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708A -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 Google Patents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708A
KR20130079708A KR1020120000355A KR20120000355A KR20130079708A KR 20130079708 A KR20130079708 A KR 20130079708A KR 1020120000355 A KR1020120000355 A KR 1020120000355A KR 20120000355 A KR20120000355 A KR 20120000355A KR 20130079708 A KR20130079708 A KR 20130079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ad
line
circuit moun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554B1 (ko
Inventor
이종국
박성동
정석현
구본용
원주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554B1/ko
Priority to US13/524,516 priority patent/US9261742B2/en
Publication of KR20130079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08Integration of the drivers onto the display substr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 기판은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패드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패드부를 포함하는 회로 실장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패드부를 포함하는 연성 패드부, 상기 구동 패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상기 회로 실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라인부 및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배치된 상기 구동 라인부로부터 상기 출력 패드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라인과 상기 출력 패드부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복수의 연결 라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DISPLAY SUBSTRATE AND MOTHER BAR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본 발명은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은 어레이 기판, 상기 어레이 기판과 마주하는 상부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상기 상부 기판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레이 기판은 화상이 표시되는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갖는다.
상기 화소 영역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되는 화소 전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칩이 실장되는 패드들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어레이 기판이 형성되면, 어레이 기판 상에 형성된 라인들에 대한 전기적인 동작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어레이 검사 공정과, 액정 공정 이후에 표시 패널의 전기적 및 광학적인 동작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육안 검사(Visual Inspection; 이하, V/I)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어레이 검사 공정 및 V/I 공정을 위한 검사용 라인 및 패드가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된다. 검사 방식에 따라서, 상기 검사용 라인 및 패드는 소정 개수를 단위로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을 각각 묶어(예컨대, 2G2D, 2G3D 등)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여 검사한다.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 라인을 제거하기 위한 표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상기 표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은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패드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패드부를 포함하는 회로 실장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패드부를 포함하는 연성 패드부, 상기 구동 패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상기 회로 실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라인부 및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배치된 상기 구동 라인부로부터 상기 출력 패드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라인과 상기 출력 패드부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복수의 연결 라인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패드부는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패드들 각각에 연결되고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다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신호는 로직 전원 신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신호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아날로그 전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들을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신호는 감마 신호 및 캐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연성 패드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은 절단 라인 및 표시 셀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셀은 상기 절단 라인에 의해 정의되고,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패드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패드부를 포함하는 회로 실장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패드부를 포함하는 연성 패드부와, 상기 구동 패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상기 회로 실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라인부, 및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배치된 상기 구동 라인부로부터 상기 출력 패드부 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 라인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셀 내의 상기 연성 패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어레이 검사 공정시 검사 신호를 수신하는 어레이 패드부, 상기 어레이 패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육안 검사 공정시 검사 신호를 수신하는 V/I 패드부, 상기 절단 라인을 경유하여 상기 어레이 패드부와 상기 구동 패드부를 연결하는 제1 검사 라인부, 및 상기 V/I 패드부와 상기 어레이 패드부를 연결하는 제2 검사 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 내의 상기 구동 라인부와 상기 출력 패드부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밍 영역의 상기 연결 라인들은 트리밍 공정시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패드부는 검사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패드들 각각에 연결되고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다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신호는 로직 전원 신호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신호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아날로그 전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들을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신호는 감마 신호 및 캐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연성 패드부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동 집적회로의 실장 영역 내에 형성된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검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실장 영역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표시 기판 및 구동 집적회로의 사이즈를 줄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구동 라인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모기판에 의해 제조된 표시 기판의 평면도들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구동 라인부를 통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제3 구동 라인부를 통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모기판(100)은 복수의 표시 셀들을 정의하는 절단 라인(101)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셀(2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스위칭 소자들 및 복수의 화소 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 각각(DL)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 각각(GL)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들 각각(TR)은 상기 게이트 라인(GL) 및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된다. 상기 화소 전극들 각각(PE)은 상기 스위칭 소자(TR)와 연결된다.
상기 주변 영역(PA)에는 연성 패드부(210), 검사 패드부(220), 제1 검사 라인부(230), 제2 검사 라인부(240), 제1 구동 라인부(250), 제2 구동 라인부(260), 제3 구동 라인부(270) 및 복수의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변 영역(PA)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회로(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성 패드부(2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패드들 포함한다. 상기 구동 패드들은 상기 표시 셀(200)에 대응하는 표시 기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을 수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 패드들은 상기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 각각에 실장되는 구동 집적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 및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290)를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신호는 아날로그 전원 신호(AVDD, AVSS), 로직 전원 신호(DVDD, DVSS),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감마 신호, 캐리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는 게이트 클럭 신호, 게이트 전원 신호(VOFF)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 패드부(220)는 상기 표시 영역(DA)에 데이터 라인들에 대한 전기적인 동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어레이 검사 공정에 어레이 검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어레이 패드부(221) 및 액정 공정 이후에 표시 패널의 전기적 및 광학적인 동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육안 검사(Visual Inspection; 이하, VI) 공정에 V/I 검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V/I 패드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검사 라인부(23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와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절단 라인(101)을 경유하여 상기 표시 셀(200) 및 상기 모기판(100) 상에 걸쳐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검사 라인부(23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제1 단과 연결되어 상기 절단 라인(101)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절단 라인(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에 제2 단이 연결된다. 상기 어레이 검사 공정시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에 인가된 어레이 검사 신호는 상기 제1 검사 라인부(230)를 통해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전달된다. 반면, 절단 공정 이후 상기 제1 검사 라인부(23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와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를 연결하지 못한다.
상기 제2 검사 라인부(240)는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와 상기 V/I 패드부(222)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V/I 검사 공정시 상기 V/I 패드부(222)에 인가된 V/I 검사 신호는 상기 제2 검사 라인부(240),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 및 상기 제1 검사 라인부(230)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인가된다.
상기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에서 상기 연성 패드부(210)는 상기 어레이 검사 신호 및 상기 V/I 검사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로 사용되고, 본딩 공정 이후에는 상기 표시 셀(200)에 배치된 상기 구동 집적 회로 및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290)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패드로 사용된다.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와 연결되어 복수의 회로 실장부들을 경유하여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대해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좌측으로는 제1 회로 실장부(281) 및 제2 회로 실장부(282)를 경유하고, 우측으로는 제3 회로 실장부(283) 및 제4 회로 실장부(284)를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주변 영역(PA)에 배치된 팬 아웃 라인(OL)과 연결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팬 아웃 라인(OL)은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시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데이터 라인에 검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절단 공정 및 본딩 공정 이후,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실장된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들에 제1 구동 신호를 멀티(multi)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제1 전원 신호(VDD1, VSS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 신호(VDD1, VSS2)는 로직 전원 신호(DVDD, DVSS)일 수 있다. 상기 절단 공정은 상기 절단 라인(101)을 따라 상기 표시 셀(200)은 상기 모기판(1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상기 팬 아웃 라인(OL)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레이저를 이용하여 트리밍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와 연결되고 상기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 각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대해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 각각에 포인트 대 포인트(point to point : PTP) 또는 일대일 방식으로 제2 구동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제2 전원 신호(VDD2, VSS2), 데이터 신호 및 클럭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원 신호(VDD2, VSS2)는 아날로그 전원 신호(AVDD, AVSS)일 수 있다.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는 연성 패드부(210)와 회로 실장부 사이 및 인접한 회로 실장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대해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와 제1 회로 실장부(281) 사이,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와 제2 회로 실장부(282) 사이, 상기 연성 패드부(210)와 제3 회로 실장부(283) 사이와, 상기 제3 회로 실장부(283) 및 제4 회로 실장부(28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는 제3 구동 신호를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상기 감마 신호 및 캐리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구동 집적 회로들이 실장되는 영역들이다. 각 회로 실장부는 입출력 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입출력 패드들은 구동 집적 회로의 입출력 단자들과 도전 접착 부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입출력 패드들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집적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패드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출력 패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가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상기 출력 패드는 상기 팬 아웃 라인(OL)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시에는 상기 연결 라인을 통해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상기 출력 패드가 연결되어 검사 신호를 상기 팬 아웃 라인(OL)을 통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절단 공정 및 본딩 공정 이후에는 상기 연결 라인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전기적으로 오픈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연성 패드부(2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멀티 방식으로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실장된 상기 제1 내지 제4 구동 집적 회로들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구동 라인부를 통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좌우 대칭 구조로 배치된 제1 구동 라인부들 중 좌측에 배치된 제1 구동 라인부에 대해 설명하고, 이와 반복되는 우측에 배치된 제2 구동 라인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성 패드부(210)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구동 패드부(211),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구동 패드부(212) 및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3 구동 패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상기 멀티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상기 PTP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상기 어레이 검사부(221)는 제1 어레이 패드(221a), 제2 어레이 패드(221b) 및 제3 어레이 패드(221c)를 포함한다. 상기 V/I 검사부(222)는 제1 V/I 패드(222a), 제2 V/I 패드(222b) 및 제3 V/I 패드(22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제1 패드(211a), 제2 패드(211b) 및 제3 패드(211c)를 포함한다.
제1 검사 라인부(230)는 제1 검사 라인(231), 제2 검사 라인(232), 제3 검사 라인(2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검사 라인들(231, 232, 233)은 상기 절단 라인(101)을 걸쳐 상기 제1, 제2 및 제3 어레이 패드들(221a, 221b, 221c)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1a, 211b, 211c)을 연결한다.
상기 제2 검사 라인부(240)는 제4 검사 라인(241), 제5 검사 라인(242), 제6 검사 라인(243)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제5 및 제6 검사 라인들(241, 242, 243)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V/I 패드들(222a, 222b, 222c)과 상기 제1, 제2 및 제3 어레이 패드들(221a, 221b, 221c)을 연결한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시 검사 신호를 수신하고, 절단 및 본딩 공정 후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에 대응하여, 제1 라인(251), 제2 라인(252) 및 제3 라인(25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은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2 방향(D)으로 연장되고 서로 병렬로 배열된다. 상기 제1 라인(251)은 상기 제1 패드(211a)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라인(252)은 제2 패드(211b)와 연결되고, 상기 제3 라인(253)은 제3 패드(211c)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제1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되는 영역으로,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입력 패드부(IP1), 제2 입력 패드부(IP2) 및 제3 입력 패드부(IP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출력 패드부(OP)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 패드부(IP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 패드부(IP2)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입력 패드부(IP3)는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입력 패드부(IP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패드부(IP2)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패드부(IP)는 상기 PTP 방식에 따라서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의 상부 장변 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입력 패드부(IP3)는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입력 패드부(IP3)는 상기 캐스캐이드 방식에 따라서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의 상기 좌우 단변 측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출력 패드부(OP)는 복수의 팬 아웃 라인들(OL1, OL2, OL3)과 연결된 복수의 출력 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을 통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라인이 레드 화소와 연결되고, 제2 데이터 라인이 그린 화소와 연결되고 제3 데이터 라인이 블루 화소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1 팬 아웃 라인(OL1)은 제1 연결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라인(25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2 팬 아웃 라인(OL2)은 제2 연결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라인(252)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3 팬 아웃 라인(OL3)은 제3 연결 라인(CL3)을 통해 상기 제3 라인(253)과 연결된다.
상기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시, 상기 레드 화소는 상기 제1 라인(251)을 통해 전달된 제1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그린 화소는 상기 제2 라인(252)을 통해 전달된 제2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블루 화소는 상기 제3 라인(253)을 통해 전달된 제3 검사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상기 출력 패드부(OP)와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TA)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밍 영역(TA)은 상기 절단 공정시 레이저를 통해 상기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이 제거되는 영역이다. 상기 절단 공정 이후, 상기 출력 패드부(OP)와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검사 공정시 3 개의 검사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검사 신호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검사 라인으로 사용되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0) 역시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 및 제1 구동 패드부(211)를 이용하여 어레이 및 V/I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실장부 내에 별도의 검사 라인을 생략할 수 있어 상기 회로 실장부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회로 실장부에 실장되는 구동 집적 회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연성 패드부에 별도의 검사 패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모기판에 의해 제조된 표시 기판의 평면도들이다.
도 2,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200)은 제1 구동 패드부(211), 제1 구동 라인부(250) 및 제1 회로 실장부(28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단자들 중 제1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복수의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1a, 211b, 211c)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1a, 211b, 211c)의 제1 단부들은 상기 절단 라인(101)을 따라 절단된 상기 표시 셀(200)의 모서리 측으로 연장된 제1, 제2 및 제3 검사 라인들(231, 232, 233)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1a, 211b, 211c)의 제2 단부들은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된다.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1a, 211b, 211c)의 제2 단부들과 각각 연결된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은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내부를 관통하여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상기 절단 공정시 레이저 트리밍 공정을 위한 트리밍 영역(TA)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밍 영역(TA)은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상기 출력 패드부(OP) 사이에 정의된다.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과 제1 단부들이 연결되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1, 제2 및 제3 연결 라인들(CL1, CL2,CL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 라인들(CL1, CL2,CL3)은 상기 트리밍 영역(TA)까지 연장되고 제2 단부들은 상기 트리밍 영역(T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200)은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를 통해 구동 집적 회로(400)의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에 전달된다.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 내에 형성된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 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입력 패드부(IP1)를 통해 상기 구동 집적 회로(400)는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의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상기 구동 집적 회로(40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구동 라인 이외의 어레이 및 V/I 검사를 위한 검사 라인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표시 기판의 연성 패드부는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패드 이외의 어레이 및 V/I 검사를 위한 더미 패드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회로 실장부의 사이즈를 줄여 상기 구동 집적 회로(4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연성 패드부의 사이즈를 줄여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3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 중 이상에서 설명된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른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모기판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기판과 비교하여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을 위한 별도의 제1 더미 패드(DM1), 제2 더미 패드(DM2), 제3 더미 패드(DM3), 제1 쇼팅 라인(SL1), 제2 쇼팅 라인(SL2) 및 제3 쇼팅 라인(SL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패드들(DM1, DM2, DM3)은 상기 연성 패드부(210)에 포함되고, 상기 절단 라인(101)을 걸쳐 연장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검사 라인들(231, 232, 233)을 통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어레이 패드들(221a, 221b, 221c)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쇼팅 라인들(SL1, SL2, SL3)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더미 패드들(DM1, DM2, DM3)과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내부를 관통하여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각각에 포함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쇼팅 라인들(SL1, SL2, SL3)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제2 및 제3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을 통해 출력 패드부(OP)와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각각은 구동 라인부(250)가 형성된 영역(DSA), 상기 제1, 제2 및 제3 쇼팅 라인들(SL1, SL2, SL3)이 형성된 영역(TLA)과, 상기 출력 패드부(OP)가 형성된 영역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TA)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비교예 따른 모기판은 상기 검사 공정을 위해 더미 패드들(DM1, DM2, DM1) 및 쇼팅 라인들(SL1, SL2, SL3)을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연성 패드부(210)의 사이즈 및 상기 회로 실장부의 사이즈가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실시예와 같이, 구동 신호를 수신 및 전달하는 구동 패드부 및 구동 라인들을 이용하여 검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구동 집적 회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구동 라인부를 통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패드부(210)는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구동 패드부(211),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 및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3 구동 패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상기 멀티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상기 PTP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D2)의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 각각은 제2 구동 라인부들(260a, 260b)과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 각각은 제1 패드(212a), 제2 패드(212b) 및 제3 패드(212c)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들(260a, 260b)은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전송 방식인 PTP 방식에 대응하여 제1 라인부(260a)는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와 연결되고, 제2 라인부(260b)는 상기 제2 회로 실장부(282)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는 상기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과 공통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 검사 라인부(230)는 제1 검사 라인(231), 제2 검사 라인(232), 제3 검사 라인(2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검사 라인들(231, 232, 233)은 상기 절단 라인(101)을 걸쳐 상기 제1, 제2 및 제3 어레이 패드들(221a, 221b, 221c)과 상기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 각각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2a, 212b, 212c)을 연결한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들(260a, 260b) 중 제1 라인부(260a)는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2 라인부(260b)는 상기 제2 회로 실장부(28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들(260a, 260b) 각각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패드들(212a, 212b, 212c) 각각에 연결된 제1 라인(261), 제2 라인(262) 및 제3 라인(263)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가 상기 제2 구동 신호 중 전압 레벨이 높은 신호, 예컨대, 아날로그 전원 신호(AVDD)를 전달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 라인부(260a)를 검사 신호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61, 262, 263)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가 상기 제2 구동 신호 중 전압 레벨이 낮은 신호, 예컨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검사 신호의 개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제2 및 제3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2 구동 라인부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제1 입력 패드부(IP1), 제2 입력 패드부(IP2), 제3 입력 패드부(IP3) 및 출력 패드부(OP)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 패드부(IP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 패드부(IP2)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입력 패드부(IP3)는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입력 패드부(IP1)는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의 외측에 연장된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입력 패드부(IP2)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51, 252, 253)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입력 패드부(IP3)는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입력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패드부(OP)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을 통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61, 262, 263)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라인이 레드 화소와 연결되고, 제2 데이터 라인이 그린 화소와 연결되고 제3 데이터 라인이 블루 화소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1 팬 아웃 라인(OL1)은 제1 연결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라인(251)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2 팬 아웃 라인(OL2)은 제2 연결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라인(252)과 연결되고, 상기 제3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3 팬 아웃 라인(OL3)은 제3 연결 라인(CL3)을 통해 상기 제3 라인(253)과 연결된다.
상기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시, 상기 레드 화소는 상기 제1 라인(261)을 통해 전달된 제1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그린 화소는 상기 제2 라인(262)을 통해 전달된 제2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블루 화소는 상기 제3 라인(263)을 통해 전달된 제3 검사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상기 출력 패드부(OP)와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TA)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밍 영역(TA)은 상기 절단 공정시 레이저를 통해 상기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이 제거되는 영역이다. 상기 절단 공정 이후, 상기 출력 패드부(OP)와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는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 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2 회로 실장부(281)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b)는 앞서 설명된 제1 회로 실장부(281)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기판은 절단 및 본딩 공정 후, 상기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은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구동 라인부들(260a, 260b)은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에 실장된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들 각각에 PTP 방식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구동 라인부들(260a, 260b) 및 제2 구동 패드부들(212, 213)을 이용하여 어레이 및 V/I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실장부 내에 별도의 검사 라인을 생략할 수 있어 상기 회로 실장부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회로 실장부에 실장되는 구동 집적 회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연성 패드부에 별도의 검사 패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제3 구동 라인부를 통해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패드부(210)는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구동 패드부(미도시),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구동 패드부(212) 및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상기 멀티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2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상기 PTP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실장부들(281, 282, 283, 284)에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방향(D2)의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패드부(211) 및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는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 구동 패드부(212)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와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 패드부(212) 및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는 좌우 대칭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는 상기 제2 구동 신호의 전송 방식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각각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 각각은 제3 구동 라인부들(271, 272, 273)과 연결된다. 제1 패드부(215)는 제1 라인부(271)와 연결되고, 제2 패드부(216)는 제2 라인부(272)와 연결되고, 제3 패드부(217)는 제3 라인부(273)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레이 패드부(221)는 상기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 검사 라인부(230)는 제1 검사 라인(231), 제2 검사 라인(232), 제3 검사 라인(23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검사 라인들(231, 232, 233)은 상기 절단 라인(101)을 걸쳐 상기 제1, 제2 및 제3 어레이 패드들(221a, 221b, 221c)과 상기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 각 각을 연결한다.
상기 제3 구동 라인부들(271, 272, 273)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회로 실장부들(281, 282) 내부를 관통하도록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병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제1 입력 패드부(IP1), 제2 입력 패드부(IP2), 제3 입력 패드부(IP3) 및 출력 패드부(OP)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 패드부(IP1)는 상기 제1 구동 라인부(25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 패드부(IP2)는 상기 제2 구동 라인부(26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입력 패드부(IP3)는 상기 제3 구동 라인부(270)와 연결되어 상기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출력 패드부(OP)는 복수의 출력 패드들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 패드들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을 통해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상기 제1, 제2 및 제3 라인들(261, 262, 263)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1 데이터 라인이 레드 화소와 연결되고, 제2 데이터 라인이 그린 화소와 연결되고 제3 데이터 라인이 블루 화소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1 팬 아웃 라인(OL1)은 제1 연결 라인(CL1)을 통해 상기 제1 라인부(271)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2 팬 아웃 라인(OL2)은 제2 연결 라인(CL2)을 통해 상기 제2 라인부(272)와 연결되고, 상기 제3 데이터 라인과 연결된 제3 팬 아웃 라인(OL3)은 제3 연결 라인(CL3)을 통해 상기 제3 라인부(273)와 연결된다.
상기 어레이 및 V/I 검사 공정시, 상기 레드 화소는 상기 제1 라인부(271)를 통해 전달된 제1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그린 화소는 상기 제2 라인부(272)를 통해 전달된 제2 검사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블루 화소는 상기 제3 라인부(273)를 통해 전달된 제3 검사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는 상기 출력 패드부(OP)와 상기 제3 구동 라인부들(271, 272, 273) 사이에 트리밍 영역(TA)을 포함한다. 상기 트리밍 영역(TA)은 상기 절단 공정시 레이저를 통해 상기 연결 라인들(CL1, CL2, CL3)이 제거되는 영역이다. 상기 절단 공정 이후, 상기 출력 패드부(OP)와 상기 제3 구동 라인부들(271, 272, 273)은 서로 전기적으로 오픈 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른 표시 기판은 절단 및 본딩 공정 후, 상기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은 제3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상기 제3 구동 라인부들(271, 272, 273)을 통해 상기 제1 회로 실장부(281)에 실장된 제1 구동 집적 회로에 전달된다. 상기 제1 구동 집적 회로를 통과한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인접한 회로 실장부들(281, 282) 사이에 형성된 제3 구동 라인들(274, 275, 276)을 통해 제2 회로 실장부(282)에 실장된 제2 구동 집적 회로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집적 회로들에 전송된다. 상기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에 수신된 상기 제3 구동 신호는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신호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구동 라인부들(271, 272, 273) 및 제3 구동 패드부들(215, 216, 217)을 이용하여 어레이 및 V/I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실장부 내에 별도의 검사 라인을 생략할 수 있어 상기 회로 실장부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회로 실장부에 실장되는 구동 집적 회로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연성 패드부에 별도의 검사 패드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연성인쇄회로기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셀을 포함하는 상기 모기판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모기판 101 : 절단 라인
200 : 표시 셀 or 표시 기판 210 : 연성 패드부
221 : 어레이 패드부 222 : V/I 패드부
230 : 제1 검사 라인부 240 : 제2 검사 라인부
250 : 제1 구동 라인부 260 : 제2 구동 라인부
270 : 제3 구동 라인부 TA : 트리밍 영역
281, 282, 283, 284 : 제1, 제2, 제3 및 제4 회로 실장부

Claims (20)

  1.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패드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패드부를 포함하는 회로 실장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패드부를 포함하는 연성 패드부;
    상기 구동 패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상기 회로 실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라인부; 및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배치된 상기 구동 라인부로부터 상기 출력 패드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라인과 상기 출력 패드부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제거된 복수의 연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패드부는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패드들 각각에 연결되고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다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로직 전원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아날로그 전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들을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감마 신호 및 캐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연성 패드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기판.
  10. 절단 라인; 및
    상기 절단 라인에 의해 정의되고, 구동 집적 회로가 실장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 패드부,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 패드부를 포함하는 회로 실장부와, 연성인쇄회로기판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 집적 회로의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구동 패드부를 포함하는 연성 패드부와, 상기 구동 패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상기 회로 실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라인부, 및 상기 회로 실장부 내에 배치된 상기 구동 라인부로부터 상기 출력 패드부 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 라인들을 포함하는 표시 셀을 포함하는 모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셀 내의 상기 연성 패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어레이 검사 공정시 검사 신호를 수신하는 어레이 패드부;
    상기 어레이 패드부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육안 검사 공정시 검사 신호를 수신하는 V/I 패드부;
    상기 절단 라인을 경유하여 상기 어레이 패드부와 상기 구동 패드부를 연결하는 제1 검사 라인부; 및
    상기 V/I 패드부와 상기 어레이 패드부를 연결하는 제2 검사 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모기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 내의 상기 구동 라인부와 상기 출력 패드부 사이에 정의된 트리밍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밍 영역의 상기 연결 라인들은 트리밍 공정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패드부는 검사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패드들 각각에 연결되고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다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로직 전원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를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데이터 신호, 클럭 신호, 아날로그 전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구동 라인부는 상기 구동 패드부와 상기 회로 실장부들을 캐스캐이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감마 신호 및 캐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실장부는 상기 연성 패드부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판.
KR1020120000355A 2012-01-03 2012-01-03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KR10186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55A KR101862554B1 (ko) 2012-01-03 2012-01-03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US13/524,516 US9261742B2 (en) 2012-01-03 2012-06-15 Display substrate, mother substrate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substr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55A KR101862554B1 (ko) 2012-01-03 2012-01-03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708A true KR20130079708A (ko) 2013-07-11
KR101862554B1 KR101862554B1 (ko) 2018-05-31

Family

ID=4869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355A KR101862554B1 (ko) 2012-01-03 2012-01-03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61742B2 (ko)
KR (1) KR101862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494A (ko) * 2015-09-03 2017-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578732A (zh) * 2016-07-04 2018-01-12 三星显示有限公司 印刷电路板封装和包括该印刷电路板封装的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7864B (zh) * 2018-06-28 2019-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20200108200A (ko) * 2019-03-08 2020-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6141A (ja) * 1994-09-07 1996-03-22 Hitachi Ltd 液晶表示基板
JPH1184420A (ja) 1997-09-09 1999-03-2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アレイ基板の検査方法およびアレイ基板用テスタ
JP3634138B2 (ja) * 1998-02-23 2005-03-3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KR100900537B1 (ko) * 2002-08-23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그 검사 방법 및 제조 방법
KR20050002141A (ko) 2003-06-30 2005-01-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셀 검사용 패널
KR100951357B1 (ko) * 2003-08-19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28294B1 (ko) * 2004-04-29 2008-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60015201A (ko) * 2004-08-13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어레이 기판과, 이를 갖는 모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JP5194382B2 (ja) 2005-08-18 201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TWI335560B (en) * 2006-02-17 2011-01-01 Au Optronics Corp Circuit structure of a display
KR101464123B1 (ko) * 2008-05-30 2014-11-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패널용 모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8494A (ko) * 2015-09-03 2017-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578732A (zh) * 2016-07-04 2018-01-12 三星显示有限公司 印刷电路板封装和包括该印刷电路板封装的显示装置
CN107578732B (zh) * 2016-07-04 2022-07-08 三星显示有限公司 印刷电路板封装和包括该印刷电路板封装的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61742B2 (en) 2016-02-16
KR101862554B1 (ko) 2018-05-31
US20130170151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863B1 (ko)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960018723A (ko) 표시장치 및 그 검사 방법
CN107942547B (zh) 点灯回点治具及其检测面板的方法
US20100127258A1 (en) Lcd panel having shared shorting bars for array inspection and panel inspection
US20090213288A1 (en) Acitve device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862554B1 (ko) 표시 기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모기판
US20130265069A1 (en)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Module, and Method Of Determining Reason Behind Bad Display
US20190164877A1 (en) Chip on fi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404063A (zh) 用于显示装置的驱动印刷电路板以及具有其的显示装置
WO2018113296A1 (zh) 驱动电路架构及显示装置
JP200928228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実装検査方法
KR20060015201A (ko) 어레이 기판과, 이를 갖는 모기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030051923A (ko) 라인 온 글래스형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패널
WO2022056961A1 (zh) 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CN104460161A (zh) 一种边缘电路、阵列基板和显示面板
CN110767131A (zh) 液晶显示面板的点灯检测方法、点灯治具
JP2007298939A (ja) 表示素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I457671B (zh) 平面顯示器之玻璃基板及顯示用之積體電路晶片
CN107515497B (zh) 显示装置
JP2013058428A (ja) コネクタ接続検査回路、表示装置、コネクタ接続検査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2173598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93775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80151270A1 (en) Flexible Flat Cable
TWI418906B (zh) 閘極驅動器之接墊佈局最佳化之顯示面板
KR1020920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