554B1 true KR100596554B1 (ko) 2006-07-06

Family

ID=37139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720A KR100596554B1 (ko) 2004-09-30 2004-09-30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5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63A2 (ko) *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세양메디칼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KR101491846B1 (ko) * 2013-08-27 2015-02-11 해림씨앤씨 주식회사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의 시술기구
KR101585019B1 (ko) 2015-06-30 2016-01-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제거장치
KR20160071254A (ko)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내시경용 카테터
KR20190031611A (ko) 2017-09-18 2019-03-27 원텍 주식회사 광전송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130B1 (ko) * 2009-09-15 2010-02-18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내시경 점막하 절제용 처치구
CN107696425A (zh) * 2017-11-18 2018-02-16 珠海市春生五金工业有限公司 注塑件水口切除设备及其切除方法
CN109620356B (zh) * 2018-12-14 2024-03-29 张建国 一种横向折叠式剥离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78A (ja) 1998-07-03 2000-01-18 Hironori Yamamoto 消化管内視鏡処置に用いる粘膜切開用鉗子、及びその使用方法
US6527753B2 (en) 2000-02-29 2003-03-04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ic treatment system
US6689130B2 (en) 2001-06-04 2004-02-10 Olympus Corporation Treatment apparatus for endoscop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78A (ja) 1998-07-03 2000-01-18 Hironori Yamamoto 消化管内視鏡処置に用いる粘膜切開用鉗子、及びその使用方法
US6527753B2 (en) 2000-02-29 2003-03-04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ic treatment system
US6689130B2 (en) 2001-06-04 2004-02-10 Olympus Corporation Treatment apparatus for endoscop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63A2 (ko) * 2011-02-22 2012-08-30 주식회사 세양메디칼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WO2012115363A3 (ko) * 2011-02-22 2012-10-18 주식회사 세양메디칼 복수개의 모드를 멀티시술모듈을 통해 하나의 장치로 동작시키는 내시경하 점막하층 멀티용 시술기구
KR101491846B1 (ko) * 2013-08-27 2015-02-11 해림씨앤씨 주식회사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의 시술기구
KR20160071254A (ko)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내시경용 카테터
KR101585019B1 (ko) 2015-06-30 2016-01-14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제거장치
WO2017003231A1 (ko) * 2015-06-30 2017-01-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직 제거장치
KR20190031611A (ko) 2017-09-18 2019-03-27 원텍 주식회사 광전송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845A (ko)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6564B2 (ja) ダブル通路注液可能なバイポーラ高周波電気メス
US8568410B2 (en) Electrical ablation surgical instruments
CA2648434C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scopic resection of tissue
JP5336377B2 (ja) 内視鏡と共に使用するフード部材
US9387034B2 (en) High-frequency knife
US12108975B2 (en)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US20090062788A1 (en) Electrical ablation surgical instruments
US20230078251A1 (en) Multifunction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1830085B1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CN105395251B (zh) 一种内镜用高频电刀
CN111202485A (zh) 一种医用连接装置
WO2020002988A2 (en) Medical instrument f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an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KR100596554B1 (ko)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CN208808644U (zh) 一种可双通道注液的双极高频电刀
KR20130062490A (ko) 가변 절개부를 구비한 고주파나이프
KR20190020601A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KR102234752B1 (ko)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CN215018125U (zh) 一种圈套器和切开刀
CN114569234B (zh) 内镜手术用多功能圈套器
RU23089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кции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CN209107567U (zh) 一种多功能高频电切开刀
RU230890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екции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с подслизистой
CN115209823A (zh) 电极单元及电极单元的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