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309A - 리셉터클 단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309A
KR20130084309A KR1020137013900A KR20137013900A KR20130084309A KR 20130084309 A KR20130084309 A KR 20130084309A KR 1020137013900 A KR1020137013900 A KR 1020137013900A KR 20137013900 A KR20137013900 A KR 20137013900A KR 20130084309 A KR20130084309 A KR 20130084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ring
terminal
receptacle
contac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0928B1 (ko
Inventor
아담 프라이스 타일러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8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리셉터클 단자(100)는, 케이블에 종단되도록 구성된 케이블 단부(104)와 블레이드 단자(108)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단부(106)를 갖는 단자 본체(102)를 포함한다. 단자 본체는 정합 단부에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제1 벽(124) 및 제1 벽에 대략 평행하고 제1 벽으로부터 이격된 제2 벽(126)을 갖는다. 리셉터클은, 블레이드 단자(1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수용 공간(128)을 갖는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단자 본체(102)와는 별도로 제공되고 단자 본체에 결합되고, 제1 벽(124)과 블레이드 단자(108) 사이에 위치하는 수용 공간(138)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 벽을 갖는다. 스프링 벽은 내면과 외면을 갖는다. 내면은 제1 벽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외면은 블레이드 단자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단자{RECEPTACLE TERMINAL}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주제는 일반적으로 전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전력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들 간에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 전력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전력 단자들은 케이블의 단부에 종단되고, 대응하는 전력 단자와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력 시스템의 일례는 전기 차량에 해당되며, 여기서 전력이 전력 커넥터들 간에 전달된다.
일부 전력 커넥터들은, 볼트 상에 수용되며 윙 너트 등의 너트를 사용하여 볼트에 접속되는 전력 단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력 커넥터들에도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전력 커넥터들은 다수의 부품들을 이용하며, 시간 소모적이며, 정합 및 정합 해제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전력 커넥터들은 고 전력 상황에서 적절한 접속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유형의 전력 커넥터들로는, 한 커넥터가 리셉터클이 있는 단자를 갖고 다른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플러그 연결되는 블레이드를 갖는 것이 있다. 이러한 전력 커넥터들에도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과 블레이드 간의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리셉터클의 설계는, 블레이드와 전기적 접속의 유지를 보장하기에는 복잡할 수 있어서, 전체 설계로 인해 제조시 더욱 많은 비용이 들게 할 수 있다. 전력 접속이 아닌 접속으로는, 블레이드와 리셉터클 간의 전기적 접속을 이루도록 블레이드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갖는 단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속에도 동일한 단점이 존재한다.
해결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리셉터클 단자 및 리셉터클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리셉터클 단자는, 케이블에 종단되도록 구성된 케이블 단부와 블레이드 단자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단부를 갖는 단자 본체를 포함한다. 단자 본체는 정합 단부에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제1 벽 및 제1 벽에 대략 평행하며 제1 벽으로부터 이격된 제2 벽을 갖는다. 리셉터클은, 블레이드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벽과 제2 벽 사이의 수용 공간을 갖는다. 컨택트 스프링은, 단자 본체로부터 별도로 제공되고, 단자 본체에 연결되며, 제1 벽과 블레이드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 벽을 갖는다. 스프링 벽은 내면과 외면을 갖는다. 내면은 제1 벽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외면은 블레이드 단자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블레이드 단자의 정합 블레이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단자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컨택트 스프링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정합 블레이드와 리셉터클 단자의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는 전력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커넥터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전력 커넥터의 정면 사시도.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100)의 사시도이다. 리셉터클 단자(100)는 케이블 단부(104)와 정합 단부(106)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자 본체(102)를 포함한다. 케이블 단부(104)는 전력 케이블(도시하지 않음) 등의 케이블이나 와이어에 종단되도록 구성되고, 정합 단부(106)는 블레이드 단자(108) 등의 정합 단자의 블레이드와 정합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단자 본체(102)의 정합 단부(106)에 결합된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리셉터클 단자(10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단자 본체(102)와는 별도로 제공되어 있으며 단자 본체(102)에 결합되어 있다. 대안으로, 대체 실시예에서는, 두 개보다 많거나 적은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 예를 들어, 하나의 컨택트 스프링이 단자 본체(10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 사이에 도전성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리셉터클 단자(100)와의 다수의 접점을 제공하고, 블레이드 단자(108)와의 다수의 접점을 제공한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유지를 보장하도록, 리셉터클 단자(100)와 블레이드 단자(108)에 저항하는 스프링 힘을 제공하고, 이 단자들에 대하여 바이어스된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과 단자 본체(102) 사이의 기계적 접속에 의해 단자 본체(102)에 대하여 유지된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을 단자 본체(102) 상에 유지하는 데 추가 고정 특징들은 필요하지 않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단자 본체(102)에 레이저 용접, 솔더링, 또는 크림핑(crimp)될 필요가 없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리셉터클 단자(100)의 비용에 추가될 수 있거나 리셉터클 단자(100)의 조립 시간에 추가될 수 있는 추가 특징들을 사용하지 않고 단자 본체(102)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이 없는 단자 본체(102)의 사시도이다. 단자 본체(102)는 금속 재료 등의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자 본체(102)는, 케이블에 종단되고 (도 1에 도시한) 블레이드 단자(108)와 정합하도록 구성된 형상으로 스탬핑(stamp)되고 형성된다.
케이블 단부(104)는 케이블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단부(104)는 케이블의 단부에 크림핑되도록 구성된 크림프 접속부를 구성한다. 단자 본체(102)는 케이블 단부(104)에서 초기에 채널을 형성하는 개방 상태로 스탬핑되고 형성된 크림프 아암들(crimp arms; 120)을 포함한다. 임의의 개수의 크림프 아암들(120)을 제공해도 된다. 제조시, 크림프 아암들(120)은 크림핑 프로세스 동안 케이블에 크림핑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케이블 단부(104)는 대체 수단에 의해 케이블에 종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케이블 단부(104)는 크림핑을 위한 배럴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케이블에 솔더링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단자 본체(102)는 정합 단부(106)에서 대략 U 형상이고,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은 U 형상의 단자 본체(102)의 부분들을 형성한다. 정합 단부(106)는 U 형상의 단자 본체(102)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122)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22)은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과 블레이드 단자(108)를 수용한다. 리셉터클(122)은 제1 벽(124)과 제2 벽(126)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은 서로 평행하며 이격되어 있다. 리셉터클(122)은 제1 및 제2 벽들(124, 126) 사이에서 블레이드 단자(108)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28)을 갖는다. 수용 공간(128)은 상부를 통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블레이드 단자(1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으로, 수용 공간(128)은, 다른 방향으로부터, 예를 들어, 수용 공간(128)의 측면을 통해(예를 들어, 제1 단부(132)를 통해) 또는 하부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블레이드 단자(108)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은 제1 및 제2 벽들을 관통하는 개구부(130)를 포함한다(도 2에서는 제1 벽(124)의 개구부(130)만이 도시되어 있다). 개구부들(130)은 리셉터클(122)의 대향하는 에지들(132, 13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선택 사항으로, 개구부들(130)은 제1 및 제2 단부들(132, 134) 사이의 대략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개구부들(130)은 제1 및 제2 단부들(132, 134) 사이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도 된다. 개구부들(130)은 리셉터클의 상부 에지(136)로부터 이격된다. 선택 사항으로, 개구부들(130)은 길게 연장되며 타원 형상을 갖는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형상들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은 거리(138)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다. 거리(138)는 제1 및 제2 단부들(132, 134) 사이로 측정되는 수용 공간(128)의 길이를 따라 대략 균일할 수 있다. 또한, 거리(138)는 상부 에지(136)부터 U 형상의 단자 본체(102)의 하부까지 측정되는 수용 공간(128)의 높이를 따라 균일할 수도 있다. 거리(138)는 블레이드 단자(108)와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을 수용하도록 충분히 넓다.
도 3은 컨택트 스프링(1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컨택트 스프링(112)은 컨택트 스프링(110)과 대략 동일할 수 있고, 단일 부품 번호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부품 카운트 및/또는 제조 비용이 감소됨으로써 리셉터클 단자(100)의 전체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대안으로,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서로 달라도 되며, 다른 특징들을 포함해도 되고, 및/또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가져도 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대향하는 에지들(152, 154)을 갖는 단부 벽(150)을 포함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단부 벽(150)의 대응하는 에지들(152, 154)로부터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을 포함한다. 선택 사항으로,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은 단부 벽(150)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은 대략 평면형이며 서로 대략 평행하게 배향될 수도 있다. 단부 벽(150)과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은 함께 U 형상 구조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의 각각은 상부(160)와 하부(162)를 갖는다.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의 상부들(160)은 서로 정렬될 수 있고 단부 벽(150)의 상부와 정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의 하부들(162)은 서로 정렬될 수 있고 단부 벽(150)의 하부와 정렬될 수 있다.
제1 탭(164)은 단부 벽(150)의 대략 반대측인 제1 측벽(156)으로부터 연장된다. 제2 탭(166)은 단부 벽(150)의 대략 반대측인 제2 측벽(158)으로부터 연장된다. 선택 사항으로, 제1 및 제2 탭들(164, 166)은 제1 및 제2 벽들(156, 158)의 하부(162)에 대략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탭들(164, 166)은 제1 및 제2 벽들(156, 158)에 대략 수직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탭들(164, 166)은 서로 내측으로 휘어진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다른 배향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탭들(164, 166)은, 컨택트 스프링(110)이 단자 본체(102)에 결합되면 (도 2에 도시한) 단자 본체(102)의 (도 2에 도시한)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의 (도 2에 도시한) 대응하는 개구부들(130)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컨택트 스프링(110)이 단자 본체(102)에 결합되면,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은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의 외측을 따라 단자 본체(102)의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을 둘러싼다. 제1 및 제2 탭들(164, 166)은 제1 및 제2 벽들(124, 126)과 각각 정렬되고 제1 및 제2 벽들의 개구부들 내에 각각 수용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1 스프링 벽(170)을 포함한다. 제1 스프링 벽(170)과 제1 측벽(156) 사이에 접속 부분(172)이 제공된다. 접속 부분(172)은 제1 측벽(156)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향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접속 부분(17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 벽(170)은 제1 측벽(156)에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고, 제1 측벽(156)으로부터 이격된다. 컨택트 스프링(110)이 단자 본체(102)에 장착되면, 제1 스프링 벽(170)과 제1 측벽(156) 사이에서 제1 벽(124)이 수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 벽(170)은 비평면형(non-planar)이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스프링 효과를 제공하도록 물결 형태를 갖는 웨이브 스프링(wave spring)을 형성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일련의 피크와 밸리를 갖는 구불구불한 경로를 추종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오목부들(174)과 볼록부들(176)을 갖는다. 오목부들(174)은 밸리를 형성하고 볼록부들(176)은 피크를 형성한다. 오목부들(174)은 제1 벽(124)과 맞물리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정점(178)을 포함한다. 볼록부들(176)은 (도 1에 도시한) 블레이드 단자(108)와 맞물리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정점(18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 벽(170)은 다수의 오목부(174)와 다수의 볼록부(176)를 갖는다. 제1 스프링 벽(170)은,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1 벽(124)과 블레이드 단자(108)와의 다수의 접점들을 갖는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제1 스프링 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슬롯(182)을 포함한다. 슬롯들(182)은 제1 스프링 벽(170)을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개별적인 평행 스프링 핑거(184)로 분리한다. 각각의 스프링 핑거들(184)은 제1 벽(124)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스프링 핑거들(184)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내면(186) 및 내면(186)의 반대측인 외면(188)을 포함한다. 내면(186)은 제1 벽(124)에 대략 대면하며, 이러한 제1 벽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외면(188)은 블레이드 단자(108)에 대략 대면하며, 이러한 블레이드 단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2 스프링 벽(190)을 포함한다. 접속 부분은(192) 제2 스프링 벽(190)과 제2 측벽(158) 사이에 제공된다. 접속 부분(192)은 제2 측벽(158)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향된다. 제2 스프링 벽(190)은 접속 부분(192)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배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 벽(190)은 제2 측벽(158)에 대하여 대략 평행하게 배향되고, 제2 측벽(158)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스프링 벽(190)은 또한 제1 스프링 벽(190)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은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은 단부 벽(150)과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에 의해 형성되는 U 형상 본체의 내부이다. 컨택트 스프링(110)이 단자 본체(102)에 장착되면, 제2 스프링 벽(190)과 제2 측벽(158) 사이에 제2 벽(126)이 수용된다. 단자 블레이드(108)는 제1 및 제2 스프링벽들(170, 190)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 벽(190)은 비평면형이다. 제2 스프링 벽(190)은 스프링 효과를 제공하도록 물결 형태를 갖는 웨이브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2 스프링 벽(190)은 일련의 피크와 밸리를 갖는 구불구불한 경로를 추종한다. 제2 스프링 벽(190)은 오목부들(194)과 볼록부들(196)을 갖는다. 오목부들(194)은 밸리를 형성하고, 볼록부들(196)은 피크를 형성한다. 오목부들(194)은 제2 벽(126)과 맞물리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정점(198)을 포함한다. 볼록부들(196)은 (도 1에 도시한) 블레이드 단자(108)와 맞물리기 위한 정합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정점(20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 벽(190)은 다수의 오목부(194)와 다수의 볼록부(196)를 갖는다. 제2 스프링 벽(190)은,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된, 제2 벽(126)과 블레이드 단자(108)와의 다수의 접점을 갖는다.
제2 스프링 벽(190)은 제2 스프링 벽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슬롯(202)을 포함한다. 슬롯들(202)은 제2 스프링 벽(190)을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복수의 개별적인 평행한 스프링 핑거(204)로 분리한다. 각가의 스프링 핑거들(204)은 제2 벽(126)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각가의 스프링 핑거들(204)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2 스프링 벽(190)은 내면(206) 및 내면(206)의 반대측인 외면(208)을 포함한다. 내면(206)은 제2 벽(126)에 대략 대면하고 이러한 제2 벽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외면(208)은 블레이드 단자(108)에 대략 대면하고 이러한 블레이드 단자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컨택트 스프링(110)은 금속 재료 등의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구리 재료 또는 구리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컨택트 스프링(110)은 도금 재료로 도금될 수도 있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예를 들어 제1 스프링 벽(170)과 제2 스프링 벽(190) 상에 선택적으로 도금될 수 있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니켈 재료, 금 재료, 주석 재료 등으로 도금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해 보면,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단자 본체(102)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컨택트 스프링들(110, 112)은 서로 동일하며, 컨택트 스프링(112)은 컨택트 스프링(110)에 대하여 180도 반전되어 있다. 조립 동안, 컨택트 스프링(110)은 단자 본체(102)의 정합 단부(106)의 제1 단부(132)에 결합된다. 컨택트 스프링(112)은 단자 본체(102)의 정합 단부(106)의 제2 단부(134)에 결합된다. 조립체는 컨택트 스프링(11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컨택트 스프링(112)은 컨택트 스프링(110)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단자 본체(102)에 결합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위로부터 정합 단부(106) 상으로 로딩된다. 스프링 벽들(170, 190)은 제1 및 제2 벽들(124, 126) 사이의 수용 공간(128) 내에 로딩된다. 단부 벽(150)과 측벽들(156, 158)은 리셉터클(122)의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을 둘러싸고,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의 외측을 따라 제공된다. 단부 벽(150)은 제1 및 제2 벽들(124, 126) 사이에 걸쳐 존재한다. 단부 벽(150)은, 블레이드 단자(108)가 리셉터클(122) 내로 로딩되는 경우 제1 및 제2 벽들(124, 126)이 서로 멀어지는 편향을 제한한다. 이처럼,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2 벽(126)에 대한 제1 벽(124)의 상대 위치를 유지한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1 및 제2 벽들(124, 126) 사이의 거리(138)를 유지한다.
조립 동안, (도 3에 도시한) 탭들(164, 166)이 개구부들(130) 내에 수용된다. 탭들(164, 164)과 개구부들(13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컨택트 스프링(110)이 단자 본체(102) 상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탭들(164, 166)은 컨택트 스프링(110)이 미끄러져 벽들(124, 126)의 제1 단부(132)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한다.
도 4는 리셉터클(122) 내에 블레이드 단자(108)가 수용된 리셉터클 단자(100)의 단면도이다. 블레이드 단자(108)는 대향하는 평면형 측면들(opposite planar sides; 220, 222)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단자(108)는 대향하는 측면들(220, 222) 사이로 측정되는 두께(224)를 갖는다. 두께(224)는, 제1 및 제2 벽들(124, 126) 사이의 수용 공간(128) 내에 블레이드 단자(108)가 수용될 수 있도록 거리(138)보다 작다.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이 수용 공간(128) 내에 로딩되도록 단자 본체(102)에 결합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블레이드 단자(108)의 제1 벽(124)과 제1 측면(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블레이드 단자(108)와의 다수의 접점 A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블레이드 단자(108)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제1 벽(124)과의 다수의 접점 B를 포함한다. 제1 스프링 벽(170)은 제1 벽(124)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 사이에서 제1 스프링 벽(170)이 압축되면, 제1 스프링 벽(170)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를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벽(190)은, 블레이드 단자(108)의 제2 측면(222)과의 다수의 접점 C, 및 제2 벽(126)과의 다수의 접점 D를 포함한다. 제2 스프링 벽(190)은 블레이드 단자(108)의 제2 측면(222)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되고, 제2 벽(126)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 사이에서 제2 스프링 벽(190)이 압축되면, 제2 스프링 벽(190)은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를 가압한다. 제1 측벽(156)은 제1 벽(124)을 둘러싸고 제1 벽(124)의 외측과의 하나 이상의 접점 E를 포함한다. 제2 측벽(158)은 제2 벽(126)을 둘러싸고 제2 벽(126)의 외측과의 하나 이상의 접점 F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단자(108)가 수용 공간(128) 내에 로딩되면,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이 블레이드 단자(108)와 단자 본체(102) 사이에서 압축된다. 조립 동안, 블레이드 단자(108)가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 사이의 수용 공간(128) 내에 로딩되면, 제1 스프링 벽(170)을 제1 벽(124)을 향하여 가압하고 제2 스프링 벽(190)을 제2 벽(126)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편향되거나 점점 평평해질 수 있다. 제1 스프링 벽(170)의 물결 형태에 의해, 오목부들(174)이 제1 벽(124)에 대하여 바이어스되고 볼록부들(176)이 블레이드 단자(108)에 대하여 바이어스된다.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벽(190)의 물결 형태에 의해, 오목부들(194)이 제2 벽(126)에 대하여 바이어스되고 볼록부들(196)이 블레이드 단자(108)에 대하여 바이어스된다.
도 5는 전력 커넥터(24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전력 커넥터(240)는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단자들(1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우징(242)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하우징(242)은 두 개의 리셉터클 단자(100)를 유지한다. 하우징(242)은 리셉터클 단자들(100)을 수용하는 채널들(24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단자들(100)은, (도 1에 도시한) 블레이드 단자들(108)이 리셉터클 단자들(100) 내에 로딩될 수 있도록 채널들(244) 내에 노출된다. 하우징(242)은, 케이블들(248)을 수용하고 이 케이블들이 대응하는 리셉터클 단자들(100)로 향하게 하는 케이블 채널들(246)을 포함한다. 전력 커넥터(240)는 (도 6에 도시한) 정합 전력 커넥터(260)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인터페이스(250)를 갖는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력 커넥터(240)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전력 커넥터(260)의 정면 사시도이다. 정합 전력 커넥터(260)는, 전력 커넥터(240)의 리셉터클 단자들(100)과 정합되도록 구성된 두 개의 블레이드 단자(108)를 유지하는 하우징(26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262)은 정합 전력 커넥터(260)를 유지하는 장치의 섀시 등의 다른 구조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 플랜지(264)를 포함한다. 정합 전력 커넥터(260)는, 전력 커넥터(240)가 정합 전력 커넥터(260)에 플러그 연결되어 정합 및 맞물릴 수 있도록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정합되면, 블레이드 단자들(108)은 리셉터클 단자들(100) 내에 수용되고, 이들 간에 전력 접속이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합 전력 커넥터(260)와 전력 커넥터(240)는 전기 차량 등의 차량용 전력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 전력 커넥터(240)와 정합 전력 커넥터(260)는 산업적 응용 분야 등의 다른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적이며 제한적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및/또는 이들의 양태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특정 상황이나 재료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교시에 맞추도록 많은 수정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치수, 재료들의 유형, 다양한 부품들의 배향, 및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개수와 위치는 일부 실시예들의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려는 것이며, 제한적인 의미가 아니며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다. 청구범위의 범주와 사상 내에서의 다른 많은 실시예들과 수정예들은 전술한 설명을 읽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들을 참조하여 청구항들에 대해 균등물로서의 자격이 주어지는 전체 범위와 함께 결정되어야 한다. 청구범위에서, "포함"(including)과 "에서"(in which)라는 용어들은 각각 용어들인 "포함"(comprising)과 "여기서"(wherein)의 평이한 영어로 된 균등 용어들로서 사용된다.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은 라벨로서 사용된 것일 뿐이며, 해당 대상물에 수치 요건을 부가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의 한정 사항은, 추가 구조 없이 기능 표현이 기재되는 "~을 위한 수단"이라는 구를 이러한 청구범위의 한정 사항에서 명백하게 사용하지 않는 한, 수단 플러스 기능의 형식으로 기재되지 않았으며 특허법(35 U.S.C. § 112, sixth paragraph)에 기초하여 해석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10)

  1. 리셉터클 단자(100)로서,
    단자 본체(102)와,
    상기 단자 본체(102)에 결합된 컨택트 스프링(110)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 본체(102)는 케이블에 종단되도록 구성된 케이블 단부와 블레이드 단자(108)와 정합되도록 구성된 정합 단부(106)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본체(102)는 상기 정합 단부(106)에서 리셉터클(122)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제1 벽(124) 및 상기 제1 벽에 대략 평행하며 상기 제1 벽으로부터 이격된 제2 벽(126)을 갖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블레이드 단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 사이의 수용 공간(128)을 갖고,
    상기 컨택트 스프링(110)은, 상기 수용 공간(128) 내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벽(124)과 상기 블레이드 단자(108)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스프링 벽(170)을 갖고, 상기 스프링 벽(170)은 내면(186)과 외면(188)을 갖고, 상기 내면(186)은 상기 제1 벽(124)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되고, 상기 외면(188)은 상기 블레이드 단자(108)에 대하여 스프링 바이어스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단자(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벽은 제1 스프링 벽(170)을 형성하고, 상기 컨택트 스프링(110)은 대향하는 에지들(152, 154)을 갖는 단부 벽(150), 상기 단부 벽에 대응하는 에지들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벽(156)과 제2 측벽(158), 및 제2 스프링 벽(1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 벽(170)은 연결부(172)에 의해 상기 제1 측벽(15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스프링 벽(190)은 연결부(192)에 의해 상기 제2 측벽(158)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벽(156)은 상기 단자 본체(102)의 상기 제1 벽(124)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158)은 상기 단자 본체의 상기 제2 벽(126)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벽(170)은 상기 수용 공간(128) 내의 상기 단자 본체의 상기 제1 벽(124)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스프링 벽(190)은 상기 수용 공간(128) 내의 상기 단자 본체의 상기 제2 벽(126)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은 상기 수용 공간(128) 내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 단자(108)의 대향하는 측면들(220, 22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단자(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150)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156, 158)은 U 형상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170, 190)은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단부 벽은 상기 단자 본체(102)의 상기 제1 및 제2 벽들(124, 126) 사이에서 연장된, 리셉터클 단자(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벽(170)은 오목부들(174)과 볼록부들(176)을 갖는 비평면형(non-planar)이고, 상기 오목부들은 상기 제1 벽(124)과 맞물리고, 상기 볼록부들은 상기 블레이드 단자(10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리셉터클 단자(10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벽(170)은, 상기 제1 벽(124)과의 다수의 접점을 이루고 상기 블레이드 단자(108)와의 다수의 접점을 이루도록 구성된 물결 형태를 갖는, 리셉터클 단자(100).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벽(170)에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스프링 핑거들(184)을 형성하는 슬롯들(182)에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100).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110)은 상기 단자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스탬핑(stamp)되고 형성되고 구성된, 리셉터클 단자(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124)은 상기 제1 벽을 관통하는 개구부(130)를 갖고, 상기 컨택트 스프링(110)은 상기 컨택트 스프링을 상기 단자 본체(102)에 대하여 위치시키도록 상기 개구부 내에 수용된 탭(164)을 갖는, 리셉터클 단자(100).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1 컨택트 스프링을 형성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과 동일한 제2 컨택트 스프링(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은 상기 리셉터클(122)의 제1 단부(132)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컨택트 스프링은 상기 리셉터클의 제2 단부(134)에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10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110)은 제1 컨택트 스프링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벽(170)은 제1 스프링 벽을 형성하고, 상기 컨택트 스프링은 대향하는 에지들(152, 154)을 갖는 단부 벽(150), 상기 단부 벽의 대응하는 에지들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벽(156)과 제2 측벽(158), 및 제2 스프링 벽(1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프링 벽은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스프링 벽은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은 상기 단자 본체의 제1 벽(124)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단자 본체의 제2 벽(126)의 외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스프링 벽은 상기 수용 공간(128) 내의 상기 단자 본체의 상기 제1 벽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스프링 벽은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단자 본체의 상기 제2 벽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벽들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 단자(108)의 대향하는 측면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과 동일한 제2 컨택트 스프링(1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컨택트 스프링은 상기 리셉터클(122)의 제1 단부(132)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컨택트 스프링은 상기 리셉터클의 제2 단부(134)에 결합된, 리셉터클 단자(100).
KR1020137013900A 2010-12-17 2011-12-16 리셉터클 단자 KR101460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1,256 2010-12-17
US12/971,256 US8419486B2 (en) 2010-12-17 2010-12-17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PCT/US2011/001987 WO2012082161A1 (en) 2010-12-17 2011-12-16 Receptac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309A true KR20130084309A (ko) 2013-07-24
KR101460928B1 KR101460928B1 (ko) 2014-11-13

Family

ID=4554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900A KR101460928B1 (ko) 2010-12-17 2011-12-16 리셉터클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19486B2 (ko)
EP (1) EP2652841B1 (ko)
JP (1) JP5888790B2 (ko)
KR (1) KR101460928B1 (ko)
CN (1) CN103329360B (ko)
WO (1) WO20120821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36B1 (ko) * 2020-01-15 2021-06-15 주식회사 경신 전원접속용 터미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4925B (zh) * 2009-07-03 2015-05-27 矢崎总业株式会社 阴端子
KR101598633B1 (ko) * 2009-11-11 2016-02-29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용 단자
DE202010003649U1 (de) * 2010-03-16 2010-07-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JP2014026830A (ja) * 2012-07-26 2014-02-06 Fujitsu Component Ltd ヘッダ、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ヘッダの製造方法
US8939787B2 (en) * 2012-08-27 2015-01-27 Schneider Electric USA, Inc. Dual material ground clip for a busway plug in unit
JP2014049375A (ja) * 2012-09-03 2014-03-17 Yazaki Corp 接続端子
US8979600B2 (en) * 2012-09-25 2015-03-1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holder and fuse clip assembly with dual directional bias element support
US8628335B1 (en) * 2012-12-07 2014-01-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DE102012223017B4 (de) * 2012-12-13 2020-10-0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tecker und einer Buchse
DE102013110818A1 (de) * 2013-09-30 2015-04-02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Leistungshalbleitereinrichtung
WO2015125682A1 (ja) * 2014-02-18 2015-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US9905952B2 (en) * 2014-07-24 2018-02-27 Fci Usa Llc Electrical power contact
JP5831611B1 (ja) * 2014-09-19 2015-12-0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EP3051635B1 (en) * 2015-01-30 2018-01-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ctric contact means and electrical cable assembly for the automotive industry
EP3262719B1 (en) 2015-02-27 2020-08-26 Byrne, Norman R. Electrical contact receptacle for bus bars and blade terminals
EP3065227A1 (de) 2015-03-06 2016-09-07 HILTI Aktiengesellschaft Mehrfachstecker auf Schiene
DE102016201103B4 (de) * 2016-01-26 2023-10-05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teil
CN107134674B (zh) * 2016-02-29 2021-04-2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连接件及连接组件
DE102016108069A1 (de) * 2016-05-02 2017-11-02 Valeo Systèmes d'Essuyage Kontaktelement zur Ausbildung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mit einem Gegenelement, elektrische Verbindung und Scheibenwischermotor
CN106099485B (zh) * 2016-07-29 2018-06-0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母端子
US10784595B2 (en) * 2016-08-01 2020-09-2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ower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DE102016221351A1 (de) * 2016-10-28 2018-05-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lachkontaktbuchse mit Ausleger
DE102017001166A1 (de) * 2017-01-31 2018-08-02 Kostal Kontakt Systeme Gmbh Kontaktlamelle für ein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und buchsenartiges Steckverbinderteil
CN106877095A (zh) * 2017-03-14 2017-06-20 深圳尼索科连接技术有限公司 插套式电连接装置
JP6807024B2 (ja) * 2017-04-14 2021-01-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
US10355389B2 (en) 2017-08-01 2019-07-16 Delphi Technologies, Llc High-current electrical terminal
US10116078B1 (en) 2017-08-01 2018-10-30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current compression blade connection system
US10573988B2 (en) 2017-08-01 2020-02-25 Delphi Technologies, Llc Cable assembly with strain relief
EP3467949B1 (en) * 2017-10-04 2021-04-21 Aptiv Technologies Limited High-current electrical connector
JP2019110074A (ja) * 2017-12-20 2019-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及びコネクタ
WO2019167434A1 (ja) * 2018-02-27 2019-09-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US10181673B1 (en) * 2018-05-29 2019-01-1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terminal for a junction box
DE102018215025A1 (de) * 2018-09-04 2020-03-0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Kontakt zum Zusammenstecken mit einem Gegenkontakt
JP7001632B2 (ja) * 2019-03-26 2022-01-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端子
CN110265815A (zh) * 2019-06-21 2019-09-20 陈丽霞 一种弯头连接器插孔
US10855014B1 (en) 2019-07-15 2020-12-01 Dinkle Enterprise Co., Ltd. Connector used with high-current terminal
DE102019119405A1 (de) * 2019-07-17 2021-01-21 Dinkle Electric Machinery (China) Co., Ltd. Verbinder für hochstromanschluss
JP7314012B2 (ja) * 2019-10-07 2023-07-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2021132001A (ja) * 2020-02-21 2021-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US11387585B2 (en) * 2020-08-05 2022-07-12 Aptiv Technologies Limited Anti-fretting/multiple contact terminal using knurl pattern
JP2022062780A (ja) * 2020-10-09 2022-04-21 I-Pex株式会社 端子
EP4258293A4 (en) * 2020-12-04 2024-05-01 Furukawa Electric Co Ltd SOCKET CONNECTOR, CONNECTOR, BUSBAR, ELECTRICAL WIRE WITH CONNECTOR, ELECTRICAL WIRE WITH CONNECTOR AND WIRING HARNESS
US11646510B2 (en) 2021-04-29 2023-05-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hielding electrical terminal with knurling on inner contact walls
EP4379968A1 (en) * 2021-07-27 2024-06-05 Furukawa Electric Co., Ltd. Female terminal, connector, terminal-attached electrical wire, connector-attached electrical wire, and wire harness
WO2023063283A1 (ja) * 2021-10-13 2023-04-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メス型端子、コネクタ、端子付き電線、コネクタ付き電線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
CN114156671A (zh) * 2021-12-02 2022-03-08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金属簧片结构及电连接器
EP4343972A1 (en) * 2022-09-23 2024-03-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Power interconne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8862A (en) 1988-12-05 1989-11-07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two bus bars
US4983132A (en) 1989-12-15 1991-01-08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bus bars
US4995814A (en) 1989-12-15 1991-02-26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blade-shaped members
US5013265A (en) 1990-04-27 1991-05-07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blade-shaped members
US4981449A (en) 1990-04-27 1991-01-01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mating multi-layer blade-shaped members
US5588884A (en) * 1995-09-08 1996-12-31 Packard Hughes Interconnect Company Stamped and formed contacts for a power connector
JP2000154773A (ja) * 1998-11-16 2000-06-06 Sumitomo Wiring Syst Ltd 点火ケーブル用高圧端子
US6416340B2 (en) * 2000-05-04 2002-07-09 Christopher E. Schaefer Single blade terminal power connector system
AUPQ822000A0 (en) 2000-06-16 2000-07-13 Australian Consulting And Training Pty Ltd Method and arrangement for forming construction panels and structures
US6276960B1 (en) * 2000-08-29 2001-08-21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system
US6485337B2 (en) * 2000-08-30 2002-11-26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US6287156B1 (en) * 2000-08-31 2001-09-11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US20030060090A1 (en) * 2001-09-21 2003-03-27 Allgood Christopher L. High current automotiv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DE10244946B4 (de) 2001-10-10 2011-08-11 Tyco Electronics AMP GmbH, 64625 Kontaktbuch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6692316B2 (en) * 2002-04-16 2004-02-17 Delphi Technologies, Inc. High current terminal blade type sealed connection system
JP3861777B2 (ja) 2002-09-04 2006-12-20 住友電装株式会社 導電材
DE102004015345A1 (de) * 2004-03-30 2005-10-27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r Steckhülsenkontakt für Hochstromanwendungen
DE102005033696B4 (de) 2004-07-29 2023-06-2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DE102005017988B3 (de) 2005-04-19 2006-11-16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 Kontakthülse
US7601019B2 (en) * 2007-06-22 2009-10-1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7499262B1 (en) 2007-09-11 2009-03-03 Lear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bus bar
US7766706B2 (en) * 2008-11-17 2010-08-03 J. S. T. Corporation Female terminal assembly with compression cli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36B1 (ko) * 2020-01-15 2021-06-15 주식회사 경신 전원접속용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82161A1 (en) 2012-06-21
EP2652841A1 (en) 2013-10-23
US20120156947A1 (en) 2012-06-21
CN103329360B (zh) 2016-03-23
EP2652841B1 (en) 2015-12-09
CN103329360A (zh) 2013-09-25
US8419486B2 (en) 2013-04-16
KR101460928B1 (ko) 2014-11-13
JP5888790B2 (ja) 2016-03-22
JP2013546151A (ja)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928B1 (ko) 리셉터클 단자
JP6592127B2 (ja) 端子金具
US9793620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 blade connector
EP2533369B1 (en) Female terminal for connector
JP7118675B2 (ja) コンタクトキャリア、電気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既製のケーブルを作製する方法
EP2893596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40273628A1 (en) Right angle header assembly
JP2018524785A (ja) 端子金具
US8939802B2 (en) Connection terminal with spring portions
CN110581398B (zh) 电力端子连接器
EP2761701B1 (en) Female terminal
CN114696140A (zh) 用于车辆的电连接装置及车辆
CN114465032A (zh) 电连接器组件
JPH09204944A (ja) 積重ね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142929B2 (en) Socket
CN114556712B (zh) 连接器
CN209804966U (zh) 一种直头连接器插孔
US11381009B2 (en) Contact and connector
EP2859622B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4446477B2 (ja) コネクタ
CN220797152U (zh) 连接器端子、电连接组件、连接器模块和连接器
JP2014086170A (ja) 圧接コネクタ及び端子装着方法
CN108140973B (zh) 用于接触器的接触组件和具有接触器的电气组件
KR101801439B1 (ko) 압접 커넥터 및 전선 부착 압접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