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112A -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112A
KR20130087112A KR1020120008127A KR20120008127A KR20130087112A KR 20130087112 A KR20130087112 A KR 20130087112A KR 1020120008127 A KR1020120008127 A KR 1020120008127A KR 20120008127 A KR20120008127 A KR 20120008127A KR 20130087112 A KR20130087112 A KR 20130087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image
spelling
partial
pronun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엠에스애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엠에스애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엠에스애듀
Priority to KR102012000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7112A/ko
Publication of KR2013008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23B1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including separat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returning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90/00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F23B90/04Combustion method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18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with fume afterburning by staged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보여주는 단계와, 단어의 부분 철자를 보여주는 단계와,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어 학습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뇌에 활성화를 유도하여 암기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STUDYING WORD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단어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어와 함께 이미지를 제공하되, 단어 및 이미지를 불완전하거나 또한 완전하게 표출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노출함과 동시에 음향을 접목시켜 단어 암기의 학습 능률을 높일 수 있는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490367호에는 소정 단어에서 생략된 일부 또는 전체 문자를 입력하여 문제를 맞추는 퍼즐방식으로 단어학습이 진행되고 상기 소정 단어에 대한 발음, 영상, 해석, 동의어 등도 함께 학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학습에 싫증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마이크를 통하여 녹음된 사용자의 발음과 원어민의 발음을 비교하여 평가하여 주므로 사용자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는 휴대용 단어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어학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단순히 단어의 발음, 영상, 해석, 동의어 등을 함께 제공하여 학습의 지루함을 해소하는 정도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 단어 암기의 능률을 높이는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767575호에는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 상황에 따라 형체화된 이미지를 단어와 함께 학습하여 쉽고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게 하는 외국어 학습 시스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그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자 단말로부터 임의의 단어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철자 그룹과 철자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이미지 캐릭터를 설정받아 저장하는 수단; 학습 대상의 특정 단어를 입력받으면, 단어의 구성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철자 그룹을 제공하고, 단어를 대표하는 철자 그룹의 조합을 선택받아 저장하는 수단; 철자 그룹의 조합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릭터 이미지를 이용하여 연상 상황(연상 문구)을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설정받아 저장하는 수단; 및 연상 상황을 외국어 문장으로 입력받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단어의 구성 철자에 부여된 이미지 캐릭터의 연상에 따라 학습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토록하는 외국어 학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특정 알파벳 한 글자 또는 단어의 약어 및 짧은 단어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을 그룹하고, 이들을 개별 또는 복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의해 암기를 수행하고 있어 오히려 학습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단어와 이미지를 일대일 대응시키되 단계적으로 단어 및 이미지의 노출단계를 조절하여 학습자의 뇌에 활성화를 유도하여 암기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단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보여주는 단계와, 단어의 부분 철자를 보여주는 단계와,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어 학습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체 이미지는 단어를 의미하는 사물이나 상황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관념이미지이거나 혹은 적어도 관념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부분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로부터 관념이미지가 제거된 상태이다.
상기 부분 이미지는 관념이미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도 가능하다.
상기 부분 철자는 철자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철자의 순서를 섞어 놓는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은, 단어를 완전한 상태로 저장하는 전체 철자 저장수단과, 단어를 불완전한 상태로 저장하는 부분 철자 저장수단과, 단어에 대응하는 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체 이미지 저장수단과, 단어에 대응하는 불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부분 이미지 저장수단과, 단어에 대응하는 발음을 저장하는 음향 저장수단과, 상기 철자 및 이미지 저장수단의 신호를 받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와, 음향 저장수단의 신호에 의해 발음을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음향발생기와, 학습이 개시되면, 선택된 단어의 전체이미지, 전체철자, 부분이미지, 부분철자, 전체이미지, 전체 철자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전체철자 및 이미지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음향 발생기를 통해 대응하는 발음을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은 단어의 천체 이미지, 부분 이미지 및 전체 철자와 부분철자를 교차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발음을 청각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학습자의 뇌에 활성화를 유도하여 암기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철자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이미지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 철자의 일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부분 이미지의 일례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저장수단, 음향저장수단(50), 디스플레이(70), 음향발생기(80) 및 제어부(90)로 구성된다.
저장수단은 단어에 대응하는 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체 이미지 저장수단(10)과, 단어에 대응하는 불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부분 이미지 저장수단(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수단은 단어를 완전한 상태로 저장하는 전체 철자 저장수단(30)과, 단어를 불완전한 상태로 저장하는 부분 철자 저장수단(40)을 포함한다.
한편, 음향 저장수단(50)은 단어에 대응하는 발음을 저장하고 있다. 음향 저장수단(50)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단어의 철자 또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향을 음향발생기(80)로 송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70)는 상기 이미지 저장수단(10)(20)및 철자 저장수단(30)(40)으로부터 전송되는 철자 또는 이미지 신호를 받아 이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상기 음향 저장수단(5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발음을 청각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음향 저장수단에는 단어에 해당하는 발음뿐만 아니라 단어암기에 도움을 주는 비트음악을 추가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단어를 연상하는 음향효과를 추가로 단어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sea" 라는 단어에 대해 파도소리를 음향으로 포함하여 단어의 제시와 함께 청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90)는 학습이 개시되면, 선택된 단어의 전체이미지, 전체철자, 부분이미지, 부분철자, 전체이미지, 전체 철자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전체철자 및 이미지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음향 발생기를 통해 대응하는 발음 및 음향효과를 출력토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갖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며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도 2와 예시한 바와 같이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전체 이미지는 단어를 의미하는 사물이나 상황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관념이미지이거나 혹은 적어도 관념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즉, 전체이미지는 단어에 해당하는 사진/애니메이션일 수 있으며, 나아가 캐릭터가 단어에 해당하는 사물이나 동작을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관념이미지는 단어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관념을 갖는 사물 또는 상황만으로 표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명사의 경우 단어가 '사과'이면, 사과만이 관념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고, 추상명사, 형용사, 동사의 경우 단어가 '놀라움'이면 해당하는 상황이나 동작 즉, 사람 또는 캐릭터가 놀라고 있는 표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형태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어가 사과이면, "apple"로 표시된다. 철자 표시과정은 철자를 일시에 표시하거나 또는 시차를 두고 한 글자씩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방식도 예상될 수 있다. 이때에도 애니메이션효과를 추가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어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보여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부분 이미지는 관념이미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이다. 예를 들어 단어가 사과이면, 사과를 표현하고 사과의 일부분을 삭제하여 불완전한 상태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한편, 부분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로부터 관념이미지가 제거된 상태로 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체이미지가 사과를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과일을 나타내는 것이고, 부분이미지는 그 중에 사과만을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부분 이미지를 제시하는 작용은 학습자에 의해 뇌 활동을 활성화하여 암기 능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어의 부분 철자를 보여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부분 철자는 철자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철자의 순서를 섞어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은 전체 철자로부터 일부 철자를 랜덤하게 제거하여 늘 동일한 형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어가 사과이면, app$# 또는 aplep 과 같이 나타낸다.
다음으로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으로부터 단순한 치환이나 변경 등에 의해 발명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음향 저장수단 경우에는 독립하지 않고 전체 철자 저장수단과 함께 동일한 저장수단으로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러한 것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10 : 전체 이미지 저장수단 20: 부분 이미지 저장수단
30: 전체 철자 저장수단 40: 부분 철자 저장수단
50: 음향저장수단 70: 디스플레이
80: 음향발생기 90: 제어부

Claims (6)

  1.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보여주는 단계와,
    단어의 부분 철자를 보여주는 단계와,
    단어에 대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와,
    단어의 전체 철자를 보여줌과 동시에 발음을 들려주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는 단어를 의미하는 사물이나 상황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관념이미지이거나 혹은 적어도 관념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로부터 관념이미지가 제거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관념이미지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철자는 철자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또는 철자의 순서를 섞어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6. 단어를 완전한 상태로 저장하는 전체 철자 저장수단과,
    단어를 불완전한 상태로 저장하는 부분 철자 저장수단과,
    단어에 대응하는 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전체 이미지 저장수단과,
    단어에 대응하는 불완전한 이미지를 저장하는 부분 이미지 저장수단과,
    단어에 대응하는 발음을 저장하는 음향 저장수단과,
    상기 철자 및 이미지 저장수단의 신호를 받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와,
    음향 저장수단의 신호에 의해 발음을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음향발생기와,
    학습이 개시되면, 선택된 단어의 전체이미지, 전체철자, 부분이미지, 부분철자, 전체이미지, 전체 철자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전체철자 및 이미지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음향 발생기를 통해 대응하는 발음을 출력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시스템.
KR1020120008127A 2012-01-27 2012-01-27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7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127A KR20130087112A (ko) 2012-01-27 2012-01-27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127A KR20130087112A (ko) 2012-01-27 2012-01-27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112A true KR20130087112A (ko) 2013-08-06

Family

ID=4921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127A KR20130087112A (ko) 2012-01-27 2012-01-27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71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2292A (zh) * 2015-06-25 2015-09-30 张荣国 英语学习用自控式练习系统
KR20210157084A (ko) 2020-06-19 2021-12-28 이지혜 이미지를 활용한 간접경험식 영어 단어 암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2292A (zh) * 2015-06-25 2015-09-30 张荣国 英语学习用自控式练习系统
KR20210157084A (ko) 2020-06-19 2021-12-28 이지혜 이미지를 활용한 간접경험식 영어 단어 암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46184A (ja) 視覚化された発音の提案を備えた言語学習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60747A (ko) 퍼즐을 이용한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20190041105A (ko) 학습자의 문장입력 및 음성입력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26176A (ko) 단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CN107041159B (zh) 发音助手
KR20120119593A (ko) 다양한 타입의 음성을 통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20130087112A (ko) 단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60040A (ko) 외국어 말하기 학습 서버 및 방법
Bas Integrating Multiple Intelligences in EFL/ESL Classrooms.
Cardoso et al. Set super-chicken to 3! Student and teacher perceptions of Spaceteam ESL
KR101440394B1 (ko) 단어 학습 방법
KR20140047838A (ko) 천지인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교육 시스템
US20040115599A1 (en) Method for teaching students how to read
Ahmad et al. Kid’s Education and Fun Courseware
JP2005140881A (ja) 英語学習装置及び英語学習方法
Kamran et al. Exploring ESL Learners’ Anxiety towards Silent Letters in Pronunciation: A Case Study of Undergraduates of University of Sialkot, Pakistan
Smith Jr Let's Read: A Linguistic Approach
Smakman Pronunciation: Teach or ignore?
Lin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for adolescent EFL learners: From research to practice
JP2001337594A (ja) 言語を学習者に習得させる方法、言語学習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Sorin DIDACTIC STRATEGIES USED TO DEVELOP PRESCHOOL STUDENTS’VOCABULARY SKILLS
Pederson Sequencing Literacy Instruction in Japanes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Using the MEXT-Designated Hi Friends+ Materials Effectively
Azadi The impact of musical texts on the text recall of young learners of English in Isfahan junior high schools
KATO From Picture Books to Leveled Readers: Bridging the Gaps in the Progress of Japan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While Fostering Intercultural Understan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