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007A -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007A
KR20130081007A KR1020120001941A KR20120001941A KR20130081007A KR 20130081007 A KR20130081007 A KR 20130081007A KR 1020120001941 A KR1020120001941 A KR 1020120001941A KR 20120001941 A KR20120001941 A KR 20120001941A KR 20130081007 A KR20130081007 A KR 20130081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ransparent conductive
layers
undercoat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050B1 (ko
Inventor
김인숙
이민희
조정
김경택
정근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0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50B1/ko
Priority to JP2014551190A priority patent/JP5906562B2/ja
Priority to TW102100363A priority patent/TWI473720B/zh
Priority to US14/369,517 priority patent/US20140363649A1/en
Priority to CN201380004846.6A priority patent/CN104039549B/zh
Priority to PCT/KR2013/000052 priority patent/WO2013103259A1/ko
Publication of KR2013008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83Hardness

Abstract

터치 패널 구조의 단순화 및 공정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시인성 특성을 갖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은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상기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상기 제2 하드 코팅층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및 상기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UBLE-SID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WITH EXCELLENT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구조의 단순화 및 공정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시인성 특성을 갖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전극 필름은 터치패널의 제조 시 가장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투명전극 필름으로 현재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표면 저항이 400Ω/square 이하인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필름이다.
일반적인 투명전극 필름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에 표면 평탄성과 내열성을 구비하기 위해 프라이머 코팅(primer coating) 처리를 한 후 하드코팅 처리한 것을 기재 필름(base film)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기재 필름 상에, 언더코팅층을 습식 코팅(wet coating)이나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한 후, ITO와 같은 투명 도전층을 스퍼터링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최근, 대면적 터치패널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응답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표면 저항 200Ω/square 미만의 저저항 구현과 투명 도전층의 시인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투사형 정전용량 터치패널은 표시패널의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의 역할을 하는 투명 도전층들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의 투명 도전층이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관계로, 상호 간에 신호 간섭을 일으켜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유발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투명 전도성 필름 또는 투명 전도성 유리를 적어도 2장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노이즈 차폐를 위한 투명 전도성 필름을 추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투명 전도성 필름 또는 투명 전도성 유리를 적층하는 구조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여러 층 사용하여 부착하게 되는 데, 이는 결국 복잡한 구조에 의한 작업 효율성의 감소와 제조 비용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다수의 OCA의 사용은 결국 2차 공정 불량의 발생율을 증가시키며, 광학적 물성의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터치패널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켜 박형화의 추세를 역행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72854(2011.06.29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투명 전극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을 뿐,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에 대하여 개시하는 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투명 기재층을 이용하면서도, 투명 기재층을 기준으로 2개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 상호 대칭되는 합착 구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터치 패널에 적용할 경우 구조 단순화 및 광학적 물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언더 코팅층과 투명 도전층을 스퍼터링 증착 방법으로 연속 성막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은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상기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상기 제2 하드 코팅층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및 상기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은 (a) 투명 기재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언더 코팅층 상에 제1 투명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제1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하드 코팅층 상에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4 언더 코팅층 상에 제2 투명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제2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은 하나의 투명 기재층을 이용하면서도, 투명 기재층을 기준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것 없이 2개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 상호 대칭되는 합착 구조를 가질 수 있는바, 터치 패널에 적용할 경우 구조 단순화 및 광학적 물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더 코팅층들과 투명 도전층들을 원재료 확보가 용이한 실리콘(Si), 니오븀(Nb), ITO(Indium Tin Oxide) 등을 이용한 스퍼터링 증착 방법으로 연속 성막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를 통해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100)은 투명 기재층(110),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120, 122),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130, 140),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132, 142)과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150, 152)을 포함한다.
투명 기재층(110)은 투명성과 강도가 우수한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기재층(110)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C(Poly carbonate), PP(poly propylene), 노보르넨계 수지 등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투명 기재층(110)은 단일 필름의 형태 또는 적층 필름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120, 122)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 재질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120, 122)은 강도 향상을 위하여 첨가제로 실리카(silica)계의 필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120, 122) 각각은 1.5 ~ 7㎛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120, 122) 각각의 두께가 1.5㎛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120, 122) 각각의 두께가 7㎛를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 상승 대비 생산 비용이 더 큰 문제가 있다.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130, 140)은 제1 하드 코팅층(120)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130, 140)은 투명 기재층(110)과 후술할 제1 투명 도전층(1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기재층(110)과 제1 투명 도전층(150)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킴과 더불어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132, 142)은 제2 하드 코팅층(122)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132, 142)은 투명 기재층(110)과 후술할 제2 투명 도전층(1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명 기재층(110)과 제2 투명 도전층(152)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킴과 더불어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150, 152)은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상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150, 152) 각각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FTO(fluorine doped tin oxide, SnO2 : F) 등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투명 도전층(150)은 X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전극일 수 있고, 제2 투명 도전층(152)은 Y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전극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투명 도전층(150)은 제1 전극일 수 있고, 제2 투명 도전층(152)은 제2 전극일 수 있다. 이와 또 다르게, 제1 투명 도전층(150)은 X축 또는 Y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전극일 수 있고, 제2 투명 도전층(152)은 노이즈 차폐를 위한 그라운드 배선일 수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40) 각각은 굴절률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 각각은 1.40 ~ 1.45의 굴절률을 갖는 제1층(130a, 132a)과, 상기 제1층(130a, 132a) 상에 1.8 ~ 2.0의 제2 굴절률을 갖는 제2층(130b, 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150, 152) 각각의 굴절률이 대략 1.9 ~ 2.0이라고 할 때,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1층(130a, 132a)과 제2층(130b, 132b) 간의 굴절률 차이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을 경우 반사율의 상승으로 전광선 투과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바,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1층(130a, 132a)과 제2층(130b, 132b) 간의 굴절률 차이는 최대 0.5 ~ 0.6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1층(130a, 132a)은 제2층(130b, 132b)에 비하여 제1 투명 기재층(110)에 인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1층(130a, 132a)으로 SiOx, SiON 등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한 결과, 굴절률이 1.40 ~ 1.45 사이로 조절 가능하였다. 그리고,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2층(130b, 132b)으로 NbOx, SiOx, SiON 등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한 결과, 굴절률이 1.8 ~ 2.0 사이로 조절 가능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100)의 전체적인 시인성 및 전광선 투과율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 각각의 제1층(130a, 132a) 및 제2층(130b, 132b)의 합산 두께는 20 ~ 100n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산 두께가 20nm 미만으로 너무 얇게 형성될 경우에는 투과율 및 시인성 향상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합산 두께가 10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막 응력이 심해져 크랙(crack) 등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각각은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2층(130b, 132b)과 투명 기재층(110)의 반사율 차이를 감소시키고 전광선 투과율을 높여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은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2층(130b, 132b)과 후술할 제1 및 제2 투명 기재층(150, 152)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수분과 올리고머 등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각각은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130, 132)의 제1층(130a, 132a)과 마찬가지로 1.40 ~ 1.45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각각은 SiOx, SiON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각각의 두께는 10 ~ 60n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각각의 두께가 10nm 미만일 경우에는 시인성 향상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각각의 두께가 6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시인성 등의 상승 효과 없이 공정 비용만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100)은 투명 기재층(1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130, 140)과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132, 142)을 통하여 우수한 광학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140, 142) 상에 투사형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활용되는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150, 152)이 각각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100)은 하나의 투명 기재층(110)을 이용하면서도, 투명 기재층(110)을 기준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것 없이 2개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 상호 대칭되는 합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100)을 투사형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할 때, 제1 투명 도전층(150)은 X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전극으로 이용하고, 제2 투명 도전층(152)은 Y축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전극으로 이용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하여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100)을 부착시키면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터치 패널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투명 전도성 필름을 부착하는 구조와 비교해 볼 때, OCA의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투명 기재층(110)만이 사용되므로 터치 패널의 전체 두께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바, 슬림한 터치 패널을 구현하는 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별도의 투명 도전층이 있는 구조에 OCA로 합지되어, 제1 투명 도전층(150)은 X축 또는 Y축을 따라 형성되는 전극으로 이용하고, 제2 투명 도전층(152)은 노이즈 차폐를 위한 그라운드 배선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이즈 차폐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터치 패널의 전체 두께와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은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형성 단계(S210),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형성 단계(S220), 제1 투명 도전층 형성 단계(S230),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형성 단계(S240)와 제2 투명 도전층 형성 단계(S250)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형성 단계(S210)에서는 투명 기재층의 일면 및 타면에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 투명 기재층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C(Poly carbonate), PP(poly propylene), 노보르넨계 수지 등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 또는 2종 이상으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록산계 폴리머 재질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각각은 1.5 ~ 7㎛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형성 단계(S220)에서는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을 차례로 적층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은 습식 코팅 방식 또는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언더 코팅층은 굴절률이 상이한 2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언더 코팅층은 1.40 ~ 1.45의 굴절률을 갖는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1.8 ~ 2.0의 굴절률을 갖는 제2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언더 코팅층의 제1층은 투명 필름 상에 Si 타겟을 이용하면서 반응가스로 산소 또는 질소를 이용한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1.40 ~ 1.45 사이의 제1 굴절률을 갖는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ON)을 증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언더 코팅층의 제2층은 제1층 상에 Si 또는 Nb 타겟을 이용하면서 반응가스로 산소 또는 질소를 이용한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1.8 ~ 2.0 사이의 굴절률을 갖는 니오븀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 중 어느 하나를 증착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언더 코팅층의 제1층 및 제2층의 합산 두께는 20 ~ 100n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언더 코팅층은 제1 언더 코팅층의 제1층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1.40 ~ 1.45 사이의 굴절률을 갖는 실리콘 산화물(SiOx) 또는 실리콘 질화물(SiO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언더 코팅층은 10 ~ 60n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도전층 형성 단계(S230)에서는 제2 언더 코팅층 상에 제1 투명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제1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다. 이때, 제1 투명 도전성 물질로는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FTO(fluorine doped tin oxide, SnO2 : F) 등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형성 단계(S240)에서는 제2 하드 코팅층 상에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을 차례로 적층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은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은 투명 기재층의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에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투명 도전층 형성 단계(S250)에서는 제4 언더 코팅층 상에 제2 투명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제2 투명 도전층을 형성한다. 이때, 제2 투명 도전성 물질로는 제1 투명 도전성 물질과 동일하게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FTO(fluorine doped tin oxide, SnO2 : F) 등에서 선택된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이 종료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의 과정(S210 ~ S250)으로 제조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은 하나의 투명 기재층을 이용하면서도, 투명 기재층을 기준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를 사용하는 것 없이 2개의 투명 전도성 필름이 상호 대칭되는 합착 구조를 가질 수 있는바, 터치 패널에 적용할 경우 구조 단순화 및 광학적 물성 향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언더 코팅층들과 투명 도전층들을 원재료 확보가 용이한 실리콘(Si), 니오븀(Nb), ITO(Indium Tin Oxide) 등을 이용한 스퍼터링 증착 방법으로 연속 성막함으로써, 공정 단순화를 통해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필름 제조
실시예 1
125㎛ 두께의 PET 필름 양면에 아크릴계 하드 코팅액을 5㎛의 두께로 각각 도포하고 경화하여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 후, 일면에 실리콘(Si)을 타겟으로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SiO2를 15nm로 성막한 후, 니오븀(Nb)을 타겟으로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NbO2를 1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43과 1.9인 2층 구조의 제1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리콘을 타겟으로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SiO2를 50nm로 성막하여 제2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후, ITO를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2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95인 제1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타면에 실리콘(Si)을 타겟으로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SiO2를 15nm로 성막한 후, 니오븀(Nb)을 타겟으로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NbO2를 1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43과 1.9인 2층 구조의 제3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실리콘(Si)을 타겟으로 이용한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SiO2를 50nm로 성막하여 제4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후, ITO를 반응성 스퍼터링 방식으로 2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95인 제2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SiO2를 20nm로 성막하고, NbO2를 12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43과 1.86인 2층 구조의 제1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고, SiO2를 20nm로 성막하고, NbO2를 12nm로 성막하여 1.43과 1.86인 2층 구조의 제3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SION을 15nm로 성막하고, NbO2를 1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41과 1.86인 2층 구조의 제1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고, SiON을 15nm로 성막하고, NbO2를 1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41과 1.86인 2층 구조의 제3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SiO2를 5nm로 성막하고, NbO2를 2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38과 1.76인 2층 구조의 제1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고, SiO2를 5nm로 성막하고, NbO2를 2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38과 1.76인 2층 구조의 제3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SiO2를 50nm로 성막하고, NbO2를 8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52와 1.86인 2층 구조의 제1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고, SiO2를 50nm로 성막하고, NbO2를 80nm로 성막하여 굴절률 1.52와 1.86인 2층 구조의 제3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NbO2를 성막하지 않은 대신 SiO2만을 80nm의 두께로 성막하여 굴절률 1.81인 1층 구조의 제1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고, NbO2를 성막하지 않은 대신 SiO2만을 80nm의 두께로 성막하여 굴절률 1.81인 1층 구조의 제3 언더 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생략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2. 광학적 물성 평가
표 1은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에 따른 필름들에 대한 광학적 물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전광성 투과율 및 헤이즈 : ASTM D1003 방법에 의거하여 Hazemeter로 측정하였다.
(2) 시인성 :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의 배면으로부터 형광등을 조사하여 ITO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 부분에서의 반영(反映)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O : 반영이 관찰되지 않음
△ : 반영이 약간 관찰됨
X : 반영이 관찰됨
[표 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 3에 따른 필름들의 경우, 목표값에 해당하는 전광선 투과율 : 91% 이상 및 헤이즈 : 0.7% 이하로 우수한 광학적 물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 3에 따른 필름들의 경우 시인성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반영(反映)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1 ~ 4에 따른 필름들의 경우,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 값이 목표값에 모두 미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 ~ 2에 따른 필름들의 경우 시인성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반영(反映)이 약간 발생하였고, 비교예 3 ~ 4에 따른 필름들의 경우 시인성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반영(反映)이 발생하였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실시예 1 ~ 3에 따른 필름들은 비교예 1 ~ 4에 따른 필름들에 비하여 광학성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110 : 투명 기재층
120, 122 :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130, 140 :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132, 142 :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150, 152 :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
S210 :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형성 단계
S220 :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형성 단계
S230 : 제1 투명 도전층 형성 단계
S240 :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형성 단계
S250 : 제2 투명 도전층 형성 단계

Claims (12)

  1. 투명 기재층;
    상기 투명 기재층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
    상기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
    상기 제2 하드 코팅층 상에 차례로 적층 형성된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 및
    상기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S(polyethersulfone), PC(Poly carbonate), PP(poly propylene) 및 노보르넨계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실록산계 폴리머 재질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 각각은
    1.40 ~ 1.45의 굴절율을 갖는 제1층과, 상기 제1층 상에 1.8 ~ 2.0의 굴절율을 갖는 제2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 각각은
    1.40 ~ 1.45의 굴절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 각각의 상기 제1층과 제2층의 합산 두께는 20 ~ 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언더 코팅층 각각은
    상기 제1층이 SiOx 또는 SiON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층이 NbOx, SiOx 및 SiON 중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 언더 코팅층 각각은
    SiOx 또는 SiON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투명 도전층 각각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SnO2 : F) 중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10. (a) 투명 기재층의 양면에 제1 및 제2 하드 코팅층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하드 코팅층 상에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2 언더 코팅층 상에 제1 투명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제1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제2 하드 코팅층 상에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4 언더 코팅층 상에 제2 투명 도전성 물질을 스퍼터링으로 증착하여 제2 투명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언더 코팅층은 습식 코팅 방식 또는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3 및 제4 언더 코팅층은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제조 방법.
KR1020120001941A 2012-01-06 2012-01-06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9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41A KR101392050B1 (ko) 2012-01-06 2012-01-06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JP2014551190A JP5906562B2 (ja) 2012-01-06 2013-01-04 視認性に優れた両面透明伝導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102100363A TWI473720B (zh) 2012-01-06 2013-01-04 可視性優秀的雙面透明導電性膜及其製備方法
US14/369,517 US20140363649A1 (en) 2012-01-06 2013-01-04 Double-sid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having excellent visi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380004846.6A CN104039549B (zh) 2012-01-06 2013-01-04 可视性优秀的两面透明导电性膜及其制备方法
PCT/KR2013/000052 WO2013103259A1 (ko) 2012-01-06 2013-01-04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41A KR101392050B1 (ko) 2012-01-06 2012-01-06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007A true KR20130081007A (ko) 2013-07-16
KR101392050B1 KR101392050B1 (ko) 2014-05-07

Family

ID=48745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41A KR101392050B1 (ko) 2012-01-06 2012-01-06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63649A1 (ko)
JP (1) JP5906562B2 (ko)
KR (1) KR101392050B1 (ko)
CN (1) CN104039549B (ko)
TW (1) TWI473720B (ko)
WO (1) WO20131032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18A1 (ko) * 2013-08-05 2015-02-12 (주)엘지하우시스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4618A (ko) * 2016-10-24 2018-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투명 전극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2186514B1 (ko) * 2019-06-04 2020-12-03 에스제이나노텍 주식회사 비전도성 저반사 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6511B (zh) * 2014-07-24 2019-03-05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显示设备
CN104240800A (zh) * 2014-09-30 2014-12-24 南京汇金锦元光电材料有限公司 玻璃强化柔性透明导电薄膜及触摸屏
GB2565041B (en) * 2017-06-19 2021-12-29 Liddle Richard Transparent structure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9215B2 (ja) * 1987-04-24 1996-06-19 ホ−ヤ株式会社 反射防止能を有する透明導電性フイルム
US6686031B2 (en) * 2000-02-23 2004-02-03 Fuji Photo Film Co., Ltd. Hard coa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JP2003215309A (ja) * 2001-04-17 2003-07-30 Sony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反射防止層付きプラスチック基板
CN1389346A (zh) * 2001-06-04 2003-01-08 冠华科技股份有限公司 抗反射光学多层薄膜
JP2003004902A (ja) * 2001-06-14 2003-01-08 Applied Vacuum Coating Technologies Co Ltd 最外層が透明導電膜である抗反射導電多層薄膜
JP2003080624A (ja) * 2001-09-07 2003-03-19 Nof Corp 透明導電材料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5099893B2 (ja) * 2007-10-22 201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たタッチパネル
JP5160325B2 (ja) * 2008-07-16 2013-03-13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KR100961253B1 (ko) * 2008-12-16 2010-06-03 강석주 투명성이 향상된 도전성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CN101465172A (zh) * 2008-12-31 2009-06-24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复合结构透明导电膜及其制备方法
JP5515554B2 (ja) * 2009-09-18 2014-06-11 凸版印刷株式会社 透明導電性薄膜の製造方法
KR101219313B1 (ko) * 2010-02-01 2013-01-08 (주)리지스 터치패널의 적층 구조
KR20110120120A (ko) * 2010-04-28 2011-11-03 강석주 양면 투명도전 필름기재의 제조방법
JP5413304B2 (ja) * 2010-05-20 2014-02-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を作製するための積層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18A1 (ko) * 2013-08-05 2015-02-12 (주)엘지하우시스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4618A (ko) * 2016-10-24 2018-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투명 전극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US10175787B2 (en) 2016-10-24 2019-01-08 Hyundai Motor Company Transparent electrode films and touch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2186514B1 (ko) * 2019-06-04 2020-12-03 에스제이나노텍 주식회사 비전도성 저반사 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6562B2 (ja) 2016-04-20
TWI473720B (zh) 2015-02-21
CN104039549A (zh) 2014-09-10
KR101392050B1 (ko) 2014-05-07
JP2015509863A (ja) 2015-04-02
WO2013103259A1 (ko) 2013-07-11
US20140363649A1 (en) 2014-12-11
TW201328878A (zh) 2013-07-16
CN104039549B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6144B2 (en) Touch panel
KR100779441B1 (ko) 투명 도전성 적층체
KR101141232B1 (ko) 다수의 반사 방지 박막이 형성된 고 투과율의 전도성 필름, 이를 이용한 터치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392050B1 (ko) 시인성이 우수한 양면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303982B1 (ko) 시인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TWI459449B (zh) 觸控堆疊結構
TWI486973B (zh) 透明導電層壓薄膜、其製造方法以及包含該透明導電層壓薄膜的觸控螢幕
JP5130725B2 (ja) 透明導電性積層体
JP5382820B2 (ja) 光学調整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使用して得る透明導電フィルム、透明導電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2002326301A (ja) 透明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20120047828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WO2006007071A1 (en) Capacitive touch panel sensor with improved transparency
CN101236264A (zh) 高透光率透明树脂的显示器保护屏及使用该屏的液晶显示器
TWI483270B (zh) 電特性優秀的透明導電性膜及利用該透明導電性膜的觸控面板
US20120200928A1 (en) Plate Member For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175787B2 (en) Transparent electrode films and touch panel comprising the same
CN102152563A (zh) 透明导电材料
CN201035171Y (zh) 高透光率透明树脂的显示器保护屏及使用该屏的液晶显示器
KR101114028B1 (ko) 터치 패널
WO2013100031A1 (ja) 光透過性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有する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JP2005294084A (ja) 透明導電フィルム
KR102232647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JP6002801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1550091B1 (ko) 낮은 표면 저항을 가지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M333301U (en) Coating structure with an anti-reflection and an anti-electromagnetic wave fun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