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020A -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020A
KR20130072020A KR1020110139558A KR20110139558A KR20130072020A KR 20130072020 A KR20130072020 A KR 20130072020A KR 1020110139558 A KR1020110139558 A KR 1020110139558A KR 20110139558 A KR20110139558 A KR 20110139558A KR 20130072020 A KR20130072020 A KR 20130072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coupling groove
tooth
out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795B1 (ko
Inventor
이규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1013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7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16D2125/62Fixing arrangements therefor, e.g. cable end attach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고, 외주에 제1투스가 형성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의 외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끝단을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연결구를 포함하여,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상기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제2연결구가 압축되면서 상기 절개부가 좁혀지고,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이 상기 제1연결구의 제1투스를 조여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고정브래킷에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블의 연결 작업시 케이블이 너무 팽팽하여 끊어지거나 너무 느슨하여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CABLE CONNECTIVE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케이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단부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2개로 구성하고, 각 연결구에 복수의 기어이빨을 갖는 투스를 구성하여 케이블의 연결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각종 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장치중에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장치가 구비된다.
이 장치는 탑승자가 조작하는 조작레버가 구비되며, 이 조작레버와 장치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며, 케이블에 의해 조작레버의 조작력이 장치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탑승자의 조작력을 각 장치로 전달하는 케이블은 다양하게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액셀페달과 엔진측 스로틀 밸브를 연결하는 액셀 케이블, 파킹레버와 파킹 브레이크를 연결하는 파킹 케이블, 도어핸들과 도어래치를 연결하는 도어핸들 케이블, 변속레버와 기어변속을 위한 변속기 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하는 변속 케이블, 시트레일의 록커와 작동레버 사이를 연결하여 작동레버의 조작력을 시트레일 록커로 전달하여 시트레일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시트레일 로커 케이블 등이 있다.
이러한 케이블 중 파킹레버와 파킹 브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파킹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의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210306호(이하 '선행특허'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케이블 연결구조는 케이블(10)의 단부에 연결구(20)가 구비되고, 연결구(20)가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30)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케이블(10)은 내측케이블(11)과 외측케이블(12)로 구성되고, 외측케이블(12)의 중앙에 내측케이블(11)이 결합된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구(20)는 외측케이블(12)의 단부에 연결되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외측케이블(12)의 내측에 일체로 구성되는 내측케이블(11)이 관통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연결구(20)의 외주에는 고정브래킷(30)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홈(21)이 형성되며, 이 복수의 결합홈(21) 사이에 각각 고정브래킷(30)의 앞과 뒤에서 밀착 지지되는 지지돌부(22)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브래킷(30)은 대략 'L' 자 형태로 형성되되, 수평부분이 차체나 조작레버에 고정되고, 수직부분에 연결구(20)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된다.
끼움부는 상측으로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입구와, 입구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 연결구(20)의 결합홈(21)이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 구조에서 고정하고자 하는 외측케이블(12)의 단부에 연결구(20)를 고정한 후에, 이 연결구(20)를 차체나 조작레버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브래킷(30)에 결합하여 케이블(10)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외측케이블(12)의 길이에 따라 연결구(20)에 구비되는 복수의 결합홈(21) 중 외측케이블(12)의 길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는 결합홈(21)을 고정브래킷(30)의 끼움부에 끼워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구(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21)의 간격이 외측케이블(12)의 고정시 길이조절을 위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 복수의 결합홈(21)의 간격을 너무 작게 하면 외측케이블(12)의 길이 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으나 고정브래킷(30)에 케이블(10)을 지지하는 지지돌부(22)의 두께가 얇아져서 연결구(20)의 지지돌부(22)가 파손되어 케이블(10)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장치의 고장을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결합홈(21)의 간격을 너무 크게 하면, 외측케이블(12)의 길이 조정을 미세하게 할 수 없어 케이블(10)의 연결 작업시 케이블(10)이 느슨하게 연결되면 장치의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블 단부에 고정되는 연결구를 2개로 구성하고, 각 연결구에 복수의 기어이빨을 갖는 투스를 구성하여 케이블의 연결시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을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에 연결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고, 외주에 제1투스가 형성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의 외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끝단을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상기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제2연결구가 압축되면서 상기 절개부가 밀폐될 때 상기 제2연결구가 상기 제1연결구의 제1투스를 조임으로써 상기 케이블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연결구의 제1투스에 치합되는 제2투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상기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탄성부재로 상기 제1투스를 조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하부가 상기 결합홈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걸려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의 외주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결합홈의 외주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가 벌려진 상태로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에 끼워진 상기 제1연결구가 왕복 이동되는 상태의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의 외주가 밀착되어 걸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임시 결합부와, 상기 임시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의 외주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결합되는 제2연결구가 케이블에 고정되는 제1연결구의 외주에 치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치합을 위한 제1투스와 제2투스의 기어이빨 간격에 의해 케이블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짐으로 케이블의 길이 조절을 미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블의 길이 조절을 미세할 수 있어, 케이블을 고정브래킷에 연결하는 작업시 케이블이 너무 팽팽하거나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와 도 5는 도 2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2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다른 형태의 고정브래킷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도 6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케이블 연결 과정을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와 도 5는 도 2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다른 형태의 고정브래킷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과 도 8은 도 6의 케이블 연결구조에서 케이블 연결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는, 케이블(100)을 차체에 구비되는 고정브래킷(2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100)의 단부에 제1연결구(300)를 고정하고,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구(400)에 절개부(141)를 형성하여, 제2연결구(400)가 고정브래킷(200)의 끼움부(210)에 끼워 고정될 때 제2연결구(400)가 압축되면서 절개부(141)가 닫힐 때 제2연결구(400)가 제1연결구(300)를 조임으로써, 케이블(100)을 고정브래킷(200)에 연결하는 구조이다.
즉, 고정브래킷(200)에 케이블(100)을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케이블(100)의 단부에 고정되고 제2연결구(400)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1연결구(300)를 당기거나 밀어서 케이블(100)을 팽팽하게 유지시킨 후에, 제2연결구(400)로 제1연결구(300)를 조이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블(100)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중 탑승자가 장치를 사용하고자 작동시킬 때 작동력을 각 장치로 전달하기 위하여, 탑승자가 조작하는 조작레버와 장치를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구성되는 시트레일을 록킹하는 시트레일 록킹장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시트레일 록킹 장치의 조작레버와 시트레일 록커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일례로서 설명하나, 다른 장치와 조작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케이블(100)은 외측케이블(110)과, 외측케이블(110)의 중앙에 구성되는 내측케이블(120)로 구성되되, 외측케이블(110)의 단부에 제1연결구(300)가 고정되고, 제1연결구(300)가 제2연결구(40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에 끼워져 결합되되, 제2연결구(400)의 관통홀에서 제1연결구(300)가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연결구(300)는 일정길이로 형성되어 외측케이블(110)의 단부에 압입 고정된다. 그리고,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는 다수의 기어이빨로 구성되는 제1투스(310)가 형성된다.
제2연결구(400)는 중앙에 관통홀이 케이블(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관통홀로 제1연결구(30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연결구(400)는 제1연결구(30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 끼워져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연결구(400)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상부에 일단에서 타단까지 절개되는 절개부(410)가 형성되어 외주 양측을 가압하면 절개부(410)가 오므라져서 밀폐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제2연결구(400)는 탄성력이 있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외주 양측을 가압하면 절개부(410)가 오므라지면서 완전히 밀폐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2연결구(400)의 내측에는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1투스(310)에 치합되는 제2투스(420)가 형성된다. 즉, 제1연결구(300)의 제1투스(310)에 제2연결구(400)의 제2투스(420)가 치합되어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서 왕복 이동되는 제2연결구(400)가 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연결구(400)의 외주에는 고정브래킷(200)의 끼움부(2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430)이 형성된다.
또한, 제2연결구(400)의 내측에 제2투스(420)를 형성하지 않고, 도 5와 같이,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440)를 부착하여, 제1연결구(300)의 제1투스(310)를 제2연결구(400)의 탄성부재(440)가 꽉 조임으로써 케이블(100)을 고정브래킷(200)에 연결하는 구성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연결구(400)의 탄성부재(440)가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 형성되는 제1투스(310)를 강하게 조임으로써 고정브래킷(200)에 케이블이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브래킷(200)은 대략 'L'자 형상으로 수평부분이 차량의 차체에 용접이나 별도의 체결부재로 고정되고, 수직부분에 제2연결구(400)가 끼워져 연결되는 끼움부(210)가 형성된다.
이 끼움부(210)는 도 2와 같이, 수직부분의 상단에서 하측으로 일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되,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 외주가 안착되는 안착부(211)와, 이 안착부(211)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이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홈부(212)로 구성된다.
안착부(211)는 폭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의 외주가 걸리도록 하측의 폭은 결합홈(4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2연결구(400)의 절개부(410)가 벌려진 상태에서 결합홈(430)의 외경보다 안착부(211)의 상부의 폭은 크게 형성되고, 안착부(211)의 하부의 폭은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홈부(212)는 안착부(211)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제2연결구(400)의 절개부(410)가 닫혀진 상태에서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의 외주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외측케이블(110)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제1연결구(300)를 제2연결구(400)의 관통홀에 끼우고,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을 고정브래킷(200)에 형성된 끼움부(210)의 안착부(211)에 안착시킨다. 이후에 케이블(100)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제1연결구(300)를 당기거나 밀어서 케이블(100)의 상태를 조절한 후에 안착부(211)에 안착되는 제2연결구(400)를 눌러서 끼움부(210)의 고정홈부(212)에 완전히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브래킷(200)에 형성되는 끼움부(220)를 다른 형태 즉, 도 6과 같이, 상단에서 하측으로 입구(221), 임시 고정부(222), 고정홈부(223)를 서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고정브래킷(200)의 입구(221)는 대략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이 안착되는 것으로, 상부의 폭은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의 폭은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제2연결구(400)를 고정브래킷(200)에 끼워 결합할 때, 입구(221)에 제2연결구(400)가 한번 걸린 후에, 작업자가 제2연결구(400)를 살짝 누르면 절개부(410)가 살짝 좁혀진 후에 임시 고정부(222)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브래킷(200)의 임시 고정부(222)는 제2연결구(400)를 제1연결구(300)에서 왕복 이동시켜서 케이블(1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케이블(100)이 팽팽하게 되도록 제2연결구(400)를 임시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와 하부의 폭은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중앙부는 대략 결합홈(43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임시 고정부(222)는 제2연결구(4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1연결구(300)의 제1투스(310)가 제2연결구(400)의 제2투스(420)에 맞물리지 않거나 제1연결구(300)의 제1투스(310)를 제2연결구(400)의 탄성부재(440)로 가압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브래킷(200)의 고정홈부(223)는 상부가 임시 고정부(222)와 연결되되, 상부의 폭이 결합홈(43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내경은 제2연결구(400)의 절개부(410)가 완전히 오므라져서 절개부(410)가 직선 형태가 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고정홈부(223)의 내경은 제2연결구(400)의 절개부(410)가 완전히 오므라졌을 때의 결합홈(430)의 외경과 거의 같게 형성되되, 제2연결구(400)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어 억지 끼움으로 고정홈부(223)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의 작용을 입구(221), 임시 고정부(222), 고정홈부(223)로 구성되는 끼움부(220)에 제2연결구(40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케이블(100)을 차체에 연결하기 전에 외측케이블(110)의 단부에 제1연결구(300)를 압입 고정한 후에, 제1연결구(300)의 외주에 제2연결구(400)를 결합한 케이블(100)을 준비한다.
그런 다음, 제2연결구(400)를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래킷(200)에 결합하는데,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 외주면을 끼움부(220)의 입구(221)에 밀착시키고, 제2연결구(40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제2연결구(400)가 임시 고정부(222)에 임시 결합된다.
그러면, 제2연결구(400)의 절개부(410)는 초기의 벌려진 상태에서 약간 좁아진 형태가 되어 제2연결구(400)의 제2투스(420)가 제1연결구(300)의 제1투스에 결합되지 않아 제2연결구(400)가 제1연결구(300)의 외측에서 왕복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작업자는 제1연결구(300)를 당기거나 밀어서 케이블(100)을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 후에, 제2연결구(400)를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제2연결구(400)의 결합홈(430)이 끼움부(220)의 고정홈부(223)에 끼워질 때, 제2연결구(400)의 절개부(410)는 밀폐되면서 결합홈(430)의 외주면이 고정홈부(223)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절개부(410)가 완전히 밀폐됨과 동시에 제2연결구(400)의 제2투스(420)가 제1연결구(300)의 제1투스(310)에 맞물려 결합되므로써, 고정브래킷(200)에 케이블(100)의 연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결합되는 제2연결구가 케이블(100)에 고정되는 제1연결구의 외주에 치합에 의해 결합되므로,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치합을 위한 제1투스와 제2투스의 기어이빨 간격에 의해 케이블(100)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짐으로 케이블(10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100)의 연결 작업시 케이블(100)이 너무 팽팽하여 끊어지거나 너무 느슨하여 장치의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케이블 110 : 내측케이블
120 : 외측케이블
200 : 고정브래킷 210,220 : 끼움부
300 : 제1연결구 310 : 제1투스
400 : 제2연결구 410 : 절개부
420 : 제2투스 430 : 결합홈
440 : 탄성부재

Claims (5)

  1. 케이블을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에 연결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되고, 외주에 제1투스가 형성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1연결구의 외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양끝단을 관통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고정브래킷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2연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상기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제2연결구가 압축되면서 상기 절개부가 밀폐될 때 상기 제2연결구가 상기 제1연결구의 제1투스를 조임으로써 상기 케이블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연결구의 제1투스에 치합되는 제2투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상기 끼움부에 끼워질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1투스를 조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하부가 상기 결합홈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이 걸려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의 외주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는,
    상기 결합홈의 외주보다 좁게 형성되되,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가 벌려진 상태로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형성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에 끼워진 상기 제1연결구가 왕복 이동되는 상태의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의 외주가 밀착되어 걸려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임시 결합부와,
    상기 임시 결합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절개부가 닫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2연결구의 결합홈의 외주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KR1020110139558A 2011-12-21 2011-12-21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KR101836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558A KR101836795B1 (ko) 2011-12-21 2011-12-21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558A KR101836795B1 (ko) 2011-12-21 2011-12-21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020A true KR20130072020A (ko) 2013-07-01
KR101836795B1 KR101836795B1 (ko) 2018-03-09

Family

ID=4898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558A KR101836795B1 (ko) 2011-12-21 2011-12-21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7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068A (ko) 2021-03-12 2022-09-20 주식회사 만도 케이블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452A (ja) 1999-01-19 2000-07-25 Fuji Heavy Ind Ltd 棒状物保持具
KR200371212Y1 (ko) 2004-07-29 2005-01-07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용 케이블 취부소켓의 장착구조
JP2007118738A (ja) 2005-10-27 2007-05-17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2010076643A (ja) 2008-09-26 2010-04-08 Caterpillar Japan Ltd ガバナケーブル用ブラ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795B1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9864B2 (ja) ボーデンケーブル
US20130247709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trol cable
WO2011007715A1 (ja) 紐状体の留め具
JP2018127031A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のアンカープレート及びアンカー装置
KR20070062668A (ko)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
US11505911B2 (en) Work-tool mounting mechanism and work vehicle
KR20130072020A (ko) 차량용 케이블 연결 구조
JP2004150625A (ja) ケーブルアジャスト機構
KR20030037979A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CN109058624A (zh) 一种喉箍
CN107829622A (zh) 用于锁模块的鲍登拉线密封件
US20210156470A1 (en) Park lock rod assembly
KR100894860B1 (ko) 차량용 변속기 레버
KR200352394Y1 (ko) 자동차기어변속케이블의 길이조정 취부소켓
KR101251839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US10533349B2 (en) Door lock device for vehicle
US20190322201A1 (en) Thin profile cable attachment for a recliner link
JP2013001137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操作装置
KR100360211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와 변속기커버의 결합구조
KR101619408B1 (ko) 차량용 시프트 록 조절 버튼
KR200164843Y1 (ko) 차량의 높이조절식 페달
JP2004017944A (ja) フロアマット用係止具
KR200341358Y1 (ko) 가속기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
KR100568819B1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JP2006046508A (ja) スタッド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