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785Y1 - 다리 교정기 - Google Patents

다리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785Y1
KR920008785Y1 KR2019900010665U KR900010665U KR920008785Y1 KR 920008785 Y1 KR920008785 Y1 KR 920008785Y1 KR 2019900010665 U KR2019900010665 U KR 2019900010665U KR 900010665 U KR900010665 U KR 900010665U KR 920008785 Y1 KR920008785 Y1 KR 920008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ntrol plate
leg
plate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0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104U (ko
Inventor
박종대
Original Assignee
박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대 filed Critical 박종대
Priority to KR2019900010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785Y1/ko
Publication of KR9200021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7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리 교정기
제1도 내지 제5도의 본 고안 다리교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1도(a)는 본 고안 다리교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b)는 동상의 요부 횡단면도, (c)는 동상의 신장조절판과 버팀대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사용상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4도(a)는 버팀대의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제5도(a)는 누름판의 이면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 다리교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6도는 사용상태 횡단면도.
제7도는 (a)(b)는 제6도의 B부 상세도로서 탄성수단의 각각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고안 다리 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8도는 전체 사시도.
제9도는 사용상태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고안 다리교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10도는 사용상태도.
제11도의 (a)는 횡단면도.
제11도의 (b)는 동상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내, 외부 신장 조절판 1a, 2a : 고정공
1b, 2b : 보강돌조 3, 4 : 버팀대
3a, 4a : 경사면 3', 4' : 착용강도 자동조절판
5 : 걸고리 5' : 조임걸고리
6 : 누름판 쿠션 7 : 신축밴드
7' : 비신축밴드 8, 8' : 누름판
8a, 8b, 8c : 삽입홈 9,10 : 버팀대 쿠션
11 : 자석 12 : 핀
13 : 장석 14, 14' : 지지판
15, 15' : 지지봉 16, 18 : 스프링
17 : 사각 걸고리 20 : 탄성수단
30 : 조립식 누름쿠션 31 : 고정판
32 : 쿠션 33 : 자석
34 : 나비너트 35 : 볼트
본 고안은 굽은 다리를 곧고 바른 다리로 교정하기 위한 다리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교정기는 본원인이 안출하여 실용신안 제34567호로 등록된 바 있다.
그러한 다리교정기는 간단한 구조로서 실내에서 활동할 때나 취침할 때에 계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간편하게 착용하여 굽은 다리를 바른 다리로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애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다리교정기는 버팀부가 고정식으로서 굽은 각도의 다양함에 적응할 수 없어 착용시 뼈의 굽은 각도와 버팀부의 착용각도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부분적인 압박으로 압박 부위가 아파서 오래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외부 신장조절판은 곡평판으로 굽힘강도가 약하여 두꺼운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였고, 누름판은 양측으로 밴드를 걸어 조여줌으로써 양쪽을 똑같은 압력으로 조이기가 어려웠으며, 밴드 고정은 버클을 사용하여야 했으나 조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신축밴드는 장시간 사용후에는 신축력이 떨어져 교정효과가 점점 저하되었고, 신축밴드 조임방식은 1줄 방식으로 고정력이 부족하여 착용하고 움직이면 옆으로 비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버팀부에는 고정부인 버팀대와 가동부인 착용각도 자동조절판을 두어 뼈의 각도가 각기 다양해도 굽은 각도에 알맞게 착용각도가 자동조절되도록 하여 전체면적으로 압력을 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아프지않고 착용각도가 양호하게 하는 한편, 신장조절판은 강도와 미관을 보완해줄 수 있도록 내,외부 신장조절판의 중간부에 수개(2-4개)의 보강돌조를 형성하고, 누름판은 양측 밴드 조임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2개의 밴드를 양측에 걸어주는 방식을 삽입식 누름판으로 변경하여 1개의 밴드로 조일 수 있도록 하여 누름판 양측의 조임 강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밴드고정은 버클조작이 불편하여 조임 걸고리로 변경하여 간단히 당겨주면 조여지고 놓아도 풀어지지 않는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축밴드의 신축력 노화를 보완하기 위하여 비신축 밴드와 탄성계수 변화가 적은 스프링을 결합하여 이용하였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1줄 조임방식을 비틀어짐이 없도록 상, 하 2줄 조임방식으로 개선하여 기존 다리교정기의 불편한 점과 미비한 점을 개선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자형 단면을 가진 소정길이의, 내,외부 신장 조절판(1)(2)을 포개어 겹친 후 외부 신장조절판(2)의 양측 변부를 내향.절곡함으로써 그 내,외부 신장조절판(1)(2)이 사용자의 신장 차이에 따라 길이를 알맞게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 내,외부 신장조절판(1)(2)의 양측변부에는 다수개의 고정공(1a)(2a)이 일정간격을 두고 대응되게 형성되고, 한쌍의 걸고리(5)가 그 고정공(1a)(2a)에 끼워져 결합됨과 아울러 내부 신장조절판(1)의 하단부와 외부 신장조절판(2)의 상단부에는 버팀대(3)(4)가 고정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버팀대(3)(4)에는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그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의 내측에 버팀쿠션(9)(10)을 각각 부착하는 한편, 상기 내,외부 신장조절판(1)(2)의 중간부에는 굽힘강도를 보강해주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보강돌조(1b)(2b)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걸고리(5)에는 1개의 신축밴드(7)의 일단부를 연결함과 아울러 타측걸고리(5)에는 상기 신축밴드(7)를 조여 고정하기 위한 조임걸고리(5')를 결합하며, 누름판 쿠션(6)이 내면에 부착되고 외측부에는 신축밴드 삽입홈(8a)을 가지는 누름판(8)을 상기 신축밴드(7)에 결합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에서 11은 상기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 누름판(8)에 부착한 혈액순환 촉진용 지자석을 보인 것이고, 12는 상기 버팀대(3)(4)에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을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핀을 보인 것이며, 13은 신축밴드 마무리 장식을 보인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상기 버팀대(3)(4)와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 및 그들의 결합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는 상측 부위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 하측 부위는 동일구성임), 상기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에는 원형단면의 연결돌부(3'a)(4'a)를 형성하여 상기 버팀대(3)(4)에 형성한 연결홈(3b)(4b)에 삽입하고 고정핀(12)으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버팀대(3)(4)에는 경사면(3a)(4a)을 형성하여 회동각을 약 30°범위에서 조절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회동각도 조절 범위는 20°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판 쿠션(6)과 버팀대 쿠션(9)(10)은 연성, 무해 쿠션으로 형성되며,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4')에는 삽입식 또는 접착식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다리교정기를 사용하여 굽은 다리를 고정하고자 하는 때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길이에 따라 내,외부 신장조절판(1)(2)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측 착용 각도 자동조절판(4')의 버팀대 쿠션(10)은 무릎뼈 안쪽에 접촉시키고 하측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의 버팀대 쿠션(9)은 종아리의 하부 내측 복사 뼈 부위에 접촉시키는 한편 누름판(8)이 종아리의 외측 중간부, 즉 굽은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걸고리(5)를 신장조절판(1)(2)의 고정공(1a)(2a)에 고정시키고 일단이 걸고리(5)에 고정된 신축백드(7)에 누름판(8)을 끼운 후 그 누름판(8)의 누름판 쿠션(6)을 굽은 부위에 접촉시켜 신축밴드(7)의 타단을 조임걸고리(5)(5)에 걸어 적절한 압착력을 가진 정도로 당겨 고정시킴으로써 종아리의 상하단부에 접촉된 버팀대(3)(4)들은 외향으로 버티게 되고 종아리의 굽은 부위는 적절한 내향 압착력을 계속적으로 받게 되어 굽은 종아리가 점차 내측으로 변형되어 바르게 고정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신축밴드(7) 대신 비신축밴드(7')와 탄성수단(20)을 결합하여 사용한 것이다.
상기 탄성수단(20)은 제7도(a)와 같이 양측지지판(14)(14')에 지지봉(15)(15')의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고 그 지지봉(15)(15')의 타단부가 상대측 양측 지지판(14')(14)의 삽입공(14'a)(14a)을 통하여 돌출됨과 아울러 그 돌출단부에는 연결고리(15a)(1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지지판(14)(14')의 사이에는 지지봉(15)(15')의 외측으로 압축스프링(16)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비신축밴드(7')와 탄성수단(20)을 이용할 때에는 제7도 (a)와 같이 일측 걸고리(5)와 사각걸고리(17)를 상기 탄성수단(20)으로 연결하고 사각걸고리(17)에 조임걸고리(5')를 결합하여 사각걸고리(17)와 조임걸고리(5')에 비신축밴드(7')의 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탄성수단(20)에는 제7도(b)와 같이 사각걸고리(17)와 걸고리(5')사이에 연결되는 한쌍의 인장스프링(18)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비신축밴드(7')와 탄성수단(20)에 의하여 적절한 압착력을 가할 수 있으며 신축밴드(7)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줄의 신축밴드(7)로 착용하면 쉽게 비틀어져 이탈되기 쉬우므로 2줄의 신축밴드(7)(7)를 사용하여 길게 형성한 확장형 누름판(8')의 상하에 1줄씩 삽입하고 걸고리(5)(5)에 각각 고정토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확장형 누름판(8')은 상하부에 신축밴드(7) (7)를 각각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8b)(8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는 누름판의 기능을 신장조절판이 겸하면서 상하조임 걸고리에 버팀대를 걸어 당겨 매어줌으로써 굽은 종아리를 바로 잡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의 길이를 조절한 후 고정공(1a)(2a)에 볼트(35)를 삽입하여 외측에서 나비너트(34)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내부 신장조절판(1)의 하단부와 외부 신장조절판(2)의 상단부에 걸고리(5)를 양측에 각각 결합하여 일측 걸고리(5)에는 상하부 신축밴드(7)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타측걸고리(5)에는 조임걸고리(5')를 결합하여 타측 걸고리(5)와 조임걸고리(5')에 의하여 신축밴드(7)의 타단부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신장조절판(1)의 내측에는 일정길이의 조립식 누름쿠션(30)을 고정하고 상기 신축밴드(7)에는 상기한 누름판(8)을 삽입하였다.
상기한 조립식 누름쿠션(30)은 고정판(31)에 다수개의 쿠션(32)이 접착되고 쿠션(32)의 내측에는 자석(33)이 각각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는 본 고안의 여러가지 실시예와 같이 굽은 다리를 교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서 실내에서 공부하거나 활동할 때나 취침할 때 계속적 또는 반복적으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다리 길이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로이 길이를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굽은상태 굽은각도의 차이에도 구애됨이 없이 접촉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착용각도가 자동조절되도록 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압박되면서 아프게 되는 결함이 해소될 뿐 아니라, 착용시에 종아리의 둘레 전체를 감아 묶지 않고 그 접촉 부위가 종아리의 외측 중간부등에 부분적으로 접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혈액순환을 방해하거나 근육을 위축시킴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압착되는 착용각도 자동조절판과 누름판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자석이 매설되어 있어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주며, 부목이나 깁스등과 같이 장기간 고정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편리한 시간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리의 경골, 비골 및 관절부가 퇴화하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다수개의 고정공(1a)(2a)이 구비되고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내,외부 신장조절판(1)(2)과, 내부 신장조절판(1)의 하단부와, 외부 신장조절판(2)의 상단부에 각각 고정된 버팀대(3) (4)와, 상기 내,외부 신장 조절판(1) (2)의 고정공(1a) (2a)에 연결되는 걸고리(5)와, 일측 걸고리(5)에 결합되는 조임걸고리(5')가 구비되는 다리교정기에 있어서,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 각각 고정된 버팀대(3) (4)에는 버팀쿠션(9) (10)이 내측에 부착된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 (4')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각도 자동조절판(3') (4')에는 연결돌부(3'a) (4'a)가 형성되어, 상기 버팀대(3) (4)에 형성한 연결홈(3b)(4b)에 삽입되고 고정핀(12)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버팀대(3) (4)에는 경사면(3a) (4a)이 형성되어 약 30°범위에서 회동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교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의 고정공(1a) (2a)에 고정되는 양측 걸고리(5) (5)중 일측 걸고리(5)에는 신축밴드(7)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타측 걸고리(5)에는 상기 신축밴드(7)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조임걸고리(5')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에는 굽힘강도를 보강해주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보강돌조(1b) (2b)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밴드(7)에는 신축밴드 삽입홈(8a)이 외측부에 구비되고 누름판 쿠션(6)이 내면에 부착되는 누름판(8)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에는 상하부에 각각 한쌍씩의 걸고리(5)가 연결되어, 상기 신축밴드(7)가 상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누름판(8)은 외측부에 한쌍의 삽입홈(8b) (8c)에 형성되어 그 누름판(8)에 한쌍의 신축밴드(7)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걸고리(5)에는 비신축밴드(7')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타측 걸고리(5)에는 조임걸고리(5')를 가지는 사각걸고리(17)를 탄성수단(20)으로 연결하여, 상기 비신축밴드(7')의 타단부를 사각걸고리(17)에 조임걸고리(5')로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의 고정공(1a) (2a)에 볼트(35)를 삽입하여 외측에서 나비너트(34)로 체결하고,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는 걸고리(5)를 양측에 각각 결합함과 아울러 상하부의 일측 걸고리(5)에는 조임걸고리(5')를 결합하며, 그 상하부 한쌍의 걸고리(5)에는 각각 상기 누름판(8)을 중간부에 끼워 결합한 신축밴드(7)를 각각 연결 고정하고, 상기 내,외부 신장조절판(1) (2)의 내측에는 일정길이의 조립식 누름쿠션(30)을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교정기.
KR2019900010665U 1990-07-20 1990-07-20 다리 교정기 KR920008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665U KR920008785Y1 (ko) 1990-07-20 1990-07-20 다리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0665U KR920008785Y1 (ko) 1990-07-20 1990-07-20 다리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104U KR920002104U (ko) 1992-02-24
KR920008785Y1 true KR920008785Y1 (ko) 1992-12-19

Family

ID=1930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0665U KR920008785Y1 (ko) 1990-07-20 1990-07-20 다리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7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49B1 (ko) * 2000-06-30 2004-07-02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5792B2 (ja) * 1999-04-20 2004-10-13 パク、イン、シク 脚及び足の矯正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49B1 (ko) * 2000-06-30 2004-07-02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104U (ko)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2470B2 (ja) オフセットヒンジを有する整形外科用装具のフレーム
US3853123A (en) Orthopedic knee brace
EP1480584A4 (en) JOINT RAIL WITH CUFF-ADJUSTABLE ADJUSTABLE CUFFS
US6443918B1 (en) Adjustable splint
US6436066B1 (en) Truss body joint brace
KR920008785Y1 (ko) 다리 교정기
US4565370A (en) Foot holding device for hanging upside-down
US5419755A (en) Weight bearing brace for femur and hip joint
CN2102103U (zh) 腿部矫正美容器
US3274998A (en) Leg splint
WO2006041498A1 (en) Slide lock
US20180280182A1 (en) Orthopedic support brace for the backbone
KR870001273Y1 (ko) 다리 교정기
KR100604615B1 (ko) 다리 교정기
CN217118891U (zh) 一种带有人体附着支架的艾灸架
CN217853517U (zh) 一种按摩式脚踝固定矫形装置
US20150230963A1 (en) Adjustable cuff knee brace
JPS6355924B2 (ko)
US8323226B1 (en) Multilayer limb sleeve liner
KR0130656Y1 (ko) 척추교정대
JPH0327622Y2 (ko)
JPH05176Y2 (ko)
KR200377031Y1 (ko) 다리 교정기
CN114366406A (zh) 一种踝足矫形器
JPH04502419A (ja) 調整副子アッ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6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