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433A -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 Google Patents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433A
KR20130087433A KR1020130008679A KR20130008679A KR20130087433A KR 20130087433 A KR20130087433 A KR 20130087433A KR 1020130008679 A KR1020130008679 A KR 1020130008679A KR 20130008679 A KR20130008679 A KR 20130008679A KR 20130087433 A KR20130087433 A KR 20130087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opper
lid
container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769B1 (ko
Inventor
신 마쓰야마
마모루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13008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85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one part of the hinge being integral with the hinged closure and the other part with the base element, without any other additional hing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걸어멈춤부의 작용으로 통기구멍의 닫고, 열고, 닫는 조작을 간편하고 확실히 행할 수 있어, 내용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한다.
뚜껑체(14)에 설치되어 뚜껑체(14)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동시에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와, 뚜껑체(14)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를 걸어멈춤을 해제하여 연 상태로 하는 동시에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16)과, 마개체 본체(7)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2)의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25)에 설치된 통기 밸브(34)를 구비한다.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하향 이동을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후의 전진 이동으로 변환하는 경사부(60), 경사 받이부(57)를 설치한다. 걸어멈춤 해제 버튼(16)과 통기 밸브(34)와의 사이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하향 이동을 통기 밸브(34)의 밸브가 열리는 작용으로 변환하는 통기 밸브 조작용 돌기부(54)를 설치한다. 통기 밸브(34)의 밸브가 열리기 시작할 때보다 걸어멈춤부(56)의 걸어멈춤 받이부(43)와의 걸어멈춤 해제가 늦어지도록 지연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CAP OF DRINK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내에 비교적 높은 온도의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내의 내압이 높아지거나, 스트로(straw) 속에 고인 음료가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공기로 밀려나오는 것에 의해, 뚜껑을 열 때에 내용액이 스트로 부재를 통하여 외부로 튀어나와, 의복 등이 더럽혀져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러한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서, 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통기구멍을 닫고, 열고 닫는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 내압 개방 및 스트로 부재내의 내용액과 공기와의 치환 현상을 없애, 스트로 선단으로부터의 내용액의 비산을 제거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액체 수용 용기의 개구부에 부착된 밸브가, 용기를 쥐는 등 하여 변형된 경우에 열린 상태가 되어, 내용액을 토출시킬 수 있고, 용기가 무부하 상태이면 닫힌 상태가 됨으로써, 밸브의 개폐 상태를 임의로 컨트롤할 수 있다고 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또한,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에 설치된 마개체 본체에, 이 마개체 본체를 닫도록 설치하는 뚜껑체를 힌지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힌지부의 뒤쪽에 링 형상 탄성 부재의 중간부를 걸어서 돌려 그 한쪽을 마개체 본체에, 다른 쪽을 뚜껑체에 걸어멈춰서, 뚜껑체를 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45742호 미국 특허공보 제5213236호 일본 특허공보 제4736133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료용 통부재(이하, 스트로 부재라고 한다)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는, 그 형상에서 개구부가 작기 때문에, 내용액을 마시기 위해서 뚜껑을 열 때, 내부의 공기층의 압력을 해방시키지 않으면, 내압에 의해서 내용액 심부까지 삽입되어 있는 스트로 부재로부터 내용액이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음료용 용기는 일반적으로 스트로 부재의 액 유로를 개방하기 전에, 공기층과 연이어 통하고 있는 통기구멍을 개방하여 내압을 낮추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음료용 용기의 열림 조작시, 액 유로가 닫힌 상태로 한 채로 통기구멍을 열고, 내압을 낮춘 후에 통기구멍을 다시 닫지 않으면, 스트로 부재의 액 유로내에 공기와 내용액이 남아 있었던 경우, 스트로 부재 내부에 내용액이 치환되어, 스트로 부재의 액 유로내에 원래 남아 있었던 내용액이 음용구(飮用口)를 열 때에 스트로 부재로부터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스트로 부재로부터의 내용액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로 부재를 구비한 음료용 용기에서는, 음용구가 닫힌 상태인 채로 통기구멍은 닫고, 열고 닫는 동작을 행하고, 그 후에 스트로 부재의 액 유로가 열리도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있지만, 이것도 통기구멍의 닫고, 열고 닫는 동작이 너무 빠르면 충분히 내압이 개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스트로 개구부가 열린 상태·통기구멍이 닫힌 상태인 상태에서는, 용기 본체내의 내용액을 마실 때에, 용기 본체내의 공기층이 감압됨으로써, 내용액을 빨아내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의 작용으로 통기구멍의 닫고, 열고, 닫는 조작을 간편하고 확실히 행할 수 있어, 내용액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용기 본체의 용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체를 힌지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한 마개체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뚜껑체에는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멈춤 가능한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 해제하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아래쪽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가 되어, 상기 뚜껑체가 열리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로서, 탄성 재료로 제작된 음용구 부재는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이 음용구 부재는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탄성변형에 의해 지수(止水)되고, 상기 마개체 본체에는 통기구멍과 이 통기구멍을 폐색 가능한 통기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상기 통기 밸브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압을 대기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의 지수 부재 혹은 통기 밸브 전체가, 상기 용기 본체내가 감압시에 감압 해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에 의해서 상기 통기 밸브의 일부를 눌러, 대기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의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청구항 1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는, 상기 힌지부의 부근에 설치된 링 형상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누름으로써, 통기 밸브와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의 양쪽을 가동시킬 수 있고, 또한 뚜껑체를 여는 동작의 과정에서, 통기 밸브가 닫히고, 열리는 상태가 되어, 용기 내부의 가압 상태가 해제된 후, 음용구의 지수가 해제된다. 따라서 가압에 의한 내용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통기 밸브에는 탄성 부재, 예를 들면 용수철이나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형상,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흡인한 경우에는 변형되고, 통기 밸브가 열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치환에 의한 내용물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용수철과는 별도로 탄성 형상의 지수부(止水部)를 따로 설치함으로써 빨아들이는 힘의 설정을 조정하기 쉽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흡인력이 용수철의 힘에 의하지 않고, 통기 밸브의 탄성 부재의 형상에 의해, 흡인력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뚜껑체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거나 걸어멈춤 부재의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탄성 부재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줄여, 적은 공간으로 비용 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뚜껑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걸어멈춤 해제 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뚜껑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뚜껑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뚜껑이 닫힌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걸어멈춤 해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구성의 전부가, 본 발명의 필수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다.
[실시예 1]
이하, 본 실시예를 도 1 내지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보온병 등의 휴대용 음료용 용기(1)는, 단열 구조의 금속제 용기 본체(2)와, 이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에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마개체(4)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2)는, 내부 용기(5)와 외부 용기(6)의 상단끼리를 일체로 접합하는 것에 의해, 양 용기 사이를 진공 단열 구조로 하는 것이다.
마개체(4)는, 바닥을 가진 통형상을 거꾸로 하여 형성되는 마개체 본체(7)와, 이 마개체 본체(7)의,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평판 형상의 천정부(8)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부 개구부(3)에 접촉함으로써 용기 본체(2)내의 내용액(도시하지 않음)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지수하는 폐색부재(9)와, 음용구 부재 부착부(10)에 걸어맞춤하여 음용구부(11)를 구비한 음용구 부재인 스트로 유닛(12)과, 마개체 본체(7)의 뒤쪽에 설치되는 힌지부(13)에서 축으로 지지되어 회동 가능한 뚜껑체(14)와, 이 뚜껑체(14)를 마개체 본체(7)에 걸어멈춤하여 닫힌 상태로 하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걸어멈춤 부재인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와, 걸어멈춤 상태의 뚜껑체(14)를 걸어멈춤 해제하는 걸어멈춤 해제 부재인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부(13)와 대향하는 마개체 본체(7)의 천정부의 다른 쪽, 여기에서는 앞쪽에 구비하는 잠금기구(17)에 의해 뚜껑체(14)가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7)의 하부 내주면(18)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이것을 용기 본체(2)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 개구부(3) 부근의 상부 외주면(19)에 형성되는 숫나사에 나사식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2)에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할 수 있다.
마개체 본체(7)의 천정부(8)의 중앙보다 약간 앞쪽에 설치되는 음용구 부재 부착부(10)는 위치 결정용 단부(21)를 구비한 음용구 부재용 부착구멍(22)으로 이루어진다. 음용구 부재 부착부(10)의 약간 앞쪽에는 판 형상의 상향 돌기부(24)가 형성되고, 또한 음용구 부재 부착부(10)의 약간 뒤쪽에 통기구멍(25)이 상하 방향으로 뚫려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폐색부재(9)는, 예를 들면 실리콘고무나 엘라스토머 수지 등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개구부(3)의 정수리부(26)에 접촉함으로써 용기 본체(2)내의 내용액이 외부로 새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개체 본체(7)의 음용구 부재 부착부(10)에 부착되는 스트로 유닛(12)의 음용구부(11)는, 상부 선단(27)을 음용구로서, 음용구의 하방측부에 돌출 형성된 위치 결정부(28)를 가지는 동시에, 하단에 부착용으로 폭이 확대된 폭 확대부(29)를 가진다. 또한, 내부 용기(5)의 안쪽에 설치되는 음용구부(11)의 폭 확대부(29)에는, 하향의 음료용 통부재(30)의 상단이 끼워 넣어져 유지되어 용기 본체(2)내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스트로 유닛(12)은, 위치 결정부(28)를 마개체 본체(7)의 위치 결정용 단부(21)에 맞춤으로써 음용구 부재용 부착구멍(22)내에 끼워 맞춰지고, 음용구부(11)에 의해서 음용구 부재용 부착구멍(22)을 폐색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스트로 유닛(12)내에 액 유로(31)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스트로 유닛(12)을 통하여 용기 본체(2)내의 내용액, 즉 음료를 흡인하여 마실 수 있다.
다음에, 마개체 본체(7)에 설치되는 통기구멍(25)은, 둘레면 내부의 상하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단면 안쪽을 향해 절곡되도록 하여 상부 개구부(32)보다 지름이 축소되어 계단 형상의 밸브시트(3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밸브시트(33)의 아래쪽에, 통기구멍(25)을 개폐 가능한 통기 밸브(34)가 설치되어 있다. 통기 밸브(34)의 상부에는 천정부(35)를 구비한 밸브 막대(36)를 구비하고 있다. 천정부(35)는 밸브 막대(36)보다 지름이 확대 형성되는 동시에 통기구멍(25)의 상부 개구부(32)보다 조금 지름이 작게 형성되고, 다른 한편, 밸브 막대(36)는 통기구멍(25)의 밸브시트(33)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천정부(35)는 통기구멍(25)으로 안내되어 통기 밸브(34)가 승강됨으로써, 밸브를 닫거나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통기구멍(25)의 밸브시트(33)의 상면(37)과 통기 밸브(34)의 천정부(35)의 하면(38)과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제 1 스프링 부재(39)가 배치되어 있고, 그 탄성력에 의해, 통기 밸브(34)는 위쪽 방향을 향해 항상 힘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 1 스프링 부재(39)는 밸브 막대(36)에 감겨져 있다. 또한, 통기 밸브(34)의 측면에는 부착홈(40)이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통기 밸브(34)의 하면을 덮도록 부착홈(40)에, 탄성 재료, 예를 들면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지수 부재(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지수 부재(41)가 밸브시트(33)의 하면(4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통기구멍(25)을 폐색하여 기밀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통기 밸브(34)는, 상방으로부터 눌러진 경우에, 천정부 하면(38)이 상면(37) 부근까지 내려가, 이것과 연동하여 밸브 막대(36)에 부착된 통기 밸브(34)도 내려감으로써, 밸브시트(33)와 통기 밸브(34)와의 빈틈, 통기구멍(25)과 밸브 막대(36)와의 빈틈, 통기구멍(25)과 천정부(35)와의 빈틈을 통하여 내부 용기(5)와 대기가 연이어 통하여, 용기 본체(2)의 내압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17)는, 마개체 본체(7)의 천정부(8)의 앞쪽 상단에서 외측을 향하여 둘레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설치된 박판 형상의 걸어멈춤 받이부(43)에, 뚜껑체(14) 내부에 구비하는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가 걸어멈춰지는 것에 의해 잠겨져, 뚜껑체(14)를 닫힌 상태로 하고, 또한 마개체(4)가 닫힌 상태로 하는 기구이며, 잠금기구(17)의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가 설치되는 뚜껑체(14)는, 바닥을 가진 통 형상을 거꾸로 한 외통부(44)와, 외통부(44)의 하부 개구를 막도록 설치되는 바닥을 가진 통 형상의 내통부(45)를 구비한다. 외통부(44)는, 전면(前面)의 대략 중앙 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면 개구부(46)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뚜껑을 닫을 때에 통기구멍(25)에 대향하여 통기구멍(25)과 같은 축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형구멍(47)이 형성되고, 또한 외통부(44)의 후단에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뚜껑체(14), 나아가서는 용기 본체(2)와 외부를 통기하는 뚜껑체(14)의 대기와 연이어 통하는 빈틈이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외통부(44)는 마개체 본체(7)과 힌지부(13)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44)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내통부(45)에는, 외통부(44)와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평면에서 보아 원 형상의 바닥부(51)와, 바닥부(51)에 상향으로 형성되어 음용구부(11)를 수용 가능한 오목홈(52)과, 이 오목홈(52)내의 앞쪽에 설치되는, 좌우 방향을 따르는 판 형상의 하향 돌기부(53)와, 뒤쪽으로 뚫려 설치되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하향 막대 형상 돌기부(54)보다 조금 지름이 큰 삽입 통과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음용구부(11)는, 마개체 본체(7)의 천정부(8)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상향 돌기부(24)와, 뚜껑체의 오목홈(52)내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하향 돌기부(53)와의 두 군데에서 절곡되어 대략 S자 형상이 되는 것에 의해, 음용구부 안의 액 통로(31)가 막히는 동시에, 뚜껑체의 오목홈(52)내에 수납된다.
잠금기구(17)의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는 대략 박판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뚜껑체(14)의 전면 개구부(46)내로부터 삽입통과구멍(55) 근방에까지 설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는 전면을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걸어멈춤 받이부(43)와 걸어멈춤 가능한 걸어멈춤부(49)가 뒤쪽을 향하여 설치된다. 실시예에서는 걸어멈춤부(49)에는 걸어멈춤 받이부(43)에 걸어멈춰지는 끝이 가는 발톱 모양의 걸어멈춤부(56)를 후방으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걸어멈춤부(56)의 후방에는 후술하는 경사 받이부(57)를 형성하고 있다.
잠금기구(17)의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은 통기구멍(25)과 동심원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설치되는 조작부(58)와, 걸어멈춤시에 외통부(44)의 하면과 걸어멈춤하는 날밑부(59)와, 상기 삽입통과구멍(55)보다 지름이 작게 설치되는 막대 형상 돌기부(54)로 구성되고, 조작부(58)는 외통부(44)에 뚫려 형성되는 원형구멍(47)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막대 형상 돌기부(54)는 삽입통과구멍(55)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조작부(58)와 막대 형상 돌기부(54)의 중간부에 앞을 향한 경사부(60)를 설치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에는 경사부(60)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경사 받이부(57)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 받이부(57), 경사부(60)는 각각 뒤쪽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똑같이 내려가는 경사면이며, 양자는 면접촉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경사부(60)는 날밑부(59)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날밑부(59)의 하면과 뚜껑체의 바닥부(51)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의 제 2 용수철 부재(61)가 배치되어 있고, 그 탄성력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은 위쪽을 향하여 항상 힘이 가해진 상태가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체(14)를 열기 전에 통기 밸브(34)를 열어 내부 용기(5)내의 공기를 대기로 방출하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천정부(35)와 통기 밸브 조작용 돌기부(54)의 하단(54A)과의 상하 방향의 빈틈 길이, 즉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측과 통기 밸브(34)측과의 상하 방향의 빈틈을 X, 경사부(60)와 경사 받이부(57)와의 상하 방향의 빈틈 길이를 Y, 걸어멈춤 상태에 있는 걸어멈춤 받이부(43)와 걸어멈춤부(56)의 전후방향의 중복 길이를 L, 동일한 경사 상태의 경사부(60), 경사 받이부(57)의 앙각도를 θ로 했을 때, 거의 X<Y+Ltanθ를 만족하여 지연 기구가 구성되게 되어 있다. 한편, 빈틈 길이 X, Y는 0㎜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마개체 본체(7)와 뚜껑체(14)와의 걸어멈춤 상태를 해제할 때에,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기 전에 통기 밸브(34)가 내려가,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을 개방하는 기구가 된다.
한편, 부호 62는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링 형상 탄성부재로서, 뚜껑체(14)를 힌지부(1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열리도록 항상 힘을 가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를 걸어멈춤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한다. 이 때문에 링 형상 탄성 부재를 평면에서 보아 긴장 상태의 직사각형으로 배치하고, 그 한쪽(62A)을 힌지부(13)의 앞쪽 하부에 걸치고, 다른쪽(62B)을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후단(15E)에 설치한 훅부에 걸치며, 그 중간부(62C)를 힌지부(13)의 뒤쪽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뚜껑체(14)가 닫힌 걸어멈춤 상태에서, 통기 밸브(34)는 제 1 스프링 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해 위쪽 방향을 향해 힘이 가해진 상태로 유지되고, 막대(36) 하부에 부착된 지수 부재(41)에 의해 통기구멍(25)이 폐색되어 기밀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한편,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통기구멍(25)에 대응하여 마개체 본체(7)의 중앙 약간 뒤쪽에 설치된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아래쪽을 향하여 눌러 가면,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기 전에,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막대 형상 돌기부(54)에 의해 통기 밸브(34)가 눌려지며, 지수 부재(41)가 통기 밸브(34)와 연동하여 내려감으로써, 통기구멍(25)이 열린 상태가 되어,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이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뚜껑체(14)의 대기와 연이어 통하는 빈틈으로부터 개방된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누르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 형상 돌기부(54)를 통해 천정부(35)와 통기 밸브(34)가 하방으로 눌려지고, 이 결과 제 1 스프링 부재(39), 제 2 용수철 부재(61)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통기 밸브(34)가 하강하여 밸브시트(33)로부터 즉시 떨어져 밸브가 열린다. 이 밸브가 열리는 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용기(5)의 안쪽과 대기는, 밸브시트(33)와 통기 밸브(34)와의 빈틈, 밸브시트(33)와 밸브 막대(36)와의 빈틈, 통기구멍(25)과 천정부(35)와의 빈틈, 뚜껑체(14)의 대기와 연이어 통하는 빈틈을 통하여 공기 연통로 A에 의해 연이어 통한 상태가 된다.
이 제 2 용수철 부재(61)가 없어도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은 링 형상 탄성 부재(62)가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를 힘을 가하고 있는 힘의 분력에 의해, 위쪽의 위치가 되도록 힘이 가해져 있다.
또한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이 눌러지면 경사부(60)가 경사 받이부(57)에 접촉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이 계속해서 더 눌러지면 경사 받이부(57), 나아가서는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를 전진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당초보다 늦어 마개체 본체(7)의 걸어멈춤 받이부(43)로부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걸어멈춤부(56)가 벗겨져 걸어멈춤 해제가 된다. 걸어멈춤부(56)와 걸어멈춤 받이부(43)와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되면, 뚜껑체(14)는 S자형 형상으로 절곡되었던 음용구부(11)가 기립하는 복원력에 의해서 들어 올려지고, 힌지부(13)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뚜껑이 열린다. 한편,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걸어멈춤부(56)가 걸어멈춤 받이부(43)로부터 벗겨지는 걸어멈춤 해제시와 동시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에 대해서 누름을 멈춘 경우이더라도, 걸어멈춤부(56)가 걸어멈춤 받이부(43)에 얹히는 것이나 음용구부(11)가 위쪽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가 걸어멈춤 받이부(43)에 다시 걸어멈춰지지도 않고 뚜껑이 열린 상태가 된다.
뚜껑이 열린 상태가 된 후, 사용자가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으로부터 손을 떼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이, 제 2 용수철 부재(61)에 의해 탄성 복귀되어 위쪽을 향하여 힘이 가해진 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이것에 따라 움직여 통기 밸브(34)가 제 1 스프링 부재(39)에 의해 탄성 복귀되고, 지수 부재(41)에 의해 통기구멍(25)이 다시 닫힌 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설령 사용자가 내용액을 마시기 위해서 흡인한 후에 액 유로(31)내에 공기와 내용액이 남아 있었던 경우에도, 용기 본체(2)내의 내용액이 치환되어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뚜껑이 열린 상태의 뚜껑체(14)를 앞쪽으로 회동하고, 아래쪽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걸어멈춤부의 걸어멈춤부(56)가 마개체 본체(7)의 걸어멈춤 받이부(43)를 타고 넘어 다시 뚜껑체(14)를 뚜껑이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체(14)를 힌지부(13)에서 축에 끼워 구비한 마개체 본체(7)와, 상부 개구부(3)에 접촉하여 용기 본체(2)를 폐색하는 폐색부재(9)와, 마개체 본체(7)에 설치한 음용구 부재인 스트로 유닛(12)과, 뚜껑체(14)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동시에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걸어멈춤 부재인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와,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를 걸어멈춤을 해제하고 연 상태로 하는 동시에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걸어멈춤 해제 부재인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구비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아래쪽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가 걸어멈춤이 해제되어, 뚜껑체(14)가 열리는 음료용 용기(1)의 마개체(4)에 있어서, 용기 본체(2)내 또는 뚜껑체(14)내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구멍(25)과, 통기구멍(25)에 통기 밸브(34)를 구비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아래쪽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걸어멈춤 해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통기 밸브(34)가 열려, 음료용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을 통기구멍(25)을 통하여 대기압으로 개방한 것에 의해, 구체적으로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3)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개체 본체(7)에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음용구부(11)를 기립 상태로 설치하는 동시에, 마개체 본체(7)의 뒷부분에 설치된 힌지부(13)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마개체 본체(7)의 위쪽을 뚜껑을 닫는 동시에 음용구부(11)에 접촉하여 이 음용구부(11)를 하향으로 절곡하는 뚜껑체(14)를 설치하고, 뚜껑체(14)에 설치되어 뚜껑체(14)가 닫힌 상태로 걸어멈춤하는 동시에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와, 뚜껑체(14)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를 걸어멈춤을 해제하고 연 상태로 하는 동시에, 위쪽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16)과, 마개체 본체(7)에 설치되어 용기 본체(2)의 안팎을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25)에 설치된 통기 밸브(34)를 구비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과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와의 사이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하향 이동을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전진 이동으로 변환하는 경사부(60), 경사 받이부(57)로 이루어지는 하향이동·전진이동 변환기구를 설치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과 통기 밸브(34)와의 사이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하향 이동을 통기 밸브(34)의 밸브 열림 작용으로 변환하는 통기 밸브 조작용 돌기부(54)로 이루어지는 하향이동·밸브열림작용 변환기구를 설치하고, 또한 하향이동·전진이동 변환기구(경사부(60), 경사 받이부(57))에는, 통기 밸브(34)의 밸브가 열리기 시작할 때보다 걸어멈춤부(56)의 걸어멈춤 받이부(43)와의 걸어멈춤 해제가 늦어지도록, 상기 X<Y를 거의 만족하는 지연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누르는 것만으로 통기구멍(25)을 닫고, 열고, 닫는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을 눌러 가면, 뚜껑체(14)가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에 의해 마개체 본체(7)에 걸어멈춰져 있는 상태인 채로,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에 의해서 통기 밸브(34)를 눌러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을 개방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액의 온도가 높을 때 등 음료용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이 상승되어 뚜껑체(14)가 세게 열리는 것이나, 내용액이 비산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이 뜨거운 상태에서 식었을 때에 음료용 용기 본체(2)내가 감압이 된 경우에도,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하부에 설치한 막대 형상 돌기부(54)에 의해 강제적으로 통기 밸브(34)를 조작시키는 것에 의해, 음료용 용기 본체(2)내의 내압을 대기압으로 할 수 있어, 음료용 용기 본체(2)내의 감압에 의해 뚜껑체(14)가 열리지 않는다고 하는 것도 없어진다.
또한,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는, 힌지부(13)의 부근에 설치된 링 형상 탄성 부재(62)의 탄성에 의해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는 것에 의해, 뚜껑체(14)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 및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탄성 부재만으로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실시예 2를 나타내고 있고, 통기 밸브(34)의 밸브 막대(36)의 상부에, 실시예 1의 천정부(35)를 대신하여 원판(63)을 억지로 끼워서 고정한 것이고, 원판(63)의 테두리에는, 통기구멍(25)의 둘레면과 약간의 빈틈을 가지는 원통부(64)가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지수 부재(41)를 대신하여 통기 밸브(34)에는 O링 형상의 지수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58)를 누르면 지수 부재(65)가 밸브시트(33)에 밀착된 밸브가 닫힌 상태로부터, 원통부(64)가 통기구멍(25)의 둘레면으로 안내되면서 하강함으로써 밸브를 열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음료를 마시고 내용물이 남았을 때에는, 용수철 부재(39)가 변형됨으로써, 밸브를 열 수 있어, 연속 흡인이 가능해지고 있다.
[실시예 3]
도 8 및 9는 실시예 3을 나타내고 있고, 통기 밸브(34)에 장착되는 지수 부재(66)는 그 상부를 부착홈(40)에 끼워부착하는 동시에, 밸브시트(33)의 하면(42)에 밀착하는 부위는, 상하 거꾸로 된 단면 우산 형상, 절두 원뿔 형상의 밸브막부(67)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수 부재(66)는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 탄성변형되는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 그 테두리가 하면(42)에 밀착되는 역지 밸브 형상이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부(58)를 누르면 지수 부재(68)가 하면(42)에 밀착된 밸브가 닫힌 상태로부터, 하강함으로써 밸브를 열 수 있다. 그리고, 밸브가 닫혔을 때에 내부 용기가 감압 상태가 되면 밸브막부(67)가 아래쪽으로 흡인되어 하면(42)으로부터 떨어져, 이 결과 내부 용기(5)의 안쪽과 대기는, 밸브막부(67)와 하면(42)과의 빈틈, 밸브시트(33)와 통기 밸브(34)와의 빈틈, 밸브시트(33)와 밸브 막대(36)와의 빈틈, 통기구멍(25)과 원통부(64)와의 빈틈, 뚜껑체(14)의 대기와 연이어 통하는 빈틈을 통하여 연이어 통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작용 효과 외에, 지수 부재(66)가 내부 용기내의 감압시에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함으로써, 조작부(58)를 누르지 않아도, 내부 용기내의 감압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 내지 12는 실시예 4를 나타내고 있고, 통기구멍(25)에 설치되는 통기 밸브(34)는, 통기구멍(25)을 폐색하는 실리콘고무,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하트 형상인 밸브막부(68)의 중앙에 슬릿부(접는 선)(69)가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막대 형상 돌기부(54)가 밸브막부(68)의 중앙에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통기 밸브(34)(밸브막부(68))를 음용구부(11)나 폐색부재(9)와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슬릿부(69)는 열십자 형상 외에 * 형상이나 -자 형상 등,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 밸브(34)가 상면에 막 형상의 밸브막부(68)와, 이 밸브막부(68)에 절개 형성되는 슬릿부(69)를 설치하여, 마개체 본체(7)의 통기구멍(25)내에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막대 형상 돌기부(54)가 슬릿부(69)를 누름으로써, 슬릿부(69)를 아래쪽을 향하여 밀어 넓혀져 밸브가 열려 작동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의 작용 효과 외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이, 통기 밸브(34)(밸브막부(68))의 일부를 눌러, 음료용 용기 본체(1)의 내압을 통기구멍(34)을 통하여 대기압으로 개방함으로써, 밸브막부(68)를 탄성 변형시키고, 내압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흡인에 의한 감압시 등에 의한 감압, 가압 조건이 된 경우는, 탄성 부재의 변형에 의해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압으로 개방할 수 있다. 게다가, 부품 점수를 줄인 구성으로도, 음료용 용기 본체(1)의 내압을 통기구멍(25)을 통해 대기압으로 개방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3 및 14는 실시예 5를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51)에 있어서의 통기구멍(25)의 앞쪽에 부착 구멍(70)을 형성하고, 이 부착 구멍(70)내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통기 밸브(34)를 장착하고 있다. 통기 밸브(34)는 부착 구멍(70)에 장착되는 밸브막대(71)와, 이 밸브막대(7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부(51)의 하면에 밀착 가능한 상하 거꾸로 된 단면이 우산 형상인 밸브막부(72)를 설치한 것이고, 통기 밸브(34)의 하부 개구는, 부착 구멍(70)과 밸브막부(72)의 테두리가 밀착되는 바닥부(51)의 하면의 부위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통기 밸브(34)의 하부 개구의 아래쪽은 밸브막부(72)에 덮여져 기밀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의 막대 형상 돌기부(54)로부터 더 하방으로 끝이 가늘어져서 연장된 연장부(73)를 통기구멍(25)에 대향하도록 이 통기구멍(25)의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한편, 연장부(73)는 통기구멍(25)으로 관통되었을 때, 통기구멍(25)과 연장부(73)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빈틈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이 아래쪽을 향하여 눌러지면, 연장부(73)가 통기구멍(25)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관통하고, 그 하단이 밸브막부(72)를 눌러, 밸브막부(72)의 테두리가 바닥부(51)로부터 떨어져 밸브가 열린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내부 용기(5)와 대기 사이는 밸브막부(72)의 테두리가 바닥부(51)로부터 떨어진 빈틈, 통기구멍(25), 뚜껑체(14)의 대기와 연이어 통하는 빈틈을 통하여 연이어 통한 상태가 된다. 또한, 밸브막부(72)는 역지 밸브 형상이므로, 내부 용기(5)의 내부가 내용물의 흡인에 의해서 부압이 되면, 밸브막부(72)의 테두리가 바닥부(51)로부터 떨어져 자동적으로 감압 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 외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에 의해서 통기 밸브(34)(밸브막부(72))의 일부를 눌러, 대기압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의 흡인 등의 감압시에는 통기 밸브(34)가 탄성변형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감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 6은 평면에서 보아 긴장 상태의 직사각형으로 배치된 링 형상 탄성 부재(62)를 나타낸 것으로, 그 한쪽을 힌지부(13)의 앞쪽 하부에 걸치고, 다른쪽(62B)을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의 후단(15E)에 설치한 훅부에 걸치며, 또한 그 중간부(62C)를 힌지부(13)의 뒤쪽에 걸어 돌리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에 설치되는 막대 형상 돌기부(54)는 한쪽(62A), 다른쪽(62B), 좌우 한 쌍의 중간부(62C)로 둘러싸인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15)가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용수철이 아니라, 링 형상 탄성 부재(62)를 사용함으로써,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은 링 형상 탄성 부재(62)의 안쪽에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뚜껑체(14)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링 형상 탄성 부재(62)의 안쪽에 걸어멈춤 해제 버튼(16)측을 배치함으로써, 뚜껑체(14)의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는, 각종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1 : 휴대용 음료용 용기
2 : 용기 본체
3 : 용기 개구부
4 : 마개체
7 : 마개체 본체
9 : 폐색부재
11 : 음용구부
12 : 스트로 유닛
13 : 힌지부
14 : 뚜껑체
15 :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
16 : 걸어멈춤 해제 버튼
17 : 잠금기구
25 : 통기구멍
31 : 액 유로
34 : 통기 밸브
41 : 지수 부재
43 : 걸어멈춤 받이부
56 : 걸어멈춤부
65, 66 : 지수 부재

Claims (4)

  1. 용기 본체의 용기 개구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폐 가능한 뚜껑체를 힌지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한 마개체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뚜껑체에는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멈춤 가능한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를 걸어멈춤 해제하는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걸어멈춤 해제 부재를 아래쪽 방향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의 걸어멈춤 상태가 해제가 되어, 상기 뚜껑체가 열리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로서, 탄성 재료로 제작된 음용구 부재는 상기 마개체 본체에 걸어맞춰지는 동시에, 이 음용구 부재는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탄성변형에 의해 지수(止水)되고, 상기 마개체 본체에는 통기구멍과 이 통기구멍을 폐색 가능한 통기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을 눌러 상기 통기 밸브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의 걸어멈춤 해제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용기 본체의 내압을 대기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밸브의 지수 부재 혹은 통기 밸브 전체가, 상기 용기 본체내가 감압시에 감압 해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 해제 버튼에 의해서 상기 통기 밸브의 일부를 눌러, 대기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걸어멈춤 부재는, 상기 힌지부의 부근에 설치된 링 형상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걸어멈춤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20130008679A 2012-01-27 2013-01-25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399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5964A JP5333614B2 (ja) 2012-01-27 2012-01-27 飲料用容器の栓体
JPJP-P-2012-015964 201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33A true KR20130087433A (ko) 2013-08-06
KR101399769B1 KR101399769B1 (ko) 2014-05-27

Family

ID=48834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679A KR101399769B1 (ko) 2012-01-27 2013-01-25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33614B2 (ko)
KR (1) KR101399769B1 (ko)
CN (1) CN1032240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69754B (zh) * 2014-08-25 2017-02-11 Apex Medical Corp Gas connection device
JP5841220B1 (ja) * 2014-11-14 2016-01-13 サーモス株式会社 蓋付き容器
JP6566556B2 (ja) * 2015-07-31 2019-08-28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JP6573314B2 (ja) * 2015-08-03 2019-09-1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JP6784567B2 (ja) * 2016-10-26 2020-11-11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CN106880247A (zh) * 2017-04-27 2017-06-23 美诗刻(昆山)家居用品有限公司 弹跳式饮水杯翻盖开关按钮机构
JP6595655B1 (ja) * 2018-04-24 2019-10-23 株式会社シーズ 容器に装着可能なキャップ
JP7416410B2 (ja) * 2020-01-16 2024-01-17 ピーコック魔法瓶工業株式会社 飲料容器の飲み口部材
CN113650945B (zh) * 2021-08-24 2023-01-10 宁波乐廷智能科技有限公司 真空米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985A (en) * 1987-02-20 1988-11-08 Seaquist Closures Closure for drip and pour dispensing
JP3517361B2 (ja) * 1998-10-19 2004-04-1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の栓
JP4400801B2 (ja) * 1999-07-28 2010-01-20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JP4748433B2 (ja) * 2000-09-26 2011-08-1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栓体
JP3937428B2 (ja) * 2002-01-18 2007-06-27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の中栓
JP5125113B2 (ja) * 2007-01-24 2013-01-2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片開きボトル
JP4993717B2 (ja) * 2007-05-31 2012-08-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54898A (ja) 2013-08-15
CN103224086B (zh) 2016-06-29
CN103224086A (zh) 2013-07-31
JP5333614B2 (ja) 2013-11-06
KR101399769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769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101411054B1 (ko) 음료용 용기
KR101399767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TWI585015B (zh) Drink container cover
JP537593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5831288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158440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US20090193661A1 (en) Kitchen Utensil with a Suction Base Mechanism
US20140001208A1 (en) Container closure
CN109398927B (zh) 盖单元以及饮料用容器
CN111031861B (zh) 运动瓶盖
KR101442420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101404830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JP5430695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10638344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US20180215514A1 (en) Lid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KR101520176B1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KR20220159245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101442411B1 (ko) 음료용 용기의 마개체
KR200474060Y1 (ko) 유아용 음료용기
JP5099606B2 (ja) 電動加圧注出式液体容器
JP4946413B2 (ja) 液体容器
JP2014076377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4352343A (ja) 液体噴出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