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42Y1 - 다리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42Y1
KR200468942Y1 KR2020110006154U KR20110006154U KR200468942Y1 KR 200468942 Y1 KR200468942 Y1 KR 200468942Y1 KR 2020110006154 U KR2020110006154 U KR 2020110006154U KR 20110006154 U KR20110006154 U KR 20110006154U KR 200468942 Y1 KR200468942 Y1 KR 200468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ee
fixing
calf
ankle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356U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2020110006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4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상하로 길게 뻗는 부분을 가지는 수직지지대, 무릎 관절에서 무릎 관절의 아래쪽 다리뼈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무릎고정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발목고정부, 무릎고정부와 발목고정부 사이의 종아리 부분의 일 지점을 고정하기 위한 종아리고정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해 상기 무릎고정부와 상기 종아리고정부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무릎매개조절대와 종아리매개조절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다리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휜다리 교정을 위해 무릎관절 아래, 발목 관절 위쪽에 있는 다리뼈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힘을 줄 수 있어서 휜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신체 성장에 따라서 고정 위치를 적시에 조절할 수 있고, 조절 가능 범위 내에서는 다른 신체 사이즈를 가진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교정기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고, 교정기를 사람마다 맞춤식으로 조제할 필요가 없이 표준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리 교정장치{apparatus for manipulating legs}
본 고안은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행과도 관련된 O형 다리, X형 다리와 같은 형태적 문제를 교정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다리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리의 형태적 문제로 대표적인 것으로 O자형의 휜 다리가 있다. O자형 휜 다리는 바른 자세로 섰을 때 두발은 맞닿지만 무릎이 붙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밖에도 다리의 형태적 문제로 O자형 휜 다리와 반대로 무릎은 붙어 있으나, 두 발이 붙지 않는 경우를 의미하는 X자형 휜 다리가 있다. 이런 휜다리의 문제는 단순히 형태적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고, 팔자걸음이나 안짱걸음과 같은 보행의 병리와 밀접하게 관련될 수 있으며, 다른 신체 부위의 형태와 기능의 문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휜 다리는 뼈가 휜 경우와 관절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관절의 문제로 인해 다리뼈의 정렬 상태가 바뀌어 다리가 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업어서 키우고, 바닥에 앉아 생활하는 좌식 생활이 휜 다리가 발생되는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다리뼈의 기형에는 발의 구조가 밀접하게 관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정상적인 발 구조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 가령, 발의 뒤꿈치뼈의 비정상은 다리 형태의 이상을 가져오거나 보행상의 문제를 유발하고, 그 결과로서 다시 다른 발의 형태적 기능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런 다리의 형태적인 이상은 대개의 경우 다리를 교정하는 보조기구를 사용하여 교정이 가능하다.
도1은 종래의 휜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각 다리에 ㄱ자로 굽은 수직지지대를 중심으로 무릎 위쪽과 종아리부에 고정용 밴드가 설치되고, 고정 지지대의 하단에는 발 및 발목 부분을 고정하는 고정용 신발이 설치된다. 무릎 위쪽은 수평으로 굽은 부분에 있고, 종아리부 고정용 밴드 및 고정용 신발은 수직으로 된 부분에 설치된다.
도2도 종래의 휜다리 교정장치의 다른 한 예를 나타내며, 하나의 다리에 대해 측면에 있는 두 지지대를 이용하여 지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무릎 위쪽 허벅지 부분과 종아리의 정강뼈 튀어나온 부분에 고정용 밴드가 설치되고, 고정 지지대의 하단에는 고정용 신발이 설치되는 구성은 공통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런 형태의 교정장치에서는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과 이들 사이의 종아리부 한 부분(주로 정강뼈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고정하여 다리 뼈의 형태나 정렬 상태를 바로잡는 것이지만 고정하는 부분이 무릎 위쪽(허벅지쪽)의 다리 부분을 고정함으로써 무릎과 발목 사이의 다리뼈를 정확히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무릎 위쪽의 다리 부분을 고정하면 무릎 관절은 유동성이 있는 부분이므로 그 고정의 효과가 무릎 관절을 지나면서 왜곡되고, 한편으로 무릎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오히려 무릎을 상하게 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고정용 밴드나 고정용 신발이 수직지지대에 단순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조절이 가능한 경우라도 어느 한쪽으로만 조절이 가능하여 다리의 여러가지 휜 상태에 대응하여 가장 적절한 위치에서 다리 부분을 지지하거나 고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교정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휜 다리의 가장 적절한 부분을 3차원 입체적으로 가장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하여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다리의 기형 정도나 치료에 따른 교정 정도, 신체 크기나 성장에 따른 변화에 맞추어 필요한 부분을 가장 정확히 고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무릎 관절의 아래쪽 다리뼈(정강뼈 및 종아리뼈)부분을 고정함으로써 무릎 관절을 통해 교정장치가 다리를 교정하기 위해 미치는 압력이 완화되거나 왜곡되고 더욱이 무릎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는 다리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로 길게 뻗는 부분을 가지는 수직지지대, 무릎 관절에서 무릎 관절의 아래쪽 다리뼈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무릎고정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발목고정부, 무릎고정부와 발목고정부 사이의 종아리 부분의 일 지점을 고정하기 위한 종아리고정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대해 상기 무릎고정부와 상기 종아리고정부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는 무릎매개조절대와 종아리매개조절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다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무릎매개조절대 및 종아리매개조절대는 좌우로 뻗은 가로막대의 형태를 가지는 좌우조절부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수직지지대에서 상하 및 좌우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무릎고정부와 종아리고정부는 각각 무릎과 종아리 부분에 결합되거나 해당 부위를 지지 혹은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무릎고정부와 종아리고정부는 무릎매개고정대와 종아리매개고정대의 전후로 뻗은 막대 형태를 가지는 전후조절부를 따라 전후로 움직여 전후 위치가 조절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하, 좌우, 전후 조절을 위한 조절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서는 조절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조절 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무릎매개조절대 및 종아리매개조절대의 좌우로 뻗은 가로막대, 전후로 뻗은 막대를 따라 좌우홀이나 전후홀이 형성되면 이들 홀 주변에 그리고 상하조절이 가능한 연장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장홀 주변에는 자와 같은 형태의 눈금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 수치가 기재되어 이 눈금과 수치를 고려하여 본 고안 장치의 각 부분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무릎고정부와 종아리고정부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두 단부가 서로 체결되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무릎이나 종아리를 한바퀴 둘러싸는 형태로 신체에 결합될 수 있다.
발목고정부는 신발의 형태로 이루어져 발과 발목 전체를 광범위하게 고정하는 것일 수 있고, 발의 회전을 통해 발이 수평면 상에서 정면 방향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고 지향하는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휜다리 교정을 위해 무릎관절 아래, 발목 관절 위쪽에 있는 다리뼈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힘을 줄 수 있어서 휜다리를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신체 성장에 따라서 고정 위치를 적시에 조절할 수 있고, 조절 가능 범위 내에서는 다른 신체 사이즈를 가진 사람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교정기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고, 교정기를 사람마다 맞춤식으로 조제할 필요가 없이 표준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진,
도2는 종래의 다리 교정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진,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발목고정대와 주변 구성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6은 다리의 무릎관절과 발목 관절 및 그 사이의 다리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리 교정장치는 기본 프레임을 이루는 수직지지대 본체(10)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수직지지대 본체(10)는 하단에서 전방으로 굴곡된 절곡부(13)를 가져 전체적으로는 ㄴ자 형태가 된다. 수직지지대 본체(10)의 수직부분 상단부에는 연장부(20)가 상하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서는 상하 위치 조절을 위해서는 결합되는 두 부분에 홀을 형성하되 이들 가운데 적어도 한 부분에는(여기서는 두 부분 모두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홀(12, 22)을 뚫고, 이들 홀의 일부를 겹치도록 정렬하고, 홀을 통과하는 볼트(미도시)의 머리 부분과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미도시) 사이에 홀을 이루는 두 부분이 위치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조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너트를 풀고 연장부(20)를 필요에 따라 움직이고 너트를 다시 조여 연장부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연장부(20)의 상단에는 무릎매개조절대(30)가 설치된다. 무릎매개조절대(30)는 수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설치될 때 좌우방향으로 길게 뻗은 막대 혹은 플레이트 형태의 좌우조절부(31)와 전후방향으로 길게 뻗은 전후조절부(33)를 가져 전체적으로는 ㄴ자형 프레임을 이루고 있다. 무릎매개조절대(30)는 좌우조절부(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길게 좌우홀(32)이 형성되고 전후조절부(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로 길게 전후홀(34)이 형성된다.
연장부(20)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분포된 두개의 홀을 관통하는 볼트 끝단이 무릎매개조절대(30)의 좌우조절부(31)의 좌우홀(32)도 관통한 뒤 너트에 체결되어 연장부(20)와 무릎매개조절대(30)가 결합된다. 너트를 조금 풀고 무릎매개조절대(30)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인 뒤 너트를 다시 단단히 조이면 좌우방향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다.
무릎고정부(35)는 전체적으로 벤드나 벨트형태로 이루어지고 벨크로를 이용하거나 도시되듯이 롤러블레이드 등에 많이 사용되며 띠에 일방향 톱니가 형성되어 한 방향으로만 줄이기 쉽도록 되어있는 톱니 고정 벨트(37) 및 버클(38)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무릎고정부(35)에도 두 개의 볼트가 설치되어, 이들 볼트 단부가 무릎매개조절대(30)의 전후조절부(33)의 전후홀(34)을 관통한 뒤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무릎고정부(35)와 무릎매개조절대(30)가 결합된다. 물론 너트를 풀거나 조여서 무릎고정부는 전후조절부(33)를 따라 위치조절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무릎고정부(35)는 수직지지대 본체(10)에 대한 연장부(20) 위치조절, 연장부(20) 상단에 대한 무릎매개조절대(30)의 위치조절 및 무릎매개조절대(30)에 대한 무릎고정부(35)의 위치조절을 통해 각각 상하방향 위치조절, 좌우방향 위치조절,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3차원적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도6의 무릎관절(1)의 아래쪽 다리뼈(5)의 상단부분(3)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장부(20)의 상하방향 중간부분에는 종아리매개조절대(40)가 설치된다. 종아리매개조절대(40)도 좌우방향으로 길게 뻗은 막대 혹은 플레이트 형태의 좌우조절부(41)와 전후방향으로 길게 뻗은 전후조절부(43)를 가져 전체적으로는 ㄴ자형 프레임을 이루고 있다. 연장부(20)의 상하방향 중간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볼트구멍(24)이 설치되고 이 가운데 선택된 볼트구멍(24)과 종아리매개조절대(40)의 좌우조절부(41)의 좌우홈(42)을 정렬한 뒤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하여 연장부(20)에서 종아래매개조절대(4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종아리고정부(45)도 무릎고정부(35)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무릎고정부(35)와 같은 방식으로 종아리매개조절대(4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종아리고정부(45)에는 종아리고정대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48)가 설치되고, 이들 종아리 고정부의 본체와 종아리고정대 사이에는 매개편(46)이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종아리고정부(45)는 수직지지대 본체(10)에 대한 연장부(20)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연장부(20)의 상하방향에 형성된 복수의 볼트구멍(24) 가운데 어떤 것을 선택하는 가에 따라 상하 위치조절이 가능하고, 연장부(20)와 결합을 위한 볼트, 너트를 풀고 연장부에 대해 종아리매개조절대(40)의 좌우홀(42)을 이용하여 좌우 위치조절을 할 수 있고, 종아래매개조절대(40)의 전후홀(44)을 이용하는 종아리고정부(45)의 위치조절을 통해 전후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하므로, 종아리고정부(45)는 3차원적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도6의 다리뼈(5)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부분(7) 혹은 다른 교정을 위해 필요한 다리뼈 부분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지만 본 고안에서 상하, 좌우, 전후 조절을 위한 조절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서는 조절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조절 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무릎매개조절대 및 종아리매개조절대의 좌우로 뻗은 가로막대, 전후로 뻗은 막대를 따라 좌우홀이나 전후홀이 형성되고 이들 홀 주변에 그리고 상하조절이 가능한 연장부를 따라 형성되는 연장홀 주변에는 자와 같은 형태의 눈금이 형성된다. 물론 눈금에는 필요에 따라 수치가 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각의 홀을 관통하는 나사와 결합되는 너트를 풀고 나사(볼트) 및 이에 고정된 부분을 상하, 좌우 혹은 전후로 움직여서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나사가 이들 홀 주변에 형성된 눈금과 그에 따른 수치를 고려하여 본 고안 장치의 무릎고정부와 종아리고정부와 같은 다리의 각 부분을 고정하는 부품들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수직지지대 본체(10)의 하단에서 수평면 상의 전방으로 절곡 연장된 절곡부(14) 위에는 지향조절판(60)이 설치되고, 지향조절판(60) 위에는 발목고정부(70)가 설치된다. 발목고정부(70)에 발을 고정하기 위해 이미 언급한 벨크로(71) 및 톱니 고정 벨트가 체결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종아리고정부(45)와 무릎고정부(35)가 수직지지대 본체(10)에 대해 3차원적으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발목고정부는 단순히 수직지지대에 대해 고정되는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발목고정부(70)는 발의 형태적 병리를 교정하는 교정장치의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리의 형태적인 병리는 발의 형태적 병리나 보행자세와 관련된 경우가 많고, 다리의 교정이 이루어질 때에는 발의 자세도 바뀔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의 교정과 다리의 교정을 함께할 수 있도록 교정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다리 교정에 있어서 더 바람직한 것이 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이런 목적을 위해 본 실시예의 발목고정부(70)는 다른 고정부와 달리 신발의 형태를 이루어 발과 발목을 전체적으로 감싸서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특히 도6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발목 관절 부분의 내측 복사뼈(9)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수직지지대 본체(10)의 절곡부(13) 위에는 각도조절기(50)와 지향조절판(60)이 함께 설치된다. 발 뒤꿈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고정 볼트(미도시)가 지향조절판(60)의 회전용통공(62), 각도조절기(50)의 결합용통공(57)을 지나고 다시 절곡부(13)의 전후 길이방향의 긴 홀(14)을 통과한 상태에서 너트(미도시)로 조여져서 절곡부(13)와 지향조절판(6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지향조절판(60) 위에는 신발 형태의 발목고정부(70)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를 풀면 긴 홀(14)을 이용하여 발목고정부(7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지향조절판(60)과 함께 볼트를 축으로하여 회전함으로써 신발 형태의 발목고정부(70)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후방 위치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조절을 위한 구성요소들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랙 형태의 지향조절판(60)의 하면 앞부분에는 횡(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고정홈(65)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65)에는 좌우로 두 개의 나사식결합용 통공(66)이 형성된다. 이들 통공(66)은 후방의 통공(66)과 함께 지향조절판(60)과 발목고정부(70)를 결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뒷부분에는 회전용통공(62) 주변으로 각도를 나타낸 각도안내눈금(64)이 설치되어 있다. 지향조절판(60)의 회전용통공(62) 주위에는, 원형홈 내부에 회전용통공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홈이 구비된 각도조절회전홈(61)이 있다.
각도조절기(50)는 지향조절판(60) 아래에 설치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중앙부에 원형 형상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원형 형상은 다수개의 돌기 및 홈이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촘촘히 다수개 설치되어 각도조절회전홈(61)에 삽입되어 각도조절회전홈(61)과 함께 각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각도조절기돌출부(51)가 구비된다. 하면의 좌우 양 측에 돌출된 두개의 서로 평행한 가이드(58)가 있고, 가이드가 있는 이 양 측면 중앙부에 날카롭게 돌출된 각도조절안내눈금(54)이 있다. 전면은 화살표모양으로 중앙부로 갈수록 뾰족한 선단(53)을 이루고 반대편은 단순한 일직선에 따른 평면(55)의 구조이므로 각도조절기는 전체적으로 5각형을 이룬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런 정도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본체 13: 절곡부
20: 연장부 24: 볼트구멍
30: 무릎매개조절대 31, 41: 좌우조절부
33, 43: 전후조절부 35: 무릎고정부
40: 종아리매개조절대 45: 종아리고정부
50: 각도조절기 60: 지향조절판
70: 발목고정부

Claims (7)

  1. 삭제
  2. 수직지지대,
    무릎 관절에서 무릎 관절의 아래쪽 다리뼈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무릎고정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발목고정부, 무릎고정부와 발목고정부 사이의 종아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종아리고정부,
    상기 발목고정부가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수직지지대 상에서 상기 발목고정부에 대한 상기 무릎고정부와 상기 종아리고정부의 상하 및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발목고정부에 대한 상기 무릎고정부와 상기 종아리고정부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무릎고정부 및 상기 종아리고정부에 결합되는 무릎매개조절대와 종아리매개조절대를 구비하며,
    상기 무릎매개조절대 및 종아리매개조절대는 좌우로 뻗은 막대의 형태의 좌우조절부와 전후로 뻗은 막대형태의 전후조절부를 가지는 ㄴ자형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무릎고정부 및 상기 종아리고정부는 각각 다리뼈 상단 부분 및 종아리 부분에 결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무릎 및 종아리 부분을 지지 혹은 압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무릎고정부와 상기 종아리고정부는 각각 상기 무릎매개조절대와 상기 종아리매개조절대의 전후로 뻗은 막대 형태를 가지는 전후조절부에 의해 전후로 움직여 전후 위치가 조절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무릎매개조절대와 상기 종아리매개조절대는 각각 상기 좌우조절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하로 길게 형성된 부분의 결합에 의해 상하 및 좌우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수직 막대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의 하단이 전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된 절곡부, 상기 본체 상부에 상하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결합되는 수직 막대형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발목고정부는 발목 및 발을 감싸는 신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절곡부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연장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상기 좌우조절부와 상기 전후조절부에는 상기 발목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무릎고정부 및 상기 종아리고정부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결합되기 위하여 체결용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위치 조절을 위한 방향으로 열을 지어 복수개가 분포하거나, 위치 조절을 위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고정부와 종아리고정부는 밴드 형태나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목고정부는 발목과 발을 함께 감싸는 신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고정부는 평면 상의 회전을 통해 발이 향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매개조절대 및 종아리매개조절대의 좌우로 뻗은 가로막대, 전후로 뻗은 막대에는 각각 좌우홀 및 전후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는 상하로 연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홀의 주변, 상기 전후홀의 주변, 상기 연장홀 주변 가운데 적어도 하나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무릎고정부 혹은 상기 종아리 고정부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장치.
KR2020110006154U 2011-07-06 2011-07-06 다리 교정장치 KR200468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54U KR200468942Y1 (ko) 2011-07-06 2011-07-06 다리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154U KR200468942Y1 (ko) 2011-07-06 2011-07-06 다리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56U KR20130000356U (ko) 2013-01-16
KR200468942Y1 true KR200468942Y1 (ko) 2013-09-09

Family

ID=5139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154U KR200468942Y1 (ko) 2011-07-06 2011-07-06 다리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4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289B1 (ko) * 2014-12-16 2015-04-20 주식회사 알푸스 경골역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지 교정 방법
CN108606831B (zh) * 2018-02-28 2020-11-10 四川合顺微创科技有限公司 一种胫骨撑开牵引复位支撑系统
CN114209481A (zh) * 2021-12-04 2022-03-22 马林 一种粗隆间骨折牵引固定装置
CN114464150A (zh) * 2022-01-20 2022-05-10 燕山大学 一种声乐表演辅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73Y1 (ko) * 1985-03-06 1987-03-31 박종대 다리 교정기
KR100291685B1 (ko) * 1999-04-20 2001-05-15 신정빈 다리 및 발 교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73Y1 (ko) * 1985-03-06 1987-03-31 박종대 다리 교정기
KR100291685B1 (ko) * 1999-04-20 2001-05-15 신정빈 다리 및 발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56U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480B1 (ko) 다리 교정장치
CN103338728B (zh) 踝足矫形装置
US3844279A (en) Adjustable leg brace
US3892231A (en) Foot and leg correctional device particularly for infants
KR200468942Y1 (ko) 다리 교정장치
JP6739625B2 (ja) 内外反膝矯正装置
US9539134B2 (en) Orthotic method and device for newborn babies
JP6792087B2 (ja) 脚矯正装置
KR100291685B1 (ko) 다리 및 발 교정기
KR200394190Y1 (ko) 다리교정용 발판조절장치
JP3575792B2 (ja) 脚及び足の矯正機
KR200397859Y1 (ko) 다리교정용 발판 조절장치
CN215533047U (zh) 一种便于穿戴的护膝跪凳
KR101471212B1 (ko) 다리 교정기
KR200408533Y1 (ko) 다리교정장치
CN211095040U (zh) 一种便于矫正腿型腿雕
CN110200731B (zh) 一种婴幼儿下肢矫正工具
KR101546587B1 (ko) 자세 교정장치
KR100309930B1 (ko) 경비골(다리) 역회전 교정장치
KR101814973B1 (ko) Kem 필라테스 스트렙 패드
CN216676060U (zh) 一种用于下肢的姿势矫正固定器
CN110575292B (zh) 可调节临时踝足矫形支架及踝足矫形器制作方法
CN107411861B (zh) 畸形足部矫正器
KR101865064B1 (ko) 유아용 내반족 교정장치
CN211911917U (zh) 一种踝足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