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257A -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257A
KR20130085257A KR1020120006291A KR20120006291A KR20130085257A KR 20130085257 A KR20130085257 A KR 20130085257A KR 1020120006291 A KR1020120006291 A KR 1020120006291A KR 20120006291 A KR20120006291 A KR 20120006291A KR 20130085257 A KR20130085257 A KR 20130085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load
range
compressors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0522B1 (ko
Inventor
김경록
김종문
서형준
임병국
장차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522B1/ko
Priority to US13/739,582 priority patent/US9464836B2/en
Priority to EP13151652.8A priority patent/EP2618078B1/en
Priority to CN201310019932.6A priority patent/CN103216963B/zh
Publication of KR20130085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2Compressor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25B2400/0751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the compressor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6Problems to be solved characterised by the startup of the refrigeration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5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 F25B2600/0253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speed with variab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6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 F25B2600/0261Compressor control by controlling unloaders external to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1Discharge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3Pressures of the compressor
    • F25B2700/1933Suction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6Temperatures of fresh outdoor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하더라도 압축기들의 기동 안정성이 확보되는 기동부하구간에서는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할 수 있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STARTING CONTROL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압축기를 가진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 일예로,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는 여름철 냉방뿐만 아니라 겨울철의 난방도 겸할 수 있도록 냉매 사이클에서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치이다.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로 흡입되도록 4방향밸브를 조절하여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응축이 일어나도록 하고, 응축된 냉매는 실내측 팽창밸브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에서 증발하면서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실내 열교환기를 지난 냉매는 4방향밸브를 지나 다시 압축기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한, 난방운전시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로 흡입되도록 4방향밸브를 조절하여 실내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응축이 일어나면서 실내공기에 열을 공급하여 난방작용이 수행된다. 실내 열교환기를 지난 냉매는 실외측 팽창밸브에서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와 4방향밸브를 지나 다시 압축기로 흡입된다.
이러한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는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운전용량을 가진 두 대의 압축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각 압축기는 냉방능력의 비가 6:4정도로 운전이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운전 용량이 적은 제1 압축기를 구동하는 1단 운전의 경우, 30~50%정도의 냉방능력을 가지며, 용량이 큰 제2 압축기를 구동하는 2단 운전의 경우, 50~70%정도의 냉방능력을 가진다. 또한, 제1 압축기와 제2 압축기를 모두 구동하는 3단 운전의 경우, 100%의 냉방능력으로 운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전 용량이 적은 제1 압축기에는 운전 용량의 가변이 가능한 가변용량 압축기가 사용되고, 운전 용량이 큰 제2 압축기에는 정속형 압축기가 사용된다.
기존에는 두 개의 압축기를 모두 구동하는 3단 운전의 경우, 공기조화기의 초기 기동시 기동부하 감소를 목적으로 제1 압축기만 먼저 기동하고 이후 제2 압축기를 기동한다. 참고로, 압축기의 기동부하는, 냉매가 오일에 많이 섞여 있거나 고압측과 저압측 간에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정도가 심하거나, 압축기에 윤활유가 충분히 급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축기가 기동할 경우 우려가 있는 전원 투입이 장기간 이루어지지 않을수록 커진다.
이러한 경우, 두 번째 압축기를 기동하는 경우 먼저 기동하여 운전 중인 제1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줄여서 나중에 기동하는 제2 압축기의 기동부하를 감소시킨다.
나중에 기동하는 제2 압축기의 기동부하를 감소시켜 주기 위하여 먼저 기동하여 운전하는 제1 압축기의 용량을 감소시키고, 나중에 기동하는 제2 압축기를 기동하고 운전 용량을 함께 상승하는 과정에서 전체 시스템의 냉난방 능력은 감소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패턴을 보인다.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냉난방 속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냉난방 속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두 대의 압축기를 동시에 기동하는 경우, 기동 부하가 증가하여 기동 실패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압축기들의 기동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압축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은 복수의 압축기를 가진 공기조화기의 그 기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하더라도 압축기들의 기동 안정성이 확보되는 기동부하구간에서는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할 수 있어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압축기의 로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압축기의 언 로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난방운전별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난방운전별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최소가 되는 온도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최소가 되는 압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최소가 되는 압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난방운전시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를 동일한 시점에 동시 기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이용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4은 도 13에서 운전이력과 운전정지시간을 더 고려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이용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운전이력과 운전정지시간을 더 고려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압축기(10,11), 4방향밸브(12), 실외 열교환기(13), 실외팬(14), 전동팽창밸브(16), 실내 열교환기(17), 실내팬(18), 어큐뮬레이터(18)을 포함한다.
복수의 압축기(10,11)는 모두 정속형 압축기이거나, 정속형 압축기와 용량 가변이 가능한 가변용량 압축기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압축기(10,11)는 모두 가변 용량 압축기일 수 있다. 가변용량 압축기는 회전수 가변방식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 PWM)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PWM 방식의 가변용량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되는 로딩 시간(Loading time)과 냉매 압축이 중지되는 언 로딩 시간(Unloading time)을 결정하는 듀티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의 용량이 가변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적용된 압축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압축기의 로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압축기의 언 로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기(10)는 흡입구(31)와 토출구(32)가 마련된 케이싱(30)과, 이 케이싱(30) 내부에 설치된 모터(33)와, 이 모터(33)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선회스크롤(34)과, 선회스크롤(34)과의 사이에 압축실(35)을 형성하는 고정스크롤(36)을 포함한다.
케이싱(30)에는 고정스크롤(36)의 상측과 흡입구(31)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37)이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관(37)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형태의 PWM(Pulse Width Modulated)밸브(10a)가 설치된다.
도 2는 PWM밸브(10a)가 오프되어 바이패스관(37)을 막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제1 압축기(10)는 압축된 냉매를 토출한다. 이러한 상태를 로딩이라 하고 이때 제1 압축기(10)는 100%의 용량으로 운전한다. PWM밸브(10a)가 오프되어 제1 압축기(10)가 냉매를 압축하는 것을 제1 압축기(10)의 로딩운전이라 한다.
도 3은 PWM밸브(10a)가 온 되어 바이패스관(37)을 열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냉매는 제1 압축기(10)에서 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를 언 로딩이라 하고 제1 압축기(10)는 0%의 용량으로 운전하게 된다. PWM밸브(10a)가 온 되어 제1 압축기(10)가 냉매 압축을 중지하는 것을 제1 압축기(10)의 언 로딩운전이라 한다.
제1 압축기(10)가 로딩운전하든 언 로딩운전하든 제1 압축기(10)에는 전원이 공급되고 모터(33)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한다. 제1 압축기(1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 모터(33)는 회전하지 않고 제1 압축기(10)의 운전은 정지된다.
따라서, 제1 압축기(10)는, 냉매가 토출하는 로딩 시간과 냉매 토출이 중지되는 언로딩 시간을 결정하는 듀티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PWM밸브(10a)에 의해 운전용량이 가변된다. 이때, 제1 압축기(10)는 예를 들면 한 주기를 20초라고 할 때, 13초 동안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일을 하고 7초 동안은 압축일을 하지 않는다. 압축일을 하는 동안은 소비전력이 소모되고 냉매가 압축되지만, 압축일을 하지 않는 동안에는 소비전력이 대폭 감소되고 냉매가 압축되지 않는다. 이런 방식으로 가변용량 압축기(10)가 압축일을 하는 로딩 시간과 압축일을 하지 않는 언 로딩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가변용량 압축기(10)의 운전 용량을 가변시킨다.
한편, 제2 압축기(11)도 제1 압축기(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살펴보면, 4방향밸브(12)는 압축기(10,11)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흐름을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절환시킨다.
실외 열교환기(13)는 냉매가 통과하면서 실외공기와 열 교환한다. 실외 열교환기(13)는 냉방운전시 응축기로 기능하여 냉매가 방열을 통해 응축되도록 하고, 난방운전시 증발기로 기능하여 냉매가 흡열을 통해 증발되도록 한다.
실외팬(14)은 실외공기와 냉매의 열 교환을 위해 실외공기를 실외 열교환기(13)에 송풍한다.
전동팽창밸브(15)는 실내 열교환기(16)로 유입되는 냉매를 감압한다.
실내 열교환기(16)는 냉매가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 교환한다. 실내 열교환기(16)는 냉방운전시 증발기로 기능하여 냉매가 흡열을 통해 증발되도록 하고, 난방운전시 응축기로 기능하여 냉매가 방열을 통해 응축되도록 한다.
실내팬(17)은 실내공기와 냉매의 열 교환을 위해 실내공기를 실내 열교환기(16)에 송풍한다.
어큐뮬레이터(18)는 압축기(10,11)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에서 기상냉매와 액상냉매를 분리한다.
저압감지부(19)는 압축기(10,11)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다. 즉, 저압센서(26)는 저압관 상에서 압축기(10,11)의 유입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저압관 내에 흐르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에 제공한다.
고압감지부(20)는 압축기(10,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다. 즉, 고압감지부(20)는 고압관 상에서 압축기(10,11)의 토출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고압관 내를 흐르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되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부가 4방향밸브(12)를 제어하여 냉매 흐름을 바꾸어 난방운전 또는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냉방운전시 냉매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즉, 압축기(10,1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응축된다. 실외 열교환기(13)를 지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15)에서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증발하면서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실내 열교환기(16)를 지난 냉매는 4방향밸브(12)와 어큐뮬레이터(18)를 지나 다시 압축기(10,11)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한편, 난방운전시 냉매는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즉, 압축기(10,11)로부터 토출되는 고온 고압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16)에서 응축되면서 실내 공기에 열을 방출하여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실내 열교환기(16)를 지난 냉매는 전동팽창밸브(15)에서 감압된 후 실외 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실외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된다. 실외 열교환기(13)를 지난 냉매는 4방향밸브(12)와 어큐뮬레이터(18)를 지나 다시 압축기(10,11)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압축기를 모두 구동해야 할 경우, 기동부하를 감소시킬 목적으로 제1 압축기만 먼저 기동하고 먼저 기동하여 운전하는 제1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줄인 상태에서 제2 압축기를 기동하는 방식으로 두 개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킨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감소하는 구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체 시스템의 냉난방 능력은 감소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패턴을 보인다.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는 냉난방 속도가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냉난방 속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두 대의 압축기를 동시에 기동하는 경우, 기동 부하가 증가하여 기동 실패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미리 설정된 범위인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하더라도 압축기들의 기동 안정성 및 냉난방 성능의 저하가 없는 기동부하상태인 경우에는 복수의 압축기를 동일한 시점에 동시 기동시키고, 그렇지 않은 기동부하상태인 경우에는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제어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제어부(60)에는 저압감지부(19), 고압감지부(20), 실내온도감지부(21), 실외온도감지부(22), 입력부(40)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압감지부(19)는 압축기(10,11)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다.
고압감지부(20)는 압축기(10,11)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감지한다.
실내온도감지부(21)는 실내온도를 감지한다.
실외온도감지부(22)는 실외온도를 감지한다.
입력부(40)는 사용자로부터 운전모드, 설정 온도 및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부(60)에는 제1 압축기(10), 제2 압축기(11), 4방향밸브(12), 전동팽창밸브(15), 판단부(60), 저장부(70)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저장부(70)는 공기조화기의 운전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저장한다.
판단부(6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판단부(60)는 냉난방운전별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각각의 기준온도범위이내인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냉난방운전별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각각의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판단부(60)는 냉난방운전별로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이 각각의 기준압력범위이내인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냉난방운전별로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이 각각의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60)는 냉난방운전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 냉난방운전별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 대신에 시스템 전원 투입 후 운전 이력과 시스템 운전 후 정지 시간을 더 고려하여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지 또는 큰지를 판단한다.
제어부(50)는 판단부(60)의 판단결과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두 개의 압축기(10,11)를 동일한 시점에 동시 기동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기들(10,11)의 기동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압축기들(10,11)을 동시 기동시킬 수 있다. 더불어 압축기들(10,11)을 동시 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축기들(10,11)의 순차 기동에 대비하여 운전용량을 줄이는 구간을 없앨 수 있어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판단부(60)의 판단결과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기존방식과 같이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킨다. 이때, 두 대의 압축기(10,11)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예를 들면 제1 압축기(10))를 먼저 기동시킨 후 먼저 기동된 압축기(10)의 운전용량을 기준용량보다 낮춘 상태에서 다음 압축기(11)를 기동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난방운전별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난방운전별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최소가 되는 온도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운전의 온도영역은 실내온도가 15도 내지 35도이고, 실외온도가 15도 내지 35도인 냉방 온도영역(A)이다.
난방운전의 온도영역은 실내온도가 10도 내지 27도이고 실외온도가 -15도 내지 15도인 난방 온도영역(B)이다.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위해 기동할 경우,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냉방 온도영역(A)에 포함되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냉방 온도영역(A)에 포함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기준부하는 두 개의 압축기를 동시한 시점에 동시 기동하더라도 각 압축기의 기동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부하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두 개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하더라도 각 압축기의 기동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두 개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되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동기 기동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정상적인 냉방운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위해 기동할 경우,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난방 온도영역(B)에 포함되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실내온도와 실외온도가 난방 온도영역(B)에 포함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냉방운전의 온도영역이 실내온도가 20도 내지 30도이고 실외온도가 20도 내지 43도인 냉방 온도영역(A′)이거나, 난방운전의 온도영역이 실내온도가 15도 내지 25도이고 실외온도가 -5도 내지 10도인 온도영역(B′)인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 부하가 최소가 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제1 압축기(10) 및 제2 압축기(11)의 동시 기동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최소가 되는 압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운전의 압력영역은 저압측 압력이 5 [kg/cm2G] 내지 20 [kg/cm2G] 이고, 고압측 압력이 15 [kg/cm2G] 내지 30 [kg/cm2G] 인 냉방 압력영역(C)이다. 이때, 고저압차 5 [kg/cm2G] 이하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위해 기동할 경우,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이 냉방 압력영역(C)에 포함되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이 냉방 압력영역(C)에 포함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기준부하는 두 개의 압축기를 동시한 시점에 동시 기동하더라도 각 압축기의 기동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부하량을 의미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냉방운전의 압력영역이 저압측 압력이 8 [kg/cm2G] 내지 20 [kg/cm2G] 이고, 고압측 압력이 10 [kg/cm2G] 내지 25 [kg/cm2G] 인 냉방 압력영역(C′)(이때, 고저압차 5 [kg/cm2G] 이하일 수 있다)인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 부하가 최소가 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제1 압축기(10) 및 제2 압축기(11)의 동시 기동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최소가 되는 압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운전의 압력영역은 저압측 압력이 2 [kg/cm2G] 내지 20 [kg/cm2G] 이고, 고압측 압력이 15 [kg/cm2G] 내지 25 [kg/cm2G] 인 난방 압력영역(D)이다. 이때, 고저압차 5 [kg/cm2G] 이하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위해 기동할 경우,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이 난방 압력영역(D)에 포함되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이 난방 압력영역(D)에 포함되지 않으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는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기준부하는 두 개의 압축기를 동시한 시점에 동시 기동하더라도 각 압축기의 기동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부하량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난방운전의 압력영역이 저압측 압력이 5 [kg/cm2G] 내지 15 [kg/cm2G] 이고, 고압측 압력이 15 [kg/cm2G] 내지 25 [kg/cm2G] 인 난방 압력영역(D′)(이때, 고저압차 5 [kg/cm2G] 이하일 수 있다)인 경우, 공기조화기의 기동 부하가 최소가 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제1 압축기(10) 및 제2 압축기(11)의 동시 기동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냉난방운전시 제1 압축기 및 제2 압축기를 동일한 시점에 동시 기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제1 압축기(10) 및 제2 압축기(11)를 동일한 시점에 기동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냉난방운전시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100). 이때, 제어부(50)는 공조 부하에 따라 운전하여야 할 운전 용량을 계산하고, 이 운전 용량 계산에 따라 복수의 압축기를 기동할지 1개의 압축기만을 기동할지를 판단한다.
만약, 작동모드 1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지를 판단한다(102). 만약, 작동모드 102의 판단결과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제어부(50)는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킨다(104).
한편, 작동모드 102의 판단결과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크면, 제어부(50)는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 기동시킨다(106). 이때,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기동시킨 후 먼저 기동된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기준 용량보다 낮춘 상태에서 다음 압축기를 기동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1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면,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만을 단독 기동시킨다(108).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이용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3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200). 만약, 작동모드 2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부(20)를 통해 실내온도를 감지한다(202).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204). 이 제1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35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0도 내지 27도일 수 있다. 특히 이 제1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20도 내지 30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25도일 수 있다.
만약, 작동모드 204의 판단결과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실외온도감지부(21)를 통해 실외온도를 감지한다(206).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208). 이 제2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15도일 수 있다. 특히 제2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20도 내지 43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5도 내지 10도일 수 있다.
만약, 작동모드 208의 판단결과 감지된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킨다(210).
한편, 작동모드 204의 판단결과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거나 작동모드 208의 판단결과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 기동시킨다(212). 이때,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기동시킨 후 먼저 기동된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기준 용량보다 낮춘 상태에서 다음 압축기를 기동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2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면,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만을 단독 기동시킨다(214).
도 14은 도 13에서 운전이력과 운전정지시간을 더 고려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4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300).
만약, 작동모드 3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면, 제어부(50)는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302). 이는 시스템의 최초 설치 또는 장시간 전원 투입 하지 않은 경우 초기 기동시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문제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만약, 작동모드 302의 판단결과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있으면 시스템 운전 후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이하인지를 판단한다(304). 이는 시스템 운전 후 장시간 운전 정지된 경우, 초기 기동 부하 증가 및 기동 신뢰성 문제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이때 운전정지시간에 대한 기준은 12시간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작동모드 304의 판단결과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이하이면,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부(20)를 통해 실내온도를 감지한다(306).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308).
만약, 작동모드 308의 판단결과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실외온도감지부(21)를 통해 실외온도를 감지한다(310).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312).
만약, 작동모드 312의 판단결과 감지된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킨다(314).
한편, 작동모드 302의 판단결과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없거나, 작동모드 304의 판단결과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이상이거나, 작동모드 308의 판단결과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거나, 혹은 작동모드 312의 판단결과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 기동시킨다(316).
한편, 작동모드 3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면,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만을 단독 기동시킨다(318).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고압측 압력과 저압측 압력에 근거한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를 이용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5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400). 만약, 작동모드 4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50)는 저압감지부(19)를 통해 저압측 압력을 감지한다(402).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404). 이 제1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5kg/cm2G 내지 20kg/cm2G 이내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2kg/cm2G 내지 20kg/cm2G일 수 있다. 특히 제1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8kg/cm2G 내지 20kg/cm2G 이내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5kg/cm2G 내지 15kg/cm2G일 수 있다.
만약, 작동모드 404의 판단결과 감지된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고압감지부(20)를 통해 고압측 압력을 감지한다(406).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408). 이 제2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0kg/cm2G 내지 25kg/cm2G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0kg/cm2G 내지 25kg/cm2G일 수 있다. 특히, 제2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kg/cm2G 내지 30kg/cm2G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kg/cm2G 내지 25kg/cm2G일 수 있다.
만약, 작동모드 408의 판단결과 감지된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킨다(410).
한편, 작동모드 404의 판단결과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거나 작동모드 408의 판단결과 저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 기동시킨다(412). 이때,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기동시킨 후 먼저 기동된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기준 용량보다 낮춘 상태에서 다음 압축기를 기동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4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면,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만을 단독 기동시킨다(414).
도 16은 도 15에서 운전이력과 운전정지시간을 더 고려하여 복수의 압축기의 기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16을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50)는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500).
만약, 작동모드 5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면, 제어부(50)는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502). 이는 시스템의 최초 설치 또는 장시간 전원 투입 하지 않은 경우 초기 기동시 발생할 수 있는 신뢰성 문제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만약, 작동모드 502의 판단결과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있으면 시스템 운전 후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이하인지를 판단한다(504). 이는 시스템 운전 후 장시간 운전 정지된 경우, 초기 기동 부하 증가 및 기동 신뢰성 문제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이때 운전정지시간에 대한 기준은 12시간 이하일 수 있다.
만약, 작동모드 504의 판단결과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이하이면, 제어부(50)는 저압감지부(19)를 통해 저압측 압력을 감지한다(506).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508).
만약, 작동모드 506의 판단결과 감지된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고압감지부(20)를 통해 고압측 압력을 감지한다(510).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된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이내인지를 판단한다(512).
만약, 작동모드 512의 판단결과 감지된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이내이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킨다(514).
한편, 작동모드 502의 판단결과 전원투입후 운전이력이 없거나, 작동모드 504의 판단결과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이상이거나, 작동모드 508의 판단결과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거나, 혹은 작동모드 512의 판단결과 저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50)는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여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 기동시킨다(516). 이때,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를 먼저 기동시킨 후 먼저 기동된 압축기의 운전 용량을 기준 용량보다 낮춘 상태에서 다음 압축기를 기동시킨다.
한편, 작동모드 500의 판단결과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면, 복수의 압축기 중 어느 하나의 압축기만을 단독 기동시킨다(518).
10 : 제1 압축기 11 : 제2 압축기
19 : 입력부 20 : 실내온도감지부
21 : 실외온도감지부 22 : 저압감지부
40 : 고압감지부 50 : 제어부
60 : 판단부 70 : 저장부

Claims (20)

  1. 복수의 압축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부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실내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 이내이고 상기 실외온도감지부를 통해 상기 감지된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 이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35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0도 내지 27도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15도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20도 내지 30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25도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20도 내지 43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5도 내지 10도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부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실내온도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저압측 압력을 감지하는 저압감지부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고압측 압력을 감지하는 고압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 이내이고 상기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 이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5kg/cm2G 내지 20kg/cm2G 이내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2kg/cm2G 내지 20kg/cm2G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kg/cm2G 내지 30kg/cm2G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kg/cm2G 내지 25kg/cm2G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8kg/cm2G 내지 20kg/cm2G 이내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5kg/cm2G 내지 15kg/cm2G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0kg/cm2G 내지 25kg/cm2G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0kg/cm2G 내지 25kg/cm2G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저압측 압력을 감지하는 저압감지부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고압측 압력을 감지하는 고압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저압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 이내이고 상기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있고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미만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없거나 상기 운전정지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이상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복수의 압축기를 가진 공기조화기의 그 기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축기의 구동이 필요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기준부하보다 적은지를 판단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으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동시 기동시키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압축기를 순차적으로 기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하 판단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 이내이고 상기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 이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35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0도 내지 27도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45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15도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20도 내지 30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도 내지 25도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온도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20도 내지 43도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5도 내지 10도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하 판단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실내온도가 제1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실외온도가 제2 기준온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부하 판단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이내이고 상기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이내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5kg/cm2G 내지 20kg/cm2G 이내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2kg/cm2G 내지 20kg/cm2G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5kg/cm2G 내지 30kg/cm2G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5kg/cm2G 내지 25kg/cm2G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8kg/cm2G 내지 20kg/cm2G 이내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5kg/cm2G 내지 15kg/cm2G인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압력범위는 냉방운전 기준으로 10kg/cm2G 내지 25kg/cm2G이고 난방운전 기준으로 10kg/cm2G 내지 25kg/cm2G인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저압측 압력과 고압측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저압측 압력이 제1 기준압력범위을 벗어나거나 상기 고압측 압력이 제2 기준압력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있고 운전정지시간이 기준시간미만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전원투입 후 운전이력이 없거나 상기 운전정지시간이 상기 기준시간이상이면 상기 공기조화기의 기동부하가 상기 기준부하보다 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기동제어방법.
KR1020120006291A 2012-01-19 2012-01-19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KR101970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91A KR101970522B1 (ko) 2012-01-19 2012-01-19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US13/739,582 US9464836B2 (en) 2012-01-19 2013-01-11 Air conditioner and starting control method thereof
EP13151652.8A EP2618078B1 (en) 2012-01-19 2013-01-17 Air Conditioner and Starting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019932.6A CN103216963B (zh) 2012-01-19 2013-01-18 空调及其启动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91A KR101970522B1 (ko) 2012-01-19 2012-01-19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57A true KR20130085257A (ko) 2013-07-29
KR101970522B1 KR101970522B1 (ko) 2019-04-19

Family

ID=4752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291A KR101970522B1 (ko) 2012-01-19 2012-01-19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64836B2 (ko)
EP (1) EP2618078B1 (ko)
KR (1) KR101970522B1 (ko)
CN (1) CN1032169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2838B (zh) * 2013-07-30 2016-06-01 广东西屋康达空调有限公司 变频数码压缩机
CN103423843B (zh) * 2013-08-13 2015-09-09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风管式室内机及控制风管式室内机容量的方法
KR102181650B1 (ko) * 2013-10-04 2020-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 모듈
US10371426B2 (en) 2014-04-01 2019-08-0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US10018392B2 (en) * 2014-06-09 2018-07-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riable-capacity compressor
KR20160084149A (ko) * 2015-01-05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06152429A (zh) * 2015-03-30 2016-11-23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智能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6377260B2 (ja) * 2015-04-13 2018-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駆動装置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11022357B2 (en) * 2015-10-05 2021-06-01 Carri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variable speed compressor with a two-stage controller
US10310475B2 (en) * 2015-10-09 2019-06-04 Carri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variable speed HVAC system
CN105299940B (zh) * 2015-12-07 2017-11-10 集美大学 一种冷藏集装箱用变频涡旋压缩机制冷系统的控制方法
US10978968B2 (en) 2017-04-06 2021-04-13 Carrier Corporation Method for reducing the maximum inrush current of a compressor system comprising multiple asynchronous electrical motors and a compressor system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CN107178490B (zh) * 2017-05-19 2018-11-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的控制方法和装置
CN111023420B (zh) * 2019-12-27 2021-08-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压缩机快速启动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CN112432324A (zh) * 2020-11-16 2021-03-02 海信(广东)空调有限公司 负载的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842A (en) * 1983-02-02 1985-03-05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Multiple compressor controller and method
US5095715A (en) * 1990-09-20 1992-03-17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Electric power demand limit for variable speed heat pumps and integrated water heating heat pumps
JPH11241846A (ja) * 1998-02-24 1999-09-07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2003343898A (ja) * 2002-05-23 2003-12-03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KR20040050478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4개의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 방법
KR20060036808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고장유무 판별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350A (ja) 1989-07-28 1991-03-14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100396849B1 (ko) * 2001-03-26 2003-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컴프레서가 적용된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487150B1 (ko) * 2002-06-14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84800B1 (ko) * 2002-06-1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동작방법
KR100517600B1 (ko) 2002-12-05 2005-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방법
WO2004068614A2 (en) * 2003-01-24 2004-08-12 Tecumseh Products Company Integrated hvacr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
US7793509B2 (en) * 2004-04-12 2010-09-1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apacity control in a multiple compressor chiller system
CN101086358A (zh) * 2006-06-06 2007-12-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拖多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0570226C (zh) * 2007-11-08 2009-12-16 无锡同方人工环境有限公司 一种模块式多联机运行的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2842A (en) * 1983-02-02 1985-03-05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Multiple compressor controller and method
US5095715A (en) * 1990-09-20 1992-03-17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Electric power demand limit for variable speed heat pumps and integrated water heating heat pumps
JPH11241846A (ja) * 1998-02-24 1999-09-07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2003343898A (ja) * 2002-05-23 2003-12-03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
KR20040050478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4개의 압축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운전 방법
KR20060036808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고장유무 판별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6111A1 (en) 2013-07-25
KR101970522B1 (ko) 2019-04-19
EP2618078A2 (en) 2013-07-24
US9464836B2 (en) 2016-10-11
EP2618078B1 (en) 2021-08-04
CN103216963B (zh) 2017-07-28
EP2618078A3 (en) 2013-11-13
CN103216963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5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제어방법
KR10158594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72217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JP3625816B2 (ja) 空気調和機の起動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263522B2 (ja) 冷凍装置
JP200116507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および空気調和機
US2004000361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two compres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8015930A1 (fr) Conditionneur d'air
KR20040003625A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CN111854216B (zh) 空调系统
JP2004020064A (ja) 多室形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1045451B1 (ko) 멀티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011064A1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dditional he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7003059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KR10068061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기동방법
KR2010006211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95920B1 (ko) 공기조화기의 기동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7097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JP2003042585A (ja) 空気調和機
KR20070079383A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KR100710312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0311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13305B1 (ko) 냉난방 겸용 인젝션 타입 공기조화기 및 그 공기조화기의 인젝션 모드 절환방법
KR20050105744A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