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752B1 -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 Google Patents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752B1
KR102234752B1 KR1020190039942A KR20190039942A KR102234752B1 KR 102234752 B1 KR102234752 B1 KR 102234752B1 KR 1020190039942 A KR1020190039942 A KR 1020190039942A KR 20190039942 A KR20190039942 A KR 20190039942A KR 102234752 B1 KR102234752 B1 KR 10223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utting unit
cutting
knif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600A (ko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7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6Scis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긴 대롱 형태의 튜브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의 내경에서 선단을 출입되게 설치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을 제1절단체와 제2절단체의 절 삭력과, 상기 제1절단체 및 제2절단체에서 발생되는 고주파에 의해 절단되게 하는 전극 절개부; 상기 튜브의 선단에 설치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 절단 시 상기 전극 절개구 의 물리력이 유지되게 가이드하는 안전림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전극 절개부의 제1절단체와 제2절단체가 벌어지거 나 또는 모아질 때 교호적으로 통전되어 상기 전극 절개부의 내측날변 및 외 측날변에서 고주파의 에너지가 각각 발생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되어 위장관 종양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 시 전절개와 지혈술이 용이하고, 조직 섬유화로 박리가 어려울 때도 쉽게 박리를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Four blades - scissors knife for Endosurgical procedure}
본 발명은 위장관 종양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ES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시 전절개(pre-cut)와 지혈술이 용이하고, 조직 섬유화로 박리가 어려울 때도 쉽게 박리를 진행할 수 있는 네 개의 날을 가진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은 소화기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내시경 시술 중 조기 위암, 대장암, 식도암의 양성, 전암성 병변 또는 점막과 점막하의 악성 종양을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시경 점막 절제술 및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은 점막과 점막 하 조직에 국한된 조기 위장관암을 올가미로 절제하거나 캡을 씌운 뒤 전기 칼로 잘라내 병변을 제거할 수 있어 복잡하고 위험한 외과 수술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초소형 고체촬상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의 출현으로 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숙련에 힘입어 의료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내시경 수술 방법은 크게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Endosco- pic Mucosal Resection)과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로 구분되며, 내시경 점막절제술은 내시경의 워킹 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마킹, 절개, 박리, 지혈, 송수 등의 처치 목적이나 점막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내시경 부속 기구를 적절하게 교체 사용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시경 점막절제술(EMR)은 직경 2cm를 넘거나, 종양의 깊이가 깊어 점막 하층을 침범할 경우, 불완완전 절제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고, 위장관이 터지는 즉, 천공이 발생되는 후유증의 가능성이 증가하여 시술 범위에 제한이 있다.
이런 내시경 점막절제술(EMR)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으로 점막과 점막 하층을 침범하는 전암성 병변 및 위, 식도와 대장의 악성 종양까지 내시경으로 제거하는 기술로서, 고주파 나이프를 이용하여 병변부의 아래쪽의 점막하 조직을 파고 들어가 조금씩 벗겨내면서 종양을 일괄 절제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 점막절제술(EMR)과 달리 종양 제거 범위의 한계가 직경 2cm를 초과하는 병변 및 얕은 점막 하 침범 병변도 떼어낼 수 있으므로 큰 종양도 침범 깊이만 깊지 않다면 안전하고 완전한 절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의 또 다른 특징은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없이 수면제로 유도한 진정 상태에서 수술이 이뤄지며, 수술시간은 약 40분에서 한 시간가량이 소요 되어 수술 시간이 비교적 짧고, 회복이 빨라서 수술 후 3~4일이면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특장점으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임상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어서, 위장관의 전암성 병변 및 조기 위장관 암(식도암, 위암, 대장암)의 치료율을 높이고, 회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에는 병변 부위를 절개 또는 절취하는 과정에서, 병변 이외의 신체조직과 연접되더라도 절연체에 의하여 조직이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에 사용되는 고주파 나이프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386호(이하 “선출원”이라 함)로 제안 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된 고주파 나이프는, 전극의 선단에 절연체가 고정된 상태로 구성되어 내시경과 함께 병변 조직에 진입되어 병변 조직의 부위를 미소하게 소작하여 조직 부위를 마킹 한다. 이후, 약물 주입 니들이 병변 조직에 침투하여 병변 조직으로 식염수가 주입됨에 따라 병변 조직을 절제하기 용이하도록 팽윤시킨다. 이후, 고주파 나이프는 마킹 지점에 침습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조직의 주변을 360도 회전하면서 절개한다.
이러한 병변조직을 절개하면서 병변 조직을 얇게 박리하게 되는데, 이때 나이프에 인가되는 고주파는 비연속적이어서 조직을 소작하는 절개와 소작된 조직을 들어 올리는 박리의 작업은 동시에 진행되기 어렵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나이프는 팁에 고주파 인가된 시점에서는 조직을 절개하고, 팁에 고주파가 인가되지 않은 시점에 나이프 팁의 구조를 이용하여 조직을 들어 올리는 작업이 교대로 반복됨에 따라 조직 전반을 절제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제거 대상인 점막은 조직이 다층 구조이고, 울퉁불퉁한 주름 형태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혈관과 섬유 조직이 딱딱하게 변형된 을 갖기도 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고주파 나이프의 팁이 절개와 박리를 동시적으로 매끄럽게 수행하기란 매우 어려워서 고주파 나이프의 팁은 일반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단부가 돔 형상의 둥근 전극의 형상을 갖게 되어 조직 내로 침습 및 조직의 절개는 용이하지만, 상부로 얇게 박리되는 조직층을 매끄럽게 들어 올리거나, 후킹(hooking)하면서 절개시키기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고주파 나이프가 조직을 끌어당길 때 나이프 끝에 절개된 조직층이 집중되어 저항이 증가됨에 따라 통전시간이 많이 걸리고, 절개면에 화상(burn)을 입히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종래의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는 절개와 박리를 동시에 매끄럽게 진행시키기에 용이하지 않은 구조적 한계가 있다.
또한, 점막하 박리술은 병변 조직의 주변으로 진입하여, 마킹, 절개, 박리, 지혈, 워싱 등 다양한 처치를 하게 되므로, 고주파 나이프는 이와 같은 처치를 한 번의 삽입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요구된다.
특히, 고주파 나이프의 팁 구조는 절개뿐만 아니라 조직이 잘 걸려서 박리 될 수 있어야 하므로, 고주파 나이프에 송수, 지혈, 식염수, 약물 등을 주입하기 위한 니들이 고주파가 인가되는 전극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팁에 전극과 니들이 함께 배치된 구조로서 절개와 박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나이프 팁을 매끄럽게 형성되게 함도 요구된다.
대한만국 등록특허 제10-1764386호(2017.07.27. 등록)
본 발명은, 고주파 나이프에서 전절개(pre-cut)와 지혈술이 용이하고, 조직 섬유화로 박리가 어려울 때도 쉽게 박리를 진행하기 위해 절단체의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외측날에 의한 절단과 내측날에 의한 절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날과 내측날에 의한 듀얼 절단 동작을 제공할 때 전극절재부의 절단체의 조정이 유동되지 않고 절단이 정확하게 유도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상기 고주파 나이프에서 긴 대롱 형태이며 자유로운 구부러짐을 이루는 튜브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내경에서 선단을 출입되며 연동되게 설치되는 제1절단체 및 제2절단체의 내측변과, 외측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에 의해 체내의 병변부위가 절삭되게 하는 전극 절개부; 상기 튜브의 선단에 설치되어 체내의 병변 조직 절단 시 상기 전극 절개구의 물리력이 유지되게 가이드하는 안전림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전극 절개부의 제1절단체와 제2절단체가 벌어지거나 또는 모아질 때 교호적으로 통전되어 상기 전극 절개부의 내측날변 및 외측날변에서 고주파의 에너지가 각각 발생되는 전원공급부; 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튜브 내에서 진출입되는 주와이어에 고정되는 제1절단체; 상기 제1절단체에서 지점 구동되게 설치되는 제2절단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주와이어에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조정와이어에 고정되는 유도링; 상기 유도링과 상기 제2절단체에 연결되어 상기 조정와이어의 이동시 굴절되는 링크; 로 이루어진 구동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링크에 의해 벌어지고 오므라드는 상기 전극 절개부의 내측절단변에 절단력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절단체 내면의 내측변위치와 외측변위치에 형성되는 전극홈으로 고주파 발생용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장착되게 하고, 상기 제1절단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회전핀의 회전범위에는 벌림용 제1접촉편 및 오므림용 제2접촉편이 설치되어 고주파 발생용 전원이 상기 제1접촉편을 통해 제1전극에 공급되고, 상기 제2접촉편을 통해 제2전극으로 공급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2절단체 내면의 내측변위치와 외측변위치에 형성되는 전극홈으로 고주파 발생용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장착되게 하고, 상기 제2절단체의 내면으로는 상기 회전핀용 핀공이 천공되고, 상기 핀공 주변으로 벌림용 제1접촉단자 및 오므림용 제2접촉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제2절단체의 외면에는 주와이어측으로 상기 링크 연결을 위한 피봇공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유도링 축선위치에 상기 주와이어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와이어홀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홀 외측면에는 상기 조정와이어가 고정되는 협지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외이어홀 외부상면과 상기 제2절단체의 외측단에는 상기 링크가 연결되는 지지핀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유도링과 상기 제2절단체가 연결되게 하는 상기 링크에는 각각의 상기 지지핀이 삽입되는 축공이 천공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안전림부는, 상기 전극절개부가 출입되는 상기 튜브의 끝단에 설치되는 삽입대와, 상기 삽입대의 선단에서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출입홀과, 상기 출입홀의 내면에는 병변부위 절삭 시 상기 제1절단체와 제2절단체에서 발생 되는 물리력이 유지 되도록 그 외측날변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안전림부는, 상기 출입홀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은 상기 제1,제2절단체의 벌어지는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입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 위치에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제1 절단체에 제2절단체가 겹쳐질 때, 상기 제1절단체의 제2접촉단자와 상기 제 2절단체의 제2접촉편의 접촉으로 상기 전극절개부의 외측날변에서 병변조직이 절단되는 고주파 에너지가 발생 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제1 절단체에서 제2절단체가 벌어질 때, 상기 제1절단체의 제1접촉단자와 제2절 단체의 제1접촉편이 접속되어 상기 전극절개부의 내측날과, 내측변의 제2전 극에서 병변조직이 절단되는 고주파 에너지에 의해 절단력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장관 종양의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ES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시 전절개(pre-cut)와 지혈술이 용이하고, 조직 섬유화로 박리가 어려울 때도 쉽게 박리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단체를 열면, 외측날에는 전기 에너지가 통하지 않도록 하여 내측날에서 고주파에너지가 방출되므로 가위처럼 사용할 수 있고, 절단체를 닫아 절단날이 완전히 겹쳐지면 내측날에는 전기 에너지가 통하지 않고 외측날에만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한 고주파 에너지로 나이프(knife)처럼 사용할 수 있어 듀얼나이프로 사용할 되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내시경에 대한 튜브의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내시경의 튜브 내부를 보인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내시경의 전극절개부를 분해하여 펼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극절개부가 지점회동되게 하는 구동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나이프의 튜브 끝에 설치되는 삽입대의 사시도,
도 6은 도5의 삽입대에서 전극절개부가 벌어진 상태에 출입홀에 접촉되는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전극절개부의 동작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도 6의 전극절개부의 동작상태에서 내측날과 외측날에 구비된 제1전극과 제2전극의 전원인가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주파 내시경의 튜브에서 전극절개부가 출몰 및 벌어짐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내시경에 대한 튜브의 부분 확대상태를 나타낸다.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100)에는 환자의 체내의 병변부위에 접근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된 관(管)형태이며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소재로 된 튜브(1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상기 튜브(120)의 내경에는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전극절개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전극절개부(200)는 전원공급으로 고주파 에너지가 전극절개부(200)의 내측변(201) 및 외측변(205)에 선별적으로 생성되어 체내의 병변부위를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 절삭 및 절개할 수 있는 가위형 듀얼 나이프 구성이 구비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내시경의 튜브 내부를 보인 일부 단면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내시경의 전극절개부를 분해하여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데, 가위형 듀얼나이프 구성을 위한 상기 전극절개부(200)는 가위의 형태를 이루기 위해 폭이 좁고 납작한 형태의 제1절단체(210) 및 제2절단체(230)로 구비하여 상기 제1절단체(210)의 중심위치에 회전핀(212)이 설치되게 하고, 상기 회전핀(212)에 상기 제2절단체(230)의 중심위치에 형성한 핀공(232)으로 조립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의 납작한 면이 상호 맞닿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같은 상기 전극절개부(200)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1절단체(210) 및 제2절단체(230)가 상기 회전핀(212)을 회전지점으로 하여 벌어지고 닫히는 동작을 이루며 이때, 소재의 강도에 의해서 상기 제1절단 체(210) 및 제2절단체(230)의 맞닿는 면에 구비된 내측날(203)에서는 일반적인 절삭기구와 같은 절삭력이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절개부(200)에는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듀얼나이프로 사용하기 위한 전원 공급구성이 상기 제1절단체(210) 및 제2절단체(230)에 구비되게 하므로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제1절단체(210) 및 제2절단체(230)에서 고주파 에너지가 생성 및 방출되어 내측변(201)과, 외측변(205)에 접촉되 는 부분에 대해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절삭, 절개 또는 절단되는 고주파에 의한 절삭력이 더 구비된다.
소재의 강도에 의한 일반적인 절삭력과, 고주파에너지에 의한 절삭력이 제공되는 상기 전극절개부(200)는 상기 튜브(120) 내부에 설치되는 상태를 이루며, 내시경을 통해 확인되는 병변 부위에 대한 점막하 절개박리 시술을 시도할 때 시술자의 조작으로 상기 튜브(120)의 전방으로 진출되어 병변부위에 대해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물리력에 의한 절삭력과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절삭력으로 점막하 절개박리술은 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튜브(120) 내부로 삽입되는 주와이어(240)의 끝단에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제1절단체(210)가 연결되게 하고, 제2절단체(230)에는 상기 주와이어(240)와 함께 삽입된 보조와이어(250)가 연결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극절개부가 지점 회동되게 연결하는 구동부의 구조를 보인 분리상태도이다.
상기 고주파 나이프(100)의 손잡이측에서 조정되는 상기 주와이어(240)에 의하여 상기 제1절단체(210)는 상기 튜브(120)의 끝단 외부로 출몰되 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제1절단체(210)와 함께 상기 제2절단체(230)도 출몰되는 것으로, 상기 튜브(120)의 끝단에서 출몰되는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제1 절단체(210)는 상기 주와이어(240)에 의해 직선 이동력과 도시하지 않는 전원 공급라인에 의해 외부전원이 제공되는 상태이고, 함께 출몰되는 제2절단체(230)에는 상기 튜브(120) 끝단의 외부로 진출된 제1절단체에서 지점회전력이 제공되는 상태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물리력으로 벌어지고 오므라들음에 의한 절삭력과, 전원공급에 따른 고주파 에너지로 절삭력이 제공된다.
상기 전극절개부(200)가 외부 물리력으로 벌어지고 오므라들음에 의한 절삭력이 발생되게 함은 상기 제2절단체(230)와 상기 보조와이어(25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절단체(210)에서 상기 제2절단체(230)가 지점회전을 이루게 하는 구동부(300)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보조와이어(250)에 끝단이 설치 고정되는 고정링(3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310)의 측면으로는 유도링(3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도링(320)에는 상기 주와이어(240)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통공(323)이 구비되게 한다.
상기 주와이어(240)가 관통 삽입되는 상기 유도링(320)과, 상기 제2절단체(230) 사이에는 상기 보조와이어(250)의 전후이동력을 관절 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제2절단체(230)가 제1절단체(210)에서 지점회전이 되게 하는 링크(330)가 연결되게 한다.
상기 링크(330)에는 링크의 선단과 후단으로 각각의 피봇공(333)이 천공되게 형성하여 상기 제2절단체(230)의 피봇공(217) 및 상기 유도링(320)으로 피봇(335)이 조립되게 하여 상기 유도링(320)과, 상기 제2절단체(230)가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 전극절개부(200)가 상기 튜브(120)의 선단으로 노출될 때 손잡이에서 상기 보조와이어(250)를 상기 튜브(120) 선단측으로 밀면 상기 고정링(310)의 유도링(320)이 상기 주와이어(240)를 따라 전진이동되는 슬라이딩력이 상기 제2절단체(230)의 회전핀(212)에 편심상태로 가해져 제2절단체(230)와 링크(330)가 연결된 피봇(335) 위치에서 힘의 작용점이 변화되어 링크(330)는 관절운동되고 상기 회전핀(212)을 기점으로 상기 제2절단체(230)는 지점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제2절단체(230)가 상기 제1절단체(210)에서 벌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상기 제2절단체(230)가 상기 제1절단체(210)에서 지점 회전할 때 벌어지면서 내측날(203)은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절단체(210)와 상기 제1절단체(210)의 내측날(203)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기 고주파나이프(100)의 손잡이측에서 상기 보조와이어(250)를 조정하여 당기면 상기 고정링(310)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링크(33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벌어진 상태의 상기 제2절단체(230)가 지점 회전되면서 상기 제1절단체(210)에 모아지질 때 겹쳐지는 내측날(203)에서는 절단력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날(203)이 겹쳐질 때 형성되는 절단력은 상기 보조와이어(250)의 조정을 반복할 때 시술자가 내시경으로 확인되는 병변부위에 대해 점막하 박리절개 또는 절단시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절극절개부(200)의 내측날(203)에 의한 절단 및 절개외에 상기 절극절개부(200)에 구비하는 전원공급부(400)에 의해서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점막하 박리절개 시술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전극절개부(200)에 제1절단체(210)와, 이에 겹쳐지게 설치된 제2절단체(230)의 마주하는 내측변(201)에 상기 전원공급부(400)를 형성함에 있어 내측날(203) 부근과 외측날(207) 부근을 파내어 각각의 제1전극 (410,410A)과 제2전극(430,430B)이 매설 장착되게 한다.
그리고, 제1절단체(210)의 내면에 설치되는 상기 회전핀(212)을 축으로 하는 동심원선상에 제1전극(410)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하기 위한 제1접촉단자(413)와, 제2전극(43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접촉단자(433)가 설치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제2절단체(230) 중앙에 상기 회전핀용 핀공(232)이 천공되고, 상기 핀공(232)을 축으로 하는 동심원선상에 접촉편(415)이 매설 장착되게 하여 벌릴 때에 동심원상 위치에 있는 상기 제1접촉 단자(413)에 접촉되어 제1전극(410, 410A)측으로 전기가 공급되고, 오므린 상태에서는 동심원상에 있는 상기 제2접촉단자(433)에 접촉되어 제2전극(430, 430A)측으로 전기가 공급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제2절단체(230)가 제1절단체(210)에서 벌어져 오므리는 동작, 즉 내측날(203)의 절단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제1전극(410,410A)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에 의해 내측날(203)에 의한 절단은 물론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절단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전극절개부(200)의 제2절단체(230)가 오므라들어 상기 제1절단 체(210)에 겹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2절단체(230)의 접촉편(415)이 제1절단체(210)의 제2접촉단자(433)에 접촉되므로 전기가 제2전극(430,430A)으로 공급되어 상기 전극절개부(200)의 외측변(205)에서 고주파 에너지가 발생되므로 외측변(205)이 접촉되는 병변의 점박하 부분이 고주파 에너지로 절개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측날(203)의 절삭에 의한 절단과, 전원공급에 의한 제1전극(410,410A), 제2전극(430, 430A)의 고주파 에너지에 의한 절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은 시술자가 고주파 나이프(100)를 손잡이에서 전원공급을 선택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상기 전극절개부(200)는 긴 대롱 형태의 튜브(120) 내부에서 끝단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제2절단체(230)가 벌어지고 오므라드는 동작으로 병변부위의 점막 하부위를 절개할 때 고주파 나이프(100)의 손잡이로부터 당겨지는 힘으로 내측날(203)이 오므라들지만, 손잡이로부터 전극절개부(200)까지의 거리로 인해 당겨지는 힘의 전달이 약해져 내측날(203)에 물려진 병변 부위가 시술자가 원하는 의도대로 진행되지 않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튜브(120)의 끝단에 전극절개부(200)의 제1, 제2절단체(210, 230)의 오므라드는 상태가 유도되게 하는 안전림부(500)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안전림부(500)는 상기 튜브(120)의 끝단에 결합되는 삽입대(510)와, 상기 삽입대(510) 내부에 상기 튜브(120)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극절개부(200)가 출입되는 출입홀(520)이 구비된다.

상기 출입홀(520)의 내면에 여러 곳에는 병변부위 절삭 시 벌어지는 상기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의 외측변(205) 내부가 삽입되게 하는 지지홈(523)이 형성되되, 이 지지홈(523)은 상기 출입홀(520)의 중심에서 방사방향 위치에 형성되게 한다.
삭제
상기 지지홈(523)은, 상기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가 벌어져 내측날(203) 사이에 병변부위가 물렸을 때 외측변(205)의 일부가 끼워짐으로 인해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홈(523)에 상기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의 외측변(205)의 일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보조와이어(250)을 당기는 힘으로 제2절단체(230)가 지점회전되게 하여 절개 및 절단동작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고주파 나이프(100)의 손잡이 측에서 주와이어(240)를 당기는 시술동작에 의해 벌어진 상태의 전극절개부(500)의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가 상기 튜브(120) 속으로 이동될 때, 상기 튜브(120)의 출입홀(520)의 좁은 내경에 접촉되는 외측변(205)이 눌려지므로 제1절단체(210)와 제2절단체(230)는 오므라들면서 내측날(203)에서 절단 및 절개가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홈(523)은 제1, 제2절단체(210, 230)가 주와이어(240)의 당겨짐에 의해 튜브(120) 내경으로 복귀될 때 벌어진 제1, 제2절단체(210, 230)의 외측변(205)이 지지홈(523)의 오목한 면과 접촉되는 상태로 복귀되므 로 좁은 내경으로 삽입되는 상태에 의해 벌어진 내측날(203)이 오므라들며, 뿐만아니라, 지지홈(523)에 접촉된 상태로 유도되므로 오므라드는 상태는 흔들리지 않는 상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고주파 나이프(100)의 듀얼방식의 절삭 및 절개 동작은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시술 시에 전절개(pre-cut)와 지혈술이 용이하고, 조직 섬유화로 박리가 어려울 때도 쉽게 박리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고주파 나이프 120 : 튜브 200 : 전극절개부
210 : 제1절단체 230 : 제2절단체 203 : 내측날
207 : 외측날 217 : 피봇공 240 : 주와이어
250 : 보조와이어 300 : 구동부 310 : 고정링
320 : 유도링 330 : 링크 335 : 피봇
400 : 전원공급부 410,410A : 제1전극 413 : 제1접촉단자
415 : 제1접촉편 430,430A : 제2전극 433 : 제2접촉단자
435 : 제2접촉편 500 : 안전림부 510 : 삽입대
523 : 지지홈

Claims (9)

  1.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상기 고주파 나이프에서 긴 대롱 형태이며 자유로운 구부러짐을 이루는 튜브의 양 끝단 중 체내로 삽입되는 상기 튜브의 내경 선단에서 출입되며 연동되게 설치되는 제1절단체 및 제2절단체의 내측변과, 외측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에 의해 체내의 병변부위가 절개되게 하는 전극절개부;
    상기 튜브의 선단에 설치되어 체내의 병변조직 절단 시 상기 전극절개부의 물리력이 유지되게 가이드하는 안전림부: 를 포함하여
    상기 전극절개부는, 상기 전극절개부의 제1절단체와 제2절단체가 벌어지거나 또는 모아질 때 교호적으로 통전되어 상기 전극절개부의 내측날변 및 외측날변에서 고주파의 에너지가 각각 발생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절개부는,
    상기 튜브 내에서 진출입되는 주와이어선에 고정되는 상기 제1절단체;
    상기 제1절단체의 회전핀을 축으로 지점구동되게 설치되는 상기 제2절단체;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주와이어선에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어 보조와이어선에 고정되는 유도링;
    상기 유도링과 상기 제2절단체에 연결 조립되어 상기 보조와이어선의 이동시 굴절되는 링크; 로 이루어진 구동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링크에 의해 벌어지고 오므라드는 상기 전극절개부의 내측절단변에 절단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1절단체 내면의 내측변위치와 외측변위치에 형성되는 전극홈으로 고주파 발생용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장착되게 하고,
    상기 제1절단체의 내면에 설치되는 회전핀의 회전범위에는 벌림용 제1접촉편 및 오므림용 제2접촉편이 설치되어 고주파 발생용 전원이 상기 제1접촉편을 통해 제1전극에 공급되고, 상기 제2접촉편을 통해 상기 제2전극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제2절단체 내면의 내측변위치와 외측위치에 형성되는 전극홈으로 고주파 발생용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장착되게 하고,
    상기 제2절단체의 내면 중앙으로는 상기 제1절단체의 회전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천공되고,
    상기 핀공 주변으로 벌림용 제1접촉단자 및 오므림용 제2접촉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제2절단체의 외면에는 상기 주와이어선 측으로 상기 링크 연결을 위한 피봇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유도링에 상기 주와이어선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링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유도링 외부상면과 상기 제2절단체의 외측단에는 상기 링크가 연결되는 피봇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유도링과 상기 제2절단체가 연결되게 하는 상기 링크에는 각각의 상기 피봇이 삽입되는 피봇공이 천공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림부는,
    상기 전극 절개부가 출입되는 상기 튜브의 끝단에 설치되는 삽입대와,
    상기 삽입대의 선단에서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출입홀과,
    상기 출입홀의 내면에는 병변부위 절삭 시 상기 제1절단체와 제2절단체에서 발생되는 물리력이 유지 되도록 그 외측날변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림부는,
    상기 출입홀 내면에 상기 지지홈을 형성하되, 상기 제1,제2절단체의 벌어지 는 상태가 유지되게 경사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입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 위치에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제1절단체에 제2절단체가 겹쳐질 때, 상기 제1절단체의 제2접촉단자와 상기 제2절단체의 제2접촉편의 접촉으로 상기 전극절개부의 외측날변에서 병변조직이 절단되는 고주파 에너지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절개부는,
    상기 제1절단체에서 제2절단체가 벌어질 때, 상기 제1절단체의 제1접촉단자와 제2절단체의 제1접촉편이 접속되어 상기 전극절개부의 내측날과, 내측변의 제2전극에서 병변조직이 절단되는 고주파 에너지에 의해 절단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KR1020190039942A 2019-04-05 2019-04-05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KR10223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42A KR102234752B1 (ko) 2019-04-05 2019-04-05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942A KR102234752B1 (ko) 2019-04-05 2019-04-05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00A KR20200117600A (ko) 2020-10-14
KR102234752B1 true KR102234752B1 (ko) 2021-04-02

Family

ID=7284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942A KR102234752B1 (ko) 2019-04-05 2019-04-05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7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6698B2 (ja) 2004-02-25 2010-03-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2011523874A (ja) 2008-06-11 2011-08-25 エルベ エレクトロメディツィン ゲーエムベーハー 安全ユニットを有する電気外科装置
US20120101484A1 (en) 2009-07-01 2012-04-26 Olympus Winter & Ibe Gmbh Surgical jaw instrument having a slid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0375B (en) * 2016-05-17 2021-12-01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cutting tool
KR101764386B1 (ko) 2017-03-29 2017-08-03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6698B2 (ja) 2004-02-25 2010-03-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高周波処置具
JP2011523874A (ja) 2008-06-11 2011-08-25 エルベ エレクトロメディツィン ゲーエムベーハー 安全ユニットを有する電気外科装置
US20120101484A1 (en) 2009-07-01 2012-04-26 Olympus Winter & Ibe Gmbh Surgical jaw instrument having a slid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600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803B1 (ko) 고주파 나이프 및 내시경 장치
JP5336377B2 (ja) 内視鏡と共に使用するフード部材
JP5180081B2 (ja) 内視鏡用処置具
CA3097932C (en) Multifunctional high-frequency electric knife
JP4068989B2 (ja) 高周波処置具
US9220560B2 (en) Instrument for endoscopic treatment
JP2010502381A5 (ko)
US11534238B2 (en) Multifunction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05395251B (zh) 一种内镜用高频电刀
JPH08299355A (ja) 高周波ナイフ
CN205054424U (zh) 一种经内镜可粘膜下注射的剥离切开刀
KR102234752B1 (ko) 내시경 점막하 박리 절제술을 위한 가위형 나이프
US10363087B2 (en) Tissue resection device
KR100596554B1 (ko) 내시경점막절제시술기구
KR20190020601A (ko) 복수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내시경 점막하 절개박리를 위한 고주파 나이프
WO2019142911A1 (ja) 内視鏡用処置具
CN215018125U (zh) 一种圈套器和切开刀
CN112438795B (zh) 一种新型医用电刀的刀头组件及新型医用电刀
CN212234668U (zh) 一种内窥镜用切开刀
CN212213874U (zh) 一种切开刀
CN209107567U (zh) 一种多功能高频电切开刀
US20230137591A1 (en) Endoscope treatment tool, and treatment method
KR101750654B1 (ko)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에 이용되는 나이프
CN113907865A (zh) 一种切开刀
CN114569234A (zh) 内镜手术用多功能圈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