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464A -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464A
KR20130082464A KR1020130002486A KR20130002486A KR20130082464A KR 20130082464 A KR20130082464 A KR 20130082464A KR 1020130002486 A KR1020130002486 A KR 1020130002486A KR 20130002486 A KR20130002486 A KR 20130002486A KR 20130082464 A KR20130082464 A KR 20130082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erg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group
weight
free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시시도
다이스케 아사리
미츠히코 호리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4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61K39/36Allergens from pol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otany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제로서의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고, 열안정성이 나쁜 알레르겐을 안정적으로 저장 및 전달할 수 있는 의약 조성물, 및 상기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알레르겐과,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A)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B)군, 및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레르기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 유용한 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알레르겐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저장 및 취급 등의 편리성이 우수한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분 알레르기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에 대한 치료로서는, 현재,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 대처 요법이 그 대부분이지만, 최근, 알레르기성 질환을 근치 가능한 치료 방법으로서 감 감작 요법이 주목을 모으고 있다.
현재, 특이적 감 감작 요법용 제제는, 피하 주사를 목적으로 한 주사제가 대부분이며, 또한, 일반적으로 2 내지 3년 정도의 장기간 투여가 필요하고, 당 관점으로부터 개호자 및 환자의 QOL(quality of life)을 보다 향상시키는 제형이 필요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피하 주사에 의한 특이적 감 감작 요법에서는, 아나필락시 쇼크의 위험성, 의료 종사자에 의한 투여의 필요성, 장기간에 걸친 빈번한 통원의 필요성, 주사에 의한 고통, 냉장 보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최근, 구미에서는 설하 투여를 목적으로 한 물약 및 정제가 시판되어, 그 부작용의 적음과 간편함 때문에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액제의 설하 투여에 의한 특이적 감 감작 요법에서는, 투여량의 부정확함, 냉장 보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제의 설하 투여에 의한 특이적 감 감작 요법에서는, 오음, 투여량의 조정이 어렵고, 휴대성이 나쁘고, 잔사에 의한 구강 내에의 위화감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알레르겐의 제제화에 있어서는, 알레르겐을 안정적으로 보존시키는 것, 즉, 생물학적 활성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알레르겐의 제제화 기술로서, 안정화제나 부형제를 첨가한 동결 건조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안정화제로서, 젤라틴 및 만니톨 혹은 전분 및 만니톨을 포함하는 용액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티모시 목초화분(Grass Pollen) 알레르겐을 안정화한 의약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안정화제로서 만니톨 및 pH 조절제로서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삼목 화분 주요 알레르겐의 유전자 재조작 단백질을 안정화한 의약 조성물도 제안되어 있다. 그 외, 특허문헌 3에는, 매크로 골 4000, 폴리솔베이트 80 및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용액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진드기 주요 알레르겐의 유전자 재조작 단백질을 안정화한 의약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알레르겐은 열안정성이 나쁘고, 종래의 알레르겐의 제제화 기술에서는, 알레르겐을 안정적으로 저장 및 전달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일본 특허 출원 공표 제2006-513269호 공보 특허 제3932272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77094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먼저, 안정화제로서 젤라틴 및 유기산염을 포함하는 용액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삼목 화분 주요 알레르겐을 안정화한 의약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젤라틴은 면역화된 사람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어, 아나필락시 쇼크 등의 중독적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점, 종교에 따라서는 돼지나 소와 같은 동물 유래 제품을 먹는 것을 금하고 있어, 젤라틴도 그 원료에 따라서는 사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점에 있어서 한층 더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현실을 감안하여, 안정화제로서의 젤라틴을 사용하지 않고, 열안정성이 나쁜 알레르겐을 안정적으로 저장 및 전달할 수 있는 의약 조성물, 및, 상기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첨가제로서, 특정한 당류나 다당류, 가식성(可食性) 고분자 등을 조합해서 함유시킴으로써, 열안정성이 나쁜 알레르겐이어도 안정적으로 저장 및 전달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알레르겐과,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A)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B)군, 및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군의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는 펙틴, 덱스트란, 전분, 풀루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군의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은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라피노오스, 트레할로오스, 말티톨, 이소말토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군의 증점 다당류는 구아 검, 타라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마린드 검, ι-카라기난 및 젤란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레르겐은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유기산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알레르겐 및 첨가제를 물에 용해시킨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것이며,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A)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B)군, 및,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pH가 5.0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알레르겐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비젤라틴계의 재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가식성 고분자이며,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기재로서 기능하는 재료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A)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B)군, 및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A)군, (B)군 및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즉, 상기 2종 이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첨가제를 병용함으로써, 알레르겐의 안정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저장 및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이유는, 첨가제는, 분자량이나 물에의 용해도 등의 물성의 차이에 의해, 동결 건조 후에 형성되는 입체 구조나 알레르겐에의 상호 작용이 상이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2종 이상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의 첨가제를 병용함으로써, 각 첨가제가 간섭하는 일없이 상승적으로 알레르겐에의 안정화 효과를 높이고 있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이란, 알레르겐과 함께 첨가제를 물 중에 용해 후, 동결 건조법에 의해 수분을 제거해서 의약 함유 조성물을 조제하고, 그 의약 함유 조성물을 40℃±2℃에서 7일간 보관한 후의 알레르겐 활성이 75% 이상인 경우, 상기 첨가제는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다고 한다.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첨가제로서는,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것을 들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낮은 첨가제는 동결 건조시에 결정화가 일어나고, 그 결과, 알레르겐의 단백질이 실활한다고 생각된다.
상기 (A)군의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란, 상기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동결 건조한 경우, 사용상 특별히 문제가 없는 성상의 제형을 이룰 수 있는 다당류이다.
그러한 다당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펙틴, 덱스트란, 전분 및 풀루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들 다당류는, 물에 녹기 쉬운 재료이며, 분자량이 1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분자량」이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고,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상기 펙틴은, 분자량이 3만 내지 10만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감귤류 또는 사과로부터 물로 추출해서 얻어진 고분자 다당류이며, 갈락트론산 및 그의 메틸 에스테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펙틴은, 상기 메틸 에스테르화의 비율에 의해 LM 펙틴과 HM 펙틴으로 나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어느 쪽 펙틴을 사용해도 되지만, LM 펙틴은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서 열 불가역성의 겔을 형성하기 때문에,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유기산염과의 병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펙틴의 함유량은, 그의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후술하는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동결 건조 후에 의약품으로서 충분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20 중량%를 초과하면,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점성이 매우 높아져, 제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덱스트란은, 일반적으로 Leuconostoc   mesenteroides   Van  Tieghem(Lactobacillaceae)에 의한 자당의 발효에 의해 생산된 다당류를 부분 분해한 것이며, 주로 D-글루코오스로 구성된다.
상기 덱스트란으로서는, 평균 분자량이 1만 이상이면 특별히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의료 용도인 관점으로부터, 의약품 첨가물 규격에 수록되어 있는 덱스트란 40(평균 분자량 4만) 또는 덱스트란 70(평균 분자량 7만)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덱스트란의 함유량은 그의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동결 건조 후에 의약품으로서 충분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30 중량%를 초과하면,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 중에 균일하게 분산 또는 용해되지 않아, 제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A)군의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가 풀루란인 경우, 그 함유량은,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동결 건조 후에 의약품으로서 충분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50 중량%를 초과하면,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점성이 매우 높아져, 제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A)군의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가 전분인 경우, 그 함유량은,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동결 건조 후에 의약품으로서 충분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50 중량%를 초과하면,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점성이 매우 높아져, 제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상기 (B)군은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이하, PVP라고도 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은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라피노오스, 트레할로오스, 말티톨, 이소말토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말토덱스트린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을 부분적으로 가수 분해한 것이며, 글루코오스의 단량체, 이량체, 올리고머,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이다. 또한, 상기 말토덱스트린을 구성하는 각 성분의 비율은, 가수 분해의 진행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덱스트로오스 당량이 1 내지 20인 부분 가수 분해 전분을 말토덱스트린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이란, 기본적으로 선 형상의 1-비닐―2―피롤리돈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합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PVP는, 중합도에 따라 다양한 분자량의 중합체로 되고, 10 내지 120까지의 K값으로서 나타내지는 수용액의 물과 대비한 점도에 기초하여 특성이 결정된다.
본 발명이 의료 용도라는 관점으로부터, 상기 PVP는, 의약품 첨가물 규격에 수록되어 있는 PVP K25, PVP K30, PVP K90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B)군에 속하는 첨가제의 함유량은, 그의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동결 건조 후에 충분한 알레르겐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80 중량%를 초과하면,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점성이 매우 높아져, 제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상기 (C)군의 증점 다당류란, 물에 용해시켰을 때에 증점성을 나타내고, 상기 (A)군에 포함되지 않는, 즉, 첨가제 단독으로는 동결 건조 후에 사용상 문제 없는 제형을 이룰 수 있을 수 없는 다당류이다.
이러한 증점 다당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나 만노오스로 구성되는 다당류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다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갈락토만난인 구아 검, 타라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마린드 검, ι-카라기난 및 젤란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상기 젤란 검은 Sphingomonas elodea의 균체 외에 생산되는 천연의 직쇄상의 헤테로 다당류이며, 글루코오스, 글루크론산, 글루코오스, 람노오스의 4당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1-3 결합한 글루코오스에 존재하는 아세틸기와 글리세릴기의 유무에 따라, 네이티브형 젤란 검과 탈아실형 젤란 검으로 나뉜다.
네이티브형 젤란 검은, 겔화 온도점은 80℃ 전후이며, 열안정성이 낮은 알레르겐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탈아실형 젤란 검은, 양이온을 첨가하지 않는 한 겔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젤란 검은, 양이온, 특히 칼슘 이온의 존재 하에서 열 불가역성의 겔을 형성하기 때문에,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유기산염과의 병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C)군에 속하는 첨가제의 함유량은, 그의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동결 건조 후에 의약품으로서 충분한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3.0 중량%를 초과하면,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점성이 매우 높아지거나,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제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상기 첨가제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물에만 가용인 가식성 고분자 또는 물에도 유기 용매에도 용해되지 않는 가식성 고분자(이하, 이들을 일괄하여, 기타 가식성 고분자라고도 함)를 적당량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기타 가식성 고분자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또한, 상기 알레르겐이란,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의 항체로서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원을 의미하며, 전형적으로는 단백질이다.
구체적으로는, 수목류의 화분에 유래하는 알레르겐(아카시아, 오리나무, 비로드 물푸레나무(white ash), 너도밤나무, 백화나무, 단풍나무, 산 삼목, 적 삼목, 고리버들, 노송나무, 아메리카 느릅나무, 참느릅나무, 더글라스 퍼, 고무 나무, 유칼리 나무, 팽나무, 히코리, 아메리카 시나노키(피나무), 설탕 단풍나무(Acer saccharum), 메스키트,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참나무(Quercus), 올리브, 페칸, 후추, 소나무, 이보타츠키, 러시아 올리브, 아메리카 양버즘나무, 가죽나무, 흑호두나무, 흑버드나무 등), 초목류의 화분에 유래하는 알레르겐(목화, 우산잔디, 왕포아풀, 참새귀리, 옥수수, 왕김의털, 시리아수수새(Sorghum halepense), 귀리, 오리새, 흰겨이삭, 페레니얼 라이그래스(perennial rye grass), 쌀, 향기풀(Sweet vernalgrass, Anthoxanthum odoratum), 티모시(Phleum pratense), 비름, 퉁사리(Liobagrus),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참소리쟁이(Rumex japonicus), 양미역취(Solidago altissima), 댑싸리(Bassia scoparia), 명아주(Chenopodium album), 금잔화, 쐐기풀, 청피, 참질경이, 단풍잎돼지풀(Ambrosia trifida), 돼지풀, 돼지풀 버섯(Ambrosia psilostachya), 가시살솔라(Salsola kali), 산쑥, 금작화,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등), 벌레 유래의 알레르겐(누에, 진드기, 꿀벌, 말벌, 개미, 바퀴 등), 균 유래의 알레르겐(알터나리아(Alternaria), 누룩곰팡이(Aspergillus), 보툴리누스균(Botulinus), 칸디다, 세팔로스포리움(Cephalosporium), 커브라리아(Curvularia)속, 에피코컴균(Epicoccum nigrum), 표피균, 푸사리움속, 헬민토스포리움속, 연쇄 클라도스포리움, 털곰팡이, 페니실리움, 파마속, 플라리아플루런스, 거미줄곰팡이(Rhizopus) 등), 동물의 체모 유래의 알레르겐(개, 고양이, 새 등), 집먼지 유래의 알레르겐 단백질, 음식물 유래의 알레르겐 등을 들 수 있고,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의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현재, 환자가 많은 삼목 화분 알레르기증의 감 감작 요법이 요망되고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알레르겐으로서는,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이란, 삼목 화분으로부터 추출된 알레르기 질환을 갖고 있는 사람의 항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원성을 갖는 단백질, 상기 단백질과 아미노산 레벨에서 상동성이 높은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삼목 화분으로부터 추출된 항원성을 갖는 단백질로서는, 삼목 화분 특이적 IgE 항체의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삼목 화분 중에 포함되는 단백질을 들 수 있다. 이 삼목 화분 중에 포함되는 단백질은, 메이저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과 마이너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화분에 포함되는 몇 개의 삼목 화분 엑기스 중에서, 대다수의 환자가 강하게 감작되어 있는 성분을 메이저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이라고 하고, 일부의 환자만이 감작되어 있는 성분을 마이너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이라고 한다.
상기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은, 그들을 포함하는 액상이어도 되고, 고체이어도 된다. 여기서, 액상의 것을 삼목 화분 엑기스라고 부르고, 액상의 삼목 화분 엑기스의 경우,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그대로 주사제 또는 경구물약으로서 사용해도 되고,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겔화해서 경구 고형 제제로 해도 된다.
상기 삼목 화분 엑기스로서는, 그 중에서도, 메이저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인 Cryj1 및 Cryj2 및 그러한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상기 Cryj1 및 Cryj2뿐만 아니라 마이너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도 포함한 삼목 화분 추출액인 삼목 화분 엑기스 상태 그대로, 혹은, 희석한 것, 또는, 동결 건조시킨 고형의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알레르겐의 배합량으로서는, 그 성질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전량에 대하여, 통상 1×10-10 내지 6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10-10 중량% 미만이면, 감 감작 요법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고, 60 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한 제제의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여, 보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그의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수용액의 pH가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알레르겐의 물리 화학적 안정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H가 6.0 내지 8.0이다.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수용액의 pH를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H 조절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의약품 첨가제로서 실적이 있는, 아디프산, 암모니아수, 염산, 탄산나트륨, 희염산, 구연산수화물, 글리신, 글루코노-δ-락톤, 글루콘산, 결정 인산 이수소 나트륨, 호박산, 아세트산, 아세트산 암모늄, 아세트산 나트륨 수화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주석산,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수화물, 트리이소프로판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이산화탄소, 락트산, 락트산 나트륨액, 빙초산, 푸마르산, 푸마르산 일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붕산, 붕산 암모늄, 붕사, 말레인산, 무수 구연산, 무수 인산 일수소 나트륨, 무수 인산 이수소 나트륨, 메글루민, 메탄 술폰산, 모노에탄올아민, 황산, 황산알루미늄 칼륨 수화물, DL-사과산, 인산, 인산 삼나트륨, 인산 이칼륨, 인산 이수소 칼륨, 인산 이수소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pH 조절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는, 예를 들어, 유기산과,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등과의 조합과 같이, 의약 조성물 중에서 상기 pH 조절제로서 예시한 유기산염과 동등한 유기산염으로 되는 조합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조상의 관점으로부터, 상기 pH 조절제는, 소량으로 pH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어, 염산 및 수산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는, 단백질의 변성이나 응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유기산 및 유기산염도 적합하다. 이러한 pH 조절제로서는, 예를 들어, 구연산수화물, 글리신, 글루코노-δ-락톤, 글루콘산, 호박산, 아세트산, 아세트산 나트륨 수화물, 주석산, 락트산, 빙초산, 푸마르산, 푸마르산 일나트륨, 프로피온산 나트륨, 말레인산, 무수 구연산, 사과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알레르겐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는 유기산염의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해도 된다.
이러한 유기산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염, 아디프산염, 구연산염, 사과산염, 초산염, 호박산염, 프로피온산염, 부티르산염, 말론산염, 글루탈산염, 말레인산염, 글리콜산염, 유산염, 글루콘사염, 푸마르산염, 주석산염, 글리시르리진산염, 피메린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산염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임의의 조합의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한 유기산염으로서는, 그 중에서도, 의약품 첨가물로서 실적이 있고, 물에 용해시켰을 때에 알레르겐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의 최적 pH 영역(5.0 내지 9.0)을 일탈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락트산 칼슘, 글리시르리진산 이칼륨, 글리시르리진산 이나트륨, 글리시르리진산 삼나트륨, 구연산 나트륨, 글루콘산 칼슘, 글루콘산 나트륨, 글루콘산 마그네슘, 호박산 이나트륨, DL-주석산 나트륨, L-주석산 나트륨, 주석산 나트륨 칼륨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특히, 알레르겐의 안정화 효과의 관점으로부터, 락트산 칼슘, 글리시르리진산 이칼륨, 구연산 나트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염의 함유량은, 그 제조 과정에서 동결 건조를 행하기 직전의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이다. 0.01 중량% 미만이면, 알레르겐 안정화 효과가 거의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20 중량%를 초과하면, 첨가한 첨가제에 의해 의약 조성물의 물성의 제어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유기산염의 대부분은 특이한 맛을 갖는 경우가 많고,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한 제제가 경구 투여인 것을 고려하면, 사용상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물성, 알레르겐 안정성 및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 예를 들어, 상술한 (B)군에 속하지 않는 당, 당알코올 및 당 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당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당, 2당, 3 내지 6당을 들 수 있다.
단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로오스, 트레오스 등의 알도테트로오스, 리보오스, 릭소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의 알도펜토오스, 아로오스, 타로오스, 글로오스, 알트로오스, 갈락토오스, 이도오스 등의 알도헥소오스, 에리트룰로오스 등의 케토 테트로오스, 크실로오스, 리브로오스 등의 케토 펜토오스, 프시코오스, 프룩토오스, 소르보오스, 타가토오스 등의 케토 헥소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코지바이오스, 니게로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등의 α―디글루코시드, 이소트레할로오스, 소포로오스, 라미나리비오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등의 β-디글루코시드, 네오 트레할로오스 등의 α,β-디글루코시드 외에, 이소말툴로오스(파라치노오스) 등을 들 수 있다. 3당 내지 6당의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락토 올리고당, 갈락토 올리고당, 크실로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 키틴 올리고당, 키토산 올리고당, 올리고 글루코사민,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환형상 올리고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당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리톨, D-트레이톨, L-트레이톨 등의 테트리톨, D-아라비니톨, 자일리톨 등의 펜티톨, D-이디톨, 갈락티톨(둘시톨), 만니톨 등의 헥시톨, 이노시톨 등의 시크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당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락티톨 등을 들 수 있고, 올리고당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환원 맥아당 물엿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당 또는 당알코올은,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1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당 또는 당알코올은,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이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용해되는 관점,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크게 용액의 점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단당류 내지 3당류 또는 이들의 당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 올레인산 소르비탄, 트리 올레인산 소르비탄,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자당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자당 올레인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틴산 에스테르, 자당 미리스틴산 에스테르, 자당 베헤닌산 에스테르, 자당 에루크산 에스테르, 자당 혼합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당 지방산은,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안정화제로서의 효과 이외에, 소포제로서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대단히 형편이 좋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술한 첨가제의 양은,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중량%이다. 1 중량% 미만이면, 사용상 충분한 물성을 담보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한편, 80 중량%를 초과하면, 첨가한 첨가제에 의해 의약 조성물의 물성의 제어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기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상술한 재료 이외에, 희망에 따라 향료, 교미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항산화제, 다른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적절하게 사용해도 된다. 이들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이 물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어, 의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젤리형 제제에서는 필요한 멸균 공정이나 방부제의 첨가가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비용면에서의 장점이 있고, 또한, 수분 제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영양 보조식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물의 함유량이 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구 고형 제제를 조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술한 재료 이외에, 희망에 따라, 부형제, 결합제, 향료, 교미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적절하게 사용해도 된다. 이들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구 고형 제제에는, 정제, 코팅정, 가루약, 과립제, 세립제, 구강내 붕괴정, 구강내 점착제, 젤리제, 필름제가 포함되고, 경구, 설하, 구강에 투여하는 고형 형상의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감작 시간의 제어가 필요한 구강내 감 감작 요법용에 적절하게 사용되고, 특히 설하 감 감작 요법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안정화제로서 특정한 첨가제를 함유하기 때문에, 알레르겐, 특히 단백질이나 펩티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케이크라고 불리는 다공성 고형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결 건조법에 의해, 알레르겐을 함유하는 수용액의 용매인 수분을 승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동결 건조 제제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인 동결 건조 제제는, 상온 내지 60℃ 정도에서는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주 기재가 상술한 다당류인 첨가제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구강 내의 체온 정도의 온도와 수분량으로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고, 유의하게 사용상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알레르겐 단백질을, 특히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물론 그대로의 상태에서 삼켜도(嚥下) 되고, 구강 내에서 바로 용해시켜서 삼켜도 된다. 또한, 구강 내에서의 용해 시간을 제어하고, 구강 점막이나 설하 점막으로부터의 흡수를 기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 모두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사감이 없다고 하는 관점, 또한, 물리적으로 안정하고, 환자 및 개호자도 손가락으로 잡기 쉽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환자 및 개호자의 QOL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물리적 강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포장, 저장, 수송 및 환자에 의한 제제의 취급 시에, 균열·절결 등 물리적인 붕괴가 보이지 않는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손으로 잡은 경우, 체온 정도의 접촉으로는 제제의 용해, 성상 악화는 일체 보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해서 얻어지는 제제는, 물리적 안정성을 갖는 한편, 수분의 공존하에서는 신속히 붕괴되고, 예를 들어, 입 속에서 타액과의 접촉 시에 신속히 붕괴되는 것이 필요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150초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초 이내에 구강 내에서 붕괴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사이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면 면적이 0.5 내지 6.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5㎠ 미만이면,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을 사용해서 얻어진 제제를 집어서 투여할 때에 취급이 어렵게 될 우려가 있고, 6.0㎠을 초과하면 구강내, 특히 설하에 완전하게 넣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알레르겐 및 첨가제를 물에 용해시킨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의 첨가제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는 공정에서 얻어진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은, pH가 5.0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pH가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알레르겐의 물리 화학적 안정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공정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pH 조절제나 첨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수용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수용액의 소정량을, 28℃ 내지 35℃의 온도하에서 희망하는 사이즈의 동결 건조용 블리스터 내에 분주(分注)하고, 분주 후 바로 동결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밀봉 포장하고, 제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진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결 건조 제제이며, 경구 고형 제재로서 적합하지만, 동결 건조 후의 외관, 주사용수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고, 또한, 장기에 걸쳐서 알레르겐의 안정성을 지속할 수 있으므로, 주사제로서 혹은 경 점막 투여(경비, 경구, 설하)되는 제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알레르겐에 부가해서 특정한 첨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알레르겐의 저장 및 전달 시에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매우 열안정성이 나쁘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알레르겐을 제조 중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도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군(성형성이 높은 다당류)의 첨가제를 사용한 시험예
(시험예 1)
989.9 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Kelco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온해서 용해시켰다. 실온으로 복귀시킨 후, 거기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0.1중량부를 부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얻어진 제제 용액을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으로서, 40±2℃에서 30일간 보관하고,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30일 경과 후의 알레르겐 활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내지 6)
시험예 1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제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시험예 2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Type USP-H, CP Kelco사제), 시험예 3에서는 덱스트란 40(와코쥰야쿠공업사제), 시험예 4에서는 덱스트란 70(와코쥰야쿠공업사제), 시험예 5에서는 전분(와코쥰야쿠공업사제), 시험예 6에서는 풀루란(하야시바라쇼지사제)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2 내지 6에서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알레르겐 활성 평가 방법)
삼목 화분 항원 ELISA 「Cryj1」(생화학 바이오 비지니스사제)을 사용하고, 삼목 화분의 주요 알레르겐의 1개인 Cryj1의 알레르겐 활성을 측정하였다. 당해 측정 키트는 일본 삼목(Cryptomeria japonica) 화분 항원 중 하나인 Cryj1에 특이적인 모노 클로널 항체(013, 053)를 이용한 샌드위치 ELISA법을 원리로 하고 있어, Cryj1을 특이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키트 부속의 반응 완충액 100μL에 표준 용액 또는 샘플 20μ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60분간 일시 반응을 행한 후, HRP 표지 항체 용액 100μL를 부가하고 60분간 2차 반응을 행하였다. 여기에 효소 기질 용액 100μL를 부가하고, 상온 차광 하에서 30분간 반응을 행하고, 최후에 반응 정지 용액 100μL를 부가하였다. 그 후, 450㎚의 자외 흡수 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Cryj1 농도의 표준 용액에 있어서의 흡수 강도를 바탕으로 검량선을 구하고, 이에 따라 각 샘플의 Cryj1 알레르겐 활성(ng/mL)을 측정하였다.
보관 안정성 시험의 샘플링 후(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30일 경과 후) 및, 제조 직후(30분 경과 후, 60분 경과 후)의 Cryj1 알레르겐 활성%를 구하였다. 당해 Cryj1 알레르겐 활성%를 하기와 같이 스코어화함으로써 평가를 행하였다.
5 : 90% 이상 내지 105% 미만
4 : 75% 이상 내지 90% 미만
3 : 60% 이상 내지 75% 미만
2 : 45% 이상 내지 60% 미만
1 : 30% 이상 내지 45% 미만
0 : 30% 미만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B)군(당 및 당 알코올류, 말토덱스트린, PVP로 이루어짐)의 첨가제를 사용한 시험예
(시험예 7)
989.9 중량부의 정제수에, 글루코오스(와코쥰야쿠공업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온해서 용해시켰다. 실온으로 복귀시킨 후, 거기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0.1중량부를 부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얻어진 제제 용액을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으로서, 40±2℃에서 30일간 보관하고,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30일 경과 후의 알레르겐 활성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8 내지 17)
시험예 7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3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제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시험예 8에서는 만노오스(와코쥰야쿠공업제), 시험예 9에서는 트레할로오스(하야시바라쇼지사제), 시험예 10에서는 라피노오스(와코쥰야쿠공업제), 시험예 11에서는 말티톨(하야시바라 생물화학 연구소제), 시험예 12에서는 이소말토(galen800, 베네오·파라티닛사제), 시험예 13에서는 소르비톨(로켓트사제), 시험예 14에서는 말토덱스트린(아미콜 10, 니치덴화학제), 시험예 15에서는 PVP K25(와코쥰야쿠공업제), 시험예 16에서는 PVP K30(와코쥰야쿠공업제), 시험예 17에서는 PVP K90(와코쥰야쿠공업제)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8 내지 17에서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시험예 1)
999.9 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0.1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을 40±2℃에서 보관하고,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30일 경과 후의 알레르겐 활성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B')군(당류이지만, 삼목 화분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이 없는 첨가제)을 사용한 시험예
(비교 시험예 2 내지 6)
시험예 7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3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비교 시험예 2에서는 만니톨(로켓트사제), 비교 시험예 3에서는 에리트리톨(와코쥰야쿠공업사제), 비교 시험예 4에서는 자일리톨(와코쥰야쿠공업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 시험예 5에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4000(PEG4000, 와코쥰야쿠공업사제), 비교 시험예 6에서는 폴리 에틸렌글리콜20000(PEG20000, 와코쥰야쿠공업사제)을 사용하였다. 또한, PEG는 마찬가지로 수용성 고분자인 PVP의 비교 시험예로서 사용하였다. 비교 시험예 2 내지 6에서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결 건조시의 알레르겐 안정화제로서 시험예 7 내지 17에 나타낸 당 혹은 당알코올류를 알아내었다. 한편, 다른 알레르겐이나 백신 등을 안정화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는 만니톨 등을 사용한 비교 시험예에 따른 의약 함유 조성물은, 삼목 화분 알레르겐에 대하여 반드시 유효하지는 않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수용성 합성 고분자에서는 PVP가 높은 알레르겐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었다.
(C)군(증점 다당류)의 첨가제를 사용한 시험예
(시험예 18)
989.9 중량부의 정제수에, 구아 검(MEYRO-GUAR CSA200/50, DANISCO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가온해서 용해시켰다. 실온으로 복귀시킨 후, 거기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0.1중량부를 부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얻어진 제제 용액을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으로서, 40±2℃에서 30일간 보관하고, 7일 경과 후, 14일 경과 후 및 30일 경과 후의 알레르겐 활성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9 내지 24)
시험예 18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5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예 19에서는 로커스트빈 검(GENUGUM RL-200-J, CP Kelco사제), 시험예 20에서는 잔탄 검(에코 검 T, DSP 고쿄 푸드 & 케미컬사제), 시험예 21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쿄 푸드 & 케미컬사제), 시험예 22에서는 타라 검(MT120, MRC 폴리사커라이드사제), 시험예 23에서는 ι-카라기난(시피 검 FA, DSP 고쿄 푸드 & 케미컬사제), 시험예 24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Kelco사제)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9 내지 24에서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C')군(증점 다당류이지만, 삼목 화분 알레르겐을 안정화 작용이 없는 첨가제)을 사용한 시험예
(비교 시험예 7 내지 8)
시험예 18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5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비교 시험예 7에서는 알긴산 나트륨(키미카알긴 IL-6, 키미카사제), 비교 시험예 8에서는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Kelco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 시험예 7, 8에서 얻어진 의약 함유 조성물의 보관 안정성 시험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결 건조시의 알레르겐 안정화제로서 시험예 18 내지 24에 사용한 겔화제를 알아내었다. 그 중에서도 구아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마린드 검 및 타라 검이 높은 알레르겐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A)군+(B)군(성형성을 갖는 다당류 + 당류, 말토덱스트린, PVP 등)
(실시예 1)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 30중량부 및 글루코오스 10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 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을 40±2℃에서 90일 보관하고, 보관 후의 알레르겐 활성을 시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성상 평가 및 물에의 용해성 평가를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행하였다. 이들을 스코어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성상 평가)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관해서, 이하에 나타내는 기준으로 평가를 행하였다. 그 후, 40±2℃에서 3개월 보관하고, 보관 후에 다시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3 : 사용상, 특별히 문제가 없다
1 : 사용상, 문제가 있다
(물에의 용해성 평가)
얻어진 의약 조성물 1.0g에 37℃로 가온한 정제수를 10.0g 부가하고, 의약 조성물의 용해되는 모습을 실온에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3 : 60초 이내에 완전하게 용해되었다
2 : 1분 내지 5분 정도에서 완전하게 용해되었다
1 : 완전하게 용해될 때까지 5분 이상을 필요로 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
실시예 1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7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10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800중량부의 정제수에, 덱스트란 40을 60중량부 및 라피노오스 10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평가를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내지 18)
실시예 11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7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내지 18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A)군 및 (B)군에 포함되는 1종류의 첨가제, 또는, (A)군+(B')군(성형성을 갖는 다당류+당류이지만 안정화 작용을 갖지 않는 첨가제)
(비교예 1)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 30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 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평가를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내지 10)
비교예 1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8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내지 10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1)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 30중량부 및 만니톨 10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평가를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내지 14)
비교예 11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8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2 내지 14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A)군 또는 (B)군에 포함되는 1종류의 첨가제만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1 내지 10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90일 경과 후의 알레르겐 안정성이 낮고, 성상도 악화되기 때문에, 사용 상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A)군 및 (B)군으로 이루어지는 첨가제를 조합함으로써, 알레르겐 안정성 및 성상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 실시예에 따른 의약 조성물에 의해 나타났다.
(B)군+(C)군(당류·말토덱스트린·PVP+증점 다당류)
(실시예 19)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라피노오스 50중량부 및 구아 검 5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 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을 40±2℃에서 90일간 보관하고, 보관 후의 알레르겐 활성 및 성상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행하였다. 이들을 스코어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0 내지 28)
실시예 19와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0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0 내지 28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0
(C)군에 포함되는 1종류의 첨가제, 또는, (B)군+(C')군(당류·다당류·PVP+증점 다당류이지만 안정화 작용을 갖지 않는 첨가제)
(비교예 15)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구아 검 10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에서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 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관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평가를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6 내지 20)
비교예 15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1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6 내지 20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1)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라피노오스 50중량부 및 κ-카라기난 5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중량부가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을 40±2℃에서 90일간 보관하고, 보관 후의 알레르겐 활성 및 성상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행하였다. 이들을 스코어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2 내지 23)
비교예 21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1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2 내지 23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군에 포함되는 1종류의 첨가제만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예 15 내지 20에 따른 의약 조성물은 표 9에서 나타낸 다른 첨가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의약 조성물과 비교하여, 약간 높은 알레르겐 안정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성상이 좋지 않은 것이 많아, 사용 상에 문제가 있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물에의 용해성이 높은 (B)군의 첨가제를 조합함으로써, 알레르겐 안정성 및 성상 안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물에의 용해성도 향상되고, 구강 내에서의 항원의 감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이 실시예에 따른 의약 조성물에 의해 나타났다.
(A)군+(C)군(성형성이 높은 다당류+증점 다당류)
(실시예 29)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 30중량부 및 구아 검 5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 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을 40±2℃에서 90일간 보관하고, 보관 후의 알레르겐 활성 및 성상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행하였다. 이들을 스코어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0 내지 42)
실시예 29와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3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0 내지 42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A)군+(C')군(성형성이 높은 다당류+증점 다당류이지만 안정화 작용을 갖지 않는 첨가제)
(비교예 24)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 30중량부 및 κ-카라기난 5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을 40±2℃에서 90일간 보관하고, 보관 후의 알레르겐 활성 및 성상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행하였다. 이들을 스코어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5 내지 29)
비교예 24와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4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5 내지 29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군에 포함되는 첨가제에 (A)군의 첨가제를 조합함으로써, 알레르겐 안정성 및 성상 안정성이 향상됨과 함께, 물에의 용해성도 향상되고, 구강 내에서의 항원의 감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이 실시예에 따른 의약 조성물에 의해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펙틴 및 구아 검 혹은 로커스트빈 검(모두 갈락토만난류)을 배합함으로써, 높은 알레르겐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A)군+(B)군+(C)군
(실시예 43)
850중량부의 정제수에, LM 펙틴 30중량부, 라피노오스 10중량부 및 구아 검 5중량부를 부가하고, 40 내지 80℃의 온도에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에는 실온으로 복귀시켰다. 별도 30중량부의 정제수에 삼목 화분 추출물 동결 건조 분말(LSL사제) 10중량부를 부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그리고 방금전의 용액에 얻어진 알레르겐 수용액을 4중량부(삼목 화분 추출 동결 건조 분말이 0.1중량부로 되도록) 부가하고, 신속히 혼합하여, 다시 겔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pH 조정제(수산화나트륨)를 사용하여, pH=6.5로 조정하고, 또한 정제수를 부가해서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고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었다.
그 후, 신속히 동결 건조용 바이알에 1.0g씩 분주하고, 동결 건조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의약 조성물을 40±2℃에서 90일간 보관하고, 보관 후의 알레르겐 활성 및 성상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물에의 용해성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행하였다. 이들을 스코어 표시하고,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4 내지 56)
실시예 44와 마찬가지 수순으로, 표 16에 나타낸 배합량으로 용액을 조제하고, 동결 건조를 행하여, 의약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4 내지 56에서 얻어진 의약 조성물의 평가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행하여, 스코어 표시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군, (B)군 및 (C)군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모두 조합함으로써, 알레르겐 안정성 및 성상 안정성이 향상됨과 함께, 물에의 용해성도 향상되고, 구강 내에서의 항원의 감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알레르겐에 부가해서 비젤라틴계의 특정한 첨가제를 조합해서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알레르겐의 저장 및 전달 시에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매우 열안정성이 나쁘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알레르겐을, 제조중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얻어진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도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알레르겐과,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A)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B)군, 및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함유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군의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는 펙틴, 덱스트란, 전분 및 풀루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의약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군의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은,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라피노오스, 트레할로오스, 말티톨, 이소말토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의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군의 증점 다당류는, 구아 검, 타라 검, 로커스트빈 검, 잔탄 검, 타마린드 검, ι-카라기난 및 젤란 검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의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레르겐은 삼목 화분 알레르겐 단백질인 의약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산염을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8. 알레르겐 및 첨가제를 물에 용해시킨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는 상기 알레르겐의 안정화 작용을 갖는 것이며, 성형성이 높은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A)군, 단당 내지 6류의 당 및 이들의 당알코올, 말토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B)군, 및, 증점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C)군 중, 적어도 2종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알레르겐 함유 제제 용액의 pH가 5.0 내지 9.0의 범위 내에 있는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30002486A 2012-01-11 2013-01-09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30082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3626A JP5931449B2 (ja) 2012-01-11 2012-01-11 医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2-003626 2012-0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464A true KR20130082464A (ko) 2013-07-19

Family

ID=4755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486A KR20130082464A (ko) 2012-01-11 2013-01-09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77594A1 (ko)
EP (1) EP2614817A1 (ko)
JP (1) JP5931449B2 (ko)
KR (1) KR20130082464A (ko)
CN (1) CN103203017A (ko)
CA (1) CA2801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609145A (zh) * 2013-12-25 2016-03-16 參天製藥股份有限公司 注射劑及形成緩釋(depot)之方法
US10463620B2 (en) * 2014-10-16 2019-11-05 Cargill, Incorporated Process for preparing a directly compressible erythritol and uses thereof
KR101833384B1 (ko) 2016-06-08 2018-02-28 애경산업(주) 지각과민 완화용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NZ753163A (en) * 2016-11-21 2023-05-26 Nestle Sa Liquid allerg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3608615A4 (en) 2017-04-04 2021-01-20 Nitto Denko Corporation LYOPHILIZED BODY MANUFACTURING PROCESS AND ITS MANUFACTURING DEVICE
WO2019146777A1 (ja) * 2018-01-29 2019-08-01 株式会社リタファーマ 医薬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718A (ja) * 1983-07-05 1985-01-24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B型肝炎ワクチン
GB8501400D0 (en) * 1985-01-19 1985-02-20 Beecham Group Plc Compositions
EP0192321A3 (en) * 1985-01-19 1987-09-02 Beecham Group Plc Enteric coated allerg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2594123B2 (ja) * 1987-09-12 1997-03-26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減感作剤
US6982326B1 (en) * 1991-07-12 2006-01-03 Immulogic Pharmaceutical Corporation Allergenic proteins and peptides from Japanese cedar pollen
SG52402A1 (en) * 1992-12-22 1998-09-28 Univ Cincinnati Oral administration of immunologically active biomolecules and other therapeutic proteins
WO2000014547A1 (en) * 1998-09-04 2000-03-16 Powderject Research Limited Immunodiagnostics using particle delivery methods
GB0002386D0 (en) * 2000-02-02 2000-03-22 Novartis Nutrition Ag Therapeutic composition
US6528325B1 (en) * 2000-10-13 2003-03-04 Dexall Biomedical Labs, Inc. Method for the visual detection of specific antibodies in human serum by the use of lateral flow assays
JP3932272B2 (ja) 2001-06-28 2007-06-20 明治乳業株式会社 多重t細胞エピトープポリペプチドの酢酸塩組成物
AU2003280324A1 (en) * 2002-11-26 2004-06-18 Alk-Abello A/S Pharmaceutical allergen product
US8012505B2 (en) * 2003-02-28 2011-09-06 Alk-Abello A/S Dosage form having a saccharide matrix
DE10328180A1 (de) * 2003-06-16 2005-01-13 Sü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Verwendung von Isomalt als Präbiotikum
JP2007277094A (ja) 2004-06-29 2007-10-25 Chemo Sero Therapeut Res Inst 改変ダニ主要アレルゲン含有医薬組成物
US7629127B2 (en) * 2005-01-21 2009-12-08 Dexall Biomedical Labs, Inc. Method for the visual detection of specific antibodies by the use of lateral flow assays
KR20080059289A (ko) * 2005-10-04 2008-06-26 알크-아벨로 에이/에스 고체 백신 제형
CA2634507A1 (en) * 2005-12-23 2007-06-28 Alk-Abello A/S Method for dissolution testing of pharmaceutical products
EP1897538A1 (en) * 2006-08-23 2008-03-12 Stallergenes Sa Formulations for antigen-specific tolerance induction
US20100278880A1 (en) * 2008-01-02 2010-11-04 Biotech Tools S.A.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allergen preparation
SG2014014435A (en) * 2009-02-24 2014-07-30 Ritter Pharmaceuticals Inc Prebiotic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e
CN101905022B (zh) * 2009-06-08 2013-10-30 浙江我武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的含有蒿属花粉变应原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10027412A1 (en) * 2009-07-31 2011-02-03 Kris Eugene Spen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moting Gastrointestinal and/or Cardiovascular Health
CN102048712B (zh) * 2009-11-10 2014-07-09 浙江我武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稳定的含有变应原的膜剂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588688B2 (ja) * 2010-01-28 2014-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ィルム状製剤
JP5800527B2 (ja) * 2010-03-30 2015-10-28 日東電工株式会社 安定化医薬組成物、安定化医薬組成物溶液製剤、フィルム状製剤及びフィルム状製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1319A1 (en) 2013-07-11
JP2013142077A (ja) 2013-07-22
JP5931449B2 (ja) 2016-06-08
CN103203017A (zh) 2013-07-17
US20130177594A1 (en) 2013-07-11
EP2614817A1 (en)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2464A (ko) 의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JP5800527B2 (ja) 安定化医薬組成物、安定化医薬組成物溶液製剤、フィルム状製剤及びフィルム状製剤の製造方法
US20120294893A1 (en) Edible jelly-form composition, jelly-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jelly-form preparation
JP5875246B2 (ja) シート状製剤及びシート状製剤の製造方法
KR20140019728A (ko) 알레르겐 함유 시트 형상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EP2545904B1 (en) Jelly-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jelly-form preparation
JP6592791B1 (ja) 医薬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0110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JP2012240975A (ja) 医薬組成物及びゼリー状製剤
US20120294894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952634B2 (ja) 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29820A (ko) 의약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2012240978A (ja) 医薬組成物及びゼリー状製剤
JP2013006824A (ja) 可食性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KR20120065247A (ko) 시트 형상 제제 및 시트 형상 제제의 제조 방법
JP5722704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JP5739725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KR20120129819A (ko)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WO2022071233A1 (ja) 優れた保存効力を示す液状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