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116A - 듀얼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116A
KR20130072116A KR1020120122929A KR20120122929A KR20130072116A KR 20130072116 A KR20130072116 A KR 20130072116A KR 1020120122929 A KR1020120122929 A KR 1020120122929A KR 20120122929 A KR20120122929 A KR 20120122929A KR 20130072116 A KR20130072116 A KR 20130072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spool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390B1 (ko
Inventor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30072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7Axially engaged
    • A01K89/058Coaxial with spo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5Crank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파밍(palming) 시의 위화감(違和感)이 쉽게 생기지 않도록 하고, 또한 회동(回動) 조작 손잡이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제1 커버(6a)와, 제2 커버(6b)와, 축지지부(7)를 가진다. 제1 커버는, 오목부(6d)와 오목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6e)를 가진다. 축지지부는, 제1 커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회동 가능하며, 개구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되는 손잡이(34a)를 가진다. 핸들은, 제2 커버측에서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축은, 축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된다. 스풀은, 스풀축에 장착되고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회동 조작 손잡이는, 제1 커버의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손잡이의 축 방향 내측에 스풀축과 동심(同芯)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줄을 전방으로 내보내는 듀얼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機構)의 제동(制動) 조작을 위한 회동(回動) 조작 손잡이가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 듀얼 베어링 릴이 종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회동 조작 손잡이는, 스풀축과 동심(同芯)으로 배치된다. 회동 조작 손잡이는, 손잡이 부재와 나사 부재를 가지고 있다. 나사 부재는, 손잡이 부재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손잡이 부재를 돌리면 나사 부재가 진퇴(進退)하고, 제동 플레이트를 압압(押壓)하여 스풀축을 제동한다. 손잡이 부재는, 회동에 의해서도 진퇴하지 않고, 핸들 장착측에서 릴 본체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릴 본체와 손잡이 부재와의 간극(間隙)이 일정하게 되어, 손잡이 부재의 내부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서 릴 본체를 잡는, 파밍(palming)하면서 스풀 또는 낚싯대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파밍 시에는, 핸들을 가지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우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의 경우에는 왼손)으로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잡는다. 이와 같이 스풀축과 동심으로 회동 조작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릴 본체 내부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9-44990호 공보
종래의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회동 조작 손잡이가 릴 본체의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 중 적어도 일부가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돌출하면 파밍을 행할 때, 회동 조작 손잡이가 잡은 손의 손바닥에 접촉하여 손바닥에 위화감(違和感)을 준다. 또한, 회동 조작 손잡이가 손바닥에 접촉되면, 회동 조작 손잡이가 회동하여 설정 상태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에 회동 조작 손잡이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파밍 시의 위화감이 쉽게 생기지 않고, 또한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내보내는 듀얼 베어링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핸들과, 스풀축과, 스풀과, 회동 조작 손잡이를 구비한다. 릴 본체는, 프레임과, 제1 커버와, 제2 커버와, 축지지부를 가진다. 제1 커버는, 오목부와 오목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를 가지고 외측면이 3차원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1 커버는, 프레임의 제1 측을 덮는다. 제2 커버는, 프레임의 제2 측을 덮는다. 축지지부는, 제1 커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회동 가능하며, 개구의 양쪽에 걸쳐져서(astride) 배치되는 손잡이를 가진다. 핸들은, 제2 커버측에서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축은, 축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된다. 스풀은, 스풀축에 장착되고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회동 조작 손잡이는, 제1 커버의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손잡이가 축 방향 외측의 양쪽에 걸친 위치에서 스풀축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 및 장착 해제 가능한 축지지부가 가지는 손잡이가 걸쳐져서 배치된다. 또한,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회동 조작 손잡이는, 손잡이가 축 방향 외측의 양쪽에 걸친 위치에서 스풀축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회동 조작 손잡이가 손잡이의 축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회동 조작 손잡이를 손잡이가 커버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밍 시에 손잡이에 손바닥이 접촉하는 것에 기인한 파밍 시의 위화감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손잡이가 회동 조작 손잡이를 커버하므로,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는, 회동 조작 손잡이의 일부를 덮도록 회동 조작 손잡이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손잡이가 회동 조작 손잡이의 일부를 덮도록 회동 조작 손잡이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손잡이가 회동 조작 손잡이를 커버해도 회동 조작 손잡이를 조작하기 용이해진다.
본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버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곡면형의 외측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파밍 시의 위화감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커버는, 장착 위치에 있는 손잡이를 따라 배치되는 형상 변화부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형상 변화부가 장착 위치에 있는 손잡이를 따라 배치된다. 그러므로, 축지지부가 해제 위치에 있으면, 손잡이가 형상 변화부를 따르지 않게 되어, 형상 변화부와 손잡이와의 사이에 변화가 생긴다. 그러므로, 축지지부가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을 촉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5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형상 변화부는, 장착 위치에 있어서 손잡이를 따라 배치되는 단차부(段差部)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형상 변화부가 단차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홈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물질이 체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7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전방이 내려가도록(slanting forwardly downwards)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핸들을 가지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의 손바닥으로 집게 손가락 등을 전방이 내려가도록 하여 파밍할 때, 손잡이가 집게 손가락 등에 접촉해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파밍하는 손가락이 손잡이를 따르기 때문에, 회동 조작 손잡이에 손가락이 쉽게 접촉되지 않아,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8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은, 본 발명 7에 기재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위치보다 더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또한 전방이 내려가게 되므로, 파밍하는 손가락에 손잡이가 따르지 않게 되어,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 조작 손잡이가 손잡이의 축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회동 조작 손잡이를 손잡이가 커버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밍 시에 손잡이에 손바닥이 접촉하여 파밍 시의 위화감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손잡이가 회동 조작 손잡이를 커버하므로,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핸들 암(handle arm)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장착측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절단선 IV-IV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선 V-V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드래그 기구의 릴 본체 측의 분해사시도이다.
<듀얼 베어링 릴의 구성>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은, 로우 프로필형(low profile type)의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예를 들면, 좌측)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 조립체(2)와, 릴 본체(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 조립체(2)의 릴 본체(1)로부터 이격(離隔)되는 쪽에는, 드래그 조정용의 드래그 조정 부재(3)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 조립체의 구성>
핸들 조립체(2)는, 예를 들면, 금속제의 판형의 핸들 암(2a)과, 핸들 암(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핸들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핸들 암(2a)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부(14a)와, 2개의 암부(14b)와, 복수(예를 들면, 4개)의 돌기부(14c)와, 복수(예를 들면, 6개)의 연결부(14d)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2a)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양 단부가 장착부(14a)보다 릴 본체(1)에 가까워지도록 약간 만곡되어 있다.
장착부(14a)는, 드래그 조정 부재(3)보다 릴 본체(1)에 가까운 측에서 후술하는 핸들축(30)에 장착 가능하다. 장착부(14a)는, 핸들 암(2a)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위치한다. 장착부(14a)는, 관통공(14e)과, 한쌍의 제1 걸어맞춤 오목부(14f)와, 한쌍의 나사 삽통공(揷通孔)(14g)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14e)은, 핸들 암(2a)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핸들축(30)이 통과할 수 있는 환공(丸孔)이다. 한쌍의 제1 걸어맞춤 오목부(14f)는, 핸들 암(2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14e)의 내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나사 삽통공(14g)은, 관통공(14e)을 사이에 두고 핸들 암(2a)의 길이 방향으로 한쌍 배치되어 있다. 나사 삽통공(14g)의 핸들 암(2a)의 표면측에는, 후술하는 장착 볼트(48)의 헤드부(48a)(도 7 참조)를 수용 가능한 헤드부 수용부(14h)가 콘 형상(cone shape)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암부(14b)는, 장착부(14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끝이 가늘게 각각 연장되어 있다. 2개의 암부(14b)의 선단에는, 핸들 손잡이(2b)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14i)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암부(14b)에는, 핸들 암(2a)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제1 개구(14j)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부(14c)는, 장착부(14a)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14c)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14c) 및 연결부(14d)와 장착부(14a)와의 사이에는 핸들 암(2a)을 경량화하기 위한 제2 개구(14k)가 형성된다. 이로써, 장착부(14a)와 돌기부(14c) 및 연결부(14d)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돌기부(14c)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낚싯대 장착측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복수의 연결부(14d)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14c)를 연결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암부(14b)와 돌기부(14c)를 연결한다. 돌기부(14c)는, 톱니 형상이 되도록 연결부(14d)에 의해 연결된다. 즉, 1조(組)의 돌기부(14c)와 연결부(14d)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부(14c)의 톱니의 각도가 급준한 부분(14m) 및 암부(14b)가, 핸들 조립체(2)를 조작하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으로 핸들축(30)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된다. 따라서, 4개의 돌기부(14c)와 2개의 암부(14b)와의 6개소 중 어느 하나에서 핸들축(30)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직경 방향의 조작 길이가 길어지므로, 낚싯줄 권취 방향에 대한 회전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톱니의 각도가 완만한 부분(14n)은 돌기부(14c)와 연결부(14d)와의 직경 방향의 단차가 없다. 그러므로, 핸들 조립체(2)를 조작할 때 돌기부(14c)로부터 다른 돌기부(14c)에 손가락을 바꾸어 거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쪽에 장착되고 프레임(5)의 양쪽을 덮는 제1 커버(6a) 및 제2 커버(6b)와, 프레임(5)의 측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축지지부(7)과 프레임의 전방을 덮는 앞커버(6c)를 가지고 있다. 제1 커버(6a)는 핸들 조립체(2)와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제2 커버(6b)는 핸들 조립체(2)의 장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과,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5c)를 가지고 있다. 이 핸들 장착측과는 반대측의 제1 측판(5a)에 축지지부(7)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판(5a)에는, 스풀(12)이 통과할 수 있는 원형의 개구(5d)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5d)에, 스풀(12)을 개구(5d) 측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축지지부(7)가, 예를 들면, 바요넷 기구(bayonet mechanism)(23)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래쪽의 2개의 연결부(5c)에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로 긴 로드(rod) 장착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6a)는,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제1 측판(5a)의 외측을 덮고 있다. 제1 커버(6a)는, 외측면이 축 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만곡된 3차원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커버(6a)는, 원형의 오목부(6d)와 개구(6e)를 중심부에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커버(6a)는, 외표면에 선형으로 연장되는 단차부(6f)(도 5 및 도 6 참조)를 가진다. 단차부(6f)는, 형상 변화부의 일례이다. 개구(6e)는, 예를 들면, 원형이며, 오목부(6d)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6a)에는, 축지지부(7)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커버(6a)는, 축지지부(7)와 함께 프레임(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축지지부(7)의 주위에 있어서, 제1 커버(6a)의 개구(6e)의 내주부에는, 축지지부(7)의 비조작 시의 회전 방지와, 축지지부(7)의 조작 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기구(60)(도 4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단차부(6f)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의 전방 하부측으로부터 경사 위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단차부(6f)는, 전방이 내려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6f)는, 제1 커버(6a)의 상측 부분이 하측 부분 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단차부(6f)는, 축지지부(7)의 후술하는 손잡이(34a)의 위치와 관련되어 형성된다.
제2 커버(6b)는,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 등의 경금속제의 부재이며, 프레임(5)의 제2 측판(5b)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2 커버(6b)에는, 스풀축(16)의 배치 부분에 코킹(caulking) 고정된 보스부(8)와, 보스부(8)에 나사 결합되어 보스부(8)의 개구를 막는 커버 부재(9)가 설치된다. 보스부(8)는, 제2 커버(6b)에, 예를 들면, 코킹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9)는, 보스부(8)에 나사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축지지부(7)는, 제1 커버(6a)를 협지한 상태로 제1 커버(6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축지지부(7)는, 제1 커버(6a)에 대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지지부(7)는, 바요넷 기구(23)에 의해 제1 측판(5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바요넷 기구(23)는, 축지지부(7)의 외주부에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의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바요넷 돌기(23a)와, 바요넷 돌기(23a)에 걸어맞추어 지도록 제1 측판(5a)의 개구(5d)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예를 들면, 3개)의 바요넷 홈부(23b)를 가지고 있다. 축지지부(7)를 돌려 바요넷 기구(23)에 의해 제1 측판(5a)에 축지지부(7)를 장착함으로써, 제1 커버(6a)도 제1 측판(5a)에 장착된다.
축지지부(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 장착부(33)와, 착탈 조작부(34)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장착부(33)에는 제1 베어링(24a)이 장착된다. 착탈 조작부(34)는 베어링 장착부(33)와 함께 제1 커버(6a)를 상대 회동 가능하게 협지한다. 베어링 장착부(33)는, 접시형의 부재이며, 외주부(33a)가 제1 측판(5a)의 개구(5d)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외주부(33a)에는, 외주부(33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술한 바요넷 기구(23)의 복수의 바요넷 돌기(23a)가 스풀(12)의 축심(軸芯)을 중심으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장착부(33)의 중심부에는, 제1 베어링(24a)을 수납하는 통형의 베어링 수납부(33b)가 스풀(12)을 향해 통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33b)에는, 제1 베어링(24a)이 내주면에 장착되는 스텝(step)이 형성된 통형의 장착 공간(33c)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 공간(33c)의 바닥부(33d)에는, 후술하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를 구성하는 원판형의 제1 플레이트(41a)가 장착되어 있다. 바닥부(33d)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후술하는 제동 손잡이(42)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3e)가 형성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42)는, 회동 조작 손잡이의 일례이다. 착탈 조작부(34)는, 베어링 장착부(33)에 위치결정된 상태로 제1 커버(6a)에 대하여 베어링 장착부(33)와 일체로 회동 가능하다.
착탈 조작부(34)는, 스텝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도시하지 않은 나사 부재에 의해 베어링 장착부(33)에 고정되어 있다. 착탈 조작부(34)는, 제1 커버(6a)를 프레임(5)에 대하여 착탈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탈 조작부(34)는, 제동 손잡이(42)의 양쪽에 걸쳐져서 직경 상에 배치되는 착탈 조작용의 손잡이(34a)를 가진다. 손잡이(34a)는, 제동 손잡이(42)보다 축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동 손잡이(42)의 일부를 덮도록 제동 손잡이(42)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손잡이(34a)는, 제1 커버(6a)의 3차원 곡면을 따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약간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다. 손잡이(34a)는,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장착 위치와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해제 위치로 회동 조작 가능하다. 장착 위치에서는, 제1 커버(6a)가 프레임(5)에 장착되고, 해제 위치에서는, 제1 커버(6a)의 프레임(5)에 대한 장착이 해제된다. 손잡이(34a)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34a)는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되고, 제1 커버(6a)의 단차부(6f)를 따라 배치된다. 즉, 손잡이(34a)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34a)의 전단부가 후단부보다 로드 장착부(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손잡이(34a)가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34a)는, 제1 커버(6a)의 3차원 곡면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34a)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손잡이(34a)는 장착 위치보다 더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된다. 즉,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위치보다 전방이 내려가는 각도가 가파르게 되어 있다. 또한, 착탈 조작부(34)는, 제동 손잡이(42)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34b)(도 5 및 도 6 참조)를 가진다.
손잡이(34a)가 제동 손잡이(42)의 양쪽에 걸쳐져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동 손잡이(42)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듀얼 베어링 릴의 그 외의 구성>
프레임(5) 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 가능한 와이어 권취용의 스풀(12)과,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15)와,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가 닿는,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5)과 제2 커버(6b)와의 사이에는, 핸들 조립체(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 와인드 기구(15)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 기구(18)와, 클러치 기구(13)와, 클러치 기구(13)를 온 오프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19)와, 스풀(12)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1)와, 스풀(12)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가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부에 접시형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통형의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12)은, 와이어 권취 보디부(12b)의 내주측의 축 방향의 실질적으로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된 통형의 보스부(12c)를 가지고 있고, 보스부(12c)를 관통하는 스풀축(16)에, 예를 들면, 톱니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톱니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각종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16)은, 제2 측판(5b)을 관통하여 제2 커버(6b)로 연장되어 있다. 스풀축(16)은 제1 베어링(24a) 및 제2 베어링(24b)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베어링(24a)은 축지지부(7)에 장착되고, 제2 베어링(24b)은, 제2 측판(5b)에 고정된 보스부(8)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제1 단(16a) 및 제2 단(16b)은, 산형(山形) 또는 원호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16)의 제1 단(16a) 및 제2 단(16b)이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에 접촉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제2 측판(5b)의 관통부 부분에는 클러치 기구(13)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핀(13a)이 고정되어 있다. 걸어맞춤핀(13a)은, 직경을 따라 스풀축(16)을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양단의 돌출 부분에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32)의 선단(도 5의 우측단)이 걸어맞춤 가능하다.
레벨 와인드 기구(15)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기어 기구(18)의 제1 기어(28)와 서로 맞물리는 제2 기어(25)와, 트래버스 캠축(26)과, 낚싯줄 가이드(27)를 가지고 있다. 트래버스 캠축(26)은, 교차하는 나선형 홈(26a)이 외주면에 형성된 축 부재이다. 낚싯줄 가이드(27)는, 나선형 홈(26a)에 걸어맞추어지고, 트래버스 캠축(26)의 회전에 의해, 스풀(12)의 전방에서 스풀(12)과 평행하게 왕복 이동한다.
기어 기구(1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라이브 기어(31)와, 드라이브 기어(31)와 서로 맞물리는 통형의 피니언 기어(32)와, 핸들축(30)에 장착되고, 제2 기어(25)와 서로 맞물리는 제1 기어(28)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0)은,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ch)(40)에 의해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고,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다. 원웨이 클러치(40)는, 제2 커버(6b)에 장착된다.
핸들축(30)은, 기단(基端)이 제2 측판(5b)에 베어링(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31)의 안쪽(도 5의 우측)에는 래칫 휠(ratchet wheel)(36)이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36)의 안쪽에 제1 기어(28)가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래칫 휠(36) 장착부와 제1 기어(28) 장착부와의 사이에는, 대경(大徑)의 맞닿음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30)의 선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30)의 선단면에는, 암나사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핸들축(30)의 외주면에는,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 및 후술하는 압압 플레이트(38)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대향하는 평행한 면에 의해 구성되는 회전 연결부(30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축(30)의 중간부는 경량화를 위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3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 및 드래그 기구(21)를 통하여 핸들축(30)의 회전이 전달된다.
피니언 기어(3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측판(5b)으로부터 축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중심에 스풀축(16)이 관통하는 통형 부재이다. 피니언 기어(32)는, 스풀축(16)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기단에 형성된 기어부(32a)와, 선단에 형성되고 걸어맞춤핀(13a)에 걸어맞춤 가능한 맞물림부(32b)와, 기어부(32a)와 맞물림부(32b)와의 사이에 배치된 협착부(narrowed portion)(32c)를 가지고 있다. 기어부(32a)에는 드라이브 기어(31)가 서로 맞물린다. 맞물림부(32b)에는, 걸어맞춤핀(13a)이 걸어맞추어진다. 협착부(32c)에는, 클러치 제어 기구(19)의 클러치 요크(clutch yoke)(35)가 걸어맞추어진다. 피니언 기어(32)는, 클러치 온 위치와, 클러치 온 위치보다 도 5의 좌측에 배치되는 클러치 오프 위치로,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 또는 핸들 조립체(2)의 낚싯줄 권취 방향의 회전에 따라 이동한다. 피니언 기어(32)는, 베어링(29)에 의해 제2 측판(5b)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기어(2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39)를 통하여 핸들축(30)에 연결된다. 제1 기어(2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벨 와인드 기구(15)의 트래버스 캠축(26)에 장착된 제2 기어(25)와 서로 맞물린다. 토크 리미터(39)는, 소정 이상의 토크가 작용하면, 핸들축(30)의 회전이 제1 기어(28)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토크 리미터(39)는, 핸들축(30)에 직경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핀 부재와, 핀 부재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제1 기어(28)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핀 부재에 걸어맞추어지는 오목부를 가진다.
클러치 기구(13)는, 걸어맞춤핀(13a)와, 피니언 기어(32)의 맞물림부(32b)로 구성된다. 클러치 기구(13)는,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조작에 의해,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클러치 온 상태로 핸들 조립체(2)의 회전이 스풀(12)에 전달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측판(5a)과 제2 측판(5b)과의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의 제1 측판(5a) 및 제2 측판(5b)에는 긴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 조작 부재(17)가 이 긴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긴 구멍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클러치 제어 기구(19)는, 클러치 요크(35)를 가지고 있다. 클러치 요크(35)는, 스풀축(16)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풀축(16)의 축심과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축(16)은 클러치 요크(35)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즉, 스풀축(16)이 회전해도 클러치 요크(35)는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요크(35)는 그 중앙부가 피니언 기어(32)의 협착부(32c)에 걸어맞추어져 도 5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클러치 요크(3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항상 내측(도 5의 우측)의 클러치 온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통상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는 내측의 클러치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3a)이 걸어맞추어져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클러치 요크(35)에 의해 피니언 기어(32)가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피니언 기어(32)와 걸어맞춤핀(13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드래그 기구(21)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력을 조정 조작하기 위한 드래그 조정 부재(3)와,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압압 플레이트(38)와, 핸들축(30)의 주위로 제2 커버(6b)가 장착된 원웨이 클러치(40)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조정 부재(3)는, 너트(3a)와, 너트(3a)를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작 부재(3b)와, 가압 부재(3c)를 가진다.
너트(3a)는, 핸들축(30)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0b)에 나사결합된다. 조작 부재(3b)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조작 돌기(3d)를 가지고, 너트(3a)를 회전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조작 부재(3b)는, 고정 볼트(44)에 의해 핸들축(30)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 고정 볼트(44)에 의해 핸들 암(2a)도 조작 부재(3b)를 통하여 핸들축(30)에서의 이탈이 방지된다. 고정 볼트(44)는, 핸들축(30)의 선단면에 형성된 암나사부(30c)에 나사결합된다. 고정 볼트(44)와 조작 부재(3b)와의 사이에는, 고정 볼트(44)의 회전 방지용의 스프링 와셔(47)가 장착되어 있다.
가압 부재(3c)는, 핸들 암(2a)과 너트(3a)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너트(3a)의 축 방향의 이동에 따라 가압 부재(3c)의 가압력이 변화한다. 가압 부재(3c)는, 예를 들면, 2개의 접시 스프링(50)을 가진다. 가압 부재(3c)는, 핸들 암(2a) 및 내륜(40a)를 통하여 압압 플레이트(38)를 압압한다. 이 가압 부재(3c)의 가압력에 의해 드래그력이 조정된다. 압압 플레이트(38)는,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압 플레이트(38)는,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40)의 내륜(40a)은, 핸들 암(2a)의 제1 걸어맞춤 오목부(14f)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내륜(40a)은, 핸들 암(2a)에 2개의 장착 볼트(48)에 의해 고정된 규제 부재(5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내륜(40a)은, 제1 걸어맞춤 오목부(14f)에 걸어맞추어지는 제1 걸어맞춤 돌기(40b)를 일단부에 가지고 있다. 이로써, 핸들 암(2a)의 회전이 내륜(40a)에 전달된다. 또한, 내륜(40a)은, 압압 플레이트(38)에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어맞춤 돌기(40c)를 타단부에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핸들 조립체(2)의 회전은, 내륜(40a) 및 압압 플레이트(38)를 통하여 핸들축(30)에 전달된다.
또한, 드래그 기구(21)는, 드래그 조정 부재(3)의 조작에 의해 사운드를 발생하는 드래그 조작 사운드 발생 기구(sound producing machanism)(49)를 더 구비한다. 드래그 조작 사운드 발생 기구(49)는, 핸들축(30)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사운드 발생 부재(49a)와, 사운드 발생 부재(49a)를 향해 가압되는 타격 부재(49b)를 가진다. 타격 부재(49b)는, 조작 부재(3b)의 내부에 사운드 발생 부재(49a)를 향해 진퇴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래그 기구(21)에서는, 드래그 조정 부재(3)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압압 플레이트(38)를 드라이브 기어(31)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압압 플레이트(38)와 드라이브 기어(31)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게 함으로써, 드래그 기구(21)가 스풀(12)을 제동한다. 원웨이 클러치(40)는, 드래그 기구(21)를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축(30)의 낚싯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금지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16)의 양단을 협지하도록 배치된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1b)와, 제1 플레이트(41a) 및 제2 플레이트(41b)에 의한 스풀축(16)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손잡이(42)를 가지고 있다. 제동 손잡이(42)는, 회동 조작 손잡이의 일례이다.
도 4 좌측의 제1 플레이트(41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장착부(33)의 장착 공간(33c)의 바닥부(33d)에 장착되고, 스풀축(16)의 제1 단(16a)에 접촉 가능하다. 제2 플레이트(41b)는, 제2 커버(6b)의 커버 부재(9) 내에 장착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4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6a)의 개구(6e)로부터 돌출하고, 손잡이(34a)가 축 방향 외측의 양쪽에 걸쳐진 위치에서 스풀축(16)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제동 손잡이(42)는, 원형의 조작부(42a)와, 조작부(42a)보다 소경(小徑)의 수나사부(42b)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42a)는, 이 실시예에서는, 원뿔 사다리꼴이다. 조작부(42a)의 외주측은, 착탈 조작부(34)와 조작용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동 손잡이(42)는, 착탈 조작부(34)의 손잡이(34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나사부(42b)는, 베어링 장착부(33)의 암나사부(33e)에 나사결합된다. 수나사부(42b)는, 제1 플레이트(41a)와 접촉 가능하다.
제동 손잡이(42)는, 예를 들면, O링의 형태의 실링(sealing) 부재(43)에 의해 실링되고, 또한 회동 조작이 규제된다. 실링 부재(43)는, 제동 손잡이(42)의 회동 조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의 일례이다. 실링 부재(43)는, 제동 손잡이(42)와 베어링 장착부(3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동 손잡이(42)를 조작하면, 그 위치에서 제동 손잡이(42)의 회동이 규제되어, 제동 손잡이(42)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더 변화되지 않게 된다.
<듀얼 베어링 릴의 조작 방법>
통상의 상태에서는, 클러치 요크(35)는 내측(도 5의 우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이로써, 피니언 기어(32)는,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되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3a)이 서로 맞물려 클러치 온 상태로 되어 있고, 핸들 조립체(2)로부터의 회전력은, 핸들축(30), 드라이브 기어(31), 피니언 기어(32) 및 스풀축(16)을 통하여 스풀(12)에 전달되고, 스풀(12)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백래시(backlash)를 억제하기 위해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로 제동력을 조정한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2)로 제동력을 조정할 때는, 제동 손잡이(42)를, 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동 손잡이(42)가 도 5의 우측으로 전진하고, 제1 플레이트(41a)와 제2 플레이트(41b)의 간격이 좁아져 스풀축(16)에 대한 제동력이 강해진다. 또한, 반대로 제동 손잡이(4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동력이 약해진다.
제동력의 조정을 종료하면, 클러치 조작 부재(17)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여기서는, 클러치 조작 부재(17)는, 아래쪽의 이탈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클러치 조작 부재(17)의 이동에 따라 클러치 요크(35)가 외측으로 이동하고, 클러치 요크(35)에 걸어맞추어진 피니언 기어(32)도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피니언 기어(32)와 스풀축(16)의 걸어맞춤핀(13a)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클러치 오프 상태로 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핸들축(30)으로부터의 회전은 스풀(12) 및 스풀축(16)에 전달되지 않아, 스풀(12)은 자유 회전 상태로 된다.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하여, 제1 커버(6a)를 잡아 파밍한 손의 엄지로 스풀(12)을 써밍 하면서 스풀축(16)이 연직면(鉛直面)을 따르도록 릴을 경사지게 낚싯줄을 내려뜨린다. 그러면, 도구(terminal tackle)의 중량에 의해, 스풀(12)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낚싯줄이 송출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도구가 해저에 도달하여 낚싯줄이 느슨해지면, 낚싯줄의 느슨해짐을 해소하기 위해, 핸들 암(2a)을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을 행한다. 이 조작을 행할 때는, 제1 커버(6a)를 쥐고 파밍하여 낚싯대를 가지는 손의 예를 들면, 가운데 손가락을 뻗는다. 그리고, 핸들 암(2a)에 설치된 돌기부(14c) 또는 암부(14b)를, 뻗은 가운데 손가락에 의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로써, 핸들 암(2a)이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풀(12)에 낚싯줄을 권취할 수 있어, 낚싯줄의 느슨해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핸들 암(2a)의 핸들 손잡이(2b)를 조작하지 않고, 낚싯줄을 스풀(12)에 권취할 수 있다.
즉, 핸들 조립체(2)를 조작하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의 엄지를 클러치 조작 부재(17)에 접촉하면서 남은 손가락으로 릴 본체(1)의 하부를 덮도록 낚싯대를 파지하면 손가락의 근원은 손잡이(34a)를 따르면서, 손가락끝은 핸들 조립체(2)의 돌기부(14c) 및 연결부(14d)의 근방에 도달한다. 이로써, 낚싯대를 파지한 손의 손가락으로 핸들 조립체(2)의 감아올리는 조작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풀(12)을 릴 본체(1)로부터 인출하는 경우, 착탈 조작부(34)를 조작하여 제1 커버(6a)를 제1 측판(5a)으로부터 벗긴다. 이 때, 손잡이(34a)를 잡고, 착탈 조작부(34)를 도 6에 실선으로 나타낸 장착 위치로부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해제 위치로 돌리면, 바요넷 기구(23)에 의한 프레임(5)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제1 커버(6a)를 벗길 수 있다. 이로써, 스풀(12)을 개구(5d)를 통해 인출할 수 있다.
스풀(12)을 장착할 때는, 개구(5d)를 통해 스풀(12)을 프레임(5)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제1 커버(6a)를 제1 측판(5a)에 장착하여 손잡이를 잡고 착탈 조작부(34)를 해제 위치로부터 장착 위치로 돌린다. 이 때, 제1 커버(6a)에 형성된 단차부(6f)를 접촉함으로써 장착 위치에 착탈 조작부(3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듀얼 베어링 릴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내보내는 듀얼 베어링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핸들 조립체(2)와, 스풀축(16)과, 스풀(12)과, 제동 손잡이(42)를 구비한다. 릴 본체(1)는, 프레임(5)과, 제1 커버(6a)와, 제2 커버(6b)와, 축지지부(7)를 가진다. 제1 커버(6a)는, 오목부(6d)와, 오목부(6d)에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6e)를 가진다. 제1 커버(6a)의 외측면이 3차원 곡면으로 구성된다. 제1 커버(6a)는, 프레임(5)의 핸들 조립체(2) 장착측과는 반대측(제1 측의 일례)을 덮는다. 제2 커버(6b)는, 프레임(5)의 핸들 장착측(제2 측의 일례)을 덮는다. 축지지부(7)는, 제1 커버(6a)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5)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회동 가능하며, 개구(6e)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되는 손잡이(34a)를 가진다. 핸들 조립체(2)는, 제2 커버측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축(16)은, 축지지부(7)에 일단이 지지된다. 스풀(12)은, 스풀축(16)에 장착되고 핸들 조립체(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제동 손잡이(42)는, 제1 커버(6a)의 개구로부터 돌출하고, 손잡이(34a)가 축 방향 외측의 양쪽에 걸쳐진 위치, 즉 손잡이(34a)의 축 방향 내측으로 스풀축(16)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이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프레임(5)에 대하여 장착 및 장착 해제 가능한 축지지부(7)가 가지는 손잡이(34a)가 개구(6e)의 양쪽에 걸쳐지도록 배치된다. 또한, 개구(6e)로부터 돌출되는 제동 손잡이(42)는, 손잡이(34a)가 축 방향 외측의 양쪽에 걸쳐진 위치에서 스풀축(16)과 동심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제동 손잡이(42)가 손잡이(34a)의 축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제동 손잡이(42)를 손잡이(34a)가 커버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밍 시에 손잡이(34a)에 손바닥이 접촉하여 파밍 시의 위화감(違和感)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또한, 손잡이(34a)가 제동 손잡이(42)를 커버하므로 제동 손잡이(42)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게 된다.
(B)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34a)는, 제동 손잡이(42)의 일부를 덮도록 제동 손잡이(42)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손잡이(34a)가 제동 손잡이의 일부를 덮도록 제동 손잡이(42)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된다. 그러므로, 손잡이(34a)가 제동 손잡이(42)를 커버해도 제동 손잡이(42)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C)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34a)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제1 커버(6a)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곡면형의 외측면을 가진다. 이 경우에는, 파밍 시의 위화감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D)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동 손잡이(42)의 회동을 규제하는 실링 부재(43)을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제동 손잡이(42)의 회전이 규제되므로, 제동 손잡이(42)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더욱 변화되지 않게 된다.
(E)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제1 커버(6a)는, 장착 위치에 있는 손잡이(34a)를 따라 배치되는 형상 변화부로서의 단차부(6f)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단차부(6f)가 장착 위치에 있는 손잡이(34a)를 따라 배치된다. 그러므로, 축지지부(7)가 해제 위치에 있으면, 단차부(6f)가 손잡이(34a)를 따르지 않게 되어, 단차부(6f)와 손잡이(34a)와의 사이에 변화가 생긴다. 그러므로, 축지지부(7)가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을 촉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F)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형상 변화부는, 장착 위치에 있어서 손잡이(34a)를 따라 배치되는 단차부(6f)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형상 변화부가 단차부(6f)로 구성되므로, 홈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물질이 쉽게 체류하지 않게 된다.
(G)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34a)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핸들 조립체(2)를 가지는 손과는 반대측의 손의 손바닥으로 집게 손가락 등의 손가락을 전방이 내려가도록 하여 파밍할 때, 손잡이(34a)가 집게 손가락 등에 접촉해도 위화감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파밍하는 손가락이 손잡이(34a)를 따르기 때문에, 제동 손잡이(42)에 손가락이 쉽게 접촉되지 않아, 제동 손잡이(42)의 회동 위치가 뜻하지 않게 변화되지 않게 된다.
(H)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손잡이(34a)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위치보다 더욱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또한 전방이 내려가게 되므로, 파밍하는 손가락에 손잡이(34a)가 따르지 않게 되어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동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전동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이 낚싯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우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좌측 핸들의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동 조작 손잡이로서 캐스팅 컨트롤 기구(22)의 제동 손잡이(42)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회동 조작 손잡이는, 제동 손잡이(4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풀 사운드 발생 기구의 사운드 발생의 온 오프를 전환하는 온 오프 손잡이 및 전기 제어할 수 있는 스풀 제동 장치의 제동 조정 손잡이 등의, 제1 커버측으로 노출되어 회동 조작되는 모든 회동 조작 손잡이에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형상 변화부로서 단차부(6f)를 예시했지만, 형상 변화부는 단차부(6f)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선형의 돌기, 홈, 선형으로 배치되는 요철(凹凸) 등의 형상의 변화에 따라 회동 조작 손잡이의 장착 위치에 촉감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타 드래그형(star drag type)의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을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레버 드래그형의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핸들 조립체
6a: 제1 커버
6b: 제2 커버
6e: 개구
6f: 단차부(형상 변화부의 일례)
7: 축지지부
12: 스풀
16: 스풀축
34a: 손잡이
42: 제동 손잡이(회동 조작 손잡이의 일례)
43: 실링 부재(규제 부재의 일례)

Claims (8)

  1. 낚싯줄을 전방으로 내보내는 듀얼 베어링 릴로서,
    프레임;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를 가지고 외측면이 3차원 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제1 측을 덮는 제1 커버; 상기 프레임의 제2 측을 덮는 제2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장착 위치와 장착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회동(回動) 가능하며, 상기 개구의 양쪽에 걸쳐져서 배치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축지지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제2 커버측에서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축지지부에 일단이 지지되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고 상기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스풀과,
    상기 제1 커버의 상기 개구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손잡이가 축 방향 외측의 양쪽에 걸친 위치에서 상기 스풀축과 동심(同芯)으로 배치되는 회동 조작 손잡이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회동 조작 손잡이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회동 조작 손잡이의 양쪽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커버의 외측면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곡면형의 외측면을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조작 손잡이의 회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장착 위치에 있는 상기 손잡이를 따라 배치되는 형상 변화부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 변화부는, 상기 장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따라 배치되는 단차부(段差部)를 가지는, 듀얼 베어링 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장착 위치에 있을 때,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장착 위치보다 더 전방이 내려가도록 배치되는, 듀얼 베어링 릴.
KR1020120122929A 2011-12-21 2012-11-01 듀얼 베어링 릴 KR102004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79443 2011-12-21
JP2011279443A JP5805516B2 (ja) 2011-12-21 2011-12-21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116A true KR20130072116A (ko) 2013-07-01
KR102004390B1 KR102004390B1 (ko) 2019-07-26

Family

ID=4862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929A KR102004390B1 (ko) 2011-12-21 2012-11-01 듀얼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20670B2 (ko)
JP (1) JP5805516B2 (ko)
KR (1) KR102004390B1 (ko)
CN (1) CN103168756B (ko)
MY (1) MY158483A (ko)
TW (1) TWI554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JP6559036B2 (ja) * 2015-10-06 2019-08-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979789B2 (ja) * 2017-05-18 2021-12-1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94690B2 (ja) * 2017-11-10 2022-07-0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7065626B2 (ja) * 2018-01-31 2022-05-12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
JP6820980B2 (ja) * 2019-07-16 2021-01-2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22174810A (ja) * 2021-05-12 2022-1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002A (en) * 1989-08-10 1992-06-09 Daiwa Seiko, Inc. Spool detachable mechanism for fishing reel
JP2009044990A (ja) 2007-08-20 2009-03-05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JP2010142131A (ja) * 2008-12-16 2010-07-0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6263U (ko) * 1979-10-26 1981-06-02
US5362011A (en) * 1991-12-16 1994-11-08 Shimano Inc. Baitcasting reel having an improved centrifugal brake
JP2572094Y2 (ja) * 1992-01-28 1998-05-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3147215B2 (ja) * 1995-08-08 2001-03-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両軸受型リール
US5839682A (en) * 1996-07-12 1998-11-24 Zebco Corporation Fishing reel with removable side cover assembly
US6032894A (en) * 1998-05-14 2000-03-07 Johnson Worldwide Assoicates, Inc. Cartridge spool system for bait cast fishing reel
JP3851731B2 (ja) * 1998-10-23 2006-11-2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着脱構造
KR100320405B1 (ko) * 1999-09-02 2002-01-15 현광호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사이드카바 착탈구조
JP2001145446A (ja) * 1999-11-19 2001-05-29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US6206312B1 (en) * 2000-06-22 2001-03-27 Shin A Sports Co., Ltd. Fly fishing reel with detachable spool shaft supporting plate
JP2003319742A (ja) * 2002-05-07 2003-11-1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回転支持構造
US7150423B2 (en) * 2003-09-12 2006-12-19 Shimano Inc. Reel unit for a dual bearing reel
JP4384936B2 (ja) * 2004-05-11 2009-12-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SG121940A1 (en) * 2004-10-06 2006-05-26 Shimano Kk Handle knob and handle assembly for a fishing reel
JP2006149225A (ja) * 2004-11-25 2006-06-15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US20060289690A1 (en) * 2005-06-01 2006-12-28 Marsh Jeffrey D Bait casting reel and method
JP4901500B2 (ja) * 2007-01-23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軸支持構造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205176B2 (ja) * 2008-08-18 2013-06-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軸支持構造
JP5349349B2 (ja) * 2010-01-25 2013-11-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002A (en) * 1989-08-10 1992-06-09 Daiwa Seiko, Inc. Spool detachable mechanism for fishing reel
JP2009044990A (ja) 2007-08-20 2009-03-05 Shimano Components Malaysia Sdn Bhd 両軸受リールのキャストコントロール機構
JP2010142131A (ja) * 2008-12-16 2010-07-01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8483A (en) 2016-10-14
JP2013128439A (ja) 2013-07-04
JP5805516B2 (ja) 2015-11-04
US8820670B2 (en) 2014-09-02
CN103168756A (zh) 2013-06-26
KR102004390B1 (ko) 2019-07-26
US20130161435A1 (en) 2013-06-27
CN103168756B (zh) 2017-03-01
TWI554206B (zh) 2016-10-21
TW201325447A (zh)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2116A (ko) 듀얼 베어링 릴
JP5746841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制御装置
KR101942879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 조립체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1975425B1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KR101913237B1 (ko) 듀얼 베어링 릴
JP4963279B2 (ja)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操作部材
JP2013128439A5 (ko)
KR101855893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JP2012065574A5 (ko)
JP2013106543A5 (ko)
KR20120023574A (ko) 듀얼 베어링 릴
JP2013070651A5 (ko)
KR102143053B1 (ko) 듀얼 베어링 릴
JP2013070652A5 (ko)
JP2013000085A5 (ko)
KR10160616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TW201206339A (en) Dual-bearing reel speed change operation mechanism
JP2014212739A (ja) 両軸受リール
KR20080057146A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7105613B2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リターン位置調整機構
JP5986876B2 (ja) 魚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装置
JP2004049115A (ja) 両軸受リール
JP6748598B2 (ja) 発音機構を備えた両軸受型リール
JP6405254B2 (ja) 魚釣用リールおよび魚釣用リールの操作ノブ
JP2006149225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