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9819A -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9819A
KR20120129819A KR1020120052998A KR20120052998A KR20120129819A KR 20120129819 A KR20120129819 A KR 20120129819A KR 1020120052998 A KR1020120052998 A KR 1020120052998A KR 20120052998 A KR20120052998 A KR 20120052998A KR 20120129819 A KR20120129819 A KR 2012012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ling agent
manufactured
organic solvent
jelly for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께 아사리
다꾸야 시시도
미쯔히꼬 호리
교헤이 마쯔시따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20052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9819A/ko
Publication of KR2012012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98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42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e.g. albumin, gelatin or z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합하게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면서 연하하기 쉬운 젤리 형태이며, 또한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이다.

Description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EDIBLE JELLY-FORM COMPOSITION, JELLY-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JELLY-FORM PREPARATION}
본 발명은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의해 겔화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상기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약제로서는 나정제, 피복 정제, 캡슐, 산제, 과립제, 액제 등이 시장에 출하되어 있다. 구강 내에서 붕괴되어, 소화관에서 흡수되는 제제로서는 구강 내 붕괴정, 속용해형 구강 내 필름이 이미 시장에 출하되어 있고, 구강 내에서 씹지 않고 타액만으로 붕괴 또는 용해시켜 복용하는 환자 및 간호자의 편익을 향상시키는 제형이 주목을 받고 있다.
고령자 인구의 증가에 따라 음식물의 섭취에 장해를 갖는, 소위 저작ㆍ연하 곤란의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는 배경이 있으며, 또한 「고령자에게 투여 최적의 신규 제제 및 신규 포장 용기의 작성 연구」라고 하는 1988년 스기하라 마사야스 등이 보고한 구 후생성(현 후생 노동성) 실버 사이언스 연구 보고에 따르면, 장래 희망하는 의약품의 제형으로서 반고형 제제(젤리, 요구르트, 푸딩)가 예시되어 있다.
당해 배경도 있고, 최근 의약품을 함유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이미 일본에 있어서도 수종류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젤리 형태 제제는 모두 스푼 등으로 복용하는 포션 타입이거나, 주머니에서 압출하여 복용하는 필로우 포장 타입이었다. 또한, 당해 젤리 형태 제제 자체가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타입이 아니라, 연하 시의 물리적 힘에 의해 용이하게 확산된다고 하는 타입이었다.
또한, 예를 들어 물을 포함하는 젤리형의 제형으로서는, 예를 들어 카라기난, 로커스트 빈 검,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부분 중화물 혹은 염을 함유하는 젤리 제제(특허문헌 1), 젤리 기제와 알칼리염류로 이루어지는 의약용 젤리 조성물(특허문헌 2), 카라기난과 구아 검과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부분 중화물 혹은 염을 함유하는 의약용 젤리 조성물(특허문헌 3)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젤리 형태 제제는 고온(60 내지 100℃ 정도)의 열가역성 겔화제를 사용한 것, 또는 겔화제를 가교함으로써 불가역성 겔화제를 사용한 것이며, 젤리 형태 제제 자체가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타입의 것이 아니라, 연하 시의 물리적 힘에 의해 용이하게 확산된다고 하는 타입의 것이다. 또한, 이들 종래의 젤리 형태 제제는 제조 시에 고온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가교제로서 금속염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히 열안정성이 나쁜 약제나 금속염과의 상호 작용이 높은 단백질이나 펩티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그 안정성이 문제가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들 종래의 젤리 형태 제제는 모두 물에 의해 겔화된 제제이며, 또한 겔화제로서 천연 다당류, 첨가제로서 당류를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 등의 균류의 발생이 용이하고,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 가열 멸균 등이 필수가 되고, 또한 방부제의 첨가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을 다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신장병이나 심장병으로 대표되는 수분 제한이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고, 또한 물이 조성물 중에서 포장 재료를 투과하여 휘발되기 때문에 보관 안정성상, 투습성이 높은 고가의 포장 재료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물을 포함하지 않는 건조형의 필름 형상의 제형이고, 타액으로 겔화하는 제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교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를 사용한 수 팽윤성 겔 형성층과 약물 함유층을 갖는 제제(특허문헌 4)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 형상의 제제는 수용성 중합체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용해시키거나 또는 팽윤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타액량을 필요로 하고, 연하 곤란의 환자에 의해서는 용해에 장기간을 필요로 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수분을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구강 점막에 부착하기 쉬워 위화감을 느끼기 쉽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구강 내 용해형의 필름 제제의 경우에는, 그 용해성과 필름의 두께, 크기에는 상관 관계가 있어, 결과적으로 100mg을 초과하는 약물량을 함유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제조 방법에 관해서도, 이러한 필름 형상의 제제는 수용성 중합체를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여 용해시키고, 이 중에 약물을 용해시켜 가열 건조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고, 특히 열에 약한 약물의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약물 함량의 저하가 우려된다. 또한, 약물이 액상인 경우에는 필름 형상의 제제가 용해되는 것이 우려되므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물을 첨가함으로써 젤리를 복원시키는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네이티브 젤란 검을 포함하는 함수 겔을 건조하여 이루어지는 건조 겔(특허문헌 5)이나, 크산탄 검과 로커스트 빈 검의 혼합물, 크산탄 검과 타라 검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용해액을 동결 건조하고, 상기 동결 건조 젤리를 1 내지 3mm의 크기로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젤리 건조물(특허문헌 6)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5에 개시된 건조 겔에서는 물 또는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여도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로 충분히 복원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특허문헌 6에 개시된 젤리 건조물은 건조 젤리를 절단하는 공정과, 물을 첨가 후에 상기 동결 건조 젤리를 교반하는 조작이 필요하여, 생산 손실, 함량 손실, 이물질의 오염 등의 리스크가 우려되고, 의약품 조성물로서의 편리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1872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95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99559호 공보 일본 특허 제4267926호 공보 일본 특허 제3671269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35544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현상을 감안하여 적합하게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면서 연하하기 쉬운 젤리 형태이며, 또한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겔화제,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는 겔화하여 개체 상태를 유지하고, 물로 용이하게 용해되거나, 또는 체온으로 용이하게 용해되는 겔화제를 사용하여, 당해 겔화제를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의해 겔화시킴으로써, 제조 공정상의 멸균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또한 보관 안정성상 문제가 되는 투습성도 또한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그 성상 특성으로부터 설하 투여도 포함하는 구강 내 및 경구 경유에서의 식품 및 의약품의 투여에 적합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이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분자 중에 2 내지 4개의 OH기를 갖는 탄소수 4 이하의 다가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글리세린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및/또는 다당류 겔화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젤라틴은 수 난용성 젤라틴의 힐릭스 구조를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랜덤 코일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당류 겔화제는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젤란 검, 타마린드 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및 HM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네이티브형 젤란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ι-카라기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ι-카라기난/알긴산나트륨, ι-카라기난/크산탄 검, ι-카라기난/λ-카라기난, ι-카라기난/탈아실화 젤란 검, ι-카라기난/사일리움 씨드 검, ι-카라기난/트라간트 분말, 크산탄 검/탈아실화 젤란 검, 크산탄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탈아실화 젤란 검/LM 펙틴, 탈아실화 젤란 검/알긴산나트륨, 탈아실화 젤란 검/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트라간트 분말, LM 펙틴/사일리움 씨드 검 및 LM 펙틴/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및/또는 글리세린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용액 흡수 촉진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LM 펙틴, 알긴산나트륨, 크산탄 검, ι-카라기난, 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 사일리움 씨드 검 및 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겔화제의 배합량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배합량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이다.
상기 약물 함유 용액이 주사용 액제 또는 경구 액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물 함유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가 물,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 약물을 혼합하여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과,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얻는 공정, 및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과 겔화제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이용성화(易溶性化) 겔화제를 얻는 공정,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에 그 이용성화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얻는 공정, 및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과 겔화제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에 그 이용성화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 약물을 혼합하여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젤리 강도 및 사용 용도에 따라 최적의 형상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환자나 피간호자 자신이 복용하는 젤리 형태 제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충분히 자립할 수 있는 강도를 갖게 하여 정제나 필름, 시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의 관점에서는 필름 및 시트 형상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두께는 30 내지 5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30㎛ 미만이면 필름 강도 및 제품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고, 5000㎛를 초과하면 구강 중, 특히 설하에 투여한 경우 위화감을 느낄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시트 형상의 제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크기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면 면적은 0.5 내지 6.0cm2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0.5cm2 미만이면 제제를 집어 투여할 때에 취급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6.0cm2를 초과하면 투여 시에 구강 중, 특히 설하에 투여한 경우에 완전히 넣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시트 형상의 제제의 평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사각형, 5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임의의 형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다각형은 완전한 다각형 외에 약간 코너부에 R을 갖는 형상도 포함한다.
또한, 환자가 스스로 복용할 수 없어 의료 종사자 및 간호자가 투여하는 경우에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강도를 연하게 하여 스푼 등으로 복용을 보조할 수 있는 컵 포장이나 필로우 포장하는 형상도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겔화제는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기재가 되는 재료이다.
이러한 겔화제로서는 가식성이며 겔화능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젤라틴 및/또는 다당류 겔화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가식성」이란 경구적으로 투여 가능하고, 제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것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겔화제로서 젤라틴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상온에서는 겔화시키고, 구강 내의 체온으로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젤라틴은 열가역성 겔화제 중에서는 가장 저온에서 겔화를 일으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온 내지 40℃ 부근의 온도에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사용한 제제를 제조할 수 있고, 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의 제조 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들 젤라틴 중에서도 수 난용성 젤라틴의 힐릭스 구조를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랜덤 코일 구조를 갖는 것(이하, 수 이용성 젤라틴이라고도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수 이용성 젤라틴」이란, 1g의 젤라틴 샘플을 녹이기 위하여 40℃에서 1000mL 미만의 물을 필요로 하는 젤라틴을 의미한다.
또한, 젤라틴은, 통상, 분자 구조가 3중 나선 구조를 취하고 있고, 수 난용성(수 난용성 젤라틴)이다. 상기 수 이용성 젤라틴은 수 난용성 젤라틴을 물에 용해시켜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킴으로써, 그 분자 구조를 풀어 랜덤 코일화된 분자 구조로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 난용성 젤라틴」이란 1g의 젤라틴 샘플을 녹이기 위하여 40℃에서 1000mL 이상의 물을 필요로 하는 젤라틴을 의미한다. 또한, 「랜덤 코일 구조를 갖는 젤라틴」이란 힐릭스 구조를 취하는 수 난용성 젤라틴이 1개 쇄 상태에서 고형화된 것을 의미하는데, 부분적이면 힐릭스 구조를 취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젤라틴의 원료가 힐릭스 구조를 취하는 수 난용성 젤라틴이라도,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제조할 때에 원료 조합물을 가열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 난용성 젤라틴은 젤리화시킨 경우, 젤리 강도가 높다. 당해 관점에서, 상기 젤라틴은 상온의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수 난용성 젤라틴을 원료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젤라틴은 10중량%의 수용액으로 하였을 때에, 32℃에서는 겔화하지 않고, 5℃ 부근에서는 겔화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젤라틴은, 상기 수 이용성 젤라틴이 아니라도 분자량 및 젤라틴 중의 히드록시프롤린 함유량에 따라서는, 상기 겔화제로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그레이드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기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이나 뼈에 포함되는 단백질을 효소에 의해 분해 추출한 것이며, 돼지, 소 및 물고기 유래의 것을 산 처리 및 알칼리 처리한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으로서는 제조 시에 상온에서 제조 가능하고,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젤리 형태 제제에 사용한 경우, 열에 약한 약물의 제조 시에서의 안정성의 관점 및 BSE 등의 문제의 관점에서 물고기 또는 돼지 유래의 젤라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젤라틴은 평균 분자량이 9만을 초과하는 것이면, 아미노산 조성 중의 히드록시프롤린량이 5.2 내지 9.2몰%의 것이면 된다. 이러한 젤라틴으로서는 물고기 유래의 젤라틴을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어 유래 젤라틴(아미노산 조성 중의 히드록시프롤린량: 5.4몰%), 잉어 유래 젤라틴(아미노산 조성 중의 히드록시프롤린량: 7.6몰%), 틸라피아 유래 젤라틴(아미노산 조성 중의 히드록시프롤린량: 8.0몰%)을 들 수 있고, 틸라피아 유래 젤라틴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미노산 조성은 젤라틴을 가수분해한 후에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해 분리하고, 닌히드린에 의해 검출하는 분석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아미노산 조성 중의 히드록시프롤린량(몰%)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다.
닭: 10.8몰%
타조: 10.4몰%
마우스: 8.7몰%
돼지: 9.4몰%
소: 9.5몰%
또한, 상기 젤라틴으로서는 평균 분자량이 5만 내지 9만의 것이면, 아미노산 조성 중의 히드록시프롤린량에 상관없이 바람직한 젤라틴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분자량」이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며,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평균 분자량은 젤라틴의 폴리펩티드쇄 3량체의 분자량이 아니라, 각각의 폴리펩티드쇄 단량체의 분자량을 의미한다.
상기 다당류 겔화제는 가식성이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하에서 겔화능을 갖는 다당류이다. 즉, 다당류 중에는 가식성이라도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종류에 따라서는 겔화능을 갖지 않는 것이 있는데, 이러한 다당류는 별도로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겔화능이 부여되지 않는 한, 단독으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다당류 겔화제로서 사용할 수는 없다.
이러한 다당류 겔화제로서는 가식성이며 겔화능을 갖는 것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젤란 검, 타마린드 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다당류 겔화제로서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젤란 검, 타마린드 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하에서 겔화시켜 물에 의해 용이하게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카라기난은 직쇄 황 함유 다당류의 1종이며, 일반적으로는 콘드러스ㆍ크리스퍼스(홍조류)로부터 알칼리 추출에 의해 얻어지고, D-갈락토오스, 3,6-안히드로-D-갈락토오스 및 황산기로 구성되는 음이온성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들 구성비에 의해 각각 κ-카라기난, ι-카라기난, λ-카라기난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하에서 겔화하고, 또한 물 첨가 후에도 겔화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κ-카라기난이 바람직하다. ι-카라기난의 경우에는 그 단체로는 겔화하지 않고, 별도로 Ca2+ 등이 필요하다.
상기 κ-카라기난은 상기 κ-카라기난과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 존재 하에서의 겔화점이 80℃ 전후이며, 그로 인해 상온 부근에서의 물성은 안정되고, 사용 보관상의 관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경우, 열에 약한 약물(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약물 함유 용액을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후첨가함으로써, 상기 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의 제조 시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들 κ-카라기난 중에서도 평균 분자량이 5만 내지 50만인 그레이드의 것이 바람직하고, 카운터 양이온으로서 K+, Ca2+, Na+를 포함하는 그레이드의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용해성의 관점에서 카운터 이온으로서 Na+를 포함하는 그레이드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며,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펙틴은 가식성의 식물체, 일반적으로는 감귤류 또는 사과로부터 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고분자 다당류이며, 갈락튜론산으로 구성되고, 카르복실기가 부분적으로 메틸에스테르화되어 있다.
상기 펙틴은 전체 갈락튜론산 중 메틸화 갈락튜론산이 차지하는 비율에 의해 50% 이상인 것이 HM 펙틴, 50% 미만인 것이 LM 펙틴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펙틴의 에스테르화도(DE)는 갈락튜론산 100당량에 대한 에스테르화된 카르복실기의 수이다. 또한, 갈락튜론산 함유량(GA)은, 조정제 샘플의 100g당의 갈락튜론산(분자량 194.1)의 중량이다. 이들 측정은 (1) 적정에 의한 유리산량의 측정, (2) 적정에 의한 비누화 후의 유리산량의 측정, 이상의 2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서는, 상기 펙틴은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하에서 겔화하고, 또한 물 첨가 후에도 겔화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펙틴은 상기 펙틴과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 존재 하에서의 겔화점이 70℃ 전후이며, 그로 인해 상온 부근에서의 물성은 안정되고, 사용 보관상의 관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경우, 열에 약한 약물(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약물 함유 용액을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후첨가함으로써, 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의 제조 시의 안정성도 확보하면서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들 펙틴 중에서도 평균 분자량이 1만 내지 15만인 그레이드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며,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젤란 검은 미생물인 스핑고모나스ㆍ엘로데아의 균체 외에 생산되는 천연의 직쇄상의 헤테로 다당류이며, 글루코오스, 글루쿠론산, 글루코오스, 람노오스의 4당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젤란 검은 1-3 결합한 글루코오스에 존재하는 아세틸기와 글리세릴기의 유무에 의해 네이티브형 젤란 검과 탈아실형 젤란 검으로 나누어진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서는, 상기 젤란 검은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하에서 겔화하고, 또한 물 첨가 후에도 겔화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젤란 검은 상기 젤란 검과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 존재 하에서의 겔화점이 90℃ 전후이며, 그로 인해 상온 부근에서의 물성은 안정되고, 사용 보관상의 관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경우, 열에 약한 약물(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약물 함유 용액을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후첨가함으로써, 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의 제조 시의 안정성도 확보하면서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들 젤란 검 중에서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70만인 그레이드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며,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타마린드 검은 콩과 식물인 타마린드의 종자의 배유 부분을 온수 혹은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고분자 다당류이며, 주쇄가 글루코오스이고, 측쇄가 크실로오스 또는 크실로오스 및 갈락토오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타마린드 검은 상기 타마린드 검과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 존재 하에서의 겔화점이 80℃ 전후이며, 그로 인해 상온 부근에서의 물성은 안정되고, 사용 보관상의 관점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경우, 열에 약한 약물(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약물 함유 용액을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후첨가함으로써, 열안정성이 낮은 약물의 제조 시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들 타마린드 검 중에서도 평균 분자량이 10만 내지 70만인 그레이드의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 분자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의미하며,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이다. 0.1중량% 미만이면 상온에서는 겔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40중량%를 초과하면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이 극히 느려져 사용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상기 겔화제로서 적합한 젤라틴 및/또는 다당류 겔화제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그 밖의 가식성 고분자를 적당량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그 밖의 가식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등의 합성 고분자 화합물, 덱스트란, 카제인, 구아 검, 트라가칸트 검, 아카시아 검, 아라비아 검, 사일리움 씨드 검 전분, 제인, 크산탄 검, 로커스트 빈 검, 타라 검, 알긴산나트륨, 한천 등의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고분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그 밖의 가식성 고분자의 양은, 본 발명의 가식성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상기 겔화제로서 단체로서는 겔화제로 되지 않지만, 2종류를 조합함으로써 겔화제로 이룰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러한 2종류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ι-카라기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ι-카라기난/알긴산나트륨, ι-카라기난/크산탄 검, ι-카라기난/λ-카라기난, ι-카라기난/탈아실화 젤란 검, ι-카라기난/사일리움 씨드 검, ι-카라기난/트라간트 분말, 크산탄 검/탈아실화 젤란 검, 크산탄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탈아실화 젤란 검/LM 펙틴, 탈아실화 젤란 검/알긴산나트륨, 탈아실화 젤란 검/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트라간트 분말, LM 펙틴/사일리움 씨드 검 및 LM 펙틴/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서는,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타마린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 LM 펙틴 및 HM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후술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겔화제와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후첨가하는 약물 함유 용액을 흡수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서는,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네이티브형 젤란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ι-카라기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ι-카라기난/알긴산나트륨, ι-카라기난/크산탄 검, ι-카라기난/λ-카라기난, ι-카라기난/탈아실화 젤란 검, ι-카라기난/사일리움 씨드 검, ι-카라기난/트라간트 분말, 크산탄 검/탈아실화 젤란 검, 크산탄 검/사일리움 씨드 고무, 탈아실화 젤란 검/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탈아실화 젤란 검/LM 펙틴, 탈아실화 젤란 검/알긴산나트륨, 탈아실화 젤란 검/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트라간트 분말, LM 펙틴/사일리움 씨드 검 및 LM 펙틴/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후술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및/또는 글리세린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겔화제와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후첨가하는 약물 함유 용액을 흡수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타마린드 검 및 HM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후술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겔화제와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고, 후첨가하는 약물 함유 용액을 흡수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용해를 보조하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중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용해 시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구강 내에서 용해되어 복용하는 경우에도, 구강 중 특히 설하에 있어서 천천히 용해시켜 약물을 서방시키는 경우의 양쪽에 있어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이다. 10중량% 미만이면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이 극히 나빠져 사용상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고, 한편 99중량%를 초과하면 상온에서의 보형성 등의 물성면의 보관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로서는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고 가식성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자 중에 2 내지 4개의 OH기를 갖는 탄소수 4 이하의 다가 알코올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다가 알코올의 분자 중의 OH기가 2개 미만이면 젤라틴 등의 겔화제와 상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상기 다가 알코올의 분자 중의 OH기가 4개를 초과하면 융점이 상승하고, 상온에서는 고체가 되어 용매로서의 사용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의 탄소수가 4를 초과하면 젤라틴 등의 겔화제와의 상용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다가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적절하게 들 수 있다.
이러한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중에 다량으로 포함된 경우,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한 안전성의 관점에서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로서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경우,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흡수 속도를 높이는 목적으로서, 용액 흡수 촉진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LM 펙틴, 알긴산나트륨, 크산탄 검, ι-카라기난, 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 사일리움 씨드 검 및 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을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일반적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서는 제조 시에 필요한 멸균 공정이나 방부제의 첨가가 불필요해져 제조 비용면에서의 장점이 있고, 또한 수분 제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영양 보조식 및 의약품의 제형에 적용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란,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물의 함유량이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소포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상기 소포제로서는, 예를 들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트리올레산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소르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자당 올레산 에스테르, 자당 팔미트산 에스테르, 자당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자당 베헨산 에스테르, 자당 에루크산 에스테르, 자당 혼합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기재를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상기의 물질 외에 목적에 따라 향료, 교미제, 감미제, 착색제, 방부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계면 활성제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물성 및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상기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당, 2당, 3당 내지 6당의 당 또는 이들의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단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로오스, 트레오스 등의 알도테트로오스, 리보오스, 릭소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등의 알도펜토오스, 알로오스, 탈로오스, 굴로오스, 글루코오스, 알트로오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이도오스 등의 알도헥토오스, 에리트룰로오스 등의 케토테트로오스, 크실룰로오스, 리불로오스 등의 케토펜토오스, 프시코오스, 프룩토오스, 소르보오스, 타가토오스 등의 케토헥소오스 등을 들 수 있다. 2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트레할로오스, 코지비오스, 니게로오스, 말토오스, 이소말토오스 등의 α-디글루코시드, 이소트레할로오스, 소포로오스, 라미나리비오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등의 β-디글루코시드, 네오트레할로오스 등의 α,β-디글루코시드 외에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이소말툴로오스(팔라티노오스) 등을 들 수 있다. 3당류로서는, 예를 들어 라피노오스 등을 들 수 있다. 3당 내지 6당의 올리고당으로서는, 예를 들어 프룩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크실로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키틴올리고당, 키토산올리고당, 올리고글루코사민,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환상 올리고당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단당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에리트리톨, D-트레이톨, L-트레이톨 등의 테트리톨, D-아라비니톨, 크실리톨 등의 펜티톨, D-이디톨, 갈락티톨(둘시톨), D-글루시톨(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헥시톨, 이노시톨 등의 시클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당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어 말티톨, 락티톨, 환원 팔라티노오스(이소말트) 등을 들 수 있고, 올리고당의 알코올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환원 맥아당 물엿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당 또는 당알코올이 치환되어도 되고, 또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당 또는 당알코올은,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사용한 시트 형상의 제제가 구강 내에서 용이하게 용해되는 관점 또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크게 용액의 점성을 변화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단당류 내지 3당류 또는 이들의 당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첨가제의 양은,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중량%이다. 1중량% 미만이면 사용상 충분한 물성을 담보할 수 없는 가능성이 있고, 한편 80중량%를 초과하면 첨가한 첨가제에 의해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제제로서 사용한 경우, 물성의 제어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함유시켜 의약 조성물을 얻어 젤리 형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후첨가함으로써 젤리 형태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약물이란 어떠한 생리 활성 작용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더 포함하는 젤리 형태 제제, 및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후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젤리 형태 제제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인간 등의 포유 동물에게 그 설하, 구강 내, 장관을 통하여 투여할 수 있는, 즉 경구 투여 가능한 약물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약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신성 마취제, 최면ㆍ진정제, 항간질제, 해열 진통 소염제, 진운제, 정신 신경용 약, 중추 신경제, 항치매제, 국소 마취제, 골격근 이완제, 자율 신경용 약, 진경제, 항퍼킨슨제, 항히스타민제, 강심제, 부정맥용 약, 이뇨제, 혈압 강하제, 혈관 수축제, 관혈관 확장제, 말초 혈관 확장제, 동맥 경화용 약, 순환기용 약, 호흡 촉진제, 진해 거담제, 호르몬제, 화농성 질환용 외용제, 진통ㆍ진양ㆍ수렴ㆍ소염용 약, 기생성 피부 질환용 약, 지혈용 약, 통풍 치료용 약, 당뇨병용 약, 항악성 종양용 약, 항생 물질, 화학 요법제, 마약, 금연 보조제, 감감작 요법용 알레르겐, 백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은 질환, 상태 또는 장해의 치료에 있어서 원하는 결과, 예를 들어 원하는 치료 결과를 초래하는 데 충분한, 본 명세서 중에서 유효량이라고도 불리는 양으로 점착제층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유효량의 약물이란, 예를 들어 비독성이기는 하지만, 그러나 특정한 시간에 걸쳐 선택된 효과를 초래하는 데에 충분한 양의 약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고체 약물이어도 되고 액상 약물이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고체 약물은 실온(25℃)에서 고체인 약물, 즉 융점이 25℃보다 높은 약물을 의미한다. 여기서 말하는 융점은 DSC, 형식 번호 DSC6220(세이코 인스트루먼츠(SII)제)으로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또한, 액상의 약물이란, 실온(25℃)에서 유동성을 갖는, 즉 약물의 점도가 0.05 내지 10만mPaㆍs인 약물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약물의 점도는, 당해 약물을 25℃로 보온하면서 E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러한 약물을 포함하는 약물 함유 용액은 주사용 액제 또는 경구 액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의 농도로서는 그 성질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통상 1×10-10 내지 80중량%이다. 1×10-10중량% 미만이면 임상 효과의 관점에서 많은 약물에 있어서 약효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있고, 80중량%를 초과하면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물성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의 보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약물 함유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는, 인간에게 투여하기 위한 안전성의 관점에서 물,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의 배합량이 젤리 형태 제제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4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이다. 0.1중량% 미만이면 상온에서는 겔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한편 40중량%를 초과하면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이 극히 느려져 사용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고,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배합량이 젤리 형태 제제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이다. 불휘발성 유기 용매가 10중량% 미만이면 구강 내에서의 용해성이 극히 나빠져 사용상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고, 한편 99중량%를 초과하면 상온에서의 보형성 등의 물성면의 보관 안정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와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겔화제와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바람직한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네이티브형 젤란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ι-카라기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ι-카라기난/알긴산나트륨, ι-카라기난/크산탄 검, ι-카라기난/λ-카라기난, ι-카라기난/탈아실화 젤란 검, ι-카라기난/사일리움 씨드 검, ι-카라기난/트라간트 분말, 크산탄 검/탈아실화 젤란 검, 크산탄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탈아실화 젤란 검/LM 펙틴, 탈아실화 젤란 검/알긴산나트륨, 탈아실화 젤란 검/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트라간트 분말, LM 펙틴/사일리움 씨드 검 및 LM 펙틴/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및/또는 글리세린 유도체인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및 HM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며,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인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는, 예를 들어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 약물을 혼합하여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 중 하나이다(이하, 제1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함).
또한, 제1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약물을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우선, 소정량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상술한 겔화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상온 또는 가열에 의해 용해시키고,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첨가제에 관해서는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여기서, 상기 겔화제가 상술한 수 이용성 젤라틴인 경우, 상기 방법으로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면 된다. 한편, 상기 겔화제가 수 난용성 젤라틴인 경우, 상기 수 난용성 젤라틴은 통상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겔화제 용액을 제조할 때에는, 예를 들어 수 난용성 젤라틴을 물에 가열 용해시킨 젤라틴 용해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의 용해성을 높인 랜덤 코일 구조를 갖는 젤라틴을 얻은 후,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도 되고, 또한 상기 수 난용성 젤라틴을 물로 가열 용해시킨 것의 소정량을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첨가하여도 된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 난용성 젤라틴이라도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약물이 열에 안정한 것인 경우, 상기 약물은 상기 겔화제 등과 함께 첨가하여 겔화제 용액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약물이 열에 불안정한 것인 경우, 상기 겔화제 등을 용해시킨 후, 상온 내지 35℃ 부근까지 식힌 후에 상기 열에 불안정한 약물을 첨가하고 교반 혼합함으로써 겔화제를 제조한다. 또한, 상기 약물은 후술하는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겔화제 용액의 제조 시에 기포가 발생한 경우에는, 장시간 정치나 진공 또는 감압 탈포를 행하여 충분히 소포시킨다.
상기 젤라틴 용해액의 동결 건조는, 예를 들어 상기 젤라틴 용해액을 액체 질소로 동결시키고, 그 후 공지된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젤라틴 용해액의 분무 건조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분무하고, 30℃ 부근의 온도에 있어서 당해 분무액을 건조시킴으로써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얻어진 젤라틴 미립자에 수분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20 내지 30℃ 부근의 온도에서 2차 건조 또는 감압 건조를 행하여도 된다.
상기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겔화제 용액의 소정량을 28℃ 내지 32℃의 온도 하에서 희망하는 크기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제 블리스터 케이스 및 필로우 포장 내에 분주하고, 분주 후 바로 냉각 고화시킨다. 당해 분주 방식 대신에, 상기 겔화제 용액을 플라스틱제 박리 필름 상에 적당량 전연하고 냉각 고화하여 희망하는 크기로 재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겔화제 용액에 물이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공정에서 냉각 고화시키기 전에 가열 건조 또는 감압 건조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조하는 젤리 형태 제제에 포함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본공정 후에 냉풍 건조 공정 또는 냉각 감압 건조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는 물과,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얻는 공정, 및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도 본 발명 중 하나이다(이하, 제2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함).
또한, 제2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얻는 공정까지를 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에서는, 우선, 소정량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상술한 젤라틴 및/또는 다당류 겔화제 등의 겔화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상온 또는 가열에 의해 용해시키고,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첨가제에 관해서는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여기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의 제조 시에 기포가 발생한 경우에는, 장시간 정치나 진공 또는 감압 탈포를 행하여 충분히 소포시킨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 용액을 얻는 공정은, 미리 물과 겔화제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을 행하고,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에 그 이용성화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이어도 된다. 이러한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겔화제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는 경우라도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을,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 용액을 얻는 공정 전에 갖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이하, 제3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함).
상기 겔화제 용액의 동결 건조는, 예를 들어 상기 겔화제 용액을 액체 질소로 동결시키고, 그 후 공지된 동결 건조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겔화제 용액의 분무 건조는, 예를 들어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분무하고, 30℃ 부근의 온도에 있어서 당해 분무액을 건조시킴으로써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얻어진 겔화제 미립자에 수분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20 내지 30℃ 부근의 온도에서 2차 건조 또는 감압 건조를 행하여도 된다.
제2 및 제3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의 소정량을4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희망하는 크기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제 블리스터 케이스 및 필로우 포장 내에 분주하고, 분주 후 바로 냉각 고화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는다. 당해 분주 방식 대신에,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플라스틱제 박리 필름 상에 적당량 전연하고 냉각 고화하여 희망하는 크기로 재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에 첨가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공정에서 냉각 고화시키기 전에 가열 건조 또는 감압 건조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조하는 젤리 형태 제제에 포함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본공정 후에 냉풍 건조 공정 또는 냉각 감압 건조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상기 젤리 형태 제제를 얻는 공정에서는,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상술한 약물 함유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상기 약물 함유 용액을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침윤시킨다.
이와 같이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형성한 후,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기 때문에, 제2 및 제3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서는 열에 불안정한 약물이라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는 물과 겔화제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에 그 이용성화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 약물을 혼합하여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 중 하나이다(이하, 제4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이라고도 함).
또한, 제4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약물을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은, 상술한 제3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서의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및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과 마찬가지의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을 행함으로써, 상기 겔화제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는 경우라도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제4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우선, 소정량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상술한 공정에서 얻어진 이용성화 겔화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상온 또는 가열에 의해 용해시키고,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첨가제에 관해서는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는, 원료인 겔화제가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이하게 용해되지 않는 경우라도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약물이 열에 안정 또는 불안정한 어느 경우에도 적절하게 교반 혼합함으로써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은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에 있어서 첨가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겔화제 용액의 제조 시에 기포가 발생한 경우에는, 장시간 정치나 진공 또는 감압 탈포를 행하여 충분히 소포시킨다.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에서는,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의 소정량을 40 내지 80℃의 온도 하에서 희망하는 크기의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제 블리스터 케이스 및 필로우 포장 내에 분주하고, 분주 후 바로 냉각 고화시킨다. 당해 분주 방식 대신에,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플라스틱제 박리 필름 상에 적당량 전연하고 냉각 고화하여 희망하는 크기로 재단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에 물이 첨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공정에서 냉각 고화시키기 전에 가열 건조 또는 감압 건조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조하는 젤리 형태 제제에 포함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본공정 후에 냉풍 건조 공정 또는 냉각 감압 건조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상술한 각 방법으로 얻어진 시트 또는 필름 형상의 젤리 형태 제제를 필요에 따라 밀봉 포장하여 제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은, 특히 열에 불안정한 약물에 대하여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저온에서 제조 가능하다고 하는 점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젤리 형태의 조성물이면서 연하하기 쉬운 젤리 형태이며, 또한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그 용해 시간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용해 시간을 제어 가능하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필요한 구강 점막 및 설하 점막으로부터 흡수시키는 의약품의 제형으로서, 또한 알레르겐을 설하 점막으로부터 감작시키는 설하 감감작 요법에 적합하다.
또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일반적인 젤리에서는 필요한 멸균 공정이나 방부제의 첨가가 불필요해져 제조 비용면에서의 장점이 있고, 또한 수분 제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영양 보조식 및 의약품의 제형으로서도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주사제, 경구 액제와 같은 약물 함유 용액을 후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고형화하여, 젤리 형태 제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에 매우 약한 단백질이나 펩티드 뿐만 아니라, 다품종 소 로트 생산의 맞춤식 치료용 약제의 고형화에도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젤라틴 및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올류가 적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특히 단백질이나 펩티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물론 그대로의 상태로 연하하여도 되고, 구강 내에서 신속하게 용해시켜 연하하여도 된다. 또한, 구강 내에서의 용해 시간을 제어하여 구강 점막이나 설하 점막으로부터의 흡수를 기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체온에서 모두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사감이 없다고 하는 관점, 또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사용한 젤리 형태 제제는, 수분 제한이 있는 환자 및 연하 곤란의 환자 및 간호자의 QOL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에 물고기 유래 수 이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7)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및 7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대신에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실시예 6 및 7에서는 물고기 유래 수 이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대신에 돼지 유래 수 이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 닛삐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에 물고기 유래 수 이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80℃까지 가열하여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다. 당해 침전이 잔존한 용액을 그대로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에 돼지 유래 수 이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 닛삐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80℃까지 가열하여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다. 당해 침전이 잔존한 용액을 그대로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8)
돼지 유래 수 이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 닛삐사제) 5중량부를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3.9중량부에 넣어 6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당해 용액에 약물로서의 침강 탄산칼슘(비호꾸분까 고교사제) 50중량부, 수크랄로오스(산에이겐 FFI사제) 0.1중량부, 시트르산(일본 약방 시트르산 수화물, 고마쯔야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혼합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룻밤 냉각 보관하여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9, 10)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8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약물로서의 침강 탄산칼슘(비호꾸분까 고교사제) 대신에 실시예 9에서는 탄산란탄 수화물(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실시예 10에서는 에이코사펜타에노산 에틸(와꼬 쥰야꾸 고교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11)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2중량부를 정제수 100중량부에 넣어 6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당해 용액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프리즈 드라이어 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로 동결 건조를 행하여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FD품)으로 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에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FD품)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 내지 15)
표 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대신에 실시예 12에서는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실시예 13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돼지 알칼리 처리 젤라틴 BP-200D, 닛삐사제), 실시예 14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돼지 산 처리 젤라틴 AP-200, 닛삐사제), 실시예 15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젤라틴 CP-1045, 젤라이스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3
(비교예 3)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에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80℃까지 가열하여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다. 당해 침전이 잔존한 용액을 그대로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내지 9)
표 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3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제조를 행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대신에 비교예 4에서는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비교예 5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돼지 알칼리 처리 젤라틴 BP-200D, 닛삐사제), 비교예 6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돼지 산 처리 젤라틴 AP-200, 닛삐사제), 비교예 7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젤라틴 CP-1045, 젤라이스사제), 비교예 8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MP 바이오메디컬사제), 비교예 9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971P, 노베온(NOVEON)사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4
(비교예 10)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에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기 때문에, 80℃까지 가열하여 교반하였지만 용해되지 않았다. 당해 침전이 잔존한 용액을 그대로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1 내지 16)
표 5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10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제조를 행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대신에 비교예 11에서는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비교예 12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돼지 알칼리 처리 젤라틴 BP-200D, 닛삐사제), 비교예 13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돼지 산 처리 젤라틴 AP-200, 닛삐사제), 비교예 14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젤라틴 CP-1045, 젤라이스사제), 비교예 15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MP 바이오메디컬사제), 비교예 16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971P, 노베온사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5
(실시예 16)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2중량부를 정제수 100중량부에 넣어 6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당해 용액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프리즈 드라이어 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로 동결 건조를 행하여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FD품)으로 하였다.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에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FD품)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루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7 내지 20)
표 6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6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물고기 유래 산 처리 젤라틴(물고기 젤라틴 FGS-230, 닛삐사제) 대신에 실시예 17에서는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실시예 18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돼지 알칼리 처리 젤라틴 BP-200D, 닛삐사제), 실시예 19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돼지 산 처리 젤라틴 AP-200, 닛삐사제), 실시예 20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젤라틴 CP-1045, 젤라이스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6
(실시예 21)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1중량부를 정제수 2중량부에 넣어 6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당해 용액에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혼합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2g씩 분주하고, 분자체(와꼬 쥰야꾸 고교사제)를 넣은 데시케이터 내에 넣어 2 내지 8℃ 하에서 3일간 냉각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2 내지 28)
표 7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2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대신에 실시예 22 및 26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돼지 알칼리 처리 젤라틴 BP-200D, 닛삐사제), 실시예 23 및 27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돼지 산 처리 젤라틴 AP-200, 닛삐사제), 실시예 24 및 28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젤라틴 CP-1045, 젤라이스사제)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 25 내지 28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대신에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29)
수 난용성 젤라틴으로서의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2중량부를 정제수 100중량부에 넣어 6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당해 용액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프리즈 드라이어 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로 동결 건조를 행하여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FD품)으로 하였다.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FD품) 5중량부를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3.9중량부에 넣어 60℃로 가온하여 용해시켰다. 당해 용액에 약물로서의 침강 탄산칼슘(비호꾸분까 고교사제) 50중량부, 수크랄로오스(산에이겐 FFI사제) 0.1중량부, 시트르산(일본 약방 시트르산 수화물, 고마쯔야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혼합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룻밤 냉각 보관하여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30, 31)
표 8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29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약물로서의 침강 탄산칼슘(비호꾸분까 고교사제) 대신에 실시예 30에서는 탄산란탄 수화물(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실시예 31에서는 에이코사펜타에노산 에틸(와꼬 쥰야꾸 고교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8
[시험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가식성의 조성물 또는 필름 형상의 제제(이하, 통합하여 샘플이라고 함) 제조 시에, 각종 겔화제가 용해되는지의 여부(제조 가능성), 제조 후 냉각함으로써 젤리 형태이 되는지의 여부(겔화성), 25℃에서 1개월 보관 후에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분리가 보여지지 않는지(보관 안정성)의 3점으로부터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7, 11 내지 20에 관해서는 구강 내에서의 용해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붕괴 시험을 행하여 용해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시험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제조 가능성
각 샘플 제조 시에 각 겔화제가 불휘발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3: 완전히 용해되어 맑은 용액이 됨
2: 용해되었지만, 약간의 탁함이 보여짐
1: 용해 잔여가 약간 보여짐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2) 겔화성(젤리화성)
각 샘플 제조 시에 각 용액을 2 내지 8℃ 하에서 냉각하는데, 그 때에 젤리 형태이 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3: 손가락으로 눌러도 탄력성이 있고, 손가락에 겔화제가 부착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 또는 젤리 형태 제제가 됨
2: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가 되었지만, 부드러워 탄력성이 부족함
1: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이지만, 손가락에 겔화제가 부착됨
0: 점성이 있는 겔화제로 전혀 겔화하지 않음
(3) 보관 안정성 시험
25℃로 설정한 항온조에 제조한 샘플을 보관하고, 보관 개시로부터 1개월 후에 취출하여 관능 시험(촉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관능 시험(촉감)의 평가 방법에 따랐다.
3: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는 전혀 보이지 않음
2: 샘플의 표면에 약간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가 보여짐
1: 샘플의 표면에 상당히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가 보여짐
0: 분리가 심하고, 겔화제가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에 잠긴 상태가 됨
또한, (1) 제조 가능성에서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샘플 및 (2) 겔화성에서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샘플에 관해서는, 당해 시험은 행하지 않고 0으로서 스코어화하였다.
(4) 구강 내 용해 시간 측정
제15 개정 일본 약방에 기재된 붕괴 시험법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1000mL의 저형 비이커에 증류수를 넣고, 37±2℃의 온도 하에서 1분 동안 29 내지 32왕복, 진폭 53 내지 57mm로 시험기를 상하시키는 조건 하에 의해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기 안에 실시예 1 내지 7, 11 내지 20에 관한 가식성의 조성물을 넣고, 전술한 조건 하에서 시험을 개시하여 시험 개시로부터 실시예 1 내지 7, 11 내지 20에 관한 가식성의 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되어 시험기로부터 소실된 시간을 구강 내 용해 시간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9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관한 샘플은 어느 평가 항목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이며, 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및 젤리 형태 제제이고, 다양한 겔화제(수 이용성 젤라틴)를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평가 결과이며, 또한 여러가지 불휘발성 유기 용매(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양호한 평가 결과이었다.
한편, 비교예 1에 관한 샘플은 겔화성(젤리화성)이 불량한 결과이었다. 또한, 비교예 2에 관한 샘플은 어느 평가 항목에 있어서도 불량한 결과이었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7, 10 내지 14에 관한 샘플은 보관 안정성이 양호하였지만, 제조 가능성 및 겔화성(젤리화성)이 불량한 결과이었다. 또한, 비교예 8, 9, 15, 16에 관한 샘플은 제조 가능성이 양호하였지만, 겔화성(젤리화성) 및 보관 안정성이 불량한 결과이었다. 
Figure pat00010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포함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용해 시간을 조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Kelco)사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3 내지 37)
표 1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32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33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34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35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36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 실시예 37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Type USP-H,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7)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ι-카라기난(GENUVISCO Type PJ-JPE, CP 켈코사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8 내지 23)
표 1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17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ι-카라기난 대신에 비교예 18에서는 λ-카라기난(ML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비교예 19에서는 로커스트 빈 검(GENUGUM RL-200-J, CP 켈코사제), 비교예 20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비교예 21에서는 구아 검(MEYORO-GUAR CSA200/50, 다니스코(DANISCO)사제), 비교예 22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Na, MP 바이오메디컬사제), 비교예 23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971P, 노베온사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1
(실시예 38)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9 내지 42)
표 1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38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39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40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41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42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4)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ι-카라기난(GENUVISCO Type PJ-JPE, CP 켈코사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5 내지 31)
표 1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24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ι-카라기난 대신에 비교예 25에서는 λ-카라기난(ML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비교예 26에서는 로커스트 빈 검(GENUGUM RL-200-J, CP 켈코사제), 비교예 27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비교예 28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Type USP-H, CP 켈코사제), 비교예 29에서는 구아 검(MEYORO-GUAR CSA200/50, 다니스코사제), 비교예 30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Na, MP 바이오메디컬사제), 비교예 31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971P, 노베온사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2
(비교예 32)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폴리에틸렌글리콜 400(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3 내지 44)
표 1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32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κ-카라기난 대신에 비교예 33에서는 ι-카라기난(GENUVISCO Type PJ-JPE, CP 켈코사제), 비교예 34에서는 λ-카라기난(소아기나 ML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제), 비교예 35에서는 로커스트 빈 검(GENUGUM RL-200-J, CP 켈코사제), 비교예 36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비교예 37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비교예 38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비교예 39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비교예 40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 비교예 41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Type USP-H, CP 켈코사제), 비교예 42에서는 구아 검(MEYORO-GUAR CSA200/50, 다니스코사제), 비교예 43에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CMCNa, MP 바이오메디컬사제), 비교예 44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Carbopol971P, 노베온사제)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3
(실시예 43)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5중량부를 7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κ-카라기난(FD품)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4 내지 48)
표 1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43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44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45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46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47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 비교예 48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Type USP-H,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4
(실시예 49)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5중량부를 7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κ-카라기난(FD품) 0.5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5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0 내지 53)
표 15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49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50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51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52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53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5
(실시예 54)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0.2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19.8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5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5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5 내지 63)
표 16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54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글리세린 대신에 실시예 59 내지 63에서는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6
(실시예 64)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중량부에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0.2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9.8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2.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5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5 내지 68)
표 17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64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의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17
(실시예 69)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5중량부를 7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κ-카라기난(FD품) 1.0중량부를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3.9중량부에 넣고, 8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다당류 겔화제 용액을 얻었다. 당해 다당류 겔화제 용액에 침강 탄산칼슘(비호꾸분까 고교사제) 50.0중량부, 수크랄로오스(산에이겐 FFI사제) 0.1중량부, 시트르산(일본 약방 시트르산 수화물, 고마쯔야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8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혼합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2 내지 8℃ 하에서 하룻밤 냉각 보관하여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70)
표 18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69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침강 탄산칼슘 대신에 탄산란탄 수화물(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κ-카라기난(FD품) 대신에 κ-카라기난(FD품)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얻어진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 FD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1)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60.0중량부에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60.9중량부에 넣고, 8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다당류 겔화제 용액을 얻었다. 당해 다당류 겔화제 용액을 60℃로 냉각한 후, 에이코사펜타에노산 에틸(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30.0중량부, 수크랄로오스(산에이겐 FFI사제) 0.1중량부, 시트르산(일본 약방 시트르산 수화물, 고마쯔야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혼합 후, 5cm2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각형) 3호,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6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사제)에서 35℃로 5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켜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72)
표 18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71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필름 형상의 제제를 얻었다. 에이코사펜타에노산 에틸 대신에 엔타카폰(시플라(Cipla)사제), 탈아실형 젤란 검 외에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18
[시험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가식성의 조성물 또는 필름 형상의 제제(이하, 통합하여 샘플이라고도 함) 제조 시에, 각종 다당류 겔화제가 용해되는지의 여부(제조 가능성), 제조 후 냉각함으로써 젤리 형태 조성물이 되는지의 여부(겔화성 1), 제조 후 냉각함으로써 액상 성분이 분리되지 않는지(겔화성 2), 40℃에서 1개월 보관 후에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분리가 보여지지 않는지(보관 안정성)의 3점으로부터 평가를 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32 내지 42, 54 내지 58에 관해서는 구강 내에서의 용해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붕괴 시험을 행하여 용해 시간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결과를 표 19 내지 표 21에 나타내었다.
(1) 제조 가능성
각 샘플 제조 시에 각 다당류 겔화제가 제조 시의 용매에 용해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3: 완전히 용해되어 맑은 용액이 됨
2: 용해되었지만, 약간의 탁함이 보여짐
1: 용해 잔여가 약간 보여짐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2) 겔화성 1(젤리화성)
각 샘플 제조 시에, 혹은 감압 건조 또는 방냉 시에 젤리 형태이 되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3: 손가락으로 눌러도 탄력성이 있고, 손가락에 다당류 겔화제가 부착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가 됨
2: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가 되었지만, 부드러워 탄력성이 부족함
1: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이지만, 손가락에 기재가 부착됨
0: 점성이 있는 다당류 겔화제이며 전혀 겔화하지 않음
또한, (1) 제조 가능성에서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샘플에 관해서는, 당해 시험은 행하지 않고 0으로서 스코어화하였다.
(3) 겔화성 2(상용성)
각 샘플 제조 시에, 혹은 감압 건조 또는 방냉 시에 용매가 분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3: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는 전혀 보이지 않음
2: 샘플의 표면에 약간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가 보여짐
1: 샘플의 표면에 상당히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가 보여짐
0: 분리가 심하고, 기재가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에 잠긴 상태가 됨
또한, (1) 제조 가능성에서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샘플에 관해서는, 당해 시험은 행하지 않고 0으로서 스코어화하였다.
(4) 보관 안정성 시험
40℃로 설정한 항온조에 제조한 샘플을 보관하고, 보관 개시로부터 1개월 후에 취출하여 관능 시험(촉감)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관능 시험(촉감)의 평가 방법에 따랐다.
3: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는 전혀 보이지 않음
2: 샘플의 표면에 약간의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가 보여짐
1: 샘플의 표면에 상당히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의 분리가 보여짐
0: 분리가 심하고, 기재가 불휘발성 유기 용매(액상 성분)에 잠긴 상태가 됨
또한, (1) 제조 가능성에서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샘플 및 (2) 겔화성 1에서 "0: 거의 용해되지 않음" 샘플에 관해서는, 당해 시험은 행하지 않고 0으로서 스코어화하였다.
(5) 구강 내 용해 시간 측정
제15 개정 일본 약방에 기재된 붕괴 시험법에 준하여 시험을 행하였다. 1000mL의 저형 비이커에 증류수를 넣고, 37±2℃의 온도 하에서 1분 동안 29 내지 32왕복, 진폭 53 내지 57mm로 시험기를 상하시키는 조건 하에 의해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기 안에 샘플을 넣고, 전술한 조건 하에서 시험을 개시하여 시험 개시로부터 샘플이 완전히 용해되어 시험기로부터 소실된 시간을 구강 내 용해 시간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19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2 내지 72의 샘플은 어느 평가 항목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이며, 합계 스코어는 10 내지 12이었다.
Figure pat00020
표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7 내지 44의 샘플은 모든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것은 없고, 평가의 합계 스코어는 3 내지 7이었다.
Figure pat00021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샘플은 포함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구강 내에서의 용해 시간을 조정할 수 있었다.
(실시예 73)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4.0중량부를 40℃로 가온하고, 물고기 유래 수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4)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4.0중량부를 60℃로 가온하고,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5 내지 77)
표 2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74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 대신에 실시예 75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AP-200F, 닛삐사제), 실시예 76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BP-200F, 닛삐사제), 실시예 77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AD4, 닛삐사제)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78)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0중량부를 85℃로 가온하고,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0.4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3.6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8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9, 80)
표 2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78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79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80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Type USP-H,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5)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제) 8.0중량부를 85℃로 가온하고,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제) 0.4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3.6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8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6 내지 49)
표 2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45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LM 펙틴 대신에 비교예 46에서는 타라 검(MT12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비교예 47에서는 로커스트 빈 검(GENUGUM RL-200-J, CP 켈코사제), 비교예 48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비교예 49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2
(실시예 81)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4.0중량부를 40℃로 가온하고, 물고기 유래 수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4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2)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4.0중량부를 60℃로 가온하고,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2.0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0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3 내지 85)
표 2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82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 대신에 실시예 83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AP-200F, 닛삐사제), 실시예 84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BP-200F, 닛삐사제), 실시예 85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AD4, 닛삐사제)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86)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0중량부를 85℃로 가온하고,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0.4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3.6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8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87, 88)
표 2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86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87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88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0)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0중량부를 85℃로 가온하고,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 0.4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3.6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8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51 내지 54)
표 2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50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LM 펙틴 대신에 비교예 51에서는 타라 검(MT12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비교예 52에서는 로커스트 빈 검(GENUGUM RL-200-J, CP 켈코사제), 비교예 53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비교예 54에서는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3
(실시예 89)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물고기 유래 수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5.0중량부를 4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물고기 유래 수용성 젤라틴(FD품) 2.0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한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6.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0.6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0)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5.0중량부를 6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FD품) 2.0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한 후, 프로필렌글리콜(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6.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0.6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1 내지 93)
표 2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90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 대신에 실시예 91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AP-200F, 닛삐사제), 실시예 92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BP-200F, 닛삐사제), 실시예 93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AD4, 닛삐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4
(실시예 94)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물고기 유래 수용성 젤라틴(수용성 젤라틴 CSF, 닛삐사제) 5.0중량부를 4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물고기 유래 수용성 젤라틴(FD품) 2.0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0.6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5)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5.0중량부를 6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FD품) 2.0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0.6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96 내지 98)
표 25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95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 대신에 실시예 96에서는 돼지 유래 산 처리 젤라틴(AP-200F, 닛삐사제), 실시예 97에서는 돼지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BP-200F, 닛삐사제), 실시예 98에서는 소 유래 알칼리 처리 젤라틴(AD4, 닛삐사제)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99)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κ-카라기난(GENUGEL JPE-126, CP 켈코사제) 5.0중량부를 7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κ-카라기난(FD품) 0.2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5.8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0.6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00, 101)
표 25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99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κ-카라기난 대신에 실시예 100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101에서는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5)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1000중량부에 탈아실형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5.0중량부를 70℃에서 가열 용해하여 실온에서 방냉한 후, 액체 질소로 동결하고, 동결 건조기(DC400,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하루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하였다. 동결 건조 처리를 행한 탈아실형 젤란 검(FD품) 0.2중량부를 충분히 교반한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5.8중량부를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용해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0.6g씩 분주하고, 실온에서 방냉하여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56)
표 25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비교예 55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탈아실형 젤란 검 대신에 LM 펙틴(GENU PECTIN Type LM-102AS-J, CP 켈코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5
(실시예 102)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9중량부를 60℃로 가온하고, 돼지 유래 저분자 젤라틴(돼지뼈 젤라틴 AEP, 닛삐사제) 1.9중량부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셀로겐 PR-S,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6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5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03 내지 108)
표 26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02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대신에 실시예 103에서는 κ-카라기난(GENUGELJPE126, CP 켈코사제), 실시예 104에서는 ι-카라기난(GENUVISCO PJ-JPE, CP 켈코사제), 실시예 105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LM-102AS-J, CP 켈코사제), 실시예 106에서는 탈아실화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107에서는 알긴산나트륨(기미카알긴 IL-2, 기미카제), 실시예 108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6
(실시예 109)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70℃로 가온하고, κ-카라기난(GENUGELJPE126, CP 켈코사제) 0.1중량부 및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10 내지 114)
표 27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09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크산탄 검 대신에 실시예 110에서는 ι-카라기난(GENUVISCO PJ-JPE, CP 켈코사제), 실시예 111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112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실시예 113에서는 트라간트 분말(트라간트 분말, 스즈훈마쯔 야꾸힝사제), 실시예 114에서는 알긴산나트륨(기미카알긴 IL-2, 기미카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7
(실시예 115)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70℃로 가온하고, ι-카라기난(GENUVISCO PJ-JPE, CP 켈코사제) 0.1중량부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셀로겐 PR-S,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16 내지 122)
표 28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15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대신에 실시예 116에서는 알긴산나트륨(기미카알긴 IL-2, 기미카사제), 실시예 117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118에서는 λ-카라기난(GENEVISCO CSM-2, CP 켈코사제), 실시예 119에서는 탈아실화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120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121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실시예 122에서는 트라간트 분말(트라간트 분말, 스즈훈마쯔 야꾸힝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8
(실시예 123)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70℃로 가온하고, 타마린드 검(글리로이드 3S,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0.1중량부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셀로겐 PR-S,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24 내지 134)
표 29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23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대신에 실시예 124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카보폴 971PNF), 실시예 125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LM-102AS-J, 산쇼사제), 실시예 126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USP-H, 산쇼사제), 실시예 127에서는 알긴산나트륨(기미카알긴 IL-2, 기미카사제), 실시예 128에서는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실시예 129에서는 ι-카라기난(GENUVISCO PJ-JPE, CP 켈코사제), 실시예 130에서는 λ-카라기난(GENEVISCO CSM-2, CP 켈코사제), 실시예 131에서는 탈아실화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실시예 132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133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실시예 134에서는 트라간트 분말(트라간트 분말, 스즈훈마쯔 야꾸힝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29
(실시예 135)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80℃로 가온하고, 크산탄 검(라볼 검 GS-C, DSP 고꾜 푸드 & 케미컬사제) 0.1중량부 및 탈아실화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8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36)
표 30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5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실시예 136에서는 탈아실화 젤란 검 대신에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30
(실시예 137)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80℃로 가온하고, 탈아실화 젤란 검(켈코겔, CP 켈코사제) 0.1중량부 및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카보폴 971PNF)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8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38 내지 144)
표 3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37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대신에 실시예 138에서는 LM 펙틴(GENU pectin LM-102AS-J, 산쇼사제), 실시예 139에서는 HM 펙틴(GENU pectin USP-H, 산쇼사제), 실시예 140에서는 알긴산나트륨(기미카알긴 IL-2, 기미카사제), 실시예 141에서는 λ-카라기난(GENEVISCO CSM-2, CP 켈코사제), 실시예 142에서는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실시예 143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 제조), 실시예 144에서는 트라간트 분말(트라간트 분말, 스즈훈마쯔 야꾸힝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31
(실시예 145)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70℃로 가온하고, LM 펙틴(GENU pectin LM-102AS-J, 산쇼사제) 0.1중량부 및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46, 147)
표 3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45와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네이티브형 젤란 검 대신에 실시예 146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실시예 147에서는 트라간트 분말(트라간트 분말, 스즈훈마쯔 야꾸힝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32
(실시예 148)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70℃로 가온하고, HM 펙틴(GENU pectin LM-102AS-J, 산쇼사제) 0.1중량부 및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카보폴 971PNF)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49)
표 33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48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대신에 실시예 149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33
(실시예 150)
정제수(일본 약방 정제수, 겐에이 세야꾸사제) 8.8중량부를 70℃로 가온하고, 네이티브형 젤란 검(켈코겔 LT100, CP 켈코사제) 0.1중량부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셀로겐 PR-S,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0.1중량부를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글리세린(와꼬 쥰야꾸 고교사제) 4.0중량부를 첨가하여 70℃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혼합시켰다. 혼합 후, 플라스틱제 블리스터 케이스(크리오몰드 스탠다드(원형), 사꾸라 파인텍사제)에 1.9g씩 분주하고, 감압 건조기(DP63, 야마또 가가꾸사제)에서 40℃로 3시간 건조하여 수분을 증발시키고, 또한 분자체를 깐 데시케이터 내에서 잔존 수분을 증발시켜 가식성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151 내지 155)
표 34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실시예 150과 마찬가지의 수순으로 가식성 조성물의 제조를 행하였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대신에 실시예 151에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카보폴 971PNF), 실시예 152에서는 알긴산나트륨(기미카알긴 IL-2, 기미카사제), 실시예 153에서는 λ-카라기난(GENEVISCO CSM-2, CP 켈코사제), 실시예 154에서는 사일리움 씨드 검(PG200, MRC 폴리사카라이드사제), 실시예 155에서는 트라간트 분말(트라간트 분말, 스즈훈마쯔 야꾸힝사제)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34
[시험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샘플에 정제수, 50% 글리세린 함유 수용액, 약물 함유 용액을 후첨가함으로써, 젤리 형태 조성물 또는 젤리 형태 제제로 복원되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젤리가 복원되는지의 여부를 젤리 복원성으로서 평가하고, 젤리가 복원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젤리 복원 시간으로서 평가를 행하였다. 각각의 평가 기준을 이하에 나타낸다. 결과를 표 35 내지 표 42에 나타내었다.
또한, 약물 함유 용액으로서는 삼목 꽃가루 추출 엑기스 용액(치료용 표준화 알레르겐 엑기스 삼목 꽃가루 2000JAU/mL, 도리이 야꾸힝사제), 집먼지 추출 엑기스 용액(치료용 알레르겐 엑기스 피하 주사용 「도리이」 집먼지 1:10, 도리이 야꾸힝사제), 돼지풀 꽃가루 추출 엑기스 용액(치료용 알레르겐 엑기스 피하 주사용 「도리이」 돼지풀 꽃가루 1:100, 도리이 야꾸힝사제)을 사용하였다.
(1) 젤리 복원성(평가 1, 평가 2, 평가 3)
평가 1에서는 정제수를 첨가한 경우, 평가 2에서는 50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을 첨가한 경우, 평가 3에서는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한 경우의 젤리 복원성에 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3: 완전히 겔화하여 균일한 젤리가 됨
2: 겔화하여 젤리가 되었지만, 약간 불균일함
1: 겔화되어 있지만, 매우 연하여 붕괴되기 쉬운 젤리가 됨
0: 겔화하지 않고 점성이 높은 졸이 됨
(2) 젤리 복원 시간(평가 1, 평가 2, 평가 3)
평가 1에서는 정제수를 첨가한 경우, 평가 2에서는 50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을 첨가한 경우, 평가 3에서는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한 경우의 젤리 복원 시간에 관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6: 3시간 미만에서 성형성이 있는 젤리가 됨
5: 3시간 이상 6시간 미만에서 성형성이 있는 젤리가 됨
4: 6시간 이상 12시간 미만에서 성형성이 있는 젤리가 됨
3: 12시간 이상 24시간 미만에서 성형성이 있는 젤리가 됨
2: 24시간 이상 48시간 미만에서 성형성이 있는 젤리가 됨
1: 48시간 이상 168시간 미만에서 성형성이 있는 젤리가 됨
또한, (1) 젤리 복원성에서 "0: 겔화하지 않고 점성이 높은 졸이 됨"의 샘플에 관해서는, 당해 시험은 행하지 않고 0으로서 스코어화하였다.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Figure pat00037
Figure pat00038
Figure pat00039
표 35 내지 표 37에 나타낸 실시예 73 내지 101 및 비교예 45 내지 56을 비교하면, 명백하게 정제수의 흡수성이 우수하고, 빠르게 젤리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0% 글리세린 수용액의 흡수성에 관해서도 실시예 73 내지 101은 우수하지만, 젤리 복원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표 38에 나타낸 정제수 및 50% 글리세린 수용액을 0.1mL 내지 10mL까지 첨가한 계에 있어서는, 정제수 0.1mL 내지 3mL 첨가 시 및 50% 글리세린 수용액 0.1mL 첨가 시에만 완전히 젤리화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표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약물 함유 용액인 집먼지 추출 엑기스 용액에 있어서는 양호한 결과이었지만,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약물 함유 용액인 삼목 꽃가루 추출 엑기스 용액 및 돼지풀 꽃가루 추출 엑기스 용액에 있어서는 젤리 복원에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Figure pat00040
Figure pat00041
Figure pat00042
표 40 내지 표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02 내지 155의 가식성 조성물은 어느 평가 항목에 있어서도 양호한 결과이었다. 표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4 및 129의 가식성 조성물은 실제로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약물 함유 용액인 삼목 꽃가루 추출 엑기스 용액 및 돼지풀 꽃가루 추출 엑기스 용액에 있어서도 충분히 양호한 결과이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적합하게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젤리 형태의 조성물이면서 연하하기 쉬운 젤리 형태이며, 또한 구강 내에서 용해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함유량을 제어함으로써 그 용해 시간을 용이하게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용해 시간을 제어 가능하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구강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필요한 구강 점막 및 설하 점막으로부터 흡수시키는 의약품의 제형으로서, 또한 알레르겐을 설하 점막으로부터 감작시키는 설하 감감작 요법에 적합하다.
또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일반적인 젤리에서는 필요한 멸균 공정이나 방부제의 첨가가 불필요해져 제조 비용면에서의 장점이 있으며, 또한 수분 제한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영양 보조식 및 의약품의 제형으로서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단백질이나 펩티드의 보관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젤라틴 및 글리세린이나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올류가 적절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특히 단백질이나 펩티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은, 물론 그대로의 상태로 연하하여도 되고, 구강 내에서 빠르게 용해시켜 연하하여도 된다. 또한, 구강 내에서의 용해 시간을 제어하여 구강 점막이나 설하 점막으로부터의 흡수를 기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체온에서 모두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사감이 없다고 하는 관점, 또한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사용한 젤리 형태 제제는, 수분 제한이 있는 환자 및 연하 곤란의 환자 및 간호자의 QOL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0)

  1.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물을 포함하지 않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분자 중에 2 내지 4개의 OH기를 갖는 탄소수 4 이하의 다가 알코올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글리세린 유도체, 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는 젤라틴 및/또는 다당류 겔화제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젤라틴은 수 난용성 젤라틴의 힐릭스 구조를 변화시켜 이루어지는 랜덤 코일 구조를 갖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다당류 겔화제는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젤란 검, 타마린드 검 및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크산탄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및 HM 펙틴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프로필렌글리콜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유도체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는 젤라틴, κ-카라기난, 네이티브형 젤란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타마린드 검, LM 펙틴, ι-카라기난/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ι-카라기난/알긴산나트륨, ι-카라기난/크산탄 검, ι-카라기난/λ-카라기난, ι-카라기난/탈아실화 젤란 검, ι-카라기난/사일리움 씨드 검, ι-카라기난/트라간트 분말, 크산탄 검/탈아실화 젤란 검, 크산탄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탈아실화 젤란 검/LM 펙틴, 탈아실화 젤란 검/알긴산나트륨, 탈아실화 젤란 검/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사일리움 씨드 검, 탈아실화 젤란 검/트라간트 분말, LM 펙틴/사일리움 씨드 검, 및 LM 펙틴/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및/또는 글리세린 유도체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 유기 용매는 글리세린 및/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고, 용액 흡수 촉진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LM 펙틴, 알긴산나트륨, 크산탄 검, ι-카라기난, λ-카라기난, 탈아실화 젤란 검, 사일리움 씨드 검 및 트라간트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겔화제의 배합량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40중량%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불휘발성 유기 용매의 배합량이 조성물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내지 99중량%인,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13. 제1항에 기재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
  14. 제1항에 기재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약물 함유 용액이 주사용 액제 또는 경구 액제인, 젤리 형태 제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약물 함유 용액에 포함되는 용매가 물,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젤리 형태 제제.
  17.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 약물을 혼합하여 겔화제 용액을 제조하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18. 물과, 겔화제와, 상기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얻는 공정, 및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19. 물과 겔화제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이용성화(易溶性化) 겔화제를 얻는 공정,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에 그 이용성화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켜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을 얻는 공정, 및
    상기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에 약물 함유 용액을 첨가하여 젤리 형태 제제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20. 물과 겔화제를 혼합, 가열, 용해시켜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겔화제 용액을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시켜 이용성화 겔화제를 얻는 공정,
    상기 이용성화 겔화제에 그 이용성화 겔화제와 상용하는 불휘발성 유기 용매와 약물을 혼합하여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얻는 공정,
    상기 불휘발성 유기 용매 함유 겔화제 용액을 분주 또는 연신하는 공정, 및
    방냉 또는 냉각에 의해 고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KR1020120052998A 2011-05-20 2012-05-18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KR20120129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998A KR20120129819A (ko) 2011-05-20 2012-05-18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4043 2011-05-20
JPJP-P-2011-114048 2011-05-20
JPJP-P-2011-114046 2011-05-20
JPJP-P-2011-114044 2011-05-20
JPJP-P-2012-098245 2012-04-23
KR1020120052998A KR20120129819A (ko) 2011-05-20 2012-05-18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9819A true KR20120129819A (ko) 2012-11-28

Family

ID=47514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998A KR20120129819A (ko) 2011-05-20 2012-05-18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9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71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아세트아미노펜 젤리 제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71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제뉴원사이언스 아세트아미노펜 젤리 제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checo et al. A review on orally disintegrating films (ODFs) made from natural polymers such as pullulan, maltodextrin, starch, and others
US20120294893A1 (en) Edible jelly-form composition, jelly-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jelly-form preparation
RU2445977C2 (ru) Водорастворимые пленки, содержащие маловязкие альгинаты
JP4863336B2 (ja) ゼラチンを含まない高速分散剤形
RO122011B1 (ro) Compoziţii farmaceutice cu dispersare rapidă
JP2012072166A (ja) 粘膜分配用組成物と方法
EP1715846A2 (en) Dissolvabl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e
JP5588688B2 (ja) フィルム状製剤
JP5875246B2 (ja) シート状製剤及びシート状製剤の製造方法
KR20110117125A (ko) 구강내 필름형 기제 및 제제
JP2011225525A (ja) 安定化医薬組成物、安定化医薬組成物溶液製剤、フィルム状製剤及びフィルム状製剤の製造方法
EP2545904B1 (en) Jelly-form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jelly-form preparation
JP5931449B2 (ja) 医薬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890110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KR20140019728A (ko) 알레르겐 함유 시트 형상 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29819A (ko) 가식성 젤리 형태 조성물, 젤리 형태 제제 및 젤리 형태 제제의 제조 방법
JP5555148B2 (ja) シート状製剤及びシート状製剤の製造方法
JP2013006824A (ja) 可食性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JP5722704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JP5739725B2 (ja) 可食性ゼリー状組成物、ゼリー状製剤及びゼリー状製剤の製造方法
Patil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natural polymers used for fast dissolving mouth film
da Silva et al. Drug Delivery Platforms Containing Thermoresponsive Polymers and Mucoadhesive Cellulose Derivatives: A Review of Patents
JP6574556B2 (ja) 口腔内フィルム状基剤及び製剤
Rajvi et al. Polymers Use In Mouth Dissolving Formulation: A Review Article
CN115192723A (zh) 崩解性固体组合物及口腔崩解性固体制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