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731A -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731A
KR20130076731A KR1020120152048A KR20120152048A KR20130076731A KR 20130076731 A KR20130076731 A KR 20130076731A KR 1020120152048 A KR1020120152048 A KR 1020120152048A KR 20120152048 A KR20120152048 A KR 20120152048A KR 20130076731 A KR20130076731 A KR 20130076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lement
power
electrode terminal
power supply
assembled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우시지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3007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단전지 또는 조전지를 갖는 생산성을 높인 전원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전원 장치(1)이며, 전극 단자(21a)를 갖는 조전지(20)와, 전극 단자(21a)가 배치된 상면(21c1)인 제1면과는 상이한 제2면에서 조전지(20)에 고정된 고정부(10)를 구비하고, 고정부(10)는, 전극 단자(21a)와 외부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를 갖는다.

Description

전원 장치{ELECTRIC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스택된 복수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의 치환 용도는 물론, 휴대 전화, IT 기기 등의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전지로 대표되는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는 고에너지 밀도인 점에서, 전기 자동차나 산업용 대형 전기 기기로의 응용도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 더 높은 고전압을 얻기 위해서, 복수의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를 스택해서 1개의 전원을 구성한 집합 전지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407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집합 전지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복수의 단전지로 구성된 집합 전지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합 전지(100)는 조전지(110)와, 개구(121)를 갖는 개구 상자 형상의 수납 용기(120)와, 덮개부(130)로 구성된다.
조전지(110)는 외형이 육면체인 단전지(111)를, 각각 정면과 배면이 대향하도록 복수 배열한 스택이다. 각 단전지(111)는, 각각의 이극(異極)의 전극(112)끼리가 버스바(113)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단전지(111)는 직렬 접속되어, 전체적으로 고전압의 조전지를 형성한다.
조전지(110)는 수납 용기(120)에 수납되고, 수납 용기(120)의 개구(121)는 덮개부(130)에 의해 밀봉된다. 조전지(110) 전체의 정극의 전극 단자(112a)와 부극의 전극 단자(112b)가, 덮개부(130)의 상면(130a) 상에 설치된 정극 단자(131a) 및 부극 단자(131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조전지(110)의 전력이 집합 전지(100)의 전력으로서 취출된다.
여기서 조전지(110)가 방전하는 전류는, 특히 전기 자동차 등의 대전력 부하를 위한 용도에 있어서는, 몇십 내지 몇백 A로 큰 것이 된다. 이로 인해, 조전지(100)의 정부의 각 전극 단자(112a 및 112b)와 덮개부(130)의 정극 단자(131a 및 131b)의 접속에는, 연선 등의 가요성 케이블 대신에, 오로지 내전성 및 강성이 강한 금속제의 버스바 등이 접속 부재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접속 부재의 설치를 위한 작업 스페이스는, 덮개부(130)와 단전지(111)의 상면(111a)이 대향하는 좁은 공간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전지(111)로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사용한 경우, 충방전에 즈음해서 능동적인 제어를 행하는 제어 회로가 필요해지지만, 제어 회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덮개부(130)의 주면(130a) 또는 이면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특히 제어 회로가 덮개부(130)의 이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술한 작업 스페이스는 한층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집합 전지(100)에 있어서의 조전지(110)측의 전극 단자와 덮개부(130a)의 이면에 노출된 덮개부(130)의 설치용 단자(미도시)의 설치는, 위치 정렬, 임시 고정, 본 고정의 공정마다 섬세하면서 신중한 작업을 필요로 하게 되어,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집합 전지와 같은 전원 장치에 있어서는, 전극 단자 주위의 구조가 집적적으로 되어, 생산성이 낮아지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생산성을 높인 전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전원 장치는, 전극 단자를 갖는 축전 소자와, 상기 축전 소자의 상기 전극 단자가 배치된 면인 제1면과는 상이한 제2면에서 상기 축전 소자에 고정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 단자와 외부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단자를 갖는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접속 단자를 갖는 고정부는 축전 소자의 전극 단자가 배치된 제1면과는 상이한 제2면에서 축전 소자에 고정되어 있다. 즉, 당해 고정부는, 전극 단자가 배치된 제1면에서 축전 소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접속 단자와 전극 단자와의 접속 작업을 행하는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축전 소자에 고정부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접속 단자와 전극 단자와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전원 장치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 소자는 복수로 스택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전원 장치는, 복수의 상기 축전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스택의 한 쌍의 측면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축전 소자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다. 즉, 축전 소자에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체결 부재가 겸용하기 때문에, 축전 소자에 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새로이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 개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축전 소자로의 충전 또는 방전에 관한 동작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 수단은, 상기 축전 소자의 상기 제2면과는 상이한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제어 회로 등의 축전 소자의 충방전 관리 수단이, 축전 소자의 제2면과는 상이한 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어 회로나 배선을 넓은 장소에 설치할 수 있고,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축전 소자와 고정부 사이에 제어 회로를 배치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접속 단자 주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제1면을 상면으로 했을 경우에 측면에 상기 제2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제2면에 대향하는 면을 갖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은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축전 소자는 제1면과 제1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가, 제2면과 제2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축전 소자에 있어서 길이가 짧은 쪽의 치수를 고정부의 깊이 치수로 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깊이 치수에 대응한 전원 장치의 깊이 방향의 폭을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그 내면에 상기 축전 소자를 향해서 연신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리브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축전 소자는 고정부 내면의 리브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장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전원 장치 이동 시의 요동 등으로부터 축전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한 개구를 갖는 수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축전 소자를 상기 수납 용기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막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는 수납 용기를 구비하고 있고, 고정부는 수납 용기의 개구를 막는 구성이기 때문에, 고정부가 수납 용기의 덮개부로서의 역할을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는, 그 내측의 저면에 상기 축전 소자를 향해서 연신하는 제1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리브의 일부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축전 소자는 수납 용기 저면의 리브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장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전원 장치 이동 시의 요동 등으로부터 축전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브의 다른 일부는, (a) 2개의 상기 전극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b) 그 테두리면이 상기 전극 단자와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수납 용기 저면의 리브의 일부는, 전극 단자 사이, 또는 테두리면이 전극 단자와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브가 전극 단자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는, 그 내측의 측면에 상기 축전 소자를 향해서 연신하는 제2 리브를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에 있어서, 수납 용기는 내측면에 리브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 장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전원 장치 이동 시의 요동 등으로부터 축전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는, 그 내측이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2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2 리브의 테두리면끼리의 간격은, 상기 축전 소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대향하는 2개의 리브의 테두리면끼리의 간격은, 축전 소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등하기 때문에, 전원 장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전원 장치 이동 시의 요동 등으로부터 축전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축전 소자 사이 및 상기 수납 용기의 저면과 상기 축전 소자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완충재를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는 고정부 또는 수납 용기와 축전 소자 사이에 고무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한 완충재를 구비함으로써, 축전 소자의 충격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수납 용기 중 적어도 한쪽은 수지 재료제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하면, 전원 장치의 고정부 또는 수납 용기는 수지 재료제이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여, 기성 축전지의 규격에 적합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전원 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장치에 의하면,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정면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전원 장치의 수납 용기의 모식적인 평면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에 관한 전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도 9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집합 전지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 중, 본 발명의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보다 바람직한 형태를 구성하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좌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2는 동 우측면에서 본 사시도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전원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우측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고정부(10)와, 고정부(10)에 고정되는 조전지(20)를 구비한다.
고정부(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제이며, 외형 직사각형 판상의 모재(11)에 설치된 리브(12a 및 12b)와, 모재(11)의 주위에 형성된 테두리부(11y)를 구비한다.
리브(12a 및 12b)는, 모재(11)의 주면(11x) 상에서 격자 형상으로 조합되어 있고, 적재되는 조전지(20)를 지지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리브(12a 및 12b)는, 고정부(10)의 내면에 설치된 조전지(20)를 향해서 연신하는 리브이며, 조전지(20)는, 리브(12a 및 12b)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어서, 조전지(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외장을 갖는 외형 육면체의 단전지(21)를, 각각 주면(21c2)끼리가 대향하도록, 가로 1행 세로 4열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스택이다. 각 단전지(21)는, 외형 직사각형의 상면(21c1)에 정부 각각의 전극 단자(21a)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21c1)은 이들 전극 단자(21a)의 배열에 따른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단전지(21)는, 상면(21c1) 및 저면(21c4)을 한 쌍의 바닥면으로 하고, 주면(21c2) 및 측면(21c3)을 측면으로 하는 각기둥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 이들 한 쌍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통상 사용될 경우에 있어서의 단전지(21)의 높이에 상당함)가 상면(21c1)의 길이 방향의 길이 보다도 짧아져 있다. 즉, 조전지(20)에 있어서, 상면(21c1)과 상면(21c1)에 대향하는 저면(21c4) 사이의 거리는, 한쪽의 측면(21c3)과 당해 한쪽의 측면(21c3)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측면(21c3)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또한, 각 단전지(21) 각각의 이극의 전극 단자(21a)끼리가, 스테인리스 혹은 알루미늄 또는 그것들의 합금 기타 도전성의 금속제의 버스바(21b)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각 단전지(21)는 직렬 접속되어, 전체적으로 고전압의 조전지(20)를 형성한다.
또한, 스택된 조전지(20)는, 체결 부재(22)에 의해 그 외형이 유지되고 있다. 체결 부재(22)는, 조전지(20)가 이루는 종렬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전지(21) 각각의 주면(21c2)을 또한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2a),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2a)끼리를 접속하는 양쪽 나사 볼트(22c) 및 너트(22d)로 구성된다. 즉, 체결 부재(22)는, 복수의 단전지(21)의 배열 방향에 대향한 조전지(20)의 한 쌍의 측면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다.
엔드플레이트(22a)의 양쪽 측단부에는 관통 구멍이 개구된 탭(22b)이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22a)가 조전지(20)를 끼워 넣은 상태로, 각각의 엔드플레이트(22a)가 속하는 탭(22b)끼리도 대향하고 있다. 이 대향하는 탭(22b)의 관통 구멍에 양쪽 나사 볼트(22c)가 삽입되고, 양쪽 나사 볼트(22c)의 양단이 너트(22d)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의해, 조전지(20)는 그 양단이 엔드플레이트(22a)의 체결압에 의해 구속되어, 그 외형이 유지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전지(21) 사이에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제의 탄성력을 갖는 완충재(21d)가 삽입되어 있고, 체결 부재(22)의 체결압에 의해 단전지(21)에 과잉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어서, 체결 부재(22)에 의해 체결된 조전지(20)는, 단전지(21)의 상면(21c1)의 길이 방향 단부측의 측면(21c3)(도 3에 있어서의 하측의 측면(21c3))이 배열된 면이, 고정부(1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고정부(1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전극 단자(21a)가 설치된 상면(21c1)은 고정부(10)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체결 부재(22)의 엔드플레이트(22a)의 고정부(10)와 대향하는 측의 측단부에는, 엔드플레이트(22a)와 직교하고, 고정부(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신하는 탭(22e)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탭(22e)에는 관통 구멍(22e2)이 고정부(10)의 모재(11)에 설치된 리브(12c) 상에는 관통 구멍(12c1)이, 각각 개구되어 있다. 조전지(20)가 고정부(10)에 적재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22e2 및 12c1)을 통해서 볼트(22e1)가 너트(22e3)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조전지(20)는 고정부(10)에 고정된다. 즉, 체결 부재(22)가 고정부(10)에 고정됨으로써, 조전지(20)가 고정부(10)에 고정된다.
또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의 모재(11)의 주면(11x) 상에는, 단전지(21)의 상면(21c1)을 따라 직립하는 리브(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면(11x) 상에는, 단전지(21)의 저면(21c4)을 따라 직립하는 리브(14)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리브는 주면(11x) 상에 있어서의 조전지(20)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13)는, 조전지(20)의 전극 단자(21a)와 간섭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21c1)에서 보아 좌측의 엔드플레이트(22a)의 표면에는, 조전지(20)로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3)가 배치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 우측의 엔드플레이트(22a)의 표면에는, 조전지(20)의 충방전 도통을 제어하는 릴레이 회로(2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회로의 엔드플레이트(22a)에 대한 고정은, 볼트, 나사 등에 의한 체결,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주지 관용의 수단에 따라도 좋다.
제어 회로(23) 및 릴레이 회로(28)는, 단전지(21)의 저면(21c4)을 따르도록 배선된 케이블(27)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23), 케이블(27) 및 릴레이 회로(28)는, 조전지(20)로의 충전 또는 방전에 관한 동작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수단이며, 단전지(21)의 고정부(10)가 고정되는 측의 측면(21c3)과는 상이한 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전지(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 단자(21a) 중 조전지(20) 전체의 정극측의 전극 단자(24a)는, 접속 부재(24) 및 볼트(24b)를 통해서 제어 회로(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접속 부재(24)는, 도전성의 금속제 부재이며, 버스바(21b)와 마찬가지로 조전지(20)의 전류, 전압에 대응한 내전성, 강성을 갖는다. 제어 회로(23)에는, 또한 접속 부재(24)와 마찬가지인 재료를 포함하는 접속 부재(25)가 볼트(25b)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고, 접속 부재(25)는 고정부(10)의 모재(11)의 주면 상에, 볼트(25a)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25a)는 모재(11)를 관통하고, 고정부(10)의 표면 상에 설치된 정극 단자(11a)와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 단자(24a), 접속 부재(24 및 25) 및 볼트(25a)를 접속함으로써, 조전지(20)의 정극측의 전극 단자(24a)는, 전원 장치(1)의 정극 단자(11a)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조전지(20)에 포함되는 복수의 전극 단자(21a) 중 조전지(20) 전체의 부극의 전극 단자(26a)는, 접속 부재(26)에 고정된다. 접속 부재(26)는, 접속 부재(24)와 마찬가지로, 도전성의 금속제 부재이며, 그 일단부는, 볼트(26b)가 관통 구멍(26a1)에 삽입되고, 고정부(10)의 모재(11)의 주면 상에 볼트(26b)의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26b)는 모재(11)를 관통하여, 고정부(10)의 표면상에 설치된 부극 단자(11b)와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 단자(26a), 접속 부재(26) 및 볼트(26b)를 접속함으로써, 조전지(20)의 부극측의 전극 단자(26a)는, 전원 장치(1)의 부극 단자(11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는, 외부 부하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다. 즉, 정극 단자(11a)는, 전극 단자(24a)와 외부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부극 단자(11b)는, 전극 단자(26a)와 외부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외부 부하란, 전원 장치(1) 외부에서 사용되는 전력 부하이며, 예를 들어 전력을 소비하는 기기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조전지(20) 또는 단전지(21)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축전 소자」에 상당하고, 단전지(21)가 당해 「축전 소자」에 상당할 경우에 조전지(20)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스택」에 상당한다. 또한, 고정부(10)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고정부」에 상당하고, 전극 단자(21a)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전극 단자」에 상당한다. 또한, 단전지(21)의 상면(21c1)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면」에 상당하고, 고정부(10)측의 단전지(21)의 측면(21c3)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2면」에 상당한다. 또한, 정극 단자(11a) 및 볼트(25a), 및 부극 단자(11b) 및 볼트(26b)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접속 단자」에 상당한다.
또한, 체결 부재(22)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체결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제어 회로(23), 케이블(27) 및 릴레이 회로(28)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관리 수단」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고정부(10)와 조전지(20)가 단전지(21)의 측면(21c3)을 통해서 고정되어 있는, 다시 말해, 전극 단자(21a)가 설치된 상면(21c1)이 고정부(10)와 대향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1)에서의 조전지(20)에 있어서, 전극 단자(21a)가 설치된 상면(21c1)은 고정부(10)에 대하여 수직이고, 전극 단자(21a)는 고정부(1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신하고 있어, 고정부(10)와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마찬가지로, 고정부(10) 상에 설치된 볼트(25a 및 26b)는, 단전지(21)의 상면(21c1)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연신하고 있어, 상면(21c1)과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이에 의해, 전극 단자(24a)와 접속 부재(24 및 25)와의 접속, 또는 전극 단자(26a)와 접속 부재(26)와의 접속은, 충분히 개방된 공간에서 행해지게 된다. 또한, 조전지(20)의 전극 단자(24a 및 26a), 고정부(10) 상의 볼트(25a 및 26b) 및 접속 부재(25 및 26)를 접속하는 공정은, 고정부(10)에 조전지(20)를 고정하는 공정을 종료한 후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전지(20)에 고정부(1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전극 단자(24a)와 접속 부재(24 및 25), 또는 전극 단자(26a)와 접속 부재(26)의 접속 작업을 안정된 상황 하에서 신속히 행할 수 있어, 전원 장치(1)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조전지(20)를 구성하는 단전지(21)의 상면(21c1)이 조전지(20)의 측면으로서 노출되고 있는 점에서, 고정부(10)에 조전지(20)를 고정한 후에도, 각 단전지를 접속하는 버스바(21b)의 설치, 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전지(20)가 고정부(10)에 고정되어 있으면, 조전지(20)가 고정부(10)에 고정되고 있지 않고서 이격하고 있는 경우보다도, 전극 단자(24a) 및 전극 단자(26a)와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력 경로(접속 부재(24, 25 및 26))를 짧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전지(20)부터 외부 부하까지의 전력 경로에 있어서의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전지(20)가 고정부(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원 장치(1)가 고정부(10)로 기기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당해 기기로부터 고정부(10)를 떼어냄으로써, 당해 기기로부터 조전지(20)를 떼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지의 교환, 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제어 회로(23) 등의 관리 수단을 조전지(20)의 주위인, 단전지(21)의 주면(21c2) 또는 저면(21c4), 또한 상면(21c1)(즉, 고정부(10)측의 단전지(21)의 측면(21c3)과는 상이한 면)에 걸쳐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관리 수단을 구성하는 각 회로나 배선의 배치 위치의 여유도 및 배치 면적이 넓어져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서는 접속 단자 근방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조전지(20)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체결 부재(22)를 구성하는 엔드플레이트(22a)에 탭(22e)을 설치함으로써, 체결 부재(22)에 의해 조전지(20)를 고정부(10)에 직접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전지(20)를 고정부(1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적은 부품 개수로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는, 조전지(20)로서 스택된 단전지(21)가, 말하자면 옆으로 쓰러지게 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단자(21a)가 설치된 상면(21c1)을 정면으로 하고, 또한,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전지의 높이가 그대로 조전지(20)의 깊이가 된 구성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조전지(20)의 치수 중, 가장 짧은 단전지(21)의 높이의 치수를, 그대로 고정부(10)의 깊이 치수로 정할 수 있고, 당해 깊이 치수에 대응한 전원 장치(1)의 깊이 방향의 폭을 짧게 억제할 수 있어, 전원 장치(1)의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10)에는 모재(11)의 주면(11x) 상에서 격자 형상으로 조합된 리브(12a 및 12b)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12a 및 12b)는 조전지(20)를 향해서 직립하고 있고, 따라서 조전지(20)는 리브(12a 및 12b)에 의해 지지되어, 주면(11x)으로부터 뜬 상태로 고정된다. 리브(12a 및 12b)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 탄성을 갖는 완충재로서 기능하고, 전원 장치(1)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전원 장치 이동 시의 요동에 저항해서 조전지(2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해서 조전지(20)를 보호한다.
(실시 형태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 1의 전원 장치(1)는 판상의 고정부(10)와 조전지(20)만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했으나,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조전지(20)를 용기에 수납한 구성으로서 실현해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전원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 1의 전원 장치(1)와, 조전지(20)를 그 내부에 수납하는 수납 용기(30)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전원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또한, 도 5에서는 수납 용기(30)가 구비하는 내부 구성을, 수납 용기(30)의 벽면을 투과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전원 장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전원 장치(2)의 수납 용기(30)의 모식적인 평면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용기(30)는 고정부(10)와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이며, 조전지(20)를 그 내부에 수납 가능한 개구(30a)를 갖는 개구 상자 형상의 부재이며, 그 저면 형상은 고정부(10)의 외형과 동일하다. 즉, 개구(30a)는 고정부(10)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고정부(10)는, 조전지(20)를 수납 용기(30) 내에 수납한 상태로 개구(30a)를 막고 있다. 따라서, 고정부(10)는 전원 장치(2)에 있어서는, 개구(30a)를 탈착 가능하도록 막는 덮개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되고, 도 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2)는 조립 후에는 조전지(20) 전체를 저장하는 하나의 하우징을 갖는 전원 장치로서 취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전지(20)는 체결 부재(22)에 의해 외형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수납 용기(30) 자체는 조전지(20)를 구속하는 기계적 강도를 구비한 구성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납 용기(30) 및 고정부(10)의 양쪽을 합성 수지제로서, 전원 장치(2)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30)에 있어서는, 고정부(10)의 리브(12a 및 12b)와 마찬가지로, 저면(30b) 상에서 격자 형상으로 조합된 리브(32a 및 32b)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브(32a 및 32b)는 수납 용기(30)의 내측의 저면(30b)에 설치된, 조전지(20)를 향해서 연신하는 리브이며, 조전지(20)는 리브(32a 및 32b)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다.
즉, 리브(32a 및 32b)는, 그 연단이 조전지(20)를 향해서 직립하고 있고, 따라서 조전지(20)는 리브(32a 및 32b)에 의해 지지되어, 저면(30b)으로부터 뜬 상태로 고정된다. 리브(32a 및 32b)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 수납 용기(30)와 동일 소재의 탄성을 갖는 완충재로서 기능하고, 전원 장치(2)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전원 장치 이동 시의 요동에 저항해서 조전지(20)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조전지(20)를 보호한다.
또한, 조전지(20)의 전극 단자(21a)에 인접하여, 수납 용기(30) 내측의 저면(30b)에 설치된, 조전지(20)를 향해서 연신하는 리브(31a) 및 리브(33a) 및 리브(33b)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1a)는 엔드플레이트(22a)에 대향한 평행면을 갖고 있다. 또한, 리브(33a)는 2개의 전극 단자(21a) 사이에 위치하고, 조전지(20)의 상면(21c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리브(33b)는 전극 단자(21a)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또한 그 테두리면은 전극 단자(21a)에 대향해서 이격 배치되어 있다. 즉, 리브(33a 및 33b)는, 모두 전극 단자(21a)와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31a) 및 리브(33a 및 33b)는, 고정부(10)의 리브(13)와 마찬가지로, 저면(30b) 상에 있어서의 조전지(20)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리브(32a, 32b 및 33a, 33b)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1 리브」에 상당한다.
또한, 수납 용기(30)의 내측벽(30c)에도, 조전지(20)를 향해서 연신하도록 리브(31b 및 31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31b 및 31c)도 리브(31a, 32a, 32b, 33a, 33b)와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으로부터 조전지(20)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31b 및 31c)는, 그 테두리면이 각각 릴레이 회로(28) 및 제어 회로(23)의 측방으로 엔드플레이트(22a)에 직접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리브(31b 및 31c)와의 테두리면끼리의 간격은, 제어 회로(23) 등의 회로를 제외한 조전지(20)의 가로 폭과 실질적으로 동 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리브(31b 및 31c)는, 테두리면이 제어 회로(23) 등의 회로를 우회하고, 당해 회로와 간섭하지 않도록 설치됨으로써, 수납 용기(30)에 가해지는 충격이 직접 각 회로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2)에 있어서, 조전지(20)는 고정부(10)에만 고정되어 있고, 또한 조전지(20)는 저면(30b)을 향해서 연신하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저면(30b)에 평행한 방향의 요동의 영향을 받기 쉽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브(31b 및 31c)의 테두리면 사이에 조전지(20)가 수용됨으로써, 당해 요동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리브(31b 및 31c)는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제2 리브」에 상당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2)는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을 가짐으로써 외형의 가공이 용이하여, 기성 축전지의 규격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종래보다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을 갖는 연축전지와 동일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기성품을 전원 장치(2)로 치환하여, 무연납 차량 탑재용 축전지를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성 축전지의 규격으로는, 일본 공업 규격 기타 세계 각국의 공업 규격에 적합하게 해도 좋지만, 독일 공업 규격(DIN 규격)에 적합하게 함으로써, 차량 탑재 기기에 적합한 축전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조전지(20)가 덮개부인 고정부(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수납 용기(30)로부터 당해 덮개부를 떼어냄으로써, 조전지(20)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전지(20)의 교환, 보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 장치(1 및 2)에 의하면, 고정부(10)와 조전지(20)가, 단전지(21)의 전극 단자(21a)가 설치된 상면(21c1)이 고정부(10)와 대향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극 단자(24a, 26a) 주변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또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조전지(20)에 고정되는 부재와,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를 갖는 부재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에 관한 전원 장치(4)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4)는, 상기 실시 형태 2의 고정부(10) 대신에 고정부(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부(40)는 조전지(20)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41)와,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를 갖는 접속 단자 유지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부재(41)와 접속 단자 유지 부재(42)는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는, 상기 실시 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전극 단자(24a 및 26a)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1 및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 1 및 2에서는, 고정부(10)는 조전지(2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를 갖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던 것에 반해,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고정부(40)는 고정 부재(41)와 접속 단자 유지 부재(42)를 별도의 부재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부(40)를 구비한 전원 장치(4)로서 실현한 예를 나타냈지만, 상기 실시 형태 1의 고정부(10)를 대신해서 상기의 고정부(40)를 구비한 전원 장치(3)로서 실현해도 상관없다.
이에 의해, 조전지(20)를 정극 단자(11a) 및 부극 단자(11b)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조전지(20)의 교환, 보수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1)와 접속 단자 유지 부재(42)와의 접속은, 볼트, 나사 등에 의한 체결,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주지 관용의 수단에 따라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조전지(2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외장을 갖는 외형 육면체의 단전지(21)를, 면적이 보다 큰 주면(21c2)끼리가 대향하도록 복수 종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스택이라고 했지만, 측면(21c3)끼리가 대향하는 것과 같은 구성인 것으로 해도 좋다.
그러나, 주면(21c2)끼리를 대향시킴으로써, 단전지(21)의 배열 방향을 따른 길이로서 나타내지는 전원 장치(1)의 가로 폭, 즉 정극 단자(11a)와 부극 단자(11b)의 간격을 억제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단전지(21)의 배열 방향은 고정부(1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라고 했지만, 고정부(10)에 대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는 것과 같은 방향인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고정부(10)와 조전지(20) 사이, 또는 조전지(20)와 수납 용기(30)의 저면(30b) 사이는, 리브(12a 및 12b), 또는 리브(32a 및 32b)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했지만, 또한 이 사이에도 실리콘 고무 기타 탄성 재료에 의한 완충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7에는 리브(32a 및 32b)에 겹치도록 완충재(34)를 설치한 구성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해, 또한 조전지(20)의 충격 내성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조전지(20)의 전극 단자(24a, 26a)와 접속 부재(24 및 25, 26)와, 정극 단자(11a), 부극 단자(11b)의 접속은, 볼트의 체결에 의한 것으로 했지만, 이들 각 부의 접속은 용접, 납땜,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 임의의 기술적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조전지(20)의 정극측의 전극 단자(24a)와 정극 단자(11a) 사이에 제어 회로(23)를 통하는 것으로 했지만, 전극 단자(24a)와 정극 단자(11a)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만 하면 좋고, 그 접속의 기계적인 형태는 단자끼리가 직접 접속된 것이어도 좋으며, 각종 전기 회로를 통한 간접적인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단전지(21)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단전지라고 했지만,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충방전 가능한 전지이면, 니켈 수소 전지 기타 각종 이차 전지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단전지(21)는 일차 전지이어도 좋다. 또한, 단전지(21)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와 같이, 전기를 직접 전하로서 축적하는 방식의 축전 소자이어도 좋다. 요컨대, 단전지(21)는 전기를 축적 가능한 축전 소자이면, 그 구체적인 방식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고정부(10)의 외형은 직사각형이라고 했지만, 원형,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이면 좋고, 수납 용기(30)의 저면 형상도 이것에 대응한 임의의 형상이면 좋다. 또한, 고정부(10) 및 수납 용기(30)는 동종의 합성 수지제로 했지만, 서로 상이한 재질로 제조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고정부(10) 또는 수납 용기(30)는, 금속 기타의 재료에 의해 제작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조전지(20)를 구성하는 단전지(21)는 금속제의 외형 육면체로 했지만, 원통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조전지(20)는 4개의 단전지로 구성되는 가로 1행 세로 4열의 스택이라고 했지만, 종횡 모두 임의의 수의 조합을 포함하는 스택이라고 해도 좋다. 또한, 단전지 21 단체만을 축전 소자로서 구비한 구성으로서 실현해도 좋다.
또한, 조전지(20)를 구성하는 단전지(21)는 모두 상면(21c1)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것이라고 했지만, 그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방향으로 배열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전원 장치는 단전지(21) 단체와 고정부(10)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 것이어도 좋다. 요컨대, 전원 장치는 축전 소자의 개수, 형상, 기타 구체적인 구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이상에 설명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실시 형태에 여러 가지인 변경을 가한 것으로서 실시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장치는,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를 갖고, 예를 들어 이차 전지를 사용한 전원 장치에 있어서 유용하다.
1, 2, 3, 4: 전원 장치
10, 40: 고정부
11: 모재
11a: 정극 단자
11b: 부극 단자
11x: 주면
11y: 테두리부
12a, 12b, 12c, 13, 14: 리브
12c1, 22e2, 26a1: 관통 구멍
20: 조전지
21: 단전지
21a: 전극 단자
21b: 버스바
21c1: 상면
21c2 :주면
21c3: 측면
21c4: 저면
21d: 완충재
22: 체결 부재
22a: 엔드플레이트
22b, 22e: 탭
22c: 양쪽 나사 볼트
22d, 22e3: 너트
22e1, 24b, 25b: 볼트
23: 제어 회로
24, 25, 26: 접속 부재
24a: 전극 단자(정극측의 전극 단자)
25a, 26b: 볼트
26a: 전극 단자(부극측의 전극 단자)
27: 케이블
28: 릴레이 회로
30: 수납 용기
30a: 개구
30b: 저면
30c: 내측벽
31a, 31b, 31c, 32a, 32b, 33a, 33b: 리브
34: 완충재
41: 고정 부재
42: 접속 단자 유지 부재

Claims (12)

  1. 전극 단자를 갖는 축전 소자와,
    상기 축전 소자의 상기 전극 단자가 배치된 면인 제1면과는 상이한 제2면에서 상기 축전 소자에 고정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극 단자와 외부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단자를 갖는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소자는 복수로 스택을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전원 장치는,
    복수의 상기 축전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스택의 한 쌍의 측면 사이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전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소자로의 충전 또는 방전에 관한 동작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관리 수단은, 상기 축전 소자의 상기 제2면과는 상이한 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제1면을 상면으로 했을 경우에 측면에 상기 제2면을 가짐과 함께,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제2면에 대향하는 면을 갖고,
    상기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면과 상기 제2면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은
    전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그 내면에 상기 축전 소자를 향해서 연신하는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리브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는
    전원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형상에 대응한 개구를 갖는 수납 용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축전 소자를 상기 수납 용기 내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막고 있는
    전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그 내측의 저면에 상기 축전 소자를 향해서 연신하는 제1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리브의 일부의 테두리면과 접촉하고 있는
    전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브의 다른 일부는,
    (a) 2개의 상기 전극 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b) 그 테두리면이 상기 전극 단자와 이격되어 있는
    전원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그 내측의 측면에 상기 축전 소자를 향해서 연신하는 제2 리브를 구비한
    전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는, 그 내측이 대향하는 2개의 측면에,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2 리브를 구비하고 있고,
    대향하는 2개의 상기 제2 리브의 테두리면끼리의 간격은, 상기 축전 소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전원 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축전 소자 사이 및 상기 수납 용기의 저면과 상기 축전 소자 사이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완충재를 구비한
    전원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수납 용기 중 적어도 한쪽은 수지 재료제인
    전원 장치.
KR1020120152048A 2011-12-28 2012-12-24 전원 장치 KR20130076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7552 2011-12-28
JPJP-P-2011-287552 2011-12-28
JPJP-P-2012-256673 2012-11-22
JP2012256673A JP6083211B2 (ja) 2011-12-28 2012-11-22 電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731A true KR20130076731A (ko) 2013-07-08

Family

ID=4860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048A KR20130076731A (ko) 2011-12-28 2012-12-24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68894B2 (ko)
JP (1) JP6083211B2 (ko)
KR (1) KR20130076731A (ko)
CN (1) CN103187548B (ko)
DE (1) DE1020122240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560A1 (en) * 2008-08-29 2010-03-04 Youngcheol Jang Secondary battery
JP6135246B2 (ja) 2013-03-29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KR101717199B1 (ko) * 2013-08-29 2017-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센싱용 접속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N105470420B (zh) 2014-09-30 2020-01-07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JP2016072230A (ja) * 2014-09-30 2016-05-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7006271B2 (ja) * 2015-09-18 2022-01-2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753045B2 (ja) * 2015-09-18 2020-09-09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565585B2 (ja) * 2015-10-20 2019-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US11394072B2 (en) * 2016-07-27 2022-07-19 Clarios Advanced Solutions Gmbh Cell assembly for a battery module
CN106299166B (zh) * 2016-09-20 2020-02-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包
CN108075063B (zh) 2016-11-09 2021-06-29 Cps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排气通道的电池包
CN114583369A (zh) 2016-11-09 2022-06-03 Cps 科技控股有限公司 电池包
CN108075062B (zh) 2016-11-09 2021-08-06 Cps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两个端板的电池包
JP7002270B2 (ja) * 2017-09-29 2022-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7002271B2 (ja) * 2017-09-29 2022-01-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KR102499869B1 (ko) * 2018-07-03 2023-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385A (en) * 1979-06-28 1981-01-22 Yuasa Battery Co Ltd Air-magnesium cell
JPH06333547A (ja) * 1993-05-19 1994-12-02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FR2706083A1 (fr) * 1993-06-02 1994-12-09 Texas Instruments France Perfectionnements concernant des ensembles formant unités de batteries.
JPH10223201A (ja) 1997-02-07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JP2000164181A (ja) * 1998-11-24 2000-06-16 Toshiba Corp 電池パック、電池パック用筐体及び接着支持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2134078A (ja) 2000-10-26 2002-05-10 Toyota Motor Corp 集合電池パック
JP3614158B2 (ja) * 2002-08-21 2005-01-26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958647B1 (ko) * 2002-12-18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유니트
JP4419765B2 (ja) * 2004-09-13 2010-02-24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装置
JP4916183B2 (ja) * 2006-02-20 2012-04-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501080B2 (ja) * 2006-10-23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41090B2 (ja) * 2007-05-16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056155B2 (ja) * 2007-05-16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4587055B2 (ja) * 2008-03-06 2010-1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5476769B2 (ja) * 2009-03-31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ー装置
KR101108180B1 (ko) * 2009-11-24 2012-0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대용량 배터리 팩과 대용량 배터리 팩의 조립체
JP5747597B2 (ja) * 2011-03-24 2015-07-15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収納ケース
JP5383745B2 (ja) * 2011-05-31 2014-01-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
JP5433669B2 (ja) * 2011-11-30 2014-03-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68894B2 (en) 2015-03-03
CN103187548B (zh) 2016-09-21
JP6083211B2 (ja) 2017-02-22
CN103187548A (zh) 2013-07-03
DE102012224016A1 (de) 2013-07-04
JP2013152923A (ja) 2013-08-08
US20130171478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6731A (ko) 전원 장치
US9153806B2 (en) Power source unit
EP2615663B1 (en) Battery module and power source unit
EP2328201B1 (en) Battery Pack
EP2624330B1 (en) Battery Pack
US8420249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US10468646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nergy storage apparatus
JP2018006314A (ja) 電池サブモジュールキャリア、電池サブモジュール、電池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US10181620B2 (en) Power source unit
EP2450980B1 (en) Battery module
US20140220396A1 (en) Battery pack
KR20120047800A (ko) 배터리 모듈
KR20130021135A (ko) 배터리 모듈
US10367180B2 (en) Battery pack
KR20150102632A (ko) 이차 전지 팩
KR102235650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EP2797138A1 (en) Battery pack
KR20130062543A (ko) 2차 전지의 파우치형 배터리 셀 모듈
KR20210036902A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KR101913375B1 (ko) 배터리 모듈
JP6520156B2 (ja)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モジュール
KR20180107569A (ko) 배터리 팩
KR101864918B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 제조방법
EP2450979A2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