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273Y1 - 다리 교정기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273Y1
KR870001273Y1 KR2019850002203U KR850002203U KR870001273Y1 KR 870001273 Y1 KR870001273 Y1 KR 870001273Y1 KR 2019850002203 U KR2019850002203 U KR 2019850002203U KR 850002203 U KR850002203 U KR 850002203U KR 870001273 Y1 KR870001273 Y1 KR 870001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elastic band
braces
fix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2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511U (ko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박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대 filed Critical 박종대
Priority to KR2019850002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1273Y1/ko
Publication of KR860011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리 교정기
제1도는 본 고안 교정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교정기를 굽은 다리에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 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B-B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내, 외부 버팀대 1', 2' : 고정공
3, 4 : 버팀부 3', 4' : 쿠션층
5, 6 : 밴드 7 : 연결핀
8 : 걸고리부 10 : 압착대
12 : 버클 13 : 연결홈
15 : 밴드
본 고안은 굽은 다리를 곧고 바른 다리로 교정하기 위한 다리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아리의 중간 부위가 외측으로 굽은 O형 다리를 교정하기 위한 다리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아리가 내, 외측으로 굽은 형태에 따라 곧은 다리, X형 다리 O형 다리 등으로 구분되는 다리의 모양은 특히 유, 소아시절에 영양 섭취상태, 생활 자세 잠자는 자세 및 부모들이 업는 자세 등에 의해서 경골과 비골로 이루어진 종아리 뼈가 내, 외측으로 굽어지게 되는 형태에 따라 결정되어지며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O형 다리가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바, O형 다리는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고 아름다운 외모, 특히 다리의 아름다운 각선미를 해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굽은 다리를 교정하기 위하여 부목(副木)이나 깁스(Gips)등을 사용하였으나, 이와 같은 교정 방법은 부목 또는 깁스를 굽은 다리에 장기간 고정하여 교정해야 하므로 근육이 위축되거나 경골, 비골 및 관절부가 퇴화하는 등의 결함이 있으며, 이를 정상 상태로 회복하기 위하여는 상당 기간 동안 물리치료를 받아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 상, 하부 버팀대와 압착대로 구성되는 교정기를 형성하여, 버팀대와 압착대를 O형 굽은 다리의 종아리 내, 외측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종아리의 모양을 곧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V자형 단면으로 된 일정 길이의 내, 외부 버팀대(1)(2)를 포개어 겹친 후 외부 버팀대(2)의 양측변부를 내향 절곡하여 그 내, 외부버팀대(1)(2)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내부 버팀대(1)의 하단과 외부 버팀대(2)의 상단에는 스폰지 등의 탄성재질로 된 원호상 쿠션층(3')(4')을 전면에 가지는 버팀부(3)(4)를 각각 일체로 고정하며 내, 외부 버팀대(1)(2)의 양측변부에는 상호 대응 관통 되는 다수개의 고정공(1')(2')을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뚫는 한편, 신축성 밴드(5)와 비신축성 밴드(6) 각각의 일단에는 양단에 걸고리(7')가 절곡 성형된 연결핀(7)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한 고정공(1')(2')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할 수 있게 하고, 신축성 밴드(5)의 타단에는 걸고리부(8)를 일체로 고정하며 비신측성 밴드(6)의 타단은 착용되어질 종아리(9)의 중간 부위 외측 피부에 접촉되기 좋은 형상으로 성형한 압착대(10)의 일층 연결부(11)에 연결하여 길이 조절용 버클(12)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한 내부버팀대(1)의 버팀부(3) 양측면에는 고정핀(13')이 구비된 연결홈(13)을 형성하여 일측 연결홈(13)에는 중간에 길이 조정용 버클(14)을 갖는 비신축성 밴드(15)의 일단을 고정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는 쿠션층(3')이 접착된 버팀부(3)의 전면중앙에 형성시킨 요홈으로써 착용시 복사뼈가 부드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고, 8'는 신축성 밴드(5)의 걸고리부(8)에 형성된 걸고리, 11'는 압착대(10)의 일측에 형성시킨 연결부, 12', 14'는 버클(12)(14)의 조임쇠이며, 16은 버팀부(3)(4) 및 압착대(10)의 내면에 내향으로 각각 수개씩 접착시킨 혈액 순환용 영구 자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교정기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 교정기를 사용하여 굽은 다리를 교정하고자 하는 때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맞게 상, 하부 버팀대(1)(2)의 길이를 조절하여 외부 버팀대(2)의 쿠션층(4')은 종아리(9)의 내측 피부 상단부에 접촉시키고, 내부 버팀대(1)의 쿠션층(3')은 종아리(9)의 하단부 아래에 있는 내측 복사뼈에 접촉시키는 한편, 상기한 밴드(5)(6)들이 종아리(9)의 굽은 부위에 위치하도록 그들 밴드(5)(6)각각의 일단을 내, 외부 버팀대(1)(2)의 고정공(1')(2')에 상호 대응되게 고정시키고, 비신축성 밴드(6)의 길이를 조절하여 그의 일측단에 연결된 압착대(10)를 종아리(9)의 굽은 부위 외측 피부에 접촉시킨 후, 신축성 밴드(5)의 걸고리부(8)를 상기 압착대(10)의 일측 연결부(11')에 삽입 관출시키고 적절한 압착력을 갖을 정도로 당겨 그 걸고리부(8)의 걸고리(8')를 신축성 밴드(5)의 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종아리의 상, 하단부에 접촉된 버팀부(3)(4)들은 외향으로 버티게 되고 종아리(9)의 굽은 부위는 적절한 내향 압착력을 계속적으로 받게 되어 굽은 종아리(9)가 점차 내측으로 변형되어 바르게 교정될 수 있으며 또한 내측 복사뼈에 접촉시킨 버팀부(4)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비신축성 밴드(15)로 발목 부위를 흘러내리지 않을정도로 느슨하게 감아 그 드(15밴)의 일단을 버팀부(4)의 연결홈(13)에 삽입 관출시켜 버클(14)에 고정함으로써 교정기의 착용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실내에서 활동할 때나 취침할 때에 계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착용시에 종아리의 둘레 전체를 감아 사용하지 않고 그 접촉부위가 종아리의 내측 상, 하부, 외측 중간부 등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혈액 순환을 압박하거나, 근육을 위축시킴이 없이 사용되어질 수 있고 또한 종아리의 내, 외측 피부에 압착되어지는 버팀부 및 압착대에 영구 자석이 매설되어 있으므로 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부목이나 깁스 등과 같이 장기간 고정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편리한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골, 비골 및 관절부가 퇴화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내, 외에 포개어 형성한 내, 외부 버팀대(1)(2) 각각의 상, 하단부에는 탄성재질의 원호상 쿠션층(3')(4')을 전면에 가지는 버팀부(3)(4)를 각각 일체로 고정하고 내, 외부 버팀대(1)(2)의 양측변부에는 상호 대응 관통되는 다수개의 고정공(1')(2')을 일정 간격을 두고 뚫는 한편, 신축성 밴드(5)와 비신축성 밴드(6) 각각의 일단에는 양단에 걸고리(7')가 절곡 성형된 연결핀(7)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한 고정공(1')(2')에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게 하고, 신축성 밴드(5)의 타단에는 걸고리부(8)를 일체로 고정하며 비신축성 밴드(6) 의 타단은 착용될 종아리(9)의 중간 부위 외측 피부 형상으로 성형한 압착대(10)의 일측 연결부(11)에 연결하여 길이 조절용 버클(12)로 고정하고, 또한 상기 내부 버팀대(1)의 버팀부(3)양측면에는 고정핀(13')이 구비된 연결홈(13)을 형성하여 그 일측 연결홈(13)에는 중간에 길이 조절용 버클(14)을 갖는 비신축성 밴드(15)의 일단을 고정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기.
KR2019850002203U 1985-03-06 1985-03-06 다리 교정기 KR870001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203U KR870001273Y1 (ko) 1985-03-06 1985-03-06 다리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2203U KR870001273Y1 (ko) 1985-03-06 1985-03-06 다리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511U KR860011511U (ko) 1986-10-04
KR870001273Y1 true KR870001273Y1 (ko) 1987-03-31

Family

ID=1924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2203U KR870001273Y1 (ko) 1985-03-06 1985-03-06 다리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12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42Y1 (ko) * 2011-07-06 2013-09-09 박인식 다리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42Y1 (ko) * 2011-07-06 2013-09-09 박인식 다리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511U (ko) 198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000A (en) Adjustable splint and securing means therefor
US5718673A (en) Foot support devices and methods
US20070191193A1 (en) Non-weight bearing foot and leg exercising apparatus
US3853123A (en) Orthopedic knee brace
US6640368B2 (en) Therapeutic leg support pillow
WO2007051524A2 (en) Ambidextrous wrist brace with thume immobilizer
US6071257A (en) Linkably segmented device having protruding contact elements
EP0084561A4 (en) ADJUSTABLE RAIL.
AU2003260501A1 (en) Therapeutic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852603B1 (ko) 허리 보호용 밸트
KR870001273Y1 (ko) 다리 교정기
JPS5832767A (ja) 下肢装具
CN113288553A (zh) 可调式膝关节支具
KR200265374Y1 (ko) 다리 교정기구
Andriessen et al. The effect of six months intensive physical training on the circulation in the legs of patients with intermittend claudication
CN216754918U (zh) 一种主动式由健侧下肢带动患侧下肢锻炼的器械
CN217886317U (zh) 可调式膝关节支具
US20020143280A1 (en) Best multifunction bucks traction boot
CN214180910U (zh) 一种下肢功能位简易护理垫
KR101417353B1 (ko) 휜 다리 교정장치
KR920008785Y1 (ko) 다리 교정기
US20210307950A1 (en) Splint for Supporting an Injured Limb and/or Appendage
KR950007938Y1 (ko) 척추 교정기
KR200275189Y1 (ko) 신체 교정용 벨트식 운동기구
KR200221271Y1 (ko) 굽은 다리 교정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5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