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358A - 공작 기계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7358A KR20130087358A KR1020120140947A KR20120140947A KR20130087358A KR 20130087358 A KR20130087358 A KR 20130087358A KR 1020120140947 A KR1020120140947 A KR 1020120140947A KR 20120140947 A KR20120140947 A KR 20120140947A KR 20130087358 A KR20130087358 A KR 201300873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processing
- momentary
- interlock
- machi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4—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using optics or electromagnetic waves
- B23Q17/2404—Arrangements for improving direct observation of the working space, e.g. using mirrors or 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 B23Q11/0891—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arranged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opera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과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공작 기계(1)는, 공작물(W1)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122)를 수용하는 외장(110)과 가공부(122)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150)과 인터락 조건 성립시에 가공부(122)의 동작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인터락 수단(U1)와 조명 장치(150)에 설치된 모멘터리 스위치(SW1)와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SW1)의 모멘터리 동작 시에 인터락 수단(U1)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수단(U2)를 구비한다.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공작 기계(1)는, 공작물(W1)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122)를 수용하는 외장(110)과 가공부(122)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150)과 인터락 조건 성립시에 가공부(122)의 동작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인터락 수단(U1)와 조명 장치(150)에 설치된 모멘터리 스위치(SW1)와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SW1)의 모멘터리 동작 시에 인터락 수단(U1)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수단(U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작 기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NC(Numerical Control)선반 등의 공작 기계를 사용하여, 가공 대상으로 되는 소재(공작물, work)에 대하여 소정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정밀 부품 등이 제조되고 있다. 주축이나 인물대 등의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는 외장에 의하여 형성된 가공실에 수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외장에는 가공실의 일부를 개폐 가능한 가동식 보호 가드(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드가 열려 있는 동안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주축, 서보 이송축, 유압 기기, 공압 기기, 등의 구동 장치의 인터락(interlock) 기능에 의하여 회전이나 이동 등의 가공부의 동작이 강제적으로 금지 또는 제한된다.
한편, 상기 가드를 닫은 상태에서 공작물을 포함하는 가공부를 관찰하고자 하는 등의 작업자(유저)의 요구도 존재한다(예를 들면, 일본특개 2010-052056호 공보 참조). 따라서, 작업자가 위험을 감지한 순간에 구동 장치를 정지시키기 위한 인에이블 스위치(데드맨 스위치라고도 함)를 인터록 기능에 조합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에는 기계 본체로부터 독립하여 케이블을 통하여 기계 본체와 연결된 핸드그립식 모멘터리 스위치나, 기계의 조작반(조작 접수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멘터리 동작형의 누름식 버튼 스위치 등이 있다.
인에블 스위치를 별도로 설계하면, 코스트가 증가한다. 또, 인에이블 스위치를 가공실 바로 앞의 외장에 설치하면, 외장의 스페이스를 차지하여 작업을 방해하기 쉽다.
작업반에 인에블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 가공실로부터 인에이블 스위치가 멀어지게 되어 그 만큼 가공부를 보면서 작업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상을 반영하여, 본 발명은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작 기계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를 수용하는 외장과,
상기 가공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와,
인터락 조건 성립시에 상기 가공부의 동작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인터락 수단과,
상기 조명 장치에 설치된 모멘터리 스위치와,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의 모멘터리 동작시에 상기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수단을 구비한다.
작업자가 가공부의 동작의 제한 또는 금지(이하, “제한 등”으로 기재)를 해제하는 것은 가공실 내에 있어서 공작물 가공 상태를 관찰하면서, 공구 교환 등의 정해진 작업을 행하는 등의 경우이다. 이 가공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에 모멘터리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가공실로부터 떨어져 있는 모멘터리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동작 제한 등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다. 또, 동작 제한 등을 해제하기 위한 모멘터리 스위치를 가공실 바로 앞의 외장에 설치할 필요도 없고, 모멘터리 스위치가 작업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 장치가 가동식이라면 가공부의 원하는 위치를 비출 수 있으며, 소형이면서 저소비 전력의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바람직하나, 고정식도 가능하다.
상기 인터락 조건은 도어가 열린 경우에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정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등에 성립하여도 좋고, 이러한 경우의 조합, 예를 들면, 도어가 열린 경우 또는 소정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성립하여도 좋다. 도어가 열린 경우에는, 도어가 열려 있는(닫히지 않은) 경우, 도어가 열려 있다가 닫힌 후에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등이 포함된다.
상기 인터락 수단에는 상기 가공부의 동작을 전부 금지 또는 제한하는 수단, 상기 가공부의 동작의 일부를 금지 또는 제한하고 남은 부분을 허가하는 수단 모두가 포함된다.
상기 해제 수단에는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등의 전부를 해제하는 수단,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등의 일부를 해제하고 남은 부분을 해제하지 않는 수단 모두가 포함된다.
상기 해제 수단은 외장의 개폐 가능한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와 소정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적어도 일방의 경우, 또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의 모멘터리 동작시에 상기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도 있다. 외장의 개폐 가능한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와 소정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적어도 일방의 경우, 모멘터리 스위치의 조작에 응하여 동작 제한 등의 해제를 허가하는 것은 유저의 요구에 따른다.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조명 장치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또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의 모멘터리 동작시에, 상기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다. 가공실 내의 가공부에 있어서 공작물 가공 상태를 관찰하면서 공구 교환 등의 정해진 작업을 행하는 등의 경우, 가공부를 비추면 비추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공부를 쉽게 볼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조명 장치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동작 제한 등을 해제하는 것에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가공부의 동작의 제한 또는 금지를 해제하는 매우 적합한 공작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는 상기 가공부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 버튼으로부터 한 손으로는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소정의 거리 이상 떨어진 상기 조명 장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로 인하여, 모멘터리 스위치를 조작하고 있는 손으로 기동 버튼을 조작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의도하지 않게 가공부가 기동하지 않도록 하면서, 모멘터리 스위치와 기동 버튼을 한 손으로 조작하면서 남은 손을 가공실에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단에 대응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의 발명, 상술한 수단에 대응하는 기능을 컴퓨터로 실현하는 프로그램의 발명 등의 발명도 상술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작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NC 선반(공작 기계, 1)의 외관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조명 장치(150)의 외관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의 (a)~(C)는 NC 선반(1)의 전기 회로의 요부를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NC 선반(1)의 외관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NC 선반(1) 내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NC 선반(1) 내의 주요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NC 장치(10)이 행하는 처리를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NC 선반(1)의 요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조명 장치(150)의 외관을 예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의 (a)~(C)는 NC 선반(1)의 전기 회로의 요부를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NC 선반(1)의 외관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NC 선반(1) 내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NC 선반(1) 내의 주요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NC 장치(10)이 행하는 처리를 예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NC 선반(1)의 요부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물론,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에 불과하다.
(1) 공작 기계의 구성:
도 1~8은 본 발명에 관한 공작 기계를 NC(Numerical Control)선반(1)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는 소정 위치에 NC 장치(10)이 설치된 NC 선반(1)의 외관의 일례를 정면에서 간략히 보여주고 있다. NC 장치(10)은 조작 접수부(20)와 표시부(3)를 구비하는 컴퓨터이고, 가공부(122)의 동작을 수치 제어할 때 제어 주체로 된다. NC 장치(10)은 인터락 조건 성립시에 가공부(122)의 동작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인터락 수단(U1)을 구비한다. 또, NC 장치(10)은 모멘터리 스위치(인에이블 스위치, SW1, SW2)의 모멘터리 동작시에 인터락 수단(U1)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수단(U2)를 구비한다. NC 선반(1)은 외장(110)에 의해 거의 전체가 덮여있다. 외장(110)은 가공실(120)의 상측을 개폐할 수 있는 가동식 보호 가드(도어)(130)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가드(130)은 가공실(120)을 폐쇄한 상태(닫은 상태)이고, NC 선반(1)의 일부를 위로부터 덮는 상자 모양의 덮개로 되어 있다. 가드(130)에는 손잡이(1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드에 관찰창을 설치하면, 이 관찰창을 통하여 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가공실(120) 내에는 공작물(W1)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122)가 수용되어 있다. 이 가공부(122)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150)이 NC 선반(1)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조명 장치(150)의 외관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 조명 장치(150)는 고정부(151), 암부(152), 헤드부(153), 램프(광원, 154)를 구비한 암(arm)식으로 되어 있다. 조명 장치를 암식으로 하여 플렉시블하게 조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설치의 형편도 있으나, 부분적으로 가공 영역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조명 장치(150)에는 인에블 스위치(모멘터리 스위치, SW1)가 설치되어 있다. 모멘터리 스위치는 작업자가 힘을 가하고 있는 동안만 모멘터리 포지션으로 되고, 작업자가 손을 떼는 순간 원 위치로 복귀하는 스위치이다. 인에이블 스위치는 인터락 기능을 해제했을 때 작업자가 구동 장치를 구동하거나 긴급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또, 인에이블 스위치는 기계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된 핸드그립식 스위치나, 조작 접수부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식 버튼 스위치 등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멘터리 스위치는 코스트가 들고, 가공실 바로 앞의 외장의 스페이스를 차지하여, 작업에 방해가 되기 쉽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인에이블 스위치(SW1)는 조명 장치(150)에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151)은 대략 수직으로 향한 회전축(AX1)을 중심으로 하여 암부(152)를 회전(대략 수평으로 회동)시키는 회동 기구(151a)를 가지며, NC 선반(1)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는 NC 장치(10)의 상면에 고정부(151)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암부(152)는 길쭉한 암(152a, 152b) 및 관절부(152c, 152d, 152e)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암부(152a)의 일단은 제1의 관절부(152c)를 개재하여 고정부(151)에 장착되어 있다. 제1의 관절부(152c)는 회동 기구(151a)를 사용하여 정해진 수평각의 방향으로 암(152a)를 틸트(기울임)시킨다. 이 암(152a)의 타단에는 제2의 관절부(152d)를 개재하여 제2의 암(152b)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다. 제2의 관절부(152d)는 회동 기구(151a)에서 정해진 수평각의 방향으로 암(152b)를 기울인다. 이 암(152b)의 타단에는 제3의 관절부(152e)를 개재하여 헤드부(153)가 장착되어 있다. 제3의 관절부(152e)는 회동 기구(151a)에서 정해진 수평각의 방향으로 헤드부(153)을 기울인다. 헤드부(153)는 축부재(153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헤드부(153)를 손으로 잡아서 램프(154)의 조사 방향을 삼차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헤드부(153)는 램프(154)를 수용하는 공간(SP1)을 가지는 하우징이다. 도 2에 나타낸 헤드부(153)는 외형이 대략 원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정면으로 한다)이 램프(154)의 조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램프(154)는 복수의 포탄형 백색 LED(발광 다이오드)로 되어 있다. 물론, 램프(154)는 단수여도 좋고, 표면 실장형 LED 등의 포탄형 이외의 형상이어도 좋으며, 백색 이외의 색이어도 좋고, 백열 전구, 형광등 등이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인에블 스위치(SW1)는 헤드부(153)의 배면에 장착되어 있고, 기울임 조작을 위한 손잡이(SW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에이블 스위치(SW1)는 램프(154)를 온오프하기 위한 램프 온오프 스위치와는 별도의 스위치여도 좋고, 램프 온오프 스위치와 공통으로 사용하는 스위치여도 좋다. 인에이블 스위치(SW1)는 조명 장치(150)에 있으면 되고, 헤드부(153)의 측면이나 정면에 장착되어도 좋으며, 암(152a, 152b) 등의 암부(152)에 장착되어도 좋고, 고정부(151)에 장착되어도 좋다.
도 3의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단자(150a)는 조명 장치(150) 밖에서 NC선반(1)의 전원(140)의 플러스 측에 접속되고, 전원 단자(150b)는 상기 전원(140)의 마이너스 측에 접속된다.
도 3의 (a)은, 조명 장치(150)(예를 들면, 헤드부(153))에 램프 스위치(155)와 인에이블 스위치(SW1)를 별개로 조립한 예를 나타낸 전기 회로도이다. 램프 스위치(155)는 얼터네이트 동작 형의 1극 2포지션의 스위치이다. 온(On)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전원 단자(150a), 즉 전원(140)의 플러스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오프(off)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오픈으로 되어 있다. 램프 스위치(155)의 출력 단자(155c)는, 램프(154)의 애노드 측에 접속되어 있다. 램프(154)의 캐소드 측은, 전원 단자(150b), 즉 전원(140)의 마이너스 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 스위치(155)를 온(on) 포지션으로 하면 램프(154)가 점등하고, 램프 스위치(155)를 오프(off) 포지션으로 하면 램프(154)가 소등한다.
인에이블 스위치(SW1)는, 모멘터리 동작 형의 1극 2포지션의 스위치이며, 손잡이(SW1a)의 경사 이동 조작에 의해 온(on) 포지션으로부터 오프(off) 포지션으로 모멘터리 동작한다. On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전원 단자(150a), 즉 전원(140)의 플러스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Off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오픈으로 되어 있다. 인에이블 스위치(SW1)의 출력 단자로부터의 NC(PLC)입력 신호는, NC 장치(10)에 입력된다. 따라서, 인에이블 스위치(SW1)를 on 포지션으로 하면 램프(154)의 상태에 관계 없이 하이레벨(통전 상태)의 신호가 NC 장치(10)에 전달될 수 있고, 인에이블 스위치(SW1)가 off 포지션으로 자동 복귀하면 오픈 상태의 신호가 NC 장치(10)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의 (b)는, 조명 장치(150)(예를 들면, 헤드부(153))에 인에이블 스위치(SW1)를 조립하고, 조명 장치(150) 밖에 릴레이(156)을 설치한 예를 나타낸 전기 회로도이다. 릴레이(156)는, 예를 들면, 조작 접수부(20)에 설치되는 조명 온 오프 버튼(B5)의 가압 조작에 따라 온 오프하고, 온 지령 시에 접점이 닫히고, 오프 지령 시에 접점이 열린다. 릴레이(156)의 입력측은, 전원 단자(150a), 즉 전원(140)의 플러스 측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156)의 출력 단자(156c)는 램프(154)의 애노드 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156)가 on 포지션으로 되면 램프(154)가 점등하고, 릴레이(156)이 off 포지션으로 되면 램프(154)가 소등한다. 한편, 도 3의 (b)에 나타낸 인에이블 스위치(SW1)는, 도 3의 (a)에 나타낸 인에이블 스위치(SW1)와 같다.
도 3의 (c)는, 조명 장치(150)(예를 들면, 헤드부(153))에 2극 3포지션의 인에이블 스위치(SW2)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전기 회로도이다. 인에이블 스위치(SW2)는, 손잡이의 경사 이동 조작에 의해 P3 포지션으로부터 P2 포지션으로 모멘터리 동작하고, P1 포지션과 P 2포지션 사이의 전환 시에는 얼터네이트 동작한다. 제1극의 P1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오픈으로 되어 있다. 제1극의 P2, P3포지션은, 전원 단자(150a), 즉 전원(140)의 플러스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극의 출력 단자는 램프(154)의 애노드 측에 접속되어 있다.제2극의 P1, P2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오픈으로 되어 있다. 제2극의 P3 포지션의 입력 단자는, 전원 단자(150a), 즉 전원(140)의 플러스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인에이블 스위치(SW2)가 P1 포지션 일 때, 램프(154)는 소등 상태이며, NC 장치(10)에 오픈 상태의 신호가 전해진다. 인에이블 스위치(SW2)를 P2 포지션으로 하면, 램프(154)는 점등하지만, NC 장치(10)에 전달하는 신호는 오픈 상태인 채이다. 인에이블 스위치(SW2)를 P3 포지션으로 하면, 램프(154)는 점등한 채로 있고, NC 장치(10)에 전달하는 신호는 하이레벨(통전 상태)이 된다. 물론, 인에이블 스위치(SW2)가 P2 포지션으로 자동 복귀 하면, 램프(154)는 점등한 채로 있고, NC 장치(10)에 전달하는 신호는 오픈 상태로 된다.
그리고, 모멘터리 스위치의 극 수는, 3극 이상이어도 된다. 조작 접수부에 설치되는 조명 온 오프 버튼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명 장치를 온 오프시키는 경우, 1극에 있어서, 모든 입력 단자를 전원에 접속하고 출력 단자를 램프에 접속해도 된다. 이 경우, NC 장치로부터 온(on) 지령이 온 경우, 램프는 항상 점등한다. 이 태양(aspect)은 별도 단자 테이블을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모멘터리 스위치의 포지션수는 4 이상이어도 된다.
본 태양에 의하면 조명 장치(150)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또한 인에이블 스위치(SW2)의 모멘터리 동작 시에, 인터락 수단(U1)에 의한 제한 등의 적어도 일부가 해제된다. 공작물(W1)를 포함하는 가공부(122)에 있어서 공작물 가공 상태를 관찰하거나, 공구 교환 등의 절차 작업을 행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 가공부(122)를 비추면 비추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공부(122)가 보기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러므로, 조명 장치(150)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하여 인에이블 기능을 유효하게 하는 것에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가공부(122)의 동작의 제한 등을 해제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조명 장치를 온 오프하는 스위치와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는 스위치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는 모멘터리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4는 NC선반(1)의 측면을 예시하고, 가드(130)을 연 상태의 일례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연결 부재(130b)는, 가드(130)와 외장(110)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 부재(130b)는,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양단이 가드(130)의 측면과 외장(110)의 측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작업자는, 폐쇄 상태의 가드(130)의 손잡이(130a)를 바로 앞쪽으로부터 위쪽 안쪽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통하여, 가드(130)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물론, 가드(130)의 근방의 NC선반(1)에 개폐용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개폐용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NC선반(1)이 가드(130)를 자동적으로 개폐해도 된다. 가드(130)을 개방함으로써, 작업자는, 가공실(120) 내의 가공부(122)를 직접 관찰할 수 있어서 각종 조정을 위해 가공부(122)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드(130)의 형상이나 개폐의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드(130)은 좌우로 슬라이드 하여 외장(110)의 일부를 개폐하는 미닫이여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조작 접수부(20)는 기동 버튼(B1)이나 모드 선택 버튼(B2) 등의 각종 버튼, 키, 등을 구비한다. 조작 접수부(20)는, 표시부(30) 상의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기동 버튼(B1)은 가공부(122)로의 기동 지시를 받아들이기(기동 지시를 행하는) 위한 조작부이다. 기동 버튼(B1)이 가압 조작되면(온으로 되면), 수치 제어에 기초한 가공부(122)의 동작이 개시되고, 공작물(W1)에 대한 가공이 행해진다. 기동 버튼(B1)가 온으로 된 동작 상태를 「전자동 모드」라고 한다.
모드 선택 버튼(B2)은 NC선반(1)의 동작 상태를 「비전자동 모드」로 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비전자동 모드」는, 「전자동 모드」는 아니지만 한정적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이고, 수동 모드나 반 자동 모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모드 선택 버튼(B2)에는, 죠그 버튼(B3)와 핸들 이송 버튼(B4) 중 적어도 한쪽이 포함될 수 있다. 죠그 버튼(B3)은, 수동 모드의 일종인 죠그 모드로 하기 위한 버튼이며, 가압 조작되면(온으로 되면), 이송 버튼(B6)의 조작 입력이 접수되며, 이송 버튼(B6)이 가압되어 있는 동안, 가공부(122)의 선택된 부분이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송 버튼(B6)에는, 정면 주축대(45)를 Z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버튼, 정면 주축대(45)를 Z축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Z 버튼, 절삭 공구대(44)를 X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 버튼 등이 포함된다. 핸들 이송 버튼(B4)은 수동 모드의 일종인 핸들 보냄 모드로 하기 위한 버튼이며, 가압하여 조작되면(온으로 되면), 축선택 버튼(B7)의 조작 입력이 접수되고, 어느 하나의 축선택 버튼(B7)이 가압 조작되었을 때, 선택된 가공부(122)가 핸들(H1)의 회전 조작에 따라 이동한다. 축선택 버튼(B7)에는, 정면 주축대(45)를 Z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택하는 Z축 선택 버튼, 절삭 공구대(44)를 X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선택하는 X축 선택 버튼, 등이 포함된다. 선택된 가공부(122)는, 핸들(H1)이 한쪽의 회전 방향(예를 들면, 우회전)으로 회전 조작되면+방향으로 이동하고, 핸들(H1)가 다른 쪽의 회전 방향(예를 들면, 좌회전)으로 회전 조작되면 다른 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죠그 버튼(B3)이나 핸들 이송 버튼(B4)은, NC선반(1)의 동작 상태를 수동 모드로 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표시부(30)는, 작업자가 조작 접수부(20)에 조작 입력한 각종 수치나 설정의 내용, NC선반(1)에 관한 각종 정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표시부(30)의 표시 내용은, NC 장치(10)에 의해 제어된다.
도 5는 NC선반(1)을 구성하는 각 부의 전기적인 접속 관계를 블록도에 의해 단순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NC 장치(10)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10a), RAM(Random Access Memory)(10b), ROM(Read Only Memory)(10c), 기계 기구부용의 인터페이스(I/F)(10d), 조작 접수부(20), 표시부(30), 등이 서로 접속된 컴퓨터로 되어 있다. RAM(10b)에는, 가공 프로그램(P)이나 각종 데이터(D)가 기억된다. ROM(10c)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L)이 기입되어 있다. CPU(10a)는 이들 프로그램(P, APL)에 따라 기계 기구부를 수치 제어한다.
I/F(10d)에는, 서보 앰프(40), 정면 주축용 앰프(60), 배면 주축용 앰프(70), 가드 스위치(도어 스위치)(80), 각종 액추에이터(90), 상기 램프(154), 상기 인에이블 스위치(SW1), 등이 접속되어 있다. 서보 앰프(40)는 접속되어 있는 X축 서보 모터(41), Y축 서보 모터(42) 및 Z축 서보 모터(43)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X축 서보 모터(41) 및 Y축 서보 모터(42)는, 공급되는 전력을 동력으로 변환하여, 접속되어 있는 절삭 공구대(44)를 X 축 방향 및 Y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Z축 서보 모터(43)는 공급되는 전력을 동력으로 변환하여, 접속되어 있는 정면 주축대(45)를 Z 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정면 주축용 앰프(60)는, 접속되어 있는 정면 주축 모터(61)에 전력을 공급한다. 정면 주축 모터(61)는, 공급된 전력을 회전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접속되어 있는 정면 주축(62)을 회전시킨다. 정면 주축(62)은, 정면 주축대(45)에 탑재되어 있다. 배면 주축용 앰프(70)은, 접속되어 있는 배면 주축 모터(71)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면 주축 모터(71)은, 공급된 전력을 회전 이동력으로 변환하여, 접속되어 있는 배면 주축(72)를 회전시킨다. 배면 주축(72)는, 배면 주축대(53)에 탑재되어 있다.
가드 스위치(80)은, 가드(130)이 폐쇄 상태인가 열린 상태인가의 개폐 상황을 검지하고, 검지한 개폐 상황에 따른 검지 신호를 NC 장치(10)에 전한다. 도 1에 나타낸 가드 스위치(80)은, 외장(110)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가드 스위치(80)은, 예를 들면, 가드(130)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닫힌 상태일 때,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폐쇄 상태 신호를 생성하고, 가드(130)이 조금이라도 열리면 비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열린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 물론, 가드(130)의 개폐 상황의 검지는, 비접촉 센서를 통해서도 되고, 가드(1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해도 된다. NC 장치(10)에 접속되는 각종 액추에이터(90)에는, 예를 들면, 정면 주축(62)나 배면 주축(72)에 설치된 콜릿(collet, 파지 수단)을 개폐 동작시키는 동력 기구 등이 있다.
NC 장치(10)은, 기동 버튼(B1)의 눌림을 검지하면, 가공 프로그램(P)에 따라 가공부(122)를 구동하고, 공작물(W1)을 가공한다. 수치 제어는, 예를 들면, RAM(10b)에 기억된 각종 수치 데이터(D)를 참조하여 행해진다.
도 6은 NC선반(1)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으로서, 주로 가공실(120)에 배치된 가공부(122)를 나타내고 있다. 가공부(122)에는, 정면 주축(62)를 설치한 정면 주축대(45), 배면 주축(72)를 설치한 배면 주축대(53), 가이드 부시(GB)(100), 공구(44a)를 장착한 절삭 공구대(44),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축(62, 72)의 축 방향인 Z 축 방향은 도 6의 좌우 방향이며, Z 축 방향과 수직인 X 축 방향은 도 6의 상하 방향이며, Z 축 방향 및 X 축 방향과 수직인 Y 축 방향은 도 6의 종이 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다.
정면 주축대(45)는, 소정의 높이 위치에 탑재한 정면 주축(62)의 축 방향(Z 축 방향)으로 정면 주축(62)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정면 주축(62)는, 예를 들면, 정면 주축(62)의 배후(도 6에서는 좌측)로부터 공급되는 길쭉한 원기둥형의 소재(공작물 W1)를 해방 가능하게 파지하는 콜릿(collet)(62a)를 선단부에 구비한다. 여기서, Z축의 플러스 방향(도 6에서는 우측 방향)을 전진 방향이라 부르기로 한다. GB(100)는, 콜릿(collet)(62a)에 파지되어 정면 주축(62)로부터 전진 방향으로 돌출된 공작물(W1)이 삽입되는 중앙 관통공을 가지며, Z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상태로 공작물(W1)을 유지한다. GB(100)는, 공작물(W1)를 관통시킨 상태로, 정면 주축(62)와 같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GB(100)의 위쪽에 배치된 절삭 공구대(44)에는, GB(100)로부터 돌출된 공작물(W1)의 가공에 사용되는 공구(44a)가 장착된다. 절삭 공구대(44)에는, 정면 가공용의 바이트, 돌파 가공용의 바이트 등의 여러 종류의 공구가 동시에 장착되어도 되고, 이들의 공구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된다. 절삭 공구대(44)는, 공구(44a)와 함께 X 축 방향 및 Y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GB(100)를 사이에 두고 정면 주축대(45)와 대향하는 배면 주축대(53)은, 소정의 높이 위치에 탑재한 배면 주축(72)의 축 방향(Z 축 방향)으로 배면 주축(72)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배면 주축(72)는, GB(100)로부터 돌출된 공작물(W1)을 해방 가능하게 파지하기 위한 콜릿(collet)(72a)를 선단부에 구비한다. 그리고, 배면 주축(72)에 의하여 파지된 공작물(W1)을 배면 가공하기 위한 공구를 장착한 절삭 공구대를 상기 절삭 공구대(44)와는 별도로 배면 주축대(53) 근방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가공부(122)의 구성이나 이동 방향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인터락 해제 처리의 설명:
인터락 기능을 항상 유효하게 해 놓으면, 작업자의 편리성을 해칠 수 있다. 본 NC 장치(10)은, 가드(130)이 열린 상태 등의 소정의 인터락 조건 성립시라도, 소정의 해제 조건 성립시에는 예외적으로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고, 가공부(122)를 동작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7은 NC 장치(10)(CPU(10a))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L)에 따라 행하는 인터락 해제 처리를 플로우차트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NC선반(1)의 전원이 온 일 때, 멀티태스킹에 의해 다른 처리(가공 프로그램(P)에 따른 가공 처리 등)와 병렬로 행해진다. 물론, 인터락 해제 처리는, 일부 또는 전부가 가공 프로그램(P)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여기서, 스텝 S10, S16의 처리를 행하는 NC 장치(10)은, 인터락 수단(U1)를 구성한다. 또한, 스텝 S14, S18의 처리를 행하는 NC 장치(10)은, 해제 수단 U2를 구성한다.
처리가 개시되면, NC 장치(10)은, 소정의 인터락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 이하, 「스텝」의 기재를 생략.). 인터락 조건은, (A)가드(도어)(130)이 개방된 경우에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B)「비전자동 모드」(소정의 동작 모드)이 선택되었을 때 성립해도 되고, (C)이러한 경우의 조합, 예를 들면, 가드(130)이 개방된 경우 또는 「비전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성립해도 된다. 가드가 개방된 경우란 가드가 열려 있는(닫혀 있지 않은) 경우도 되고, 가드가 열리고 나서 닫힌 후에 조작 접수부(20)를 통하여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는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등도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램프(154)(조명 장치(150)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에 인터락 조건이 성립하도록 해도 된다.
(A) 가드 열림이 인터락의 성립 조건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가드 스위치(80)의 검지 신호 상태를 판독하고, 이 상태에 따라 처리를 분기 하면 된다. 상기 검지 신호가 비접촉 상태(열린 상태)일 때 조건 성립으로 판단하여 S14의 처리를 진행시키고, 상기 검지 신호가 접촉 상태(폐쇄 상태)일 때 조건 불성립으로 판단하여 S12의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가드(130)이 열리고 나서 닫힌 후에 기동 버튼(B1)이 가압되어 있지 않아서 인터락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가드 스위치(80)의 검지 신호의 상태와 기동 버튼(B1)의 가압 조작 상태의 조합에 의해 처리를 분기하면 된다. 상기 검지 신호가 비접촉 상태이거나, 비접촉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바뀌었고 기동 버튼(B1)이 가압 조작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는 S14의 처리를 진행시키고, 상기 검지 신호가 비접촉 상태로부터 접촉 상태로 바뀐 후에 기동 버튼(B1)가 가압 조작된 경우에는 S12의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B) 수동 모드(비전자동 모드) 선택이 인터락의 성립 조건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모드 선택 버튼(B2)가 가압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처리를 분기하면 된다. 상기 모드 선택 버튼(B2)가 가압 조작되었을 때는 S14의 처리를 진행시키고, 상기 모드 선택 버튼(B2)가 가압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2의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C) 상기 조합이 인터락의 성립 조건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가드 스위치(80)의 검지 신호의 상태와 모드 선택 버튼(B2)의 가압 조작 상태의 조합에 의해 처리를 분기하면 된다. 상기 검지 신호가 비접촉 상태이거나 모드 선택 버튼(B2)가 가압 조작되었거나 했을 때는 S14의 처리를 진행시키고, 상기 검지 신호가 접촉 상태이고, 또한 모드 선택 버튼(B2)가 가압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2의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조건 불성립시, NC 장치(10)은, 가공실(120) 내의 모든 가공부(122)의 운전을 허가하고(S12), S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모든 가공부(122)의 운전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통상 운전 플래그(flag)를 온(on)으로 설정한다. NC 장치(10)은, 기동 버튼(B1)이 가압된 것을 검지했을 때, 통상 운전 플래그(flag)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가공 프로그램(P)에 따라 가공부(122)를 구동시킨다. 또한, 가공 처리의 개시 후에 인터락 기능에 의해 가공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지한 경우, 통상 운전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면 가공 처리를 재개한다. 그 결과, 공작물(W1)에 대한 가공이 행해진다.
한편, S14에서는, 인에이블 스위치가 온 상태(모멘터리 동작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도 3의 (a~c)의 예에서는, NC 장치(10)은, 인에이블 스위치(SW1, SW2)로부터의 NC(PLC)입력 신호 상태를 판독하고, 이 상태에 따라 처리를 분기 하면 된다. 상기 NC(PLC)입력 신호가 H 레벨(통전 상태)일 때 조건 성립으로 판단하여 S18의 처리를 진행시키고, 상기 NC(PLC)입력 신호가 오픈 상태일 때 조건 불성립으로 판단하여 S16의 처리를 진행시킬 수 있다.
조건 불성립시, NC 장치(10)은, 가공부(122)의 동작을 제한 또는 금지하고(S16), S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가드 열림이나 수동 모드(비전자동 모드)라는 인터락 조건이 성립하고, 또한 인에이블 스위치가 가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가공부(122)의 동작을 제한한다.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가공부(122)의 모든 운전을 금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운전 금지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한다. NC 장치(10)은, 기동 버튼(B1)가 가압된 것을 검지하여도, 운전 금지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공 프로그램(P)에 따른 가공 처리를 개시하지 않는다. 또한, 가공 처리의 개시 후에 운전 금지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가공 처리를 정지한다. 또한, 직전에 가공 처리가 정지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가공 처리의 정지를 유지한다. 가드(130)이 열려 있는 경우에 인터락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 가드(130)이 열린 상태이며, 또한 인에이블 스위치(SW1, SW2)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 가공부(122)의 모두에 대하여 인터락 기능이 작용한다.
그리고, S16에서는, 가공부(122)의 운전을 완전하게는 금지하지 않고 소정의 제한 하에서 허용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제한이란, 예를 들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각각의 가공부의 속도에 대한 제한이다. 이 속도 제한에는, 정면 주축대(45)나 배면 주축대(53)나 절삭 공구대(44)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제한 등이 있다.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가드(130)이 열린 상태이며, 또한 인에이블 스위치(SW1, SW2)가 조작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한 이하의 속도로 각각의 가공부를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부(122)의 동작을 제한하는 것에는, 가공부(122)의 모든 운전을 금지하지 않고 일부의 운전을 허용하는 것도 포함된다.
한편, 인에이블 스위치(SW1, SW2)의 모멘터리 동작 시, NC 장치(10)은, 인터락 수단(U1)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고(S18), S10으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가드 열림이나 수동 모드(비전자동 모드)라는 인터락 조건이 성립하고, 또한 인에이블 스위치가 가압되어 있는 경우, 인터락 수단(U1)에 의한 제한 등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한다.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가드(130)이 열린 상태이면서, 또한 모든 가공부의 운전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열린 상태 운전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한다. NC 장치(10)은, 기동 버튼(B1)이 가압된 것을 검지했을 때, 열린 상태 운전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 운전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공 프로그램(P)에 따라 각각의 가공부를 구동시킨다. 또한, 가공 처리의 개시 후에 열린 상태 운전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가공 처리를 계속한다.
그리고, S18에서는, 인터락 기능을 완전하게는 해제하지 않고 소정의 제한 하에서 해제해도 된다. 예를 들면, NC 장치(10)은, 열린 상태 운전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각각의 가공부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통상 운전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각각의 가공부를 구동할 때의 각각의 가공부의 운전 속도보다 느린 속도로 각각의 가공부를 구동해도 된다. 또한, 인터락 기능을 제한하여 해제하는 것에는, 가공부(122)의 모든 운전을 허용하지 않고 일부의 운전을 금지하는 것도 포함된다.
(3) 공작 기계의 작용, 및 효과:
작업자가 가공부(122)의 동작의 제한 등을 해제하는 것은, 공작물(W1)을 포함하는 가공부(122)에 있어서 공작물 가공 상태를 관찰하거나, 공구 교환 등의 절차 작업을 행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이다.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인에이블 스위치로서 기계 본체로부터 독립하여 케이블을 통해 기계 본체와 연결되는 핸드그립(handgrip)식의 모멘터리 스위치를 사용하면, 비용이 소요되고, 가공실 바로 앞 등에 인에이블 스위치를 설치하면, 가공실 바로 앞 등에 인에이블 스위치를 지지하는 스페이스가 필요하며, 작업에 방해가 되기 쉽다. 또한, 모멘터리 동작 형의 푸시 버튼 스위치 등을 조작 접수부에 설치하면, 가공실로부터 인에이블 스위치가 이격되므로 그만큼, 가공부를 보면서 작업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실시 형태의 공작 기계는, 가공부(122)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150)에 모멘터리 스위치(SW1, SW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독립된 인에이블 스위치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아도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가공실로부터 이격된 인에이블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가까이의 인에이블 스위치의 손잡이(SW1a)를 조작함으로써 동작 제한 등의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한 등을 해제하기 위한 인에이블 스위치를 가공실 바로 앞의 외장(110)에 설치할 필요도 없고, 인에이블 스위치가 작업에 방해되지도 않는다.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명 장치를 온 오프하는 스위치와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는 스위치를 공통으로 사용하면,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는 모멘터리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공작 기계의 비용이 절감된다.
(4) 변형예:
본 발명은, 각종 변형 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공작 기계에는, 선반 이외에도, 연삭기, 기어 절삭기 등도 있다. 가공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는, 가공실 천정 등에 내장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고정식의 조명 장치에 모멘터리 스위치를 설치하는 경우라도, 작업자는 가공실로부터 이격된 모멘터리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동작 제한 등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의 (a)의 회로에 있어서, 인에이블 스위치(SW1)의 on 포지션의 입력 단자를 전원 단자(150a)에는 접속 하지 않고 램프 스위치(155)의 출력 단자(155c)에 접속해도 된다. 또한, 도 3의 (b)의 회로에 있어서, 인에이블 스위치(SW1)의 on 포지션의 입력 단자를 전원 단자(150a)에는 접속 하지 않고 릴레이(156)의 출력 단자(156c)에 접속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램프(154)가 점등하고 있지 않으면 인에이블 스위치(SW1)가 모멘터리 동작해도 인터락 기능이 해제되지 않고, 램프(154)가 점등되어 있을 때만 인에이블 스위치 SW1가 모멘터리 동작하면 인터락 기능이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공부(122)에 있어서 공작물 가공 상태를 관찰하거나, 공구 교환 등의 절차 작업을 행하거나 하는 등의 경우, 가공부(122)를 비추면 비추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공부(122)가 보기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이들의 변형예는, 가공부(122)의 동작의 제한 등을 해제하는 데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모식적인 평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가공부(122)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 버튼(B1)으로부터 한 손으로는 조작할 수 없는 소정 거리(d1) 이상 이격시켜 인에이블 스위치(SW1)를 상기 조명 장치(150)에 설치해도 된다. 도 8의 예에서는, 회동 기구(151a)가 180도의 범위에서 암부(15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헤드부(153)에 설치된 인에이블 스위치(SW1)와 조작 접수부(20)에 설치된 기동 버튼(B1)이 가장 가까워지는 것은, 암부(152)를 바로 앞으로 회동시켜 인에이블 스위치(SW1)가 기동 버튼(B1)측을 향하도록 했을 때이다. 이 경우에도, 한 손으로는 인에이블 스위치(SW1)와 기동 버튼(B1)을 동시에 조작할 수 없도록 하는 거리(d1)가 있다. 이 거리(d1)는, 예를 들면, 26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인해, 인에이블 스위치(SW1)를 조작하는 것과 동시에 기동 버튼(B1)를 가압하여 조작하기 위해서는, 양 손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인에이블 스위치(SW1)를 조작하고 있는 손으로 기동 버튼(B1)를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뜻하지 않게 가공부(122)가 기동하지 않고, 인에이블 스위치(SW1)와 기동 버튼(B1)을 한 손으로 조작하면서 나머지 손을 가공실에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태양은 보다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락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모멘터리 스위치와 가공부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 버튼을 소정 거리(d1)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암부(152)의 선회 범위(각도)를 제한하는 이외에도, 이하의 대응이 가능하다.
· 암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
· 암부에 관절이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암의 길이를 각각 조정하는 것.
· 조사 부분(헤드부)의 선회 범위(각도)를 제한하는 것.
그리고, 종속 청구항에 관한 구성 요건을 가지고 있지 않고 독립 청구항에 관한 구성 요건 만으로 이루어지는 공작 기계 등이라도, 전술한 기본적인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종 태양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예 중에 개시한 각각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한 구성, 공지 기술과 함께 전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 예 중에 개시한 각각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조합을 변경하거나 한 구성, 등도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들의 구성 등도 포함한다.
1 NC선반(공작 기계, 10 NC 장치,
20 조작 접수부, 80 가드 스위치(도어 스위치),
110 외장, 120 가공실,
122 가공부, 130 가드(도어),
140 전원, 150 조명 장치,
150a, 150b 전원 단자, 151 고정부,
151a 회동 기구, 152 암부,
153 헤드부, 154 램프(광원),
155 램프 스위치, 156 릴레이,
B1 기동 버튼, B2 모드 선택 버튼,
B3 죠그 버튼, B4 핸들 이송 버튼,
B5 조명 온 오프 버튼, B6 이송 버튼,
B7 축선택 버튼, H1 핸들,
SW1, SW2 인에이블 스위치(모멘터리 스위치),
SW1a 손잡이, U1 인터락 수단,
U2 해제 수단, W1 공작물
20 조작 접수부, 80 가드 스위치(도어 스위치),
110 외장, 120 가공실,
122 가공부, 130 가드(도어),
140 전원, 150 조명 장치,
150a, 150b 전원 단자, 151 고정부,
151a 회동 기구, 152 암부,
153 헤드부, 154 램프(광원),
155 램프 스위치, 156 릴레이,
B1 기동 버튼, B2 모드 선택 버튼,
B3 죠그 버튼, B4 핸들 이송 버튼,
B5 조명 온 오프 버튼, B6 이송 버튼,
B7 축선택 버튼, H1 핸들,
SW1, SW2 인에이블 스위치(모멘터리 스위치),
SW1a 손잡이, U1 인터락 수단,
U2 해제 수단, W1 공작물
Claims (5)
-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를 수용하는 외장과,
상기 가공부를 비추기 위한 조명 장치와,
인터락 조건 성립시에 상기 가공부의 동작을 제한 또는 금지하는 인터락 수단과,
상기 조명 장치에 설치된 모멘터리 스위치와,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의 모멘터리 동작 시에 상기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할 수 있는 해제 수단
을 포함하는 공작 기계. - 제1항에서,
상기 외장은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지며,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경우와 소정의 동작 모드가 선택된 경우 중 적어도 한쪽의 경우, 또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의 모멘터리 동작 시에, 상기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는,
공작 기계.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조명 장치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또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의 모멘터리 동작 시에, 상기 인터락 수단에 의한 제한 또는 금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해제하는,
공작 기계.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는, 상기 가공부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 버튼으로부터 한 손으로는 조작할 수 없도록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공작 기계. - 제3항에서,
상기 모멘터리 스위치는, 상기 가공부의 기동을 지시하기 위한 기동 버튼으로부터 한 손으로는 조작할 수 없도록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상기 조명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공작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014760A JP5792648B2 (ja) | 2012-01-27 | 2012-01-27 | 工作機械 |
JPJP-P-2012-014760 | 2012-01-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7358A true KR20130087358A (ko) | 2013-08-06 |
KR101898046B1 KR101898046B1 (ko) | 2018-09-12 |
Family
ID=47561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947A KR101898046B1 (ko) | 2012-01-27 | 2012-12-06 | 공작 기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620255B1 (ko) |
JP (1) | JP5792648B2 (ko) |
KR (1) | KR101898046B1 (ko) |
CN (1) | CN103223500B (ko) |
TW (1) | TWI556902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17509A (zh) * | 2018-07-27 | 2018-11-16 | 许炳初 | 一种机械工程用切割装置 |
KR102063585B1 (ko) * | 2019-05-30 | 2020-02-11 | 박성훈 | Mct가공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59806A1 (ja) * | 2013-10-24 | 2015-04-30 | コマツNtc株式会社 | 工作機械 |
JP6634568B2 (ja) * | 2015-07-08 | 2020-01-22 | マイクロ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作業関連曲面の照明に適した照明方法及び照明システム |
JP7124391B2 (ja) * | 2018-03-30 | 2022-08-24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工作機械システム及び搬送装置 |
JP7407542B2 (ja) * | 2019-08-29 | 2024-01-04 | 北越工業株式会社 | 高所作業車の操作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0389A (ja) * | 2002-07-24 | 2004-02-19 | Nachi Fujikoshi Corp | 産業用ロボット上腕の配線処理装置 |
JP2005004557A (ja) * | 2003-06-12 | 2005-01-06 | Keyence Corp | 安全リレーシステム用入力ユニット、安全リレーシステムおよび安全リレーの制御方法 |
JP2007160449A (ja) * | 2005-12-13 | 2007-06-28 | Mori Seiki Co Ltd | 操作器 |
JP2010052056A (ja) * | 2008-08-26 | 2010-03-11 | Star Micronics Co Ltd | 工作機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40037A (en) * | 1952-05-14 | 1956-03-27 | Standard Oil Co | Machine lighting |
DE29806591U1 (de) * | 1998-04-15 | 1998-08-20 | DMT-Drehtechnik GmbH, 79539 Lörrach | Drehmaschine |
JP2004050386A (ja) * | 2002-07-24 | 2004-02-19 | Idec Izumi Corp | 機械制御方法 |
TW200616740A (en) * | 2004-09-14 | 2006-06-01 | Paul J Story | Housing retrofit assembly for a milling machine or the like |
US20100085730A1 (en) * | 2008-10-07 | 2010-04-08 | Avex-Sg Technology Inc. | Illuminating Device For Tools |
JP5357082B2 (ja) * | 2010-02-23 | 2013-12-04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工作機械の制御装置および運転制御方法 |
-
2012
- 2012-01-27 JP JP2012014760A patent/JP5792648B2/ja active Active
- 2012-12-06 KR KR1020120140947A patent/KR1018980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12-19 TW TW101148512A patent/TWI556902B/zh active
- 2012-12-20 CN CN201210558879.2A patent/CN103223500B/zh active Active
-
2013
- 2013-01-03 EP EP13150107.4A patent/EP262025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0389A (ja) * | 2002-07-24 | 2004-02-19 | Nachi Fujikoshi Corp | 産業用ロボット上腕の配線処理装置 |
JP2005004557A (ja) * | 2003-06-12 | 2005-01-06 | Keyence Corp | 安全リレーシステム用入力ユニット、安全リレーシステムおよび安全リレーの制御方法 |
JP2007160449A (ja) * | 2005-12-13 | 2007-06-28 | Mori Seiki Co Ltd | 操作器 |
JP2010052056A (ja) * | 2008-08-26 | 2010-03-11 | Star Micronics Co Ltd | 工作機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17509A (zh) * | 2018-07-27 | 2018-11-16 | 许炳初 | 一种机械工程用切割装置 |
CN108817509B (zh) * | 2018-07-27 | 2020-07-14 | 阳信东泰精密金属有限公司 | 一种机械工程用切割装置 |
KR102063585B1 (ko) * | 2019-05-30 | 2020-02-11 | 박성훈 | Mct가공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223500B (zh) | 2016-08-10 |
CN103223500A (zh) | 2013-07-31 |
EP2620255A1 (en) | 2013-07-31 |
TW201330966A (zh) | 2013-08-01 |
TWI556902B (zh) | 2016-11-11 |
JP5792648B2 (ja) | 2015-10-14 |
JP2013154412A (ja) | 2013-08-15 |
KR101898046B1 (ko) | 2018-09-12 |
EP2620255B1 (en) | 2014-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87358A (ko) | 공작 기계 | |
JP4535998B2 (ja) | 操作器 | |
JP4302100B2 (ja) | ソフトウェアplc接点処理の可能な工作機械用制御装置および処理方法 | |
WO2014054104A1 (ja) | 工作機械 | |
JP2014148001A (ja) | 電動工具 | |
JP2011134274A (ja) | 産業機器、および工作機械 | |
TWI627017B (zh) | 工作機械 | |
WO2017082003A1 (ja) | 結束機 | |
JP6121691B2 (ja) | 作業機の操作レバー装置 | |
JPH05305553A (ja) | 工具折損検出方法 | |
JP2010134638A (ja) | 数値制御式工作機械 | |
JP4554282B2 (ja) | 電動丸鋸盤 | |
JP5191313B2 (ja) | 工作機械 | |
AU2020274440A1 (en) | Portable machine tool | |
JP5090229B2 (ja) | 電動工具 | |
EP2581159A1 (en) | Improved key duplicating machine. | |
KR102354649B1 (ko) | 축방향 표시장치를 구비한 다축 공작기계 | |
KR20220108673A (ko) | 정/역 스위치를 장착한 스마트 전동드릴 | |
WO2017082360A1 (ja) | 結束機 | |
JP7261698B2 (ja) | 可搬型工作機 | |
JP5906124B2 (ja) | 工作機械 | |
JP5358919B2 (ja) | 操作盤を備えた工作機械 | |
JP2009184319A (ja) | 携帯用丸鋸 | |
JP2017089270A (ja) | 結束機 | |
JP2012086294A (ja) | 卓上切断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