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643A -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643A
KR20130077643A KR1020110146465A KR20110146465A KR20130077643A KR 20130077643 A KR20130077643 A KR 20130077643A KR 1020110146465 A KR1020110146465 A KR 1020110146465A KR 20110146465 A KR20110146465 A KR 20110146465A KR 20130077643 A KR20130077643 A KR 20130077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unit
seat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649B1 (ko
Inventor
송은재
최용상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6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02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 B60R25/003Locking of control actuating or transmitting means locking of contro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60R25/1006Mechanical sensors, e.g. pendulu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0Mechanical actuation by pressure on floors, floor coverings, stair treads, counters, or ti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0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ultrasonic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부와, 차량 시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시트 압력 센서와, 차량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시트 온도 센서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센서와,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VEHICULAR ROOM STATUS DETECTING UNIT AND METHOD FOR COTN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실내 상태를 감지하는 경보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더불어 안전 상태 확보를 위한 경보 장치들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 등을 통하여 차량 실내 침입 여부 등을 감지하는 차량 도난 경보 장치들이 많이 연구 및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경보 장치는 단순한 침입 감지 기능만을 실행할 뿐 차량의 기타 안전 상태 경보를 위한 기능은 배제되었다.
또한, 차량의 실내에 탑승자가 잔존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람이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차량 실내에 잔존하는 경우,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는 종래 경보 장치의 경우 외부 침입자와 실내 탑승자 간의 구별이 곤란하여 오작동이 빈번하거나 아예 외부 침입 경보 장치를 가동시키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잔존 탑승자 여부를 감지하고, 차량 실내 침입 여부를 센서링 지도를 통하여 총합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침입 감지와 더불어,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최소화시킨 구조의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부와, 차량 시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시트 압력 센서와, 차량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시트 온도 센서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센서와,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의 초음파 센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생성하는 초음파 센서 구동기와, 상기 초음파 센서 구동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와, 상기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차량 실내로 초음파를 조사 수신하며, 음파 변조를 통한 거동 감지 및 물체와의 거리 감지를 이루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 구동기와 연결되는 메인 기어와, 상기 메인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초음파 센서가 회전축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조사각을 구비하며 배치되는 센서 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부와, 차량 시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시트 압력 센서와, 차량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시트 온도 센서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센서와,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가동 확인 단계와, 상기 가동 확인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가 가동 상태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센서링 지도를 작성하는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와, 상기 시트 압력 센서 및 상기 시트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차량 실내의 외부인 침입 상태를 감지하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인지, 차량 실내에 잔류자 존재를 경고하는 잔류자 경고 모드인지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동 확인 단계는: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가동 확인을 위하여 상기 감지부가 차량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확인 감지 단계와, 상기 시동 센서로부터의 시동 감지 신호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시동 판단 단계와, 상기 시동 판단 단게에서 시동 감지 신호가 오프 상태인 경우, 차량 도어가 닫힘 상태를 판단하는 도어 닫힘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는: 차량 실내 잔류자 여부 및 차량 하차시 실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초기 센서링 지도를 작성하도록, 상기 시트 압력 센서, 상기 시트 온도 센서 및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 실내를 감지하도록 하는 초기 센서링 감지 단계와, 상기 초기 센서링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시트별 잔류자 존재 및 시트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센서링 지도를 형성 저장하는 초기 센서링 지도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는, 시트의 가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트 압력과 시트의 가압 상태 형성 대상이 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트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시트 압력 센서로부터의 시트 압력과이 상기 기준 시트 압력을, 그리고 상기 시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시트 온도과 상기 기준 시트 온도를 비교하는 모드 설정 비교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비교 단계에서, 상기 시트 압력 센서로부터의 시트 압력이 상기 기준 시트 압력보다 크고, 상기 시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시트 온도가 상기 기준 시트 온도보다 큰 경우, 실행되어야 할 모드를 잔류자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잔류자 경고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시트 압력 센서로부터의 시트 압력이 상기 기준 시트 압력이하이거나 상기 시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시트 온도가 상기 기준 시트 온도이하인 경우, 실행되어야 할 모드를 실내 침입 감지 모드로 설정하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실내 침입 감지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실행 모드 확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드 확인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잔류자 경고 모드로 확인 된 경우, 차량의 도어를 해제하는 도어 언락 단계와, 차량의 실내 잔류자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실내 잔류 경보 단계와, 운전자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을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도어 잠금 명령 대기 단계와, 운전자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잠금 명령 수신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드 확인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실내 침입 감지 모드로 확인 된 경우,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도어 록킹 단계와, 음파 변조를 통한 거동 감지를 위하여 차량의 실내로 초음파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음파 주사 감지 단계에서 얻어진 수신 신호로부터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변화 감지 단계와, 상기 변화 감지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수신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 차량 실내 센서링 지도를 업데이트시키는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와, 상기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센서링 지도와 상기 초기 센서링 지도를 비교하여 변화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음파 센서부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거리 감지를 실행하는 초음파 거리 감지 단계와, 상기 초음파 거리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센서링 지도를 갱신하는 센서링 지도 갱신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에서 센서링 지도 간의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 출력부에 경보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에서 센서링 지도 간의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운전자로부터 잔류자로 인한 도어 잠금 명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잔류자 경보 허가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차량 실내 잔존자의 확인을 이룸으로써 외부 침입 감지를 위한 차량 실내 침입 감지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제거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차량 실내 초음파 감지와 더불어 시트 압력 내지 시트 온도 등의 종합적인 차량 상태 감지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구비하는 센서링 지도를 통하여 차량 실내 침입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감지부의 초음파 센서부는 가동 구조를 취하여 차량 실내의 전역을 커버 가능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성의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초음파 센서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초음파 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 평면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센서링 지도 제작을 위하여 차량 실내에 대한 격자 단위 분할 구조를 도시하는 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초음파 센서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초음파 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작동 평면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센서링 지도 제작을 위하여 차량 실내에 대한 격자 단위 분할 구조를 도시하는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5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10)는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는 감지부(100)와, 저장부(30)와, 제어부(20)와, 경보 출력부(50)를 포함하는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10)는 차량 실내의 잔류자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를 실행하고, 차량 실내로 외부인이 침입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경보 상태를 형성 및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10)는 감지부(100)를 구비하는데, 감지부(100)는 초음파 센서부(200), 시트 압력 센서(300), 시트 온도 센서(400), 시동 센서(500), 도어 센서(6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차량 실내 내지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여 하기되는 제어부(20)로 전달하여 소정의 제어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10)는 소정의 조건이 성립하면 자동적으로 감지 내지 경보 기능을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도의 작동 스위치(110)를 구비하여 운전자가 작동 스위치(110)를 통하여 작동 상태를 설정한 경우에 침입 감지 내지 잔류자 확인 경보 등의 기능을 실행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감지부(100)의 초음파 센서부(200)는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어 차량 실내에서의 거동 감지를 실행할 수도 있고, 물체 또는 사람과의 거리 관계를 감지하여 하기되는 센서링 지도 작성을 위한 거리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시트 압력 센서(300)는 차량의 시트에 배치되어 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 여부 내지 물체가 시트에 놓여지는 경우 물체의 존재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트 압력 센서(300)는 차량의 시트의 등받이에 배치되어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한 것인지 아니면 상자 등의 물체를 탑재한 것인지 여부 등을 판단하는 감지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부(100)는 시트 온도 센서(400)를 포함하는데, 시트 온도 센서(400)는 차량 시트에서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시트에 착석 내지 탑재된 것이 사람인지 물체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시트 온도 센서의 변화가 공조 장치 등을 통하여 감지되는 차량 실내의 온도와 급격한 차이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시트를 점유하는 것은 물체가 아닌 사람 내지 동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차량의 시동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센서(500)를 포함하는데, 시동 센서(500)는 CPS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시동 센서(500)는 차량의 엔진 등이 가동되어 시동 상태 내지 주행 상태를 형성하는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는 도어 센서(600)를 포함하는데, 도어 센서(600)는 차량의 도어(미도시)가 제대로 닫혔는지 내지는 개방된 상태인지 여부를 제어부(20)로 하여금 판단할 수 있는 감지 신호를 제공한다.
저장부(30)는 감지부(100)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찰야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제어부(20)가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한다. 저장부(30)는 전기적으로 제어부(20)와 연결되어, 제어부(20)의 저장 제어 신호에 따라, 감지부(100)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저장하거나 또는 제어부(20)가 현재 차량 실내 상태 판단을 위하여 감지부(100)로부터의 감지 신호와 비교되는 기준값으로서의 사전 설정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20)는 감지부(100) 및 저장부(30)와 연결되어,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와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차량 실내 상태를 판단하고 경보 출력부(50)로 소정의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경보 출력부(50)가 경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연산부(40)는 제어부(20)에 연산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연산 과정을 수행한다.
경보 출력부(50)는 제어부(20)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의 경보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데, 경보 출력부(50)는 음향 출력부(51)와 통신부(53)를 구비한다. 음향 출력부(51)는 제어부(20)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음향을 출력하여 외부에 음향 경고를 실행하여 주의 환기를 통한 침입자의 격퇴 기능을 담당한다. 통신부(53)는 운전자가 구비하는 단말기(미도시)로 소정의 통신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실내에 해당 상태를 고지하고 운전자가 고지된 경보 상태를 보고 소정의 신호, 즉 하기되는 도어 잠금 명령 등을 송출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소정의 사전 설정된 제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부(20)로 전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센서부(200)는 차량 실내의 상태를 감지하는데, 초음파 센서부(200)는 음파 변조를 통한 거동 감지도 가능하고 음파 수신을 통한 거리 측정도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부(200)는 차량의 천장에 장착되어 소정의 가동 구조를 취하여 차량 실내 전역을 감지 범위로 설정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초음파의 고정된 주사 방식의 경우 차량 실내의 커버링 영역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다수개,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컴팩트한 구성 내지 비용 상의 문제점이 노출되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센서부(200)는 초가동 구조를 취하여 최소한의 구성요소 및 컴팩트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부(200)는 초음파 센서(210;210R,210F)와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와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230)를포함한다.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는 전기 모터로 구현되는데,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는 회전축이 선 O-O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의 회전축에는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230)가 배치되는데,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230)는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동작, 즉 회전 동작을 이루어 초음파 센서(210)를 회전시켜 차량 실내의 전역으로 초음파 조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230)는 메인 기어(231)와 서브 기어(233F,233R)을 포함하는데, 메인 기어(231)는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서브 기어(233F,233R)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서브 기어 저널 베어링(235F,235R)을 통하여 차 천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서브 기어(233F,233R)은 각각 메인 기어(231)와 치합되어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로부터의 구동력을 메인 기어(231)를 거쳐 서브 기어(233F,233R)로 전달된다. 서브 기어는 두 개가 배치되고초음파 센서(210)도 두 개가 배치되는데, 각각은 차량의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을 각각 초음파 조사를 통한 거동 감지 및 거리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초음파 센서(210)는 서브 기어(233F,233R)의 중심축 OF-OF 및 중심축 OR-OR의 축선 상에 배치되는데, 초음파 센서(210)는 초음파 조사 방향이 중심축 OF-OF 및 중심축 OR-OR에 대하여 소정의 사전 설정된 조사각(α)을 이루도록 구조 배치된다.
도 3에는 초음파 센서부(200)의 개략적인 평면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초음파 센서부(200)의 초음파 센서 하우징(201)의 내부에 초음파 센서(210),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 및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230)가 배치된다. 초음파 센서부(200)의 메인 기어(231)를 중심으로 서브 기어(233F,233R)이 외접 배치되고, 서브 기어(233F,233R)에는 초음파 센서(210)가 소정의 조사각을 구비하도록 배치도어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가 가동되는 경우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의 구동력은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230)를 통하여 메인 기어(231) 및 서브 기어(233)의 회전 상태를 형성하고 궁극적으로 초음파 센서(210)를 화살표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차량 실내의 전역으로 초음파 조사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부(200)는 단일의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초음파 센서를 가동시켜 차량의 실내 전역을 감지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경우에 따라 차량 실내의 전방 영역 및 후방 영역으로 초음파를 각각 조사하는 초음파 센서를 개별적으로 구동시키는 복수 개의 초음파 센서 구동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센서부(200) 등을 포함하는 감지부(100)의 감지 동작 동작을 통하여 감지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20)는 차량 실내에 대한 센서링 지도를 작성한다. 센서링 지도는 차량 실내의 탑승자의 존재 내지 외부 침입 발생에 의한 상태 변화 등을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는 소정의 격자 단위로 분할한다. 여기서, 초음파 센서부(200)는 차량의 천장 중 룸램프 부위와 같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어 차량 실내의 원활한 초음파 조사를 통한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후방의 좌우 시트(DRV,AST,RR,RL) 등에 대하여 소정의 격자 단위로 분할하여 이들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센서링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시트 영역은 도면 부호 L(L1,...,L16) 및 H(H1,...,H16)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각각의 도면 부호 L과 H는 차량의 착석부와 등받이 부분에 대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넘버링된다. 각각에 차량의 시트 압력 센서 및 시트 온도 센서 등이 배치되어 이들에 대한 시트 압력 감지 신호 및 시트 온도 감지 신호의 값이 각각의 격자 단위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부(200)의 초음파 센서(210)에서 감지된 거리 감지 신호도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할당 저장될 수 있다. 격자 단위에서의 거리 정보는 초음파 조사량 내지 조사 각도를 조정하여 정확한 거리 감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부(100)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부(20)는 차량 실내에 대한 소정의 센서링 지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링 지도는 운전자의 하차시 소정의 시간 간격 후 내지는 차량 실내에서의 거동 감지 등의 경우 갱신되어 비교됨으로써 차량 실내 상태의 변화를 확인하여 소정의 경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은 제공 단계(S10)와 가동 확인 단계(S20)와,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S30)와, 모드 설정 단계(S40)와, 모드 실행 단계(S50)를 포함한다. 제공 단계(S10)에서 상기한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10)가 제공되는데, 중복된 설명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로 대체한다.
제공 단계(S10)에서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가 제공된 후 제어부(20)는 가동 확인 단계(S20)를 실행한다. 가동 확인 단계(S20)에서 제어부(20)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가동 여부를 확인한다. 가동 확인 단계(S20)는 확인 감지 단계(S21)와 시동 판단 단계(S23)와 도어 닫힘 판단 단계(S25)를 포함한다. 확인 감지 단계(S21)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00)로 소정의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10)의 가동 확인을 위하여 감지부(10))가 차량 상태를 감지하도록 한다.
그런후, 제어부(20)는 감지부(100)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판단 과정을 수행하는데, 먼저 제어부(20)는 시동 판단 단계(S23)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20)는 시동 센서(500)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0)가 시동 판단 단계(S23)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25로 진행한다. 제어부(20)는 도어 닫힘 판단 단계(S25)에서 도어 센서(600)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가 모두 닫힘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닫힌 상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0)는 소정의 확인을 종료할 수도 있다. 단계 S23 및 S25에서 각각의 상태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제어부(20)가 판단하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21로 전환하여 재차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25 후에 바로 단계 30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의도 및 소정의 확실한 작동 확인을 위하여 작동 스위치 판단 단계(S27) 및 타이머 단계(S2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20)는 작동 스위치 판단 단계(S27)에서 작동 스위치(110)의 온/오프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가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실행을 의도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동 스위치(110)의 신호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0)는 운전자가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작동을 의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타이머 단계(S29)로 제어 흐름을 진행하여, 탑승자의 완전한 하차를 확인토록 소정의 사전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0초 정도 후에 하기되는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S30)를 실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27에서 제어부(20)가 작동 스위치가 온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소정의 제어 과정을 종료하고 차량 실내 감지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단계 S20이 종료된 후, 제어부(20)는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S30)를 실행한다.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S30)에서 제어부(20)는 상기한 차량의 실내에 대한 센서링 지도를 작성한다. 즉,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S30)는 초기 센서링 지도 감지 단계(S31)와 초기 센서링 지도 형성 단계(S33)를 포함한다. 초기 센서링 지도 감지 단계(S31)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00)의 초음파 센서부(200), 시트 압력 센서(300) 및 시트 온도 센서(400)로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소정의 감지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차량의 실내에 잔류자 여부 감지 및 찰야 하차시 실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을 위한 감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감지부(100)의 초음파 센서부(200), 시트 압력 센서(300) 및 시트 온도 센서(400)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에 대하여 도 4의 격자 단위로 분할된 영역에 대한, 운전자의 하차후 초기 상태에 대한 초기 센서링 지도를 형성한다. 초기 센서링 지도는 운전자의 하차후 차량 실내 상태의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초기 데이터로 사용된다.
단계 S30이 완료된 후,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모드 설정 단계(S40)로 진행한다. 단계 S40은 모드 설정 비교 단계(S41)와 잔류자 경고 모드 설정 단계(S45) 및 실내 침입 감지 모드 설정 단계(S43)를 포함한다. 모드 설정 비교 단계(S41)에서 제어부(20)는 감지부(100)의 시트 압력 센서(300) 및 시트 온도 센서(400)의 감지 신호를 저장부(30)에 저장된 사전 설정 데이터와 비교한다. 즉, 사전 설정 데이터는 기준 시트 압력(Po) 및 기준 시트 온도(To)를 포함하는데, 기준 시트 압력(Po)은 시트 압력 센서(300)로부터의 시트 압력신호와 비교되어 실제 물체 내지 사람 등이 시트 착석 내지 점유 상태를 형성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값으로 사용되고, 기준 시트 온도(To)는 시트 온도 센서(400)로부터의 시트 온도신호와 비교되어 시트를 점유한 대상이 사람인지 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사용된다.
즉, 제어부(20)는 단계 S41에서 시트 압력(Pi)과 기준 시트 압력(Po)을 비교하고, 시트 온도(Ti)와 기준 시트 온도(To)를 비교하여, 시트 압력(Pi)과 시트 온도(Ti)가 모두 기준 시트 압력(Po) 및 기준 시트 온도(To)보다 큰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43으로 진행하여 실행되어야 할 모드를 실내 침입 감지 모드로 설정하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 설정 단계(S43)를 수행하고, 반대로, 시트 압력(Pi)과 시트 온도(Ti)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모두 기준 시트 압력(Po) 및 기준 시트 온도(To)이하의 값을 갖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45으로 진행하여 실행되어야 할 모드를 잔류자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잔류자 경고 모드 설정 단계(S45)를 수행한다.
잔류자 경고 모드 설정 단계(S45)가 실행된 후, 제어부(20)는 잔류자가 존재한다는 잔류자 확인 플랙을 생성하는 잔류자 확인 단계(S47)를 더 실행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단계 S40에서 설정된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S50)를 실시한다. 모드 실행 단계(S50)는 실행 모드 확인 단계(S51)를 포함하는데, 실행 모드 확인 단계(S51)에서 제어부(20)는 단계 S40에서 설정된 모드가 어느 모드인지를 확인한다. 즉, 단계 S51에서 제어부(20)가 설정된 모드가 실내 침입 감지 모드인지 여부를 비교 확인하고, 단계 S51에서 설정 모드가 실내 침입 감지 모드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를 실행하고(S53), 반대로 단계 S51에서 설정 모드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진류자 경고 모드를 실행한다(S55).
단계 S55을 먼저 설명한다. 단계 S55는 잔류자 경고 모드로서 단계 S55는 도어 언락 단계(S551)와 실내 잔류 경보 단계(S553)와 도어 잠금 명령 대기 단계(S555)를 포함한다. 도어 언락 단계(S551)에서 제어부(20)는 차량의 도어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는 작동 제어 신호를 차량의 도어부(60, 도 1 참조)로 전달한다.
그런후, 제어부(20)는 실내 잔류자가 존재함을 운전자 등에게 알리기 위한 소정의 실내 잔류 경보를 실행하는 실내 잔류 경보 단계(S553)를 실시한다. 즉, 제어부(20)는 경보 출력부(50)의 통신부(53)로 통신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운전자가 구비하는 단말기(70)로 차량 실내 잔류자의 존재를 알리는 잔류자 경보 신호를 전달한다. 단말기(70)를 통하여 잔류자 경보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운전자는 소정의 통신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잔류자 경보 신호를 전달받은 운전자는 원치 않는 상황인 경우 차량으로 신속히 복귀할 수 있고, 현 상태가 운전자가 의도한 상황인 경우, 운전자는 단말기(70)를 통하여 소정의 명령, 예를 들어 도어 잠금 명령을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70)로부터 송출된 도어 잠금 명령 신호는 통신부(53)에서 수신될 수 있는데, 제어부(20)는 도어 잠금 명령 대기 단계(S555)에서 운전자로부터의 도어 잠금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형성하고 단말기(70)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 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이를 수신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이를 위하여 내부 타이머가 내장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도어 잠금 명령 수신 판단 단계(S557)를 실행한다. 도어 잠금 명령 수신 판단 단계(S557)에서 제어부(20)는 운전자의 단말기(70)로부터 소정의 명령, 즉 도어 잠금 명령이 송출되어 차량의 통신부(53)가 이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제어부(20)가 도어 잠금 명령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553으로 복귀하여 소정 경보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단계 S557에서 운전자의 단말기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이 송출되어 이를 통신부(53)가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차량 실내의 잔류자의 존재는 운전자가 의도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 흐름을 단계 S53으로 전환하여 실내 침입 감지 모드를 후속적으로 실행한다.
한편, 단계 S51에서 제어부(20)가 실행 모드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라고 파단한 경우, 제어부(20)는 도어 록킹 단계(S531)를 실행한다. 도어 록킹 단계(S531)에서 제어부(20)는 차량의 도어부(60)로 도어 락킹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의 도어를 모두 잠금 상태로 형성하도록 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초음파 주사 감시 단계(S532)를 실행한다. 초음파 주사 감시 단계(S532)는 감지부(100)의 초음파 센서부(200)로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데, 이때 초음파 센서부(200)의 초음파 센서(210)는 음파 변조 감지하는 초음파 주사 감시를 실행한다. 즉, 이 단계에서 초음파 센서는 차량 실내의 격자 단위에 대한 거리 측정이 아닌 차량 실내 영역으로 초음파를 주사하여 반송된 초음파 신호의 음파 변조를 확인함으로써 초음파 신호의 변화 여부를 감시한다. 여기서, 초음파의 주사 영역은 차량의 도어 영역으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차량의 도어가 배치되는 영역으로의 초음파 주사를 위하여 제어부(20)는 초음파 센서 구동기(220)로 소정의 구동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초음파 센서의 소정의 회전 상태를 형성하여 도어 영역에 대한 주사된 초음파의 음파 변조 여부를 감시한다.
즉, 감시 주기가 상당히 짧아 감시 주기 사이에 침입자가 차량 실내로 탑승하는 등의 상태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한바, 초음파 주사 영역은 도어 영역으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단계 S532가 완료된 후, 제어부(20)는 단계 S533을 실행하는데, 단계 S533에서 제어부(20)는 초음파 주사 감시 결과로부터 음파 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변화 감지 단계(S533)를 실행한다. 단계 S533에서 제어부(20)가 음파 변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제어 흐름을 단계 S532로 전환하여 초음파 주사 감시 단계를 반복한다.
반면, 단계 S533에서 차량의 도어 영역 등으로 주사된 초음파의 반송 신호로부터 음파 변조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S533a)를 실행하여, 차량 실내의 센서링 지도를 업데이트한다.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S533a)는 초음파 거리 감지 단계(S534)와 센서링 지도 갱신 단계(S535)를 포함하는데, 초음파 거리 감지 단계(S534)에서 제어부(20)는 초음파 센서부(200)의 초음파 센서(210)에 감지 제어 신호를 초음파 거리 측정을 위한 작동 상태로 전환하고 차량 실내의 격자 영역에 대한 거리 정보를 취득하도록 제어 신호를 인가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20)는 시트 압력 센서(300) 및 시트 온도 센서(400)로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새로운 감지 데이터를 취득하고, 초음파 거리 데이터 및 시트 압력 및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격자 단위에 대한 데이터를 갱신하여 새로운 센서링 지도를 갱신 작성하는 센서링 지도 갱신 단계(S535)를 실행한다. 즉, 새로이 갱신된 센서링 지도는 운전자의 차량 하차시 생성된 초기 센서링 지도와 비교되어 잔류자의 영향을 확인하여 침입자 판단을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단계 S533a에서 센서링 지도가 업데이트된 후, 제어부(20)는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S536)를 실행한다. 즉, 단계 S536에서 제어부(20)는 업데이트된 센서링 지도와 초기 센서링 지도를 비교하여 변화 유무를 확인하고 양자 간에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20)가 단계 S536에서 센서링 지도 간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외부 침입자에 의한 상태로 판단하여 제어부(20)는 경보 출력 단계(537)를 실행하는데, 이때 제어부(20)는 경보 출력부(50)에 소정의 경보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혀 음향 출력부(51)를 통한 경고 음향 출력과 동시에 운전자의 단말기(70)로 경고 신호를 송출하여 경고 상태 고지를 이룰 수 있다.
반면, 제어부(20)가 단계 S536에서 센서링 지도 간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센서링 지도의 변화는 잔류자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재차 확인하는 잔류자 경보 허가 여부 판단 단계(S538)를 실행한다.
잔류자 경보 허가 여부 판단 단계(S538)에서 제어부(20)는 단계 S555에서 통신부(53)가 운전자로부터의 도어 잠금 명령 수신이 있었는지를 통하여 잔류자 경보가 허가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제어부(20)가 잔류자가 존재하고 운전자로부터 잔류자 존재를 허가받고 실내 침입 감지 모드로 돌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553으로 진행하여 실내 잔류 경보를 재차 발령하고 운전자에게 잔류자에 의한 거동이 발생한 것을 고지한다.
반면, 단계 S538에서 잔류자 경보 허가가 되지 않은 것으로 제어부(20)가 판단하는 경우, 제어 흐름을 단계 S532로 진행하여 실내 침입 감지를 다시 반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20...제어부 30...저장부
40...연산부 50...경보 출력부
100: 감지부 200...초음파 센서부
300...시트 압력 센서 400...시트 온도 센서
500...시동 센서 600...도어 센서

Claims (13)

  1.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부와, 차량 시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시트 압력 센서와, 차량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시트 온도 센서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센서와,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부는:
    상기 제어부의 초음파 센서 구동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력을 생성하는 초음파 센서 구동기와,
    상기 초음파 센서 구동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와,
    상기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를 통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차량 실내로 초음파를 조사 수신하며, 음파 변조를 통한 거동 감지 및 물체와의 거리 감지를 이루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 동력 전달부는:
    상기 초음파 센서 구동기와 연결되는 메인 기어와,
    상기 메인 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초음파 센서가 회전축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조사각을 구비하며 배치되는 센서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4. 차량의 천장에 배치되는 초음파 센서부와, 차량 시트의 압력을 감지하는 시트 압력 센서와, 차량 시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시트 온도 센서와, 차량의 시동 여부를 감지하는 시동 센서와, 차량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저장하고,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사전 설정 데이터를 사전 설정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감지 신호와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량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침입 내지 잔류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 출력부를 구비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제공 단계와,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는 가동 확인 단계와,
    상기 가동 확인 단계에서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가 가동 상태를 확인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초기 센서링 지도를 작성하는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와,
    상기 시트 압력 센서 및 상기 시트 온도 센서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차량 실내의 외부인 침입 상태를 감지하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인지, 차량 실내에 잔류자 존재를 경고하는 잔류자 경고 모드인지를 설정하는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를 실행하는 모드 실행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확인 단계는:
    상기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의 가동 확인을 위하여 상기 감지부가 차량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확인 감지 단계와,
    상기 시동 센서로부터의 시동 감지 신호가 오프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시동 판단 단계와,
    상기 시동 판단 단게에서 시동 감지 신호가 오프 상태인 경우, 차량 도어가 닫힘 상태를 판단하는 도어 닫힘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센서링 지도 작성 단계는:
    차량 실내 잔류자 여부 및 차량 하차시 실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초기 센서링 지도를 작성하도록, 상기 시트 압력 센서, 상기 시트 온도 센서 및 상기 초음파 센서부를 통하여 차량 실내를 감지하도록 하는 초기 센서링 감지 단계와,
    상기 초기 센서링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시트별 잔류자 존재 및 시트별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초기 센서링 지도를 형성 저장하는 초기 센서링 지도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 데이터는, 시트의 가압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트 압력과 시트의 가압 상태 형성 대상이 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시트 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설정 단계는:
    상기 시트 압력 센서로부터의 시트 압력과이 상기 기준 시트 압력을, 그리고 상기 시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시트 온도과 상기 기준 시트 온도를 비교하는 모드 설정 비교 단계와,
    상기 모드 설정 비교 단계에서,
    상기 시트 압력 센서로부터의 시트 압력이 상기 기준 시트 압력보다 크고, 상기 시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시트 온도가 상기 기준 시트 온도보다 큰 경우, 실행되어야 할 모드를 잔류자 경고 모드로 설정하는 잔류자 경고 모드 설정 단계와,
    상기 시트 압력 센서로부터의 시트 압력이 상기 기준 시트 압력이하이거나 상기 시트 온도 센서로부터의 시트 온도가 상기 기준 시트 온도이하인 경우, 실행되어야 할 모드를 실내 침입 감지 모드로 설정하는 실내 침입 감지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실행 단계는:
    상기 모드 설정 단계에서 설정된 모드가 실내 침입 감지 모드인지를 확인하는 실행 모드 확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드 확인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잔류자 경고 모드로 확인 된 경우,
    차량의 도어를 해제하는 도어 언락 단계와,
    차량의 실내 잔류자가 있음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실내 잔류 경보 단계와,
    운전자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을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도어 잠금 명령 대기 단계와,
    운전자로부터 도어 잠금 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잠금 명령 수신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감지 장치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모드 확인 단계에서 실행되어야 할 모드가 실내 침입 감지 모드로 확인 된 경우,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도어 록킹 단계와,
    음파 변조를 통한 거동 감지를 위하여 차량의 실내로 초음파를 주사하는 초음파 주사 감지 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음파 주사 감지 단계에서 얻어진 수신 신호로부터 변화 여부를 판단하는 변화 감지 단계와,
    상기 변화 감지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가 수신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 차량 실내 센서링 지도를 업데이트시키는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와,
    상기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에서 업데이트된 센서링 지도와 상기 초기 센서링 지도를 비교하여 변화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링 지도 업데이트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초음파 센서부에 감지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거리 감지를 실행하는 초음파 거리 감지 단계와,
    상기 초음파 거리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센서링 지도를 갱신하는 센서링 지도 갱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에서 센서링 지도 간의 변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경보 출력부에 경보 출력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링 지도 변화 판단 단계에서 센서링 지도 간의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운전자로부터 잔류자로 인한 도어 잠금 명령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잔류자 경보 허가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제어 방법.


KR1020110146465A 2011-12-29 2011-12-29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3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65A KR101338649B1 (ko) 2011-12-29 2011-12-29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465A KR101338649B1 (ko) 2011-12-29 2011-12-29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643A true KR20130077643A (ko) 2013-07-09
KR101338649B1 KR101338649B1 (ko) 2013-12-06

Family

ID=48990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465A KR101338649B1 (ko) 2011-12-29 2011-12-29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64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980A (ko) * 2015-10-22 2017-05-04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환경 조건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가변적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963364B1 (ko) * 2017-12-29 2019-03-28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682B1 (ko) * 2017-12-29 2019-08-07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8460A (ko) * 2018-02-14 2019-08-22 박성대 감지성능을 강화한 차량용 재실감지장치
KR102107976B1 (ko) *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티앤피 차량 내 어린이 방치 감지장치
KR20200046987A (ko) * 2018-10-26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석 승객 감지 및 실내 침입 경고 시스템,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승객 감지 및 침입 경고 방법
KR20200113655A (ko) * 2019-03-26 2020-10-07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좌석별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물체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4156A (ko) * 2019-05-20 2020-12-01 큐브 일렉파츠 인코포레이티드 차내 생명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20220023170A (ko) * 2020-08-20 2022-03-02 최승원 차량용 안전 알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631B1 (ko) 2017-04-27 2017-07-17 정준영 차량 내 갇힘 방지 경보 시스템.
KR102506873B1 (ko) * 2018-07-18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입체 클러스터,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입체 화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442B1 (ko) * 1994-12-23 1998-06-01 한승준 차량의 도난방지장치
KR100904718B1 (ko) * 2007-11-20 2009-06-2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개방 가동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6980A (ko) * 2015-10-22 2017-05-04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환경 조건에 따른 차량 실내 침입 가변적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963364B1 (ko) * 2017-12-29 2019-03-28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실내 침입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682B1 (ko) * 2017-12-29 2019-08-07 한국오므론전장 주식회사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동승자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98460A (ko) * 2018-02-14 2019-08-22 박성대 감지성능을 강화한 차량용 재실감지장치
KR20200046987A (ko) * 2018-10-26 2020-05-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후석 승객 감지 및 실내 침입 경고 시스템,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승객 감지 및 침입 경고 방법
KR102107976B1 (ko) * 2018-11-02 2020-05-07 주식회사티앤피 차량 내 어린이 방치 감지장치
KR20200113655A (ko) * 2019-03-26 2020-10-07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좌석별 압력센서 및 온도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석 물체 방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4156A (ko) * 2019-05-20 2020-12-01 큐브 일렉파츠 인코포레이티드 차내 생명 감지 시스템 및 그 감지 방법
KR20220023170A (ko) * 2020-08-20 2022-03-02 최승원 차량용 안전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649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649B1 (ko) 차량 실내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53363B2 (en) Vehicle cabin safety system and method
JP3290440B2 (ja) 車両に好適で、リモート送信機検証を有する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20160031342A1 (en) Back seat occupant detector and alarm
US10308223B2 (en) In-vehicle device and vehicle security system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4221409B2 (ja) 車両内の座席占有状態の識別方法および装置
KR20180058915A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장치 및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US627011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at occupancy recognition in a motor vehicle
CN108297823B (zh) 汽车的智能控制系统
JP2010138543A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システム、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ロック制御方法
CN109131074B (zh) 车内生命体防遗留的告警方法及系统
US20150254963A1 (en) Vehicle warning system
CA2882465A1 (en)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ccelerometer based security warning and related methods
CN108216115B (zh) 用于控制车辆门锁系统的系统和方法
KR102639082B1 (ko) 차량의 후석 승객 감지 및 실내 침입 경고 시스템, 그리고 그를 이용한 승객 감지 및 침입 경고 방법
US9434337B2 (en) Vehicle door engagement detection
JP2007522999A (ja) 障害物検出装置の動作を制御するシステムと方法
CN105096411A (zh) 用于车门的动力闩锁系统及其控制系统
JP2006199268A (ja) 盗難防止装置
JP2002227478A (ja) 車両用施解錠装置
KR20160045260A (ko)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위험상황 경보 방법
JP4441452B2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JP2011241621A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の施錠装置
JP3814912B2 (ja) ドアロック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