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018B1 -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018B1
KR102084018B1 KR1020180124336A KR20180124336A KR102084018B1 KR 102084018 B1 KR102084018 B1 KR 102084018B1 KR 1020180124336 A KR1020180124336 A KR 1020180124336A KR 20180124336 A KR20180124336 A KR 20180124336A KR 102084018 B1 KR102084018 B1 KR 102084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ct
area
coupl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비에스
Priority to KR102018012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6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or side closures
    • B65D17/08Closures secured by folding or rolling and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5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deformation of the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65B7/289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3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permanent connections between walls formed by rolling, or by rolling and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에 구성되어 음용수를 저장하는 수탱크를 제작함에 있어, 수탱크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를 기계적 접합법에 의한 물리적인 변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밍(Seaming)방식과 커링(Curling)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시링방식을 이용하여, 시밍방식과 커링방식의 단점은 상호보완하고 장점은 향상시킴으로써, 정수기용 수탱크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과 밀폐성(기밀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용수 관련 분야, 특히 정수기 분야 및 정수기용 수탱크 분야와 더불어, 수탱크 용접 분야 및 산화방지 용접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Case coupling structure of water tank for water purifi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에 구성되어 음용수를 저장하는 수탱크를 제작함에 있어, 수탱크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를 기계적 접합법에 의한 물리적인 변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밍(Seaming)방식과 커링(Curling)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복합구조(이하에서, 시링방식 또는 시링방식에 의한 결합구조라 한다)를 이용하여, 시밍방식과 커링방식의 단점은 상호보완하고 장점은 향상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밀폐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은 크게 기계적 접합법과 야금적 접합법이 있으며, 야금적 접합법은 열원으로 아크를 사용하는 융접법(Fusion welding)을 말한다.
그리고, 기계적 접합법은 물리적인 변형을 이용하여 금속재료를 접합하는 방법으로, 시밍(Seaming)방식이나 커링(Curling)방식 등이 이에 해당한다.
기계적 접합법 중 시밍방식은 2장의 판재 단부를 굽히면서 겹쳐 눌러 결합하는 방식이고, 기계적 접합법 중 커링방식은 판 또는 용기의 가장자리에 원형단면의 테두리를 만드는 방식이다.
먼저, 커링방식의 수탱크 기밀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중 접합부가 수축팽창하면서 기밀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수탱크가 설치된 정수기 등의 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으로 인한 위험성에 대하여 안정성을 충분히 보장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야금적 접합법에 비하여 구조적 강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정수기 등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다음으로, 시밍방식은 두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접어서 누르는 방식으로 접합하므로, 커링방식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은 높으나, 상대적으로 기밀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결합부의 구조적 강도는 기계적 접합법에 비하여 야금적 접합법이 좋으나, 야금적 접합법의 경우 고온을 이용하여 접합하게 되므로 접합부에 산화가 발생하는 등으로 인해, 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가 오염되어 음용에 대한 안정성을 충분히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7676호 '캔 시밍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6396호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에 구성되어 음용수를 저장하는 수탱크를 제작함에 있어, 수탱크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를 기계적 접합법에 의한 물리적인 변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밍(Seaming)방식과 커링(Curling)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시링방식을 이용하여, 시밍방식과 커링방식의 단점은 상호보완하고 장점은 향상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과 밀폐성(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의 벽면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압증가시 벽면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벽면부의 변형에 따른 접합부의 풀어짐(기밀성 저하)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과 밀폐성(기밀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는, 정수기용 수탱크(Water tank)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의 일측면에 물리적 변형을 이용하여 커버케이스를 결합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는 밀착영역; 상기 밀착영역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수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영역; 및 상기 밀폐영역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는 마감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밀착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밀폐영역에는 면접촉되고, 상기 밀착영역에는 선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영역은, 상기 밀착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밀폐영역와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착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커버케이스의 연장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밀착영역이 커버케이스와 마감영역에 의해 양측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커버케이스의 연장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영역에는 면접촉되고 상기 밀착영역에는 선접촉되며, 상기 밀착영역이 커버케이스와 마감영역에 의해 양측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형성방법은, 본체케이스 및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다단절곡하여 결합부를 형성하는 결합부 형성단계; 상기 본체케이스 및 커버케이스의 결합부를 끼움결합하는 케이스 결합단계; 및 시밍(Seaming) 방식과 커링(Curling) 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시링 방식으로, 상기 본체케이스 및 커버케이스의 결합부를 가압하여 마감하는 결합부 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 형성단계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장자리 종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마감부, 밀폐부 및 밀착부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마감부 및 밀폐부를 각각 절곡하는 본체케이스 절곡과정; 및 상기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 종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마감부, 밀폐부 및 밀착부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마감부, 밀폐부 및 밀착부를 각각 절곡하는 커버케이스 절곡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결합단계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밀폐부와 상기 커버케이스의 밀폐부 사이에 실링을 배치하는 실링배치과정; 및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밀착부 및 마감부가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는 끼움결합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 마감단계는, 상기 커버케이스의 마감부 종단부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마감부 내측으로 밀착되도록 접는 제1차 접음과정; 및 상기 커버케이스의 마감부 종단부의 접힌 곡면부분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밀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마감부를 접는 제2차 접음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음용을 목적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에 구성되어 음용수를 저장하는 수탱크를 제작함에 있어, 수탱크를 구성하는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를 기계적 접합법에 의한 물리적인 변형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아크용접과 같은 야금적 접합법의 근본적 문제점인 산화발생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음용에 대한 안정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시밍(Seaming)방식과 커링(Curling)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시링방식을 이용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과 밀폐성(기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시밍방식과 커링방식의 단점은 상호보완하고 장점은 향상시킴으로써, 기계적 접합법에 의한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합부의 벽면부를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압증가시 벽면부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벽면부의 변형에 따른 접합부의 풀어짐(기밀성 저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정수기용 수탱크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과 밀폐성(기밀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음용수 관련 분야, 특히 정수기 분야 및 정수기용 수탱크 분야와 더불어, 수탱크 용접 분야 및 산화방지 용접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형성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 'S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단계 'S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3 내지 도 6에 의한 결합구조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수기용 수탱크(Water tank, A)는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는 정수기용 수탱크(A)를 구성하는 것으로, 본체케이스(100)의 일측면(도 1에서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면)에 커버케이스(200)를 결합하여 정수기용 수탱크(A)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계적 접합법에 의한 물리적 변형을 이용하여, 도 1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가장자리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결합구조는, 밀착영역(a1), 밀폐영역(a2) 및 마감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밀착영역(a1)은 본체케이스(100)와 커버케이스(20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는 영역으로, 본체케이스(100)의 밀착영역(a1)은 본체케이스(100)의 측면에서 그대로 연장된 부분이며, 커버케이스(200)의 밀착영역(a1)은 본체케이스(10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밀폐영역(a2)은 밀착영역(a1)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수탱크(A)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영역으로, 본체케이스(100)의 밀폐영역(a2)과 커버케이스(200)의 밀폐영역(a2)이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영역(a2)의 내부공간에는 실링(Sealing)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케이스(100)의 밀폐영역(a2)과 실링, 그리고 커버케이스(200)의 밀폐영역(a2)은, 도 1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평면상에서 나란하게 배치되어 면접촉될 있다.
한편, 실링이 밀폐영역(a2)의 공간부를 모두 채우는 형태로 형성될 경우,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열변형이나 외부진동 등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실링에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밀폐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밀폐영역(a2)의 양측 곡면부에는 실링을 형성(충진)하지 않고, 열변형이나 외부진동 등에 의한 실링의 변형발생시 양측 공간이 완충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밀폐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마감영역(a3)은 밀폐영역(a2)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본체케이스(100)와 커버케이스(20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는 영역이다.
한편, 도 1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착영역(a1), 밀폐영역(a2) 및 마감영역(a3)은 전체적으로 커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영역(a3)은 시밍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정수기용 수탱크(A)는 본체케이스(100)와 커버케이스(200)의 결합부가, 시밍과 커링의 복합구조(이하 '시링'이라 한다)로 형성됨으로써, 시밍의 장점인 구조적 안정성과 커링의 장점인 밀폐성(기밀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감영역(a3)은 밀착영역(a1)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폐영역(a2)은 밀착영역(a1)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영역(a3)은 밀폐영역(a2)와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밀착영역(a1)을 지지(도 2의 (a)에서 박스형 화살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감영역(a3)이 밀착영역(a1)을 지지하게 되면, 본체케이스(100)의 측면이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수탱크(A)의 내압(도 2의 (a)에서 실선화살표)이 상승하더라도, 밀착영역(a1)의 본체케이스(100)의 측면이 외측방향(도 2의 (a)에서 좌측방향)으로 밀리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감영역(a3)은 커버케이스(100)의 연장면상(VP; Virtual Plane)에 배치되어, 본체케이스(100)의 밀착영역(a1)이 커버케이스(200)의 밀착영역(a1)과 마감영역(a3)에 의해 양측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감영역(a3)은 도 2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밀폐영역(a2)에는 면접촉되고, 밀착영역(a1)에는 선접촉되어 커버케이스(100)의 연장면상(VP)에 배치되어 밀착영역(a1)의 양측에서 밀착영역(a1)을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케이스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형성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형성방법은 결합부 형성단계(S100), 케이스 결합단계(S200) 및 결합부 마감단계(S300)를 포함한다.
결합부 형성단계(S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밀착영역(a1), 밀폐영역(a2) 및 마감영역(a3)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가장자리를 다단절곡하여 결합부를 형성한다.
케이스 결합단계(S200)는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결합부를 끼움결합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결합부 사이에 실링을 구성할 수 있다.
결합부 마감단계(S300)는 시밍방식과 커링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시링 방식으로, 본체케이스(100) 및 커버케이스(200)의 결합부를 가압하여 마감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200)와 마감영역(a3)이 가상의 평면(VP)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각 단계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계 'S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6은 도 3의 단계 'S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도 3 내지 도 6에 의한 결합구조 형성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 형성단계(S100)는 본체케이스 절곡과정(S110) 및 커버케이스 절곡과정(S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케이스 절곡과정(S11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제1 결합부(11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본체케이스(100)의 가장자리 종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1 마감부(113), 제1 밀폐부(112) 및 제1 밀착부(111)를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 절곡과정(S110)은 순차적으로 설정된 제1 마감부(113), 제1 밀폐부(112) 및 제1 밀착부(111) 중 제1 마감부(113) 및 제1 밀폐부(112)를 각각 절곡하여 제1 결합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케이스 절곡과정(S120)은,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200)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제2 결합부(21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커버케이스(200)의 가장자리 종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제1 마감부(213), 제1 밀폐부(212) 및 제1 밀착부(211)를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케이스 절곡과정(S120)은 순차적으로 설정된 제1 마감부(213), 제1 밀폐부(212) 및 제1 밀착부(211)를 각각 절곡하여 제2 결합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 결합단계(S200)는 실링배치과정(S210) 및 끼움결합과정(S22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배치과정(S210)은,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제1 밀폐부(112)와, 커버케이스(200)의 제1 밀폐부(212) 사이에 실링(Sealing, 300)을 배치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제1 밀폐부(112) 및 커버케이스(200)의 제1 밀폐부(212) 중 양측 곡면부를 제외한 중앙의 평면부에 밀착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끼움결합과정(S220)은 본체케이스(100)의 제1 결합부(110)와 커버케이스(200)의 제2 결합부(210)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으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0)의 제1 밀착부(111) 및 제1 마감부(113)와, 커버케이스(200)의 제2 밀착부(211) 및 제2 마감부(213)가 각각 밀착되도록, 제1 결합부(110)와 제2 결합부(21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 마감단계(S300)는 제1차 접음과정(S310) 및 제2차 접음과정(S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 접음과정(S310)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200)의 제2 마감부(213) 종단부가, 본체케이스(100)의 제1 마감부(113) 내측으로 밀착되도록 접는 과정으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커버케이스(200)의 제2 마감부(213)는 제2 밀폐부(212)에서 연장형성된 연장부(213a), 본체케이스(100)의 제1 마감부(113) 내측으로 밀착되는 접힘부(213b), 연장부(213a)와 접힘부(213b)를 연결하는 곡면부(213c)로 구분될 수 있다.
제2차 접음과정(S320)은 본 발명의 정수기용 수탱크(A)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형성하는 과정으로, 본체케이스(100)의 제1 마감부(113)와 커버케이스(200)의 제2 마감부(213)를 함께 접음으로써,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케이스(200)의 제2 마감부(213) 종단부의 접힌 곡면부분인 곡면부(213c)가, 본체케이스(100)의 제1 밀착부(111)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차 접음과정(S320)에 의해 형성된 결합구조는, 도 11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도 2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정수기용 수탱크
100 : 본체케이스
110 : 제1 결합부 111 : 제1 밀착부
112 : 제1 밀폐부 113 : 제1 마감부
113a : 연장부 113b : 접힘부
113c : 곡면부
200 : 커버케이스
210 : 제2 결합부 211 : 제2 밀착부
212 : 제2 밀폐부 213 : 제2 마감부
300 : 실링(Sealing)

Claims (10)

  1.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용 수탱크는,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는 밀착영역;
    상기 밀착영역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수탱크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영역; 및
    상기 밀폐영역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가장자리가 서로 밀착되는 마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밀착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폐영역에는 면접촉되고, 상기 밀착영역에는 선접촉되어 지지하며,
    상기 밀폐영역은,
    상기 밀착영역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밀폐영역와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착영역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커버케이스의 연장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밀착영역이 커버케이스와 마감영역에 의해 양측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마감영역은,
    상기 커버케이스의 연장면상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영역에는 면접촉되고 상기 밀착영역에는 선접촉되며, 상기 밀착영역이 커버케이스와 마감영역에 의해 양측방향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며,
    본체케이스 및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다단절곡하여 결합부를 형성하는 결합부 형성단계;
    상기 결합부 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케이스 및 커버케이스의 결합부를 끼움결합하는 케이스 결합단계; 및
    상기 케이스 결합단계 이후에 시밍(Seaming) 방식과 커링(Curling) 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시링 방식으로, 상기 본체케이스 및 커버케이스의 결합부를 가압하여 마감하는 결합부 마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 형성단계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가장자리 종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마감부, 밀폐부 및 밀착부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마감부 및 밀폐부를 각각 절곡하는 본체케이스 절곡과정; 및
    상기 커버케이스의 가장자리 종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마감부, 밀폐부 및 밀착부를 순차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마감부, 밀폐부 및 밀착부를 각각 절곡하는 커버케이스 절곡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결합단계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밀폐부와 상기 커버케이스의 밀폐부 사이에 실링을 배치하는 실링배치과정; 및
    상기 실링배치과정 이후에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밀착부 및 마감부가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는 끼움결합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 마감단계는,
    상기 커버케이스의 마감부 종단부가, 상기 본체케이스의 마감부 내측으로 밀착되도록 접는 제1차 접음과정; 및
    상기 제1차 접음과정 이후에 상기 커버케이스의 마감부 종단부의 접힌 곡면부분이 상기 본체케이스의 밀착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본체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마감부를 접는 제2차 접음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결합과정은,
    상기 본체케이스의 제1 결합부와 커버케이스의 제2 결합부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이며, 본체케이스의 제1 밀착부 및 제1 마감부와, 커버케이스의 제2 밀착부(211) 및 제2 마감부가 각각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결합하며,
    상기 제1차 접음과정을 통하여, 커버케이스의 제2 마감부는 제2 밀폐부에서 연장형성된 연장부, 본체케이스의 제1 마감부 내측으로 밀착되는 접힘부 및 연장부와 접힘부를 연결하는 곡면부를 형성하며,
    상기 곡면부가 밀착영역에 선접촉되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형성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24336A 2018-10-18 2018-10-18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102084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36A KR102084018B1 (ko) 2018-10-18 2018-10-18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36A KR102084018B1 (ko) 2018-10-18 2018-10-18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018B1 true KR102084018B1 (ko) 2020-05-22

Family

ID=70913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336A KR102084018B1 (ko) 2018-10-18 2018-10-18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8436A (zh) * 2020-09-18 2021-01-01 东莞市铁生辉制罐有限公司 马口铁罐、马口铁封口结构及其加工工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467A (en) * 1987-03-04 1989-08-08 Buedenbender Bernd Container of sheet metal
US5147058A (en) * 1989-10-27 1992-09-15 Sollac (Societe Anonyme) Easily opened metal lid for a container
KR20080012872A (ko) * 2005-05-17 2008-02-12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3조각 사각형 캔 및 그 제조방법
KR101316396B1 (ko) 2010-11-26 2013-10-08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KR20180107676A (ko) 2017-03-22 2018-10-02 김호근 캔 시밍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4467A (en) * 1987-03-04 1989-08-08 Buedenbender Bernd Container of sheet metal
US5147058A (en) * 1989-10-27 1992-09-15 Sollac (Societe Anonyme) Easily opened metal lid for a container
KR20080012872A (ko) * 2005-05-17 2008-02-12 토요세이깐 가부시키가이샤 3조각 사각형 캔 및 그 제조방법
KR101316396B1 (ko) 2010-11-26 2013-10-08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용기 및 덮개체와 용기의 시밍 방법
KR20180107676A (ko) 2017-03-22 2018-10-02 김호근 캔 시밍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8436A (zh) * 2020-09-18 2021-01-01 东莞市铁生辉制罐有限公司 马口铁罐、马口铁封口结构及其加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5786B2 (en) Transport container
WO2012099197A1 (ja) 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包装袋
US3380608A (en) Molded integral cap and container
KR102084018B1 (ko) 정수기용 수탱크의 케이스 결합구조 및 그 형성방법
JPH0575628B2 (ko)
CN106043963A (zh) 微波炉用容器
EP2671820B1 (en) Vacuum insul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6249056B1 (ja) 包装用重袋および重袋用筒体
JP2015196520A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US2124004A (en) Side seam for metal can bodies
JP2007297073A (ja) 包装袋
US1713675A (en) Process of making containers
JP4676186B2 (ja) 紙製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WO2012096334A1 (ja) 浮き体
JP5377000B2 (ja) 容器
JP6808309B2 (ja) 包装袋
JP2013193746A (ja) 液漏れ防止容器
JP6657930B2 (ja) フレキシブル包装体
US20230220946A1 (en) Thermal insulation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TWI535631B (zh) 塞子及具有其之容器
JP5174262B1 (ja) 包装箱
US1230459A (en) Container.
JP7400185B2 (ja) チューブ容器
US852458A (en) Box.
JP6730652B2 (ja) 電子レンジ用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