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299A - 다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3299A KR20130083299A KR1020120003997A KR20120003997A KR20130083299A KR 20130083299 A KR20130083299 A KR 20130083299A KR 1020120003997 A KR1020120003997 A KR 1020120003997A KR 20120003997 A KR20120003997 A KR 20120003997A KR 20130083299 A KR20130083299 A KR 201300832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ee
- vertical support
- support
- leg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상하로 길게 뻗는 부분을 가지는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직지지부와 수직지지부 위쪽에 수직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무릎고정부를 가진 무릎지지대,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 고정부, 무릎고정부와 발 고정부 사이에서 수직지지대나 수직지지부에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 수평 지지대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아리 고정부, 그 하단부는 무릎고정부 상부의 좌우 방향 양측 가운데 일측에 관절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측면 보조대를 구비하는 대퇴부 지지대, 두 측면 보조대 사이에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대퇴부 고정부를 구비하여 착용중에도 무릎을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비골 자체의 휨에 의한 휜 다리와 무릎관절과 연관된 O형 다리와 같은 다리 형태 이상을 모두 교정할 수 있고, 지나친 압력을 가함에 의한 무릎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간단하고 융통성있는 구조로 하여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비골 자체의 휨에 의한 휜 다리와 무릎관절과 연관된 O형 다리와 같은 다리 형태 이상을 모두 교정할 수 있고, 지나친 압력을 가함에 의한 무릎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간단하고 융통성있는 구조로 하여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행과도 관련된 O형 다리나 휜 다리(경골 내반)와 같은 다리의 형태적 이상을 교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달리 완전한 형태의 직립보행을 한다. 네발 동물에 비해 다소 불안하게 보일 수 있는 두 다리를 가지고 보행 및 주행을 하기 위해, 인간은 다른 포유류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의 다리 및 발의 골격과 근육구조를 가지면서도 세부적으로는 이들을 독특한 형태로 변화시켜 왔다.
다리와 발이 인체 하중 대부분을 지탱하면서 도약과 주행과 보행의 기능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형태적 병리가 없어야 하며, 선척적이거나 후천적인 형태 이상은 심화되기 전에 교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리의 형태적 병리에서 대표적인 예시로서 O자형 다리와 휜 다리가 있다. O자형 다리는 바른 자세로 섰을 때 두발은 맞닿지만 무릎이 붙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고, 휜 다리는 무릎은 붙지만 종아리의 바깥쪽이 O형으로 휜 경우를 의미한다. O자형 다리와 반대로 무릎은 붙어 있으나, 두 발이 붙지 않는 X자형 다리라는 형태적 병리도 있다.
휜 다리는 뼈가 휜 경우와 관절에 주로 이상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관절의 문제로 인해 다리뼈의 정렬 상태가 바뀌어 다리가 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이를 많이 업어서 키우고, 집에서는 주로 바닥에 앉아 생활하는 전통적 생활 문화가 휜 다리라는 형태적 병리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다리의 형태적 병리는 단순히 형태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팔자걸음이나 안짱걸음과 같은 보행의 병리와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으며, 골반이나 척추등의 다른 신체 부위의 형태와 기능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초기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런 다리의 형태적인 이상은 대개의 경우 다리를 교정하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교정이 가능하다.
도1은 TTLL 형식 교정장치라고 하는,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런 교정장치는 대략 직선형상 수직막대이며 하부가 수평으로 구부러져 "ㄴ"자 형상인 지지대(1)와, 이 지지대(1) 상부에 횡으로 형성되는 대퇴부후방판, 이 지지대의 수평으로 구부러진 하부에 횡으로 형성되는 신발고정판, 대퇴부후방판의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통공을 이용하여 그 위치가 결정되어 설치되는 밴드연결부 및 결합밴드, 신발고정판의 수평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통공을 이용하여 그 위치가 결정되어 설치되는 교정용신발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런 교정장치에서는 신발로 고정된 발부분과 밴드로 고정된 허벅지 부분에 의해 힘을 가해 O형 다리를 교정하는 데 이런 형태로는 종아리부분을 잡아주는 고정밴드가 없어 정강뼈나 종아리뼈 자체의 휘어짐은 교정하기 어렵고, 양 무릎 관절 부분이 벌어진 관절 문제에 따른 O형 다리를 교정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또한, 양 발을 함께 묶어 고정하는 형태로 교정시의 않거나 다른 자세로 몸을 바꾸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도2는 TCR 형식 교정장치라고 하는, 종래의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 교정장치는 각 다리에 착용된다. 이 교정장치는 ㄱ자 형태로 상부가 무릎 위쪽에서 수평으로 굽은 상부 수직지지대와 이 ㄱ자형 상부 수직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가 ㄴ자형태로 수평으로 굽어있는 하부 수직지지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하부 수직지지대의 수평으로 굽은 부분에는 발 및 발목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용 신발이 설치되고, 상부 수직지지대에는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굽은 무릎 위쪽과 종아리부에 각각 고정용 밴드가 설치된다.
이런 교정장치에는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과 이들 사이의 종아리부 한 부분(주로 종아리뼈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고정하여 다리 뼈의 형태나 정렬 상태를 바로잡는 것이지만 고정하는 부분이 무릎 위쪽(허벅지쪽)의 다리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무릎과 발목 사이의 다리뼈를 정확히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무릎 위쪽의 다리 부분을 고정하면 무릎 관절은 유동성이 있는 부분이므로 그 고정의 효과가 무릎 관절을 지나면서 왜곡되고, 한편으로 무릎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오히려 무릎을 상하게 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종아리뼈와 정강뼈의 휘어짐의 문제보다는 양 무릎관절이 서로 벌어져서 생기는 O형 다리 이상에는 충분한 교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휜 다리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장 적절한 부분들을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하여 종아리 부분의 뼈 자체의 휨에 의한 휜 다리 문제와 두 무릎 관절이 벌어지는 형태의 O형 다리 문제 모두에 함께 교정의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본 발명은 착용하기에 편리하고 간단하면서도 착용 중에도 인체 자세 변형이 비교적 용이한 구성의 다리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리 자세 이상을 교정하면서 이로 인하여 다리의 일 부분에 무리하고 적절하지 않은 힘이 가해져 다른 손상을 가져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리 교정장치는, 상하로 길게 뻗는 부분을 가지는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직지지부와 수직지지부 위쪽에 수직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무릎고정부를 가진 무릎지지대,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 고정부, 무릎고정부와 발 고정부 사이에서 수직지지대나 수직지지부에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 수평 지지대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아리 고정부, 그 하단부는 무릎고정부 상부의 좌우 방향 양측 가운데 일측에 관절식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상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측면 보조대를 구비하는 대퇴부 지지대, 두 측면 보조대 사이에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대퇴부 고정부를 구비하여 착용중에도 무릎을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무릎고정부는 막대 형태의 수직지지부의 상단에서 양쪽으로 뻗는 두 날개부가 무릎부분을 감싸되 무릎 앞쪽에서는 두 날개부는 서로 간격을 둔 상태가 되거나, 신축성이 날개부보다 더 강한 재질의 마감재로 연결되어 무릎을 고정하면서도 무릎을 구부려 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두 날개부는 각각 무릎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뼈부분에 대응하여 무릎에 대향하는 내면이 좌우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오목부를 가지거나, 돌출되는 뼈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홀 형태를 만들거나, 뼈부분을 회피하도록 날개부 각각이 상하로 갈라지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가 무릎을 구부려 앉을 수 있도록 하면서 이런 구성을 이루기 위해 날개부 혹은 날개부 상단 라인은 무릎 뒤쪽에서 양쪽으로 뻗어 무릎을 감싸도록 앞쪽으로 연장될 때 전체적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무릎 고정부는 수직지지부와 무릎고정부가 일체로 만들어지면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수직지지대는 하단이 수평하게 앞쪽으로 구부러져 절곡부 혹은 수평부를 이루면서 수직지지대 전체로는 "ㄴ"자 형태를 이루고, 절곡부 위에는 발 고정부를 설치할 수 있다.
발 고정부는 본 발명의 다리 교정장치 사용자가 발 크기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도록 발의 내측 및 외측 측방 가운데 내측 측방에만 그리고 전방 및 후방 가운데 후방에만 갑피 혹은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령, 발볼이 가장 넓은 위치에서 외측 갑피 혹은 외측 측벽을 없애고 단순히 띠형태의 밴드로 발을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만들고, 샌들과 같이 앞쪽으로는 갑피가 없이 뒤쪽에만 벽체를 만들 수 있다. 발 뒤꿈치 쪽으로는 발이 뒤로 밀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측벽을 설치할 때에도 발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비해 연장 길이를 줄이거나 높이를 낮추어 형성할 수 있다.
발 고정부는 샌들 형태로 이루어져 발목 관절과 볼이 넓은 부분을 포함하는 발 부분을 각각 띠나 밴드로 고정하는 것일 수 있고, 발의 회전을 통해 발이 수평면 상에서 정면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고 지향하는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퇴부 지지대는 무릎고정부를 이루는 두 날개부에 하나씩 두 개의 막대형태의 측면보조대로 형성할 수 있고, 각각의 측면보조대는 무릎고정부 양 측부에 회동가능하게 핀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착용자가 무릎을 구부려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대퇴부 지지대를 이루는 두 측면보조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홀이 형성되고, 대퇴부 고정 밴드의 양 측면은 측면보조대 사이에 설치할 때 홀을 통과하는 핀이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하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종아리고정부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두 단부가 서로 체결되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종아리를 한바퀴 둘러싸는 형태로 신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평지지대는 좌우로 뻗은 막대의 형태를 가지는 좌우조절부와 좌우조절부 한쪽 끝단에서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는 막대 형태의 전후조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좌우조절부와 전후조절부에는 막대에 길게 위치 조절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전후조절부에 종아리고정부가 볼트나 핀 등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종아리 고정부는 수직지지대의 상하로 긴 홀에 의해 수평지지대 결합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상하로 조절될 수 있고, 수평지지대의 좌우조절부의 홀에 의해 좌우 폭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전후조절부의 홀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가장 적절한 3차원상의 위치에서 종아리의 교정에 필요한 부분을 잡아 힘을 줄 수 있다.
상하, 좌우, 전후 조절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수직지지대, 수직지지부, 대퇴부 지지대, 수평지지대의 좌우조절부, 전후조절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는 측정용 눈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휜다리 교정을 위해 경비골이라 불리는 정강뼈 및 종아리뼈의 상부, 하부를 각각 무릎고정부와 발 고정부를 이용하여 잡아주면서 이들 상부, 하부 사이에 있는 임의의 위치, 바람직하게는 종아리뼈의 가장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종아리 고정부로 잡아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경비골 자체의 휨에 의한 휜 다리와 같은 다리 형태 이상을 교정할 수 있고, 동시에 대퇴부 고정부 및 발 고정부로 다리 전체의 상부와 하부를 잡아주면서 중간에 있는 무릎고정부를 통해 무릎을 바른 위치에서 잡아 다리 전체를 바른 상태로 고정하게 되므로 무릎관절과 연관된 O형 다리와 같은 다리 형태 이상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각 고정부는 필요한 범위에서 서로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다리 전체에서 필요한 곳을 잡아주는 구조에 있어서도 무릅고정부를 탄성있는 재질로 고정하게 되므로 바른 위치로 압력을 가하되 지나친 압력을 가함에 의한 무릎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휜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무릎고정부와 수직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게 되어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발고정부를 융통성있는 구조로 하여 발 크기에 상관없이 동일한 교정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이즈별로 교정장치를 만들 필요가 없어져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착용자가 착용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의자에 앉거나 서는 자세를 바꿀 수 있고, 각 발에 나누어 착용되므로 발을 벌리는 것도 자유로와 교정장치 착용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사진, 측면사진, 후면사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도 착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도록 변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사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무릎고정부의 날개 형태가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사진, 측면사진, 후면사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도 착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도록 변형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사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무릎고정부의 날개 형태가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리 교정장치는 기본 프레임을 이루는 수직지지대(10)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수직지지대(10)는 본체 하단에서 전방으로 굴곡된 절곡부(13)를 가져 전체적으로는 ㄴ자 형태가 된다. 수직지지대(10)의 본체인 수직부분 상부에는 무릎지지대의 수직지지부(21)가 상하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해서는 결합되는 두 부분에 홀을 형성하되 이들 가운데 적어도 한 부분에는(여기서는 두 부분 모두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홀(12, 22)을 뚫거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홀을 뚫고, 두 부분 각각에 형성된 홀의 일부를 겹치도록 정렬하고, 홀을 통과하는 볼트(미도시)의 머리 부분과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미도시) 사이에 홀을 이루는 두 부분이 위치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조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너트를 풀고 수직지지부(21)를 필요에 따라 움직이고 너트를 다시 조여 연장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수직지지부(21)의 상단에는 무릎고정부(23)가 수직지지부와 일체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전체로서 무릎지지대(20)를 형성하고 있다. 이런 무릎지지대(20)는 사출 등의 가공방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은 쉽게 파손, 변형되지 않는 기계적 강성과, 무릎관절이 제 위치를 벗어날 때 일부 변화를 허용하여 관절의 무리, 손상을 막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제 위치로 돌아가도록 하는 압력을 주도록 강한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릎고정부(23)는 막대 형태의 수직지지부(21)의 상단에서 양쪽으로 뻗는 두 날개부(231, 232)가 무릎부분을 감싸되 무릎 앞쪽에서는 두 날개부(231, 232)는 서로 간격을 둔 상태가 되거나, 신축성이 날개부보다 더 강한 재질의 마감재(이 실시예에서는 미도시)로 연결되어 무릎을 고정하면서도 무릎을 구부려 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날개부는 무릎관절 전체의 좌, 우측 움직임이나 적어도 무릎관절을 이루는 정강뼈와 종아리뼈 상단의 좌, 우측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무릎관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두 날개부는 각각 무릎에서 좌우측으로 돌출된 뼈부분에 대응하여 무릎에 대향하는 내면이 좌우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오목부(미도시)를 가지거나,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출되는 뼈부분을 회피하도록 무릎고정부(23)의 날개부(231)가 상지(231a)와 하지(231b)로 갈라져 그 사이 공간(231c)에는 무릎관절에 있는 돌출된 뼈부분이 놓일 수 있게 형성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지만 날개부에서 뼈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날개부에 홀(hole)을 만들수도 있다. 날개부 내측에는 신체와 닿는 부분에 멍이 들거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우레탄폼이나 고무와 같은 완충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착용자가 무릎을 구부려 앉을 수 있도록 하면서 이렇게 날개부를 상하로 갈라지게 하거나 홀을 뚫는 구성을 이루기 위해 날개부 혹은 날개부 상단 라인(L)은 무릎 뒤쪽에서 양쪽으로 뻗어 무릎을 감싸도록 앞쪽으로 연장될 때 전체적으로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어 가상의 수평선(H)과 경사각(Ta)를 이루도록 한다. 이는 무릎을 구부리기 위해서는 신체에서 무릎 뒤쪽의 구부러지는 부분이 좌우로 돌출되는 뼈부분과 같은 수준(높낮이 상의 위치)에 있거나 더 낮은 수준에 있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다.
수직지지부(21)에는 수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설치될 때 좌우방향으로 길게 뻗은 막대 혹은 플레이트 형태의 좌우조절부(31)와 전후방향으로 길게 뻗은 전후조절부(33)를 가져 전체적으로는 ㄴ자형 프레임을 이루고 있는 수평지지대(30)가 결합되어 있다. 결합은 수직지지부(21)에 형성된 상하 방향의 긴 홀과 좌우조절부(31)에 형성된 긴 좌우홀(32)의 일부를 겹치고 이들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거기에 체결되는 너트를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수평지지대(30)의 전후조절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후홀(34)이 형성되어 있고, 종아리고정부(40)에 구비된 볼트같은 결합수단(미도시)이 이 전후홀(34)을 통과한 뒤 너트(42)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고정되면 전후조절부(33)와 종아리고정부(40)가 위치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종아리고정부(40)는 종아리의 한 부분을 둘러 감싸는 밴드나 벨트 형태로 만들어져 있고, 벨크로(찍찍이)를 이용하거나 도시되듯이 롤러블레이드 등에 많이 사용되며 띠에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어 한 방향으로만 줄이기 쉽도록 되어있는 톱니 고정 벨트(47) 및 버클(48)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 상하, 좌우, 전후 조절을 위해 형성된 긴 홀들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주변에는 조절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조절 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 표시가 만들어질 수 있다. 가령, 수직지지대(10), 수직지지부(21), 좌우조절부(31), 전후조절부(33), 대퇴부 지지부의 측면보조대(52) 등에는 홀 주변에 자와 같은 형태의 눈금이 형성될 수 있고, 눈금에는 필요에 따라 수치가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홀을 관통하는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풀고 서로 결합되는 부품을 위치에 맞게 정렬하되 홀 주변에 형성된 눈금과 그에 따른 수치를 고려하여 결합되는 부품을 정렬, 고정하면 부품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수직지지대(10) 본체의 하단에서 수평면 상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13) 위에는 지향조절판(미도시)이 설치되고, 지향조절판 위에는 발 고정부(70)가 설치된다. 발 고정부(70)에 발을 고정하기 위해 발목 부분과 발볼이 넓은 부분에 각각 이미 언급한 톱니 고정 벨트(72) 및 벨크로(71)가 체결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발 고정부(70)는 대략 샌들 형태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도록, 발볼이 가장 넓은 위치에서는 외측 갑피 혹은 외측 측벽을 없애거나 좁고 낮게 형성하여 체결용 밴드 결합을 위한 띠처럼 사용하고, 내측 벽체(73)는 명확하게 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발 뒤꿈치에서는 발이 뒤로 밀리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측벽 혹은 갑피를 설치하면서 발 뒷단에서 발 외측으로 연장되는 측벽 부분(75)은 발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벽 부분(76)에 비해 연장 길이가 작고, 높이도 낮추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 뒷단과 외측단을 발 고정부 측벽에 고정한 상태로 발목과 발볼을 고정하는 띠 혹은 밴드를 톱니 고정 벨트(72) 및 벨크로(71)를 이용하여 자신의 발 크기에 맞게 체결하거나 죄면 된다.
또한, 지향조절판을 이용하면 발 고정부는 발의 회전을 통해 발이 수평면 상에서 정면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고 지향하는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발의 형태적 병리를 교정하는 교정장치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다리의 형태적인 병리는 발의 형태적 병리나 보행자세와 관련된 경우가 많고, 다리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발의 자세도 바뀔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의 교정과 다리의 교정을 함께할 수 있도록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다리 교정에 있어서 더 바람직한 것이 될 수 있다. 단, 지향조절판 주변의 구체적 구성과 형태는 이전 교정장치들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을 차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대퇴부 지지대(50)는 무릎고정부(23)를 이루는 두 날개부(231, 232)의 외측면에 하나씩 결합되는 두 개의 막대형태의 측면보조대(52)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면보조대는 무릎고정부(23) 가장 상단을 이루는 날개부(231, 232)의 양 측부에 그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핀(54)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관절과 같은 구성을 이루어, 착용자가 무릎을 구부리면 무릎지지대(20)와 대퇴부 지지대(50) 사이의 각도가 변하면서 착용자는 의자에 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핀(54)은 좌, 우 방향으로 설치되며, 측면보조대(52)는 그 상단이 핀(54)을 중심으로하여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대퇴부 지지대(50)를 이루는 두 측면보조대(52)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상하홀(59)이 형성되고, 대퇴부 고정 밴드(60)의 좌, 우 측단에는 외측으로 볼트가 설치되어 이들 볼트가 착용자에 맞는 위치에서 상하홀을 관통하면 상하홀(59) 외측에서 너트(62)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대퇴부 지지대(50)에 대퇴부 고정 밴드(60)를 고정할 수 있다.
장착자가 무릎을 구부리면서 앉을 때에는, 대퇴부에 고정된 대퇴부 고정 밴드(60)와 측면보조대를 무릎보호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핀(54)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무릎을 구부려 착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대퇴부에 조여서 고정된 대퇴부 고정 밴드(60)와 측면보조대(52)(혹은 측면 보조대에 형성된 상하홀)를 체결하고 있는 볼트 너트(62)같은 체결수단을 조금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착용자가 다리를 구부릴 때 대퇴부 고정 밴드(60)가 가령 핀(54)에서 멀어지면서 측면보조대(52)는 핀(5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큰 무리 없이 착용자가 앉을 수 있고, 다시 고정을 위해 체결수단인 너트(62)를 조여준다.
이상에서 언급된 실시예에서 볼트 대신에 측면보조대(52)와 대퇴부 고정 밴드(60) 사이의 체결수단을 리벳이나 핀을 쓰고, 밴드에서 돌출되어 측면보조대(52)의 상하홀(59)을 통과한 리벳이나 핀의 단부에서 지름을 키워서 상하홀(59)의 폭보다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경우, 너트를 체결할 필요가 없이 리벳이나 핀은 측면보조대의 상하홀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상하홀 범위에서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위의 예에서와 같이 볼트 너트를 무릎을 구부릴 때마다 풀어주고 죄어줄 필요가 없게 되므로 더욱 편리하게 무릎을 수시로 굽히거나 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런 정도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수직지지대 12, 22: 홀
13: 절곡부 20: 무릎지지대
21: 수직지지부 23: 무릎고정부
231,232: 날개부 30: 수평지지대
31: 좌우조절부 32: 좌우홀
33: 전후조절부 34: 전후홀
40: 종아리 고정부 42, 62: 너트
47: 톱니 고정 벨트 48: 버클
50: 대퇴부 지지대 52: 측면보조대
54: 핀 59: 상하홀
60: 대퇴부 고정부 70: 발 고정부
71: 벨크로 72: 톱니 고정 벨트
13: 절곡부 20: 무릎지지대
21: 수직지지부 23: 무릎고정부
231,232: 날개부 30: 수평지지대
31: 좌우조절부 32: 좌우홀
33: 전후조절부 34: 전후홀
40: 종아리 고정부 42, 62: 너트
47: 톱니 고정 벨트 48: 버클
50: 대퇴부 지지대 52: 측면보조대
54: 핀 59: 상하홀
60: 대퇴부 고정부 70: 발 고정부
71: 벨크로 72: 톱니 고정 벨트
Claims (5)
- 상하로 길게 뻗는 부분을 가지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수직지지부와 상기 수직지지부 위쪽에 상기 수직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무릎고정부를 가진 무릎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발 고정부,
상기 무릎고정부와 상기 발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수직지지대나 상기 수직지지부에 상하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아리 고정부,
하단부는 상기 무릎고정부 상부의 좌우 방향 양측 가운데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단부는 전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측면 보조대를 구비하는 대퇴부 지지대,
상기 두 측면 보조대 사이에 상하로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대퇴부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대퇴부 지지대와 상기 무릎고정부가 결합된 부분은 관절과 같이 작용하여 착용중에도 무릎을 굽히거나 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고정부는 상기 수직지지부의 상단에 상기 수직지지부와 일체로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무릎 뒤쪽에 있는 상기 수직지지부로부터 양쪽으로 무릎 감싸면서 무릎 앞쪽을 향해 돌출되는 두 개의 날개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날개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무릎에서 좌측 혹은 우측으로 돌출된 뼈부분에 대응하여 무릎에 대향하는 내면이 상기 돌출된 뼈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좌측 혹은 우측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오목부를 가지거나, 상기 돌출된 뼈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거하여 홀 형태를 만들거나, 상기 돌출된 뼈부분을 회피하도록 상, 하의 두 가지로 갈라지게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상단이 이루는 라인은 무릎 뒤쪽에서 앞쪽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볼 때 상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하단에 수평하게 앞쪽으로 구부러진 절곡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는 "ㄴ"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발 고정부는 상기 절곡부 위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발 크기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도록 발의 내측 및 외측 측방 가운데 내측 측방에만 그리고 전방 및 후방 가운데 후방에만 갑피 혹은 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는 좌, 우 방향으로 뻗은 막대의 형태를 가지는 좌우조절부와 상기 좌우조절부 한쪽 끝단에서 전, 후 방향을 향하도록 구부러져 연장되는 막대 형태의 전후조절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조절부와 상기 전후조절부에는 각각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길게 좌우홀과 전후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후조절부에 상기 종아리고정부가 상기 전후홀을 이용하여 전후방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997A KR101352480B1 (ko) | 2012-01-12 | 2012-01-12 | 다리 교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997A KR101352480B1 (ko) | 2012-01-12 | 2012-01-12 | 다리 교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3299A true KR20130083299A (ko) | 2013-07-22 |
KR101352480B1 KR101352480B1 (ko) | 2014-01-17 |
Family
ID=48994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997A KR101352480B1 (ko) | 2012-01-12 | 2012-01-12 | 다리 교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2480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014B1 (ko) * | 2014-07-31 | 2015-01-27 | 김웅범 |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
KR101720493B1 (ko) * | 2015-09-30 | 2017-03-28 | (주)오케이메디텍 | 전후방 복합식 십자인대 재활기구 |
CN107874889A (zh) * | 2017-11-19 | 2018-04-06 | 于朝用 | 一种腿部骨骼夹板固定器 |
WO2018190582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다리 교정 장치 |
WO2018190580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CN108784900A (zh) * | 2018-06-12 | 2018-11-13 | 刘艳荣 | 一种辅助鞋套 |
CN108992225A (zh) * | 2018-06-20 | 2018-12-14 | 深圳市福尔泰医疗科技有限公司 | 万向马蹄足矫形器 |
GB2547109B (en) * | 2016-02-04 | 2021-04-07 | Made For Movement Group As | A walk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3289B1 (ko) * | 2014-12-16 | 2015-04-20 | 주식회사 알푸스 | 경골역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지 교정 방법 |
KR20180055131A (ko) * | 2016-11-16 | 2018-05-25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인체공학적 상지 거치장치 |
KR102024636B1 (ko) * | 2017-02-21 | 2019-09-25 | (주)헥사시스템즈 | 무릎 관절 재활기구 |
KR101964790B1 (ko) * | 2017-05-29 | 2019-04-03 | 김용석 | 관절 교정기구 |
KR102095762B1 (ko) * | 2019-07-29 | 2020-04-01 |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 휜 다리 변형에 대한 하부 체형 및 보행 교정용 압박 의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91685B1 (ko) * | 1999-04-20 | 2001-05-15 | 신정빈 | 다리 및 발 교정기 |
KR100604615B1 (ko) * | 2004-11-24 | 2006-07-31 | 염미경 | 다리 교정기 |
DE102008024748A1 (de) | 2008-05-20 | 2009-12-03 | Otto Bock Healthcare Gmbh | Knieorthese sowie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nieorthese |
-
2012
- 2012-01-12 KR KR1020120003997A patent/KR101352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6014B1 (ko) * | 2014-07-31 | 2015-01-27 | 김웅범 | 장애우용 보행 보조장치 |
KR101720493B1 (ko) * | 2015-09-30 | 2017-03-28 | (주)오케이메디텍 | 전후방 복합식 십자인대 재활기구 |
GB2547109B (en) * | 2016-02-04 | 2021-04-07 | Made For Movement Group As | A walker |
WO2018190582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다리 교정 장치 |
WO2018190580A1 (ko) * | 2017-04-14 | 2018-10-18 | 송동호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JP2020511235A (ja) * | 2017-04-14 | 2020-04-16 | ソン・ドンホSONG, Dongho | 脚矯正装置 |
US10702411B2 (en) | 2017-04-14 | 2020-07-07 | Dong Ho SONG | Varus/valgus correcting device |
CN107874889A (zh) * | 2017-11-19 | 2018-04-06 | 于朝用 | 一种腿部骨骼夹板固定器 |
CN108784900A (zh) * | 2018-06-12 | 2018-11-13 | 刘艳荣 | 一种辅助鞋套 |
CN108992225A (zh) * | 2018-06-20 | 2018-12-14 | 深圳市福尔泰医疗科技有限公司 | 万向马蹄足矫形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52480B1 (ko) | 2014-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2480B1 (ko) | 다리 교정장치 | |
EP2637612B1 (en) | Ankle foot orthopaedic devices | |
KR101848640B1 (ko) | 내외반슬 교정 장치 | |
US10463521B2 (en) | Shoe-internal brace for drop foot and similar conditions | |
US10105252B2 (en) | Orthotic device | |
US20150297386A1 (en) | Orthotic method and device for newborn babies | |
JP3218602U (ja) | 足部補助具 | |
JP6792087B2 (ja) | 脚矯正装置 | |
KR101056621B1 (ko) |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 |
JP7386316B2 (ja) | 曲がった脚変形に対する下部体形及び歩行矯正用圧迫衣類 | |
KR100291685B1 (ko) | 다리 및 발 교정기 | |
KR20190052736A (ko) | 셀프 맞춤형 발바닥 교정구 | |
KR200468942Y1 (ko) | 다리 교정장치 | |
JP6595965B2 (ja) | 歩行支援装具 | |
KR101922492B1 (ko) | 착탈식 하지 보조기 | |
CN210811798U (zh) | 一种踝足矫形器 | |
CN211095040U (zh) | 一种便于矫正腿型腿雕 | |
JP2007007311A (ja) | プラスチック製短下肢装具 | |
US20190224032A1 (en) | External ankle brace | |
JP2005279153A (ja) | 歩行矯正器 | |
KR200443470Y1 (ko) | 자세교정기 | |
KR101563701B1 (ko) | 체형 교정이 되는 발목 보조기 및 그 착용 방법 | |
TWI783766B (zh) | 足下垂矯正用具 | |
JP2020089639A (ja) | 人体装具 | |
KR200450944Y1 (ko) | 발가락 교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