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229A - 다기능 중탕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중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229A
KR20130085229A KR1020120006230A KR20120006230A KR20130085229A KR 20130085229 A KR20130085229 A KR 20130085229A KR 1020120006230 A KR1020120006230 A KR 1020120006230A KR 20120006230 A KR20120006230 A KR 20120006230A KR 20130085229 A KR20130085229 A KR 20130085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main body
lid
container
water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0898B1 (ko
Inventor
방호상
신영배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89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05Warming devices for warming food contained in vessels immersed in a water bath, e.g. chafers or steam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시의 중탕효과를 향상함과 아울러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호환성이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되, 그 내부에 직접 음식물의 투입 및 조리를 위한 용기로서 제공되는 내솥; 상기 내솥 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솥 내부의 가열된 증기에 의해 중탕조리가 수행되며, 증기가 유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중탕뚜껑에 의해 상부가 덮이는 중탕용기; 및 상기 내솥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덮이는 본체뚜껑을 포함하는 다기능 중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중탕기{multiple use boil cooker}
본 발명은 다기능 중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시의 중탕효과를 향상함과 아울러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는 다기능 중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탕이라는 것은 수증기에 의한 이차가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시간 가열한다 해도 단지 내의 약재나 식품이 타지 않으며 상기 단지 내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상기 단지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수증기의 온도보다 낮게 되므로 상기 단지 내부에서 응결되게 되고 상기 단지 내의 약재나 식품의 영양손실이 없게 되는 특성이 있게 된다. 예로부터 이런 특성 때문에 귀한 약재나 귀한 식품은 중탕 형식으로 다리고 조리하였으나 그 방법이나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현대의 식생활에서는 가정에서 생활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중탕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중탕용기 내에 수용되는 용기가 여러 개로 분류되어 있어 소비자가 상기 용기를 적절하게 선택하기가 어렵고, 생산자는 용기의 종류가 다양함에 따라 생산공정이 복잡해짐은 물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2004-0002136호의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용기의 내부용기이다. 하지만, 상기 중탕용기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없어서 요리가 끝난 후 중탕용기 및 내부용기를 이동할 시 외관이 뜨거우므로 장갑 및 헝겊 등을 이용해야 하고, 이동 시 미끄러져 파손되거나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중탕용기 내의 내부용기의 상부는 상기 중탕용기의 뚜껑과 밀착되어 상기 내부용기의 상측까지 증기의 대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중탕의 기능이 적절히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중탕용기는 중탕조리 만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밥의 취사 내지 기타 다른 용도의 조리에는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시의 중탕효과를 향상함과 아울러 제품의 사용편의성 및 호환성이 향상되는 다기능 중탕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되, 그 내부에 직접 음식물의 투입 및 조리를 위한 용기로서 제공되는 내솥; 상기 내솥 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솥 내부의 가열된 증기에 의해 중탕조리가 수행되며, 증기가 유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중탕뚜껑에 의해 상부가 덮이는 중탕용기; 및 상기 내솥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덮이는 본체뚜껑을 포함하는 다기능 중탕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다기능 중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는 내솥 내부에 중탕용기가 구비된 상태에서는 중탕용기를 사용하여 홍삼, 흑마늘, 중숙 내지 중탕취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탕용기 및 찜판을 제거한 후 내솥에 음식물을 직접 넣고 밥을 취반하거나 갈비탕 등의 요리를 수행함으로써 다기능으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둘째, 상기 중탕용기의 내부에 중탕내부용기가 2중으로 배치되어 직접 열전도를 배제하고 고품질의 중탕조리를 구현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상기 중탕용기, 중탕내부용기 및 내솥 간에 증기의 대류를 위한 간격 및 유로가 다양한 경로로 확보되어 증기의 원활한 대류를 통한 균일한 증기의 확산 및 온도분포를 유지하여 효율적인 중탕조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셋째, 중탕용기의 외부에 핸들패킹이 구비되므로, 중탕용기 내부의 밀폐효과를 높일 수 있고 가열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취부가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며, 상기 핸들패킹에 구비된 이격돌기의 사이 간격을 증기의 대류공간으로 형성하여 효율적인 중탕조리를 위한 증기의 대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압력조절밸브가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압력조절을 위한 배출압력을 간편하고 가시적인 식별이 가능한 상태에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조작시 클릭감을 부여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회전조작시 정확한 압력조절량을 세팅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내솥 내부의 설정압력에서 상향 이동되어 뚜껑의 열림 단속을 하는 안전몸통의 내부에 허용치 이상의 압력에서 분리되어 위험압력 배출기능을 수행하는 비복귀핀이 구비됨으로써 하나의 비복귀 안전장치가 뚜껑의 열림 단속기능과 위험압력 배출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감소하여 생산 및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비복귀 안전장치의 외곽 케이스가 내솥뚜껑에 클램핑되어 조립 및 고정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상기 잔류압력 제거장치와 손잡이부가 상호 이격된 각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뚜껑을 열기 위해 손잡이를 조작할 때 배출되는 고온의 잔류증기가 사용자의 손에는 도달되지 않으므로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상기 잔류압력 제거장치가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어 전후이동되므로 탄성스프링의 손상시에도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제품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탕용기(100)의 내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탕용기(100)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압력조절밸브의 확대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인디케이터 장치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의 본체뚜껑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안전연결수단의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조리기에 뚜껑의 결합 및 분리상태에서의 결합 플랜지와 가이드 플랜지의 관계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압력 제거장치가 구비된 본체뚜껑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가이드홈을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탕용기(100)의 내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탕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는 본체(400), 내솥(300), 중탕용기(100), 그리고 본체뚜껑(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400)의 내부에는 가열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400)의 내측에는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내솥(300)이 착탈가능하게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400)에 구비된 판넬부의 컨트롤 버튼을 조작하면 상기 본체(400)의 가열수단이 작동하면서 상기 내솥(300)이 가열된다. 이때, 상기 내솥(300)은 그 내부에 직접 음식물의 투입 및 조리가 가능한 용기로서 구비되되, 주된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의 금속재질 내지 탄소성형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탕용기(100)는 상기 내솥(300) 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솥(300) 내부의 가열된 증기에 의해 중탕조리가 수행되며, 증기가 유출입되는 통공(150a)이 형성된 중탕뚜껑(150)에 의해 상부가 덮이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내솥(300)에 담긴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중탕용기(100)를 가열하여 상기 중탕용기(100)에 담긴 음식물이 중탕으로 조리된다.
이때, 상기 중탕용기(100)는 상기 내솥(300) 내부에 설치되는 찜판(3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뚜껑(200)은 상기 본체(400)의 상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내솥(300) 내부를 밀폐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탕용기(100)를 사용하여 홍삼, 흑마늘, 중숙 내지 중탕취반이 가능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상기 중탕용기(100) 및 찜판(350)을 제거한 후 내솥(300)에 음식물을 넣고 밥을 취반하거나 갈비탕 등의 요리를 수행함으로써 다기능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탕용기(100)의 내측벽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어 배치되되, 측면과 바닥면에 복수개의 증기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중탕뚜껑 하면과의 사이에 증기가 소통되는 증기갭이 형성되도록 구비된 중탕내부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탕용기(100) 및 중탕뚜껑(150) 및 중탕내부용기(120)는 세라믹 도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탕용기(100)의 외측면은 상기 내솥(300)의 내측면과 증기의 대류를 위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중탕내부용기(120)의 외측면 및 하면은 상기 중탕용기(100)의 내면 및 바닥면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격된 간격을 통해 증기의 대류를 원활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탕용기(10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중탕뚜껑(150) 및 중탕내부용기(120)의 상단이 안착되는 핸들패킹(125)이 결합되는데, 상기 핸들패킹(125)은 상기 중탕용기(100) 상단부의 테두리를 외측까지 감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조리완료 후 가열된 상기 중탕용기(100)를 들기 위해 상기 핸들패킹(125)을 취부하면 가열된 열이 사용자의 손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탕용기(100)의 상단부 내주에는 걸림턱(105)이 형성되되, 상기 핸들패킹(125)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105)을 덮도록 연장된 걸림턱덮개부(125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덮개부(125a)에 상기 중탕내부용기(120)의 상단 걸턱(124)이 안착된다. 이를 통해, 도기 재질의 중탕내부용기(120)와 중탕용기(100)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탕용기의 파손방지 및 스크래치로 인한 이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패킹(125)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증기의 소통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돌기(125b)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걸림턱덮개부(125a)에 형성된 상기 이격돌기(125b)의 상면에 상기 중탕내부용기(120)의 상단부 걸턱(124)이 안착시 상기 이격돌기들(125b)의 사이로 증기의 소통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30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기화된 증기는 상기 중탕용기(100)의 외측면과 상기 내솥(30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중탕뚜껑(150)에 형성된 통공(150a) 내지 상기 이격돌기들(125b)의 사이 공간을 통해 중탕용기(100) 내부로 대류된다. 또한, 상기 중탕용기(100) 내부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증기는 상기 중탕내부용기(120)의 측면과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증기관통홀(121,122)을 통해 대류됨에 따라 중탕내부용기(120) 내부의 균일한 가열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음식물의 중탕가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탕뚜껑(150)의 상부에는 손잡이돌출부(155)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돌출부(155)의 외면에는 손잡이 패킹(155a)이 감싸지도록 구비되어 가열된 열이 사용자의 손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패킹(125) 및 손잡이 패킹(155a)은 각각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되, 각 용기 및 뚜껑이 가열된 상태에서도 손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낮은 고무재질, 바람직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솥(300) 내측에는 상기 중탕용기(100) 하면이 안착되되, 상기 내솥(300)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발(351)에 의해 지지되는 찜판(35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찜판(350)은 상기 내솥(300) 내측면과 사이에 증기의 대류를 위한 갭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찜판(350)에는 증기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증기유동홀(도 1의 35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솥(30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형성되는 고온 고압의 증기는 상기 증기유동홀(350a) 및 상기 갭을 통하여 활발히 대류되면서 내솥(300) 내부의 균일한 중탕조리를 위한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발(351)은 상기 찜판(350)에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사용 후 보관시 지지발(351)을 접어서 납작한 상태로 좁은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발(351)의 하단에는 내솥 긁힘방지용 패킹(미도시)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기 내솥(300) 내면에 형성된 코팅층에 긁힘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탕용기(100)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굽돌기(101)가 형성되며, 상기 굽돌기(101)에서 연장된 상기 중탕용기(100)의 하부 외주(102)는 상측으로 확장되도록 구배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굽돌기들(101)의 사이 공간(101a)은 증기의 대류를 위한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상기 중탕용기 하부의 구배진 외주(102)는 증기가 부드럽게 대류될 수 있는 유로로서 기능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솥(300) 내벽면과 상기 중탕용기 하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게 구배진 외주(102) 사이를 대류하는 증기는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면적이 좁아져 주변 공기와 더욱 활발히 믹싱되면서 신속히 확산되므로 상기 내솥(3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상태를 더욱 신속히 균일한 상태로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굽돌기(101)의 외주는 별도의 실리콘 고무 등으로 형성된 굽돌기 패킹(미도시)에 의해 커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찜판(350) 내지 내솥(300) 바닥면에 스크래치로 인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압력조절밸브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뚜껑(200)의 하부에는 금속 재질의 내솥뚜껑(201)이 구비되되, 상기 내솥뚜껑(201)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내솥(300)의 상단에 가압되어 밀폐를 이루는 내솥패킹(202))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솥뚜껑(201)은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솥뚜껑(201)의 일측에 형성된 제1관통홀 테두리에는 압력조절밸브(205)가 구비되어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상승된 경우 적절히 배출하여 내부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압력조절밸브(205)는 컨트롤 파이프(210), 하우징(230), 증기파이프(245), 그리고 조절스프링(2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파이프(210)는 상기 내솥뚜껑(201)에 형성된 제1관통홀의 테두리에 고정되되 외주에 나선형 스크류부(2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파이프(210)의 하단에는 내솥 내부와 연통되는 스팀홀이 형성된 스팀캡(2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스팀캡(220)의 상단과 상기 컨트롤 파이프(210)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211) 사이에 상기 내솥뚜껑(201)의 관통홀 테두리가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30)의 하부 내주에는 상기 스크류부(213)를 따라 회전됨에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스크류부 결합홈이 형성되되, 그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취부할 수 있는 손잡이 캡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30)의 내주와 상기 컨트롤 파이프(210)의 외주 사이에는 실링(310)이 개재되어 증기가 본체뚜껑(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파이프(245)는 상기 컨트롤 파이프(210) 내측 중공부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되, 하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중공부를 밀폐하는 압력캡(24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조절스프링(243)은 상기 하우징(2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압력캡(241)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상단이 상기 하우징(230)에 구속되며 하단이 상기 증기파이프(245) 내지 압력캡(241)을 하측으로 탄발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캡을 조작하여 상기 하우징(230)을 회전시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조절스프링(243)이 신장되거나 압축되어 탄발지지력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 증가에 따라 상기 압력캡(241)이 중공부를 개방하는 개방압력의 정도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캡의 외곽에는 회전각도에 따른 개방압력의 상태를 나타낸 눈금 내지 지침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30)의 상부에 배출되는 증기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홈부(280)의 상측은 보호덮개(250)에 의해 커버되어 고온의 증기가 배출되더라도 사용자의 손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화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내솥(300) 내부의 조리를 위한 적정압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므로 조리를 위한 다양한 압력상태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30)의 일측에는 회전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여 정확한 압력 조절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본체뚜껑(200)의 상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클릭홈에 삽탈되는 가이드핀(233)이 가이드스프링(235)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인디케이터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 장치(500)는 상기 본체뚜껑(200)을 관통하여 배치되되, 인디케이터 로드(501) 상단이 본체뚜껑 상측으로 돌출되었는지 여부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내솥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잔존압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00)는 보스부(502), 인디케이터 로드(501), 하부 실링부재(505), 및 상부 실링부재(5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스부(502)는 상기 본체뚜껑(200)의 하부에 구비된 금속 재질의 내솥뚜껑(201)을 관통하여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501)의 외주를 감싸는 원통부(502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보스부(502)는 내솥뚜껑(201)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501)는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단이 상기 본체뚜껑(200)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보스부(502)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501)의 중량은 그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기 위한 상기 내솥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잔존압력의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실링부재(505)는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50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스부(502)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밀폐를 이루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상측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실링부재(506)는 상기 보스부(502)의 상단부와 상기 본체뚜껑(200) 일측에 하측으로 원통형으로 돌출된 리브(200a)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부는 상기 보스부의 원통부(502a) 외주에 결합되고 상부는 "V" 자 형태로 연장된 절곡연장부(506a)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곡연장부(506a)의 상단은 상기 리브(200a) 하단에 가압식으로 접촉되어 증기가 상기 본체뚜껑(200)의 내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디케이터 장치(500)는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표시함과 아울러, 내솥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면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501)가 하강되면서 상기 하부 실링부재(505)와 상기 보스부(502) 간의 밀폐상태가 해제되어 잔류압력이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501)와 보스부(502)의 간격 사이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잔류압력 배출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중탕기의 본체뚜껑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안전연결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뚜껑(200)에는 비복귀 안전장치(260)가 구비되는데, 상기 비복귀 안전장치(260)는 다이어프램(261), 안전몸통(262), 그리고 비복귀핀(26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비복귀 안전장치(260)는 내솥뚜껑(201)에 형성된 제2관통홀(201b)의 테두리에 클램핑되어 결합되는 케이스(265)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265)는 상부케이스(265c), 하부 케이스(265a), 그리고 상부커버(265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커버(265b)와 하부케이스(265a)는 내솥뚜껑에 형성된 제2관통홀(201b)의 테두리에 클램핑 결합되어 고정되며, 클램핑되는 부분에는 오링(266)이 개재되어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261)의 외곽 테두리는 상기 하부케이스(265a)와 상부케이스(265c)의 사이에 클램핑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케이스(265c), 하부 케이스(265a), 그리고 상부커버(265b) 간은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된다.
상세히, 상기 다이어프램(261)은 케이스(265)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내솥(300) 내부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도록 합성고무 내지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261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몸통(262)은 상기 다이어프램(261)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265) 내부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수용공간(26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261)의 상부에는 안전몸통(262)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홈(26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전몸통(262) 하부에 상기 다이어프램(261)이 인서트 사출로서 일체화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립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상기 다이어프램(261)이 상측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안전몸통(262)을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안전몸통(262)은 그의 외주에 개재된 탄성스프링(263)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탄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전몸통(262)의 내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형성된 수용공간(262a)이 형성되고, 측부에는 연통홀(26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복귀핀(267)은 상기 홀더부(261c)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며, 이를 위해 상기 비복귀핀(267)의 하단부에는 상기 홀더부(261c)가 탄성걸림되어 결합되는 단턱홈(267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비복귀핀(267)은 상기 안전몸통(262) 내부의 수용공간(262a)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상기 홀더부(261c)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통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여 내솥(300) 내부의 증기가 상기 수용공간(262a) 및 연통홀(262b)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허용치 이상의 압력은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이 조리 중에 형성되는 설정압력을 초과하여 높아진 위험 압력으로서 조리 중에 상기 본체뚜껑(200)에 구비된 압력조절밸브 등의 압력조절장치가 고장나는 것 등에 의해 발생된다.
이때, 상기 비복귀핀(257)은 상기 홀더부(250c)에서 이탈된 후에 상기 홀더부(250c)의 상면에 안착되어 다시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설정압력에서 상향 이동된 안전몸통(262) 내지 비복귀핀(267)의 상단부는 후술되는 안전연결수단을 구속함으로써 뚜껑 열림 단속을 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몸통(262)의 내부에 허용치 이상의 압력에서 분리되어 위험압력 배출기능을 하는 비복귀핀(267)이 구비됨으로써 종래의 복수의 안전장치들을 단일의 장치로 구성하여 부품수와 작업공수가 감소되므로 제품의 생산성 및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연결수단(270)은 상기 안전몸통(262) 및 상기 비복귀핀(267)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 증가에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돌출된 단부에 걸림되어 상기 본체뚜껑(200)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안전연결수단(270)은 걸림안내돌기(273)와 구속부(2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내솥(300) 내부 압력의 상승에 따라 상기 안전몸통(262) 및 상기 비복귀핀(267) 중 어느 하나가 상승되면 삽입되어 구속하는 구속홀(272)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구속된 상태에서는 하부에 연결된 걸림안내돌기(273)의 전후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절곡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걸림안내돌기(273)는 상기 본체뚜껑(20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내솥(300)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플랜지(305)의 라운드진 모서리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접촉되면서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후단부가 탄성스프링(274)에 의해 탄발지지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조리기에 뚜껑의 결합 및 분리상태에서의 결합 플랜지와 가이드 플랜지의 관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내솥(300) 및 가이드 플랜지(305)이며,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본체뚜껑(200)의 하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랜지(305)가 상기 본체뚜껑 하부의 결합 플랜지(203)의 사이 간격에서 이탈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뚜껑(200)을 본체(400)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안내돌기(273)는 상기 본체뚜껑(200)의 일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뚜껑(200)이 소정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결합 플랜지(203)와 가이드 플랜지(305)가 상호 맞물리면서 교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뚜껑(200)이 본체에 결합되어 내솥(300) 내부를 밀폐한다. 이때, 상기 본체뚜껑(200)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305)는 상기 걸림안내돌기(273)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통과하여, 회전제한지점에서 상기 결합 플랜지(203)와 맞물려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뚜껑(200)을 열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가이드 플랜지(305)가 다시 걸림안내돌기(273)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통과하여야 하는데, 상기 걸림안내돌기(273)와 연결된 구속부(271)가 구속되어 반경방향 내외측 이동이 제한된다면 상기 본체뚜껑(200)의 회전이 구속되어 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일 시에는 상기 안전몸통(262) 및 상기 비복귀핀(267)이 상측으로 이동되지 않아 상기 구속부(271)에 형성된 구속홀(272)을 구속하지 않으므로, 상기 구속부(271)가 자유로이 반경방향 내외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구속부(271)의 하측에 연결된 걸림안내돌기(273)가 상기 가이드 플랜지(305)의 라운드진 모서리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본체뚜껑(200)의 개방을 위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에, 상기 구속부(271)에 형성된 구속홀(272)에 상기 안전몸통(240) 및 상기 비복귀핀(267)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상기 내솥(300) 내부 압력상승에 의해 상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구속부(271)의 전후 이동이 구속되어 걸림안내돌기(273)가 상기 가이드 플랜지(305)의 외주를 따라 반경방향 내외측으로 이동될 수 없으므로 상기 뚜껑(200)이 회전될 수 없어 개방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내솥(300) 내부의 고압상태에서 상기 본체뚜껑(200)의 회전이 방지되어 안전사고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비복귀핀(267) 내지 상기 안전몸통(262)의 상측으로 돌출시 상기 뚜껑(2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면, 상기 안전연결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비복귀 안전장치가 뚜껑의 열림 단속기능과 상기 비복귀핀(267)의 탈거에 따른 위험압력 배출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감소하여 생산 및 조립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비복귀핀(267)은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면 상기 홀더부(261c)의 상면에 그의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 해제시 상기 비복귀핀(267)의 상단부가 상기 안전연결수단에 걸림되지 않는 높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내솥(3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하강된 후에는 상기 뚜껑이 열릴 수 있으나, 재사용하더라도 상기 비복귀핀(267)이 안착되는 홀더부(261c)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상기 내솥(300)에 압력이 상승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기압력조리기를 A/S 센터에서 점검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A/S 센터에서 작업자가 상기 비복귀핀(267)을 상부로부터 가압하여 상기 홀더부(261c)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에 결합한 후 안전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보수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잔류압력 제거장치가 구비된 본체뚜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가이드홈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뚜껑(200)의 개방을 위한 회전시 내솥패킹(200)을 가압하여 내솥(300) 내부의 잔류압력을 제거하는 잔류압력 제거장치(29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잔류압력 제거장치(290)는 상기 본체(400) 상단 테두리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411)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뚜껑(200)이 회전됨에 따라 내측으로 안내되도록 돌출 형성된 안내돌기(292)와, 이와 같이 내측으로 안내될 때 내솥패킹(202)을 가압하도록 가압스프링(293)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돌출부(29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411)의 일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뚜껑(200)의 개방을 위한 회전시 상기 돌출부(291)가 상기 내솥패킹(202)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안내돌기(292)를 내측으로 안내하도록 구배지게 형성된 구배안내부(412)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잔류압력 제거장치(290)는 상기 본체뚜껑(200) 상기 본체(400)에서 분리되기 위해 회전되면 상기 안내돌기(292)가 상기 가이드홈(411)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홈(41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구배안내부(412)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상기 잔류압력 제거장치(290)의 안내돌기(292)가 내측으로 전진 이동되면 상기 돌출부(291)가 상기 내솥패킹(202)을 밀게 되어 상기 내솥(300) 내부의 잔류압력이 제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압스프링(293)이 파손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된 구배안내부(412)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안내돌기(292)가 안내되므로, 상기 본체뚜껑(200)의 회전에 따라 잔류압력제거장치(290)가 내솥패킹(202)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잔류압력 제거장치(290)는 상기 본체뚜껑(200)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의 손이 취부되도록 상기 본체뚜껑(200)의 양측에 구비된 손잡이부로부터 외주를 따라 설정된 각도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본체뚜껑(200)을 분리하기 위하여 회전시킬 시 잔류압력제거장치(29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증기가 상기 손잡이부를 잡는 사용자의 손부위에 화상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중탕용기 120: 중탕내부용기
150: 중탕뚜껑 200: 본체뚜껑
201: 내솥뚜껑 202: 내솥패킹
203: 결합플랜지 205: 압력조절밸브
260: 비복귀 안전장치 270: 안전연결수단
290: 잔류압력 제거장치 300: 내솥
305: 가이드플랜지 350: 찜판
400: 본체 500: 인디케이터 장치

Claims (19)

  1. 내부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본체;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되되, 그 내부에 직접 음식물의 투입 및 조리를 위한 용기로서 제공되는 내솥;
    상기 내솥 내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솥 내부의 가열된 증기에 의해 중탕조리가 수행되며, 증기가 유출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중탕뚜껑에 의해 상부가 덮이는 중탕용기; 및
    상기 내솥 내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덮이는 본체뚜껑을 포함하는 다기능 중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의 상단에는 가이드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뚜껑의 하부에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플랜지와 상기 결합플랜지가 상호 교호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뚜껑에는 회전됨에 따라 내솥패킹을 가압하도록 가압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뚜껑의 손잡이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잔류압력 제거장치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뚜껑의 하부에는 금속 재질의 내솥뚜껑이 구비되되, 상기 내솥뚜껑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내솥의 상단에 가압되어 밀폐를 이루는 내솥패킹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뚜껑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고정되되 외주에 스크류부가 형성된 컨트롤 파이프와,
    상기 스크류부를 따라 회전됨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컨트롤 파이프 내측 중공부에 배치되되, 하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중공부를 밀폐하는 압력캡이 구비된 증기파이프와,
    상기 하우징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압력캡의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속되어 배치된 조절스프링을 포함하는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중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뚜껑에 형성된 관통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상기 내솥 내부 압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신축되며, 내측에 형성된 중공홀 테두리에 홀더부가 구비된 다이어프램;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공간을 따라 상하 이동되되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안전몸통과,
    상기 홀더부에 상기 중공홀을 밀폐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허용치 이상의 압력 작용시 분리되어 상기 중공홀을 개방하는 비복귀핀을 포함하는 비복귀 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중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 플랜지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드 접촉되어 전후 이동되도록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걸림안내돌기와,
    상기 걸림안내돌기와 연결되되, 상기 안전몸통 및 상기 비복귀핀 중 어느 하나에 구속되어 상기 걸림안내돌기의 전후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여 상기 뚜껑체의 개방을 위한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안전연결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내측에는 상기 중탕용기 하면이 안착되되, 상기 내솥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발에 의해 지지되는 찜판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발은 상기 찜판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되, 상기 지지발의 하단에는 내솥 긁힘방지용 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찜판은 상기 내솥 내주와 증기의 대류를 위한 갭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찜판에는 증기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증기유동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용기의 하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굽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굽돌기에서 연장된 상기 중탕용기의 하부 외주는 상측으로 확장되도록 구배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용기의 내측벽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어 배치되되, 측면과 바닥면에 복수개의 증기관통홀이 형성된 중탕내부용기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중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내부용기의 외측면 및 하면은 상기 중탕용기의 내면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중탕뚜껑이 상부에 안착되는 핸들패킹이 결합되되, 상기 핸들패킹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그 사이로 증기의 소통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패킹은 상기 중탕용기 상단부의 테두리를 외측으로 감싸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용기의 상단부 내주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핸들패킹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연장된 걸림턱덮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덮개부에는 중탕내부용기의 상단 테두리가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용기의 외측면은 상기 내솥의 내측면과 증기의 대류를 위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뚜껑의 상부에는 손잡이돌출부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돌출부의 외면에는 손잡이 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뚜껑의 하부에는 구비된 내솥뚜껑을 관통하여 연결된 보스부와,
    상기 내솥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단이 상기 본체뚜껑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보스부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배치되는 인디케이터 로드와,
    상기 인디케이터 로드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스부의 하면과 선택적으로 접하여 밀폐를 이루는 하부 실링부재와,
    상기 보스부의 상단부와 상기 본체뚜껑의 사이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중탕기.
KR1020120006230A 2012-01-19 2012-01-19 다기능 중탕기 KR10134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30A KR101340898B1 (ko) 2012-01-19 2012-01-19 다기능 중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230A KR101340898B1 (ko) 2012-01-19 2012-01-19 다기능 중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229A true KR20130085229A (ko) 2013-07-29
KR101340898B1 KR101340898B1 (ko) 2013-12-13

Family

ID=4899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230A KR101340898B1 (ko) 2012-01-19 2012-01-19 다기능 중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8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5729A (zh) * 2018-03-27 2018-08-03 温州医科大学附属第医院 便携式水浴锅
CN109259588A (zh) * 2018-11-08 2019-01-25 厦门鸥乐科技有限公司 烹饪装置
CN110623536A (zh) * 2018-06-21 2019-12-3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炖蒸器具
KR20210011275A (ko) *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비자동 복원 구조의 압력 밸브 및 이를 가진 압력 조리 용기
US11253097B2 (en) 2015-07-09 2022-02-22 Strix Limited Food prepa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423B1 (ko) * 2016-02-03 2018-02-14 주식회사 다첸 가정용 중탕기
CN107028485B (zh) * 2016-02-03 2019-01-18 (株)大辰 家庭用双层蒸锅的密封结构
KR102299434B1 (ko) * 2019-12-26 2021-09-08 (주)쿠첸 조리 장치
KR20220081712A (ko) 2020-12-09 2022-06-16 못난이협동조합 회전자계를 이용한 조리기기 및 조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665Y1 (ko) * 2004-01-29 2004-04-28 김영진 자동압력 중탕기용 중탕용기의 내부용기
JP4476306B2 (ja) 2007-02-15 2010-06-09 三洋電機株式会社 圧力式炊飯器
KR101106590B1 (ko) * 2009-08-21 2012-01-20 설용석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3097B2 (en) 2015-07-09 2022-02-22 Strix Limited Food preparation
CN108355729A (zh) * 2018-03-27 2018-08-03 温州医科大学附属第医院 便携式水浴锅
CN110623536A (zh) * 2018-06-21 2019-12-3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炖蒸器具
CN109259588A (zh) * 2018-11-08 2019-01-25 厦门鸥乐科技有限公司 烹饪装置
KR20210011275A (ko) * 2019-07-22 2021-02-01 주식회사 시코코리아 비자동 복원 구조의 압력 밸브 및 이를 가진 압력 조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898B1 (ko) 201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898B1 (ko) 다기능 중탕기
KR101958846B1 (ko) 음식물 찜기
KR101106590B1 (ko) 다기능 전기압력 중탕기
KR101137992B1 (ko) 바닥 저면에 형성된 곡면에 요철부를 갖는 조리용기
CN201814427U (zh) 用于在液体中烹饪食品的厨房用具
US20050279217A1 (en) Coffee-maker
KR101006178B1 (ko) 간이형 떡 찜 세트
CN110652213A (zh) 一种自动防溢盖
CN211212566U (zh) 一种电火锅
CN204764946U (zh) 一种煮食器
CN205197820U (zh) 电烤箱及电烤箱的炉腔
JP6448373B2 (ja) 炊飯器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KR20130118128A (ko)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KR20170106092A (ko) 손잡이가 뜨겁게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는 조리용기 어셈블리
CN215583881U (zh) 一种多功能电煮锅
KR101388508B1 (ko) 전기조리기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200491860Y1 (ko) 온도차이를 이용한 조리용기 넘침 방지기
CN212307605U (zh) 一种多功能温奶器
CN212307599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1324435U (zh) 一种自动防溢盖
KR20120051297A (ko) 중탕조리기
CN208491702U (zh) 养生壶
KR20170024227A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