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64B1 -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64B1
KR101606164B1 KR1020090101139A KR20090101139A KR101606164B1 KR 101606164 B1 KR101606164 B1 KR 101606164B1 KR 1020090101139 A KR1020090101139 A KR 1020090101139A KR 20090101139 A KR20090101139 A KR 20090101139A KR 101606164 B1 KR101606164 B1 KR 101606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pool
drag operation
reel
opera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966A (ko
Inventor
히로카즈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0005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03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 A01K89/01904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adjustable by crank manip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03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 A01K89/01908Coaxial with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5Reel supports, e.g. reel fe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drag) 조정 장치에 있어서, 낚시꾼이 원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회동(回動) 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판형 부재(80) 외측의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소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搖動) 범위 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2)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을 규제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듀얼 베어링 릴, 드래그 조정 장치,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 드래그 조작 부재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DRAG ADJUST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드래그(drag) 조정 장치, 특히,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버 드래그 릴로서, 스풀축 주위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드래그 조작 부재에 의해 스풀축을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드래그력을 조정할 수 있는 릴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레버 드래그 릴로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回動) 범위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는, 릴 본체의 측판에 외주 에지부에 걸어맞춤부가 형성된 호형(弧形) 규제체를 긴 구멍을 통하여 회동 조절하여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드래그 조작 부재를 호형 규제체의 걸어맞춤부까지의 범위까지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호형 규제체는, 원호형 긴 구멍 및 고정 나사를 통하여, 스풀축을 중심으로 회동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긴 구멍의 길이만큼 변경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 1993-51080호 공보
상기 종래의 레버 드래그 릴은, 호형 규제체는, 원호형 긴 구멍 및 고정 나사를 통하여, 스풀축을 중심으로 회동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긴 구멍의 길이만큼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낚시꾼이 낚시를 하고 있는 도중에 최적의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찾아냈을 때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고정 나사를 분리 및 장착할 필요가 있어, 실제 낚시 중에 있어서의 변경 작업은 매우 곤란하다. 또한, 종래의 레버 드래그 릴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긴 구멍의 길이만큼 밖에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회동 범위를 설정할 수 없는 동시에,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정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어렵고, 그러므로, 낚시꾼이 원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회동 범위를 얻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종래와 같이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회동 범위를 설정할 수 없으면, 낚시꾼이 드래그 조작 부재를 되돌리는 조작을 행했을 때, 뜻하지 않게 드래그 조작 부재를 너무 되돌려 드래그력이 약해져 버리는 경우가 있어, 낚시줄이 백래시(backlash)하여 버리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를 적당히 설정할 수 없으면, 드래그 조작 부재를 너무 돌려 즉 너무 진행시켜 드래그력이 최대로 되게 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낚시줄이 끊어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낚시꾼이 원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회동 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 1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로서, 드래그 조작 부재와,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드래그 조작 부재는, 드래그 기구의 최소 드래그 상태에 대응한 최소 위치와 드래그 기구의 최대 드래그 상태에 대응한 최대 위치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의 외측에 스풀의 스풀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상태의 부재이다.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는, 릴 본체 외측의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 내에 요동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장착 오목부 중 1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부재이다.
이 드래그 조정 장치에서는, 릴 본체 외측의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 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회동 범위 또는 최대 회동 범위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를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회동 범위가 되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뜻하지 않게 드래그 조작 부재를 너무 되돌려 드래그력이 약해져 버리지 않게 되므로, 낚시줄이 백래시하여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를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대 회동 범위가 되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를 너무 진행시켜 드래그력이 최대가 되지 않게 되어, 낚시줄이 끊어져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이 원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회동 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 2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1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측 커버와, 판형 부재를 가지고 있다. 판형 부재는 측 커버의 외측에 장착되고 측부 외측에 복수 개의 장착 오목부 배치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 3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2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장착 오목부는, 판형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이 경우, 판형 부재에 관통공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 등의 간단한 가공으로 장착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관통공을 사운드 발생용으로도 겸용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본 발명 4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2 또는 3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조작 부재에 진퇴(進退) 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 개의 장착 오목부에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사운드를 발하는 드래그 사운드 발생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장착 오목부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를 장착하기 위한 기능과, 드래그 사운드 발생 부재를 접촉시켜 사운드를 발생시키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종래의 드래그 사운드 발생용의 오목부에 본 발명의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릴의 구성을 대폭 변경하지 않고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회동 범위 또는 최대 회동 범위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 5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는, 판형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장착되고 판형 부재의 외측 에지부를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절결부(cut-out portion)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절결부를 판형 부재의 외측 에지부에 거는 것에 의해,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가 장착 오목부로부터 쉽게 이반(離反)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 6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5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는, 본체 부재와, 가압 부재와, 핀부재를 가지고 있다. 본체 부재는, 절결부가 측부에 형성된 통형의 부재이다. 가압 부재는,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에 압축되어 장착된다. 핀부재는,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에 삽입되고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장착 오목부에 장착된다. 이 경우, 핀부재가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장착 오목부에 장착되므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장 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된다.
본 발명 7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6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핀부재는, 축부와, 이탈 방지부와,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다. 축부는, 본체 부재에 삽입 통과된다. 이탈 방지부는, 축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장착 오목부에 삽입된다. 손잡이부는, 축부의 후단부에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되도록 별개로 설치되고, 본체 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는, 먼저, 이탈 방지부를 축부의 선단부에 고정하고, 축부를 가압 부재와 함께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에 삽입한다. 그리고, 본체 부재의 후단부 측으로 돌출된 축부의 후단부에 직경이 큰 손잡이부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축부의 외주에 장착된 가압 부재가 이탈 방지부를 장착 오목부에 가압했을 때, 반대측의 손잡이부가 본체 부재와 접촉하여 이탈 방지되므로, 본체 부재와 가압 부재와 핀부재가 1개의 유닛으로 되어 흐트러지지 않는다.
본 발명 8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6 및 7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은, 원통형의 본체 부재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통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본체 부재를 편심시킨 만큼 본체 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 9에 관한 드래그 조정 장치는, 본 발명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제1 제동 부재와, 제2 제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1 제동 부재는, 스풀의 외측에 고정된다. 제2 제동 부재는, 제1 제동 부재가 접촉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고 또한 스풀의 와이어 송출 방향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스풀축에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에 따라 제1 제동 부재와의 접촉 마찰을 변경하여 스풀에 대한 제동력을 가변(可變)으로 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에 있어서, 릴 본체 외측의 드래그 조작 부재의 최소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 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이 원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의 회동 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롤링(trolling)에 사용되는 레버 드래그형의 릴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통형의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축(5)과, 스풀축(5)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스풀(4)과,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핸들(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듀얼 베어링 릴은, 핸들(3)의 회전을 스풀(4)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15)와, 스풀(4)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와,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드래그 조정 기구(16)와, 스풀(4)의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역회전 방지 기구(17)를 릴 본체(1)의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금속제의 좌우 한 쌍의 접시형의 제1 측 커버(13a) 및 제2 측 커버(13b)와, 제1 측 커버(13a) 및 제2 측 커버(13b)에 의해 양단이 덮히는 프레임(10)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10)은, 제1 측 커버(13a) 및 제2 측 커버(13b)가 양단에 수도꼭지 결합(faucet joint)에 의해 동심(同芯)으로 결합되어 복수 개의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된 금속제의 구멍이 뚫린 통형의 부재이다.
제2 측 커버(13b)의 외측에는,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판형의 판형 부재(80)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판형 부재(80)의 중앙 부분은, 원통부(14)를 관통시키기 위해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판형 부재(80)의 상부는 일부가 절결된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판형 부재(80)의 측부 외측에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범위 내에 요동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에 따라 사운드를 발하는 후술하는 드래그 조정 사운드 발생 기구(47)의 복수 개의 관통공(8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판형 부재(80)의 외주부에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후술하는 조작부(2a)의 하면에 형성된 원호형의 슬릿이 삽입되어 있고,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방향을 서포트하기 위한 레버 가이드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관통공(82)은,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에 따라 사운드를발하기 위한 사운드 발생용의 오목부로서, 외형이 원형의 관통공이다.
또한, 관통공(82)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오목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82)은, 판형 부재(80)의 측부 외측에 있어서, 후술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범위 내에 요동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는, 복수 개의 관통공(82) 중 1개의 관통 공(8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이다.
제1 측 커버(13a) 및 제2 측 커버(13b)는, 그 대략 중심부에서 회동 가능하게 스풀축(5)의 양단을 지지한다. 핸들(3) 측의 제2 측 커버(13b)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5)을 지지하기 위해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통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제1 측 커버(13a) 및 제2 측 커버(13b)와의 사이의 상부에는 릴 하네스(reel harness)에 장착하기 위한 2개의 하네스 러그(harness lug)(64), 하네스 러그(65)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10)의 하부에는 릴을 낚시대 RD에 장착하기 위한 로드(rod) 장착 다리부(7)가 설치되어 있다. 로드 장착 다리부(7)에는, 낚시대 RD를 협지하는 로드 클램프(8)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스풀축(5)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베어링(20a), 베어링(20d)에 의해 릴 본체(1)의 제1 측 커버(13a), 제2 측 커버(13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내측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스풀(4)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베어링(20b), 베어링(20c)에 의해 스풀(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풀축(5) 우측단의 베어링(20d) 외륜의 우측에는 드래그 기구(6)의 이동 기구(46)의 구성 부품이 맞닿아 있다. 또한, 내륜의 좌측에는 회전 전달 기구(15)의 제3 기어(19c)가 맞닿아 있다. 스풀축(5) 좌측단의 베어링(20a) 내륜의 우측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17)가 맞닿아 있다. 또한, 베어링(20d) 외륜의 우측단에는 제1 측 커버(13a)가 맞닿아 있다. 스풀(4)을 지지하는 좌측의 베어링(20b) 내륜의 좌측에는 드래그 기구(6)의 마찰 디스크(27)가 맞닿아 있다. 외륜의 우측은 스풀(4)과 맞닿아 있다.
스풀(4)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권취 보디부(4a)와, 와이어 권취 보디부(4a)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플랜지부(4b) 및 제2 플랜지부(4c)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베어링(20b), 베어링(20c)에 의해 스풀축(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5)의 아래쪽에 스풀축(5)과 평행하게 배치된 통형의 핸들축(31)의 돌출단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축(31)은, 원통부(14)의 아래쪽에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베어링(32), 베어링(33)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1)의 선단에 고정된 핸들 암(40)과, 핸들 암(40)의 선단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손잡이(41)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40)은, 나사 부재(42)에 의해 핸들축(31)의 선단에 핸들축(31)과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 손잡이(41)는, 힘을 가해 잡기 쉽게 하기 위해, 외형이 라운딩된 대략 T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 전달 기구(15)는, 고속 및 저속으로 전환 가능한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전달 기구(1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3)의 핸들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고속 권취용의 제1 기어(19a) 및 저속 권취용의 제2 기어(19b)와, 제1 기어(19a) 및 제2 기어(19b)와 각각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스풀축(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제3 기어(19c) 및 제4 기어(19d)와, 제1 기 어(19a) 및 제2 기어(19b) 중 어느 한쪽과 핸들축(31)이 결합되어, 회전을 전달하는 걸어맞춤편(19e)을 가지고 있다.
드래그 기구(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좌측단에 장착된 제동 디스크(25)와, 제동 디스크(25)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마찰 디스크(26), 마찰 디스크(27)와, 스풀(4)을 통하여 제동 디스크(25)를 마찰 디스크(2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8)을 가지고 있다.
제동 디스크(2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의 와셔형의 원판 부재이며,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 개의 장착핀에 의해, 스풀(4) 좌측의 제1 플랜지부(4b)의 단면에 스풀(4)과 근접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고 또한 스풀(4)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디스크(25)의 스풀(4)과 반대측의 면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의 제동 디스크(25)와 대향하는 면에는, 예를 들면, 카본 그래파이트나 섬유 강화 수지 등의 내마모성 소재제의 링형 마찰판이 비스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6)는, 중심부에 통형의 보스부를 가지고 있고, 이 보스부에 스풀축(5)의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스풀축(5)에 장착된 핀이 걸려져 있다. 이로써, 마찰 디스크(26)는, 스풀축(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스풀축(5)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마찰 디스크(26)의 보스부의 좌측단면에는 역회전 방지 기구(17)의 래칫 휠(50)이 맞닿아 있다. 래칫 휠(50)은, 마찰 디스크(26)의 보스부의 외주면 에, 예를 들면, 톱니형 등의 적당한 걸림 수단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래칫 휠(50)은, 베어링(20a)의 내륜과 맞닿아 있다. 또한, 베어링(20a)의 외륜은 제1 측 커버(13a)와 맞닿아 있다. 이 결과, 마찰 디스크(26)는, 스풀축 방향 외측 즉 제동 디스크(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한 동시에, 래칫 휠(50)에 의해 와이어 송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된다.
그리고, 역회전 방지 기구(17)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래칫 휠(50)과, 래칫 휠(50)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선단이 톱니가 걸리는 래칫 클릭(51)을 가지는 클릭식의 것이다. 래칫 클릭(51)은, 제1 측 커버(13a)의 내측면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인장(引張) 스프링에 의해 톱니가 걸리는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디스크(25)의 스풀(4) 측의 면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마찰 디스크(26)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또한 마찰 디스크(26)에 대하여 근접 및 이격되도록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스풀축(5)에 장착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7)의 제동 디스크(25)와 대향하는 면에는, 예를 들면, 카본 그래파이트나 섬유 강화 수지 등의 내마모성 소재제의 링형 마찰판이 나사고정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7)는, 스풀축(5)의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스풀축(5)에 장착된 핀에 의해 중심에서 스풀축(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마찰 디스크(27)의 우측단면에는 와셔를 통하여 베어링(20b)의 내륜이 맞닿아 있다. 이 결과, 마찰 디스크(27)는, 베어링(20b)을 통하여 스풀(4)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스풀(4)을 가압한다.
드래그 조정 기구(16)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스풀축(5)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드래그 조작 부재(2)와,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에 따라 스풀(4)을 스풀축(5)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46)와,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에 따라 사운드를 발하는 드래그 조정 사운드 발생 기구(47)와, 드래그 조작 부재(2)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을 규제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이동 기구(46)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도 3의 시계 회전 방향의 요동에 따라 스풀(4) 및 마찰 디스크(27)를 가압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기구(48)와, 마찰 디스크(27)를 가압하여 드래그 조작 부재(2)의 도 3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이동에 따라 스풀(4) 및 마찰 디스크(27)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49)을 가지고 있다. 드래그 조정 사운드 발생 기구(4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 위치로부터 최대 위치에 걸쳐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드래그 조작 부재(2)와 대향하여 판형 부재(80)에 배치된 복수 개의 관통공(82)과, 관통공(82)과 대향 가능하게 드래그 조작 부재(2)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사운드 송출핀(83)과, 사운드 송출핀(83)을 관통공(82)을 향해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84)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82)은, 프리 위치로부터 스트라이크 위치에 걸쳐 형성된 부분과, 최대 위치와 그 바로 앞에 요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부분을 가지고 있다.
드래그 조작 부재(2)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이 자유 회전 가능한 드래그 프리 상태에 대응한 프리 위치(도 3에 있어서의 A 위치)와 드래그 기구(6)의 최대 드래그 상태에 대응한 최대 위치(도 3에 있어서의 B 위치)와 의 사이에서 릴 본체(1)의 외측에 스풀(4)의 축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상태의 부재이다. 드래그 조작 부재(2)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배치되고 낚시꾼이 손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2a)와, 하부에 배치된 판형의 판형부(2b)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 부재(80) 외측의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소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 내에 형성된 관통공(8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2)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는, 도 5 내지 도 10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 부재(80)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장착되고, 판형 부재(80)의 외측 에지부를 끼워넣어 고정하는 절결부(71a)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는, 측부에 절결부(71a)가 형성되고, 또한 양단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통공(71b)이 형성된 원통형의 본체 부재(71)와,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에 압축되어 장착되는 가압 부재(72)와,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에 장착되고 선단부가 가압 부재(72)에 의해 가압되어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에 장착되는 핀부재(73)를 가지고 있다.
본체 부재(71)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71a)가 측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본체 부재(71)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단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통공(71b)이 형성되어 있고, 절결부(71a)에 의해 관통공(71b)의 일부가 외측과 면하도록 되어 있다. 절결부(71a)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부재(71)의 선단측에 대략 원호형으로 절결된 슬릿으 로서, 판형 부재(80)를 협지할 수 있도록 판형 부재(80)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71b)은, 도 5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본체 부재(71)의 중심(A)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B)를 중심으로 한 원통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부재(71)의 후부에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71b)의 외경이 작은 직경이 되도록 한 플랜지부인 저부(bottom portion)(7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저부(71c)에 가압 부재(72)의 후단부가 맞닿도록 되어 있다.
가압 부재(72)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에 압축되어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이다. 가압 부재(72)는, 후단부가 본체 부재(71)의 저부(71c)와 접촉되고, 선단부가 후술하는 핀부재(73)의 큰 직경부(73d)와 접촉되도록 압축되어 장착되어 있고, 이로써, 핀부재(73)가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절결부(71a)를 판형 부재(80)에 장착했을 때(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 장착시)는,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 부재(80)에 의해 가압 부재(7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부재(73)가 후방으로 압출(壓出)된 상태로 되고, 후술하는 핀부재(73)의 이탈 방지부(73b)가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에 장착된다. 반대로, 절결부(71a)를 판형 부재(80)로부터 이격시킬 때(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 분리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부재(72)의 가압력에 의해 핀부재(73)가 전방으로 압출된 상태로 되고, 후술하는 핀부재(73)의 손잡이부(74)가 본체 부재(71)의 후단면과 접촉함으로써, 본체 부재(71), 가압 부재(72) 및 핀부재(73)가 흐트러지는 경우는 없게 된다.
핀부재(73)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에 삽입되고, 가압 부재(72)에 의해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 방향으로 가압되어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에 장착된다. 핀부재(73)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73a)와 이탈 방지부(73b)와 손잡이부(74)를 가지고 있다.
축부(73a)는,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에 삽입 통과되는 축부재로서, 선단측에 형성된 큰 직경부(73d)와, 후단 측에 형성된 작은 직경부(73e)를 가지고 있다. 큰 직경부(73d)의 외경은,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은 직경부(73e)는, 관통공(71b) 내에 있어서, 외주에 가압 부재(72)가 장착되어 있다.
이탈 방지부(73b)는,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73a)의 선단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관통공(82)에 삽입된다. 이탈 방지부(73b)의 선단부는, 대략 반구형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판형 부재(80)에 절결부(71a)를 장착했을 때 핀부재(73)의 이탈 방지부(73b)가 후방으로 퇴피하기 쉽게 되어 있다.
손잡이부(74)는, 도 5 내지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꾼이 손가락으로 잡고 후방으로 잡아당기기 위한 것이며, 축부(73a)의 후단부에 축부(73a)보다 큰 직경으로 되도록 축부(73a) 및 이탈 방지부(73b)와 별개로 설치되고, 본체 부재(71)의 후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장착된다. 손잡이부(74)는, 고정 볼트(75)에 의해, 핀부재(73)의 축부(73a)의 후단부에 형성된 볼트 구멍(73c)에 나사 로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부(74)의 후단부에는, 볼트 수납공(74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 볼트(75)의 헤드부가 수납된다. 또한, 손잡이부(74)는, 선단부 측의 외형 일부가 선단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74b)를 가지고 있고, 낚시꾼이 손가락으로 잡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조립하는 데는, 먼저, 이탈 방지부(73b)가 축부(73a)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축부(73a)가 가압 부재(72)와 함께 본체 부재(71)의 관통공(71b)에 삽입된다. 그리고, 본체 부재(71)의 후단부 측으로 돌출된 축부(73a)의 후단부에, 축부(73a)보다 직경이 큰 손잡이부(74)가 고정된다. 이 경우, 축부(73a)의 외주에 압축된 상태로 장착된 가압 부재(72)에 의해, 반대측의 손잡이부(74)가 본체 부재(71)의 후단면과 접촉하여 이탈이 방지되는 손잡이부(74)는, 고정 볼트(75)에 의해, 축부(73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듀얼 베어링 릴에서는, 판형 부재(80) 외측의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소 위치와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 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드래그 조작 부재(2)가 접촉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을 규제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범위 내에 설치된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소 회동 범위 또는 최대 회동 범위를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소 회동 범위가 되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뜻하지 않게 드래그 조작 부재(2)를 너무 되돌려 드래그 력이 약해져 버리게 하지 않으므로, 낚시줄이 백래시하여 버리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및 분리 가능한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대 회동 범위가 되는 위치에 장착함으로써, 드래그 조작 부재(2)를 너무 진행시켜 드래그력이 최대로 되어 버리지 않으므로, 낚시줄이 끊어져 버린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낚시꾼이 원하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회동 범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트롤링용의 중형 릴에 본 발명을 채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 드래그를 가지는 모든 듀얼 베어링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74)는, 선단부 측의 외형의 일부가 선단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74b)를 가지고 있었지만,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의 전체가 선단측을 향해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부(74b)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판형 부재(80)의 관통공(82)에 장착하지 않을 때는, 릴로부터 분리해 내고 있었지만,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요동 범위 밖(도 12에서는 드래그 조작 부재(2)의 최대 회동 범위의 외측이 되는 우측 위치)에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수납 오목 부(85)를 형성하고,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를 수납 오목부(85)에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70)의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판형 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2: 드래그 조작 부재
3: 핸들
4: 스풀
5: 스풀축
6: 드래그 기구
10: 프레임
13a: 제1 측 커버
13b: 제2 측 커버
14: 원통부
15: 회전 전달 기구
16: 드래그 조정 기구
17: 역회전 방지 기구
47: 드래그 조정 사운드 발생 기구
70: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
71: 본체 부재
71a: 절결부
71b: 관통공
71c: 저부
72: 가압 부재
73: 핀부재
73a: 축부
73b: 이탈 방지부
73c: 볼트 구멍
73d: 큰 직경부
73e: 작은 직경부
74: 손잡이부
74a: 볼트 수납공
74b: 테이퍼부
75: 고정 볼트
80: 판형 부재
82: 관통공
83: 사운드 송출핀
84: 코일 스프링
85: 수납 오목부

Claims (9)

  1.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스풀을 제동하는 드래그(drag) 기구의 드래그력을 조정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로서,
    상기 드래그 기구의 최소 드래그 상태에 대응한 최소 위치와 상기 드래그 기구의 최대 드래그 상태에 대응한 최대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릴 본체의 외측에 상기 스풀의 스풀축 주위로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 상태의 드래그 조작 부재; 및
    상기 릴 본체 외측의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상기 최소 위치와 상기 최대 위치와의 사이의 요동 범위 내에 요동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장착 오목부 중 1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는, 측 커버와, 상기 측 커버의 외측에 장착되고 측부 외측에 상기 복수 개의 장착 오목부가 배치된 판형 부재를 가지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오목부는 상기 판형 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공인,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조작 부재에 진퇴(進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장착 오목부와 접촉을 반복함으로써 사운드를 발하는 드래그 사운드 발생 부재를 더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는, 상기 판형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장착되고 상기 판형 부재의 외측 에지부를 끼워넣어 고정하는 절결부를 가지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요동 규제 부재는, 상기 절결부가 측부에 형성된 통형의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에 압축되어 장착된 가압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에 삽입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장착 오목부에 장착되는 핀부재를 가지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조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 핀부재는, 상기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에 삽입 통과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 오목부에 삽입되는 이탈 방지부와, 상기 축부의 후단부에 상기 축부보다 큰 직경으로 되도록 별개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 부재에 접촉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부재의 통형 부분은, 원통형의 본체 부재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를 중심으로 한 원통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9. 삭제
KR1020090101139A 2008-11-20 2009-10-23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KR101606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96456 2008-11-20
JP2008296456A JP5242353B2 (ja) 2008-11-20 2008-11-20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966A KR20100056966A (ko) 2010-05-28
KR101606164B1 true KR101606164B1 (ko) 2016-03-24

Family

ID=4181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139A KR101606164B1 (ko) 2008-11-20 2009-10-23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23823B2 (ko)
EP (1) EP2189059B1 (ko)
JP (1) JP5242353B2 (ko)
KR (1) KR101606164B1 (ko)
CN (1) CN101731192B (ko)
MY (1) MY144269A (ko)
TW (1) TWI4542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428A (ja) * 2009-07-14 2011-02-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レバードラグ機構
JP5878718B2 (ja) * 2011-09-27 2016-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5961378B2 (ja) * 2011-12-22 2016-08-0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6412680B2 (ja) * 2013-04-26 2018-10-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267937B2 (ja) * 2013-11-08 2018-0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装置
KR101699382B1 (ko) 2014-10-22 2017-01-24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가공성이 향상된 낚시릴 프레임
TWI684406B (zh) * 2015-03-27 2020-02-11 日商島野股份有限公司 雙軸承捲線器
JP6971612B2 (ja) * 2017-04-12 2021-11-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644A (en) * 1965-08-19 1969-02-04 Penn Fishing Tackle Mfg Co Fishing reel with friction drag
US3478979A (en) * 1966-07-29 1969-11-18 Penn Fishing Tackle Mfg Co Fishing reel
US4516741A (en) * 1982-12-27 1985-05-14 Daiwa Seiko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double-bearing fishing reel
JPS60106469U (ja) * 1983-12-23 1985-07-1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ドラグ調節機構
JPH0525424Y2 (ko) * 1986-03-25 1993-06-28
JPH086467Y2 (ja) 1991-12-12 1996-02-2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制動装置
US6206311B1 (en) * 1999-12-30 2001-03-27 Brunswick Corporation Baitcast fishing reel with discreting backlash control
US6648256B1 (en) * 2002-06-20 2003-11-18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Integrated strike button
JP2004173592A (ja) * 2002-11-27 2004-06-24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US7234661B2 (en) * 2004-07-21 2007-06-26 Shimano Inc. Drag adjustment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JP4966747B2 (ja) 2007-05-31 2012-07-0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管部材用被覆材熱融着具
ATE538647T1 (de) * 2008-07-08 2012-01-15 Shimano Kk Bremsmechanismus für doppelt gelagerte angelro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42353B2 (ja) 2013-07-24
EP2189059B1 (en) 2012-09-26
MY144269A (en) 2011-08-29
US7823823B2 (en) 2010-11-02
TWI454216B (zh) 2014-10-01
CN101731192B (zh) 2012-11-28
EP2189059A2 (en) 2010-05-26
CN101731192A (zh) 2010-06-16
EP2189059A3 (en) 2010-07-21
TW201026223A (en) 2010-07-16
JP2010119345A (ja) 2010-06-03
US20100123035A1 (en) 2010-05-20
KR20100056966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16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KR101694222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변속 조작 기구
KR10195126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및 듀얼 베어링 릴
KR10171508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사운드 발생 장치
TWI634837B (zh) 雙軸承捲線器
US2783952A (en) Spinning reel
JP2011019427A5 (ko)
JP2014155470A5 (ko)
TW201436713A (zh) 雙軸承捲線器的小齒輪、及具備該小齒輪的雙軸承捲線器
KR20080020488A (ko) 스피닝 릴
JP2015065961A5 (ko)
JP2016002062A (ja)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KR101635634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장치
KR20150056031A (ko) 양 베어링 릴
JP2014212739A (ja) 両軸受リール
JP2014212739A5 (ko)
KR20020017946A (ko) 양 베어링 릴의 역회전 방지기구
JP4173387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KR102294430B1 (ko) 스피닝 릴
JP2013146202A (ja) 両軸受リール及びその駆動軸
JP2004049115A (ja) 両軸受リール
JP2024065761A (ja) ドラグレバーおよび魚釣用両軸受リール
JP201703856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200542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348637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