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993A - 전동 절구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절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993A
KR20130074993A KR1020110143156A KR20110143156A KR20130074993A KR 20130074993 A KR20130074993 A KR 20130074993A KR 1020110143156 A KR1020110143156 A KR 1020110143156A KR 20110143156 A KR20110143156 A KR 20110143156A KR 20130074993 A KR20130074993 A KR 2013007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coupled
rotating
electric
lo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1328B1 (ko
Inventor
변희석
Original Assignee
변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희석 filed Critical 변희석
Priority to KR102011014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13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7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02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with vertically-mounted tools; Machines for whipping or b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65Driv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절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절구장치의 절구공이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면서 밀가루를 찧음에 따라 상기 밀가루를 보다 빠른 시간에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반죽하도록 한 것이다 .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동 절구장치는, 바닥으로부터 전동 절구장치를 지지 고정되는 상,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 결합됨은 물론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축과, 상기 장축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축과 함께 연속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절구공이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장축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링크부재와, 상기 절구통을 회전시키는 절구통 회전수단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절구장치{electric mortar apparatus}
본 발명은 밀가루를 찧으면서 반죽하는데 사용하는 절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절구장치의 절구공이를 연속적으로 승하강시키면서 밀가루를 찧음에 따라 상기 밀가루를 보다 빠른 시간에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반죽하도록 하는 전동 절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구장치는 밀가루를 반죽하거나 솥에서 쩌낸 찐밥을 찧거나 또는, 마늘이나 고추 같은 각종 양념재료를 곱게 다지기 위해 찧는 장치로서, 상기 절구장치는 사람이 직접 작업하는 수동식 및, 모터와 같은 전동장치를 이용한 전동식 등이 있다.
상기 수동식 절구장치는 사람이 직접 작업함에 따라 밀가루의 반죽된 정도 및 찐밥의 찧어진 정도 또는, 각종 양념의 다져진 상태 등을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업에 따른 많은 힘이 소요됨은 물론 그에 따라 소량에 대해서만 사용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밀가루 반죽하거나 찐밥의 찧거나 또는 각종 양념재료를 다지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동식 절구장치가 개발되어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전동식 절구장치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등록 제1988-0000328호 '자동 절구' 및 국내 특허등록 제10-0299935호 '자동떡방아기' 등이 개재되어 있는 바, 상기 '자동절구' 및 '자동떡방아기'는 절구통 내에 담겨진 재료를 찧기 위한 절구공이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전동수단 즉, 모터의 구동력을 절구공이로 전달하는 많은 기어 및 벨트들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움은 물론 상기 많은 기어와 벨트 등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이 심하며, 또한 상기 각 기어와 벨트 간의 마찰력 및 자연적으로 소비되는 힘 등으로 인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절구공이로 온전히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등록 제1988-0000328호(1988.02.19.) 국내 특허등록 제10-029935호(2001.06.1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절구장치의 절구공이와 전동장치를 연결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전동장치의 구동력이 절구공이로 온전히 전달되어 상기 온전히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절구공이가 연속적으로 승하강됨과 함께 절구장치의 절구통이 회전됨으로써, 상기 절구장치의 절구통 내에 들어있는 물이 혼합된 밀가루를 보다 빠른 시간에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자동으로 반죽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반죽되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장치의 구동력이 절구장치의 절구공이로 직접 전달되도록 구조를 단순화함에 따라 상기 절구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절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가루를 반죽하거나 각종 재료를 찧도록 절구통과, 절구공이와, 상기 절구공이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전동 절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 절구장치의 각종 장치 및 절구통이 설치되도록 바닥으로부터 지지 고정되는 상,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패널공을 갖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됨은 물론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축과, 상기 장축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축과 함께 연속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절구공이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장축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결합공을 갖는 일, 타측 연결부가 구비된 링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구통을 회전시키는 절구통 회전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절구통과 절구공이 및 구동모터와 회전판, 장축, 링크부재 등을 구비한 전동 절구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상기 전동 절구장치의 회전판과 링크부재에 의해 구동모터의 회전 즉, 회전판의 회전운동을 장축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됨과 함께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장축과 절구공이로 온전히 전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온전히 전달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절구공이가 연속적으로 승하강됨과 동시에 물이 혼합되 밀가루 및 찐밥, 각종 재료 등이 담겨진 절구통이 회전수단 즉, 삽입축공과 기어나사를 갖는 회전부재 및 축부를 갖는 고정판과 회전모터, 기어 등이 구비된 회전수단에 의해 절구통이 회전되므로 인해, 상기 회전하는 절구통 내에 들어있는 물이 혼합된 밀가루 및 찐밥, 각종 재료 등을 절구공기가 찧음에 따라 보다 빠른 시간에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자동으로 반죽하거나 다질 수 있음은 물론 반죽 및 다지는 정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동 절구장치에서 전동장치 즉,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회전판과 링크부재에 의해 장축과 절구공이로 직접 전달되는 구조로서, 상기 전동 절구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하여 상기 전동 절구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동 절구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절구공이가 최하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절구공이가 최상측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장축과 절구공이를 결합하는 구조의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 전동 절구장치의 절구공이가 완충되는 상태(인장, 압축)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절구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떡이나 국수, 우동 등을 제조하기 위해 물이 혼합된 밀가루나 쌀가루 등을 반죽하거나 솥에서 쩌낸 찐밥을 찧거나 또는, 마늘이나 고추 등 각종 재료를 다지기 위해 상기의 밀가루나 찐밥 및 각종 재료를 자동으로 찧는 전동 절구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전동 절구장치(100)에 의해 찧어지면서 반죽되거나 찧어지거나 다져지는 밀가루나 찐밥 및 각종 재료 등 모든 재료는 '밀가루'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는 밀가루가 담겨지도록 내부가 오목한 형태를 갖는 절구통(60)과, 상기 절구통(60) 내에 들어있는 물이 혼합된 밀가루를 반죽하기 위해 상기 밀가루를 찧으면서 반죽하는 절구공이(70)와, 상기 절구공이(70)가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전동장치인 구동모터(8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을 포함한 전동 절구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각종 장치를 지지 고정함은 물론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를 바닥에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프레임부(1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프레임부(10)는 전동 절구장치(100)의 각종 장치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하는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에 접촉되어 전동 절구장치(100)를 바닥으로부터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하부프레임(1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1)에는 구동모터(80)를 지지 고정 및 후술할 회전판(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널(2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패널(20)에는 구동모터(80)의 축과 회전판(3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80)의 축이 삽입되는 패널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부측에는 절구통(60)이 안착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의 절구통(60)은 찧는 과정 시 하부프레임(12)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절구통(60)을 하부프레임(12)에 직접 고정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절구통(60)이 얹혀지는 받침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볼트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의 받침대를 하부프레임(12)에 고정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 및 절구통(60)의 제작여건이나 사용목적 및 효과, 구매자의 요구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절구통(60)은 반원형상 또는, 어느 한 측부가 길게 형성된 장방형상 및, 각형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절구통(60)의 중앙부 또는, 절구통(60)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절구공이(70)를 위치시켜 찧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절구공이(70)에 의해 찧어지는 재료를 뒤집기 위한 별도의 뒤집게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절구통(60)은 돌이나 금속 및 비금속 또는 고강도 합성수지재, 나무 등의 재질로 제작가능한데, 이는 상기 절구통(60)의 재질이나 전동 절구장치(100)의 가격 및 구매자나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 다양한 분야에서 두루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프레임(11)에 결합된 지지패널(20)의 후면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력이 발생되는 구동모터(8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패널(20)의 전면에는 구동모터(8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모터(80)와 축결합되는 회전판(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30)의 전면에는 절구통(60)의 내면과 절구공이(70)의 저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판(3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절공(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조절공(31)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공(31)에는 후술할 링크부재(50)의 일측 연결부(51)에 형성된 일측 결합공(51a)에 결합된 볼베어링(53)에 결합되는 핀부(3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즉, 전동 절구장치(100)에 의해 밀가루를 반죽할 것이냐 찐밥을 찧을 것이냐 각종 재료를 다질 것이냐에 따라 상기 회전판(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조절공(31)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공(31)에 핀부(32)를 결합하여 상기 절구통(60)의 내면과 절구공이(70)의 저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프레임(11)에는 후술할 링크부재(50)에 의해 회전판(30)과 연결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장축(4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장축(4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장축(4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축(40)에 결합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편(4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41)에는 장축(4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홈부(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고정편(41)은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및 용접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편(41) 중 회전판(30) 측에 위치하는 고정편(41)에는 후술할 링크부재(50)의 타측 연결부(52)에 형성된 타측 결합공(52a)에 결합된 볼베어링(54)에 결합되는 축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프레임(11)에는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에 따라 상기의 장축(40)이 일정 위치에서 일직선으로 상하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장축(40)이 삽입됨은 물론 상기 장축(40)을 지지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13)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장축(40)의 하단부에는 회전하는 회전판(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 즉, 연속적으로 승하강되는 장축(40)과 함께 승하강되면서 밀가루를 반죽하기 위해 밀가루를 찧도록 하는 절구공이(7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판(30)과 상기 장축(40) 사이에는 상기 회전판(30)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상기 장축(40)에 타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운동을 상기 장축(40)와 절구공이(70)가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50)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판(30)의 핀부(32)가 삽입 결합되는 일측 결합공(51a)을 갖는 일측 연결부(5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링크부재(50)의 타단부에는 상기 장축(40)의 축부(42)가 삽입 결합되는 타측 결합공(52a)을 갖는 타측 연결부(52)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연결부(51)의 일측 결합공(51a) 내에는 핀부(32)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핀부(32)를 중심으로 하여 링크부재(50)의 일단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볼베어링(5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타측 연결부(52)의 타측 결합공(52a) 내에는 축부(42)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축부(42)를 중심으로 하여 링크부재(50)의 타단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볼베어링(54)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판(30)의 핀부(323)와 상기 장축(40)의 축부(42)에 연결되는 링크부재(50)의 각 결합공(51a,52a) 내에 볼베어링(53,54)을 각각 결합함으로써, 상기 각 볼베어링(53,54)에 의해 링크부재(50)의 양단부는 핀부(32)와 축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50)와 볼베어링(53,54)에 의해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운동은 상기 장축(40)과 절구공이(7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장축(4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절구공이(70)가 절구통(60)의 내면과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완충수단(9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완충수단(90)은 도 6 내지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절구공이(70)의 상부측 즉, 장축(40)이 위치하는 측인 상부에 삽입홈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91) 측인 절구공이(70)의 상면에는 장축(40)이 삽입 위치하는 삽입공(92a)을 갖는 결합판(92)이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부(91) 내에는 장축(40)의 하단면이 접촉되어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축(40)에 의해 압축되거나 자체 탄성에 의해 인장되면서 절구공이(70) 및 절구통(60)의 충격을 완충시키는 탄성부재(9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91) 내에 위치하는 장축(40)의 하단부에는 탄성부재(93)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상기 삽입홈부(91)의 내경보다 작으면서 상기 결합판(92)의 삽입공(92a)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9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의 완충수단(90)은 전동 절구장치(100)에 의해 밀가루를 반죽 및 각종 재료를 다지거나 찐밥을 찧기 위해 절구공이(70)가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 즉, 승하강되면서 절구통(60)과의 접촉 및 상기의 재료를 찧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탄성부재(93)가 흡수하여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절구공이(70)가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93)가 자체 탄성에 의해 인장(스프링의 반발력)되면서 절구공이(70)를 상방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상기 밀어주는 힘이 회전하는 회전판(30)에 전달되므로 상기 회전판(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그로 인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 측에는 밀가루의 반죽 및 찐밥을 찢거나 각종 재료를 다지기 용이하도록 상기 절구통(60)을 회전시키는 절구통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구통 회전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에는 판상의 고정판(8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80)의 상면 중앙부 즉, 절구통(60)의 하부 중앙부가 위치하는 측에는 상기 절구통(60)이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세로방향으로 위치 형성된 결합축부(8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80)의 상면 일측부에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면서 절구통(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회전력)이 발생되는 회전모터(8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회전모터(82)에는 상기 회전모터(82)의 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82)의 회전수를 감속시킴은 물론 상기 회전모터(82)의 회전방향을 직각으로 변환시키도록 하는 기어박스(8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83)는 회전모터의 축 외주면에 결합되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에 외주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는 워엄휠과 같은 구성을 갖는 등 다양한 구조의 기어박스가 있다.
상기 기어박스(83)에는 상기 회전모터(82)의 구동력을 절구통(60)으로 전달하여 절구통(60)을 회전시키도록 후술할 상기 절구통(60)의 기어나사(62)와 맞물리는 기어(84)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구통(6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모터(82)의 회전력에 의해 절구통(60)이 고정판(80)의 결합축부(81)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부재(6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61)의 중앙부에는 상기 결합축부(81)가 삽입되는 삽입축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61)의 외주면에는 기어(84)의 회전에 따라 절구통(6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기어(84)와 맞물리는 기어나사(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축공(63) 내에는 상기 삽입축공(63) 내로 삽입되는 결합축부(81)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절구통(6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후면 즉, 구동모터(80)가 위치하는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후면에는 전동 절구장치(100)의 각종 장치 및 구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음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전동 절구장치(100)의 후면 전체를 감싸는 후면커버(15)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전면 즉, 절구통(60)과 절구공이(70)가 위치하는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전면 상부에는 회전판(30)의 회전 및 장축(40)의 상하 이동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유지 보수를 용이하도록 개폐되는 전면커버(14)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커버(14)에는 전동 절구장치(100)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동 절구장치(100)에서 밀가루를 반죽하느냐 찐밥을 찧는냐 또는 각종 재료를 다질 것인지 등 절구통(60)에 넣어지는 종류에 따라 상기 절구통(60)의 내면과 절구공이(70)의 저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회전판(30) 전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위치조절공(31) 중 어느 하나의 위치조절공(31)에 핀부(32)를 결합하고, 상기 핀부(32)에 링크부재(50)의 일측 연결부(51)를 축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의 전면커버(14)에 설치된 콘크롤부(16)를 조작하여 설정값을 정하는데, 즉 상기 구동모터(8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판(30)의 회전속도 및 상기 절구통(60)의 내면과 상기 절구공이(70)의 저면 사이의 간격 조절 및 작업 시간 등을 설정한 후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80)가 작동되면서 발생하는 구동력이 회전판(30)으로 전달되어 회전판(30)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하는 회전판(30)의 회전운동은 링크부재(50)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장축(40)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장축(40)는 일직선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링크부재(50)의 일, 타측 연결부(51,52)에 형성된 일, 타측 결합공(51a,52a)에는 볼베어링(53,54)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볼베어링(53,54)에는 상기 회전판(30)의 핀부(32)와 상기 장축(40)의 축부(42)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링크부재(50)의 양단부는 회전판(30)과 장축(40)의 핀부(32)와 축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50)에 의하여 회전판(30)의 회전운동은 장축(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상기의 장축(40) 및 절구공이(70)는 승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30)과 장축(40) 및 링크부재(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회전판(30) 및 장축(40)은 처음 상태는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상태로 최하측에 위치하고 있다가 구동모터(80)가 작동되면 상기 회전판(30)이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장축(40)은 링크부재(50)에 의해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도 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러다가, 상기 구동모터(80)에 의해 회전판(30)이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장축(40)은 링크부재(50)에 의해 회전판(30)를 따라 도 4의 점선 위치에서 도 5의 실선 위치까지 이동하여 최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회전판(30)이 더 회전되면 장축(40)은 도 5의 실선 위치에서 도 5의 점선 위치로 이동하였다가 도 4의 실선 위치(최하측)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30)이 계속해서 회전됨에 따라 링크부재(50)에 의하여 상기 장축(40)이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왕복이동하므로 상기 장축(40)의 하단부에 결합된 절구공이(70)도 장축(40)을 따라 연속적으로 승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절구통(60)은 회전수단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즉, 프레임부(10)의 하부 측에 결합된 고정판(80)의 결합축부(81)가 상기 절구통(60)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부재(61)의 삽입축공(63)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고정판(80)의 상면 일측부에 구비된 회전모터(82)의 구동력(회전력)을 직각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박스(83)에 결합된 기어(84)와 상기 회전부재(61)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나사(62)가 서로 맞물려 있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 및 컨트롤부(16)에서 보내지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모터(82)가 작동되면서 구동력(회전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회전모터(82)의 회전방향은 기어박스(83)에서 직각방향으로 변환되면서 기어박스(83)에 결합된 기어(84)가 회전되며, 상기 기어(84)의 회전에 따라 기어나사(62)가 회전되면서 상기의 회전부재(61)가 고정판(80)의 결합축부(81)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절구통(6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절구공이(70)라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절구통(60) 내에 들어있는 물이 혼합된 밀가루를 찧으면서 원하는 상태로 반죽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구통(60) 내의 밀가루를 반죽할 때 상기 밀가루의 반죽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절구공이(70)의 손상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절구공이(70)의 작동상태를 도 6 내지 도 7b에 의해 설명하면, 상기 장축(40)의 하단부에 결합된 플랜지(94)와 상기 절구공이(70)의 삽입홈부(91) 내에 삽입된 탄성부재((93)가 접촉된 상태(도 7a)에서 상기 장축(40)의 하강에 따라 탄성부재(93)는 밀리면서 압축(도 7b)됨과 동시에 절구공이(70)도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하방으로 이동하는 절구공이(70)의 저면부는 상기 절구통(60)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절구통(60) 내에 들어 있는 물이 혼합된 밀가루를 찧게 되고, 상기 회전축(30)이 회전되어 장축(4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절구공이(70)도 도 7b에서 도 7a와 같이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구동모터(80)와 회전판(30) 및 링크부재(50), 장축(40)에 의하여 상기 절구공이(7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절구공이(70)는 절구통(60) 내에 들어 있는 밀가루를 찧으면서 원하는 상태로 반죽한다.
또한, 상기 절구통(60)의 내면과 절구공이(70)의 저면 사이에는 찧어지면서 반죽되는 밀가루의 두께보다 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음에 따라 절구통(60) 내의 밀가루가 절구공이(70)에 의해 찧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찧어지는 밀가루는 절구공이(70)의 외측방향으로 밀리면서 자연스럽게 뒤집어지면서 절구통(60) 내의 중앙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뒤집게 부재를 구비하여 외측으로 밀리는 반죽되는 밀가루는 뒤집게 부재에 의해 뒤집어지면서 절구통(60) 내의 중앙부로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연속적으로 승하강되는 절구공이(70)에 의해 밀가루는 원하는 형태로 반죽된다.
이렇게 찧어지면서 반죽되는 밀가루의 내부에는 공기가 완전히 빠져나감에 따라 매우 찰지게 되고, 이런 상태로 반죽된 밀가루를 가지고 떡을 만들거나 또는, 국수나 우동 등을 만들게 되면, 상기의 떡은 기존의 다른 떡보다 굳는 속도가 늦으므로 오랫동안 실온에 놓고 먹을 수 있음은 물론 냉장고에 넣을 경우에는 겉만 굳고 내부는 말랑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약간의 열원을 가하게 되면 원래의 상태로 환원되며, 상기 국수나 우동 등의 경우에는 면발이 찰지고 탱탱하여 국수나 우동 등 고유의 맛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전동 절구장치(100)는 떡이나 국수, 우동 등과 같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물이 혼합된 밀가루를 찧어 원하는 형태로 반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찐밥을 찧거나 각종 재료를 원하는 형태로 다질 때에도 사용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작업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설정된 시간 및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찧는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작업에 따른 인력이나 시간 등이 절감되어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며, 상기 전동 절구장치(100)는 가정이나 업소 등에서도 모두 사용가능한 실생활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절구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 프레임부 11,12: 상, 하부프레임
13: 부싱 14,15: 전, 후면커버
16: 제어부 20: 지지패널
21: 패널공 22: 구동모터
30: 회전판 31: 위치조절공
32: 핀부 40: 장축
41: 한 쌍의 고정편 41a: 결합홈부
42: 축부 50: 링크부재
51.52: 일, 타측 연결부 51a,52a: 일, 타측 결합공
53.54: 볼베어링 60: 절구통
61: 회전부재 62: 기어나사
63: 삽입축공 70: 절구공이
80: 고정판 81: 결합축부
82: 회전모터 83: 기어박스
84: 기어 90: 완충수단
91: 삽입홈부 92: 결합판
92a: 삽입공 93: 탄성부재
94: 플랜지 100: 전동 절구장치

Claims (7)

  1. 밀가루를 반죽하거나 각종 재료를 찧도록 절구통과, 절구공이와, 상기 절구공이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가 구비된 전동 절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 절구장치의 각종 장치 및 절구통이 설치되도록 바닥으로부터 지지 고정되는 상,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패널공을 갖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의 후면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결합됨은 물론 상기 지지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축과,
    상기 장축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축과 함께 연속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절구공이와,
    상기 회전판과 상기 장축에 양단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도록 결합공을 갖는 일, 타측 연결부가 구비된 링크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구통을 회전시키는 절구통 회전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에는 장축이 일정 위치에서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장축을 지지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전면에는 절구통의 내면과 절구공이의 저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판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위치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조절공에는 링크부재의 일측 연결부와 결합되는 핀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장축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장축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장축에 결합고정되도록 내측에 장축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홈부를 갖는 한 쌍의 고정편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중 회전판 측에 위치하는 고정편에는 링크부재의 타측 연결부와 결합되는 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링크부재의 일, 타측 연결부에 형성된 각 결합공에는 회전판의 핀부와 장축의 고정편에 형성된 축부가 삽입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일, 타측 연결부가 핀부와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회전되도록 볼베어링이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장축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절구공이가 절구통의 내면과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완충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절구공이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와, 상기 삽입홈부 측인 절구공이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삽입공을 갖는 결합판과, 상기 삽입홈부 내에 설치되어 장축의 하단면이 접촉되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와, 상기 삽입홈부 내에 위치하는 장축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탄성부재와의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결합판의 삽입공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플랜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절구통 회전수단은,
    프레임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축부를 갖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면 일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절구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이 발생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방향을 직각으로 변환시키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기어와,
    상기 절구통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판의 결합축부를 중심으로 절구통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부에는 결합축부가 삽입되는 삽입축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나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절구장치.

KR1020110143156A 2011-12-27 2011-12-27 전동 절구장치 KR10135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56A KR101351328B1 (ko) 2011-12-27 2011-12-27 전동 절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56A KR101351328B1 (ko) 2011-12-27 2011-12-27 전동 절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993A true KR20130074993A (ko) 2013-07-05
KR101351328B1 KR101351328B1 (ko) 2014-01-23

Family

ID=4898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156A KR101351328B1 (ko) 2011-12-27 2011-12-27 전동 절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132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09A (ko) * 2016-12-05 2018-06-14 이병훈 정량 배출장치
CN109107700A (zh) * 2018-09-30 2019-01-01 苏州汇科机电设备有限公司 粉体材料解碎装置
KR20200081757A (ko) * 2018-12-28 2020-07-08 금영성 절구장치
CN112021349A (zh) * 2020-09-09 2020-12-04 雷忠亮 一种面团加工领域用多方位面粉搅拌装置
CN112120049A (zh) * 2020-11-16 2020-12-25 王龙 一种双离心式可提高劲道口感的面包成团机构
KR20220013794A (ko) * 2020-07-27 2022-02-0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트레드밀 주행 내구성 시험 시스템
KR20220083929A (ko) * 2020-12-11 2022-06-21 정보균 떡 방아장치
CN114903064A (zh) * 2022-06-01 2022-08-16 青岛颐尔佳食品有限公司 一种包子皮制备用揉面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872B1 (ko) 2014-04-14 2015-11-25 강석진 과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924U (ko) * 1989-11-21 1991-07-23
JP3072924U (ja) 2000-05-01 2000-11-07 株式会社オオヤマフーズマシナリー 餅搗機における杵杆支持装置
KR200343409Y1 (ko) 2003-12-10 2004-03-04 노일석 무소음 절구
KR20100007957U (ko) * 2009-02-02 2010-08-11 김건모 절구 장치
KR20110045210A (ko) * 2009-10-26 2011-05-04 김태운 밀가루 반죽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209A (ko) * 2016-12-05 2018-06-14 이병훈 정량 배출장치
CN109107700A (zh) * 2018-09-30 2019-01-01 苏州汇科机电设备有限公司 粉体材料解碎装置
CN109107700B (zh) * 2018-09-30 2024-01-30 苏州汇科技术股份有限公司 粉体材料解碎装置
KR20200081757A (ko) * 2018-12-28 2020-07-08 금영성 절구장치
KR20220013794A (ko) * 2020-07-27 2022-02-04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트레드밀 주행 내구성 시험 시스템
CN112021349A (zh) * 2020-09-09 2020-12-04 雷忠亮 一种面团加工领域用多方位面粉搅拌装置
CN112120049A (zh) * 2020-11-16 2020-12-25 王龙 一种双离心式可提高劲道口感的面包成团机构
KR20220083929A (ko) * 2020-12-11 2022-06-21 정보균 떡 방아장치
CN114903064A (zh) * 2022-06-01 2022-08-16 青岛颐尔佳食品有限公司 一种包子皮制备用揉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1328B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28B1 (ko) 전동 절구장치
CN203693407U (zh) 一种揉面钩结构及应用其的揉面机
CN201414363Y (zh) 电烤箱
KR20110045210A (ko) 밀가루 반죽기
CN207784145U (zh) 一种面条生产用切条设备
CN216260401U (zh) 一种建筑保温板加工用原材料混料装置
CN204054140U (zh) 一种面包机的剖缝机构及其应用的面包机
CN201418541Y (zh) 一种按摩椅的按摩机芯装置
CN212232882U (zh) 一种食品生产用面粉滚揉装置
RU2571907C1 (ru) Тестомес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1108003Y (zh) 多功能烤薯机
CN206559967U (zh) 一种双动力蔬菜加工用压面机
CN214903441U (zh) 面皮制作装置
CN210841477U (zh) 一种食用菌生产加工用卤制设备
CN111011452B (zh) 一种肉馅自动捶打机
CN213281298U (zh) 一种速冻水饺加工用和面装置
CN202958611U (zh) 饸饹压面机
CN220587386U (zh) 一种自转往复式循环剁肉设备
CN2627834Y (zh) 一种自动压面机
CN206821852U (zh) 一种葛根面条成型机
JP4792091B2 (ja) パン生地の杵搗き装置
CN201022329Y (zh) 辣椒捣碎机
CN220071350U (zh) 一种食品加工调配罐
CN216392828U (zh) 一种用于制作面条的面团搅拌装置
CN214319951U (zh) 一种食用加工用馅料搅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