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247A -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 Google Patents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247A
KR20130086247A KR1020137015752A KR20137015752A KR20130086247A KR 20130086247 A KR20130086247 A KR 20130086247A KR 1020137015752 A KR1020137015752 A KR 1020137015752A KR 20137015752 A KR20137015752 A KR 20137015752A KR 20130086247 A KR20130086247 A KR 2013008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ming
curl
container
short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396B1 (ko
Inventor
케이 오오호리
가즈히코 츠카다
류이치 아마가이
Original Assignee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rolling, or by roll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21D51/32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38Making inlet or outlet arrangements of cans, tins, baths, bottles, or other vessels; Making can ends; Making closures
    • B21D51/40Making outlet openings, e.g. bu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밍 플랜지부나 시밍 컬부가 절결되어 있는 용기에 대해, 시밍 시의 하중의 영향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을 제공한다.
용기 본체(10)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시밍 플랜지부(11)와, 밑 덮개(20)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시밍 컬부(21)를 시밍하여 접합되는 구성으로, 시밍 컬부(21)와 시밍 플랜지부(11)의 적어도 한쪽에 절결부(41, 42)가 설치되어 있는 용기에 있어서, 절결부(41, 42)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시밍 컬부(21)의 튀어나온 폭이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21B)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CONTAINER, LID, AND SEAMING METHOD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시밍 컬부나 시밍 플랜지부가 부분적으로 절결(cut or notch)되어 있는 구조의 용기 및 그것에 이용하는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seaming: 접어서 굽히거나 말아 넣거나 하여 맞붙여 잇는 이음 작업을 말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시밍 용기로서는, 예컨대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110)의 개구단부에 형성된 시밍 플랜지부(111)에, 덮개체(lid body; 120)의 둘레 가장자리에 튀어나온 시밍 컬부(seaming curl portion; 121)를 겹치게 해서 시밍 롤(130)에 의해 시밍하여 접합하고 있다.
시밍 컬부(121)는, 도 5c,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22)의 주변으로부터 일어서는 척 월부(123)를 매개로 밖으로 향해 뻗어 있고, 시밍할 때에는, 척 월부(123)의 내주를 척(140)으로 눌러 시밍 롤(130)에 의한 압압력을 척 월부(123)를 매개로 척(140)에 의해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시밍부에 부분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미리 시밍 컬부(121)에 절결부(150)를 설치하는 경우, 절결부(150) 부근에 응력이 집중해서 이상변형되기 쉽다. 특히, 용기가 각형(角形) 용기인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 사이의 직선 영역(L)에서는, 시밍 성형은 단순한 굽힘 성형(bending shaping)이지만, 코너부(C)에서는 드로우 성형(draw forming)으로 되기 때문에, 시밍 롤(130)에 의한 압압력을 척(140)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해도, 코너부(C)를 넘어 다음의 코너부 사이의 직선 영역에 작용하는 힘이 커지게 되고, 이 부분에 절결부(150)가 있으면, 절결부(150) 근방에 응력이 집중해서 비틀어지고, 함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절결부(150)를 가진 용기의 시밍 구조로는, 예컨대 특허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6-8907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 2006-9288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시밍 플랜지부나 시밍 컬부가 절결되어 있는 용기에 대해, 시밍 시의 하중의 영향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용기는,
용기 본체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시밍 플랜지부와,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시밍 컬부를 시밍하여 접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시밍 컬부와 시밍 플랜지부의 적어도 한쪽에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상기 시밍 컬부의 튀어나온 폭이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small curl portion)에 의해 시밍되는 단소 시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용기에 있어서는,
1. 용기 본체 및 덮개체는 둥글게 된 코너부를 가진 각형(角形) 형상이고, 상기 절결부는 코너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는 절결부 근방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용기의 덮개체는, 용기 본체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시밍 플랜지부에 겹쳐져 시밍되는 시밍 컬부를 구비한 용기의 덮개체에 있어서,
상기 시밍 컬부에는, 시밍 컬부의 튀어나온 길이가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용기의 덮개체에 있어서는,
1. 시밍 컬부에는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소 컬부는 절결부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
2. 용기 본체 측의 시밍 플랜지부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소 컬부는 절결부와 겹쳐지는 개소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
3. 덮개체는 둥글게 된 코너부를 가진 각형 형상이고, 절결부는 코너부 사이의 영역에서 한쪽의 코너부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는 절결부 근방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용기의 시밍 방법은,
용기 본체의 시밍 플랜지부에 덮개체의 시밍 컬부를 겹치게 하고, 겹쳐진 시밍 컬부와 시밍 플랜지부를, 상기 시밍 컬부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이동하는 시밍 롤에 의해 시밍하는 용기의 시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밍 플랜지부와 시밍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시밍 전에 미리 절결부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시밍 컬부에는, 상기 절결부가 배설되는 영역의 양 옆 중 적어도 한쪽 측에, 상기 시밍 컬부의 튀어나온 길이가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를 설치해 놓고,
시밍 시에, 시밍 롤을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절결부를 향해 시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용기의 시밍 방법에 있어서는,
1. 용기 본체 및 덮개체는 둥글게 된 코너부를 가진 각형 형상이고, 상기 절결부는 코너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는 절결부 근방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용기의 효과)
덮개체의 시밍 컬부나 용기 본체의 시밍 플랜지부에 절결부가 있으면, 시밍할 때에, 시밍 롤이 진입하면 절결부 근방의 강도 부족에 의해 덮개체나 용기 본체가 이상변형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결부의 옆에 부분적으로 단소 컬부를 설치한 덮개체와 용기를 시밍하는 단소 시밍부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절결부를 향해 시밍 롤을 진입시키면, 시밍 하중이 저감되어 덮개체나 용기 본체의 절결부 근방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고, 절결부를 가진 정확한 형상의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용기는 각(角)이 둥글게 된 각형 용기인 바, 절결부가 코너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코너부는 시밍할 때에, 드로잉 가공(drawing work)으로 되기 때문에, 시밍 하중이 높고, 그 근방인, 코너부 근방에 절결부가 있으면, 용기나 덮개체의 절결부 부근에 이상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그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단소 컬부로 함으로써, 용기 본체나 덮개체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덮개체의 효과)
덮개체의 시밍 컬부나 용기 본체의 시밍 플랜지부에 절결부가 있으면, 시밍할 때에, 시밍 롤이 진입하면 절결부 근방의 강도 부족에 의해 덮개체나 용기 본체가 이상변형하기 쉽다. 본 발명의 덮개체에 의하면, 절결부의 옆에 부분적으로 단소 컬부를 설치해서 시밍 컬부의 길이를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시밍 컬부에 설치한 절결부를 향해, 또는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시밍 플랜지부에 설치한 절결부와 겹쳐지는 개소를 향해 시밍 롤을 진입시키면, 시밍 하중이 저감되어 덮개체나 용기 본체의 절결부 근방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다.
특히, 덮개체는 각이 둥글게 된 각형 형상인 바, 절결부가 코너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코너부는 시밍할 때에 드로잉 가공으로 되기 때문에, 시밍 하중이 높고, 코너부 근방에 절결부가 있으면, 절결부 부근에 이상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그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단소 컬부로 함으로써, 용기 본체나 덮개체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용기의 시밍 방법의 효과)
덮개체의 시밍 컬부나 용기 본체의 시밍 플랜지부에 절결부가 있으면, 시밍할 때에, 시밍 롤이 진입하면 절결부 근방의 강도 부족에 의해 덮개체나 용기 본체가 이상변형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결부의 옆에 부분적으로 단소 컬부를 설치해서 시밍 컬부의 길이를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절결부를 향해 시밍 롤을 진입시키면, 시밍 하중이 저감되어 덮개체나 용기 본체의 절결부 근방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고, 절결부를 포함해서 정확한 형상의 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용기는 각이 둥글게 된 각형 용기인 바, 절결부가 코너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코너부는 시밍할 때에, 드로잉 가공으로 되기 때문에, 시밍 하중이 높고, 코너부 근방에 절결부가 있으면, 절결부 부근에 이상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그 때문에, 그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단소 컬부로 함으로써, 용기 본체나 덮개체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용기를 나타낸 것으로, 동 도 1a는 개략 사시도, 동 도 1b는 저면 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 동 도 1c는 밑 덮개를 벗겨낸 시밍 전의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용기의 시밍부의 코너부 근방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2b는 이중 시밍부의 단면도, 도 2c는 단소 시밍부의 단면도, 도 2d, 도 2e는 단소 컬부의 길이가 다른 단소 시밍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의 시밍 방법의 시밍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a는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의 다른 형상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b 내지 도 4d는 절결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종래의 용기의 시밍 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용기(1)는 금속제의 각형 캔으로서, 사각통 형상의 몸통부(2)의 상하 개구단부에 각각 윗 덮개(3) 및 밑 덮개(20)가 이중 시밍되어 접합되어 있다. 윗 덮개(3)에는 토출구를 막는 캡(6)이 자유로이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윗 덮개(3)와 밑 덮개(20)의 쌍방에 시밍부(5)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몸통부(2)와 윗 덮개(3)에 의해 용기 본체(10)가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절결부를 구비하는 측의 밑 덮개(20)와 몸통부(2) 사이의 시밍부(30)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
즉, 용기 본체(10)를 구성하는 몸통부(2)의 바닥부 측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시밍 플랜지부(11)와, 밑 덮개(20)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시밍 컬부(21)를 시밍하여 접합되는 구성으로, 시밍 컬부(21)와 시밍 플랜지부(11)의 적어도 한쪽, 이 예에서는 양쪽에 절결부(41, 42)가 설치되고, 이 절결부(41, 42)에 의해 밑 덮개(20)와 몸통부(2)와의 각부(角部)에 부분 개구부(40)가 형성되며, 부분 개구부(40)를 통해 내부와 외부가 연통(連通)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부분 개구부(40)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투명판 등에 의해 밀폐해도 좋다.
상기한 용기는, 두께가 얇은 금속재로 성형되는바, 내식성 등을 고려해서 수지를 피복한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장이나 필름 라미네이트한 블리크(blik, 양철), TFS 등의 도금 강판이나 알미늄 합금판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재의 수지에 의한 피복은, 용기 성형 전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용기 성형 후에 실행해도 좋다. 용기(1)의 재료로는, 적어도 밑 덮개(20), 윗 덮개(3)를 금속재를 포함하는 소재로 하고, 몸통부(2)에 대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소재를 이용해도 좋다.
용기 본체(10)의 몸통부(2)는 모퉁이가 둥글게 된 사각통 형상으로, 4측면이 평판이고, 4개의 코너부(10C1, 10C2, 10C3, 10C4)가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시밍 플랜지부(11)는, 몸통부(2)의 개구단부를 에워싸도록, 직선적인 측면부와 원호형상의 코너부를 따라 소정 폭만큼 튀어나와 있다.
그리고, 코너부(10C1, 10C2) 사이의 1개의 직선모양의 영역(10L1)에 절결부(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41)는 도면에서 나타낸 4각형 모양 외에, 원호 형상, V자 형상, U자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의 형상으로, 시밍 플랜지부(11)로부터 몸통부(2)의 측면부까지 소정 길이만큼 뻗어 있고, 한쪽의 코너부(10C1)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코너부(10C1) 근방이라 함은, 코너부(10C1)에 인접하는 위치로부터 코너부(10C1)의 둘레길이 정도 떨어진 위치이지만, 시밍 하중이 영향을 끼치는 거리는, 용기 본체의 형상, 치수, 금속재의 두꺼운 두께 등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근방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몸통부(2) 측면의 절결부(41)의 코너부(C)1와 반대측의 인접 영역에는, 면 강성을 높이는 리브(7)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7)는, 시밍 플랜지부(1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편, 밑 덮개(20)는, 몸통부(2)의 개구단부 형상을 모방한 모퉁이가 둥글게 된 4각형 모양의 패널부(22)와, 패널부(22)의 둘레 가장자리를 에워싸도록 튀어나온 시밍 컬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시밍 컬부(21)는, 직선적으로 뻗은 패널부(22)의 4변의 측변부와, 4개의 원호형상의 코너부(20C1, 20C2, 20C3, 20C4)를 따라, 소정 길이 만큼 튀어나와 있다(도 3a 참조). 시밍 컬부(21)의 형상은, 패널부(22)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일어서는 척 월부(23)를 매개로 단면 반원형상으로 휘어진 형상이며, 튀어나온 길이는 시밍 플랜지부(11)의 튀어나온 길이보다 길다. 그리고, 시밍 컬부(21)의 코너부(20C1, 20C2) 사이의 1개의 직선모양의 영역(20L1)에, 시밍 플랜지부(11)의 절결부(41)에 대응해서, 한쪽의 코너부(20C1) 근방에 절결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결부(42)도 도면에서 나타낸 4각형 모양 외에, 원호형상, V자 형상, U자 형상, 사다리꼴 형상 등의 형상으로, 시밍 컬부(21)의 바깥 단부로부터 패널부(22)까지 소정 길이 뻗어 있다.
이 절결부(42)도 시밍 플랜지부(11)의 절결부(41)와 동일 폭으로, 시밍 컬부(21)의 바깥 단부로부터 패널부(22)의 내부까지 뻗어 있고, 각 절결부(41, 42)의 양쪽이 합쳐져 L자 형상의 부분 개구부(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시밍 컬부(21)에는, 절결부가 배설되는 영역, 즉 절결부(42)의 양 옆의 한쪽 측으로 되는 코너부(20C1)를 포함하는 영역에, 시밍 컬부(21)의 튀어나온 폭이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small curl portion; 21B)가 설치되어 있다.
시밍부(30)는, 단소 컬부(21B) 이외의 장대 컬부(large curl portion; 21A)에 있어서 이중 시밍되는 구성이고, 그 형상은 이중 시밍에 대응하는 긴 반원형상이며, 단소 컬부(21B)에서는 4개의 반원호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단소 컬부(21B)는, 원호형상의 코너부(20C1)를 포함하고, 코너부(20C1)에 대해 절결부(42)와 반대측의 코너부간 영역인 직선모양의 영역(20L4)까지 소정 길이 뻗어 있다. 이 길이는, 코너부(20C1)의 둘레길이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 절결부(42) 측의 코너부간 영역인 직선모양 영역(20L1) 측에 대해서도, 코너부(20C1)로부터 직선모양 영역(20L1) 측으로 소정 길이 뻗고, 도시한 예에서는 절결부(42)까지 뻗어 있다.
한편, 단소 컬부(21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짧아지는 것과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시밍부(3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장대 컬부(21A)에서의 이중 시밍부(30A)와, 단소 컬부(21B)에서의 단소 시밍부(30B)로 구성된다. 이중 시밍부(30A)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 훅 반경(body hook radius; 31)과, 보디 훅 반경(31)에 원통형상으로 되접어 꺾인 보디 훅(body hook; 32)과, 보디 훅 반경(31)을 피복하는 시밍 패널(seaming panel; 33), 보디 훅 외주를 피복하는 시밍 월(seaming wall; 34)과, 보디 훅(32)의 선단을 피복하는 커버 훅 반경(cover hook radius; 35)을 매개로 보디 훅(32)과 용기 몸통부(2) 외주 사이에 끼인 커버 훅(cover hook; 36)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디 훅 반경(31)과 보디 훅(32)이 시밍 플랜지부(11)가 소성변형된 부분이고, 시밍 패널(33), 시밍 월(34), 커버 훅 반경(35) 및 커버 훅(36)이 시밍 컬부(21)의 장대 컬부(21A)가 소성변형된 부분이다.
한편, 단소 시밍부(30B)에 있어서는, 예컨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시밍부(30A)의 커버 훅(36)의 길이만큼 짧은 시밍 구조로 된다. 즉, 보디 훅 반경(31)에 원통형상으로 되접어 꺾여 성형된 보디 훅(32)과, 척 월(chuck wall) 선단의 시밍 패널(33)을 매개로 되접어 꺾인 보디 훅(32) 외주를 피복하는 시밍 월(34)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커버 훅(36)이 없는 분량만큼, 단소 컬부(21B)에서의 심 두께(seam thickness)는, 직선모양 영역에서는 이중 시밍부(30A)의 부분 보다도 두께가 얇은 것으로 되고, 코너부 영역에서는 이중 시밍부(30A)의 부분보다 두께가 얇거나 동등 이하의 두께로 된다.
단소 시밍부의 구조는, 단소 컬부의 길이에 따라, 예컨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훅(36)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정도의 길이로 해도 좋고,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밍 월(34)의 길이가 보디 훅(32)의 길이보다 짧아도 좋다.
한편, 시밍 플랜지부(11)도, 트림(trim)을 행하는 공구의 제약 상, 대폭적인 변경은 어렵지만 단소 컬부(21B)의 축소량에 맞추어 적절히 짧게 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한 용기의 시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개구단부의 시밍 플랜지부(11)에, 덮개체인 밑 덮개(20)의 시밍 컬부(21)를 겹치게 한다(도 3a, 도 3b 참조).
그리고, 척(chuck; 50)을 척 월부(23) 내주에 꼭 대어, 겹쳐진 시밍 컬부(21)와 시밍 플랜지부(11)를, 시밍 롤(60)에 의해 척(50)을 향해 압압하고, 척(50)과의 사이에서 압축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중 시밍 또는 단소 시밍을 실시한다. 시밍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수회에 걸쳐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그 때, 공지의 이중 시밍과 마찬가지로, 2회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너부(20C1)에, 시밍 컬부(21)의 튀어나온 폭이 통상의 이중 시밍을 실행하는 개소(이 실시예에서는 20C2, 20L2, 20C3, 20L3, 20C4)의 튀어나온 폭보다도 짧은 단소 컬부(21B)가 설치되어 있어, 코너부(20C1)에 대해 절결부(42)와 반대측의 코너부 사이의 직선 영역(20L4)으로부터 코너부(20C1)를 향해 시밍을 실시한다(도 3c∼도 3f 참조).
이 코너부(20C1)를 시밍할 때에는, 시밍 컬부(21) 및 시밍 플랜지부(11)는 드로잉 가공으로 되기 때문에, 시밍 하중이 높아지고, 그 근방인, 코너부(20C1)에 인접, 또는 코너부(20C1)의 둘레길이 정도 내에 이간된 개소에 절결부(41, 42)가 있으면, 용기 본체(10)나 밑 덮개(20)의 절결부(41, 42) 부근에 이상변형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 코너부(20C1)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 시밍 컬부(21)를 단소 컬부(21B)로 함으로써, 시밍 하중을 저감할 수가 있고, 용기 몸통부(2)나 밑 덮개(20)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10)의 몸통부(2)와 밑 덮개(20)의 양쪽에 절결부(41, 42)를 설치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도 4b,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 덮개(20)에만 절결부(42)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도 4d,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에만 절결부(41)를 설치한 예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용기 본체(10)의 몸통부(2)의 시밍 플랜지부(11)에만, 절결부(41)가 설치된 경우는, 밑 덮개(20)의 시밍 컬부(21)에 설치되는 단소 컬부(21B)는, 절결부(41)가 배설되는 영역, 즉 절결부(41)와 겹쳐지는 개소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각통 형상의 용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4각형 모양에 한정되지 않고, 3각형, 5각형 이상의 다각형 모양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코너부 사이의 영역이 직선모양일 필요는 없고, 코너부보다 곡률반경이 큰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더욱이, 각형 용기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 본체의 몸통부가 단면 타원형상인 용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고, 단면 원형의 용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요컨대, 시밍 롤 진입 측의 절결부 옆에 부분적으로 단소 컬부를 설치해서 시밍 컬부의 길이를 짧게 하고,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절결부를 향해 시밍 롤을 진입시킴으로써, 시밍 하중이 저감되어 덮개체나 용기 본체의 절결부 근방의 이상변형을 막을 수가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몸통부와 윗 덮개 및 밑 덮개를 별체(別體)로 한 3피스(piece)의 구성예를 나타내었으나, 몸통부와 윗 덮개를 일체 구성으로 한 2피스 구성으로 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각종 장치의 케이스 등에도 이용할 수 있고, 몸통부나 덮개체에 절결부를 가진 시밍 접합 용기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
1 용기
2 몸통부
3 윗 덮개
5 시밍부
6 캡
7 리브
10 용기 본체
10C1, 10C2, 10C3, 10C4 코너부
10L1 직선모양 영역
11 시밍 플랜지부
20 밑 덮개(덮개체)
20C1, 20C2, 20C3, 20C4 코너부
20L1, 20L2, 20L3, 20L4 직선모양 영역
21 시밍 컬부
21A 장대 컬부
21B 단소 컬부
22 패널부
23 척 월부
30 시밍부
30A 이중 시밍부
30B 단소 시밍부
31 보디 훅 반경
32 보디 훅
33 시밍 패널
34 시밍 월
35 커버 훅 반경
36 커버 훅
40 부분 개구부
41, 42 절결부
50 척
60 시밍 롤

Claims (8)

  1. 용기 본체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시밍 플랜지부와,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된 시밍 컬부를 시밍하여 접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시밍 컬부와 시밍 플랜지부의 적어도 한쪽에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상기 시밍 컬부의 튀어나온 폭이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에 의해 시밍되는 단소 시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및 덮개체는 둥글게 된 코너부를 가진 각형 형상이고, 상기 절결부는 코너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는 절결부 근방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용기 본체의 개구단부에 설치된 시밍 플랜지부에 겹쳐져 시밍되는 시밍 컬부를 구비한 용기의 덮개체에 있어서,
    상기 시밍 컬부에는, 시밍 컬부의 튀어나온 길이가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덮개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밍 컬부에는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소 컬부는 절결부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덮개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측의 시밍 플랜지부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소 컬부는 절결부와 겹쳐지는 개소의 둘레방향으로 양옆의 적어도 한쪽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덮개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둥글게 된 코너부를 가진 각형 형상이고, 절결부는 코너부 사이의 영역에서 한쪽의 코너부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는 절결부 근방의 코너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덮개체.
  7. 용기 본체의 시밍 플랜지부에 덮개체의 시밍 컬부를 겹치게 하고, 겹쳐진 시밍 컬부와 시밍 플랜지부를, 상기 시밍 컬부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이동하는 시밍 롤에 의해 시밍하는 용기의 시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밍 플랜지부와 시밍 컬부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시밍 전에 미리 절결부를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시밍 컬부에는, 상기 절결부가 배설되는 영역의 양 옆 중 적어도 한쪽 측에, 상기 시밍 컬부의 튀어나온 길이가 부분적으로 짧은 단소 컬부를 설치해 놓고,
    시밍 시에, 시밍 롤을 단소 컬부 측으로부터 절결부를 향해 시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시밍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및 덮개체는 둥글게 된 코너부를 가진 각형 형상이고, 상기 절결부는 코너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시밍 컬부의 단소 컬부는 절결부 근방의 코너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시밍 방법.
KR1020137015752A 2010-11-26 2011-10-21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KR101316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4001 2010-11-26
JP2010264001A JP5216073B2 (ja) 2010-11-26 2010-11-26 容器及び蓋体並びに容器の巻き締め方法
PCT/JP2011/074279 WO2012070342A1 (ja) 2010-11-26 2011-10-21 容器及び蓋体並びに容器の巻き締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247A true KR20130086247A (ko) 2013-07-31
KR101316396B1 KR101316396B1 (ko) 2013-10-08

Family

ID=4614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752A KR101316396B1 (ko) 2010-11-26 2011-10-21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98017B2 (ko)
EP (1) EP2644524B1 (ko)
JP (1) JP5216073B2 (ko)
KR (1) KR101316396B1 (ko)
CN (1) CN103261039B (ko)
WO (1) WO20120703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5A1 (ko) * 2015-08-05 2017-02-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2951B (zh) * 2014-02-27 2018-02-27 东洋制罐集团控股株式会社 多边形罐及其成型方法
KR102084018B1 (ko) 2018-10-18 2020-05-22 주식회사 큐비에스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93777A (fr) 1917-12-07 1919-08-21 Societe E W Bliss C Paris Perfectionnement aux fonds et couvercles des boites métalliques serties
US2455737A (en) * 1944-07-29 1948-12-07 Continentai Can Company Inc Method of attaching metal closures to containers
US4361246A (en) * 1980-12-17 1982-11-30 Alexander Nelson Container construction
JPH0763787B2 (ja) * 1986-03-14 1995-07-12 株式会社エナミ精機 角筒の巻締め加工方法
JPH09225565A (ja) 1996-02-23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缶 蓋
JP4622418B2 (ja) * 2004-09-22 2011-02-02 東洋製罐株式会社 金属容器及び金属容器の製造方法
JP4786159B2 (ja) * 2004-09-22 2011-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収納容器及びその組立方法
US7772518B2 (en) * 2005-02-22 2010-08-10 Rexam Beverage Can Company Reinforced can end—can body joints with laser seaming
JP4952876B2 (ja) * 2005-05-17 2012-06-13 東洋製罐株式会社 角形缶及びその二重巻締方法並びに二重巻締装置
JP2006320914A (ja) * 2005-05-17 2006-11-30 Toyo Seikan Kaisha Ltd 角缶のネッキ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735083B2 (ja) * 2005-07-05 2011-07-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缶の巻き締め装置および缶の巻き締め方法
JP2009092884A (ja) * 2007-10-05 2009-04-3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2955A1 (ko) * 2015-08-05 2017-02-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감마분광분석기용 완전 밀폐형 시료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4524A4 (en) 2014-09-03
EP2644524B1 (en) 2016-02-10
JP5216073B2 (ja) 2013-06-19
KR101316396B1 (ko) 2013-10-08
US8998017B2 (en) 2015-04-07
WO2012070342A1 (ja) 2012-05-31
EP2644524A1 (en) 2013-10-02
US20130240529A1 (en) 2013-09-19
JP2012111543A (ja) 2012-06-14
CN103261039A (zh) 2013-08-21
CN103261039B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8905A (en) Metal can with membrane type closure
US10967412B2 (en) End closure with coined panel radius and reform step
KR101316396B1 (ko)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CN110316447B (zh) 带盖的瓶形罐及其制造装置
US4102467A (en) Tapered plastic container with seamed metal end and method for making it
US4367996A (en) Tab opener end closure assembly method
EP2078571A1 (en) Square-shaped drawn container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CN210897341U (zh) 用于锂离子电芯的壳体、锂离子电芯以及锂离子电池
US3630408A (en) Protective bead for a container opening
JP2006026638A (ja) 角形状缶
JP6088773B2 (ja) 金属容器
CN210011994U (zh) 一种奶粉包装罐
JP4613868B2 (ja) 金属製深底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TWI651244B (zh) 罐體、罐體之製造方法及罐體之製造裝置
US3341058A (en) Container and end closure therefor
US2008004425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Necked Container
JP4622418B2 (ja) 金属容器及び金属容器の製造方法
JP2004276068A (ja) エアゾール容器用金属缶の製造方法
KR100646261B1 (ko) 금속 캔과 이의 제조 방법
JP2011050979A (ja) 金属缶胴の製造方法
JP2006320911A (ja) 缶体の製造方法及び缶体
JP5353489B2 (ja) 金属缶胴の製造方法
JP6376899B2 (ja) 金属缶
US20080190934A1 (en) Tin Lid With Guide Posts For a Container
JP2002307118A (ja) 圧潰容易缶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